KR870004061Y1 - 부족 전압 트립 장치 - Google Patents

부족 전압 트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4061Y1
KR870004061Y1 KR2019870006723U KR870006723U KR870004061Y1 KR 870004061 Y1 KR870004061 Y1 KR 870004061Y1 KR 2019870006723 U KR2019870006723 U KR 2019870006723U KR 870006723 U KR870006723 U KR 870006723U KR 870004061 Y1 KR870004061 Y1 KR 870004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pring
iron core
lever
trip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6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세가와 다다오 고바야시 게이시
다다오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4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0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1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voltage falling below a predetermined value, e.g. for no-volt protec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족 전압 트립 장치
제1도, 제2도는 종래의 부족 전압 트립 장치를 표시한 단면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단면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코일 2 : 고정철심
3 : 가동철심 11 : 투입조각레버
12 : 구동스프링 15 : 투입레버
16 : 고정지점 17 : 로크레버
18 : 고정핀 19 : 스프링
20 : 고정핀
본 고안은 개폐기, 예를 들면 차단기에 장비되는 부족 전압 트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족 전압 트립 장치의 구동 스프링을 축세하는 데는, 차단기가 투입 동작하는 주축 회전에 의하거나, 또는 에너지 축세 핸들 동작에 의하여 트립 장치의 작동 및 리세트를 간단히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본 출원인이 기히 고안한 바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이러한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에 있어서, (1)은 코일, (2)는 코일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속의 통로를 형성하는 고정철심, (3)은 고정철심(2)에 상호 대응지게 설치된 철심(3a)과 철심(3a) 양단에서 연장되어 철심(3a)의 동작을 외부로 전달하는 구동축(3b)로 구성된 가동철심, (4)는 고정핀(5)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자재하게 장착된 링크이고, 구동축(3b)과는 접속핀(6)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7)은 개폐기의 트립기구(도시 없음)에 연결되어 구동축(3b)에 접합하여 설치된 트립 레버, (8)은 고정핀(9)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레버, (10)은 레버(8)와 링크(4)와의 사이를 회전자재하게 연결하는 연결 링크, (11)은 개폐기 투입 조작기구(도시 없음)에 연결되어 축에 대하여 (A)(B) 2위치간을 회전하는 투입 조작 레버로서, 개폐기의 투입 동작에 앞서서 후술하는 구동 스프링(12)을 축세하는 것이다.
(12)는 일단부를 투입 조작 레버(11)에, 타단을 레버(8)에 각기 걸여 있는 구동 스프링, (13)은 일단을 고정핀(14)에, 타단을 링크(4)에 각각 걸여 있는 리세트 스프링이다.
이와 같이 된 것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개폐기가 개로상태, 부족 전압 트립 장치는 리세트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제2도에 있어서 개폐기는 폐로상태, 부족 전압 트립 장치는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제1도에 있어서, 투입 조작 레버(11)를 위치 (A)에서 위치 (B)로 이동하면 구동 스프링(12)은 축세된다.
이 때 구동 스프링(12)에 의하여 인장력 f1이 발생하여 레버(8), 연결 링크(10)를 통하여 링크(4)에 고정핀(5)을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의 토오크 T(f1)를 발생시킨다.
또한 코일(1) 의 여자에 의하여, 고정철심(2)과 철심(3a) 사이에 흡인력 f2가 발생하고 접속핀(6)을 통하여 링크(4)상에 고정핀(5)을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토오크 T(f2)를 발생한다.
또한 링크(4)의 일단에 걸려 있는 리세트 스프링(13)도 인장력 f3을 발생하여 고정핀(5)를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토오크 (f3)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개폐기 주회로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동안은 코일(1)이 여자되어 있기 때문에 그 때 흡인력 f2에 의하여 부족 전압 트립 장치를 이와 같은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T(f1)〈T(f2)+T(f3) 또한 T(f1)>T(f3)의 관계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투입 동작을 하게 되면, 투입 동작 레버(11)는 그 위치를 유지하면서 개폐기는 투입된다. 주회로에 소정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개폐기가 개폐동작을 하여도 부족 전압 트립 장치는 이 상태에서 유지되어 있다.
그러하나 개폐기 주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이 소정치 이하가 되면 흡인력 f2에 의한 토오크 T(f2)가 감소되어 T(f1)>T(f2)+T(f3)의 관계가 발생되어 링크(4)는 고정핀(5)을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접속핀(6)으로 연결된 가동철심(3)은 우측으로 이동을 개시하여 구동축(3b)은 트립 레버(7)를 트립 방향으로 구동한다.
이와 동시에 리세트 스프링(13)이 축세된다.
제1도는 주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이 소정치 이하로 되었기 때문에 부족 전압 트립 장치가 동작되는 순간을 표시한 것으로서, 이 상태의 직후에 개폐기는 개방되며, 투입 조작 레버(11)는 위치 (A)에 복귀된다.
이 때 구동 스프링(12)은 힘이 빠져 T(f1)〈T(f2)의 관계가 발생하여 부족 전압 트립 장치는 리세트 스프링(13)의 동작에 의하여 리세트되어 제1도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부족 전압 트립 장치는 개폐기가 통상의 개폐동작의 경우에는 하등 문제될 것이 없으나, 스프링 축세상태의 대기중에 부족 전압 트립 장치의 인가 전압이 부족되면 트립 동작과 똑같이 제2도의 동작과 같이 트립 레버(7)를 구동하여, 부족 전압 트립 장치의 철심(2)(3a)간의 갭을 넓히기 때문에 재차 인가 전압이 회복되어도 투입 조작 레버(11)가 (A)위치로 복귀하지 않는 한 가동철심(3a)은 리세트하지 못하며, 따라서 다음의 투입 동작에 있어서는 트립 자유 동작에 의한 투입 불능이 생기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것의 결점을 배제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개폐기의 에너지축세스프링을 축세 후 개폐기 동작개시까지 부족 전압 트립 장치의 구동 스프링의 축세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 설비를 하므로서, 부족 전압 트립 장치의 인가 전압이 부족된 경우라 하여도 하동 문제가 없는 부족 전압 트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1)-(14)는 제1도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15)는 개폐기의 주회로 접점과 연동하는 투입 레버로서, 개폐기가 열린 때에는 실선 위치에, 닫힌 때에는 점선 위치에 있다.
(16)은 투입레버(15)의 고정지점, (17)은 링크(8)를 로크하는 로크레버, (18)은 로크레버(17)의 고정핀, (19)는 로크레버(17)의 스프링, (20)은 스프링(19)의 고정핀이다.
그리고 이들 부품 (15)-(20)에 의하여 구동 스프링(12)의 축세상태를 유지하는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제3도에 있어서,
투입 조작 레버(11)가 (A)의 위치에서 개폐기는 개로상태이다.
이 위치에서 투입 조작 레버(11)를 (B)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구동 스프링(12)은 축세되어, 개폐기는 투입 가능한 상태가 된다. 투입 래치(15)가 실선의 위치에서 개폐기는 개로상태 즉, 트립상태이다.
이 위치에서 투입 레버(15)를 점선 위치까지 이동하면 개폐기는 투입된다.
이와 같은 투입 조작 레버(11) 및 투입 레버(15)의 동작에 있어서, 구동 스프링 (12)의 축세 후 개폐기가 투입 동작될 때까지 즉, 투입 조작 레버(11)가 (B)위치로 이동되어, 투입 레버(15)가 점선 위치까지 이동되기까지의 사이에 로크 레버(17)가 스프링(19)에 의하여 실선 위치로 힘이 부가되고 있기 때문에, 레버(8)가 로크 레버(17)에 의하여 잠긴다.
따라서 스프링이 축세된 상태로 대기중에 부족 전압 트립 장치의 인가 전압이 부족하여도, 가동철심(3)은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트립 레버(7)도 동작하지 않는다.
인가 전압이 회복되면 부족 전압 트립 장치는 원상태대로이므로 즉시 투입동작할 수 있게 된다.
더우기 개폐기가 투입 상태에 있어서는 투입 레버(15) 및 로크 레버(17)는 점선 위치에 있기 때문에 부족 전압 트립 장치의 인가 전압이 부족되면 제2도와 같이 개폐기는 트립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레버(8)를 로크하기 위한 동작을 투입 레버(15)에서 로크 레버(17)를 통하여 실시하였으나, 투입 레버(15)로 직접 레버(8)를 잠거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족 전압 트립 장치의 축세 스프링을 유지하는 기구를 내장하므로서, 개폐기의 통상 개폐조작 이외에 개폐기 투입되기 이전에 자가발전설비 및 수전설비의 정전 등으로 부족 전압 트립 장치의 인가 전압이 부족된 경우에도 지장 없이 즉시 투입이 가능하므로 사용상 지극히 편리하다.

Claims (2)

  1. 개폐기에 전압이 인가될 때 여자(勵磁)되는 코일(1)과, 이 코일(1)의 여자에 의하여 생기는 자속의 통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개폐기의 트립 기구와 걸어 맞추어 설치된 가동철심(3)과, 이 가동철심(3)에 서로 맞닿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1)의 여자에 의하여 상기 가동철심(3)과의 사이에서 흡인동작을 하는 고정철심(2)과, 개폐기의 투입 동작에 앞서 축세되어 상기 개폐기에 인가되는 전압이 소정치 이하로 되었을 때 상기 가동철심(3)을 고정철심(2)으로부터 당겨서 떼어 놓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 스프링 (12)으로 된 개폐기의 부족 전압 트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의 주회로 접점과 연동하며 상기 개폐기의 주접점이 개로상태에서는 상기 구동 스프링(12)을 축세 상태로 잠그는(lock) 동시에 상기 개폐기의 주접점이 폐로상태에서는 상기 구동 스프링(12)의 축세 상태의 잠긴 것을 해제하는 유지기구를 구비하고 구동 스프링(12)의 축세 후 개폐기의 투입동작시까지 상기 개폐기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관계없이 구동 스프링 (12)의 축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부족 전압 트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기구는 개폐기의 주회로 접점과 연동하는 투입 레버 (15)와, 상기 투입레버(15)의 고정 지점(16)과, 링크(8)를 잠그는 로크 레버(17)와, 이 로크 레버 (17)의 스프링(19)과, 이 스프링(19)의 고정핀(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족 전압 트립 장치.
KR2019870006723U 1982-09-18 1987-05-04 부족 전압 트립 장치 KR87000406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63720 1982-09-18
JP57163720A JPS5954143A (ja) 1982-09-18 1982-09-18 不足電圧引外し装置
KR1019830001798A KR840004621A (ko) 1982-09-18 1983-04-28 부족전압 트립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798A Division KR840004621A (ko) 1982-09-18 1983-04-28 부족전압 트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061Y1 true KR870004061Y1 (ko) 1987-12-15

Family

ID=157793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798A KR840004621A (ko) 1982-09-18 1983-04-28 부족전압 트립장치
KR2019870006723U KR870004061Y1 (ko) 1982-09-18 1987-05-04 부족 전압 트립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798A KR840004621A (ko) 1982-09-18 1983-04-28 부족전압 트립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54143A (ko)
KR (2) KR8400046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375B1 (ko) * 2001-03-12 2003-02-07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압트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954143A (ja) 1984-03-28
KR840004621A (ko) 198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157946A (ja) 開閉器の操作装置
CA2059936C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field-installable accessories
KR870004061Y1 (ko) 부족 전압 트립 장치
JPH0498729A (ja) 遮断器の不足電圧引外装置
US7268652B2 (en) Cradle assembly with opening assist mechanism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3441837B2 (ja) 開閉装置の操作機構
JPH04162321A (ja) 回路遮断器の駆動装置
JP3161002B2 (ja) 回路遮断器の操作機構
KR870001299Y1 (ko) 부족전압 트리프장치
JP2558369Y2 (ja) 遮断器
US5276420A (en) Electromagnetic actuating device incorporated in a remote control unit
KR810001580Y1 (ko) 차단기의 부족전압 트리핑장치
JP2711074B2 (ja) 配電線用柱上遮断器の操作装置
JPS6210914Y2 (ko)
JPH08287791A (ja) 電力用負荷開閉器の操作装置
JPS6136063Y2 (ko)
JPH0643995Y2 (ja) 回路しや断器の不足電圧引外し装置
JPH064517Y2 (ja) 回路開閉装置の操作装置
JPH07105796A (ja) 遮断器
JP3194716B2 (ja) 回路遮断器の不足電圧引外し装置
JP2519586Y2 (ja) 遮断器の操作装置
JPS58223234A (ja) 開閉器のばね操作装置
JP3194713B2 (ja) 回路遮断器の不足電圧引外し装置
JPS641733Y2 (ko)
KR900005887B1 (ko) 솔레노이드 투입식 고압개폐기의 투입상태분산 유지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1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