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299Y1 - 부족전압 트리프장치 - Google Patents

부족전압 트리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299Y1
KR870001299Y1 KR2019830003509U KR830003509U KR870001299Y1 KR 870001299 Y1 KR870001299 Y1 KR 870001299Y1 KR 2019830003509 U KR2019830003509 U KR 2019830003509U KR 830003509 U KR830003509 U KR 830003509U KR 870001299 Y1 KR870001299 Y1 KR 870001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iron core
reset
link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3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874U (ko
Inventor
미노루 나까하다
다다오 하세가와
게이시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하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하지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400078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8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2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1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voltage falling below a predetermined value, e.g. for no-volt protection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족전압 트리프장치
제 1 도, 제 2 도는 종래의 부족전압트리프장치의 단면측면도.
제 3 도, 제 4 도는 본고안의 1실시예의 측면단면도.
제 5 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코일 2 : 고정철심
3 : 가동철심 15 : 구동스프링
16 : 리세트스프링
본 고안은 개폐기, 예컨대 차단기에 사용되는 부족전압트리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장치로서 제1도, 제2도에 표시한 것등이 있었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코일, (2)는 이 코일(1)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속의 통로를 형성하는 고정철심, (3)은 이 고정철심(2)에 상대적으로 설치된 철심(3a)과 이 철심(3a)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철심(3a)의 움직임을 외부에 전달하는 구동축(3b)으로 된 가동철심, (4)는 고정핀(8)을 지점으로하여 회동자재하게 취부된 링크이고, 이 구동축(3b)과는 접속핀(10)으로 회동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5)는 개폐기의 주축레버인데, 개폐기의 개로위치(A)와 폐로위치(B)의 두위치를 취하게 되며 폐로위치(B)에서 개로위치(A)로 회전시에 링크(4)와 계합하여 링크(4)를 리세트위치까지 밀어서 리세트상태로 한다.
(6)은 일단을 고정핀(8)에 괘지시키고, 타단을 링크(4)의 일단에 괘지시킨 구동스프링, (7)은 개폐기의 트리프기구(도시생략)에 연결되어 구동축(3b)에 계합설치된 트리프레버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개폐기는 폐로상태, 부족전압트리프 장치는 리세트상태를 표시하고 있고,
제2도에 있어서는 개폐기는 폐로상태, 부족전압트리프 장치는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개폐기 주회로(도시생략)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동안, 코일(1)은 항상 여자된 상태에 있고, 고정철심(2)과 철심(3a)과의 사이에는 흡인력 f1이 발생하고 있다.
또 구동스프링(6)은 축세된 상태에서 인장력 f2를 발생하고 있다.
부족전압트리프 장치는 여자에 의하여 흡인력 f1에 의해 그 상태를 보지할필요가 있기 때문에 지점 결국 고정핀(8)의 주위에 있어서의 구동스프링(6)에 의한 토크T(f2)는 흡인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토크(f1)보다 적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부족전압트리프 장치의 리세트시와 동작시에 있어서 고정핀(8)의 주위에서 작용하는 토크(f1)및 (f2)의 회전반경비율을, 즉 리세트시에는 강력한 힘(f2)을 낼수있도록 링크(4)의 구동스프링(6)의 취부부를 L자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개폐기투입 동작을 하며, 주축레버(5)는 (B)의 위치로 회동한다.
통상상태에서는 이 부족전압리프트 장치는 동작하지 않으며, 개폐기가 개폐동작을 하여도 제 1 도에 표시한 것과같이 주축레버(5)는 (A) (B) 각 위치간을 회동할 뿐이다.
그런데, 개폐기 주회로에 인가되는 전압기 소정치 이하로되면 흡인력(f1)가 감소하여 토크는 T(f1)>T(f2)로 되어 링크(4)는 고정핀(8)을 지점으로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링크(4)에 계합된 가동철심(3)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구동축(3b)는 토크의차 T(f2)-T(f1)에 의하여 발생하는 f3의 힘으로 트리프레버(7)를 구동시킨다.
제 2 도는 주회로전압이 소정전압이하로 되었기 때문에 이 부족전압트리프 장치가 동작한 순간을 표시한 것으로서, 이 상태의 직후에 개폐기는 개방되고 주축레버(5)는 (A) 위치에 돌아오지만 주축레버(5)의 돌아옴에 의하여 링크(4)가 밀려서 돌아오게 되어 제1의 상태로 된다.
이때 구동스프링(6)이 축세된다.
이러한 부족전압트리프 장치는 항시 전류를 흐르게할 필요가 있는데, 경제성의 관점에서 큰전류가 필요한 리세트등의 조작에는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소전류에 의한 흡인보지에만 사용된다.
이 때문에 코일에 전류를 흩려도 자기리세트할 수 없고, 개폐기의 주축등의 움직임으로써 기계적, 강제적으로 가동철심(3)을 리세트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의 부족전압트리프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주축레버(5)의 강력한 기계력으로서 링크(4)를 통하여 가동철심(3)을 리세트하고 있으므로 주축복귀시 오버스윙(Over swing) 또는 철심리세트시의 관성력에 의하여 고정, 가동의 양철심(2) (3)의 접촉면의 각링크결합부에도 강력한 충격이 발생하기 때문에 견고한 부품이 필요하게 되고 또 수명의 점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결점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인데, 부족전압트리프 장치를 리세트스프링으로리세트시 킴으로써 강력한 출격력의 발생을 억제시켜 저렴하고 수명이 긴 부족전압트리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1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 3 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표시한 단면측면도이다.
제 3, 4도에 있어서,
(1)-(3), (3a), (3b), (7), (8), (10)은 종래장치와 동일하고 (4)는 고정핀(8)을 지점으로하여 회전자재하게 취부된 링크인데,
구동축(3b)와는 접속핀(10)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11)은 고정핀(13)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자재하게 취부된 레버, (12)는 레버(11)과 레버(4)의 사이를 회동자재하게 연결하는 연결링크,
(14)는 개폐기의 투입조작기구(도시생략)에 연결되어 축에 대하여(A)(B)의 두위치간을 회동하는 투입조작레버, (15)는 일단을 이 투입조작레버(14)에, 그리고 타단을 상기레버(11)에 각각 괘지시킨 구동스프링, (16)은 일단을 고정핀(17)에, 또 타단을 링크(4)에 각각 괘지된 리세트스프링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3 도는 개폐기가 개로상태, 부족전압트리프 장치는 리세트상태를 표시한다.
제 4 도에 있어서는 개폐기는 폐로상태, 부족전압트리프 장치는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제 3 도에 있어서, 투입조작레버(14)를 개로위치(A)에서 폐로위치(B)로 회동시키면, 구동스프링(15)은 축세되어 인장력 f4를 생기게하고 레버(11), 연결링크(12)를 통하여 링크(4) 위에 고정핀(8)을 지점으로 해서 시계방향의 토크T(f2)를 발생시킨다.
또한, 코일(1)의 여자에 의하여 고정철심(2)과 철심(3a)과의 사이에 흡인력 f6가 생겨 접속핀(10)을 통하여 링크(4) 위에 고정핀(8)을 지점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으로 (f6)를 발생시킬다.
그리고 링크(4)의 일단에 괘지된 리세트스프링(16)도 동일하게 인장력(f7)를 생기게하여 고정핀(8)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f7)를 발생시킨다.
이와같이 개폐기주회로 에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동안에는 코일(1)이 여자되어 있으나,
이때 흡인력 f6에 의하여 부족전압트리프장치를 이상태로 보지하기 위하여 T(f4)<T(f6)+T(f7) 또는 T(f4)>T(f7)의 관계가 생기고 통상의 상태에서는 개폐기가 개폐동작을 하여도 부족전압트리프 장치는 이상태에서 보지게게 된다.
그런데 개폐기주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이 소정치이하로 되면 흡인력 f6에 의하여 토크 T(f6)가 감소되어 (f4)>T(f6)+T(f7)의 관계가 생겨 링크(4)는 고정핀(8)을 축으로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고 접속핀(10)에서 연결된 가동철심(3)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기시 작하며 구동축(3b)은 트리프레버(7)을 트리프방향으로 구동한다.
동시에 리세트스프링(16)이 축세된다.
제4도는 주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이 소정치이하로 되었을 때 부족전압트리프 장치가 동작한 순간을 표시한것으로서, 이상태 직후에 개폐기는 개방되어 투입조작레버(14)는 개로위치(A)로 복귀한다.
이때 구동스프링(15)은 방세(放勢)되어 (f4)<T(f7)의 관계가 생겨 부족전압트리프 장치는 리세트스프링(16)의 동작에 의하여 리세트되고 제 3 도의 상태로 돌아간다.
또한 상기실시예에서는 리세트스프링으로서 인장스프링을 설치하였으나,
제 5 도, 제 6 도에 표시한바와 같이 비틀림스프링(16)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제 6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비틀림스프링(16)을 사용하면 연결링크(12)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구동스프링(15)을 투입조작레버(14)의 일단에 괘지시키고 투입조작시에 축세되는예를 표시하였으나 투입조작레버(14) 대신에 주축레버를 사용하여 투입조작시에 축세되는 방식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에 의하면 리세트스프링에 의하여 부족전압트리프장치를 리세트하면 리세트시에 발생하던 강한 충격력을 억제시켜 염가하고 수명이 긴 부족전압트리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개폐기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여자되는 코일(1)과, 이 코일(1)의 여자에 의하여 생기는 자속의 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개폐기의 트리프기구와 계합되는 가동철심(3)과, 이 가동철심(3)에 상대적으로 설치된 코일의 여자에 의하여 가동철심(3)과의 사이에서 흡인동작하는 고정철심(2)과, 개폐기의 투입조작시 또는 투입동작시에 축세되어 개폐기에 인가되는 전압이 소정치 이하로 되었을 때 가동철심(3)을 고정철심(2)에서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스프링(15)과, 이 구동스프링(15)에 의하여 이탈된 가동철심(3)을 고정철심(2)과의 사이에서 흡인보지하는 위치까지 리세트시키는 리세트스프링(16)등을 구비하여서 된 부족전압트리프장치.
KR2019830003509U 1982-07-12 1983-04-20 부족전압 트리프장치 KR87000129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06605 1982-07-12
JP1982106605U JPS5912456U (ja) 1982-07-12 1982-07-12 不足電圧引外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874U KR840007874U (ko) 1984-12-26
KR870001299Y1 true KR870001299Y1 (ko) 1987-03-31

Family

ID=30249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3509U KR870001299Y1 (ko) 1982-07-12 1983-04-20 부족전압 트리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12456U (ko)
KR (1) KR8700012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874U (ko) 1984-12-26
JPS5912456U (ja) 198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61213B2 (ko)
JPS62272420A (ja) 成形ケ−ス遮断器
IE54932B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pparatus having trip bar with flexible armature interconnection
US6448522B1 (en) Compact high speed motor operator for a circuit breaker
EP0216949A1 (en) Spring-type operating mechanism for a circuit interrupter
KR870001299Y1 (ko) 부족전압 트리프장치
JP2570533B2 (ja) 遮断器小勢力引外し装置リセット機構
EP0271181B1 (en) Magnetic vacuum circuit breaker
JPH04162321A (ja) 回路遮断器の駆動装置
JPH10233152A (ja) 回路遮断器
KR870004061Y1 (ko) 부족 전압 트립 장치
JP3194713B2 (ja) 回路遮断器の不足電圧引外し装置
JPH06333486A (ja) 遮断器の制御装置
JPH019293Y2 (ko)
JP3194716B2 (ja) 回路遮断器の不足電圧引外し装置
JP2024072128A (ja) 開閉装置操作機構及び開閉装置
JPH0777107B2 (ja) 真空遮断器の操作機構
JPH0887947A (ja) 回路遮断器
JPS6252409B2 (ko)
JPS59121228A (ja) 軸固定機構
JPH04366521A (ja) 遮断器の小勢力引外し装置リセット機構
JPS6220648B2 (ko)
JPH07320609A (ja) 真空遮断装置
JPH0436915A (ja) 遮断器の引外し装置
JPH05266766A (ja) 回路遮断器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22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