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804Y1 - 이어폰(earpone) - Google Patents

이어폰(earp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804Y1
KR870002804Y1 KR2019820001820U KR820001820U KR870002804Y1 KR 870002804 Y1 KR870002804 Y1 KR 870002804Y1 KR 2019820001820 U KR2019820001820 U KR 2019820001820U KR 820001820 U KR820001820 U KR 820001820U KR 870002804 Y1 KR870002804 Y1 KR 8700028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rod member
transducer
earphone according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1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408U (ko
Inventor
가즈히로 예노끼도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34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4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8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어폰(earpone)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귀(耳)에 걸치는 형식의 이어폰의 한기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a)도, 제2(b)도 및 제2(c)도는 본 고안에 따른 귀에 걸치는 형식의 이어폰에서 사용된 귀패드(pad)의 제각기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봉부재와 분리부분 사이의 미끄러짐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서 분리 부분을 도시한 종(縱)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굴곡된 레버부분을 도시된 종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리 부분을 도시한 상면 사시도.
제7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핀을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제1도에서 도시된 실시예의 분리부분과 굴곡된 레버부분 사이의 회전성 연결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제9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서 굴곡된 레버부분의 회전범위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제9도의 실시예에서 굴곡된 레버부분의 회전영역의 설명을 위하여 귓불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귓불과 이상적인 음향 짐속점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12도는 제1도에서 도시된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13(a)도 및 제13(b)도는 제1도에서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들.
제14도, 제15도 및 제1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변환기 B : 분리부재
C : 굴곡된 귀부분 L : 음향방사표면
14 : 봉부재 23 : 절결
25 : 돌기부 29 : 핀
본 고안은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형식의 이어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귓불 상에 걸릴 수 있으며 그리고 변환특성을 개량하도록 또한 귀상에 장착한 느낌을 개량하도록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귀에 걸리는 형식의 종래 기술으로서는 변환기의 몸체에 몸체의 외측표면상에 장착된 일체 루프형 굴곡장착 부분이 제공되어 있었다. 여기에서 이러한 부분은 변환기의 음향 방사 표면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이어폰에서, 링형의 얇은 패드는 변환기 몸체의 음향 방출 표면의 변에서 돌출되어져 있다.
이러한 이어폰을 귀에 장착할때, 귓불이 몸체와 굴곡된 속박부분에 의하여 형성된 환형부분내에 삽입되므로서, 이어폰은 귓불의 탄성 변형 및 패드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야기되는 보유력과, 귓불을 환형부분내에 삽입함으로서 굴곡된 속박부분과 귓불사이의 속박으로 제공되는 잔유력에 의하여 귓불상에서 유지된다.
그러나, 귀에 속박하는 이러한 형태의 이어폰으로서는 굴곡된 속박 부분의 형태와 크기가 고정되어서 귓불의 삽입의 용이성이 사용자에 따라 변화되며, 귓불이 너무 꼭끼거나 또는 이어폰이 떨어질 것처럼 느껴지게 된다. 또한 귓불에 대하여 귀구멍의 높이가 사용자에 따라 변화하므로, 음향 방사표면이 귀구멍에 대하여 정확하게 되지 않거나, 또는 최적의 음향집속 위치에 위치되지 않게 된다. 또한, 머리의 측면에 대한 귓불의 각도가 사용자에 따라 변화되므로, 귓불의 부분에 따른 힘이 발생되며 그리고 음향 방사표면이 귀구멍에 대하여 일정하게 셋트되지 않게 되므로 음향 음질을 낮추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속박부분이 궁형봉형 스프링으로 구성된 귀에 걸리는 형태의 다른 형태의 이어폰이 있다. 이러한 이어폰은 귓불상에 정착한다는 점에서 루프형속박 부분을 갖는 전술된 이어폰과 유사하다. 그러나, 이어폰이 귓불상에 적용되는 상태가 전술된 이어폰과 같이 안정되지는 않으므로, 음질의 저해가 공통적이다. 또한, 기최에 대하여 굴곡된 레버부분의 장착위치는 전체 귓불에 대하여 귀구멍의 위치가 사용자에 따라 변화되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고정되어 있으므로, 귀 구멍에 대하여 최적의 음향 집속 위치에서 음향방사표면을 위치하도록 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장착위치가 고정되어있으므로, 머리의 측면에 대하여 귓불의 각도가 사용자에 따라 변화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굴곡된 속박부분이 귓불상에 장착될때, 귓불이 부분적으로 변형되도록 유연하다. 이러한 경우에 음향 방사 표면은 귓불에 대하여 일정하게 장착될 수 없으므로, 음향 음질을 낮추게 된다.
귀에 속박되는 형태의 종래 기술 이어폰의 다른 변형으로서, 기본체가 변환기 몸체의 외측 표면상에 있으며 그리고 궁형이며 유연한 봉부재로 구성된 굴곡된 레버부분의 한쪽 종단이 베이스상에 장착된 것이 있다. 이러한 이어폰에서, 링형 박막 패드는 변환기 몸체의 전면의 음향 방사 표면의 변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이어폰을 귓불상에 장착할때, 귓불은 변환기 몸체와 굴곡된 레버 부분사이의 공간 내에 삽입되므로, 이어폰은 귓불이 굴곡된 레버 부분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변환기 몸체와 굴곡된 레버 부분에 클램프되도록 귓불상에 장착된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상술된 종래 기술에서 취출단점을 없이한 귀에 속박되는 형태의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둘째 목적은 굴곡된 레버부분과 변환기 부분사이에 귓불을 클램핑함이 없이 귓불상에 장착되는 굴곡된 레버 부분으로서 귓불상에 유지될 수 있는 귀에 속박되는 형태의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차기목적은 귓불에 장착했을 때 귓불을 변형시킴이 없이 최적 음향 집속 위치에서 변환기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귀에 속박되는 형태의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지금까지는 사용되지 않았던 후막 구조의 패드를 사용할 수 있는 귀에 속박되는 형태의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한 형태에 따르면, 변환기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접속된 봉부재와, 귀에 한쪽 종단부분이 속박되도록 설계된 한쪽 종단 부분을 갖는 굴곡된 레버 수단과, 변환기 부분을 변환기 부분의 음향 방사 표면을 향한 굴곡된 하부 부분에 대하여 선정된 거리로서 공극하기 위한 굴곡된 레버 수단의 다른쪽 종단 부분에 접속되고 봉부재를 지지하는 분리 또는 공극 수단을 포함하는 귀에 속박되는 형태의 이어폰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연관하여 설명된 다음 설명에서 더욱 명백히 설명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귀에 속박되는 형태의 변환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A로 표시된 것은 변환기 회로를 포함하는 하우징(11)과, 하우징의 음향방사 표면상에 장착된 패드 또는 덮개(12)와, 변환기 회로에 접속되며 하우징(11)의 하부종단에서 도출된 코드 13과 하우징(11)의 상부 종단에서 돌출된 봉부재(14)를 포함하는 변환기이다. 하우징(11)은 합성수지등으로 일체 성형되며, 후면은 반대 위상 음향 신호의 발출을 허용하도록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 되어었다. 패드(12) 대신에 패드(15)(제2(a)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음)는 음향 방사 표면상의 측면이 튀어나오도록 하우징(11)의 음향 방사 표면의 변에 느슨하게 고착된 팬(pan)형 얇은 우레탄 거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c)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원추형으로 돌출되도록 내측에 제공된 분리형 보유부재가 장착된 얇은 우레탄 거품 부재인 패드(17) 또는 여기에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갖는 환형 프로화일(profile) 형태로 장착된 얇은 우레탄 거품 부재인 제2(b)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패드(16)이 시용될 수 있다. 코드(13)는 귓불에서 부분적인 이탈의 방지 및 변환기 부분의 사용감도의 관점에서 하우징(11)의 하부종단상에 있게 된다. 봉부제(14)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와이어를 포함하며, 반구형 단면을 갖는 강화 합성재질로 구성된다.
주위 표면은 매끄러우며, 이후에 설명될 분리부분내에 형성된 반구형 미끄러짐 구멍을 통하여 봉부재(1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증가된 직경 스톱(18)이 상부 종단에 제공된다.
제1도에서, B로 표시된 것은 합성수지 또는 합성재질로 형성된 경량 분리 부분이며 그리고 이후에 설명될 상기 변환기 부분 A와 굴곡된 레버부분 C 사이에 제공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부분 B는 반구형 (또는 다른 적당한 형태) 수직구멍 (19)를 갖는 한쪽 종단 부분내에 형성되며, 상술된 봉부재(14)는 이러한 구성을 관통하며 그리고 수직구멍(19)을 가로 지르는 노치(20)가 제공되며, 그리고 노치(20)내에 삽입되며 또한 봉부재(14)를 바이어스 하는 궁형표면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스텐레스 스틸의 리프 스프링이 제공되며 또한 구분형태의 외측으로 개방된다. 분리부재 B의 다른 종단 부분은 굴곡된 레버 부분에 대하여 힌지(hinge) 부분을 구성한다.
제54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단부분에는 핀삽입구멍(22)과, 외측으로 개방되었으며 핀삽입구멍(22)을 가로지르는 노치(23)이 제공된다. 또한, 릿지(ridge : 24)는 노치(23)를 한정하는 한쪽 종단표면의 중심을 따라 형성된다. 노치(23)을 한정하는 수직측 표면은 굴곡된 레버부분의 돌기 25의 측표면을 지지하며 그리고 선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굴곡된 레버 부분의 회전을 제한한다.
제1도 및 제5도에서 굴곡된 귀부분은 C로서 표시되며, 그리고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또한 전체로서는 궁형 굴곡 형태를 갖는다. 제5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종단에는 상술된 노치 23으로 연장된 중심돌기(25)가 제공된다. 제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5)에는 수직 핀 입수구멍(26)과 수직각형 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25)의 하부표면에는 한쌍의 돌기부(28)이 형성된다. 코드(13)를 굴곡된 레버부분 C를 통하여 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돌기(25)는 분리부분 B내의 노치(23)내에 삽입되며 그리고 제7도에서 도시된 핀(29)은 핀 입수구멍(26, 22)내에 삽입되어서, 굴곡된 레버부분 C가 제8도 및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핀(29)에 대하여 분리부분(B)에 관해서 회전될 수 있다. 굴곡된 레버부분은 릿지(24)가 반대돌기들(28) 사이에서 나타나는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돌기들(28) 중 하나가 릿지(24)와 속박되어질때, 굴곡된 레버부분 C는 적당한 각도에서 귓불을 속박한다. 릿지(24)가 돌기(28)에 의하여 돌기 사이에 끼워질때, 굴곡된 레버부분 C의 측표면의 변환기 A의 음향 방사 표면으로서 동일 평면에서 확실히 있게 된다. 핀(29)은 직경이 반으로 감소된 부분(29a)을 갖으며, 구명구멍(27)내에 제공된 판스프링은 핀입수구멍(26)에 대하여 핀(29)의 탄성 은폐 장착을 제공하도록 속박한다.
제9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부분 B의 노치(23)에 제공된 릿치(24)는 굴곡된 레버부분 A가 변환기 C의 음향 방사 표면 A에 대하여 제각기 좌, 우향으로 핀(29)에 대하여 30°의 각도 위치에 있을 때 굴곡된 레버부분의 돌기(25) 상에 제공된 돌기들(28)을 속박한다. 그러므로, 굴곡된 레버부분 C는 변환기 A에 대하여 30°의 각도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유지된다.
굴곡된 레버부분 C는 120°의 각도에 대하는 제 1 범위 Q에 걸쳐서 자유롭게 회전하며, 상술된 속박위치를 초과하는 18°의 각도에 대한 제 2 범위 P에 걸쳐서 자유롭게 회전된다. 그러므로, 제 1 범위 Q에 걸쳐서 회전된 후에 굴곡된 레버부분 C를 강하게 누름으로서, 스톱작용이 릿지(24)와 돌기(28)에 의하여 취해지며 그리고 이것은 제 2 범위 Q에 걸쳐서 회전될 수 있다. 굴곡된 레버부분 C는 릿지(24)가 돌기(28)에 속박되는 위치까지 제 1 범위 P에서 회전될때, 상술된 음향방사표면 L과 30°의 각도를 아루게 되어 있다. 즉, 이러한 상태에서, 이러한 각도는 제10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사람의 머리(30)의 측면에 대하여 귓불(31)의 평균 각도 d (약 30°)와 동등하다. 굴곡된 레버부분 C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때, 제10도에서의 우측 귀날개에 적합하도록 셋트된다. 회전의 제 2 범위 Q는 굴곡된 레버부분 C는 돌기(25)의 축표면이 제1도에서 도시된 노치(23)의 측표면과 속박되어질때까지 회전되어지는 범위에 걸쳐 있다. 이러한 장치로서, 회전의 제 1 및 제 2 범위들 P 및 Q의 사이 영역의 근처의 위치에서 굴곡된 레버부분 C는 그 자체와 음향 방사표면 L 사이의 각도가 확실히 30°가 되도록 폐쇄된다. 그러므로, 이어폰이 귓불상에 셋트되어진후 굴곡된 레버부분 C와 음향 방사표면 L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때에 또는 굴곡된 레버부분 C와 음향 방사표면 L 사이의 각도를 조절한 후에 이어폰을 귓불상에 셋팅될 때에 굴곡된 레버부분 C 또는 변환기 부분 A가 귓불(31)을 과다하게 압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향 방사표면 L이 귓불(31)에 평행되게 하여, 자연 음향이 청취되도록 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사람의 귓불(31)은 제11도내에 점선곡선(31A)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줄기가 궁형이 된다.
만약 귓불(31)의 줄기의 환형부(31)의 중심( 0 )이 이상적 음향 집속점이 되어진다면, 귓불(31)의 줄기의 이러한 환형의 반경은 일본에서 평균으로 27mm이다. 귀에 속박되는 형태의 이어폰으로서, 개방형의 경우에 음향 집속원은 음향의 확장방출 및 그 주위를 감안한 경우 변환기 부분의 후단이 된다. 만약 이러한 상상적인 음향 집속점 G가 상술된 이상적 음향 집속점과 확실하게 일치되도록 만들어진다면, 음향의 공급원의 주위에 존재하는 고감도로서 최대 특성음향이 얻어진다. 이러한 이유로서, 굴곡된 레버부분 C는 변환기 A의 상상적인 음향 집속점 G에 셋트된 중심을 갖이며, 또한 30mm가 되는 반경의 궁형이 되도록 만들어진다. 굴곡된 레버부분 C는 합성수지내에 와이어와 같은 코어(32)를 매입(埋入)하므로서 형성되며 그리고 환형 또는 타원형 단면 프로화일을 갖는다. 필요하다면, 스폰치나 고무같은 탄성재질로서 피복될 수 있다. 또한 귓불(31)내의 귀구멍의 높이가 고정되지는 았고 사용자에 따라 변화되므로, 상술된 봉부재(14)는 음향의 최상음질이 얻어질 수 있는 최적점으로 상상적인 음향 집속점 G를 셋트하도록 분리부분 B내에 있는 구멍 19를 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제13(a)도는 귀에 속박되는 상술된 형태 구조의 이어폰이 한쪽 귀에 장착된 단청의 재생상태를 도시한다.
제13(b)도는 상술된 바와 같은 구조의 두개 이어폰들이 양쪽귀에 장착된 스테레오의 재생상태를 도시한다. 제13(b)도의 경우에서,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개의 귀들에 장착되는 대칭 이어폰 셋트가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굴곡된 레버부분들 C'는 분리부분들 B'를 통하여 변환기부분 A'에 고착되어 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단청형이어폰을 셋트하도록 특정귀를 사용하는 사용자 경우에는 굴곡된 레버부분이 상술된 이유로서 회전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굴곡된 레버부분 C'에 일체적인 분리부분 B'이 제15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변환기부분 A'에서 돌출된 봉부재(14')상에 수직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거나 또는 변환기부분 A'가 제1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굴곡된 레버부분 C'와 분리부분 B'에 일체적인 봉부재(14')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므로, 음향의 최고 음질을 얻기 위한 최적점에 변환기부분 A'의 상상적 음향 집속점 G의 조절을 허용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귀에 걸리는 형태의 이어폰으로서, 즉, 변환기를 포함하는 변환기부분과, 변환기부분상에 제공되며 귓불에 걸릴 수 있는 굴곡된 레버부분과 변환기 부분의 음향 방사 표면을 향하여 선정된 거리로서 굴곡된 레버부분에서 변환기부분을 공극하기 위한 분리부분을 포함하는 이어폰으로서, 변환기 부분은 굴곡된 레버부분과 변환기 부분사이의 귓불 사이에 끼움이 없이 그러나 귓불상에 걸리는 굴곡된 레버부분을 갖으므로서 작동위치내에 유지될 수 있으므로, 이어폰의 사용감이 개량되어진다. 또한 귓불이 변형되지 않으므로, 더욱 좋은 특성의 음향음질이 청취된다. 또한, 굴곡된 레버부분이 변환기 부분상에 회전할 수 있게끔 장착되며 그리고 이러한 레버부분이 변환기 음향 방사표면에 대하여 25°내지 35°의 영역에 걸쳐 회전되어진 후에 일시적으로 폐쇄되어질 수 있으므로 귓불을 과다하게 압압하지 않으며 또한 사용자의 착용감이 종래 기술 이어폰에 비교하여 뛰어나게 된다. 또한, 음향 방사표면이 귓불에 확실히 평행하게 속박되어 보유되므로 특성음향이 청취된다. 또한, 음향 방사표면과 같은 동일 평면상에 굴곡된 레버부분의 회전의 중심을 위치시므로서. 음향 방사표면은 굴곡된 레버부분의 회전으로서 귓불에 평행으로 유지되므로, 변환기 특성에서의 변화를 방지하는 것과 같은 여러가지 효과들이 얻어진다. 또한 25mm내지 35mm로 셋트된 굴곡 레버부분의 반경으로서, 귀의 이상적 음향 접속점과 일치하도록 셋트된 변환기를 갖는 변환기 부분의 상상적 음향 접속점으로서, 그리고 귓불상에 유지되는 변환기부분으로서 음질을 개선하고 그리고 귀의 피로를 완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실시에서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0)

  1. 이어폰에 있어서, 변환기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접속된 봉부재와, 귀에 속박되는 자유종단 부분으로서 설계된 한쪽 종단 부분을 갖는 굴곡된 레버 수단과, 한쪽 종단 부분에서 상기 봉부재상에 마찰적으로 주행 가능하게 지지되어 봉부재를 따라 상, 하운동이 가능하지만, 제지 수단때문에 봉부재에 대한 회전은 제지되며, 상기 변환기와 상기 굴곡된 레버수단 사이에 규정된 공급을 제공하는 분리수단과, 상기와 반대쪽의 종단부분에서 상기 굴곡된 레버 수단의 다른쪽 종단부분에 접속된 피보트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어폰.
  2. 제 1 항에 따른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봉 부재로 부터 수직으로 연재되어 있고, 상기 굴곡된 레버 수단은, 노치의 돌출부를 경첩식으로 유지하는 경첩핀에 의해 상기 분리수단의 노치에 사용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3. 제 1 항에 따른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피보트 접속수단의 회전축은 상기 변환기의 음향 반사 표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4. 제 1 항에 따른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피보트 접속수단은 상기 굴곡된 레버 수단의 다른쪽 종단 부분의 볼록한 표면과, 상기 분리 수단의 볼록한 표면과, 또한 상기 돌출부 표면을 노치에 피보트 접속하기 위한 수직핀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5. 제 2 항에 따른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피보트 접속 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굴곡된 수단의 소정의 회전각도를 결정하기 위한 상호작동 우선 스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6. 제 5 항에 따른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각도는 하우징의 음향 방사 표면과 평행인 평면에 대해서 25°내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7. 제 1 항에 따른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봉부재상에 마찰적으로 주행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상기 봉부재의 자유 종단에 장착된 스톱에 의해 상기 봉부재상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8. 제 7 항에 따른 이어폰에 있어서, 봉부재에 대해서 상기 분리수단의 회전을 제지하기 위한 상기 제지수단은, 대응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애퍼츄어 내에 수용된 불규칙한 형태의 봉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9. 제 1 항에 따른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와 상기 굴곡된 레버 수단 사이의 상기 소정의 공극과 상기 굴곡된 레버수단의 곡률은, 상기 변환기의 가상 음향 수집점이 상기 굴곡된 레버 수단의 곡면의 중심과 일치하도록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0. 제 1 항에 따른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굴곡된 레버수단의 곡률반경은 약 25mm내지 3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KR2019820001820U 1981-03-10 1982-03-10 이어폰(earpone) KR87000280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1033352U JPS641833Y2 (ko) 1981-03-10 1981-03-10
JP56-33352 1981-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408U KR830003408U (ko) 1983-12-12
KR870002804Y1 true KR870002804Y1 (ko) 1987-08-20

Family

ID=1238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1820U KR870002804Y1 (ko) 1981-03-10 1982-03-10 이어폰(earpone)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453050A (ko)
JP (1) JPS641833Y2 (ko)
KR (1) KR870002804Y1 (ko)
BR (1) BR8201262A (ko)
CA (1) CA1182552A (ko)
DE (1) DE3208497A1 (ko)
ES (1) ES510267A0 (ko)
FR (1) FR2501951B1 (ko)
GB (1) GB2096861B (ko)
IT (1) IT1150646B (ko)
NL (1) NL193045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3977A1 (en) * 2001-04-18 2002-11-21 Gi-Man Byon An earpho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833Y2 (ko) * 1981-03-10 1989-01-17
DE3201165C1 (de) * 1982-01-15 1983-05-19 Telemit-Electronic GmbH, 8000 München Kopfhoerer-Ohrpolster
JPH0659120B2 (ja) * 1983-05-31 1994-08-03 ソニー株式会社 ヘツドホン
DK157282C (da) * 1987-09-30 1990-05-07 Gn Netcom As Hovedtelefonsaet med oerekrog og indrettet til at baeres paa det ydre oere
DK159748C (da) * 1988-07-01 1991-04-29 Joergen Weber Jensen Hovedtelefon med mikrofon
US4932052A (en) * 1989-06-26 1990-06-05 Jack Lo Self-adjusting headset-handset combination
CA2071040A1 (en) * 1992-06-11 1993-12-12 Jacob Gluz Earphone-type speaker assembly
US5655026A (en) * 1993-12-23 1997-08-05 Otto Engineering, Inc. Ear receiver
US5790683A (en) * 1994-06-17 1998-08-04 Salzani; Augusto Headphone including split earphones and coupling means for coupling it to the ears
USD366486S (en) 1994-10-11 1996-01-23 Telex Communications, Inc. Headset
USD363487S (en) 1994-10-17 1995-10-24 Telex Communications, Inc. Headset ear piece
US5625171A (en) * 1995-05-09 1997-04-29 Marshall; Christina M. Interchangeable earpiece for stereo listening
DE69603916T2 (de) * 1995-06-13 2000-03-30 Gn Netcom A S Ballerup Kopfhörer mit einstellbarem Ohrteil
EP0779763A1 (en) * 1995-12-13 1997-06-18 Augusto Salzani Improved headphone including split earphones and coupling means for coupling it to the ears
US6038329A (en) * 1996-07-08 2000-03-14 Lee; Youn M. Earphone device
CA2194641C (en) * 1996-12-28 2005-05-03 Bill Yang In-ear type earphone having an ear hanger
BE1010905A3 (fr) * 1997-02-06 1999-03-02 Cotron Corp Ecouteur du type interne a l'oreille, presentant un crochet de suspension a l'oreille.
US6427018B1 (en) * 1997-07-18 2002-07-30 Cotron Corporation Adjustable earphones for personal audio and communication systems
CN1207643A (zh) * 1997-08-05 1999-02-10 程滋颐 耳戴式耳机的耳朵挂架
US5892564A (en) * 1997-08-19 1999-04-06 Rahn; Henry J. Eyeglass headphone combination
US6490362B1 (en) * 1998-06-10 2002-12-03 Wren Clegg External ear speaker ear-hook boom microphone
US6154539A (en) * 1998-09-30 2000-11-28 Unicon, Incorporated Headset adapter for microphone and earpiece
USD419564S (en) * 1998-11-20 2000-01-25 Gn Netcom/Unex Inc. Flexible earhook
US6418230B1 (en) 1998-11-20 2002-07-09 Gn Netcom/Unex Inc. Flexible earhook
USD420010S (en) * 1999-01-29 2000-02-01 Unicon Incorporated Telephone headset ear loop
USD421755S (en) * 1999-02-17 2000-03-21 Unicon Incorporated Telephone headset ear hook
TW420458U (en) * 1999-02-23 2001-01-21 Cotron Corp Ear microphone having dual hooks
US6094492A (en) * 1999-05-10 2000-07-25 Boesen; Peter V. Bone conduction voice transmission apparatus and system
US6252970B1 (en) * 1999-09-10 2001-06-26 Antonio Precise Products Manufactory Limited Headphone
US6359995B1 (en) * 2001-04-19 2002-03-19 Jack Ou Earphone fittable to both ears by hanging
DE10139865C5 (de) * 2001-08-14 2011-01-13 Palm, Inc. (n.d.Ges. d. Staates Delaware), Sunnyvale Headset für ein elektronisches Endgerät
WO2003076012A1 (en) * 2002-03-08 2003-09-18 Cochlear Limited A cochlear implant
US6772853B2 (en) * 2003-01-15 2004-08-10 Data-Fountain International Co. Clip-on earphone device
US20040141628A1 (en) * 2003-01-17 2004-07-22 Fellowes, Inc. Earpiece with interchangeable end portion
WO2005067654A2 (en) * 2004-01-07 2005-07-28 Logitech Europe S.A. Personal audio-set with adjustable sliding ear clip mount
WO2005067653A2 (en) 2004-01-07 2005-07-28 Logitech Europe S.A. Porous solid wind screen for microphone
US7697709B2 (en) * 2005-09-26 2010-04-13 Cyber Group Usa, Inc. Sound direction/stereo 3D adjustable earphone
US7925037B2 (en) * 2005-10-19 2011-04-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mmunications headset
TWI282246B (en) * 2005-11-09 2007-06-01 Cotron Corp In-ear type earphone having an ear hanger
US20070223765A1 (en) * 2006-03-13 2007-09-27 Bluedect Technology Corp. Wireless headset adjustable for either ear
JP5399482B2 (ja) 2008-05-19 2014-01-29 コ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調節自在なデュアルスピーカーエレメント式インイヤー型イヤフォン
USD618669S1 (en) * 2009-04-06 2010-06-29 Koss Corporation Earphone
US20100061581A1 (en) * 2008-09-09 2010-03-11 Creative Technology Ltd Sound producing device
CN102172042A (zh) * 2008-10-03 2011-08-31 Gn奈康有限公司 适用于左右耳使用的有线头戴式耳麦
US20100104126A1 (en) * 2008-10-24 2010-04-29 Andrea Martina Greene Tangle resistant audio cord and earphones
US8538058B2 (en) * 2009-05-20 2013-09-17 Rolf Eberl Headset
US20110091850A1 (en) * 2009-10-15 2011-04-21 Len Bilous Vision application training device
US8515103B2 (en) * 2009-12-29 2013-08-20 Cyber Group USA Inc. 3D stereo earphone with multiple speakers
US8401218B2 (en) 2010-07-29 2013-03-19 Microsoft Corporation Adjustable earphone and earphone set
DK201200717A (en) 2012-11-13 2014-05-14 Gn Netcom As A headset with a rotatable speaker housing
USD716770S1 (en) * 2013-06-13 2014-11-04 Beats Electronics, Llc Pair of earphone leverage attachments
USD770424S1 (en) 2013-10-14 2016-11-01 Wicked Audio, Inc. Pair of earbuds
USD780154S1 (en) 2013-10-14 2017-02-28 Wicked Audio, Inc. Headphone
RU2611215C1 (ru) * 2014-08-15 2017-02-21 Алексей Леонидович УШАКОВ Внутриушной наушник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их ношения
USD773438S1 (en) * 2015-08-05 2016-12-0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Headphone
USD779461S1 (en) * 2015-10-08 2017-02-21 Surefire, Llc Earpiece
USD814444S1 (en) * 2016-03-13 2018-04-03 Huiyang District Yonghu Town Xingcheng Electronic Processing Plant Wireless headset
US9807493B1 (en) 2016-04-21 2017-10-31 Human, Incorporated Attachment apparatus
JP1577258S (ko) * 2016-08-31 2017-05-29
USD835077S1 (en) 2016-09-06 2018-12-04 Apple Inc. Pair of earbud tips
USD849712S1 (en) * 2017-03-30 2019-05-28 Akg Acoustics Gmbh Headphone
USD855579S1 (en) * 2017-10-02 2019-08-06 Mrspeakers, Llc Ear cup coupler for an over ear headphone
CN108271091B (zh) * 2018-01-24 2019-07-16 广州市轻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耳机
US10687138B2 (en) * 2018-09-07 2020-06-16 Plantronics, Inc. Conformable headset earloop for stability and comfort
USD881164S1 (en) * 2018-11-24 2020-04-14 Shenzhen Weiking Technology Co., Ltd. Wireless earphone
USD982552S1 (en) * 2021-05-26 2023-04-04 Anker Innovations Technology Co., Ltd. Headphone
USD1009826S1 (en) * 2022-11-02 2024-01-02 Austrian Audio Gmbh Headphon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4384A (en) * 1924-09-06 1925-12-07 Victor Albert Foo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elephonic apparatus
US1581882A (en) * 1924-09-11 1926-04-20 Gen Electric Head telephone set
US1587643A (en) * 1925-06-02 1926-06-08 Dictograph Products Corp Ear-loop attachment for deaf phones
GB270187A (en) * 1926-06-07 1927-05-05 Hans Von Baussen An improved ear piece for deaf persons
DE466458C (de) * 1926-06-07 1928-10-05 Hans Von Baussen Kleinhoerer fuer Schwerhoerige
US2474135A (en) * 1947-06-05 1949-06-21 Gray Mfg Co Adjustable earpiece support
JPS5018227U (ko) * 1973-06-14 1975-02-28
US3862378A (en) * 1973-12-06 1975-01-21 J Ray Norris Ear set
US3906478A (en) * 1974-05-30 1975-09-16 John L Smey Sleep preventing device
JPS55171183U (ko) * 1979-05-25 1980-12-08
JPS641833Y2 (ko) * 1981-03-10 1989-01-1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3977A1 (en) * 2001-04-18 2002-11-21 Gi-Man Byon An ear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93045C (nl) 1998-08-04
DE3208497A1 (de) 1982-10-28
KR830003408U (ko) 1983-12-12
FR2501951A1 (fr) 1982-09-17
JPS641833Y2 (ko) 1989-01-17
ES8307430A1 (es) 1983-06-16
US4453050A (en) 1984-06-05
NL193045B (nl) 1998-04-01
FR2501951B1 (fr) 1986-02-28
JPS57146489U (ko) 1982-09-14
GB2096861B (en) 1984-10-24
CA1182552A (en) 1985-02-12
ES510267A0 (es) 1983-06-16
GB2096861A (en) 1982-10-20
IT8220057A0 (it) 1982-03-09
NL8200995A (nl) 1982-10-01
BR8201262A (pt) 1983-01-18
IT1150646B (it) 198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2804Y1 (ko) 이어폰(earpone)
US4027113A (en) Headphone
US5892564A (en) Eyeglass headphone combination
US9961428B2 (en) Earphone device
US8170261B2 (en) Personal audio set with adjustable force mechanisms
US5381486A (en) Communications headset having a universal joint-mounted microphone boom
JP3375135B2 (ja) 耳甲介ヘッドホン安定装置
US8233655B2 (en) Headphone
JP2001112081A (ja) ヘッドホン
JPH10513279A (ja) 眼鏡用テンプル
WO2017203353A2 (en) Headset
US5809159A (en) Structure of an earpiece clamp
US20120140974A1 (en) Personal audio set with adjustable force mechanisms
JP2004357198A (ja) イヤホン
JP2007534201A (ja) 後頭部ヘッドバンド付きヘッドホン
JPH07298383A (ja) ヘッドホン装置
US4243305A (en) Bow and hinge mounting assembly for eyeglasses frames
FI66746C (fi) Hoerselskyddshaollare
KR101120774B1 (ko) 조작된 자세 및 방향을 유지하는 헤드 셋
JP4490140B2 (ja) ヘッド装着具
JPH10234713A (ja) 聴覚検査用骨導受話装置
JPH11500345A (ja) 回動自在な脚を有する装置
JP4137608B2 (ja) ヘッドセット
JP2003018693A (ja) 立体音像出力装置
EP0779763A1 (en) Improved headphone including split earphones and coupling means for coupling it to the 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