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028Y1 - 직기의 전동 송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의 전동 송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028Y1
KR870002028Y1 KR2019840001217U KR840001217U KR870002028Y1 KR 870002028 Y1 KR870002028 Y1 KR 870002028Y1 KR 2019840001217 U KR2019840001217 U KR 2019840001217U KR 840001217 U KR840001217 U KR 840001217U KR 870002028 Y1 KR870002028 Y1 KR 8700020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diameter
loom
rotation
signal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1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164U (ko
Inventor
사이넨쯔도무
요시다가 후지다
도시유기 사가노
도시오 나까가와
Original Assignee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filed Critical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1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1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0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06Warp let-off mechanisms
    • D03D49/10Driving the warp beam to let the warp 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기의 전동 송출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동 송출제어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2도는 정역전 제어기의 블럭선도.
제3도는 다른 실시 예의 정역전 제어기의 블럭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동 송출 제어장치 2 : 경사
3 : 송출빔 4 : 텐션 로울러
5 : 안내로울러 6 : 벨트
7 : 경사 8 : 천
9 : 안내로울러 10 : 권취로울러
11 : 안내로울러 12 : 권취빔
13 : 송출전동기 14 : 레버
15 : 지축 16 : 텐션스프링
17 : 연결로드 18 : 검출레버
19 : 축 20 : 피검출제
21 : 장력검출기 22 : 톱니바퀴
23 : 계수기 26 : 제어기
27 : 가산점 28 : 운전 릴레이 접점
29 : 가산점 30 : 가산점
31 : 구동 증폭기 32 : 감는 직경 검출기
33 : 가변 저항기 34 : 정역전 제어기
35 : 회전 검출기 36 : 입력단자
37 : 릴레이 접점 38 : 접점
39 : 가변 저항기 40 : 어어드
41 : 증폭회로 42,43 : 가변 저항기
44 : 증폭기 45 : 정회전 접점
46 : 가산점 47 : 반전증폭기
48 : 역전접점 49 : 릴레이
50 : 촌동 보정 구동 수단 51 : 근접 스위치
52 : 원셧트 멀티바이브 레이터 53 : 구동회로
54 : 주축 55 : 피검출제
56 : 엔코우더 57 : 감는 직경 검출기
58 : 스위치 59 : 스위치
60 : 씨피유 61 : 메모리
62 : 직물 조건 설정기 63 : D-A 변환기
64 : 엔코우더 65 : 인터훼스
본 고안은 직기의 전동 송출 제어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촌동(寸動)운전시 또는 정역(正逆) 운전시의 소정의 송출을 위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직기는 경사를 송출하고, 또한 이의 장력을 일정하게 제어하기 위한 송출 장치를 구비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기계식 송출 장치에 있어서는, 그 구조상 직기를 역전 하게한 때에도, 경사가 송출되는 것이어서, 경사의 장력이 변화되어, 동시에 클로드펠(Fell of cloth)도 이동한다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직기의 재기동에 있어서는, 수동으로 경사를 되돌려 감아야 하는 것이고, 이 조작은 대단히 번잡한 것이었고, 또한 기괘(耭掛)시동에 있어서 경사를 고속으로 늦추고 또는 잡아다니고 하는 등의 필요가 있었다.
기계식의 송출장치에서는, 수동으로 핸들을 돌릴 필요가 있고, 이것은 상당한 힘의 노력이 필요로 하는 것이다.
한편, 전기식 즉 전동 송출 장치에서는,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송출 전동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좋은 것이어서, 회전 조작시의 힘의 노력은 경감되는 것이다.
그러나 송출 전동기의 회전수가 송출빔의 감는 직경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것이여서, 송출 빔의 감는 직경의 대소에 따라서 송출량이 크게 변화한다.
스위치를 넣어서 조작하는 시간 즉, 송출시 또는 되돌려 감는 시간이 예를 들어 일정하다고 하여도 감는 직경이 클 때에는 경사의 이동량이 커지게 되고 또는 감는 직경이 작을 때에는, 경사의 보내는 량이 작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전동 조작시에 그 조작시간이 정확하게 규제된다고 하여도, 지나치게 보내던가 또는 지나치게 되돌리게 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같이 전동 송출 장치에 있어서 전동에 의하는 송출 운전 및 촌동운전에서는, 경사의 장력이 변화하고 또한 경사의 송출 또는 되돌리는 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송출 빔의 경사를 감는 직경과 관련하여 전동 운전시에 경사를 소망의 속도로 송출 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촌동 운전시에 감는 직경과의 관련으로, 경사의 장력 보정을 하여, 이것에 의하여 클로드펠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있다.
그런데 전동 송출 장치의 자동제어 계통에서는 감는 직경 검출기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감는 직경 검출기는 송출빔에서 경사의 감는 직경을 검출하고 송출빔 구동용의 송출 전동기의 회전수를 보정하기 위한 감는 직경 보정 신호를 발생하여, 이것을 제어 계통에 보내게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감는 직경 검출기의 감는 직경 보정 신호에 착안하여 이 신호를 사용하여, 촌동 운전시에 송출 전동기를 소정의 방향으로 필요한 회전수 만큼 회전하게 하고, 또는 기괘시동의 송출시에 경사의 소정 방향의 송출 속도를 항상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게한 것이다.
상기 감는 직경 보정 신호는, 원래의 전동 송출 제어계통의 가산점에 인가되는 것이나, 기괘시의 송출운전 또는 촌동운전을 위하여 정역전 제어기에도 인력되는 것이나, 이정역전 제어기는, 전동 송출 제어계통에 부설되어 있고, 기괘시의 정 또는 역방향의 송출 및 촌동 운전시에, 상기 전 동 송출 제어계통에 대신하여 송출 전동기의 회전의 제어를 한다.
이 결과, 기괘시 등의 경사의 송출 조작시에 감는 직경의 변화에 불구하고, 경사의 송출 속도가 항상 소정의 송출 속도로 설정되는 것이어서 지나치게 보낸다던가 지나치게 되돌리는 등의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송출 조정이 정확하게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 정역전 제어기는, 촌동 운전시에 어떤 회전각을 통과할 때마다, 송출 전동기를 예를 들면 1픽 상당분 만큼, 정회전 방향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이로 인하여 촌동 운전시에 있어서도 경사의 목표장력이 크게 변화하지 아니하고, 또한 그 클로드펠의 이동이 없어진다.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동 송출 제어장치(1)를 표시하고 있다.
제어대상의 경사(2)는 송출빔(3)에 감겨져 있고, 텐션로울러(4), 안내로울러(5)을 거쳐서, 워프라인 방향으로 인도되어, 벨트(6)의 상하 운동에 의항 개구를 형성하고, 이 위치에서 경사(7)와 교차하고, 천(8)으로 되어, 안내로울러(9), 권취로울러(10), 안내로울러(11)을 거쳐서 권취빔(12)의 외주에 감겨간다.
상기 텐션 로울러(4)은 레버(14)에 대하여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고, 이 레버(14)는 안내로울러(5)와 같은 위치의 지축(15)에 의하여 요동자재로 지지되고, 또한 다른쪽 부분에서 텐션 스프링(16)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세력이 가하여져 있다.
이 레버(14)의 요동 운동은, 연결 로드(17)를 거쳐서 피검출레버(18)에 동일한 요동 운동으로 전달된다
이 피검출레버(18)는 축(19)에 의하여 요동자재로 지지되어 있고, 선단의 피검출체(20)를 장력검출기(21)에 비접촉의 상태로 대응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송출빔(3)은 송출 전동기(13) 및 소정의 치수비의 톱니바퀴(22)에 의하여 구동되는 관계에 있다.
또한 상기 장력 검출기(21)는 계수기(23)를 거쳐서 PID형의 제어기(26)에 접속되어 있다.
이 PID형의 제어기(26)는, 가산점(27), 운전 릴레이 접점(28), 가산점(29),(30)을 거쳐서 구동 증폭기(31)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구동 증폭기(31)는, 송출 전동기(13)에 접속되어 있고, 입력신호에 의하여 송출 전동기(13)의 회전의 제어를 한다.
또한 송출빔(3)에서의 위사(2)의 감는 직경은, 감는 직경검출기(32)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또는 전기적 기계적으로 검출된다.
이 감는 직경 검출기(32)는, 가변 저항기(33)을 거쳐서 가산점(27)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분기되여서 정역전 제어기(34)를 거쳐서 가산점(29)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송출 전동기(13)에는 회전 검출기(35)가 접속되어 있다. 이 회전 검출기(35)는 송출 전동기(13)의 회전을 검출하고, 이 신호를 가산점(30)에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증폭기(31)에 피이드백제어를 걸어준다.
다음에 제2도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정역전 제어기(34)의 구체적인 회로를 표시하는 것이고, 감는 직경 검출기(32)의 감는 직경 보정 신호(C)는 입력단자(36)에 보내어진다.
이 입력단자(36)는 병렬접촉의 릴레이 접점(37) 및 접점(38)을 거쳐서, 실 종류 조건 설정용의 가변 저항기(39)에 의하여 어어드(40)에 접속되어 있다.
이 가변 저항기(39)의 가변 단자는, 증폭회로(41)를 거쳐서 조절용의 가변 저항기(42),(43)에 의하여 각각 어어드(40)에 접속되어 있다.
한쪽의 가변 저항기(42)의 가변 단자는, 증폭기(44), 정회전 접점(45)을 거쳐서 가산점(4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의 가변 저항기(43)의 가변 단자는, 반전 증폭기(47), 역전 접점(48)을 거쳐서 상기 가산점(46)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산점(46)는 상기의 가산점(29)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릴레이 접점(37)은, 상시 열린 형의 것이고, 릴레이(49)에 의하여 구동되어, 예를 들면 기괘 조작시에 온 상태로 된다.
또한 접점(38)은 촌동 보정 구동 수단(50)에 의하여 구동되는 관계에 있다.
이 촌동 보정 구동 수단(50)은 비접촉형의 근접 스위치(51)에 원 셧트 멀티 바이브레이터(52) 및 구동회로(53)를 순차로 접속하고, 이 구동 회로(53)의 출력에 의하여, 촌동 운전시에 접점(38)을 온의 상태로 한다.
또한 상기의 근접 스위치(51)는 직기의 주축(54)에 설치된 피검출체(55)와 대응하고 있다.
상기 전동 송출 제어장치(1)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직 운전시에, 송출 전동기(13)는, 제직의 진행에 따라서 경사(2)를 순차소정의 장력에 의하여 송출하고 있다. 송출빔(3)의 초기의 감는 직경은 설정기(24)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다.
즉 설정기(24)는 초기의 감는 직경 설정 스위치(25)를 누르는 것에 의하여, 송출빔(3)의 초기의 감는 직경에 대응하는 감는 직경 신호(B)를 발생하여 감는 직경 검출기(32)를 초기화한다.
감는 직경 검출기(32)는 그 감는 직경에 반비례한 감는 직경 보정 신호(C)를 온 상태의 운전 릴레이 접점(28)을 거쳐서, 구동증폭기(31)에 보내고 있다.
여기에서 구동 증폭기(31)는, 그 초기의 속도에 대응하는 회전수로, 송출 전동기(13)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한편, 송출빔(3)에서의 경사(2)의 감는 직경은 경사(2)의 송출과 동시에 점차 감소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감는 직경 검출기(32)는, 그 송출빔(3)에서의 경사(2)의 감는 직경을 검출하고, 그 감는 직경에 반비례한 감는 직경 보정 신호(C)를 발생하고, 이것을 가변 저항기(33), 가산점(27), 운전 릴레이 접점(28)을 거쳐서, 구동증폭기(31)에 보낸다.
따라서 구동 증폭기(31)는, 경사(2)의 감는 직경의 감소에 따라, 송출 전동기(13)의 회전수를 점차 높여가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서, 경사(2)는 직기의 정상운전시에 목표의 장력하에서 제직의 진행에 따라 순차 송출되어가는 것이나, 송출 제어의 오차 및 경사(2)의 늘어나는 변화등에 의하여, 실제의 경사(2)의 장력이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경사(2)의 장력이 변화하면, 레버(14)가 장력의 증감에 대응하여 요동 운동을 하는 것이어서 이것에 대응하여 피검출체(20)는, 그 위치를 어느쪽인가의 방향으로 변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장력 검출기(21)는, 그 피검출체(20)의 변위량을 검지하여서 이것을 대응하는 장력 보정 신호(A)를 발생하고, 이것을 계수기(23)로서 적당한 신호 레벨로 조정한 후에, 스위치(25)를 거쳐서 제어기(26)에 보낸다.
여기에서 제어기(26)는 장력 보정 신호(A)에 P동작 또는 I 동작 또는 PI 동작을 하여 가산점(27)에 보낸다.
따라서 결국 구동 증폭기(31)는 제직 운전중에 장력보정 신호(A) 및 감는 직경 보정 신호(C)를 중첩적으로 입력하고, 송출 전동기(13)의 회전 속도의 보정을 행한다.
물론 회전 검출기(35)는, 송출 전동기(13)의 실제의 회전수를 검지하고, 이것을 간산점(30)에 귀환하게 하는 것에 의하여 피이드백 제어를 거는 것이다.
그런데 위사를 넣는 것의 실수 등에 의하여 직기가 정지하면 필요에 대응하는 촌동 운전이 행하여진다.
이 촌동 운전시에는 운전 릴레이 접점(28)이 개방 상태로 된다.
또한 조작자가 정회전 촌동 스위치 또는 역회전 촌동 스위치를 조작하여 어느 것인가의 회전 방향에 촌동 지령을 주면, 직기는 그 운전 지령이 계속되는 한은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의 촌동 회전을 행한다.
이 촌동 운전이 예를 들어 직기의 정회전 방향으로 행하여져 있을 때에, 이것에 대응하여 정회전 접점(45)이 온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촌동 운전에 의하여, 직기가 소정의 회전 각도 예를 들어 0°를 통과한 때에, 근접 스위치(51)는 주축(54)의 피검출체(55)와 대향하여, 검출 신호를 발생하고, 원셧트 멀티 바이브레이터(52)에 보내어진다.
이때에, 원 셧트 멀티 바이브레이터(52)는 소정의 시간폭의 출력신호를 발생하여 이것을 구동 회로(53)에 보낸다.
그리고 구동 회로(53)는, 그 소정의 시간에 거쳐서 접점(38)을 온의 상태로 한다.
이로 인하여 감는 직경 검출기(32)의 감는 직경 보정 신호(C)는 입력단자(36)에서 가변 저항기(39)의 일단에 인가되어, 증폭회로(41)에 소정의 분할 전압의 입력을 준다.
여기에서 증폭회로(41)는 소정의 분할 신호를 증폭하여 조정용의 가변 저항기(41)를 거쳐서 증폭기(44)에 보낸다.
증폭기(44)는 그 신호를 증폭하고, 온 상태의 정회전접점(45) 및 가산점(46),(29)을 거쳐서 구동 증폭기(31)에 보낸다.
따라서 구동 증폭기(31)는, 직기가 소정의 회전각 즉 0°에 온 시점에서, 송출 전동기(13)를 소정의 시간만큼 구동하고, 정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 각도 예를 들어 1픽에 상당하는 분 만큼, 경사(2)를 송출하고 그 장력을 목표의 값으로 조정하고 또한 클로드펠을 정규의 위치로 되돌린다.
물론 역회전 방향의 촌동시에는, 역전 접점(48)어 역전 촌동 스위치와 연동하여서 온 상태로 된다.
그리고 1픽당 경사를 보내는 양은, 이것을 U로 하고, 타입수 d(본/cm)에 의하여 다음의 식에서 구하여진다.
U=10/d(mm)……(1)
이 정도의 량을 송출 전동기(13)의 시정수에 의하여 충분히 긴 시간 T〔sec〕로 보낸다고 하면, 송출빔(3)의 주속도 V는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V=10/dT〔mm/sec〕……(2)
한편 송출 전동기(13)의 회전수를 N〔rpm〕송출 전동기(13)에서 송출빔(3)에 이르기까지의 감속비를 M, 송출빔(3)에서의 경사(2)의 감는 직경을 D〔mm〕로 하면, 상기 주속도 V는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V=πDN/60Mmm/sec……(3)
그러므로 회전수 N, 는 상기식(2) 및 (3)에서 주속도 V를 없이하는 것에 의하여 다음 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N=600M/πdTD〔rpm〕……(4)
여기에서 감속비는, 기계의 고유의 값이고, 또한 타입수 d는 직기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정수인 것이어서, 시간 T를 예를 들어 0.5〔sec〕로 고정하여 두면, 회전수 N는, 감는 직경 D에 반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직기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촌동중에 예를들면 회전각 0도를 통과하는 때마다 0.5〔sec〕의 사이, 감는 직경 D에 반비례하는 회전수로 송출 전동기(13)를 회전하게 하면, 1픽 상당분의 위사(2)를 송출 또는 되돌릴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실제에는, 송출 전동기(13)에서 송출빔(3)에 이르기까지의 톱니바퀴(22)가 흔들리는 등에 의하여, 상기 식(4)에서 주어진 회전수 N에 의하여 송출전동기(13)를 회전하게 하면, 송출 부족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식(4)에서 주어진 회전수 N보다 약간 빠른 회전수로 돌릴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의 촌동 보정 구동 수단(50)은, 1픽에 상당하는 시간 만큼 접점(38)을 닫고 있는 것이나, 이 보내는 양은, 1픽에 한하지 아니하고, 주축(54)의 회전각도를 엔코우더 등으로 검출하고, 이 엔코우더의 검출출력에 의하여 원셧트 멀티바이브레이터(52)의 시정수를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주축(54)의 회전 각도 즉, 직기의 회전량에 비례하여서, 접점(38)을 그 시간에 거쳐서 닫히게 하여도 좋은 것이다.
또한 정밀한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직물에 있어서는, 촌동 신호 그것으로써 접점(38)을 닫히게 한다는 간편한 방법을 취하게 하는 것도 좋은 것이다.
이와같이 하는 것에 의하여, 직기의 정회전 방향 또는 역회전 방향의 촌동 운전중에, 직기가 어느 회전각도를 통과하는 때마다, 또는 직기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송출전동기(13)는 송출빔(3)에서 경사(2)의 감는 직경 D 및 제직조건에 따르는 회전수 N로서 일정 시간 또는 필요한 시간만큼 회전하고, 경사(2)를 정회전 방향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송출한다.
이로 인하여 경사(1)의 장력은, 직기의 촌동 운전 후에 있어서도 목표의 값으로 유지되어 있고, 또한 클로드펠은, 촌동 운전후에 있어서도 소정의 위치에 있다.
다음에 예를 들어 기괘의 조작시에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용의 수동 스위치와 연동하여서, 틸레이(49)가 여자상태에 있는 것이어서, 릴레이 접점(37)이 온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초기의 감는 직경 설정 스위치(25)에 의하여, 감는 직경 검출기(32)의 출력으로 되는 감는 직경보정신호 C는, 초기화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초기화된 감는 직경 보정 신호 C는, 입력단자(36), 릴레이 접점(37)을 거쳐서, 가변 저항기(39)의 일단에 인가된다.
여기에서 가변 저항기(39)는, 그 가변 출력단에 실종류의 조건에 적합한 값의 전압을 발생하여, 이것을 증폭회로(41)의 입력단에 인가하고 있다.
이 기괘조작시에 조작자가 예를 들면 역전방향의 회전 지령을 주고 있으면, 역전 접점(48)이 온의 상태로 되는 것이어서, 증폭회로(41)의 출력 전압은, 가변 저항기(43)의 가변출력단에서 반전 증폭기(47)에 보내어진다.
이 반전 증폭기(47)는, 그 입력신호의 극성을 반전하여, 역전을 위한 신호로서 역전접점(48) 및 가산점(46),(29)을 거쳐서 구동 증폭기(31)에 보낸다.
따라서 구동 증폭기(31)는 송출빔(3)에서의 경사(2)의 감는 직경 D의 변화에 불구하고, 경사(2)를 소정의 속도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정회전 방향의 회전 지령이 주어지고 있는 때에는, 릴레이 접점(37)과 정회전 접점(45)이 온으로 되어, 상기에서와 동일한 동작이 행하여진다.
이와같이 정역전 제어기(34)는, 감는 직경 D에 반비례하는 감는 직경 보정 신호 C를 입력으로 하여 송출 전동기(13)를 구동한다.
경사(2)의 보내는 양은, 감는 직경 D에 관계없이 항상 소정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많이 보내던가 많이 되돌리는 등의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제2도의 실시예는, 정역전 제어기(34)를 아날로그 형식의 회로로서 구성하고 있으나, 이회로는 디지탈 회로로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제3도는 디지탈 형식의 정역전 제어기(34)를 표시하고 있다.
직기의 회전각도는, 엔코우더(56)에 의하여 검출되어, 인터훼스(65)를 거쳐서 CPU(60)에 보내어진다.
또한 감는 직경 검출기(57)의 디지탈적인 감는 직경보정신호(C)는 동일하게 인터훼스(65)를 거쳐서 CPU(60)에 보내어진다.
또한 정촌동용의 스위치(59) 및 역촌동용의 스위치(58)는 동일하게 인터훼스(65)를 거쳐서 CPU(60)에 지령신호로서 입력된다.
이 CPU(60)는, 감속비 M 등의 정수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61) 및 직물 조건 설정기(62)등에 접속되어 있고, 이들의 정보와의 관련으로, 직기가 θ도 회전한 때에 필요한 보내는 양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직기가 θ도 회전한 때의 보내는 양 U는, 1픽 마다의 경사의 보내는 양을 U0로 한때의 다음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U=θU0/360……(5)
이와같은 보내는 양을 시간T〔sec〕로서 보낸다고하면, 속도지령 즉 이때의 회전수 N는, 다음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N=60MU/πDT
=600Mθ/360πDTB
=5Mθ/3TdD〔rpm〕……(6)
여기에서 CPU (60)는 상기의 연산을 하여, 회전수 N를 결정한다.
그리고 이 CPU (60)의 회전수 N의 출력신호는, D-A 변환기(63)에 의하여, 아날로그량으로 변환되어, 가산기(29),(30)을 거쳐서 구동증폭기(31)의 입력으로 된다.
상기 실시예들은 어느것이나 송출빔(3)의 감는 직경 D을 감는 직경 검출기(57)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검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 감는 직경 D는, 송출 전동기(13)의 회전수 N에서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정상 운전중에는, 피이드백 제어에 의하여, 송출 운동이 안정화 되어 있는 것이어서, 제직조건이 일정한 것이면 송출 전동기(13)의 회전수 N는 감는 직경 D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송출 전동기(13)의 회전수 N의 역수는, 그때의 송출빔(3)의 감는 직경 D에 대신하여 이용할수 있다.
제3도의 엔코우더(64)는 송출전동기(13)의 회전을 검지하고, 인터훼스(55)를 통하여 CPU (60)에 보내지고 있다.
그리고 CPU (60)는 어느 시간마다에 연산에 의하여 감는 직경 D를 구한다.
따라서 이 엔코우더(64)가 있으면, 감는 직경 검지기(57)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이 엔코우더(64)는 촌동 운전시에 송출 전동기(13)의 회전량을 피이드백 신호로써 CPU에 귀환하는 것이어서 이때의 제어는 폐쇄루우프의 제어계통으로 되어 개방 루우프의 제어계통에 비교하여 정확하게된다.

Claims (4)

  1. 경사의 장력을 검출하여 장력보정 신호를 발생하는 장력검출기(21)와, 상기 장력 보정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속도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26),와, 상기 속도 신호에 의하여 송출된 전동기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증폭기(31)와, 송출빔의 감는 직경에 반비례한 감는 직경 보정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구동 증폭기에 보내는 감는 직경 검출기(32)와, 정역 운전시에 상기감는 직경 보정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구동 증폭기에 소정으로 보내는 속도의 정회전 및 역회전 방향의 신호의 어느것인가를 회전지령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보내는정역전 제어기(34)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전동송출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정역전제어기(34)는 직기의 정역전촌동 운전중에 직기가 어떤 설정 회전각을 통과할 때마다, 송출빔(3)의 감는 직경 및 제적조건에 대응한 회전수로 송출 전동기(13)를 일시적으로 회전하하기 위한 촌동 보정구동 수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전동 송출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촌동 보정구동 수단의 일시적인 회전량은, 직기가 어떤 설정 회전각을 통과할 때마다 1픽 상당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전동 송출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정역전 제어기(34)는, CPU(60)를 포함하고, 디지탈 회로 계통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CPU (60)는 송출전동기(13)에 연결된 엔코우더(64)의 신호에서 송출빔(3)의 감는 직경에 대응하는 신호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전동 송출 제어장치.
KR2019840001217U 1983-02-16 1984-02-15 직기의 전동 송출 제어장치 KR87000202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 1983-02-16
JP1983020071U JPS59129889U (ja) 1983-02-16 1983-02-16 電動送り出し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64U KR840006164U (ko) 1984-11-30
KR870002028Y1 true KR870002028Y1 (ko) 1987-06-10

Family

ID=1201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1217U KR870002028Y1 (ko) 1983-02-16 1984-02-15 직기의 전동 송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29012A (ko)
EP (1) EP0116934B1 (ko)
JP (1) JPS59129889U (ko)
KR (1) KR870002028Y1 (ko)
DE (1) DE3466021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057A (ko) * 2001-03-14 2002-09-19 박세진 제직기의 속도 제어장치
KR20040004024A (ko) * 2002-07-01 2004-01-13 주식회사 텍스텍 직기용 전동송출장치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5757A (ja) * 1984-01-20 1985-08-15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電動送り出し・巻取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IT1179857B (it) * 1984-12-10 1987-09-16 Ergotron Sas Di Dondi Benelli Dispositivo per ripristinare in un telaio tessile condizioni operative prestabilite alla ripresa del funzionamento dopo un interruzione in particolare dopo una rottura della trama
CH667294A5 (de) * 1985-02-14 1988-09-30 Saurer Diederichs Sa Streichbaumanordnung an einer webmaschine.
DE3528280A1 (de) * 1985-08-07 1987-02-19 Stromag 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lung eines kettbaumantriebs einer webmaschine
US4721134A (en) * 1986-08-04 1988-01-26 West Point Pepperell, Inc. Terry loop ratio control device
JP2710046B2 (ja) * 1986-12-04 1998-02-10 津田駒工業 株式会社 パイル織機のたて糸張力制御方法
DE3730310A1 (de) * 1987-09-10 1989-04-06 Stromag Maschf Verfahren zur steuerung oder regelung einer webmaschine
CH673853A5 (en) * 1988-02-25 1990-04-12 Regatron Ag Loom warp tension control - shifts to single weft action for warp beam drive when continuous weaving stops
JP2668565B2 (ja) * 1988-11-30 1997-10-27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回転数制御方法
DE4015763C1 (ko) * 1990-05-16 1991-10-24 Liba Maschinenfabrik Gmbh, 8674 Naila, De
DE4325038C2 (de) * 1992-08-18 1995-08-31 Regatron Ag Regeleinrichtung für den Vorschub von Wickelgut einer Webmaschine
EP1270781A1 (de) * 2001-06-26 2003-01-02 Sulzer Textil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lung des Kettablasses einer Webmaschine
JP4156439B2 (ja) * 2003-05-16 2008-09-24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経糸制御方法
CN104071627B (zh) * 2013-03-25 2016-09-14 洪汉武 一种封缄胶带的复卷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43114B (de) * 1958-10-22 1967-06-22 Zellweger A G App U Maschinenf Vorrichtung fuer Webmaschinen zum Konstanthalten der Kettenspannung
BE768521R (nl) * 1971-02-26 1971-11-03 Weefautomaten Picanol N V Meti Kettingafwinder voor
CH556416A (de) * 1972-09-29 1974-11-29 Sulzer Ag Kettablassvorrichtung.
JPS5112108A (ja) * 1974-07-19 1976-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eepurekooda
NL7502246A (nl) * 1975-02-25 1976-08-27 Rueti Te Strake Bv Kettingspanningregelaar.
CS184897B1 (en) * 1976-12-03 1978-09-15 Jan Foltyn Sand beam controlling apparatus for weaving looms
SU821576A1 (ru) * 1979-05-25 1981-04-15 Ленинградское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оеобъединение Им. K.Mapkca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пОдАчи НиТи
DE2939607C2 (de) * 1979-09-29 1983-10-27 Maschinenfabrik Stromag Gmbh, 4750 Unna Regeleinrichtung für den Antrieb eines Kettablasses einer Webmas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057A (ko) * 2001-03-14 2002-09-19 박세진 제직기의 속도 제어장치
KR20040004024A (ko) * 2002-07-01 2004-01-13 주식회사 텍스텍 직기용 전동송출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64U (ko) 1984-11-30
EP0116934A2 (en) 1984-08-29
DE3466021D1 (en) 1987-10-15
EP0116934B1 (en) 1987-09-09
JPH0139728Y2 (ko) 1989-11-29
US4529012A (en) 1985-07-16
EP0116934A3 (en) 1984-12-19
JPS59129889U (ja) 1984-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2028Y1 (ko) 직기의 전동 송출 제어장치
KR870001524B1 (ko) 직기의 전동 송출방법 및 그 장치
EP0290039B1 (en) Pile warp yarn tension control method and controller for carrying out the same
US4605044A (en) Takeup motion control device for looms
KR880006400A (ko) 직기의 경사 장력 제어 방법
US3876167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a laying device in a winding machine
JPS5994648A (ja) 織機における経糸送り出し制御方法
JPH0360941B2 (ko)
KR100535728B1 (ko) 경사 제어방법 및 장치
JPS6183355A (ja) 織機の電動送り出し装置におけるキツクバツク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321412B2 (ja) イージング方法
JP4189249B2 (ja) 織機における織段防止装置
JPH039222B2 (ko)
JP4098150B2 (ja) 織機の織段防止装置
JP2516376B2 (ja) パイル織機の張力制御装置
JP2784677B2 (ja) 織機のキックバック制御方法とその装置
JPH0726284B2 (ja) 織機の送り出し装置
JPS63275751A (ja) パイルたて糸の張力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619256B2 (ja) 多色用測長貯留装置の制御装置
JPH0811854B2 (ja) 織機の経糸張力調整装置
JP3713890B2 (ja) パイル織機におけるパイル形成方法及び装置
JPH0413459B2 (ko)
JP3046474B2 (ja) 織機の経糸制御装置
EP0431948A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inding apparatus
JPH0327150A (ja) パイル長さの自動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51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