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468B1 -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468B1
KR870001468B1 KR1019830002934A KR830002934A KR870001468B1 KR 870001468 B1 KR870001468 B1 KR 870001468B1 KR 1019830002934 A KR1019830002934 A KR 1019830002934A KR 830002934 A KR830002934 A KR 830002934A KR 870001468 B1 KR870001468 B1 KR 870001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ircuit
signal
security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241A (ko
Inventor
도시유끼 시라이와
까오루 오오바
Original Assignee
니뽄 게이비 호쇼 가부시끼가이샤
이이다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게이비 호쇼 가부시끼가이샤, 이이다 아끼라 filed Critical 니뽄 게이비 호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5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20Checking timed patrols, e.g. of watchma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3/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r the working of machines or other apparatus, other than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보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경보 장치의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동 제2 실시예의 블록도.
제3도는 동 제3 실시예의 블록도.
제4도는 일부 변형 회로 부분을 나타내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보장치 10 : 침입 검지기
12 : 화재 검지기 14 : 이상 검출회로
15, 15a, 15c : 스위치 수단 24 : 경비 모드 검출부
26 : 판단 제어부 34, 35 : 제1, 제2 지연회로
36 : 오조작 신호 작성회로 37 : 판별 회로
38 : 보수 오버신호 작성회로 39 : 순회 오버신호 작성회로
41 : 표시장치 42 : 신호 송출회로
43 : 감시국
본 발명은 경비 영역에 있어서의 화재, 침입, 가스 누출등의 이상사태의 발생을 검출하고, 원격 감시국의 관련 부서나 관련 기기에 통보 신호를 송출하는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수 모드와 순회모드를 구비한 관리모드를 갖고 있으며, 장치 자체를 보수 모드나 순회 모드에 있어서 승인된 자에 의해 조사되는 동안 자동 동작시킬 수 있는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보 장치가 갖고 있는 동작 모드는, 경비 영역의 경비를 세트 신호에 희하여 개시하는 경비 개시모드, 해제 신호에 의하여 경비 모드가 해제되는 경비 해제 모드의 2종의 모드가 일반적인 것이다. 즉, 이들의 모드는 모드 경비 모드이다. 따라서 어느 특정한 경비 장치에 대하여 유저 또는 보수원이 장치의 보수를 행할때에는 사전에 전화회선을 통하여 해당하는 감시국의 어느 특정 경비 센터로 보수를 개시하겠다는 뜻의 연락 통보를 행하고 있었다. 또, 보수작업이 종료된 때에는 재차 보수원이 보수 종료의 뜻을 연락통보 해왔다. 그러나 이 경우에, 보수 작업중에 각종 보수 조작이 행하여지며, 이 각종 보수 조작에 근거한 테스트 이상 신호가 실제로 발생된 이상 신호와 함께 상기 특정 경비 센터에서 식별되지 못한채 송출되고 있으므로, 감시국은 이동안의 정부는 오두 보수 작업중의 정보로서 파악하게 되어, 경비영역에서 실제의 이상 발생이 있어 그 정보가 송출된 것일지라도 감시국에서는 이것을 식별하여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른 한편 상기와 같이 보수의 개시, 종료가 보수원의 전화통보라고 하는 인위적 행위에 따른 방식에는 자칫하면 통보 망각에 의하여 보수시에 발생한 보수에 따른 이상 정보가 감시국에서는 실보(實報)로서 파악되기 때문에 경보 정보가 감시국에서 수신되는 때마다, 경비원이 감시국에서 경비 영역을 직행하는 등의 확인 행동을 필요로 하게 되며 그 결과 헛되게 경비 시스템의 관리 코스트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는 불합리가 있다. 또, 보수 작업의 종료시에는 보수 종료의 통보 망각이 있으면, 경비 센터의 감시국에서는 이상 정보를 수신할 때에 수신된 신호가 보수 종료후에 발생된 이상의 실보인지 보수중의 테스트 이상 신호의 정보인지 식별이 불가능하며, 이 때문에 실보를 테스트 이상 신호로 오인한 결과, 일대 참사를 초래하는 등의 불합리가 있다. 또한 경보 장치와 경비 센터를 연휴시킨 경비 시스템에 있어서는 경보 장치가 발하는 이상 정보는 모두 기록하고, 후일 통계 처리를 할 때 종래의 경보장치에서의 이상 정보에는 관리 모드중의 테스트 이상 정보도 일률적으로 포함되기 때문에 통계 숫자의 실보 정밀도가 저하되는 결점도 지니고 있다.
또 경비 영역내의 이상 발생에 근거한 이상 점검이나 또는 정기 점거등의 순회를 경비원이 행할때에는 경비 장치의 경비 해제 모드를 설정하고, 이 모드 설정후에 이상 점검 또는 정기 점검이 종료하면, 이 경비 영역이 무인의 경비 개시 모드 중인가 또는 유인의 경비 해제 모드중인가에 따라서 경비 개시 모드 또는 경비 해제 모드가 설정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것은 경비원이 이상 점검이나 또는 정기 점검 후에 간단하게 경비 해제로 하여 경비 영역내로 침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이상 점검 또는 저기 점검을 실행하는 시간이 외에 있어서도 경비원이 경비 영역에 간단히 입관할 수가 있다. 다시 이상 점검 및 정기 점검은 모두 원격의 경비 센터에 있는 감시국에서 관리하는 일이 곤란하며, 필요한 행동 이외의 행동을 경비원이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경비원 자체에 의한 범죄의 발생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경보 장치에 따른 제결점을 해소시키고서 보수 모드나 순회 도므등의 관리 모드를 인위적 설정만으로 의존함이 없이, 확실하게 자동 통보를 행할 수 있도록 보수 모드나 순회 모드를 동작 모드에 세팅하는 경보 장치를 제공하고, 그로써 보수 모드중에는 불필요한 정보가 경보 장치에서 송출되는 일이 없이 또는 보수 모드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로서 송출된 경우일지라도 실제의 이상 정보와 식별이 가능하게 되고, 더우기 이상 점검증이나 정기 점검중에는 순회중의 경비원이 안전성마저도 확보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비 영역의 경비를 센터와 연휴하여 행하는 경보 장치로서, 상기 경비 영역의 침입 또는 화재 등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지기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경비 영역을 경비 개시와 경비 해제로 하는 경비 모드와 적어도 보수 또는 순회의 어느 것인가를 갖고 있는 관리 모드와의 사이에서 절환을 설정하는 절환 설정수단, 상기 이상 검지기가 이상을 검지한때 상기 경비 모드와 관리 모드의 설정 모드에 근거하여 검출정보의 송출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제어부 및 경베센터에 정보 송출을 행하는 신호 송출되로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며,
동도에 있어서, 경비 영역에는 미리 침입 검지기(10), 화재 검지기(12)등의 갖가지의 이상 검지기가 배치되며, 이들의 검지기의 이상 검지기의 신호는 경보 장치(1)의 이상 검출부(13)에 설치된 이상 검출회로(14)에 보내진다. 경보 장치(1)는 스위치 수단(15)에 의하여 상호 절환 설정 가능한 세트 접점 즉, (경비모드의 개시 설정)(16), 해제 접전(경비 해제 모드의 설정)(17), 보수 모드 접점(보수 모드의 설정)(18), 순회 모드 접점(순회 모드의 설정)(19)을 지니며, 상기의 4모드는 각기 대응의 제1검출회로(20), 제2검출회로(21), 제3검출 회로(22), 제4검출회로(23)로의 설정이 검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검출 회로(20)와 제2검출 회로(21)는 경비사의 경비 개시와 경비 해제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경비 모드 검출부(24)를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경보 장치(1)에 있서 이상 검출부(13), 경비 모드 검출부(24) 및 관리 모드 검출부(25)의 후단에 판단 제어부(26)가 설치되어 있고, 이 판단 제어부(26)는 제1 내지 제4 앤드 게이트(27 내지 30), 낸드 게이트(31), 인버터(32), 멀티 바이브레이터(33), 제1, 제2 지연 회로(34), (35)오조작 신호 작성 회로(36), 판별 회로(37), 보수 오버 신호 작성 회로(38), 순회 오버 신호 작성 회로(39), 메모리(40)를 구비하고, 이들 각 요소에 또는 각 회로간 및 전단의 이상 검출부(13), 경비 모드 검출부(24), 관리 모드 검출부(25)사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은 신호 배선이 되어 있다. 또 판단 제어부(26)의 후단에는 표시 수단(41) 및 신호 송출회로(42)가 접속되고, 이 후자의 신호 송출 회로(42)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원격의 경비 센터의 감시국(43)에 경비 정보를 송출하는 출력 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상 검출회로(14)의 이상 검출 신호는 제1 앤드 게이트(27), 판별 회로(37), 낸드 게이트(31)에 인가되며, 이 때 판별 회로(37)는 화재 검지기(12)가 검지한 이상 검지 신호는 경비 모드, 경비 해제 모드, 또는 관리 모드인 순회 모드에 있어서도 이 이상 신호를 우선도의 신호로서 신호 송출회로(42)에 송출하도록 판별하고, 또 침입 검지기(10)의 이상 검지 신호를 검출한 경우에는 경비 영역이 경비 모드에 설치되어 있는 때에만 판별 회로(37)가 신호 송출 회로(42)에 송출하도록 판별한다.
그런데 지금 경보 장치(1)의 스위치 수단(15)을 경비 개시 모드 접점(16)에 설정하면, 경비 모드 검출부(24)의 제1검출 회로(30)가 이것을 검출한 다음, 멀티 바이브레터(33)에 경비 개시 모드 검출 신호를 송출한다. 따라서 멀티 바이브레터(33)는 구동되어서 제1 및 제2 앤드 게이트(27 및 28)에 예컨데 하이레벨 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이상 검출부(13)의 이상 검출 회로(14)가 문 개방, 창 개방등의 본래 경비개시때에는 이상 검출되지 않아야 할 이상 상태 즉 미경계 개소가 있음을 검출하였으면, 이 신호는 제1 앤드 게이트(27)에 인가되므로 제1 앤드 게이트(27)의 출력단에서 출력이 발생하여 오조작 신호 작성 회로(36)에 인가된다. 따라서 오조작 신호 작성 회로(36)는 표시 장치(41)에 신호를 송출하고, 부자가 조명 램프 표시등의 이상 표시를 가동시키는 동시에 신호 송출 회로(42)에서 원격의 감시국(43)에 오조작 신호를 송출시킨다. 또 이상 검출 회로(14)가 상기 오조작 이상을 검출증이 아닌 때에는 제2 앤드 게이트(28)의 입력단에 인버터(32)를 통하여 하이레벨 신호가 송입되므로, 이 제2 앤드 게이트(28)의 출력단에 출력을 발생하여 이것은 판별 회로(37)에 송출된다. 그 후 판별회로(37)는 표시장차(41)으로 하여금 경비 개시 모드를 나타내는 세트 표시를 하도록 시키며 동시에 신호 송출 회로(42)로 하여금 경비 모드가 개시된 뜻을 나타내는 세트 신호를 감시국(43)에 송출하게 하는 동시에 메모리 수단(40)에 경비 개시 모드를 기억시킨다.
또, 스위치 수단(15)이 경비 해제 모드 접점(17)에 절환 설정되면, 이것은 제2 검출 회로(21)에 의하여 검출되어 해제 신호가 판별 회로(37)에 송출된다 . 그후 판별회로(37)는 표시장치(41)로 하여금 경비 해제 모드를 점등 표시하게 하는 동시에 신호송출 회로(42)는 해제 신호를 원격의 감시국(43)으로 송출하게 함과 동시에 메모리 수단(40)에 경비 해제 모드를 기억시킨다.
다음에 스위치 수단(15)이 순회 모드 접전(19)에 절환 설정되면, 이것은 관리 모드 검출부(25)의 제4 검출 회로(23)에 의해 검출된다. 이때 제4 검출 회로(23)는 순회 모드 신호를 판별 회로(37)에 송출하기 때문에 판별 회로(37)는 표시 수단(41)으로 하여금 순회 모드 표시를 행하도록 하며, 또한 송출 회로(42)를 통하여 순회 모드 신호를 감시국(43)으로 송출함과 동시에, 상기와는 동일하게, 메모리 수단(40)에 순회 모드를 기억시킨다.
상기 경비 개시 모드, 경비 해제 모드, 순회 모드중 임의 모드의 경우에, 침입 검지기(10)가 침입 이상을 검지하면, 이상 검출 회로(14)는 침입 이상을 검출하여 침입 신호를 판별 회로(37)에 송출한다. 이 침입 신호는 낸드 게이트(31)의 한 입력단에 인가되어 있다. 이대의 낸드 게이트(31)의 다른 입력단에은 입력 신호가 없으므로, 즉 관리 모드 검출부(25)의 제3 검출 회로(22)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 입력을 받지 않으므로 낸드 게이트(31)의 출력단에는 출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침입 이상을 나타내는 신호가 판별 회로(37)에 송이비되고 메모리(40)에 의하여 기억되는 있는 현행 모드가 세트, 즉 경비 개시 모드이면, 이 판별 회로(37)는 신호 송출 회로(42)를 통하여 감시국(43)에 이 침입 이상 신호를 송출한다. 또 메모리(40)에 의하여 기억되어 있는 현행 모드가 경비 해제시는 유인인 까닭에 이 판별 회로(37)는 그 침입 이상 신호의 송출은 행하지 않는다. 다시 관리모드에 있어서의 순회 모드인때도, 이 판별 회로(37)는 그 침입 이상 신호를 관리된 불필요 정보로서 송출하지 않은다.
다시, 화재 검지기(12)가 화재를 검지하면 이상 검출 회로(14)는 화재 이상의 발생을 검출하여 화재 신호를 송출한다. 이 화재 신호는 상술한 침입 신호와 동일하게 낸드 게이트(31)의 한 입력된다. 고로 낸드 게이트(31)는 다른 입력 단자가 관리 모드 검출부(25)의 제3 검출 회로(22)의 접속되어 신호 입력 받는 일은 없으므로 출력 단자에 출력을 발생한다. 즉, 경비 개시 모드, 경비 해제 모드, 순회 모드의 어느 경우에도 낸드 게이트(31)의 출력 단자에 상기 화재 신호(37)에 의한 출력 신호가 발생한다. 이 출력 신호는 판별 회로(37)에 인가되므로 판별 회로(40)는 메모리(41)의 기억하는 현행 모드가 세트(경비 모드),해제(경비 해제 모드), 순회의 어느 경우에도 화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 장치(42)으로 화재 표시를 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신호 송출 회로(42)에서 화재 이상 신호를 감시국(43)으로 송출 시키는 동시에 메모리 수단(40)에 현 상태가 화재라고 기억시킨다.
그런데 스위치 수단(15)이 보수 모드 접점(18)으로 절환 설정되면, 관리 모드 검출부(25)의 제3 검출 회로(22)가 이것을 검출하고, 보수 모드 신호는 판별 회로(37)에 송출된다. 이때에 물론 낸드 게이트(31), 제3 앤드 게이트(29), 지연 회로(34)에도 보수 모드 신호는 송출된다. 이때 판별 회로(37)는 보수 모드를 메모리(40)에 현행 모드로서 기억시키고, 표시 장치(41)가 보수 모드를 표시하게 하고, 신호 송출 회로(42)가 보수 모드 신호를 감시국(43)에 송출하게 한다. 한편 제1 지연 회로(34)에 보수 모드 신호가 송출 되고 나서 설정된 일정 지연 시간(보수 시간으로서 경비 영역의 규모등의 조건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다)경과후에도 아직 현행 모드가 보수 모드이면, 제3 앤드 게이트(29)의 출력단에는 출력이 발생한다. 때문에 이 제3 앤드 게이트(29)의 출력 신호는 보수 오버 신호 작성 회로(38)에 송출되고,
따라서 이 보수 오버 신호 작성 회로(38)는 신호 송출 회로(42)와 표시 장치(41)에 보수 오버 신호를 보내어, 표시 장치(41)는 보수 시간이 설정된 일정 시간을 이미 초과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감시국(43)에 보수 오버 표시를 행하고, 또한 신호 송출 회로(42)는 보수 오버를 나타내는 신호를 송출한다. 때문에 감시국(43)은 보수 오버를 알아차려 보수 종료의 망각 방지를 꾀하는 대책을 취할 수가 있다.
또한, 낸드 게이트(31)의 일방의 입력단에 제3 검출 회로(22)의 다른 입력단에 입력될때 이상 검지 신호는 관리 모드에 의한 불필요 정보로서 출력단자에서는 출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낸드 게이트(31)가 출력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한 판별 회로(37)에 관리 모드에 의한 불필요 정보인 이상 신호는 직접적으로 입력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보수 모드에서는 낸드 게이트(31)에 의하여 이상 신호는 관리 모드에 의한 불필요정보로서 삭제되는 것이다. 즉, 보수 모드에서는 경비원의 보수 작업이 행하여지고 있으므로, 이상 신호는 관리 모드에 의한 불필요 신호이다. 따라서 감시국(43)으로의 관리 모드에 의한 불필요 정보인 이상 신호의 신호 송출은 모드 삭제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 모드에 의한 불필요 정보로서 이상 신호를 모두 제거하는 방식을 기술하였으나, 관리 모드일지라도 그 보수 모드의 관리상에서 필요한 정보를 필요 정보로서 모두 감시국(43)으로 송출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그런데, 제1도의 낸드 게이트(31)대신에 제4도와 같이 앤드 게이트(310)와 신호 식별 형성 회로(311)에 의하여 구성하면 관리 모드인 보수 모드가 제3 검출 회로(22)로서 검출된때 이 보수 모드 신호는 앤드 게이트(310)의 입력단에 송입되고, 이때 이상 검출 회로(14)의 검출신호는 앤드 게이트(310)의 다른 입력단에 송입되어 따라서 앤드 게이트(310)의 출력 신호가 발생하고, 이 출력 신호는 식별 형성 회로(311)에 입력되어 여기서 관리 모드에 의한 불필요 정보인 이상 신호로서 ID(식별)코드가 부가 되며 판별 회로(37)를 거쳐 신호 송출 회로(42)를 통하여 감시국(43)으로 송출 된다. 감시국(43)에서는 ID 코드에 의하여 관리 모드에 의한 필요 정보인 이상 신호로서 취급된다. 예컨데 기기에 식별 코드를 부가하면 후일 유저에 의해서 어느 기기가 점검되었는가를 편악할 수가 있고, 따라서 확실한 정기 보수 관리가 행하여진다. 또 후일의 실보통계 처리에 있어서는 상기 정보를 제외하면 통계 처리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또한 상기하지 않았으나 스위치 수단(15)이 순회 모드 접점(19)에 절환 설정되어 있을때에도, 순회 모드 신호가 관리 모드 검출부(25)의 제4검출 회로에서 제4 앤드 게이트(30)와 제2 지연 회로(35)에 송출되고 있으므로, 순회 모드에 대하여 미리 제2 지연 회로(35)에서 설정된 일정한 순회 시간의 경과하여도 순의 모드가 해소되지 않을 때에는 제4 앤드 게이트(30)의 출력단에 출력이 발생하고, 이 출력에 의하여 순회 오버 신호작성 회로(39)가 가동되므로 순회 표시와 순회 오버 신호의 송출이 표시 수단(41)과 신호 송출 회로(42)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보 장치(1)의 의하면 스위치 수단(15)의 절환 설정만 인위적 조작하고, 이 절한 설정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관리 모드의 개시가 설정되고, 더우기 관리 모드의 종료시에는 정보를 인위적으로 행하지 않아도 감시국으로 감시되므로 통보 망각에 의한 사고 발생등의 위험도 해소되며 다수 순회 드드중의 경비원이 순회 설정 시간을 초과하여도 이 모드의 해소가 되지 않은 때는 이것도 자동적으로 감시국에서 알아차릴 수 있으므로 순회중의 안정 보장도 얻어진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경보 장치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는 블록도이며, 동 실시예 에있어서의 구성 요소에 있어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가 제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스위치 수단(15a),(15b)의 2개의 절환 수단이 설치되어서 스위치 수단(15a)의 의하여 경비 모드의 절한 설정이 행하여지며 스위치 수단(15b)에 의하여 관리 모드의 절환 설정이 행하여지는 점, 또 관리 모드에는 보수 모드, 순회 모드에 정지 모드가 부가되었고, 상기 정지 모드(44(에서는 보수도 순회도 정지되어 있는 모드의 설정이 행하여지고, 정지 모드의 검출은 제5 검출 회로(45)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점, 제1, 제2의 플립플롭 회로(46), (47)가 제어 판단부(26)에 설치되어 있는 점등에 있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상기의 구성상의 차이에 근거한 경부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바와 같이 스위치 수단(15a)에 의하여 경비 개시 모드의 설정 또는 경비 해제 모드의 설정이 행하여지며 각각 세트 신호, 해제 신호로서 제1, 제2 검출 회로(20), (21)에서 검출된다. 또 스위치 수단(15b)에 의하여 보수 모드, 순회 모드, 및 정지 모드의 절환 설정이 행하여지며 각각 보수 모드 신호, 순회 모드 신호, 정지 모드 신호로서 제3, 제4, 및 제5 검출회로(22), (23), 및 (45)에 의하여 검출된다. 보수 모드가 종료된 시점에서 스위치 수단(15b)을 정지 모드 접점(44)에 절환 설정하면, 제1 지연 회로(34)의 입력측에 접속된 제1 플립플롭 회로(46)의 리세트 단자(R)에 제5 검출 회로(45)의 검출 신호가 송입되고, 이 제1 지연 회로(34)의 동작이 정지된다. 고로 제3 앤드 게이트(29)의 출력단자에는 출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보수 오버 신호 작성 회로(38)에 의한 보수 오버 신호의 발생이 저지된다. 즉, 정지 모드에 설정되어지면 당연히 보수 모드가 종료하고 있으므로 보수 오버가 발생하는 일은 없는 것이다. 또한, 정지 모드의 검출 신호는 경비 모드 검출 회로(24)에 송출되어서 현행의 경비 모드가 경비 개시 모드인지 경비 해제 모드인지의 검출을 한다. 즉, 이 검출 신호에 응하여 제1 검출 회로(20) 또는 제2 검출 회로(21)가 검출 신호를 발생한다. 이 경비 모드의 검출 신호 발생 이후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스위치 수단(15)이 세트 접점(16) 또는 해제 접점(17)으로 절환된 경우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 순회 모드에서 정지 모드로 스위치 수단(15b)이 절환 설정된 때에는, 제2 지연회로(35)의 입력축에 접속된 제2 플립플롭 회로(47)의 리세트 단자(R)에 정지신호가 제5 검출 회로(45)에서 인가된다. 이 결과로서, 제2 지연 회로(35)의 동작이 정지된다. 때문에 제4 앤드 게이트(30)의 출력 단자에는 출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순회 오버 신호 작성 회로(39)에서 순회 오버 신호는 발생되지 않는다. 또, 제5 검출 회로(45)의 정지 신호는 경비 모드 검출 회로(24)를 작동시켜 현행의 경비 모드가 경비 개시 모드인지 경비 해제 모드인제에 응하여 상기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1 또는 제2 검출 호로(21), 또는 (22)에서 검출 신호를 발생한다. 이 검출 신호의 발생 이후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경비 모드와 관리 모드를 각각 별개의 스위치 수단(15a), (15b)으로 절환 설정하는 것에 의하며, 보수원 또는 순회 경비원은 특히 관리 모드에 있어서의 보수 모드 또는 순회 모드의 종료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경비 모드의 스위치 수단(15a)r과 관리 모드의 스위치 수단(15b)을 구비하므로써 보수시에 있어 경비 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있어서의 동작 점검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경보 장치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제1, 제2의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는 자기 카드 등의 식별 카드를 사용하여 경비 모드에 있어서의 각 모드의 설정 및 관리 모드에 있어서의 순회 모드의 설정이 행하여 지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보 장치(1)는 카드 독출부(50)와 관리 모드에 있어서의 보수 모드 설정 스위치(15C)를 지니고 카드의 독출 결과는 카드 식별부(51)에 있어서의 유저 카드 식별 회로(52)롸 순회자 카드 식별 회로(53)에 있어서 식별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판단 제어부(26)는 판별 회로(37), 메모리(40), 제1 카운터(54), 제2 카운터(55), 제1 지연 회로(34), 제2 지연 회로(35), 제1 내지 제3 플립플롭 회로(46 내지 48), 낸드 게이트(56), 제1 내지 제3 앤드 게이트(57 내지 59), 시트 판단 회로(60), 오조작 신호 작성 회로(36), 보수 오버 신호 작성 회로(38), 순회 오버 신호 작성 회로(39)로 구성되고 도시한대로 상호 결합 배선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경보 장치(1)를 유저만이 사용하는 유저용 카드와 경비원만이 사용하는 순회용 카드가 미리 준비되어 사용하는 것이며, 유저용 카드는 카드 독출부(50)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경비 영역의 경비를 개시하는 세트 모드의 설정과 해제하는 경비 해제 모드의 설정의 2종의 설정만이 행하여지도록 작성된다. 한편, 순회용 카드는 카드 독출부(50)에 삽입하여 경비 영역을 세트 모드 또는 경비 해제 모드에서 순회 모드로 절환하고, 또, 순회 모드에서는 세트 모드로 되돌리는 것밖에 할 수 없도록 미리 작성되어 있다. 이것은, 경비원이 이상 점검 또는 정기 점검을 행할때 이외에 있어서 용이하게 경비영역으로 침입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즉, 경비원 자체에 의한 범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 유저가 유저 카드를 카드 독출부(50)에 삽입 조작하면 유저 카드 식별 회로(52)가 그 카드의 식별을 행한다.
이때, 그 유저 카드가 올바른 카드라고 식별이 되면, 판별 회로(37)에 신호가 송출되어, 이 판별 회로(37)는 현행 모드가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40)에서 현해 모드를 판독한다. 이 판독된 현행 모드가 경비 해제 모드이고, 또한 제2 카운터(55)가 “0”을 기록하면, 판별 회로(37)는 세트 판단 회로(60)에 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세트, 판단 회로(60)에는 이상 검출회로(14)에서 미경계 개소(문 개방, 창 개방)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어 있으므로, 미경계 개소가 없다면, 세트 판단 회로(60)는 표시 수단(41)과 신호 송출 회로(42)에 세트 신호를 송출하고, 세트 모드의 표시와 감시국(43)에 대한 세트 모드 개시를 자동 통보 한다. 이같이 하여 경비 영역은 경비 해제의 모드에서 경비 개시의 세트 모드에 절환된다. 이때 메모리(40)에 기억되는 현행 모드도 경비 해제 모드에서 경비 개시 모드로 바뀐다. 다른 한편 이상 검출 회로(14)에서 비경계 개소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이상 신호가 세트 판단 회로(60)에 입력되어 있으며, 세트 판단 회로(60)는 오조작 신호 작성 회로(36)에 신호를 송출하여 오조작 이상 신호를 표시수단(41)가 신호 송출 회로(42)에 송출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표시 수단(41)은 유저에 의한 장치의 오조작 즉 유저가 미경계 개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모드를 경비 해제 모드에서 세트 모드로 절환한 오조작을 표시하고 또 이 사실이 감시국(43)으로 자동 통보 된다. 유저는 미경계 개소 즉, 문 개방, 창 개방 등의 이상 개소를 수복하고 나서 재차 유저 카드를 카드 독출부(50)에 삽입 조작하면 세트 모드에 설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유저 카드 미리 작성된 카드 이외의 다르 유저 카드라면 유저 카드 식별 회로(52)에서 그것이 식별되고 모드 절환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한편, 현행 모드가 세트 모드이면 유저 카드의 삽입에 응하여 바른 유저 카드의 경우에는, 판별 회로(37)에서 표시 수단(41)과 신호 송출 회로(42)에 경비 해제 모드 신호를 송출하고 표시 수단(41)에 의하여 경비 해제 표시를 행함과 동시에 감시국(43)으로 해제 신호를 송출하고 경비 해제로 설정되는 것을 자동 통보한다. 또, 메모리 수단(40)의 기억 모드는 세트 모드에서 경비 해제 모드로 바꿔 써진다.
경비원이 경비 영역의 정기 점검 또는 이상 개소의 점검을 목적으로 하여 경비 영역에 들어가는 경우에, 순회카드를 카드 독출부(50)에 삽입하면 순회 카드 식별 회로(53)가 올바른 순회 카드인지 아닌지를 식별한다. 식별 결과, 잘못된 카드라면 경비 영역이 순회 모드에 설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또, 식별 결과 올바른 순회 카드라고 식별되면 순회 카드 식별 회로(53)에서 제1 카운터(54)에 순회 신호가 송출되고, 이 제1 카운터(54)는 계추치 “1”에 카운트업 된다. 이때 제1 카운터(54)에서 제2 플립플롭 회로(47)의 세트 단자(S)에 신호가 입력되어, 출력 단자에 출력이 발생하여 제2 앤드 게이트(59)의 일방에 입력된다. 동시에 제1 카운터(54)에서 제2 지연 회로(35)에도 신호가 입력되어서 순회 모드 시간을 설정하는 이 제2 지연 회로(35)를 동작시킨다. 다시 제1 카운터(54)에서 판단 회로(37)에서 판단 회로(37)에의 신호 입력에 응하여 이 판단 회로(37)는 메모리(40)의 기억하는 모드가 세트 모드, 경비 해제 모드의 어느 경우에도 순회 신호를 표시 수단(41)과 신호 송출 수단(42)에 송출하여 순회 모드의 표시를 행함과 동시에 원격의 경비 센터에 있어서의 감시국(43)으로 순회 모드의 자동 통보를 행한다. 경비원에 의한 순회가 종료된 시점에서 이 경비원이 재차 순회 카드를 카드 독출부(50)에 삽입 조작하면 순회 카드 식별 회로(53)의 순회 신호에 의하여 제1 카운터(54)는 계수치 “0”에 리세트 되고, 제2 플립플롭(47)의 리세트 단자에 신호가 입력되어 출력단자의 출력이 해소된다. 즉, 제3 앤드 게이트(59)의 입력단으로의 신호 입력이 꺼진다. 때문에 이 제3 앤드 게이트(59)의 신호 입력이 꺼지는 시점이 제2 지연 회로(35)에서 제3 앤드 게이트(59)로의 입력 신호 시기보다 조기에 즉, 순회 모드 설정 시간내에 행하여지면 제3 앤드 게이트(59)의 출력단에는 출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순회 오버 작성 회로(39)에 의한 순회 오버 신호의 발생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그러나 제2 지연 회로(35)에서 제3 앤드 게이트(59)로 일정한 순회 설정 시간에 입력 신호가 인가된때 아직 제3 앤드 게이트(59)의 다른 입력 단자에 제2 플립플롭 회로(47)에서 신호 입력이 송입되어 있으면 제3 앤드 게이트(59)로부터 순회 오버 신호 작성 회로(39)로 신호가 송출되므로 이 순회 오버 작성 회로(39)는 표시 수단(41)과 신호 송출 회로(42)로의 순회 오버 신호를 송출하고 순회 오버 표시와 순회 오버의 자동 통보가 된다. 따라서 경비원이 일정한 순회 설정 시간후에도 순회 카드 조작을 하지 않으면 무인의 경비 영역에서 무엇인가의 장해가 발생된 것을 감시국(43)은 알 수 있으므로 이에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경비원이 세트 모드에 있는 무인의 경비 영역을 순회하는 경우의 안정 보장이 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재차의 순회 카드의 삽입이 행하여졌을때에는 제1 카운터(54)에서 판별 회로(37)에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것에 의하여 판별 회로(37)는 메모리(40)에서 현 모드을 읽어낸다. 이때에 현 모드가 세트 모드라면 세트 판단 회로(60)로 세트 신호를 송출하고 다시 표시 수단(41)과 신호 송출 회로(42)로의 세트 신호를 송출하여 세트 모드의 표시와 자동 통보를 행한다. 이것에 의하여 세트 모드에 있어서 경비원이 행한 순회가 종료된 것을 원격의 감시국(43)은 알아 차릴 수가 있는 것이다.
현행 모드가 경비 해제 모드의 경우, 판별 회로(37)는 제2 카운터(55)에 신호를 보내어 카운터(55)는 “1”로 세트 된다. 결과적으로, 제2 카운터는 제3 플립플롭 회로(48)의 세트 단자에 신호를 보내어 출력 단자에서 출력이 발생되게 한다. 그후에, 유저 카드가 카드 독출부(50)로 삽입되면 유저 카드 식별 회로(52)에서 판별 회로(37)에 신호가 송출되어 이 판별 회로(37)는 다시 제2 카운터(55)에 신호를 송출한다. 때문에 제2 카운터(55)는 카운트다운 하여 “0”치에 복귀하고 그 결과, 제2 카운터(55)에서의 신호에 응하여 제3 플립플롭 회로(48)의 리세트 단자에 입력이 발생하고 이 제3 플립플롭(48)은 리세트 되어 출력 단자의 출력이 지워진다. 즉, 제2 앤드 게이트(58)의 일방의 입력 단자로의 입력 신호를 해소한다. 즉, 현행 모드가 해제 모드의 경우에는 순회 모드의 개시는 경비원의 순회 카드에서 설정이 행하여져 순회 모드의 해소는 유저 카드에 의하여 설정되지 않으면 제2 앤드 게이트(58)의 출력 단자에서 출력이 발생하여 순회 오버 신호 작성 회로 (39)에서 순회 오버 신호가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 현행 모드가 해제 모드이면 경비 영역은 경비 해제에 있고, 따라서 경비원은 유저부로부터 유저 카드를 차용하여 카드 삽입 조작을 행하여 순회 모드의 해소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설명에서 순회 모드의 개시후에 다음의 해제 모드 또는 세트 모드의 설정이 행하여질때까지 제2, 제3 앤드 게이트(58), (59) 및 제2 지연 회로(35)에 의하여 순회 시간의 감시가 행하여지며 순회시간을 초과하면 순회 오버 신호가 발생되는 것에 의해 그 표시와 감시국(43)으로의 자동 통보가 되게 되므로 경비원에게 불측의 사고에 의한 신상 안전 보장이 꾀하여지는 동시에 경비 해제 모드시에 행하여진 순회에 즈음하여, 경비원이 설정시간내에 올바르게 순회를 행하였는지 아닌지도 감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경비 해제 모드에 있어서의 순회 개시 설정후의 순회 종료시의 순회 모드의 해소는, 종래하면 재차의 순회 카드 조작으로 경비 모드의 개시 설정이 되기 때문에 경비 해제시는 미경계 개소(문짝, 창등이 개방)가 잔존하는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오조작 이상이 될 확률이 높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모드 설정시에 일시적으로 순회 모드에서 경비 해제 모드로의 설정에 대하여 제2 카운터 회로(55)와 제3 플립플롭(48)으로서 되는 중계 수단에 의하여 상기 모드 절환이 중계되고, 상기한 오조작이 이상인 불필요 정보를 삭감화 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또, 중계 수단에 의한 모드 중계상태를 새로운 모드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순회 모드에서 경비 모드로의 모드 절환에 대하여 모드 중계 상태를 작성하였으나, 이들의 모드 절환만으로 특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보수 모드의 설정은 스위치 수단(15c)을 보수 접점(18)에 절환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보수 접점(18)에 스위치 수단(15c)이 절환되면 제1 플립플롭 회로(46)에 세트 단자에 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 이 제1 플립플롭 회로(46)의 출력 단자에 출력이 발생하고 낸드 게이트(56)의 일방의 입력단에 신호가 입력된다. 이 낸드 게이트(56)의 다른 입력 단자에는 이상 검출 회로(14)에서 이상 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 낸드 게이트(56)는 보수 모드 중에는 불필요한 정보로서 판별되어 판별 회로(37)에 송출하지 않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원격의 감시국(43)에도 전혀 이상 신호가 송출되진 않는 것이다.
또, 낸드 게이트(56) 대신 제4도와 같이 앤드 게이트(310)와 신호 식별 형성 회로(311)를 사용하면 관리 모드에 의한 필요 정보로서 모두 ID 코드가 부가되어 감시국(43)으로 송부된다. 즉, 보수 모드 중에는 경비원 또는 유저가 이상 발생에 대처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 정보로서 경비 센터에 송출되는 일이 없게 되던가 또는 송출되어도 ID 코드에 의하여 보수 모드 관리상의 필요 정보라고 하여 식별 가능한 까닭에 그것에 의한 불필요한 대처 확인 행동이 감속한다. 또, 이 보수 모드 관리상의 필요 정보로서 위효하게 사용하면, 즉 기기에도 ID 코드를 부가하는 것에 의하여 후일 이들 ID 코드의 대비에 의한 정기 보수가 확실하게 된다. 또, 제1 플립플롭 회로(46)의 출력 신호는 제1 앤드 게이트(57)의 2개의 입력 단자에 하나는 제1 지연 회로(34)를 통하여 인가되어 있다. 보수 모드가 제1 지연 회로(34)에 의하여 설정된 일정한 보수 시간내에 스위치 수단(15c)이 떨어지게 조작되지 않는 경우에는 보수 오버신호가 송출된다. 고로 감시국(43)에서 보수 시간의 감시를 행할 수가 있다. 또, 유저에 의한 보수와 경비 회사에 의한 보수의 구별을 할 필요성이 있을 때에는 예컨데, 카드와 스위치에 의하여 식별하여도 된다. 유저와 경비 회사의 보수의 구별은 여러가지가 생각된다.
이상의 여러 실시예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수 또는 순회 종료후의 새로운 모드 설정에 있어서의 불필요 정보가 삭제되어 경비 센터에서 송출되지 않는 때 또는 관리 모드에 필요한 정보로서 송출된 때에도 이상 정보와 구법이 되므로 경비 시스템에서는 실보를 높은 확률로 알아차리는 일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신뢰성과 안정성의 향상이 달성됨과 동시에 관리 코스트의 상승 억제를 달성할 수 있다. 관리 모드에 의한 필요한 정보로서 송출된 정보는 예컨데 거기에 ID 코드를 부가하는 것에 의하여, 어느 기기가 정기 보수되어 있는지 또는 언제 보수되었는지가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고, 기기의 보수 관리에 유용하게 쓸모가 있다. 또, 후일의 통계 처리에 있어서도 이상 분석에 즈음하여, 신뢰도가 높은 통계결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수 오버 신호와 순회 오버 신호를 양쪽 작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어느것인가의 일방이라도 좋다고 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관리모드에 있어서의 보수 모드, 순회 모드에 대하여 미리 설정한 최적의 보수 시간, 순회 시간에 대한 감시를 행할 수가 있으므로 보수 종료나 순회 종료의 통보 망각에 의한 사고 방지를 꾀할 수가 있고, 다시 순회 또는 이상 점검을 행하고 있는 경비원의 안정 보장도 확보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의 실시예에서 있어서, 표시 수단(41)은 주지의 음성 표시, 부자 조명 표시, 램프 점등 표시, 디스플레이 표시등의 각종 표시법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시 이상 검지기는 침입 검지기(10)와 화재 검지기(12)를 사용하는 경우을 설명하였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스 누설 검지기, 비상 통보 장치, 설비 이상 검지기 등의 각종의 것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스위치 수단은 터치 버튼스위치나 감응식 스위치 등의 스위치가 사용될 수도 이다.

Claims (3)

  1. 침입, 화재등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지기(10, 12)가 설비된 경비 영역의 경비를 경비 센터와 연휴하여 행하는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기(10, 12)에 접속됨과 동시에 경비 개시 모드와 경비 해제 모드로 이루어지는 경비 모드와, 보수 모드와 순회 모드로 이루어지는 관리 모드 사이에서 절환 설정하는 전환 설정 수단(15,16,17,18,19;15a,15b,16,17,18,19;50,15c,18)과, 상기 이상 검지기(10, 12)가 이상을 검지하였을때 상기 경비 모드와 관리 모드와의 양 설정 모드에 의거 하여 검출 정보의 송출여부를 판별하는 판변 회로(37)와, 감시국(43)에 정보 송출하는 신호 송출 회로(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회로(37)는 관리 모드중 순회 모드 또는 보수 모드의 작동시간을 일정한 설정 시간으로 제한 하는 제1 및 제2 지연 회로(34, 35)과,
    이 일정한 설정 시간을 넘어서 관리 모드의 동작 시간이 유지될 때, 오버 신호를 발생하는 오버 신호 작성회로(38, 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장치.
  3. 침입, 화재 등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지기(10, 12)가 설비된 경비 영역의 경비를 경비 센터와 연휴하여 행하는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기(10, 12)에 접속됨과 동시에 경비 개시 모드와 경비 해재 모드로 이루어진 경비 모드와, 보수 모드와 순회 모드로 이루어진 관리 모드 사이에서 전환 설정하는 전환 설정 수단(15,16,17,18,19;15a,15b,16,17,18,19;50,15c, 18)과, 새로운 모드 설정을 할때, 현행 모드에 의거하여 모드 전환을 결정하는 판별 회로(37)와, 어떤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설정 전환할 때 모드의 직접 전환을 방지하기 위해 모드 중계를 상태를 형성하는 중계 수단(55,4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장치.
KR1019830002934A 1982-06-30 1983-06-28 경보 장치 KR870001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444 1982-06-30
JP57111444A JPS593596A (ja) 1982-06-30 1982-06-30 警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241A KR840005241A (ko) 1984-11-05
KR870001468B1 true KR870001468B1 (ko) 1987-08-12

Family

ID=1456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934A KR870001468B1 (ko) 1982-06-30 1983-06-28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514721A (ko)
JP (1) JPS593596A (ko)
KR (1) KR870001468B1 (ko)
CA (1) CA11969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5698A (ja) * 1986-08-27 1988-03-10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ビル遠隔監視システム
JPH0757423B2 (ja) * 1988-01-04 1995-06-21 株式会社東芝 電縫管製造装置のインピーダケース
JPH0358792U (ko) * 1989-10-14 1991-06-07
DE10011410A1 (de) * 2000-03-09 2001-09-20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sicheren Signalerzeugung
JP2007233886A (ja) * 2006-03-03 2007-09-13 Atsumi Electric Co Ltd 警備システム用のカードリーダ
JP6297384B2 (ja) * 2014-03-28 2018-03-20 セコム株式会社 警備装置、警備システムおよび警備モード設定方法
JP6819359B2 (ja) * 2017-03-01 2021-01-27 株式会社ノーリツ 給湯システム
CN111127690A (zh) * 2019-12-11 2020-05-08 深圳供电局有限公司 配网架空输电线路的无人机巡检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8391A (en) * 1970-04-06 1972-07-18 Sylvania Electric Prod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US3914692A (en) * 1973-08-29 1975-10-21 Jr George C Seabor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US3925763A (en) * 1973-09-13 1975-12-09 Romesh Tekchand Wadhwani Security system
JPS5161293A (ja) * 1974-11-26 1976-05-27 Nippon Keibi Hosho Kk Keibishisutem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196983A (en) 1985-11-19
JPH0210998B2 (ko) 1990-03-12
KR840005241A (ko) 1984-11-05
JPS593596A (ja) 1984-01-10
US4514721A (en) 198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1831B (zh) 电梯安全系统
US4689610A (en) Access control and security alarm apparatus and method
KR870001468B1 (ko) 경보 장치
CN104803251A (zh) 电梯困人的检测方法及系统
US5339339A (en) Process for carrying out an inspection round of nuclear installations
CA1196707A (en) Security-ensuring apparatus having an operational guidance function
CN111882722A (zh) 一种道闸开闸计数方法
CN213693237U (zh) 一种多功能安全继电装置
JPH05132256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とその遠隔監視システム
CN114076852B (zh) 一种用于工业机器人的安全控制系统及安全控制方法
KR100186374B1 (ko) 엘리베이터 진단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H029435Y2 (ko)
JP3792416B2 (ja) 臨界警報装置
JPS6168698A (ja) 集中監視装置
JPH0664663B2 (ja) 異常信号保留システム
JPH05282583A (ja) 表示装置を備えた警報装置
JPH1049767A (ja) 入出退管理装置
CN116863577A (zh) 一种密码实时更替防偷窥的智能门禁系统
JPH07228442A (ja) 異常通報装置
JPH05244309A (ja) 通信端末装置
JPH01122254A (ja) ビル監視装置
CN115963343A (zh) 检测模块柜内模块供电状态的方法、装置、介质及设备
JPS6229354B2 (ko)
JP2003208678A (ja) 機械警備端末装置
JPH0786951B2 (ja) 表示装置を備えた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0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