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109B1 - 직기에 있어서 정위치정지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에 있어서 정위치정지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109B1
KR870001109B1 KR1019840001640A KR840001640A KR870001109B1 KR 870001109 B1 KR870001109 B1 KR 870001109B1 KR 1019840001640 A KR1019840001640 A KR 1019840001640A KR 840001640 A KR840001640 A KR 840001640A KR 870001109 B1 KR870001109 B1 KR 870001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m
brake operation
stop
brake
st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397A (ko
Inventor
마사히고 긴바라
아기오 아라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속기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속기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속기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40008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6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using particular methods of stopp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6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using particular methods of stopping
    • D03D51/08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using particular methods of stopping stopping at definite point in weaving cycle, or moving to such point after st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기에 있어서 정위치정지제어장치
제 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직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모식도(模式圖).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특히 본발명과 관련되는 부분을 좀더 상세하게 표현한 사시도.
제3도는 일본 특개소 57-176242호에서 이미 제안된 바 있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한 가지 구성예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4도는 크랭크각의 개념도 해적으로 표시한 크래프.
제5a도 및 제5b도는 일본 특개소 57-176242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을 공정별로 분해하여 표시한 플로우 차아트.
제6도는 직물조직의 종류에 따라서 직기의 부하가 각 회전마다 변동하는 일례를 표시하는 크래프.
제7도는 본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한가지 구성례를 표시하는 블록크도,
제8a도 및 제 8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5a도 및 제 5b도의 플로우 차아트에 변경을 가한 새로운 플로우 차아트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모우터 31 : 정지위치 설정기
123 : 크랭크샤프트 32 : 제어회로
130 : 마이크로 콤퓨터 33 : 비교 연산(演算)회로
12 : 브래이크 장치 34 : 기억회로
22 : 크랭크 각위치 검출장치 71 : 프리셋터
본 발명은 마이크로콤퓨터에 의한 직접제어가 행하여지는 직기에 있어서 정위치 정지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마이크로콤퓨터의 보급에 따라 이 마이크로콤퓨터에 의하여 직접제어되는 직기의 출현을 볼수 있게 되었다.
이 마이크로콤퓨터제어에 의하면
(1) 잘못된 조작이나 스퇴모우션의 고장에 기인하는 불량생산이 방지되고
(2) 제어계통의 이상 고장에 대한 검출기능이 향상되어 메인테넌스가 용이하고
(3) 프로그램에 의한 사양의 다양화, 그 변화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는 등의 이점이 기대된다.
이 때문에 마이크로콤퓨터의 제어에 의하지 아니한 종래의 직기에서는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던 특별한 제어도 비교적 간단하게 실현된다.
이 특별한 제어의 한가지 방법을 본 발명에 의하여 직기에 있어서 정위치정지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정위치 정지라함은 경사의 절사 또는 위사의 절사 기타의 이상발생에 의하여 직기의 모우터를 정지시키는 경우, 미리 정한 위치에서 직기의 계전체가 정지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위치라함은 구체적으로는 전기한 모우터에 연동되는 크랭크샤프트(주축)의 크랭크각을 의미한다. 이 크랭크샤프트의 크랭크각이 직기에 있어서 동작타이밍계를 규정한다.
그러나 모우터를 정지시킬 때에 항상 일정한 크랭크각에서 정지된다고는 보장할 수 없다.
이것은 모우터에 연결된 브래이크의 마모등 여러가지 종류위 요인에 의하여 일정한 브래이크력이 장기간 유지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만약 정위치정지가 확보될 수 없을 때네는 예를들면 위사 또는 경사의 수복(修復)에 부적합한 나쁜 형태로 직기가 정기하게 된다. 또 예를들면 에어젯트방식에 의한 위입장치를 가진 직기에서는 에어가 분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직기가 정지될 우려도 생길 수 있다.
종래에는 이와같은 정위치의 벗어남이 생기면 조작자가 매뉴얼조작으로 조정하여 원정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행하여 왔다.
그러나 마이크로콤퓨터의 도움을 받음으로써 그와 같은 매뉴얼조작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특별한 정위치정지제어가 실현될 수 있다.
이 특별한 정위치정지제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출원인은 일본 특원소 56-57822(특개소 57-176242)호를 이미 제안한 바 있다(후술함).
이것은 직기의 동작타이밍계가 소정의 브래이크작동개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이 브래이크작동을 개시시킴으로써 그 직기를 그 동작타이밍계에서 미리 정한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정위치정지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번회의 브래이크동작에서 생긴 전기한 위치와 실제의 정지위치와의 어긋남을 검출하고 또한 기억하는 공정과, 금번회의 브래이크동작의 작동개시에 대비하여 전기한 소정의 브래이크작동 개시위치에 대하여 전기한 공정에서 기억된 어긋남을 이용하여 보정을 가하기 위한 계산을 행하는 공정과, 전기한 동작타이밍계를 검출하여 전기한 보정을 가한 브래이크작동 개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브래이크작동을 개시하는 공정과, 금번회의 브래이크동작에 있어서 전기한 어긋남을 검출하고 다음번의 브래이크동작을 위하여 기억하게 하는 공정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그리하여 마침내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자동보정이 가하여져서 항상 적정한 위치를 가지고 전기한 동작타이밍계가 정지하게 된다. 또 이에 따라서 조작자는 정위치 정지의 감시로부터 해방될 수 있으므로 인력절감화에도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그러나 반면에, 상기한 바와같은 자동보정을 가하였으나 이 때문에 오히려 적정한 정위치를 가지고 동작 타이밍계가 정지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길 때가 있다. 이 문제는 직물조직의 종류에 따라서 직기의 부하가 각 회전시마다 변동한다는 사실이 유래되는 것이다.
평직의 경우에는 1픽크에 요하는 시간이 거의 일정하더라도 예를들면 콜듀로이 (골뎅)의 경우에는 1픽크에 요하는 시간이 변동한다.
이것은 개구부하의 크기가 직물조직에 따라서 변화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이미 제안된 상기의 정위치정지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전번회의 브래이크동작에 있어서 생긴 정위치와 실제의 정지위치간의 어긋남이 기억되어 금번회의 브래이크작동개시의 타이밍제어에 반영될 것이기 때문에 이 기억된 어긋남이 가령 가장 개구부하의 큰 (또는 가장 개구부하의 작은) 때에 대응하는 것일지라도 또한 금번회의 브래이크작동개시가 가장 개구부하의 작은 또는 가장 개구부하의 큰) 때에 행하여졌다고 한다면 먼저번의 결과를 금번의 동작에 “피이드백”하게 된다는 취지가 전여 상실되고 오히려 정위치 정지제어에 있어서 오차를 증폭시켜 버리게 된다.
결국 고정밀도의 정위치정지제어를 의도하면서 직물조직에 따라서 정하여진 개구부하의 변동이 있으면 이 고정밀도를 벌써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물조직의 여하에는 관계없이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는 직기에 있어서의 정위치정지제어를 할수 있는 방법을 제안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물조직의 종류에 따라서 직기의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주기가 변동되고 또한 이 변동이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반복하여 나타남에 착안하고 이 일정한 주기의 반복이 N(N는 2이상의 정수)개의 위치에서 구성될 때 이수 N를 초기설정시키는 프리셋터를 갖추도록 하고 조기 설정된 이 N개의 위상의 각위상대응으로 전회의 프리셋터동작에 있어서 생긴 전기한 정위치와 실제의 정지위치와의 어긋남을 검출하고 또한 기억하는 제1공정과, 금회의 브래이크동작의 작동개시에 대비하여 전기한 소정의 브래이크작동 개시위치에 대하여 전기한 공정에서 기억된 어긋남을 이용하여 보정을 가하기 위한 연산(演算)을 행하는 제2공정을 실행하도록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직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모식도 (模式圖)이다.
이 도면에서 101은 야안비임으로서 다수본의 경사 102가 병열로 감겨져 있다.
이들 경사 102는 백로울러 103 및 장력로울러 104를 경유하여 경사멈출장치 105에 이른다.
경사멈출장치 105는 매경사에 드롭퍼(도시되지 않음)을 가지고 있으며, 어느 경사가 끊어지면 대응하는 드롭퍼가 이것을 검지하고 기대를 정지시키는 등의 조작을 개시한다. 장치 105를 경유한 경사는 경사눌림바아(bar) 106에 눌리면서 종광틀 107-1, 107-2에 의하여 교호로 상하로 2분되어 개구부 108을 형성한다.
이 개구부 108에는 도시하지 아니한 위사공급장치 예를들면 에어젯트노즐로부터 위사가 고속도로 삽입된다. 이 삽입을 위한 안내는 슬래이 109에 설치된 위입가이드 11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 슬래이 109에는 바디 111도 설치되어 있다.
바디 111은 슬래이 109의 요동운동에 의하여 위사가 삽입될 때마다 이것을 도면상 우측으로 타격하고 여기에 직포 112를 형성시킨다.
슬래이 109는 슬래이스워드 113을 게재하여 록킹샤프트 114에 의하여 전기한 요동운동을 행한다.
직성된 직표 112는 브래스트 비임 115, 써패이스로울러 116 및 프레스로울러 117을 경유하여 권취로울러 118에 위하여 감겨진다.
119는 권취된 직포이다.
상술한 동작의 구동원은 모우터 120로부터 주어지며 모우터풀리 121를 개재하여 드라이빙풀리 122에 전달되고 크랭크샤프트 123을 회전시킨다.
이 회전구동력은 도면중의 파형화살표의 루우트로 소정개소에 부여된다. 또한 야안비임 101에 대한 회전구동력은 변속기 124를 개재하여 전달되고 이 변속기 124에는 장력로울러 104로부터의 “피이드백”신호가 도면중의 점선의 파형화살표의 루우트로 공급된다. 이것은 경사 102에 대하여 소정의 장력을 주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합하게 적용된 직기는, 각 직기마다 설치된 마이크로콤퓨터에 의하여 직접 제어되어 전체의 운동동작이 관리될 수 있다.
이 마이크로콤퓨터는 제1도중 130으로서 도해적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마이크로콤퓨터 130과 각부분의 관계는 도면중의 일점쇄선(一點鎖線)으로 도해적으로 표시되어 있다(실제로는 마이크로콤퓨터 130의 각종I/O 보오드 즉 Input/Output board와 접속되는 신호선이다).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을 좀더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120-123은 제1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모우터 120의 주축에는 브래이크장치 21이 직결되어 있다(또한 브래이크장치는 크랭크샤프트등 직기구동계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여도 된다).
모우터 120을 정지시킬 때에는 모우터용 전원 P를 단절시킴과 동시에 브래이크장치 21에 브래이크용전원 B를 공급한다.
그러면 풀리 121 및 122 를 개제하여 회전하고 있던 크랭크샤프트 123은 급격히 정지한다.
통상 이정지는 크랭크샤프트 123의 1회전 내에서 완료된다(이미 설명한 바와 같음).
이 경우, 크랭크샤프트 123은 일정한 위치(크랭크각 위치)에서 정지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크랭크샤프트에는 통상 크랭크 각위치 검출장치 22가 설치되어 있으면 현재의 크랭크 각위치를 항상 감시하고 있게 한다.
이 장치 22는 예를들면 등간격으로 주연에 잇발을 형성한 원판 22-1과 이것을 근접하여 고정된 센서 22-2로 구성된다.
각각의 잇발이 센서 22-2에 근접할 때마다 예를들면 자기결합작용에 의하여 센서 22-2로부터는 크랭크각펄스 CP가 펄스열상(列狀)으로 출력된다.
또한 크랭크각펄스 CP의 절대각도를 규정할 원판 22-1의 소정의 1개소에는 영구자석 22-3이 설치되어 여기가 소위 홈 포지션이 된다.
또 크랭크 각위치 검출장치는 도시한 바와 같은 펄수를 헤아리는 것이외에도 애브소류트 엔코오더(Absolute encoder) (원판에 각도를 직접 나태내는 예를들면 바이나리코오드(Binary code)와 같은 부호패턴을 형성하고 직접 수치로서 각도를 검출시킬 수 있는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그리하여 직기를 일시 정지시킬 정지요구 신호가 발생되면 소정의 크랭크 각위치로부터 브래이크가 걸리기 시작하여 미리 예정한 정위치에서 크랭크샤프트 123은 그 회전을 정지시킨다.
제3도는 일본 특개소 57-176242호로서 이미 제안된 바 있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한가지 구성예를 표시하는 볼록크도이다.
도면중의 모우터 120, 브래이크장치 21 및 크랭크 각위치 검출장치 22에 대하여서는 이미 제 2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들 모우터 120 및 브래이크장치 21은 제어회로 32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회로 32에 정지요구신호 S가 입력(Input)되면 전기한 크랭크샤프트는 정지위치설정기 31에 의하여 설정된 정위치를 향하여 브래이크작용을 받는다. 33은 비교 연산회로, 34는 기억회로이다
이 도면에서는 이들 회로를 “디스크리이트”한“모듈”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전기한 마이크로콤퓨터 130에 포함되어서 프로그램 제어된다.
이하, 일본 특개소 57-176242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을 재삼 상술한다.
제 4도는 크랭크각의 개념을 도해적으로 표시한 그래프이며 제 5a도 및 제 5b도는 일본 특개소 57-176242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을 공정마다 분해하여 표시한 플로우차아트이다.
제4도에 있어서, a는 브래이크작동개시의 크랭크위치, c는 정지할 정위치를 표시하는 크랭트 각위치이다. 이 크랭크 각위치 c는 제3도의 정지위치 설정의 31에 의하여 디지탈프리셋트된다.
제 4도의 설정에 의하면 약 30도가 된다. 그러나 브래이크힘은 항상 일정하지는 않으므로 실제로는 크랭크각위치 c를 벗어나서 크랭크각 d로 정지한다. 다만, 크랭크각 d는 변동적이다.
크랭크각 b는 브래이크에 소요된 각도를 의미한다.
제 5a도에서 먼저 정지요구신호(제3도의 S)가 발생한다(스텝 1).
정지위치 설정기(제3도의 31)에 설정된 “디지탈 프리셋트”의 값(제4도의 c)을 비교ㆍ연산기(제3도의 3도)에 입력시킨다(스텝 2).
그 타이밍은 제어회로(제3도의 32)로부터의 지시로 정한다. 또한 제3도중 이중선 화살표시는 데이터의 흐름을 단선화살표시는 제어신호의 흐름을 각각 표시한다. 이 비교ㆍ연산기 33은 e
Figure kpo00001
c-b가 되는 연산을 실행한다(스텝 3).
여기서 b의 값은 직전의 브페이크 동작에 있어서 검출된 데이터를 표시하고 있다는 데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즉, 전번회에 있어서 정위치 정지의 위치를 벗어난 것을 기억해 두었다가 금번회에 있어서의 브래이크동작의 조정을 위한 데이터로 삼는다.
그리고 금번회의 브래이크동작으로 생긴 위치의 어긋남(차이)의 데이터는 다음회의 브래이크동작에 반영된다.
따라서 데이터 b 는 기어회로(제3도의 34)에 기억되게 된다.
이 데이터 b는 직기가 잠시 정지(전원이 끊김)된 경우일지라도 다음에 재개된 운전에 있어서는 반영되지 않으면 안되므로 이 기억회로는 불휘발성 메모리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스텝 3에서는 데이터 e를 산츨한다. 이 데이터 e가 데이터 a대신에 사용된다면 정위치 정지시킨 값을 의미하게 된다. 또한 스텝 4에서 g
Figure kpo00002
(e-a) ×r+a를 연산한다.
여기서 r은 소위 보정률을 표시하며 예를들면 r=1/2로 선택된다.
만약 이 보정률 r=1이 되면 매회 100%의 보정이 이루어져야 하나 100%의 보정을 행하면 여러가지의 외란(外亂), 오차등에 의하여 리피이드백의 결과가 진동이 되어 크랭크 각위치 c에 수속(收束 ; Convergence)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는 r은 1 이하의 값이 선정된다.
이 데이터 g는 이전의 계산에 있어서 정 또는 부의 값일 것이므로 이 정부판별을 한다(스텝 5).
정이면(YES)를 그대로 a로 치환하고(스텝 6),
부이면(NO)에 360도를 가하여 a로 치환시킨다(스텝 6').
이상의 조작은 모두 비교ㆍ연산기 33이 중심이 되어 행한다.
여기서 크랭크 각위치 검출장치(제3도의 22)는 크랭크 각위치 a(브래이크 작동개시각)이 g(또는 g+360도)인지 여부를 검출한다(스텝 7).
일치하지 않으면(NO) 일치할 때까지(YES) 검출을 계속한다.
일치하면 직기정지를 개시한다(스텝 8).
즉, 제3도의 제어회로 32는 모우터 120을 비여자(非勵磁)가 되게함과 동시에 브래이크 21을 여자시킨다.
그리하여 정위치 정지가 거의 확보되기에 이른다.
이 경우 다음회의 브래이크조작을 위하여 요번회의 브래이크조작으로 검출될 실제의 정지크랭크각 b를 측정해 두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플로우 차아트는 제5a도의 b로부터 제 5b도의 b로 옮겨진다.
먼저 스텝 9에 있어서 직기의 완전한 정지를 기다긴다.
정지한 후 스텝 10에 있어서 그 위치를 읽어낸다.
이 읽어내기는 크랭크각위치 검출장치 22가 행한다.
여기에 실제의 정지위치(크랭크각위치 d)가 구하여진다.(스텝 11).
이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d-a)를 연산하고 (스텝 12), 다음회의 조정용 데이터 b를 얻는다.
결국 스텝 3(제5a도)에 사용한 데이터 b는 전번회의 브래이크동작시에 스텝 12에 의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이용한 것이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설명하겠으나 그 공정의 태반은 이미 설명한 공정과 같으며 앞서 설명한 제5a도 및 제5b도의 플로우차아트가 변경된다(후술함).
제6도는 직물조직의 종류에 따라서 직기의 부하가 각회전시마다 변동되는 한가지 예를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가 표시하는 바에 의하면 이와같은 부하변동이 생길 때에는 제5a도 및 제5b도에 표시한 플로우차아트에 그대로 따라서 정위치정지제어를 행하면 오히려 제어오차를 일으켜 버리게 된다. 이 그래프에 있어서 횡축의 i는 위상을 표시하고 종축은 회전주기의 길이 t 를 표시한다.
회전주기의 길이라함은 크랭크 샤프트 123(제2도)가 제4도의 크랭크각을 360도에 걸쳐서 1회전하는 시간을 말한다. 이 1회전주기 t는 평직의 경우에는 변동없이 거의 일정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예를들면 콜듀로이(골뎅)에 있어서는 이회전주기가 일정하지 않으며 각 픽크마다 개구부하가 변동한다. 개구부하라함은 제1도의 종광틀 107-1 및 107-2의 개구에 소요되는 부하를 말하며 결국은 직기의 정지시에 있어서 브래이크동작의 부하도 된다. 이와같이 개구부하는 각 픽크마다 변동되나, 긴 주기에서 본다면 같은 패턴의 반박이 된다.
제 6도의 P1,P2,P3,P4…는 동일패턴의 반복을 표시하고 있다.
서로 동일한 패턴이므로 N개의 위상 i 즉 i=1,2,3…, N(이 도면에서는 N=5를 예시하고 있음)에 대하여 각위상을 대응하여 보면 어느 패턴에 있어서도 동일한 개구부하가 된다. 예를들면 위상 i=4에 대하여 착안하면 어느 패턴(P1,P2,P3…)를 취하여도 동일한 회전주기 t 4(동일한 개구부하)이다.
그런데 이와같이 부하변동이 심한 경우에 있어서 제5a도 및 제5b도의 플로우차아트를 그대로 적용한다면 오히려 제어오차는 커진다. 예를들면 패턴 P1의 위상 i=3의 타이밍(개구부하 최소)에서 기억된 위치차를 표시한 데이터 b(제5a도 및 제5b도)를 사용하여 패턴 P2의 위상 i=2의 타이밍(개구부하 최대)에서 정위치정지시키고저 하여도 정확하게 정위치정지제어시킬 수 없음은 명백하다. 즉 서로 동일한 위상에서 제5a도 및 제5b도의 플로우차아트를 실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기한 위상의 수 N를 초기 설정하는 프리셋터를 설치하였다.
이 N의 값은 직물조직에 따라서 다르나, 각 직물조직마다 이미 알려진 값이다.
제 7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한가지 구성예를 표시하는 블록크도로서, 새로운 프리셋터 71에 의하여 위상의 수 N을 초기 설정하고, 이것을 비교ㆍ연산회로 33을 개재하여 기억회로 34에 기억시킨다.
이와같이 위상수 N를 미리 준비한 위에 제5a도 및 제5b도의 플로우차아트에 변경을 가한다.
제8a도 및 제8b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5a도 및 제5b도의 플로우차아트에 변경을 가한 새로운 플로우차아트를 표시한 도면이다.
제8a도에 있어서 전기한 스텝 1의 앞단계에 위상 i의 수 N을 설정하는 공정(스텝 1')을 설치한다.
이것은 프리셋터 71(제7도)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에 따라서 전기한 마이크로콤퓨터 130은 N개의 위상으로 나누어져서 제5a도 및 제5b도의 플로우차아트를 실행하여야 함을 알수 있다. 즉, 제5a도 및 제5b도의 스텝 3,4,5,6,6'→11 및 12에 표시된 데이터 a,b,d,e 및 g는 각위상 i마다 별도로 처리되고 제8a도 및 제8b도와 같이 ai, bi, di, ei 및 gi와 같이 별도로 취급된다.
구체적으로는 제3도에 표시한 기억회로 34 마이크로콤퓨터 130 내의 통상의 RAM(Random Access Momory에 해당)가 1개의 메모리영역으로 구분되어 사용됨에 불과하다. 이와같이 상기한 데이터 a-g가 ai-gi와 같이 구분되어 처리되므로 정지요구신호 S(제3도)가 발생한 시점이 제 6도의 어느 위상 (i=1-5중 어느 것)에서 생겼는지를 파악해둘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제8a도의 스텝 3 및 스텝 11의 직전에 스텝 3' 및 스텝 11'를 삽입시켜서 정지요구신호 S의 발생시점이 어느 위상인지를 확인한다(위상 i의 결정).
또한 제6도의 각패턴 P1,P2,P3…에 있어서, 어느 위상에 있는지는 마이크로콤퓨터 130이 항상 파악하고 있으므로 그 위상의 확인은 용이하다.
이 결과 스텝 12이 갈곳은 제5a도 및 제5b도에 표시한 스텝 3이 아니고 스텝 3'이 되는 것이다.
상기한 플로우차아트가 실효있게 할려면 각 위상 i마다 미리 데이터 bi를 N개의 위상 i(i=1,2…,N)에 대하여 취득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직기가 어느 직물조직의 제직을 개시하기에 앞서 제8a도 및 제8b도에 표시한 플로우차아트의 전공정을 정지요구신호 S의 발생타이밍을 각위상 대응하여 변화시키면서 미리 실행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각개구부하에 대응하는 정위치정지제어가 행하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위치정지를 위한 자동보정을 도입함으로써 역으로 제어오차가 증폭된다는 문제를 유표하게 해결할 수 있으며, 직물조직의 여하에 불구하고 항상 고정밀도의 정위치정지제어를 행할 수 있다.

Claims (1)

  1. 직기의 동작타이밍계가 소정의 브래이크작동 개시위치에 도달되었을 때에 이 브래이크작동을 개시함으로써 이 직기를 그 동작타이밍계에 있어서 미리 정한 일정한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정위치정지제어방법으로서,
    전번회의 브래이크동작에서 생긴 전기한 정위치와 실제와 정지위치와의 어긋남 (차이)를 검출하고 또한 기억하는 제1공정과,
    요번회의 브래이크동작의 작동개시에 대비하여 전기한 소정의 브래이크작동 개시위치에 대하여 전기한 공정에서 기억한 어긋남(차이)를 사용하여 보정을 가하기 위한 연산(演算)을 행하는 제2공정과,
    전기한 동작타이밍계를 검출하여 전기한 보정을 가한 브래이크작동 개시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브래이크작동을 개시하는 제3공정과,
    요번회의 브래이크동작에 있어서 전기한 어긋남(차이)를 검출하여 다음회의 브래이크동작을 위하여 기억하는 제4공정을 가진 직기에 있어서 정위치정지제어방법에 있어서,
    전기한 브래이크동작을 행할 때의 부하가 연속 N개(N는 2이상의 정수)의 위상을 가지고 변동하고 또한 그 변동이 동일한 패턴으로 반복 나타날때에는 이 직기에 의하여 제직되는 직물조직에 고유의 전기한 위사의 수 N을 초기 설정한 후 , 전기한 제1,제2 , 제3, 및 제4의 공정을 각각 전기한 위상대응하여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 있어서 정위치정지제어방법.
KR1019840001640A 1983-04-13 1984-03-29 직기에 있어서 정위치정지제어장치 KR870001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737 1983-04-13
JP58063737A JPS59192752A (ja) 1983-04-13 1983-04-13 織機における定位置停止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397A KR840008397A (ko) 1984-12-14
KR870001109B1 true KR870001109B1 (ko) 1987-06-08

Family

ID=1323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640A KR870001109B1 (ko) 1983-04-13 1984-03-29 직기에 있어서 정위치정지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553569A (ko)
JP (1) JPS59192752A (ko)
KR (1) KR8700011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1682A (en) * 1984-08-07 1986-12-23 Beloi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winder for stop-to-length or stop-to-roll diameter
US4736324A (en) * 1984-11-20 1988-04-05 Tsudakoma Corp. Centralized control method for loom and device thereof
CH671591A5 (ko) * 1985-01-17 1989-09-15 Textilma Ag
NL8600870A (nl) * 1986-04-07 1987-11-02 Picanol Nv Aandrijving voor weefmachines.
JP2668565B2 (ja) * 1988-11-30 1997-10-27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回転数制御方法
KR101337830B1 (ko) * 2006-04-28 2013-12-06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탄소 섬유 직물의 제조 방법
JP5019942B2 (ja) * 2006-04-28 2012-09-05 東レ株式会社 炭素繊維織物の製造方法
CN103320949B (zh) * 2012-03-20 2016-02-10 厦门莱宝机械有限公司 一种不需要开口机构反转运动的反向寻纬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63697A (nl) * 1971-03-03 1971-08-02 Picanol Nv Aandrijfinrichting voor weefgetouwen.
US3805850A (en) * 1972-06-09 1974-04-23 Maschf Te Strake L Nv Control device for repairing weaving defects in a pneumatic weaving machine
JPS5593849A (en) * 1978-12-30 1980-07-16 Toyoda Automatic Loom Works Timing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in loom
JPS6028943B2 (ja) * 1981-04-18 1985-07-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織機における定位置停止制御方法
JPS5846150A (ja) * 1981-09-11 1983-03-17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定位置停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397A (ko) 1984-12-14
JPH0440464B2 (ko) 1992-07-03
JPS59192752A (ja) 1984-11-01
US4553569A (en) 198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5044A (en) Takeup motion control device for looms
US461929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tor-driven let-off and take-up system for looms
KR870001109B1 (ko) 직기에 있어서 정위치정지제어장치
US5228480A (en) Pick finding apparatus for electric motor driven heald frames
US4494203A (en) Method for correcting the deviation of a predetermined stop position in a loom
EP0440579A1 (en) Device for driving the reed in a loom, method for driving the reed and loom with such a device
EP0774538A1 (en) Shedd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same
EP1460158A2 (en) Filling bar preventing method and apparatus
EP133129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weft bars in a loom
EP0229913A2 (en) Weft yarn feeding device for a loom
KR880000775B1 (ko) 일정 크랭크각으로 직기회전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US6070619A (en) Easing roller control method
EP3608458B1 (en) Synchronous control method for loom and the loom
EP083993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restart of weaving operation of loom
EP1464745B1 (en) Weft bar preventing apparatus
JP2934332B2 (ja) 織機の主軸制御方法
JP2886616B2 (ja) 織機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EP1209269A2 (en) Weft inserting control device for fluid jet type loom
EP3686332B1 (en) Start restriction method and device of pile loom
JP2796840B2 (ja) 織機の同期ずれ防止方法
JP2934320B2 (ja) 織機の運動機構制御装置
JPH04222255A (ja) 織機の運動機構制御装置
JP2912731B2 (ja) 織機の回転ドラム形測長装置の駆動モータ制御方法と、その装置
JP2003003351A (ja) 織機における織段防止方法及び装置
JP2931464B2 (ja) 織機の織段防止方法と、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