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982B1 - 동력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동력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982B1
KR870000982B1 KR1019830000847A KR830000847A KR870000982B1 KR 870000982 B1 KR870000982 B1 KR 870000982B1 KR 1019830000847 A KR1019830000847 A KR 1019830000847A KR 830000847 A KR830000847 A KR 830000847A KR 870000982 B1 KR870000982 B1 KR 870000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roller
power transmission
disc
transmis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227A (ko
Inventor
이사오(根本功) 네모도
Original Assignee
이사오(根本功) 네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사오(根本功) 네모도 filed Critical 이사오(根本功) 네모도
Publication of KR840004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16H1/16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with members rotating around axes on the worm or worm-wh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98Spiral
    • Y10T74/19828W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949Teeth
    • Y10T74/19953Worm and hel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949Teeth
    • Y10T74/19963Spur
    • Y10T74/19972Spur form
    • Y10T74/19977Antifriction
    • Y10T74/19981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Gears, Ca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력 전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동력 전달장치의 제1의 실시예의 일부를 절결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대략 입면도.
제2도는 원판장치의 횡단면도.
제3도는 통상의 위엄을 나타내는 약도.
제4도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고상(鼓狀)위엄의 약도.
제3도와 제4도는 리이드각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약도.
제5도는 보올 베어링장치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동력 전달장치의 제2의 실시예의 일부절결 대략 입면도.
제7도는 기 원판장치의 부분 단면도.
제8도는 원판장치의 변경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제9도는 원판장치의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동력 전달장치의 제3의 실시예의 일부를 절결하여 단면으로서 나타낸 약도.
제11도는 제10도의 선 ⅩⅠ-ⅩⅠ을 따라 화살표 방향에서 본 확대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선 ⅩⅡ-ⅩⅡ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13도는 원판장치의 일부의 평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동력 전달장치의 제4의 실시예의 일부를 절결하여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 대략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동력 전달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정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선 ⅩⅡ-ⅩⅡ에 대하여 화살표 방향에서 본 입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 워엄
14, 20, 21, 114, 115, 115A, 115B, 214, 314 : 원판장치
16, 22, 40 : 홈 18, 330 : 베어링
24, 120A, 120B, 224, 226, 332 : 요(凹)소
28 : 내부레이스 32 : 외부레이스
34, 118, 130 : 보올 36 : 내면
38 : 외면 220, 221, 320, 321, 322 : 로울러
222, 324 : 지지부재 223, 326 : 축
본 발명은 동력 전달장치, 특히 고상(鼓狀)워엄 즉, 힌들리워엄(hindley wor m)의 개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워엄장치는 나선(helix)상의 홈을 가지는 고상, 즉 모래시계상으로 만곡된 워엄이 워엄기어와 맞물리는 톱니수가 많아서, 톱니간의 압력을 지지하는 면적이 통상의 워엄기어장치에 비하면 넓어지기 때문에 기어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비교적 작은 구동력에 따라 큰 부하용량을 전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 종류의 고상 워엄장치에 있어서는 워엄이 그 길이축선에 직각인 방향에 대하여 근소한 이동을 해도 즉시 그 맞물림이 나빠진다는 결점이 있다.
이상의 여러 점은 고려해서, 본 발명은 종래의 통상의 워엄기어나 상술한 고상 워엄장치의 각종의 결점을 제거한 신규한 동력 전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발명의 목적은 고상 워엄으로부터 회전이 전해지는 원판장치의 워엄과 맞물리는 부분을 전동접촉(rolling contact)하도록 하여 원활한 작동을 하도록 한 동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워엄과 맞물리는 부분의 백래시를 제로(영)로 할 수 있는 동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한 목적으로 하는 바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한 동시에 작동이 원활한 고상 워엄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 고상워엄과 맞물리는 장치를 원판장치에 간단히 부착할 수 있는 동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고상워엄에서 회전이 전달되는 원판장치의 워엄과 맞물리는 로울러를 복수개로 하고, 워엄과의 접촉부위의 차이에 따른 미끄러짐을 되도록 감소하므로써 원활하고 정확한 작동을 하도록한 동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이상과 같은 제목적 및 많은 다른 특징과 이점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다.
제1도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의 동력 전달장치 즉, 고상 워엄장치(10)는 구동축 (11)에 고정하는 고상워엄(12)과 구동축(11)과 간격을 두고 이 축과 직교하는 피동축 (13)에 부착해 있으며 워엄(12)의 회전이 전달되는 원판장치(14)로 이루어져 있다.
워엄(12)의 나선상의 홈(16)과 맞물리기 위하여 원판장치(14)에는 그 전주에 걸쳐서 워엄(12)의 홈(16)의 피치에 따라, 더우기 일정한 리이드각을 취할 수 있도록 보올베어링장치(18)가 방사방향으로 가설 장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원판장치(14)의 주연에 보올베어링장치(18)를 장착하기 위하여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장치(14)는 2매의 원판(20, 21)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들 양 원판(20, 21)에는 그 주연을 따라 워엄(12)의 홈(16)의 피치에 일치하는 간격을 두고 홈(22)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22)은 원판(20)의 평면에 대하여 소망의 리이드 각(rα)을 취하도록 경사해서 절삭되어 있다. 홈(22)에는 보올베어링장치(18)를 가설 장치한다. 그 때문에 2매의 원판(20, 21)이 서로 겹쳐지는 면옆에 홈(22)의 양측면에 요(凹)소(24)가 설치되어 있다.
보올베어링장치(18)는 그 중심에 가설장치용 핀(26)을 관통하고, 핀(26)의 양단을 베어링장치(18)의 내부레이스(28)에서 밖으로 돌출하도록 하고, 핀(26)의 각 돌출단을 원판(20 및 21)의 홈(22)의 요소(24)에 삽입하도록 하여 양 원판(20, 21)을 적당한 죄임수단, 예컨데 나사부재(30)로 죄서 홈(22)내의 베어링장치(18)의 외부레이스(32)가 워엄(12)의 홈(16)과 맞물려서, 홈(22)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한다.
통상의 워엄에 있어서는 제3도에 대하여,
r……워엄의 홈의 리이드각
d……워엄의 피치선간의 거리
l……리이드
로 하여, 모듀올을 m으로 하고, 나선상의 홈의 조수(條數)를 n으로 하면 :
l=nπm
Figure kpo00001
그러므로
Figure kpo00002
이며,
리이드각은 일정하다.
그러나, 고상워엄에 있어서는, 제4도에 대하여
A……워엄의 축(X)과 직교하는 워엄기어의 축(Y)과의 거리
R……워엄기어의 반경
dα……워엄의 길이의 중심과 워엄기어의 축(Y)을 연결하는 선(OY)에 대하
여 각도(α)의 부분에서 접촉하는 워엄의 직경
으로 하고, 모듀올을 m으로 하고, 나선상의 홈의 조수를 n으로 하면, 리이드각(rα)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kpo00003
여기에서
Figure kpo00004
이므로
Figure kpo00005
으로 된다.
이에 의하여 분명하듯이 고상 워엄장치에 있어서는, 리이드각은 접촉각(α)에 의한 변수로 되어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동력 전달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고상워엄(12)의 나선상의 홈(16)과 베어링장치 (18)의 외부레이스(32)와의 접촉함에 있어 리이드각이 변화하면 그에 따라 접촉부위가 변화해서 양자의 접촉이 정확하게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리이드각이 변화해도 그것에 베어링장치(18)의 접촉면이 이에 즉응하도록 제5도에 나타내듯이 베어링장치(18)의 외부레이스( 32)가 보올(34)과 접촉하는 내면(36)을 만곡면으로 구성하고, 한편 내부레이스(28)가 보올 (34)과 접촉하는 외면(38)에는 보올(34)이 어긋나지 않도록 홈(4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부레이스(32)의 구석에는 적당한 반경의 라운드(41)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도에 나타내듯이 구동축 (11)의 회전을 피동축(13)에 전달하기 위하여 고상워엄(12)의 나선상의 홈(1 6)과 맞물려서 원판장치(114)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원판장치(114)의 원판(115)의 주연에는 그 전주에 걸쳐서 소정의 간격, 즉 워엄(12)의 홈(16)의 피치에 따라 보울(118)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원판(115)의 주연에 보올(118)을 회전할 수가 있도록 부착하려면, 예를들어 제7도에 나타내듯이 원판(115)의 주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구상의 요소(120)를 설치한다.
반구상의 요소(120)내에 보올(118)을 수용하고, 그 일부가 밖으로 돌출하여 워엄(12)의 홈(16)과 맞물리는 동시에 요소(120)내에서 보올(118)이 탈출하지 않도록 지지 부재(121)로 지지한다.
지지부재(121)는 보올(118)의 소요부분이 돌출하도록 보올(118)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개구(122)를 가지는 판체 또는 대상(帶狀) 부재로서 원판(115)의 요소(120)에 보올(118)을 수용한 후에 원판(115)의 주연의 해당부위에 나사등의 적당한 고정수단으로 부착한다.
원판(115)의 요소(120)에 보올(118)을 수용할 때에는 이상과 같이 하는 대신에 제8도에 나타내듯이 예를들어 원판장치(114)를 서로 포개서 고정할 수 있는 2매의 원판(115A, 115B)으로 구성하고, 양 원판이 쪼개지는 측면의 주연외 소정위치에 보올 (118)을 주연으로부터 밖으로 일부 돌출해서 수용하는 반구상의 요소(120A, 120B)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동력 전달장치에 있어서의 원판장치의 변경상태를 나타낸다.
제9도에 나타내듯이 워엄(12)의 홈(16)과 맞물리도록 원판(115)의 주연의 요소(120)에 배설하는 보올(118)의 회전을 보다 한층 원활히 하기 위하여, 요소(120)내에 있어서 보올(118)의 지지면에 보올(118)보다 작은 직경의 복수개의 보올(130)을 수용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동력 전달장치의 제3의 실시예를 제10도에 따라 설명한다.
워엄(12)의 나선상의 홈(16)과 맞물리도록 원판장치(214)의 주연에는 워엄 ( 12)의 홈(16)의 피치의 간격을 두고 로울러장치(220)가 가설 장치되어 있다.
로울러장치(220)는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나타내듯이 로울러(221)와 로울러 (221)를 지지하는 원통형의 지지부재(222)로 되어 있으며, 로울러(221)는 워엄(12)의 나선상의 홈(16)에 맞물릴 수 있는 치수와 형상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로울러(221)는 축(223)에 의하여 원통형의 지지부재(222)에 회전할 수 있도록, 더우기 원통형의 지지부재(222)의 한쪽 단면에서 돌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원통형의 지지부재(222)에는 한쪽 단부의 중앙에 로울러(221)를 삽입할 수 있는 요소(224)가 설치되어 있다.
원판장치(214)의 외주면에는 워엄(12)의 나선상의 홈(16)과 같은 피치의 간격을 두고 원통형의 지지부재(222)를 끼워 장치하는 원통형의 요소(226)가 설치되어 있다. 로울러(221)를 워엄(12)의 나선상의 홈(16)과 확실하게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지지부재(222)를 방사 밖으로 누르는 수단을 설치한다.
즉 원판장치(214)의 요소(226)내에 지지부재(222)를 방사 밖으로 누르는 수단으로서, 적당한 탄성부재 예를들면 코일스프링(227)을 삽입하고, 이어 로울러 (221)를 구비하는 지지부재(222)를 요소(226)내에 삽입한다. 지지부재(222)가 요소(226)로부터 탈출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부재(222)밖의 단부에 탈출방지수단을 취할 수가 있다.
탈출방지수단으로는 예를들면, 제11도 및 제13도에 나타내듯이 원판장치 (214)의 외주에 지지부재(222)를 삽입한 요소(226)의 개구의 일부를 덮는 탈출방지부재(228)를 적당한 수단 예를들면 나사고정 기타로서 고정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제13도에 나타내듯이 지지부재(222)의 한쪽 단부에 노치 (notch)(230)를 설치하고, 탈출방지부재(228)와의 관련에 있어서 지지부재(222)의 요소(226)내에서의 축선방향의 회동을 소망한도로 제약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울러(221)를 구비하는 원통형 지지부재(222)를 원판장치(214)의 원통형요소(226)에 끼워 장치하면, 로울러(221)는 원통형 지지부재 (222)와 함께 탄성부재 예를들어 코일스프링(227)의 작용에 따라 항상 방사 밖으로 눌러지고 로울러(221)는 워엄(12)의 나선상의 홈(16)과 확실하게 구름접촉을 해서 맞물릴 수가 있다.
또 지지부재(222)는 요소(226)내에서 그 길이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으므로, 워엄(12)의 나선상의 홈(16)의 리이드각의 변동여하에 관계없이 로울러 (221)를 홈(16)에 추종해서 회동하고, 구동축(11)의 회전은 피동축(13)에 소망의 기어비례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동력 전달장치(10)는 또한 제4의 실시예로서, 제14도에 나타내듯이 원판장치(314)주연에 워엄(12)의 홈(16)의 피치의 간격을 두고 로울러장치(320)를 가설 장치한다.
로울러장치(320)는 제15도에서 제17도에 나타내듯이, 복수개의 원판상의 로울러(321, 322)를 지지하는 원통상의 지지부재(324)로 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내듯이 로울러(321, 322)는 2매 한조의 것으로 하고 있는데, 그 매수는 필요에 따라 적당한 복수개의 것으로 할 수 있고, 워엄(12)의 나선상의 홈(16)에 맞물리게 하는데에 적합한 치수와 형상으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로울러 (321, 322)는 축(326)에 의하여 원통형의 지지부재(324)에 회전할 수 있고, 더우기 지지부재(324)의 한쪽 단면에서 돌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지지부재(324)에는 한쪽 단부의 중앙에 로울러(321, 322)를 장치해 넣을 수 있는 공소(328)가 형성되어 있다.
원판상의 로울러(321,322)는 축(326)에 적당한 베어링장치(329)를 통하여 부착할 수 있고, 또 로울러(321,322)와의 인접면 사이와 로울러(321,322)와 지지부재 (324)와 인접하는 면과의 사이에 적당한 베어링 장치(330)를 배설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11)을 고속도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이들 베어링장치(330)를 생략하고, 워엄(12)과 원판장치(314)를 윤활유를 충전한 기어상자(도면에 표시않음)속에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판장치(314)의 외주면에는 워엄(12)의 나선성의 홈(16)과 같은 피치의 간격을 두고 원통형의 지지부재(324)를 끼워 장치하는 원통형의 요소(332)가 설치되어 있다. 로울러(321,322)를 워엄(12)의 나선상의 홈(16)과 항상 정확하게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지지부재(324)를 방사방향으로 누르는 수단을 설치한다.
즉 원판장치(314)의 요소(332)내에 지지부재를 방사방향으로 누르는 수단으로는 적당한 탄성부재, 예컨대 코일스프링 또는 접시스프링(334)을 장치해 넣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 탄성부재외에 액압 또는 공기압등을 이용해서 지지부재(324)를 누를 수도 있다.
로울러(321,322)의 지지부재(324)를 원판장치(314)의 요소(332)로부터 탈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원판장치(314)의 외주연에 있어 서로 인접하는 지지부재 (324, 324)의 중간에 탈출방지수단을 배설한다.
그 탈출방지수단으로는 예컨대, 제15도에 나타내듯이 지지부재(324)의 상단의 쇼울더부(336)와 결합할 수 있는 지지부재(338)를 나사(340)등의 적당한 수단으로 원판장치(314)의 외주연에 고정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제17도에 나타내듯이, 지지부재(324)의 쇼울더부(336)에 노치(342)를 형성시켜 탈출방지용 지지부재(338)와의 관련에 있어서, 원통형 지지부재(324)의 원판장치(314)의 원통상 요소(332)내에서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을 소망의 한도로 제약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상에 설명한 바로 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복수개의 로울러(321,322)를 구비하는 원통형 지지부재(324)를 원판장치(314)의 원통형 공소 (332)에 끼워 장치해서 탈출방지용 지지부재(338)로서 그 위치에 지지하면 로울러 (321,322)는 탄성부재, 예를들어 코일스프링(334)의 작용에 의하여 방사방향으로 눌러져서 로울러(321,322)의 각각은 워엄(12)의 나선상 홈(16)의 측벽(a 및 b)과 접촉하여 맞물릴 수가 있다. 따라서 워엄(12)의 홈(16)의 양측벽(a, b)간의 거리, 즉 홈(16)의 폭이 큰 경우에 로울러(321)와 로울러(322)가 각각의 측벽(a와 b)과 별개로 접촉하기 때문에 워엄(12)의 회전에 따른 홈(16)의 측벽(a, b)의 각각의 회전속도의 차이는 로울러(321)와 (322)에 의하여 하등의 지장없이 원판장치(314)에 전달된다.
또 지지부재(324)는 요소(332)내에서 그 길이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으므로, 워엄(12)의 나선상의 홈(16)의 리이드각의 변동여하에 관계없이 로울러 (321,322)를 홈(16)에 추종해서 회동하고, 구동축(11)의 회전은 피동축(13)에 소망의 기어비례로 전달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동력 전달장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내용에서 여러가지로 변경을 해서 실시할 수가 있다.

Claims (16)

  1. 고상(鼓狀) 워엄과, 상기 워엄의 피치의 간격을 두고 주연에 소정의 각도의 홈을 설치한 원판장치와 상기 워엄에 맞물리도록 방사상으로 신장하여 상기 원판장치의 홈내에서 회전하도록 부착한 보올베어링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원판장치를 2매의 원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양 원판사이에 베어링장치를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보올베어링장치를 외부레이스와 내부레이스와 보올로 된 것으로 하고, 상기 외부레이스의 내면을 만곡면으로 하고, 내부레이스의 외면에 홈을 설치하여, 상기 만곡면과 상기 홈과의 사이에 보올을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보올베어링장치의 외부레이스의 코너를 둥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장치.
  5. 고상워엄과 상기 워엄의 길이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원판장치와, 상기 원판장치의 주연에 워엄의 피치로써 간격을 두고 보올을 배설할 수 있는 요소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원판장치의 주연에 상기 워엄의 피치간격을 두어 배설하고 상기 워엄과 맞물릴 수 있는 동시에 그 자체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보올을 부착하고, 상기 보올을 상기 원판의 주연으로부터 돌출시켜 상기 워엄의 홈과 맞물릴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보올이 상기 요소내에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워엄의 홈과 맞물릴 수 있는 보올과 원판의 요소와의 사이에 상기 보올보다 작은 직경의 복수개의 보올을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보올을 구면베어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장치.
  7. 고상워엄과, 상기 워엄의 길이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워엄의 회전에 협동시키는 원판장치로 된 동력 전달장치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로울러를 지지하는 로울러장치를 상기 원판장치의 주연에 상기 워엄의 피치에 일치하는 간격을 두고 배설하고, 상기 로울러를 상기 워엄과 맞물리게 하는 동시에 항상 워엄의 방향으로 누르고, 그 위에 상기 로울러장치를 로울러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길이축선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로울러를 상기 워엄과 전동 접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장치.
  8. 제9항에 있어서, 원판장치의 주연에 상기 워엄의 피치와 일치하는 간격을 두고 원통형의 요소를 설치하고, 로울러장치를 상기 요소내에 배설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장치.
  9. 제10항에 있어서, 원통형 요소내에 탄성체를 배설하고, 로울러장치를 원판장치에서 방사외방으로 누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로울러장치를 원판장치로부터 탈출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로울러장치의 길이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을 제약하는 수단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장치.
  12. 고상워엄과 상기 워엄의 길이축선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워엄과 협동하는 원판장치로 이루어진 동력 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판장치의 주연에 상기 워엄의 홈의 피치에 일치하도록 간격을 두고 로울러장치를 배설하는 것과, 상기 로울러장치의 각각이 복수개의 로울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구비하는 것과, 상기 복수개의 로울러를 상기 워엄의 홈과 맞물리도록 한 것과, 상기 로울러장치를 항상 상기 워엄의 방향으로 누르도록 한 것과, 상기 로울러 장치를 상기 로울러의 지지축과 직교하는 길이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원판장치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장치.
  13. 제14항에 있어서, 로울러장치를 원통형의 지지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부재에 요소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하여 상기 요소를 관통하는 지지축에 복수개의 로울러를 배설한 것과, 상기 원판장치의 주연에 상기 워엄의 피치와 일치하는 간격을 두고 원통형의 공소를 설치하고, 상기 로울러장치를 상기 공소내에 배설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장치.
  14. 제14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로울러의 사이 및 상기로울러와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베어링장치를 배설하는 동시에 상기로울러를 지지축에 베어링장치를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장치.
  15. 제15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로울러의 사이와 상기 로울러와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베어링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로울러를 지지축에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로울러장치를 원판장치의 원통형의 공소에서 탈출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지지장치에 의하여 상기 로울러의 지지축과 직교하는 길이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을 제약하도록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장치.
KR1019830000847A 1982-03-03 1983-03-02 동력 전달장치 KR870000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32326 1982-03-03
JP57032326A JPS5938461B2 (ja) 1982-03-03 1982-03-03 動力伝動装置
JP57-32326 1982-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227A KR840004227A (ko) 1984-10-10
KR870000982B1 true KR870000982B1 (ko) 1987-05-16

Family

ID=1235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847A KR870000982B1 (ko) 1982-03-03 1983-03-02 동력 전달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651586A (ko)
JP (1) JPS5938461B2 (ko)
KR (1) KR870000982B1 (ko)
AU (1) AU551387B2 (ko)
CH (1) CH661968A5 (ko)
DE (1) DE3307405A1 (ko)
FR (1) FR2522760B1 (ko)
GB (1) GB2115902B (ko)
IT (1) IT11697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8461B2 (ja) * 1982-03-03 1984-09-17 根本企画工業株式会社 動力伝動装置
JPS5910546U (ja) * 1982-07-10 1984-01-23 藤江 勅夫 回転方向変換伝導機構
US4685346A (en) * 1984-03-13 1987-08-11 Maxaxam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system
JPS60189641U (ja) * 1984-05-28 1985-12-16 根本企画工業株式会社 ボールを介した動力伝達装置
FR2590346B1 (fr) * 1985-11-19 1990-03-23 Trw France Mecanisme demultiplicateur a vis globique et galet dente a rendement ameliore
US4665763A (en) * 1986-02-14 1987-05-19 Winthrop James Worm gear drive
FR2596128B1 (fr) * 1986-03-20 1990-11-23 Sagem Dispositif de transmission d'un mouvement de rotation du type reducteur de vitesse et articulation motorisee en faisant application
US4833934A (en) * 1986-09-18 1989-05-30 Maxaxam Corporation Roller worm drives and roller wheels for use therein
JPH02176071A (ja) * 1988-07-08 1990-07-09 Iseki Tory Tech Inc 懸垂移動装置
US5081885A (en) * 1989-12-28 1992-01-21 Consulier Industries, Inc. Drive with oscillator-coupled transversely moving gear elements
US5431606A (en) * 1993-08-19 1995-07-11 Bingham; David C. Ball worm gear final rear axle differential drive
US5901611A (en) * 1996-11-29 1999-05-11 Brackett; Gregory W. Pre-spinning and lubricating system for worm drive power transmissions and bearing assembly components
WO2002066867A1 (en) * 2001-02-23 2002-08-29 Aimbridge Pty Ltd Worm gear and transmissions
US20070169580A1 (en) 2006-01-26 2007-07-26 Spincontrol Gearing Llc Worm-gear assembly having a pin raceway
CN100523553C (zh) * 2007-12-18 2009-08-05 左文毅 带辊轮的蜗轮
US20100212444A1 (en) * 2009-02-23 2010-08-26 Thomas David Smith Conjugate roller drive
CH704874A2 (de) 2011-04-26 2012-10-31 Sinell Ag Getriebe zum Umsetzen von Drehbewegungen, Getrieberad für ein solches Getriebe und Verwendung eines solchen Getriebes.
CN103195873A (zh) * 2013-04-10 2013-07-10 武汉市黄陂新隆建筑机械有限公司 一种高效率新型蜗轮体之蜗轮蜗杆传动机构
ITBO20130532A1 (it) * 2013-09-27 2015-03-28 Alfredo Coccagna Gruppo riduttore.
CN108626314B (zh) * 2018-07-07 2023-09-01 嘉兴易控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蜗轮蜗杆减速机的断齿安全机构
CN111613086B (zh) * 2020-05-22 2021-10-26 西安培华学院 一种用于智能停车场的车位探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7108B (de) * 1906-05-08 1907-01-10 Arthur Thomas Collier Schneckengetriebe.
US908049A (en) * 1907-09-12 1908-12-29 Benjamin Franklin Teal Spiral gear.
US1007584A (en) * 1910-11-11 1911-10-31 Joseph Antoine Hebert Gearing.
FR452634A (fr) * 1912-12-06 1913-05-20 Alfred Hereng Roue hélicoidale, droite ou creuse, dont la dentuire est formée d'organes mobiles (billes ou rouleaux libres de forme circulaire quelconque) engrenant avec vis ou pignon de forme appropriée
US1273533A (en) * 1917-12-03 1918-07-23 William Q Pfahler Worm-drive.
CH79549A (de) * 1918-04-25 1918-12-02 Egg Knecht L Schneckengetriebe
US1297238A (en) * 1918-09-24 1919-03-11 William Q Pfahler Rolling tooth for worm-wheels.
US1470718A (en) * 1921-02-07 1923-10-16 Forsyth Albert Edwin Gear
US1580055A (en) * 1923-05-17 1926-04-06 James Henry Stuthridge Worm wheel
CH112668A (de) * 1924-07-17 1925-11-16 Hans Siegwart Schneckengetriebe.
FR596630A (fr) * 1925-04-15 1925-10-28 Engrenages à vis sans fin et roues hélicoïdales
DE477089C (de) * 1926-04-14 1929-06-04 Romeo Saglioni Schneckengetriebe,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1844005A (en) * 1928-10-08 1932-02-09 Ross Gear & Tool Co Steering gear
US2378891A (en) * 1943-11-17 1945-06-26 Electrolux Corp Worm gearing
US2597389A (en) * 1951-02-07 1952-05-20 Setter Arnt Antifriction structure for worm wheels and the like
US2714315A (en) * 1954-10-14 1955-08-02 Universal Match Corp Roller mounting for roller gear drives
DE1041315B (de) * 1955-03-05 1958-10-16 Walter Obereichholz Schnecken- bzw. Schraubspindeltrieb
DK124324A (ko) * 1963-08-03
US3495470A (en) * 1968-04-03 1970-02-17 Joseph P Mccartin Spherical thread and pin gear reduction
NL6911813A (ko) * 1968-08-02 1970-02-04
US3552222A (en) * 1968-11-14 1971-01-05 Francis B Eck Power transfer device
US3597990A (en) * 1970-05-01 1971-08-10 Joseph P Mccartin Zero-lash right-angle movement
US3608392A (en) * 1970-06-15 1971-09-28 Spyro Dynamics Corp Right angle drive
US3820413A (en) * 1972-12-14 1974-06-28 G Brackett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transmission utilizing a worm drive
DE2421836A1 (de) * 1974-05-06 1975-11-20 Friedrich Schiller Schneckengetriebe
JPS51114554A (en) * 1975-04-02 1976-10-08 Hitachi Ltd Worm gear device
US4008625A (en) * 1975-12-15 1977-02-22 Norco, Inc. Floating nut construction
SU670758A1 (ru) * 1977-03-15 1979-06-30 Николаевский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ый Завод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Глобоидна передача
JPS5938461B2 (ja) * 1982-03-03 1984-09-17 根本企画工業株式会社 動力伝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51586A (en) 1987-03-24
IT1169712B (it) 1987-06-03
JPS5938461B2 (ja) 1984-09-17
FR2522760B1 (fr) 1988-07-08
GB2115902B (en) 1985-10-16
AU1194883A (en) 1983-09-08
FR2522760A1 (fr) 1983-09-09
GB8305729D0 (en) 1983-04-07
JPS58152958A (ja) 1983-09-10
KR840004227A (ko) 1984-10-10
DE3307405A1 (de) 1983-09-08
AU551387B2 (en) 1986-04-24
IT8319873A0 (it) 1983-03-03
GB2115902A (en) 1983-09-14
IT8319873A1 (it) 1984-09-03
CH661968A5 (de) 1987-08-31
DE3307405C2 (ko) 1988-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0982B1 (ko) 동력 전달장치
US6957919B2 (en) Double-row angular contact ball bearing
US4593574A (en) Torque-dependent pressure mechanism for continuously adjustable ball-type planetary gear set
JPS55135259A (en) Cup-type stepless speed change gear
JPH094692A (ja) 運搬用変速装置
KR101015004B1 (ko) 유성 기어 구동 장치
EP0287037A2 (en) Planetary gear apparatus
US5642945A (en) Bearing assembly
US4951519A (en) Rotation transmitter
US4173907A (en) Device for transforming a rotational motion into a linear motion
US3939737A (en) Epicyclic transmission with eccentric drive and thrust-transmitting bodies in stationary guide
US5183443A (en) Speed reducer
JP2018532364A (ja) 密閉回転台
GB2104192A (en) A shaft and a housing supported for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y a linear bearing
CA2343745C (en) Transmitting unit
JPS58211052A (ja) 動力伝達装置
US3608392A (en) Right angle drive
GB2183742A (en) Spindle unit
US4782716A (en) Roller bearing gear system
JPS6015810B2 (ja) 動力伝達装置
KR910000940B1 (ko) 전동 체인 블록
ATE34602T1 (de) Aufladeverdichteranlage und phaseneinstellung der rotoren.
JPS6311411Y2 (ko)
US4815646A (en) Pinch roller assembly with dust prevention means
JPS61149665A (ja) 摩擦を利用したプラネタリ−伝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5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