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880Y1 - 차량용 대차 - Google Patents

차량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880Y1
KR870000880Y1 KR2019840013985U KR840013985U KR870000880Y1 KR 870000880 Y1 KR870000880 Y1 KR 870000880Y1 KR 2019840013985 U KR2019840013985 U KR 2019840013985U KR 840013985 U KR840013985 U KR 840013985U KR 870000880 Y1 KR870000880 Y1 KR 870000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connector
vehicle
length
bea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3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692U (ko
Inventor
오형일
Original Assignee
금성전선주식회사
문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전선주식회사, 문박 filed Critical 금성전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13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880Y1/ko
Publication of KR8600076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6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8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38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 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e.g. sliding axles, swinging axles
    • B61F5/44Adjustment controlled by movements of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대차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대차의 저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 설명을 위한 평면도로서,
제3(a)도는 직진 주행 상태도.
제3(b)도는 선회 주행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차프레임 2,3 : 전후차축
4,5 : 전후차륜 6,7 : 축받이
8,9 : 스프로켓 10,8 : 8자형엔드레스체인
11,12 : 안내스프로켓 13,14 : 전후방연결구
본 고안은 다수 차량을 연결 운행할 경우 각 차량의 대차가 동일 궤적을 추종하도록 한 차량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차량용 대차는 대차 프레임의 양단 부근에 한쌍의 차륜이 착설된 차축의 중앙부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여 전후 차축을 연동간으로 연결하고, 전방 차축의 중앙부에는 전방 연결구를 대차프레임의 후단 중앙에는 후방 연결구를 고정설치한 것이었으므로 다수의 차량을 연결하여 운행할 경우 각 차량의 대차에 설치된 차륜이 선행차량의 궤적과 동일 궤적으로 추종되지 않게 되며 후미로 갈수록 궤적의 편차가 누적되어 궤도에서 이탈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대차 프레임(1)의 전후양단 부근에, 한쌍의 차륜(4)(5)이 착설된 전후 차축(2)(3)의 중앙부를 각각 축받이(6)(7)로써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되 축받이(6)(7)에는 각각 동일 규격의 스프로켓(8)(9)을 고정하여 대차 중심에서 교차하는 8자형 엔드레스 체인(10)을 권착하고, 체인(10)의 중앙 교차부에는 각각 유동되는 안내 스프로켓(11)(12)을 설치하여 체인(10)의 교차부에서의 간섭과 진동을 방지토록 한다.
전자축(2)의 축받이(6)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정방연결구(13)를 착설하고, 대차 프레임(1)의 후단 중앙에는 후방연결구(14)를 착설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전후 차축(2)(3)의 축받이(6)(7)에 동일 규격의 스프로켓(8)(9)을 고정하고 8자형 엔드레스체인(10)을 권착하였으므로 대차가 일정 반경의 궤도상에서 선회 주행할 경우 선차축(2)이 일정 각도만큼 선회하면 후차축(3)은 반대 방향으로 동일 각도만큼 선회하여 양차축(2)(3)의 차륜(4)(5)은 동일 궤적상에서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체인(10)은 그 중앙 교차부에서 한쌍의 안내스프로켓(11)(12)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교차부에서 상하로 주행하는 체인간의 간섭과 차량 진동에 의한 체인(10)의 진동이 방지되어 전후차축(2)(3)의 연동 선회가 정확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다수의 차량을 연결하여 선회 주행시 각 차량의 대차가 동일 궤적으로 추종케 하기 위해서는 전방 연결구(13)와 후방 연결구(14)의 연결점(b1)(b2)의 선회 궤적이 동일 반경으로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전후차축(2)(3)의 중심(C1)(C2)이 반경(R)인 궤적에서 선회 주행할 경우 전후방연결구(13)(14)의 연결점(b1)(b2)의 선회 궤적 반경(r1)(r2)을 r1=r2로 되도록 하기 위하여, 대차중심(C)에서 전후차축(2)(3)의 중심(C1)(C2)까지의 길이를 "L"전차축(2)의 중심에서 전방 연결구(13)의 연결점(b1)까지의 길이를 ℓ1, 대차 중심(C)에서 후방 연결구(14)의 연결점(b2)까지의 길이를 ℓ2로 할때이 성립되도록 설계한다.
즉, 제3(a)도,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의 선회중심(O)과 전방 연결구(13)의 연결점(b1) 및 전차축(2)의 중심(C1)과, 선회중심(O)과 대차중심(C) 및 전차축(2)의 중심(C1) 및 선회중심(O)과 대차중심(C) 및 후방 연결구(14)의 연결점(b2)는 각각 직각 삼각형을 이루므로,
으로 되고, 여기서 전후방 연결구(13)(14)의 연결점(b1)(b2)의 궤적반경(r1)(r2)를 동일 반경으로 하기 위해서는,을 만족시키면 된다.
따라서 식(Ⅲ)으로 부터
로 하면 r1=r2로 된다.
환언컨대, 상기 대차중심(C)에서 전차축(2)의 중심(C1)까지의 길이(L)와 전차축(2)의 중심(C1)에서 전방 연결구(13)의 연결점(b1)까지의 길이(ℓ1)의 제곱의 합이 대차 중심(C)에서 후방 연결구(14)의 연결점(b2)까지의 길이(ℓ2)의 제곱과 같도록 하면, 전후방 연결구(13)(14)의 연결점(b1)(b2)의 궤적 반경(r1)(r2)의 동일하게 된다.
또한 다수의 차량을 연결하여 선회주행 할 경우 후행 대차의 전방 연결구(13)의 연결점은 선행 대차의 후방 연결구(14)의 연결점(b2)에 해당되므로 후행 대차의 전방 연결구(13')의 연결점 선회 궤적의 반경도 r2로 되며, 상술한 원리에 의해 후행 대차의 후방 연결구(미도시)의 연결점 선회궤적도 동일 반경으로 되어 전차량의 선회 궤적이 동일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의 차량을 연결하여 선회 주행할 경우 전차량의 대차가 동일 궤적상에서 추종하므로 대차의 궤도 이탈등의 위험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대차 프레임(1)의 전후 양단 부근에 한쌍의 차륜(4)(5)이 착설된 전후차축(2))3)을 축받이(6)(7)로 지지하고, 전차축(2)의 축받이(6)에는 전방 연결구(13)를 연장설치하며, 대차 후단 중앙에 후방연결구(14)를 고정한 통상의 차량용 대차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6)(7)에는 각각동일 규격의 스프로켓(8)(9)을 착설하여 8자형 엔드레스 체인(10)을 권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엔드레스 체인(10)을 중앙 교차부에서 안내 지지하는 한쌍의 안내 스프로켓(11)(12)을 내차 프레임(1) 저면에 유동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차.
  3. 제1항에 있어서, 대차중심(C)에서 전차축(2)의 중심(C1)까지의 길이(L)와, 전차축(2)의 중심(C1)에서 전방 연결구(13)의 연결점(b1) 까지의 길이(ℓ1) 및 대차중심(C)에서 후방 연결구(14)의 연결점(b2)까지의 길이(ℓ2)를이 성립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차.
KR2019840013985U 1984-12-26 1984-12-26 차량용 대차 KR870000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3985U KR870000880Y1 (ko) 1984-12-26 1984-12-26 차량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3985U KR870000880Y1 (ko) 1984-12-26 1984-12-26 차량용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692U KR860007692U (ko) 1986-07-16
KR870000880Y1 true KR870000880Y1 (ko) 1987-03-06

Family

ID=70163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3985U KR870000880Y1 (ko) 1984-12-26 1984-12-26 차량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8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692U (ko) 1986-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636113C2 (de) Vordere Radaufhängung für Kraftfahrzeuge mit Vorderradantrieb
CA1266016A (en) Apparatus for the overhead transportation of heavy loads on a monorail
JPS58136577A (ja) 鞍乗型四輪車のフレ−ム構造
FI88009B (fi) Vagn som styrs med riktbara axlar
KR870000880Y1 (ko) 차량용 대차
US5205220A (en) Railway truck
CA1038423A (en) Snowmobile construction having drive belt offset from center line of ski spindles
US2651526A (en) Steering device for farm wagons
JP2865497B2 (ja) 無人搬送車の走行機構
CN212831032U (zh) 一种多点平衡可灵活转向的运行系统
CN219668073U (zh) 一种底盘结构及应用其的运输车
JPS6050622B2 (ja) 運搬車両
JPS6312465U (ko)
US2217816A (en) Steerable vehicle truck
KR100270487B1 (ko) 모노레일식 자주반송차의 주행안내장치
CN218258343U (zh) 一种agv底盘结构
JP2538005Y2 (ja) 農作業車のクローラ走行装置
KR101318402B1 (ko) 무궤도 열차의 객차프레임 조향장치
CN218370868U (zh) 一种用于agv小车的自调平电动转向轮装置
JP4240842B2 (ja) 有軌道台車システム
JP2591306Y2 (ja) 重量物無人搬送車
SU1193050A1 (ru) Узел сочленени ходовой тележки с рамой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H102122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の横行台車駆動装置
JPS61241201A (ja) 無人搬送車用自在車輪
JP2520537Y2 (ja) 無人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