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169B1 - 열교환기 냉각관의 세정방법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냉각관의 세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169B1
KR870000169B1 KR1019810002394A KR810002394A KR870000169B1 KR 870000169 B1 KR870000169 B1 KR 870000169B1 KR 1019810002394 A KR1019810002394 A KR 1019810002394A KR 810002394 A KR810002394 A KR 810002394A KR 870000169 B1 KR870000169 B1 KR 870000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leaning
cooling water
cooling tube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651A (ko
Inventor
가쓰모도 오오다께
구니히꼬 미야이
다꾸야 사사끼
야스데루 무까이
산기찌 다까하시
이사오 오오고우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30006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2Fluid-propelled scrapers, bullets, or like solid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1/00Controlling arrangements with features specially adapted for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교환기 냉각관의 세정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복수기의 냉각관의 세정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투시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되는 감시장치의 볼록다이아그램.
제6도는 열류(熱流)센서의 출력과 복수기 냉각관의 관벽을 통과하는 열류속(熱流束)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7도는 증기동력 발생장치부하와 복수기 진공도와 냉각관의 청정도(淸淨度)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8도는 제5도에 도시된 감시장치의 동작연산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
제9도는 열류센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본 발명은 증기동력발생프랜트의 열전달장치를 위한 다수의 냉각관을 세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냉각관에 스폰지볼 등의 다수의 세정체를 통과시켜 냉각관을 세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기동력발생프랜트의 열교환기내에 설치된 다수의 냉각관의 일단은 냉각수 입구실로 개구되고, 타단은 냉각수 출구실로 개구된다. 냉각수 입구실에는 냉각수 공급관이 접속되고 냉각수 출구실에는 냉각수 배출관이 접속된다.
냉각수는 냉각수 공급펌프에 의하여 냉각수 공급관으로부터 냉각수 입구실로 보내지고 각 냉각관으로 분기되어 냉각관내를 흘러 냉각수출구실에 도달한 후, 냉각수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된다.
화력발전소나 원자력발전소에 사용되는 증기동력 발생프랜트의 복수기에 있어서는, 냉각수로서 주로 바닷물이 사용된다.
바닷물 중에는 슬라임(slime)이나 바닷속에 사는 생물들의 혼재물이 있어, 이들 혼재물이 냉각관의 내벽에 부착하여 냉각관을 더럽히기 때문에, 냉각관의 관벽의 전열효율을 저하시킨다.
이 전열효율의 저하로 인하여 복수기의 열교환작용이 저하되고, 따라서 복수기내의 진공도가 저하된다.
복수기내의 진공도의 저하는 발전터어빈의 배압(背壓)을 높이게 되므로, 발전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며 따라서 이를 방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므로 냉각관을 세정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냉각관의 세정은 스폰지 볼 등의 다수의 세정체를 냉각수중에 투입하여, 이것을 냉각관내를 통과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종래의 냉각관의 세정시스템에서는 세정체는 냉각수 공급관에 투입되어, 냉각수와 함께 냉각수입구실로부터 각 냉각관내를 거쳐 다시 냉각수 출구실에 이르러 여기서 냉각수 배출관에 의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세정체는 모두 냉각수 배출관에서 회수된다.
이러한 종래의 냉각관 세정방법에서는 스폰지볼 등의 세정체가 냉각수 공급관에 일괄하여 공급되기 때문에 냉각수 입구실내에 냉각수와 함께 들어온 세정체는 입구실의 비교적 중심부근에 위치하는 냉각관에는 다량으로 유입되나 입구실의 상단이나 하단 또는 양측단에 가까운 변두리부분에는 약간의 수량밖에 도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세정체가 약간량밖에 도입되지 않는 냉각관들은 항상 세정이 불충분한 상태로 운전된다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열교환기의 냉각관의 오염은 정량적으로 파악되지 않고, 열교환기내의 진공도, 냉각수 출입구 온도, 냉각수 공급펌프의 토출압력 등의 데이터를 각각 감시하여, 진공도의 저하, 냉각수 출입구 온도차의 저하, 냉각수 공급펌프의 토출압력 상승 등이 생겼을 경우에, 이를 냉각관의 오염이 원인이라고 가정하여 세정을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바닷물을 냉각수로 사용했을 경우 슬라임(slime)이나 바닷속에 사는 생물 등의 혼재물은 계절적으로 그 종류나 량이 달라진다.
혼재물에 따라서는 냉각관을 급격하게 오염시키는 경우도 있어, 상기한 바와같이 개별적으로 데이터를 감시하여 정성적으로 냉각관의 오염을 판단하여 세정을 행하면 냉각관의 오염이 허용치를 초과한 시점에서 반드시 세정이 행하여진다는 보증이 없으므로 오염이 허용치 이상으로 되었더라도 세정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도 생기게 되므로 열교환기의 작동효율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증기 동력발생프랜트의 효율을 높게 유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또 종래에는 냉각관의 세정도를 항상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과거의 경험에 의거한 연간계획의 스케줄을 세워 냉각관의 세정을 행하고 있었다. 물론 연간 계획스케줄에는 계절적인 바닷물의 혼재물의 변화도 고려되어 있으며, 즉 계절에 따라 세정을 행하는 빈도가 다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정성적인 냉각관의 오염의 정도, 즉 청정도의 관리는 정말로 세정이 필요한 시기에 알맞게 세정을 행할 수가 없는 것이다. 증기동력발생프랜트의 성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냉각관의 청정도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청정도가 허용한계를 넘어서기 전에 언제라도 세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특허출원공고소59-19273호(출원일 1979.12.5)에는 냉각관의 외벽에 열류센서를 설치하고, 또한 냉각수공급관과 냉각수 배출관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냉각관의 관벽을 통과는 열류속과, 냉각수입구 온도와 냉각수출구온도 사이의 온도차를 실측하여 열통과율을 구하고 이 열통과율로부터 구체적인 오염정도 즉 정량적 청정도를 구하여 청정도가 허용한계 이하로 되었을때에 세정을 개시하는 안이 제안되어 있다. 이리하여 냉각관의 오염정도에 대응하여 적절한 세정을 행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출원공고에 제안되어 있는 세정방법에 있어서 열류센서가 부착된 냉각관의 청정도가 정량적으로 파악되고, 적시에 세정을 행할 수가 있게 되었다 하더라도 이로서 최적인 세정이 행해진다고 볼수가 없다.
그 이유는 열교환기의 냉각관은 매우 다수본이고, 냉각관의 오염도가 모두 동일한 정도로 오염된다고 볼 수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세정체는 냉각수 공급관에 투입되어 냉각수 입구실로 들어가고 다음에 각 냉각관내로 유입하기 때문에 냉각관의 냉각수 입구실에 대한 개구위치에 따라서는 수류(水流)의 영향에 의해 세정체의 충분한 수량을 받아들일 수가 없는 관도 있으므로 다수의 냉각관을 획일적으로 취급하는 상기 제안의 방법에서는 모든 냉각관을 충분한 세정도로 세정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모든 냉각관을 충분하게 세정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냉각관의 오염정도를 국소적으로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또 국소적으로 냉각관의 오염도에 대응하는 수량의 세정체를 공급하여 세정을 행할 필요가 요망된다.
본 발명은 이를 감안하여 다수의 냉각관을 수개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각 그룹을 대표하는 냉각관에 대하여 그 오염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또한 각 그룹별로 오염정도에 대응하는 양의 세정체를 공급하여 세정을 행하는 세정방법을 제안한느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냉각관밖을 응축될 증기가 흐르고, 냉각관 안을 냉각수가 흐르는 복수기와 같은 열교환기이며, 냉각수가 냉각관으로 유입하는 위치에 냉각관 내면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체를 투입하는 투입장치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냉각관 외벽에 부착한 열류센서에 의하여 열류속을 검출하고 냉각수의 냉각관 입구측 및 출구측에 설치한 온도센서로 냉각수 입구 및 출구의 수온을 검출하고 복수기에 유입하는 증기의 압력이나 온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치들을 연산장치에 입력하고 냉각관의 열통과율이나 냉각관 청정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연산치를 사전에 설정한 계획치와 비교하고 냉각관의 오염상태가 계획치를 초과하여 나빠졌을 때에 상기 세정체 투입장치를 동작시켜서 냉각관의 세정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 냉각관의 세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세정시스템을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증기동력 발생프랜트의 복수기(1) 내에 다수의 냉각관(2)이 있고, 냉각수가 냉각수 공급관(3)으로부터 입구실(4)을 거쳐 냉각관(2) 내에 유입한다.
냉각관(2)으로부터 냉각수 출구실(5)로 유출한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관(6)으로부터 배출된다.
17은 냉각수 입구온도 검출기이고, 18은 냉각수 출구온도검출기이며, 16은 복수기(1) 내의 증기압력 검출기이다.
냉각관(2)에는 스폰지볼 등의 세정체(15)를 통과시켜 세정이 행해진다. 세정시스템은 세정체순환펌프(8)와 세정체 순환펌프(8)의 토출구와 연통하는 세정체 콜렉터(9)와, 세정체 콜렉터(9)와 관로(12)를 통해 연통되며 동시에 냉각수 입구실(4)로 개구된 복수의 세정체노즐(13)을 가진다.
또한 세정시스템은 냉각수 배출관(6)중에 설치된 세정체포집기(7)를 가지며 세정체포집기(7)는 관로(11)를 통해 순환펌프(8)에 흡기구로 연통되어 있다.
세정체 순환펌프(8)에 의해 보내진 세정체(15)는 다수의 세정체노즐(13)로 나누어져 흐르고 노즐(13)로부터 냉각수 입구실(4)로 들어가서, 다수의 냉각관(2) 내를 흘러서 냉각수 출구실(5)를 통해 냉각수 배출관(6)에 도달한다.
냉각수 배출관(6)에서 세정체(15)는 세정체포집기(7)에 의하여 회수되어 세정체 순환펌프(8)에 되돌려진다.
본 실시예에서 세정체노즐(13)는 복수개 설치되고 냉각수 입구실(4)로 개구하는 것이 중요한다.
그리고 터어빈(400)의 동작 유체인 증기를 복수시키는 복수기(1)를 가진다.
제2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냉각관(2)을 좌우 대칭으로 두개의 그룹(group)으로 분할하고 다시 각 그룹을 상, 중, 하의 부그룹(A,B,C,D,E,F)으로 분할한다. 냉각수 입구실(4)에서 이들 각 부그룹(A,B,C,D,E,F)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6개의 세정체노즐(13)이 개구되어 있다. 세정체노즐(13) 각각에는 세정의 투입수량으르 제어하는 밸브(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밸브(14)는 폐쇄상태와, 세정체가 통과할 수 있는 최소 개방도로부터 전개상태까지의 개방도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들 밸브(14)에는 세정체 순환펌프(8)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체(15)가 관로(12)로부터 분기된 분기관로(12a,12b)를 통하여 분배된다. 제2도는 세정체노즐(13)과 밸브(14)가 냉각관(2)의 부그룹(A,B,C,D,E,F)의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 또 제4도에는 제2도의 구성을 투시도로 도시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밸브(14)에는 제어신호선을 통해서 부여되는 제어신호(b1~b6)에 의하여 세정체(15)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밸브(14)의 개도(開度)가 조절된다. 열류센서(30)가 각 부그룹(A,B,C,D,E,F)의 대표적인 하나의 냉각관(2)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
물론 대표적인 한개의 냉각관(2)에 복수개의 열류센서(30)를 설치하여 측정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해도 좋다.
제3도는 열류센서(30)와 부그룹(A,B,C,D,E,F)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증기 동력발생프랜트는 터어빈(400)을 구동하여, 발전기(500)를 회전시켜 발전하는 것이다. 발전기(500)에는 부하검출기(250)가 장착되어, 부하치신호(MW)를 발생하고 있다.
연류센서(30)의 검지출력(e1, e2, e3, e4, e5, e6), 복수기(1)내의 증기압력(ps), 냉각수 출입구온도(t1,t2), 부하치신호(MW)는 신호입력장치(100)에 입력된다.
또 신호입력장치(100)에서는 계획조건(예를들어 계획열통과율, 계획관청정도 등)도 입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이들 입력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오염 연산장치(200)에서 연산되어, 각 부그룹의 관청정도 및 평균관청정도가 연산되고 각 부그룹의 관청정도가 비교된다.
그리고 제어장치(300)에 지령을 가하여 제어신호의 발신을 행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 즉 열류센서(30)의 출력(e1내지 e6)으로부터 연산장치(200)에 의하여 열류센서가 부착된 냉각관(2)의 오염정도를 연산하여 오염도가 허용치 이상일 때에는 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b,b1내지 b6)가 발신되어, 세정체 순환펌프(8), 밸브(14)를 작동시켜 냉각관(2) 내에 세정체를 공급하여 냉각관(2)의 세정을 행하여 복수기내의 진공도 저하를 회복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운전조건(부하, 유량, 온도 등)의 변화에 따라 각 부그룹(A 내지 F)의 오염정도도 획일적인 것이 아니라 부그룹(A 내지 F)별로 변화가 있기 때문에 부그룹(A 내지 F)을 대포하는 냉각관(2)에 장착되어 있는 열류센서(30)로부터의 출력(e1내지 e6)을 오염 연산장치(200)에서 비교하여 제어장치(300)로부터 특히 오염정도가 큰 부그룹에만 관련된 밸브(14)의 개방도 지령을 특히 크게 하여 대량의 세정체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에서는 밸브(14)의 개방도를 조정하여 세정체의 양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나 이에 더하여, 밸브(14)의 개방도를 일정하게 하고 밸브(14)의 개방시간에 의해서 세정체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세정시간과 오염의 회복율을 오염연산장치(200)에서 연산하고, 제어장치(300)로부터의 발신에 의하여 각 부그룹의 오염정도에 맞춰 세정체공급시간을 변화시킨 신호(b1내지 b6)에 의해 세정체공급밸브(14)의 개폐시간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제5도에 있어서 각 부그룹(A 내지 F)의 대표냉각관(2)의 외벽에 장착한 열류센서(30)로부터의 검지출력(e1내지 e6)은 보통 mV 전압으로 검출되나 이들 열류센서(30)의 출력(e1내지 e6)과 냉각관(2)의 관벽을 통과하는 열류속(q1내지 q6)과의 관계는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실측데이터에 의하면 선형관계의 특성이 있으며, 이 특성을 열류속 연산장치(201)에 입력데이터로서 입력하여 두고 실측열류속(q1내지 q6)을 연산한다.
qi
Figure kpo00001
k·ei(i=1 내지 6)………(1)
단 : k는 계수
이상과 같이 열류센서(30)에 의하여 각 냉각관(2)의 관벽을 통과하는 열류속(q1내지 q6)을 용이하게 측정가능하다. 또 증기압력(ps)을 변환기(202)에 의하여 그 증기압력에 상당하는 포화온도(ts)로 환산한다. 또 진공도 비교기(213)에서는 진공도 설정기(214)로부터의 진공도 설정신호(p0)와 실측된 증기압력(ps)을 비교하여 증기압력(ps)이 낮으면 오염판정장치(212)에 그에 따른 신호를 입력시키도록 되어 있다. 냉각수 입구온도 검출기(17)의 출력온도(t1)와 냉각수 출구온도 검출기(18)의 출력온도(t2)로부터 실측대수 평균온도차(θm)를 제2식에 의하여 연산한다.
변환기(202)의 출력인 포화온도(ts)가 이 연산에서 사용된다. 즉 출력온도(t1, t2, t1s)의 신호는 대수평균 온도차 연산장치(203)에 입력되어 제2식에 의한 연산이 행해진다.
Figure kpo00002
여기서 포화온도(ts)는 직접 복수기(1)내에 설치한 온도센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얻은 값을 사용해도 좋다. 열류속 연산장치(201)에서 연산을 한 열류속(q1내지 q6)과 대수평균온도차 연산장치(203)에서 연산한 대수평균온도차(θm)로부터 열통과율 연산장치(204)에 의하여 각 부그룹별의 실측열통과율(Ja)을 연산한다. 이 연산은 제3식의 의거하여 행해진다.
Figure kpo00003
다음에 열통과율 설정기(206)에 의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계획점 열통과율(Jd)을 사용하여 각 부그룹마다의 열통과율비(Ri)를 열통과율비 연산장치(205)에서 연산한다.
계획점 열통과율(Jd)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운전조건(부하치, 냉각유량, 냉각수 입구온도)과 복수기(1)의 규격에 의해 계산하여 구하게 된다. 열통과율비(Ri)의 연산은 제4식에 의거한다.
Figure kpo00004
여기서 Jd는 냉각관이 오염되기 전의 값이므로 냉각관의 오염에 의한 성능저하가 있었을 경우에는 항상 Jai< Jd의 관계 즉 |Ri|<1인 관계를 가진다.
이어서 (4)식에서 얻어진 열통과율비(Ri)와 계획시의 관청정도(cd)로부터 운전시의 냉각관청정도(ci')를 제(5)식에 의거하여 관청정도 연산장치(207)에서 연산한다.
Figure kpo00005
또 운전시의 냉각관청정도(ci')와 계획관청정도 설정기(208)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는 계획시의 관청정도(cd)로부터 관청정도비율(
Figure kpo00006
i)을 제(6)식에 의거하여 관청정도 매비율 연산장치(209)에서 연산한다.
Figure kpo00007
이상과 같이 하여 냉각관 청정도(c1' 내지 c6')와 관청정도비율(
Figure kpo00008
1내지
Figure kpo00009
6)이 구해진다. 즉 각 부그룹마다의 냉각관의 오염도가 정량적으로 구해진다.
상기한 바와같이 부그룹(A 내지 F)의 대표적 냉각관(2) 하나에 1개씩의 열류센서(30)를 장착했으나, 냉각관(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열류센서(30)를 설치하고, 이들에 의해 평균 열통과율을 구하도록 하면 한층더 정밀도의 높은 냉각관청정도를 얻을 수가 있어 효과적이다.
상기의 각 부그룹(A 내지 F)마다의 냉각관 청정도(c1' 내지 c6') 및 청정도비율(
Figure kpo00010
1
Figure kpo00011
6 0
Figure kpo00012
0
어느 하나의 부그룹(A 내지 F)의 냉각관청정도(c1' 내지 c6')또는 청정도비율(
Figure kpo00013
1내지
Figure kpo00014
6)이 허용치(co·
Figure kpo00015
0) 이하라고 판정되면, 즉시 세정시스템의 세정체 순환펌프(8)의 펌프구동장치(40)에 신호가 보내지고 세정체순환펌프(8)가 구동되어 세정체(15)가 냉각관(2)으로 공급된다.
즉, 오염판정장치(212)로부터의 청정도 이상신호와 진공도비교기(213)로부터의 진공도 이상신호를 받아, 제어장치(300)가 신호(b)를 보내고 펌프구동장치(40)가 동작되어 세정체순환펌프(8)가 구동된다.
이로서 세정시스템의 세정동작의 준비가 완료된다. 또한 제어장치(300)는 냉각관 청정도(c1' 내지 c6') 및 청정도비율(
Figure kpo00016
1내지
Figure kpo00017
6)에 해당하는 밸브개방신호(A 내지 F)를 각 밸브(14)의 밸브 개방도조정기(50)에 보내어 대응하는 부그룹(A 내지 F)의 냉각관의 오염정도에 따라 각 밸브(14)의 개방도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각 밸브(14)를 통과하는 세정체(15)의 수량은 그에 대응하는 하나의 부그룹(A 내지 F)의 냉각관의 오염정도에 알맞는 것이 된다.
따라서 각 부그룹(A 내지 F)별로 상이한 세정작용을 가할 수가 있게 되어, 국소적으로 유효한 세정이 가능하게 된다. 오염 연산장치(200)는 연속적으로 세정도(c1' 내지 c6')와 세정도비율(
Figure kpo00018
1
Figure kpo00019
6
이상의 동작을 제7도의 그래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부그룹(A 내지 F)의 청정도(c1' 내지 c6')중, 예를 들면, 부그룹(C, F)의 청정도(c3' 내지 c6')가 허용치 co보다 저하했을 경우, 부그룹(C, F)의 밸브(14)가 다른 것보다 크게 열려서 많은 수량의 세정체(15)를 부그룹(C, F)의 냉각관(2)에 공급한다. 또한 부그룹(C, F)의 청정도(c3' 내지 c6')가 허용치(c0)이하가 된 시점에서 펌프구동장치(40)가 동작을 개시하여 세정체 순환펌프(8)가 구동된다. 냉각관(2)의 세정작업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 오염연산이 반복됨으로써 시시각각으로 각 밸브(14)의 개방도가 변경되어 냉각관(2)의 오염정도에 대응하는 수량의 세정체(15)가 공급된다.
모든 부그룹(A 내지 F)의 냉각관(2)의 청정도(c0' 내지 c6')가 대략 계획치까지 회복되었을 때에, 제어장치(300)는 펌프구동장치(40)로의 동작제어신호(b)의 발생을 중지하기 때문에, 펌프구동장치(40)는 세정체순환펌프(8)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복수기(1)의 증기압력(ps)은 터어빈 발전기(500)의 부하치신호(MW)에 대응하여 최적치로 하는 것이 발전소의 효율상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부하검출기(250)로부터 발전기부하를 검지하여, 진공도설정기(214)에 입력시켜 설정진공도가 최적치로 설정되도록 한다.
즉 발전기 부하가 증가했을 경우에는 진공도 설정기(214)의 설정치(p0)를 고진공측으로 시프트시키고, 발전기부하가 감소했을 경우에는 설정치(p0)를 저진공측으로 시프트시킨다.
이상의 오염 연산장치(200)의 연산동작 루우틴(routine)의 플로우차아트를 제8도에 도시하였다.
또한 제7도에서 부그룹(A 내지 F)중 A와 D, B와 E, C와 F가 동일청정도로 변화하는 것처럼 이해되나, 이것은 제1도 내지 제4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그룹(A 내지 C)와 그룹(D 내지 F)가 서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냉각수 공급관(3)이 냉각수 입구실(4) 가까이에서 구부러져 있을 경우에는 냉각수 입구실(4)에서 냉각수가 좌우 비대칭인 흐름을 일으키므로, 그룹(A 내지 C)와 그룹(D 내지 F)이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청정도가 같아진다는 것을 기대할 수가 없다.
그러나 이와같은 경우도 본 발명의 청정시스템에서는 각 부그룹(A 내지 F)별로 각각 냉각관의 오염정도를 파악하여 세정관리 하게 되므로 문제는 없는 것이다.
또 참고로 냉각관(2)에 대한 열류센서(30) 설치에 대한 상세를 제9도에 도시한다.
열류센서는 복수기(1) 내의냉각관(2)의 외벽상에 설치밴드(31)에 의하여 장착되고, 도선(32)은 보강밴드(33)에 의해 냉각관(2)에 연하여 부착시키고, 다시 설치판(34)과 보호관(35)의 수단에 의하여 관지지판(36)에 합착시키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복수기의 다수의 냉각관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각 그룹중 대표적인 하나의 냉각관(2)의 관벽상에 열류센서(30)를 설치하여 각 그룹마다의 열류속을 측정하고, 또한 냉각수 출입구 온도와, 복수기(1) 내의 증기압을 항상 측정하여, 냉각관 (2)의 청정도와 청정도비율을 연산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1) 다수의 냉각관의 오염정도를 국소적으로 파악할 수가 있다.
(2) 다수의 냉각관의 오염정도에 따라 국소적으로 세정관리를 할 수가 있다.
(3) 다수의 냉각관을 항상 전체에 걸쳐 청정하게 유지하게 되므로 복수기를 항상 고성능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을 이상에 실시예의 형태로 복수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청구의 범위 기재사항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세정방법은 기타 관형의 열교환기에도 적용가능하다.

Claims (1)

  1. 냉각관 밖을 응축될 증기가 흐르고, 냉각관 안을 냉각수가 흐르는 복수기와 같은 열교환기이며, 냉각수가 냉각관으로 유입하는 위치에 냉각관 내면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체를 투입하는 투입장치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냉각관을 수개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각 그룹을 대표하는 냉각관 외벽에 부착한 열류센서에 의하여 열류속를 검출하고, 냉각수의 냉각관 입구측 및 출구측에 설치한 온도센서로 냉각수 입구 및 출구의 수온을 검출하고, 복수기에 유입하는 증기의 압력이나 온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치들을 연산장치에 입력하고, 냉각관의 열통과율이나 냉각관청정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연산치를 사전에 설정한 계획치와 비교하고, 상기 각 그룹의 냉각관의 오염상태가 계획치를 초과하여 나빠졌을 때에 상기 세정체 투입장치를 동작시켜서 냉각관의 청정도에 따라 냉각관의 세정을 행하는 열교환기 냉각관의 세정방법.
KR1019810002394A 1980-06-30 1981-06-29 열교환기 냉각관의 세정방법 KR870000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89708 1980-06-30
JP89708 1980-06-30
JP8970880A JPS5714193A (en) 1980-06-30 1980-06-30 Distributing and controlling method of cleaning bal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651A KR830006651A (ko) 1983-09-28
KR870000169B1 true KR870000169B1 (ko) 1987-02-13

Family

ID=1397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394A KR870000169B1 (ko) 1980-06-30 1981-06-29 열교환기 냉각관의 세정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476917A (ko)
JP (1) JPS5714193A (ko)
KR (1) KR870000169B1 (ko)
AU (1) AU528371B2 (ko)
CA (1) CA1159818A (ko)
DE (1) DE3125546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1470B2 (en) 2015-11-12 2019-08-06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Condenser tube clean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4520A3 (de) * 1982-09-28 1988-01-13 Nukem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und Kontrollieren der Innenoberfläche von Rohren
NL8300061A (nl) * 1983-01-07 1984-08-01 Stork Amsterdam Inrichting voor het met warmte behandelen van een vloeibaar produkt, alsmede een werkwijze voor het bedrijven en voor het reinigen van een dergelijke inrichting.
US4846259A (en) * 1985-01-18 1989-07-11 Ebara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fluid flow in a tube of a heat exchanger
US4693305A (en) * 1985-01-18 1987-09-15 Ebara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fluid flow in a tube of a heat exchanger
JPH06105158B2 (ja) * 1985-10-23 1994-12-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熱交換器の性能改善装置
JPS62129698A (ja) * 1985-11-28 1987-06-11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復水器における防食・防汚管理装置
JPS62129697A (ja) * 1985-11-28 1987-06-11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銅合金製復水器管の防食・防汚管理方法
DE3611424C2 (de) * 1986-04-05 1995-06-29 Taprogge Gmbh Vorrichtung zur selektierten Zuführung von Reinigungskörpern in Kühlwasser führende Rohre von Wärmetauschern
DE3705240C2 (de) * 1987-02-19 1995-07-27 Taprogge Gmbh Verfahren und Anlage zur Steuerung des Korrosionsschutzes und/oder der mechanischen Reinigung von Wärmetauscherrohren
US4836146A (en) * 1988-05-19 1989-06-06 Shell Oil Company Controlling rapping cycle
NL9000919A (nl) * 1990-04-18 1991-11-18 Eskla Bv Werkwijze voor het reinigen van de wanden van warmtewisselaars en warmtewisselaar met middelen voor deze reiniging.
DE4035242A1 (de) * 1990-11-06 1992-05-07 Siemens Ag Betriebsueberwachung eines rohre aufweisenden kondensators mit messungen an ausgewaehlten rohren
US5429178A (en) * 1993-12-10 1995-07-04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Dual tube fouling monitor and method
FR2719243B1 (fr) * 1994-04-28 1996-07-05 Technos Cie Perfectionnements aux installations de nettoyage de tubes par circulation de boules élastiques.
DE19504325C2 (de) * 1995-02-10 1997-07-17 Tepcon Eng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stenorientierten Überwachung und/oder Anzeige des Betriebszustandes eines reinigbaren Wärmetauschers
US6569255B2 (en) 1998-09-24 2003-05-27 On Stream Technologies Inc. Pig and method for cleaning tubes
US6170493B1 (en) 1997-10-31 2001-01-09 Orlande Sivacoe Method of cleaning a heater
US6293104B1 (en) * 1999-05-17 2001-09-25 Hitachi, Ltd. Condenser, power plant equipment and power plant operation method
KR100870588B1 (ko) * 2007-10-22 2008-11-25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열교환기용 에어팬쿨러 튜브 핀 클리닝장치
GB2467942A (en) * 2009-02-23 2010-08-25 Tube Tech Int Ltd Self cleaning heat exchanger
US8246751B2 (en) 2010-10-01 2012-08-21 General Electric Company Pulsed detonation cleaning systems and methods
SG193628A1 (en) * 2011-03-25 2013-11-29 Hvs Engineering Pte Ltd A detection device for a cleaning sysytem
CN103194761B (zh) * 2013-04-10 2015-10-28 韶关市雅鲁环保实业有限公司 炼铁高炉水冷壁在线带负荷局部清洗的清洗剂及其应用
HRP20231107T1 (hr) * 2013-10-22 2023-12-22 Bechtel Energy Technologies & Solutions, Inc. Sustav za on-line svijanje i ispuštanje izlaza koksnih peći
CN103808201B (zh) * 2014-03-05 2015-10-28 蒋平锁 凝汽器胶球清洗多点集中发球系统
GB2544288B (en) * 2015-11-10 2018-05-02 Ide Technologies Ltd Cleaning a multi-effect evaporator
US10502510B2 (en) * 2016-02-09 2019-12-10 Babcock Power Services, Inc. Cleaning tubesheets of heat exchangers
CN113091337B (zh) * 2021-05-26 2022-07-08 青海中煤地质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地热利用的地热转换设备
CN114076086B (zh) * 2022-01-19 2022-04-08 江苏隧锦五金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自清洁型冷凝管的空压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65689A (en) * 1951-08-28 Sequential control system fok soot
DE330259C (de) * 1919-12-10 1920-12-10 Paul H Mueller Dr Ing Verfahren zur Messung des Guetegrades von Kondensationsanlagen
GB721718A (en) * 1952-09-10 1955-01-12 Kenneth Parr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utomatic control and/or indicating arrangements for water boilers or steam generators
US3245460A (en) * 1962-05-02 1966-04-12 Aqua Chem Inc Art of removing scale in multiple unit evaporator systems
US3633006A (en) * 1969-09-12 1972-01-04 Maekawa Seisakusho Kk Automatic control device
JPS5858597B2 (ja) * 1977-07-20 1983-1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管式熱交換器用連続洗浄装置
DE2822642C2 (de) * 1978-05-24 1980-08-14 Ludwig Taprogge, Reinigungsanlagen Fuer Roehren-Waermeaustauscher, 4000 Duesseldorf Röhrenwärmetauscher mit einer Reinigungsvorrichtung
JPS5919273B2 (ja) * 1979-12-05 1984-05-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復水器性能監視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1470B2 (en) 2015-11-12 2019-08-06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Condenser tube clea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28371B2 (en) 1983-04-28
KR830006651A (ko) 1983-09-28
US4476917A (en) 1984-10-16
AU7211081A (en) 1982-01-07
DE3125546A1 (de) 1982-03-04
CA1159818A (en) 1984-01-03
DE3125546C2 (de) 1985-04-18
JPS5714193A (en) 198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0169B1 (ko) 열교환기 냉각관의 세정방법
Rubio et al. Fuzzy logic control of a solar power plant
US4390058A (en) Method of monitoring condenser performance and system therefor
Conradie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dry-cooling systems for power plant applications
EP0444892A2 (en) Power plant condenser control system
SE426756B (sv) Syrsystem for matarvattnet vid ett kernkraftverk
Rabas et al. Comparison of river-water fouling rates for spirally indented and plain tubes
CN109470733B (zh) 一种可实现蒸汽管内与管外冷凝可视化的实验装置
CN103984999A (zh) 一种工业循环冷却水能量集成优化方法
CN106059323A (zh) 一种变频器的冷却系统
CN112905947B (zh) 一种间接空冷塔翅片管换热器脏污程度的实时监测方法
Rafalskaya et al. Modeling of characteristics of heat exchangers of heat supply systems in variable operating modes
CN210004796U (zh) 一种可进行循环水浓缩倍率拟合的冷却塔
CN111402074B (zh) 一种循环水系统质能综合优化方法
CN107543141A (zh) 升温升压过程中蒸汽发生器模拟体给水系统及控制方法
JPH0511277B2 (ko)
JP3833417B2 (ja) 冷却水の循環システム
Awad et al. Effect of surface temperature on particulate and crystallization fouling
JPS63311092A (ja) 復水器細管洗浄装置制御装置
KR102410386B1 (ko) 히트펌프 열교환 장치가 적용된 ai cop센서를 포함하는 수열 에너지 제어 시스템
JPS58219982A (ja) 原子力設備と海水淡水化装置との結合プラント
RU2001376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 отпуска теп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SU1129390A1 (ru) Способ восполнени конденсата теплофикационной многоцилиндровой паротурбинной установки
DE1241852B (de) Vorrichtung zur Verhinderung der Korrosion in einer Luftkondensationsanlage
KR20210027829A (ko) 발전소 복수기 출구 기준유량 추정 방법 및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