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081B1 - 진공차단기 - Google Patents

진공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081B1
KR860002081B1 KR828205673A KR820005673A KR860002081B1 KR 860002081 B1 KR860002081 B1 KR 860002081B1 KR 828205673 A KR828205673 A KR 828205673A KR 820005673 A KR820005673 A KR 820005673A KR 860002081 B1 KR860002081 B1 KR 860002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insulating
circuit breaker
correction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820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138A (ko
Inventor
미야가와히로시
가노마사유기
Original Assignee
이마이 마사오
가부시기 가이샤 메이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625377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6000208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마사오, 가부시기 가이샤 메이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마사오
Publication of KR840003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61Specific screen details, e.g. mounting, materials, multiple screens or specific electrical field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07Specific housing details, e.g. sealing, soldering or brazing
    • H01H2033/66215Details relating to the soldering or brazing of vacuum switch 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07Specific housing details, e.g. sealing, soldering or brazing
    • H01H2033/66223Details relating to the sealing of vacuum switch 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07Specific housing details, e.g. sealing, soldering or brazing
    • H01H2033/6623Details relating to the encasing or the outside layers of the vacuum switch 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61Specific screen details, e.g. mounting, materials, multiple screens or specific electrical field considerations
    • H01H2033/66292Details relating to the use of multiple screens in 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07Specific housing details, e.g. sealing, soldering or brazing

Landscapes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공차단기
제1도는 종래의 진공차단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 진공차단기의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제1밀봉 보조부재와 절연에드플레이트와의 납땜부및 그 근방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진공차단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은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용기가 금속재부재 및 절연세라믹부재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진공차단기의 진공용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연부재로서 원통상의 절연동(1)을 보유하고, 금속재부재로서 원형의 금속엔드플레이트(2) 및 (3)을 보유하고 있다.
절연원통(1)은 예컨대, 외주면에 시유(施釉 : glazing)된 알루미나 세라믹과 같은 절연세락믹 또는 결정화글래스로 형성하고, 금속엔드플레이트(2) 및 (3)은 Fe-Ni-Co합금 또는 Fe-Ni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측금속 엔드플레이트(2)이 중앙부에 위치하는 원형구멍을 통하여 고정리드봉(4)가 절연통(1)에 대하여 진공밀폐상으로 또한 동축상에 놓여지도록 금속엔드플레이트(2)에 고착되고, 이 고정리드봉(4)의 내측단부에 고정접점부재(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타측 금속엔드플레이트(3)의 중앙부에 뚫려진 원형구멍을 통하여 가동리브봉(6)이 절연통(1)의 내부로 삽입되고, 이 가동리드봉(6)은, 가동리드봉(6)과 금속엔드플레이트(3)과의 사이에 설치된 벨로우즈(7)에 의해 진공밀폐상태로, 또한 절연통(1)에 대하여 동축상으로, 벨로우즈(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가동리드봉(6)의 내측단부에는 가동접점부재(8)이 고정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 및 가동접점부재(5), (8)은 가동리드봉(6)의 축방향이동에 의해 스위칭 온-오프될 수 있으며 상기한 고정 및 가동접점부재(5) 및 (8)의 주변에는 일측금속엔드플레이트(2)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아크시일드(Arc-Shield)(9)가 절연통(1)에 대하여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아크 시일드(9)는 스테인레스강 또는 철재로 만들어져서 고정 및 가동접점부재(5) 및 (8)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한 생성물로부터 절연통(1)의 내면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절연통(1)이 외주면에 시유된 절연세라믹제인 경우에는, 이 절연통(1)은, 초벌구이(
Figure kpo00001
)절연세라믹제통의 외주면에 치밀한 유약제의 도막을 통상적인 방식대로 형성하고, 그 다음에 이 유약제원료의 도막을 연속된 유약성 글래스질 피막으로 소성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 글래스질 피막은 절연통(1)의 외주면에 수분 및 오염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통(1)의 외주면의 절연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절연통(1)의 환상양단면(1a) 및 (1b)는 절연통(1)의 외주면의 유성(釉性)글래스질 피막소성과정에 있어서도 초벌구이상태로 남게 된다.
이 초벌구이 상태의 환상양단면(1a) 및 (1b) 위에 각각 메탈라이즈(Metallize)층이 형성된다. 이 메탈라이즈층(도시생략)에, 직접, 금속엔드플레이트(2) 및 (3)이 통상의 방법으로 납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진공용기구성용 절연부재 제조공정에 있어서는 상기한 절연통(1)에 다음과 같은 무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상기의 유약제 원료에는, 승기압이 높은, 무수붕산(B2O3), 일산화나트륨(Na2O) 및 일산화칼륨(K2O)이 함유되어 있어서, 진공로내에서 진공차단기가 진공납땜될 때 이들 무수붕산 및 일산화나트륨이(온도범위(900℃-1050℃) 납땜속으로 증발되어, 진공 용기구성용 절연부재의 진공실측표면으로 부착해서, 이 진공실측표면의 절연거리를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는 동시에, 진공로의 내면에 부착되어, 진공로의 연속사용을 방해하는 결점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유성글래스질피막을 형성한 상태로 가조립된 진공차단기를 진공로내에서 설치하는 경우에, 이가 조립진공차단기를 고정, 유지시켜 주기 위한 치공구의 취급이 유성글래스질 피막때문에 불편해지는 결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는, 글래스질피막이 납땜중에 연화하기 때문이다.
또한, 외주면에 도포된 유약제 원료가 글래스질 피막으로 소성변화하는 시유세라믹을 제조한 다음, 이 유성글래스피막을 보유하는 시유세락믹을 냉각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한 진공용기구성용 시유세라믹제 절연부재의 초벌구이된 절연세라믹부와 유약제에 의한 글래스질 피막간의 열팽창율상이에 의해, 진공용기구성용 시유세라믹제 절연부재의 뒤틀림 및 상기한 글래스질 피막에 금이 생기는 것에 의한 쪼개짐등이 발생하기 쉽다.
결론적으로, 소성절연 세라믹제 진공용기구성용 절연부재의 대기측표면에서 유약제로 형성되어 연속된 글래스질 피막을 품질이 양호하고 재료의 낭비가 없이 대량적으로 생산함에는 많은 기술적 곤란이 존재한다.
게다가 이러한 기술적 곤란과 값비싼 유약재에 의해 얻어지는 글래스질 피막의 진공용기구성용 절연부재는 극히 고가품이 되는 결점으로 나타난다.
한편, 바람직한 글래스질 피막이 진공용기구성용 절연부재의 대기측표면에 성공적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이것을 제품화한 진공차단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존재한다.
예를들면, 상기한 절연통(1)의 환상양단면(1a) 및 (1b)상의 메탈라이즈층(도시생략)에서와 같이, 진공용기구성용 절연부재의 초벌구이된 절연세락믹부의 표면상에는 메탈라이즈층이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유약재에 의한 글래스질 피막상에는 형성되지 않으므로, 초벌구이된 절연세라믹부 표면상의 메탈라이즈층과 대기측 표면상의 유약제에 의한 글래스질 피막과의 사이에, 틈새가 남게되어 초벌구이된 세라믹부가 대기중에 노출되는 현상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대기중으로 초벌구이 된 세라믹부 표면이 노출되면 그 노출부위에 수분 및 오염물질이 흡착하고, 이로인해 진공용기수성용 절연부재의 절연성능 저하를 야기함과 동시에, 이 진공용기구성용 절연부재와 진공용기구성용금속제부재와의 납땜부 및 그 주변에, 진공용기의 진공누설을 초래하는 부식발생의 원인이 되고, 결과적으로 진공차단기의 신뢰성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키 위한 것으로서 그 기본적인 목적은 그 신뢰성을 지니며 제조원자가 저렴한 진공차단기를 제조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연성능과 내기후성이 우수한 진공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진공용기의 납땜부 및 그 주변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킨 진공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연세라믹제 진공용기 구성용부재의 절연내구력을 향상시킨 진공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제반목적을 달성하는 진공차단기에 의하면, 그 진공용기는 금속제부재 및 초벌구이된 세라믹제부재를 포함함과 아울러 이 초벌구이된 절연세라믹제 부재의 대기측면, 또는 이 초벌구이 된 세라믹제부재와 진공용기구성용 금속제부재와의 납땜부 및 그 주변의 대기측표면의 어느쪽에 대해서도 강력하게 접착하는 불투과성의 절연피막이 형성되어진다.
상기한 진공차단기의 내기후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절연피막이 우레탄계 또는 에폭시계 절연수지도료(페인트)의 도포, 건조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진공차단기의 절연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절연피막이 전기절연 마무리용 와니스의 도포, 건조에 의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진공차단기(10)의 진공실(10A)는 이하에 기술하는 진공차단기 구성부재로 형성된다. 즉, 금속원통(11) 및 이 금속원통(11)의 양단부근에 각각 설치된 2장의 절연엔드플레이트(12a) 및 (12b), 그리고 금속원통(11)과 절연엔드플레이트(12a) 및 (12b)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의 부재를 진공밀폐상으로 결합하기 위한 원통상의 금속으로된 제1밀봉 보조부재(13), 도전재로된 고정리드봉(14), 이 고정리드봉(14)와 절연엔드플레이트(12a)와를 진공밀폐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원통상의 금속으로 된 제2밀봉 보조부재(15), 또 상기한 고정 리드봉(14)에 대하여 동축상으로 위치하여 상호스윗칭은-오프 가능한 도전재로 된 가동리드봉(16), 금속원통(11)의 내부에서 가동리드봉(16)의 주변으로 설치된 벨로우즈(17), 이 벨로우즈(17)의 외측단과 절연엔드플레이트(12b)와를 진공밀폐상으로 결합시켜주는 환상의 금속으로 된 제3밀봉보조부재(18), 및 가동리드봉(16)과 벨로우즈(17)의 내측단사이가 진공밀폐되도록 납땜하기 위한 환상의 금속으로 된 제4밀봉보조부재(19)이다.
이들의 진공차단기 구성부재를 접합할 때, 해당접촉면끼리 고도로 배기된 진공로중에서 진공납땜 되는 것에 의해, 진공차단기(10)의 진공용기가 완성된다.
이상 열거한 각 진공차단기 구성부재에 대하여 열거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상기 금속원통(11)은,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통상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절연엔드플레이트(12a) 및 (12b)는, 어느것이나 초벌구이된 절연세라믹, 예를들면, 초벌구이된 알루미나세라믹에 의해 구성되며, 원반형상을 가진다. 이 원반형상의 외경은, 금속원통(11)의 단부외경과 거의 같다.
절연엔드플레이트(12a) 및 (12b)의 중앙부에는 고정 및 가동리드봉(14), (16)이 금속원통(11)의 내부로 돌출하기 위한 구멍(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절연엔드플레이트(12a) 및 (12b)의 진공실측표면에는, 구멍(12c)의 주위, 및 절연엔드플레이트(12a)(12b)의 외주면에,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심축 및 외주연측에 단부를 이루는 턱(20) 및 (21)이 형성되고, 이들의 중심측턱(20) 및 외주연측 턱(21)에 메탈라이즈측(20a) 및 (21a)가 밀봉을 위한 납땜작업의 편리를 위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중심측 턱(20) 및 외주연측 턱(21) 사이에는, 이들의 중심측 턱(20) 및 외주연측 턱(21)보다도 더높이 진공실(10A)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링모양의 장벽(22)이 형성되어 있다.
제1밀봉부재(13)은 Fe-Co-Ni 또는 Fe-Ni 합금 또는 동으로 제작된다.
이것은 진공로중에서 진공기밀 납땜후 서서히 냉각되는 과정에 있어서, 금속원통(11)과 절연엔드플레이트(12a)(12b) 사이에서 발생되어지는 열응력을 제1밀봉보조부재(13)의 소성변형능력으로 제거하여 이들 금속원통(11)과 절연엔드플레이트(12a) 및 (12b)와의 진공밀폐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환언하면 Fe-Ni-Co 합금 또는 Fe-Ni합금제의 밀봉보조부재가 통상사용되는 이유는 상기한 각 합금의 열팽창율과 세라믹제 절연엔드플레이트의 열팽창율이 거의 동일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1밀봉보조부재(13)의 재료는 동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가격이 저렴하고, 비교적 기계강도가 크며 더우기 내부식성이 크기 때문이다.
상기한 제1밀봉보조부재(13)은, 그 일단부에 절연엔드플레이트(12a) 또는 (12b)의 외주연측메탈라이즈층(21a)에 납땜된 제1외향플랜지(13a)를 보유하고, 타단부 주위에 금속원통(11)이 링상단면에 납땜된 제2외향플랜지(13b)를 보유하며, 이들 외향플랜지(13a)와 (13b)와의 사이에 보조시일드(23)를 지지하는 내향플랜지(13c)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한 고정리드봉(14)는 동 또는 동합금제의 단붙이봉으로서 그 내측단부가 진공실(10A)에 위치하고, 외측단이 절연엔드플레이트(12a)의 구멍(12c)로부터 금속원통(11)의 외부를 돌출되어 있다.
고정리드봉(14)이 내단부원주면에는, 고정접점 (24)을 가진 원반상의 고정전극(25)가 끼워 붙여져 있다.
고정리드봉(14)의 내측단부근주면에는 고정리드봉(14)의 턱(26)을 개재하여 바닥이 있는 원통상의 아크시일드(27)의 바닥부분(27a)이 끼워 붙여져 있다.
동으로 된 상기한 제2밀봉보조부재(15)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내향플랜지(15a)가, 고정리드봉(14)의 거의 중간부주면에서 스냅링(28)을 개재하여 납땜되어 있고, 제2밀봉보조부재(15)의 링상 외측단면은, 절연엔드플레이트(12a)의 중심측메탈라이즈층(20a)에 납땜되어 있다.
동으로 된 상기한 제2밀봉보조부재(15)는, 진공밀폐납땜후 서서히 냉각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고정리이드봉(14)가 소성변형이 곤란한 형상으로 된 까닭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제1밀봉보조부재(13)와 같은 기능을 가진다.
상기한 가동리드봉(16)은 고정리드봉(14)와 동일하게 동 또는 동합금제이며, 내측단부와진공실(10A)에 위치하고, 외측단부가 절연엔드플레이트(12b)의 구멍(12c)로부터 금속원통(11)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가동리드봉(16)의 내측단부에는 가동접점(29)가 설치되고 상기한 고정전극(25)와 거의 동일형상을 가진 원반형상의 가동전극(30)이 끼워 붙여져 있다.
가동리드봉(16)의 내측단부근 원주면에 끼워붙여진 제4밀봉보조부재(19)를 개재하여, 바닥이 있는 원통상의 벨로우즈시일드(31)의 바닥부(31a)가 가동리드봉(16)의주면에 끼워 붙여진다.
이 벨로우즈 시일드(31)은 아크시일드(27)가 동일형상이며 동일재질이다.
상기한 벨로우즈(17)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구성되어 그 외단에 접합용통부(17a)를 가진다. 이 접합용통부(17a)와 절연엔드플레이트(12b)의 중심측 턱(20)과의 사이에 메탈라이즈층(20a)를 개재하여 동으로 된 제3밀봉 보조부재(18)이 배치되어 있다.
벨로우즈(17)은 그 두께가 0.1m/m정도이므로 이 벨로우즈(17)과 절연엔드플레이트(12b)와의 열팽창율의 차이는 무시할 수 있으며, 메탈라이즈층(20a)에 직접 납땜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진공기밀 납땜후 서서히 냉각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제1밀봉보조부재(13)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제3밀봉부재(18)을 이용하는 편이 절연엔드플레이트(12b)와 벨로우즈(17)의 접합용통부(17a)와의 사이에 높은 내구성과 신뢰성있는 진공밀폐가 확보된다.
상기한 제4밀봉보조부재(19)는 어느 것이나 금속제의 벨로우즈(17)과 가동리드봉(16)과의 진공납땜 및 벨로우즈 시일드(31)의 지지를 위하여 사용되므로, 진공밀폐납땜후 서서히 냉각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제1밀봉보조부재(13)와 동일하게 기능토록할 필요가 없다.
상기한 절연엔드플레이트(12a) 및(12b)의 대기측표면, 절연엔드플레이트(12a) 및 (12b)의 제1밀봉보조부재(13)의 제1외향플랜지(13a)와의 납땜부 및 그 주변 "A"의 대기측표면, 절연엔드플레이트(12a)와 제2밀봉보조부재(15)와의 납땜부 및 그 주변 "B"의 대기측표면 및 절연엔드플레이트(12b)와 제3밀봉보조부재(18)과의 납땜부 및 그 주변 "C"의 대기측표면에, 이들의 대기측표면을 감싸줄 수 있도록 이들의 대기측표면에 강력하게 접착된 상태로 불투과성의 절연피막(32)이 형성되어짐과 아울러, 상기한 제1밀봉보조부재(13)의 제2외향플랜지(13b)와 금속원통(11)과의 납땜부 및 그 주변 "D"의 대기측표면, 상기한 벨로우즈(17)의 접합용원통부(17a)와 제3밀봉보조부재(18)과의 납땜부 및 그 주변 "E"의 대기측표면, 및 상기한 고정리드봉(14)와 제2밀봉보조부재(15)와의 납땜부 및 그 주변 "F"의 대기측표면에도 이들의 대기측표면을 감싸줄 수 있도록 불투과성의 절연피막(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절연피막(32)는 초벌구이된 절연세라믹제의 절연엔드플레이트(12a) 및 (12b)의 표면, 동으로 된 제1, 제23 및 제3밀봉보조부재(13),(15) 및 (18)의 표면, 금속원통(11)의 납땜부 주변의 표면, 금속제 벨로우즈(17)의 납땜부 주변의 표면, 고정리드봉(14)의 납땜부 주변의 표면, 및 고화된 납땜재의 대기측표면의 어느 것에도 강력하게 접착된다.
상기한 절연피막(32)는, 절연도료(페이트)나, 절연와 니스 또는 절연도료 및 절연와니스로 형성되며, 이 절연도료나, 절연와니스, 절연도료 및 절연와니스를 진공납땜후 진공로에서 꺼낸 진공차단기(10)의 소정개소에 또한 진공차단기(10)의 금속제 및 세라믹제로된 제반구성부재표면이 깨끗한 상태에서 치밀하게 도포한 후 자연 또는 가열건조함으로써 얻어진다.
진공차단기(10)의 금속제 및 세라믹제로된 제반구 성부재의 청정표면은 금속표면에 대한 절연피막(32)의 접착강도를 크게 개선한다.
절연도료에는 수지절연도료, 예를들면, 우레탄 또는 에폭시수지계의 절연도료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도료에 의한 절연피막(32)는, 특 히내기후성이 뛰어나다.
절연와니스에 의한 절연피막은, 일반적으로 접착강도가 커서 기공(Pin-Hole)이 발생치 않고 또한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내마손성이 큰 점등이 절연도료에 의한 피막보다도 우수하다. 본 실실예의 경우, 절연와니스로서는 페놀수지계의 전기절연마무리용 와니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페놀수지계의 전기절연 마감용와니스에 의한 초벌구이 세라믹계 절연엔드플레이트(12a)및 (12b)의 대기측표면, 납땜부 및 그 주변 "A", "B" 및 "C"의 대기측 표면상의 절연피막(32)는, 다른 절연와니스 또는 절연도료 일반에 비하여 초벌구이된 세라믹제 절연엔드플레이트(12a) 및 (12b)의 대기측표면의 내구전압치를 현저히 증가시켜, 이들의 초벌구이된 세라믹제 절연엔트플레이트(12a) 및 (12b)의 각 대기측 표면과 진공실측표면과의 절연협조의 관점에서, 절연엔드플레이트(12a) 또는 (12b)의 각 대기측 표면의 절연 성능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크다.
상기절연피막(32)는 밑칠의 절연와니스 피막과 겉칠의 절연도료피막의 두개층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된 절연피막은 절연와니스피막 및 절연도료피막 양자의이점을 겸비한다.
상기 절연도료 및 절연 와니스로부터 이들의 제조과정에서 혼입된 염소성분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는 없어도, 이 염소성분의 양을 드레싱하는 정도로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 염소성분이 염화물의 상태로, 특히, 납땝부 및 그 주변 "A", "B", "C", "D", "E" 및 "F"에 있어서 진공용기구성용의 제반금속제부재에 입계부식(grain boundary etching)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이하,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공차단기(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공차단기(40)의 진공용기는 컵형상의 금속제 하우징(41), 짧은 원통형상의 초벌구이된 절연세라○제절연통(42), 및 접시형상의 금속제 캡(43)을 포함한다.
상기한 금속제 하우징(41)은, 그 개구단에 외향플랜지(44)를 가지며, 바닥부(45)의 내면에 고착된 고정접점(46)을 가지고 있다.
이 고정접점(46)은, 바닥부(45)에서 금속제하우징(41)의 외부에 돌출된 고정리드봉(47)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금속제 캡(43)은, 그 개구단에, 외향플랜지(44)와 동일한 형상의 외향플랜지(48)를 가지고 있다. 또한 금속제 캡(43)의 바닥부(49)의 중앙에는 구멍(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멍(50)을 지나서 가동리드봉(51)의 외측단이 금속제 캡(43)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가동리드봉(51)의 내측단에 가동접점(52)가 설치되고, 이 가동접점(52)는, 진공차단기(40)의 진공실(40a)내에 위치한다.
상기한 금속제 캡(43)의 구멍(50)은 이 구멍(50)을 형성하는 링상의 수직부(53)과, 가동리드봉(51)과의 사이에 설치된 금속 벨로우즈(54)에 의해 진공 밀봉된다.
상기한 절연통(42)는 제2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절연엔드플레이트(12a) 및 (12b)와 동일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짧고 두꺼운 원통이다.
이 절연통(42)의 링상 양단면(42a) 및 (42b)의 외주연측에 링상의 메탈라이즈층(5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메탈라이즈층(55)에, 금속제하우징(41)의 외향플랜지(44) 및 금속제 캡(43)의 외향플랜지(48)가 각각 직접 납땜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절연통(42)의 외주연과 양단면(42a) 및 (42b)의 주연에 연한 부분과를 포함한 대기측표면, 금속제하우징(41)과 절연통(42)의 링상단면(42b)와의 납땜부 및 그 근방 "G"의 대기측표면 및 금속제 캡(43)과 절연통(42)의 링상단면(42a)와의 납땜부 및 그 주변 "H"의 대기측 표면에, 이들의 표면을 감싸도록절연피막(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연피막(56)은 제2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절연피막(32)와 동일한 구성 및 성질을 지니며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들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연통 및 2장의 절연엔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진공용기를 가지는 진공차단기에도 적용되며,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진공통의 양단면이 절연 세라믹제 엔드플레이트에 직접 납땜되는 진공용기를 가진 진공차단기에도 적용되고, 그리고 캡명상의 금속제하우징의 그 개구부에 직접 절연 세라믹제 엔드플레이트가 납땜된 진공차단기(유럽 특허출원 공개번호 0029691참조)에도 적용되며,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캡 형상 금속제하우징의 그 개구부에 밀봉보조부재를 개재시켜서 절연세라믹제 엔드플레이트가 접합된 진공차단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정정) 진공 납땜에 의해 완성되는 진공용기의 구성용부재로서 금속제부재(11, 13, 41, 43) 및 초벌구이된 절연세라믹재 절연부재(12a, 12b, 42)를 포함하고, 이들 부재를 포함하는 진공용기내에 스윗칭 온-오프가 능하게 설치되는 고정 및 가동접점(24, 29, 46, 52)가 배치되고, 상기한 가동접점(29, 52)에 고정부착된 가동리드봉(16, 51)이 상기한 진공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가동리드봉(16, 51)과 진공용기와는 벨로우즈(17, 54)에 의해 진공밀폐상으로 결합되고, 상기한 진공 용기구성용 절연부재(12a, 12b, 42)와 상기한 진공용 기구성용 금속제부재(11, 13, 41, 43)과의 진공밀폐 결합부 및 그 부근의 대치측표면에 이들의 진공납땜에 의하여 얻어진 청정상태의 대기측표면을 감쌈과 아울러 이들 대기측표면에 접착하는 불투과성의 절연피막(32, 56)을 형성한 진공차단기.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진공용기구성용 절연부재(42)가 원통형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진공용기구성용 절연부재가 원판형상(12a, 12b)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
  4.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연피막(32, 56)이 와니스를 포함하는 절연도료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
  5.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연피막(32, 56)이 우레탄수지계 절연도료에 의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
  6. (정정)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연피막(32, 56)이 에폭수지계 절연도료에 의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
  7. (정정)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진공피막(32, 56이 절연와니스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
  8. (정정)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연와니스가 페놀수지계 전기절연 마무리용 와니스르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
  9. (정정) 금속통(11), 이 금속통(11)의 양단부근에 설치되는 초벌구이된 세라믹제의 양 절연엔드플레이트(12a, 12b)를 포함하는 진공용기내에, 스윗칭 온-오프가능한 고정 및 가도접점(24, 29)를 각각 보유하는 1쌍의 고정 및 가동리드봉(14, 16)이 각각 양 절연엔드플레이트(12a, 12b)를 삽입관통하여 설치되고, 가동리이드봉(16)과, 일측 절연엔드플레이트(12)가 벨로우즈(17)에 의해 진공밀폐상으로 결합되며, 금속통(11)과 양절연엔드플레이트(12a, 12b)와의 사이 및 타측절연플레이트(12a)와 고정리드봉(14)와의 사이를,제1 및 제2 밀봉 보조부재(13, 15)를 개재하여 긱각 진공밀폐상으로 결합하고, 양절연엔드플레이트(12a, 12b)의 대기측표면, 양 절연엔드플레이트(13, 15)와의 진공밀폐 납땜부 A, B 및 그 부근의 대기측표면, 및 일측절연엔드플레이트(12b)와 벨로우즈(17)과의 진공밀폐부 E 및 그 부근의 대기측표면에, 이들 진공밀폐 납땜으로 얻어지는 청정상태의 대기측표면을 감쌈과 아울러 대기측표면에 접착하는 불투과성의 절연피막(32)를 형성한 진공차단기.
KR828205673A 1981-12-19 1982-12-17 진공차단기 KR860002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90180 1981-12-19
JP1981190180U JPS5894233U (ja) 1981-12-19 1981-12-19 真空インタラプタ
JP190180 1981-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138A KR840003138A (ko) 1984-08-13
KR860002081B1 true KR860002081B1 (ko) 1986-11-24

Family

ID=1625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8205673A KR860002081B1 (ko) 1981-12-19 1982-12-17 진공차단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82790A (ko)
EP (1) EP0084238B1 (ko)
JP (1) JPS5894233U (ko)
KR (1) KR860002081B1 (ko)
DE (1) DE327147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7950A1 (de) * 1984-12-14 1986-07-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akuumschaltröhre
EP0248286B1 (de) * 1986-06-02 1990-08-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nordnung zur Nasszerlegung radioaktiv kontaminierter oder aktivierter Komponenten von Kernreaktoranlagen
DE3623457A1 (de) * 1986-07-11 1988-01-14 Siemens Ag Vakuumschaltroehre
DE4030806A1 (de) * 1990-09-28 1992-04-02 Siemens Ag Verfahren zur erhoehung der spannungsfestigkeit und verbesserung des kriechstromverhaltens von isolationsstrecken und anwendung dieses verfahrens auf vakuumschalter
DE9401655U1 (de) * 1993-06-18 1994-11-03 Siemens Ag Vakuumschaltröhre mit ringförigem Isolator
JP4031895B2 (ja) * 2000-02-09 2008-01-09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釉薬層付きセラミック部材を用いた金属−セラミック接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真空スイッチユニット
DE102006041149B4 (de) * 2006-09-01 2008-09-04 Abb Technology Ag Vakuumschaltkammer für Mittelspannungsschaltanlagen
DE102017222413A1 (de) 2017-12-11 2019-06-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Überdruckfeste Vakuumschaltröhr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60994A (en) * 1964-03-06 1967-03-08 Ass Elect Ind Improvements relating to vacuum switches
US3674958A (en) * 1970-11-23 1972-07-04 Allis Chalmers Mfg Co Vacuum circuit interrupter
JPS5279279A (en) * 1975-12-25 1977-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Vacuum valve circuit breaker
US4393286A (en) * 1978-08-24 1983-07-12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Vacuum circuit breakers
JPS5576523A (en) * 1978-12-06 1980-06-09 Tokyo Shibaura Electric Co Vacuum valve
DD147023A1 (de) * 1979-11-01 1981-03-11 Wolfgang Kuehn Halterung des gleitlagers in einer vakuumschaltkammer
JPS5676131A (en) * 1979-11-26 1981-06-23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Vacuum breaker
US4408107A (en) * 1981-06-24 1983-10-04 Kabushiki Kaisha Meidensha Vacuum interrup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34195Y2 (ko) 1988-09-12
EP0084238B1 (en) 1986-05-28
US4482790A (en) 1984-11-13
EP0084238A1 (en) 1983-07-27
DE3271474D1 (en) 1986-07-03
JPS5894233U (ja) 1983-06-25
KR840003138A (ko) 198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31853A (en) Method of making a ceramic-to-metal seal
KR860002081B1 (ko) 진공차단기
US4500383A (en) Process for bonding copper or copper-chromium alloy to ceramics, and bonded articles of ceramics and copper or copper-chromium alloy
JPS6213778B2 (ko)
EP0129080B1 (en) Vacuum interrupter
US2241505A (en) Manufacture of metal to porcelain seals
JP3842735B2 (ja) 真空遮断器の容器部品間の接続部と真空遮断器
US4795866A (en) Vacuum tube switch which uses low temperature solder
JPH09320412A (ja) 真空バルブ
US4769622A (en) Reed switch having improved glass-to-metal seal
GB2041635A (en) Electron tube
JP2001093596A (ja) 気密端子
JPH0113620B2 (ko)
KR870000722B1 (ko) 세라믹스와 동재 또는 동-크롬합금재와의 접합 방법
JPH0433759B2 (ko)
JP2009048842A (ja) 真空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83692B2 (ja) 気密絶縁端子
JPH0112356Y2 (ko)
JPS6336591Y2 (ko)
JPH0475618B2 (ko)
JPH11203996A (ja) 真空バルブ
JPS62209878A (ja) ガスレ−ザ管
JPH03194814A (ja) 真空気密装置の製造方法
JPS6086838A (ja) 半導体装置
JPH0252376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