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658B1 - 텔레비전 음극선관용 편향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음극선관용 편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658B1
KR850001658B1 KR1019800002549A KR800002549A KR850001658B1 KR 850001658 B1 KR850001658 B1 KR 850001658B1 KR 1019800002549 A KR1019800002549 A KR 1019800002549A KR 800002549 A KR800002549 A KR 800002549A KR 850001658 B1 KR850001658 B1 KR 850001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deflection
period
scr
d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006A (ko
Inventor
프리드리히 빌헬름디츠 볼프강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코포레이션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코포레이션,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30004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4/00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 H03K4/06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 H03K4/08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 H03K4/83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using as active elements semiconductor devices with more than two PN junctions or with more than three electrodes or more than on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ame conductivity region
    • H03K4/835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using as active elements semiconductor devices with more than two PN junctions or with more than three electrodes or more than on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ame conductivity region using pulse-modulation techniques for the generation of the sawtooth wave, e.g. class D, switched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04N3/23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using a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텔레비전 음극선관용 편향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블록회로도.
제2도는 제1도 회로의 동작중에 발생하는 전압전류의 진폭대 시간 특성을 나타내는 파형도.
제3도는 제1도의 제어회로, 주 변조기의 상세 회로도.
제4도는 내지 제6도는 제3도의 회로중에 발생하는 전압 전류 파형의 진폭대 시간 특성을 나타내는 파형도.
제7도는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본 발명은 수직편향 전류를 발생하기 위한 에너지가 수평소인 및 수평귀선의 양 기간중에 수평편향 회로로 부터 인출되게한 텔레비전 음극선관용 등기 스위치식 수직편향(이후 SSVD라 칭함)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평귀선 기간중에 수평편향 발생기로부터 에너지를 인출하는 SSVD장치는 미국특허 제4048544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 장치에 있어서, 수평편향 발생기에 결합된 제1권선은 SCR형태의 제어 가능한 스위치 및 인덕터와 직렬 접속되어 콘덴서를 제1의 구성으로 충전하는 것에 의해 수직편향 권선을 통하여 일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한다. 또한 상기 콘덴서에는 SCR, 권선 및 인덕터의 제2의 직렬회로가 결합되어 이 콘덴서를 제2의 구성으로 충전하는 것에 의해 수직 편향 권선을 통하여 반대 방향으로 전류를 흐르도록 한다. 이 SSVD장치내에 형성된 2개의 직렬충전로중 어느 한 충전로를 통해 공급되는 에너지는 SCR이 도통하도록 게이트 되는 시점에 대해 매우 민감하다.
수평귀선 기간이 끝나기 직전에 있어서는 귀선 펄스 전압이 작기 때문에 충전로를 흐르는 전류는 비교적 작으며 따라서 전송되는 에너지도 작다.
SCR의 게이팅되는 도통시간을 빠르게 하면, 충전용 인덕터를 흐르는 전류가 종대하는 시간이 길어질뿐아니라 충전용 인덕터에 인가되는 귀선펄스 전압의 피크 진폭도 증가한다. 따라서 SCR이 게이팅되는 도통시간이 약간만 변해도 수평편향 발생기로부터 수직평향 권선에 공급되는 에너지는 크게 변화하게 된다.
이 SSVD장치에 있어서의 높은 전압 및 전류와 접압 및 전류의 큰 변화율은 에너지를 전력회로로 부터 제어회로에까지 전달되게 하는 경향이 있다. 이 결과, 비교적 게이트되는 SCR은 전력회로에서의 커다란 전압변화 및 전류변화를 초래케 되는데, 이것이 도선 및 기타의 결합진로에 의해 제어회로에 결합되는 때에는 비교적 늦게 게이트되는 SCR의 조기게이팅, 주「폴팅」(pulling)을 일으킨다. 이것은 또한 백선 또는 후선으로서 알려진 라스터의 쉐이딩(shading)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쉐이딩은 수직 주사 속도의 변화로 인해 발생되고 이것은 주사된 점이 수직주사의 특정한 어느 부분에서 보다 오랫동안 또는 보다 짧은 기간 동안 지속케 한다.
통상, 권선을 가지는 회로소자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플라이백 트랜스의 권선을 없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SCR의 도통개시로 인해 다른 SCR의 트리거 시점이 앞당겨지는 경향에 따라 발생되는 라스터의 쉐이딩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식 수직 편향장치는 서로 반대되는 제1및 제2의 구성 사이를 수평편향 주파수로 교번하는 전압의 공급원을 포함한다. 제1의 제어가능한 스위치는 상기 전압원을 수평 귀선 기간중 수직편향 권선에 결합하여, 그 권선을 통하여 제1구성의 전류가 흐를 수 있게 한다. 또한 제2의 제어가능한 스위치는 상기 전압원을 수평소인 기간중 수직편향 권선에 결합하여 그 권선을 통하여 제1구성과 반대의 제2구성의 전류가 흐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1및 제2스위치에는 그들의 도통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가 접속되는데 이 제어회로는 상기 권선을 흐르는 제1 및 제2의 구성의 전류량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권선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제어되므로 수직 편향 전류가 결정되게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설치된 회로도이다. 동기분리기(도시치 않음)로 부터의 수평동기 펄스(5)가 입력단자(6)를 경유하여 수평편향 발생기(7)에 공급된다. 수직편향 발생기(7)는 음극선관(10)에 설치한 수평편향 권선(11)에 수평편향 전류를 공급하고 텔레비전 수상기 내에서의 각종 타이밍 동작에 필요한 수평주파수펄스를 공급하는데 적당한 유형의 장치이다. 수평편향 발생기(7)는 수평출력의 고전압(플라이백)트랜스(8)의 1차권선(8a)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트랜스(8)의 2차권선(8c)은 고전압 증배 및 정류회로(9)에 귀선펄스를 공급하며 이 회로(9)는 직류 고전압을 음극선관(10)의 얼터 전구에 인가한다. 트랜스(8)의 2차 권선(8b)의 일단은 콘덴서(15)를 통해 접지되며, 타단은 인덕터(16)및 접속접(14)를 통해 SCR(13)의 캐소드 및 SCR(17)이 애노드에 접속된다. SCR(13)의 애노드 및 SCR(17)의 캐소드는 접지되며, 이에 따라 모든 SCR(13), (17)이 효과적으로 역 병렬 접속된다. 콘덴서(15)의 양단간에는 수직 편향권선(18)과 전류 감지저항(19)의 직렬회로가 결합되어 있다. 수직 톱니파 발생기(20)는 입력단자 (22)에 인가되는 수직동기 펄스(21)에 따라 그의 출력에서 수직주파수의 톱니파 전압(28)을 발생시킨다.
이 톱니파 전압(28)은 제어회로, 주 변조기(23)에 인가된다. 이 변조기(23)는 트랜스(8)의 2차권선(8d)에 접속되어 수평 타이밍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전류 감지저항(19)에서의 궤환전압을 수신하여, 이들의 입력에 따라 일련의 게이트 펄스(29)를 발생하는데, 이 게이트 펄스는 SCR(13)의 게이트에 인가되어 수평소인 기간중 SCR(13)을 트리거시킨다.
또한, 변조기(23)는 일련의 게이트 펄스(30)를 발생시켜, 이 펄스를 SCR(17)의 게이트에 인가하여 수평귀선 기간중 SCR(17)를 트리거 한다.
수평귀선 기간중의 동작에 있어서, 수평 편향 발생기(7)는 권선(8b)의 인덕터(16)추의 단자에 접지점에 대해 정의 귀선전압 펄스를 발생한다.
이때, SCR(17)은 게이트 전압의 인가에 의해 도통되기까지 비도통 상태로 유지된다. 이후, 수평귀선기간중의 어느 시점에 있어서, 변조기(23)는 SCR(17)에 게이트 펄스를 인가하여 SCR(17)를 도통시켜 낮은 임피던스 상태로 되게 한다.
따라서 권선(8b), 인덕터(16), SCR(17) 및 콘덴서(15)로 이루어지는 전로가 형성되고, 이 전로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서 권선(8b)으로부터의 에너지가 인덕터(16)와 관련된 자계내에 축적되며 시간에 따라 중대한다. 또한 이 전류의 흐름에 의해 콘덴서(13)에도 에너지의 축적이 행해져 콘덴서(15)의 상측구판이 접지에 대해 부로된다. 이 진로에 흐르는 전류는 수평귀선 기간의 종료시까지 계속 증가한다.
그 수평귀선기간의 종료시점, 근방에서, 권선(8b)의 양단간 전압은 수평귀선 기간중의 구성과 역구성으로 전환되므로, 인덕터(16)를 흐르는 전류도 반전되지만 인덕터(16)에 축적된 에너지로 인하여 SCR(17), 콘덴서(15) 및 권선(8b)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인덕터(16)에 축적된 에너지가 영으로 될때까지 계속 흐른다. 인덕터(16)에 축적된 에너지가 영이 되면, SCR(17)을 포함한 전로에 흐르던 전류는 그 흐름을 중지하고, 권선(8b)의 양단간의 전압이 SCR(17)의 애노드를 접지에 대해 부토하여, SCR(17)을 비도통하게 한다.
수평소인 기간중 SCR(17)이 비도통 된 후, 권선(8b)의 양단간 전압은 부전압으로서 SCR(13)의 캐소드에 인가된다. 이 때문에 SCR(13)은 순바이어스 되지만 변조기(23)로 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의해 도통될 때까지 비도통상태로 유지된다.
SCR(13), (17)이 비도통 되는 기간에는 권선(8b) 또는 인덕터(16)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수평소인 기간의 소정의 시점에 있어서, SCR(13)은 도통상태로 게이트 되고, 인덕터(16), 권선(8b) 및 콘덴서(15)를 포함하는 전로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고, 시간에 따라 인덕터(16)의 자계에 축적되는 에너지가 증대된다. 이 전류의 흐름은 콘덴서(15)의 상측이 극판을 접지에 대해 정으로 되게 한다. SCR(13)를 포함한 전로의 에너지는 수평소인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 증대한다. 소인기간의 종료시점에서 권선(8b)의 양단간 전압은 그 극성이 역으로 인덕터(16)의 전류가 반전한다. 그러나, 인덕터(16)에 축적된 에너지가 소모될 때까지 인덕터(16) 및 SCR(13)을 포함하는 전로에는 전류가 계속 흐른다.
수평소인 기간중에 인덕터(16) 내의 에너지가 소모되어 버리면, SCR(13) 및 인덕터(16)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영으로 감소되고, SCR(13)은 비도통 상태로 된다. 따라서 SCR(17)의 애노드 전압은 다시 정으로 되는데, 이 SCR(17)은 수평귀선 기간의 소정의 시점에서 도통상태로 게이트 될때까지 비도통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반복동작에 의해 콘덴서(15)에 2가지 극성의 제어가능한 충전전류가 공급된다.
수직 주사기간의 개시시점 T100 근방의 동작에 있어서 변조기(23)는 제2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승연부가 수평소인기간 동안 조기에 발생하여 SCR(13)을 수평소인 기간동안 조기에 도통케하는 게이트펄스(29)를 제공한다. 또한 변조기(23)는 시점 T100의 근방에서 제2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연부가 수평귀선 기간동안 비교적 늦게 발생하여 SCR(17)을 비교적 늦게 도통케하는 게이트 펄스(30)를 제공한다.
SCR(13)이 빨리 도통상태로 게이트되면 제2d도의 파형(3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SCR(13)내에 전류가 축적되는 시간이 길어지며, 또한 제2f도의 파형(35)의 0선보다 상측의 부분의 파형과 같이 콘덴서(15) 및 인덕터(16)을 포함하는 충전로내에 전류가 축적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그 반대로, SCR(17)이 도통상태로 늦게 게이트되면 제2e도의 파형(34)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SCR(17)내에 상당한 레벨까지 충전전류가 축적되고 또한 파형(5)의 영보다 아래 부분의 파형과 같이 인덕터(16)내에 상당한 레벨까지 충전전류가 증대되는 시간이 거의 없게된다. 이 때문에 콘덴서(15)는 시점 T100의 근방의 수평 사이클 중에 비교적 큰 정의 전하와 비교적 작은 부의 전하를 수신하며, 콘덴서(15)의 양단간 전압은 제2g도의 파형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주파수의 비교적 큰 정의 전압으로 된다. 변조기(23)는 점차적으로 매수평소인 기간동안 SCR(13)를 도통 상태로 늦게 게이트시키고, 매 수평 귀선기간 동안 점차로 SCR(17)를 조기에 도통시켜서 콘덴서(15)를 정으로 충전하는 전류펄스(33)의 크기를 점차로 저감하고, 콘덴서(15)를 부로 충전하는 전류펄스(34)의 크기를 점차로 증대시킨다. 따라서, 기간 T100내지 T200에서 콘덴서(15) 양단간 전압은 점점 저하한다.
그후, 수직주사 기간의 중간시점 T200의 근방에서 정방향의 충전 전류(33)와 부방향의 충전전류(34)의 적분값은 동일하게 되어, 콘덴서(15) 양단 전압은 영에 접근하고, 결국은 주사기간의 후반 T200 내지 T 300의 기간중에서 극성의 반전이 일어난다. 수직 주사기간의 T300의 종료 직전에 SCR(17)은 수평귀선 기간중 가장 바른 시점에서 도통되고, SCR(13)은 수평소인 기간중 가장 늦은 시점에서 도통되므로, 콘덴서(15)의 양단에는 최대의 부전압이 발생된다. 편향귀선(18)은 수직주사 기간중 콘덴서(15)의 양단의 전압(26)을 적분하여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수직편향 전류(27)를 발생시킨다.
편향권선(18)의 양단에 인가된 전압(26)의 수평주파수의 변동의 적분은 편향전류(27)내에 작은 수평주파수의 변동을 초래한다. 이 같은 변동은 매 수평주사 기간의 중점근방에서 수직편향 전류를 증대시키며, 수직주사의 상하단 근방의 매 수평주사 기간의 개시점 및 종료점 근방에서 수직편향 전류를 감소시키는데 이것에 의해 상기 미국특허 제4048544호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주사라스터의 상하 핀쿠션(pincushion : 실감이 찌그러짐)의 보정을 할 수가 있다. 편향 권선 양단의 전압에 핀 쿠션 보정부분은 통상의 나비넥타이형 상하 핀쿠션 파형과 달라서 제2g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 주사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될 수도 있다.
수직 주사기간의 종료시점에 있어서 편향권선(18)에는 통상의 편향 전류가 상향으로 흐른다.
시점 T300에서 수직 귀선기간을 개시하기 위해, 변조기(23)는 다시 SCR(17)를 각 수평주사 기간의 늦은 시점에서 도통상태로 게이트시키든가, 각 수평기간 중의 어떤 시점에서도 도통상태로 게이트하지 않는다. 따라서 편향권선(18)의 편향전류와 인덕터(16) 및 권선(8b)을 통과하는 작은 순수 충전전류가 SCR(13)의 도통에 의해 실질적인 공진식으로 콘덴서(15)를 충전한다. 콘덴서(15) 양단의 전압은 에너지를 공급받음에 따라 전압파형(2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급격하게 상승하며, 권선(18)에 축적된 에너지는 영으로 감소한 후 다시 다음의 수직주사 기간에 앞서 공진방식으로 증대한다.
이와 같이 플라이백 트랜스(8)의 단일 권선(8b)은 교류전압원으로서 작동하고 이것에 직렬로 하나의 인덕터(16)가 접속되어 있다. 이 직렬결합 회로는 수평소인 및 귀선기간중에 게이트되어, 권선(18) 내에 편향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교류전류를 공급한다. 소인 기간중에 어느 한 SCR이 도통하고, 귀선기간 중에 다른 SCR이 게이트되므로, 게이트 펄스의 시점이 다르다. 따라서 표유 결합이 라스터의 쉐이딩을 초래하도록 SCR의 게이팅 시점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거나 폴링되게 하는 것이 방지한다.
제3도는 제1도의 장치에 적합한 변조기(23)의 상세한 회로도이다. 일반적으로 변조기(23)에서는 톱니파 발생기(20)로부터의 톱니파신호(8)가 제3도 좌상의 입력단자(36)를 경유하여 변조기(40)에 공급되며 권선(8d)으로 부터의 수평귀선 펄스(32)가 제3도의 좌하의 입력단자(38)로 부터 톱니파 발생기(70)에 공급되고, 이 톱니파 발생기(7)가 수평 주파수의 톱니파 신호를 발생시켜 이 신호를 변조기(40)에 공급한다. 변조된 신호는 변조기(40)로부터 수평소인 및 귀선기간중에 게이트 펄스를 발생하는 상측의 주사 비교기(120) 및 하측의 주사 비교기(220)에 개별적으로 공급된다. 블록(140)으로 나타낸 소거 회로는 상측의 주사비교기(120)로 부터 발생하는 귀선기간 게이트 펄스를 소거하고, 하측의 주사 비교기로 부터 발생하는 수평소인 및 귀선게이트 펄스는 발전증폭기(150), (250)를 개별적으로 통과하여 SCR(13), (17)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게이트펄스(29), (30)의 형성한다. 저항(63)은 부궤환을 제공한다.
제3도에서, 변조기(40)는 에미터를 저항(46), (48)의 직렬회로에 의해 서로 결합한 NPN트랜지스터(42), (44)로 구성된다. 저항(46), (48)의 접속점은 에미터를 가변저항(52)을 경유하여 접지한 NPN전류원 트랜지스터(50)의 콜렉터에 도선(6B)을 경유하여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42), (44)의 콜렉터는 저항(54), (56)을 통하여 B+전원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44)의 베이스 B+전원과 접지점 사이에 삽입된 저항(58), (60)으로 구성시킨 분압기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42)의 베이스는 B+전원으로 부터 저항(62)을 경유하여 바이어스 전류를 수신함과, 동시에 단자(36)로부터 콘덴서(39)를 경유하여 수직 톱니파 신호를 수신한다.
톱니파 발생기(70)는 (72)로 도시한 2상태 전류원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전류원(72)은 에미터를 B+전원에 접속하고 베이스를 상호 접속되게 한 NPN 트랜지스터(76), (78)을 포함하는 전류 밀러회로(74)를 포함하고 있다. 트랜지스터(76)의 콜렉터는 에미터가 트랜지스터(76), (78)의 공통베이스에 접속된 PNP 트랜지스터(80)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80)의 콜렉터는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80)의 베이스를 접지시키는 저항(82)은 밀러회로(74)에 제1크기의 전류를 공급하는데, 이 전류는 트랜지스터(78)의 콜렉터도선(5C)상에 복제된다. 수평귀선 펄스는 입력단자(38)로부터 저항(86), 회로점(87) 및 저항(88)을 경유하며 NPN 트랜지스터(84)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84)의 에미터는 저항(90)을 경유하여 접지되고, 콜렉터는 저항(92)를 경유하여 트랜지스터(8)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NPN 트랜지스터(94)의 베이스-에미터 접합은 저항(90)의 양단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84)는 수평귀선 펄스 기간중 도통상태로 되어 저항(92)을 통하는 부가의 전류를 발생시키는데 이 전류는 저항(92)에 의해 발생된 전류에 가산되어서 제5c도의 파형(51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선(5C)의 전류를 증대시킨다. 수평귀선 펄스는 회로점(87)에서 직렬저항(98), (100)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96)의 콜렉터(5B)는 도선(5C)에 접속되고, 이 접속점은 톱니파콘덴서(110)의 일단에 접속된다. 콘덴서(110)의 타단은 (112)로 도시한 두직렬쌍의 역 병렬 다이오드를 통해접지 되어있다.
트랜지스터(96)는 매 수평귀선 기간의 개시점 및 종료점 근방에서의 단시간 동안 도통된다. 제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귀선 전압(32)은 각 수평 귀선기간의 개시점 및 종료점의 근방에서 1Vbe 지점 및 2Vbs 지점을 통과한다. 귀선기간의 개시점 근방의 상승전압은 트랜지스터(96)의 베이스에 인가되며, 시점T3에서 1Vbe에 달했을 때 트랜지스터(96)는 제4b도에 고레벨(410)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통한다. 트랜지스터(96)의 베이스 인가되는 전압은 계속 증가하여 시점 T4에 잇어서 2Vbe에 달하는데, 이 시점에서는 트랜지스터(84), (94)가 도통되어 트랜지스터(96)의 베이스 구동전압을 차단하므로, 제4b도에 영 레벨로도 시한바와 같이 트랜지스터(96)는 비도통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러한 비도통 상태는 귀선기간의 종료시점의 근방에서 다시 귀선 전압펄스가 1Vbe와 2Vc와의 사이에 있게되는 기간, 즉 T5내지 T6기간이 시작될때까지 계속된다.
그 후, 시점 TC이후의 소인기간중 트랜지스터(96)는 비도통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트랜지스터(96)는 각수평 귀선 기간의 개시점 및 종료시점 근방에서 도통하여 톱니파 콘덴서(110)를 방전시킨다. 트랜지스터(96)가 비도통상태인 기간중, 콘덴서(110)는 2상태 전류원(72)에 의해 충전된다. 제5c도에 관련하여 언급되는 바로서, 전류원(72)에 의하여 발생된 전류는 수평소인 기간에서 보다 수평 귀선기간에 있어서 더크다. 따라서 콘덴서(110)의 양단간에 발생하는 톱니파 전압은 제5d도의 파형(520)과 같은 형상을 나타낸다.
톱니파 전압 파형(520)은 트랜지스터(114)의 베이스-에미터 접합부를 통해 트랜지스터(50)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변조기(40)를 흐르는 전류를 변화시킴과 동시에, 트랜지스터(42), (44)의 콜렉터의 수직주파 톱니파 신호를 변조한다. 수직 주파수의 톱니파의 입력신호(28)는 각 수평기간중에 거의 변화되지 않으며, 변조기(40)의 출력신호(610), (650)에 대한 그의 영향은 제6c도 및 제6g도의 전압파형(610), (65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주파수 톱니파 신호 레벨의 경사변화로 표시된다. 변조된 톱니파 신호(610)는 도선(60)을 통해 비교기(120)의 NPN 트랜지스터(12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 트랜지스터(122)는 그의 에미터가 NPN 트랜지스터(124)의 에미터와 접속되며, 이들 접속에미터는 저항(126) 및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128)를 통해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22)의 콜렉터는 싱글, 앤디드 푸시풀(SEPP) 변환기로서 사용되어서 비교기(120)의 출력단자(132)를 형성하는(130)으로 표시한 전류밀러 회로를 통하여 트랜지스터(124)의 콜렉터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24)의 베이스에는 B+전원과 접지점간에 결합된 저항(134), (136)으로 이루어진 분압기의 탭에 발생된 기준전압이 인가된다. 비교기(120)는 톱니파 신호(610)에 응답하여 신호(610)가 트랜지스터(124)의 베이스의 기준전압을 초과할때마다 부의 출력 펄스는 발생시킨다. 비교기(120)의 비소거된 출력 신호는 제6d도의 파형(620)으로 보여진다.
트랜지스터(124)의 베이스는 저항(142) 및 (140)으로 도시한 소거회로의 스위치 트랜지스터(144)의 주콜렉터-에미터 도전로를 통하여 접지된다. 트랜지스터(144)는 그의 베이스가 접속점(87)에 접속되며, 그의 베이스에 인가된 귀선 펄스의 일부분이 1Vbe를 초과할 때 마다 항상 도통상태로 되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전체귀선 기간중 일어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144)는 제6e도의 논리신호(630)에 의해 수평귀선 기간중 도통한다. 신호(630)의 고레벨은 트랜지스터(144)의 도통상태를 나타낸다. 이 트랜지스터(144)의 도통기간 중 신호(610)의 상태에 관계없이, 트랜지스터(124)의 베이스 기준전압은 감소되어 비교기(120)가 고레벨 출력을 발생시킨다. 소거신호(630)와 비교기(120)의 파형(610)에 대한 기본응답의 조합으로 부터 발생되는 비교기(120)의 소거된 출력신호는 제6f도의 전압파형(640)으로 도시한 바와 같으며, 이는 소망의 게이트 신호(29)가 반전된 것이다.
파형(640)은 단자(132)로부터 도선(6F)를 통해 반전출력 증폭기(150)의 NPN트랜지스터(152)의 에미터에 공급된다. 이트랜지스터(152)의 콜렉터는 B+전원 보다 더 높은 정의 전압원 B++에 에미터가 접속된 PNP 트랜지스터(154)의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54)는 2개의 콜렉터를 갖는데, 그 중 일측은 베이스에 접속되고 타측은 트랜지스터(156)의 베이스 및 NPN트랜지스터(158)의 콜렉터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58)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128)의 베이스 및 NPN 트랜지스터(160)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60)의 에미터는 트랜지스터(158)의 에미터에 접속되며, 콜렉터는 트랜지스터(158)의 에미터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58), (160)의 공통 에미터는 저항(162)을 경유하여 접지되어있다. 트랜지스터(164)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156)의 에미터에 접속되고 그 콜렉터는 트랜지스터(156)의 콜렉터 및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신호(29)는 반전증폭기(150)으로 부터트랜지스터(164)의 에미터에 접속된 저항(166)에 의해 취출된다. 이 저항(166)의 타단은 2차 권선(170b)이 SCR(13)의 게이트-캐소드 접합부의 양단간에 접속된 펄스 트랜스(170)의 1차 권선을 구동시킨다.
변조기(40)의 출력(6G)으로부터의 변조된 톱니파신호(650)는 비교기(120)의 유사한 비교기(220)를 구동시킨다. 비교기(120)의 소자와 동일한 비교기(220)의 소자는 200대의 동일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비교기(220)와 비교기(120)가 다른점은 소거회로뿐이다. 소거가 없을 때 변조된 톱니파 신호(630)에 응답하여 비교기(220)의 출력단자(232)에서 생긴 응답은 제6h도의 신호(660)로 도시되어 있다. 소인선 소거는 에미터가 B+전원에 접속되고 콜렉터가 비교기의 출력단자(232)에 접속된 PNP트랜지스터(180)에 의해 수행된다. 트랜지스터(180)의 베이스는 저항(148)을 통해 소거회로(140)의 NPN 트랜지스터(146)의 콜렉터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46)는 그의 베이스가 접지되며, 그의 에미터는 접속점(87)에 접속된다. 수평소인 기간중, 신호(32)가 접지에 대해 부로되기 때문에 그에 의하여 트랜지스터(146), (180)는 도통한다. 이 소인선 소거는 제6i도의 파형(67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인기간중 단자(232)의 전압을 B+까지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소거와 파형(650)에 대한 비교기(220)의 응답의 조합은 제6j도의 파형(68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되는데 이 신호는 소망의 게이트신호(30)의 반전신호가 된다. 비교기(220)의 출력은 증폭기(150)에 상당하는 반전 출력 증폭기(250)를 통해 SCR)(17)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이 SCR(17)의 캐소드가 접지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구동회로를 SCR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다.
제6도에서, 변조된 톱니파형(610)은 각 수평귀선 기간의 개시점 또는 종료점에서 종료되고 수직주사 기간중 점차로 지속 시간이 길어지는 부방향 진행펄스쌍(620)을 발생시키는 데 귀선 부분을 소거하면, 반전하였을 때 귀선기간의 개시점에서 종료되고, 수직주사 기간중 점차로 지속시간이 짧아지는 정방향 진행펄스(29)를 발생시키는 펄스가 발생된다.
마찬가지로, 파형(650)은 점차로 지속기간이 길어지며, 귀선소거되고 반전되었을 때 수평귀선기간의 종료시에 종료되는 정방향 진행펄스(30)를 발생하고, 수직주사 기간중에 점차로 빨리 개시되는 부방향 진행펄스쌍(660)를 발생시킨다.
제7도는 SCR(13)대신에 트라이액을 사용한 것을 나타낸다. 이 회로의 장점은 제3도의 펄스트랜스(170)가 불필요하게 된다. 제7도에서는 제1도와 동일한 소자에는 동일한 참고번호가 표기된다. 제7도에서, 게이트 제어형 전파교류 실리콘 스위치 다이리스터, 즉 트라이액(700)의 주전로는 일단이 접지되고 타단이 다이오드(702)의 애노드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702)의 캐소드는 인덕터(16)와 SCR(17)의 접속점(14)에 접속되어 있다. 이 다이오드가 도통상태로 게이트되면, 트라이액(700)의 게이트에 대한 도통제어는 끝난다. 따라서 SCR의 차단은 그를 통하는 전류흔름이 정지할 때까지 일어나지 않는다.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트라이액은 수평귀선 기간중에 도통상태로 동작되며, 상기와 같이 수평귀선 기간중에 일어나는 트라이액(700)의 차단기간중, 트라이액 양단간 전압의 변화는 트라이액이 추적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빨리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트라이액은 콘덴서(15)의 충전로의 전류가 영으로 감소된 시점에서 차단되지 않고, 대신에 SCR(13)은 계속 도통상태로 지속하며, 이러한 도전상태는 SCR(17)에 의한 제어가 시도되는 동일방향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SSVD장치의 동작을 혼란시킬지도 모른다. 다이오드(702)는 트라이액(700)이 수평소인기간의 잔여기간동안 계속 도통될지라도 그를 통과하는 전류가 영으로 저하한 후에는 트라이액을 통하는 진로에 전류가 흔르지 않도록 한다. 제7도의 회로의 동작에 대한 신뢰도는 접속점(14)과 접지점 사이에 결합된 저항(704) 및 콘덴서(706)의 직렬회로로 구성되어 SCR양단전압의 최대 상승속도를 감소시키는 스넙핑(snubbihg)회로에 의해 증강된다.
제8도는 다른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이 장치에 의하면 제어회로가 절연트랜스의 필요없이 SCR스위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8도에 있어서, 전술한 소자에 일치하는 소자에는 동일한 참고번호가 주어지고 있다. 제8도에서, SCR(13)의 게이트는 애노드가 PNP트랜지스터(802)의 콜렉터에 접속된 다이오드(804)의 캐소드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802)는 그의 베이스가 접지되며, 에미터는 제3도의 저항(166)에 의하여 구동된다. 수평귀선기간중, 접속점(14)은 접지에 대하여 정이므로 SCR(17)은 순방향 바이어스되고 상기와 같이 단자(25)로부터의 정펄스에 의하여 게이트된다. 또한 이 수평귀선 기간중에는 다이오드(804)가 역바이어스되기 때문에 SCR(13)의 게이트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없게 된다. 그러나 수평소인 기간중에는 접속점(14)의 접지에 대하여 부로되며 SCR(17)는 역바이어스되고, SCR(13)은 순바이어스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802)가 비도통상태에 있는한, 다이오드(804)와 SCR(13)의 캐소드-게이트 접합부를 경유하여 게이트 구동전류가 흘러 SCR(13)을 트리거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 트랜지스터(802)의 에미터에 접지에 대하여 정의 펄스를 인가하면, 트랜지스터(802)의 베이스-에미터 접합부는 순바이어스되어, 모든 에미터전류가 다이오드(804)와 SCR(13)의 캐소드-게이트 접합부를 통하여 흘러서 SCR(13)이 도통상태로 게이트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8도의 회로로부터, 수평소인 기간중 접속점(14)의 전압이 부이기 때문에, 접지에 대한 정의 구동전류가 SCR(13)의 게이트 접합부를 통해 흔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에 의하여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의 다이리스터 대신에 적당히 바이어스된 트랜지스터를 전자스위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인덕터(16)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선(8b)과 콘덴서(15)사이에 직렬로 삽입하여도 되고, 또 단일의 인덕터(16)를 사용하는 대신 SCR(13), (17)에 개별적으로 인덕터를 직렬로 접속시킬 수도 있다. 이들 SCR은 수직주사기간중의 각 수평기간동안 도통상태로 게이트될 수도 있거나, (전체 중첩동작)또는 부분적으로 중첩동작되게, 즉 수직주사기간의 1/2보다는 더기나 전체보다는 짧은 기간중에 생기는 수평기간중 도통되게 할 수도 있고 또는 비중첩식으로, 즉 수직주사기간의 1/2의 동안 동작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이들 SCR이 수직귀선기간중 차단되어 순수한 공진귀선을 가능케하도록 하거나, 수직귀선기간중 SCR(17)의 도통이 계속될 수 있게 할수도 있다. 또한 SCR(13)를 귀선기간중 최대로 도통시켜서 귀선기간중에 이 장치에 축적되는 에너지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원리를 타에 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가 교류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전력증폭기라고 생각하면,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히 제1도의 편향권선(18)을 스피커(920)의 코일(918)로 대체하고 수직 톱니파 발생기(20)를 음성신호원(930)으로 대체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을 수평편향신호로 직접 구동되는 전력효율이 좋은 고출력의 음성증폭기로서 응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음성증폭기를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평편향장치가 아닌 고주파(50KHz)의 변환기(940)에 의해 발생되는 구형파로 구동하면 수평 샘플링 주파수에 의한 음성 찌그러짐이 감소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편향 발생기(7) 대신에 변환기(940)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변환기로 전력증폭기를 작동되게 하여 수직편향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다.

Claims (1)

  1. 반복 편향신호에 응동하여, 교번하는 수평소인 및 귀선기간들동안 수평방향으로 음극선관(10)의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수평편향회로(7, 11)와; 반복 톱니파전류에 응동하여 상기 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직편향권선(18)를 구비한 텔레비전 음극선관용 편향장치에 있어서, 수직주사 기간내에서 수평주파수로 반복하는 제1기간들 동안에는 상기 수직편향권선에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에너지의 편향신호를 그리고, 수직주사 기간내에서 수평주파수로 반복하는 제2기간들 동안에는 점차적으로 커지는 에너지의 편향신호를 상기 수직편향권선에 인가하여 상기 톱니파 전류를 발생하는 스위치식 수직편향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간들은 수직편향 사이클의 수직주사기간동안 발생하며, 상기 제1 및 제2 기간들중의 하나는 상기 수평귀선기간동안, 그리고 다른 하나는 상기 소인기간동안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음극선관용 편향장치.
KR1019800002549A 1979-06-28 1980-06-28 텔레비전 음극선관용 편향장치 KR850001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2784 1979-06-28
US52,784 1979-06-28
US06/052,784 US4234826A (en) 1979-06-28 1979-06-28 Synchronous switched vertical deflection driven during both trace and retrace interv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006A KR830004006A (ko) 1983-06-30
KR850001658B1 true KR850001658B1 (ko) 1985-11-06

Family

ID=2197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549A KR850001658B1 (ko) 1979-06-28 1980-06-28 텔레비전 음극선관용 편향장치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4234826A (ko)
JP (1) JPS566577A (ko)
KR (1) KR850001658B1 (ko)
AU (1) AU540063B2 (ko)
BE (1) BE883987A (ko)
CA (1) CA1147454A (ko)
DE (1) DE3024347A1 (ko)
DK (1) DK277980A (ko)
ES (1) ES492907A0 (ko)
FI (1) FI70354C (ko)
FR (1) FR2460578A1 (ko)
GB (1) GB2053628A (ko)
IT (1) IT1132097B (ko)
NL (1) NL8003747A (ko)
NZ (1) NZ194078A (ko)
PL (1) PL131330B1 (ko)
PT (1) PT71364A (ko)
SE (1) SE8004550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8549A (en) * 1980-03-20 1982-07-06 Rca Corporatio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US4457960A (en) * 1982-04-26 1984-07-03 American Can Company Polymeric and film structure for use in shrink bags
GB8304755D0 (en) * 1983-02-21 1983-03-23 Rca Corp Switched vertical deflection circuit
FR2559981B1 (fr) * 1984-02-17 1986-05-16 Thomson Csf Dispositif de reproduction sonore pour televiseur
DE3622644A1 (de) * 1986-07-05 1988-01-14 Thomson Brandt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erzeugung eines vertikal-ablenkstromes
US4999549A (en) * 1990-04-27 1991-03-12 Rca Licensing Corporation Switched mode vertical deflection system and control circuit
US6586895B2 (en) * 2001-05-08 2003-07-01 Thomson Licensing S.A.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US20040148851A1 (en) * 2003-01-30 2004-08-05 George Montgomery Method for converting coal to cok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41941B1 (en) * 1975-02-20 1980-04-23 Rca Corp Deflection system such as for television receivers including a switched mode vertical (field) deflection circuit
GB1528981A (en) * 1975-02-20 1978-10-18 Rca Corp Deflection system such as for television receivers including a switched mode vertical(field)reflection circuit
DE2712052C2 (de) * 1977-03-18 1985-06-27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Vertikalablenkschal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8103472A1 (es) 1981-02-16
KR830004006A (ko) 1983-06-30
CA1147454A (en) 1983-05-31
FR2460578A1 (fr) 1981-01-23
BE883987A (fr) 1980-10-16
DK277980A (da) 1980-12-29
US4234826A (en) 1980-11-18
ES492907A0 (es) 1981-02-16
AU540063B2 (en) 1984-11-01
IT1132097B (it) 1986-06-25
FI70354B (fi) 1986-02-28
GB2053628A (en) 1981-02-04
DE3024347A1 (de) 1981-01-15
NZ194078A (en) 1984-07-06
PT71364A (en) 1980-07-01
SE8004550L (sv) 1980-12-29
NL8003747A (nl) 1980-12-30
PL225286A1 (ko) 1981-02-27
FI70354C (fi) 1986-09-15
JPS566577A (en) 1981-01-23
FI801967A (fi) 1980-12-29
PL131330B1 (en) 1984-10-31
AU5947680A (en) 1981-01-08
IT8022727A0 (it) 198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658B1 (ko) 텔레비전 음극선관용 편향장치
KR0137276B1 (ko) 텔레비젼 장치 및 그 스위치 모드 전력원
US4471327A (en) Self-oscillating power supply
JP3617669B2 (ja) テレビジョン偏向装置
JP2544720B2 (ja) 偏向巻線に偏向電流を発生させる装置
US4733141A (en) Horizontal output circuit for correcting pin cushion distortion of a raster
CA1175117A (en) Dual-mode amplifier
US4705993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having a variable retrace period
US4926098A (en) Push-pull class-E bi-directional scanning circuit
US3323001A (en) Time-base circuit arrangement having transistor and scr switching elements
KR940008799B1 (ko) 선형 보정 편향 회로
US3349279A (en) Electronic circuit
US4472662A (en) Deflection circuit
US4338549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US4163926A (en) Switching regulator for a television apparatus
US4647823A (en) Power switch control circuit for television apparatus
SE453241B (sv) Krets for variabel horisontalavbojning, vilken krets kan astadkomma ost-vestkuddkorrigering
US4115725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JPH01195780A (ja) 鋸歯波状電流発生回路配置
US3248598A (en) Deflection circuit
US4238712A (en) Switched vertical deflection with triac
JPS596672A (ja) 水平偏向電流発生回路配置
US4118655A (en) Line sawtooth deflection current generator
US4293803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US4134047A (en) Circuit for generating a saw-tooth current in a c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