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276B1 - 텔레비젼 장치 및 그 스위치 모드 전력원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장치 및 그 스위치 모드 전력원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276B1
KR0137276B1 KR1019890015667A KR890015667A KR0137276B1 KR 0137276 B1 KR0137276 B1 KR 0137276B1 KR 1019890015667 A KR1019890015667 A KR 1019890015667A KR 890015667 A KR890015667 A KR 890015667A KR 0137276 B1 KR0137276 B1 KR 0137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during
switch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835A (ko
Inventor
커티스 스티븐스 죠셉
로드리게즈 카바조스 엔리크
Original Assignee
죠셉 제이.락스
톰슨 컨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죠셉 제이.락스, 톰슨 컨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죠셉 제이.락스
Publication of KR900008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텔레비젼 장치 및 그 스위치 모드 전력원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조절기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전력원에 대한 도시도.
제2도는 발진기를 포함하는 제1도의 전원 조절기의 제어 회로도.
제3a도 내지 제3d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회로의 정상 파워 업(power-up) 동작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파형도.
제4a도 내지 제4b도는 제2도의 제어 회로의 발진기의 프리 러닝(free running)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9 : 수평 출력단100 : 수평 발진기 및 구동기
101 : 브릿지 정류기102 : 스위치 조절기
110 : 조절기 발진기120 : 원격 수신기
121 : 전력원200 : 실리콘 제9형 정류기(SCR)스위치
본 발명은 텔레비젼의 스위칭 조절기 전압원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형적인 편향 회로 출력단은 평향 권선과 선형 인덕턴스를 갖는 리트레이스(retrace) 공진 회로와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포함한다. 출력단은 플라이백 변합기(flyback transformer)의 2차 권선에서 수상기 회로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파워 업 또는 동작 공급 전압을 발생하기 위하여 정류되는 리트레이스 펄스를 발생한다. 출력단은 플라이백 변압기의 1차 권선의 단자에 결합된 B+공급 전압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 받는다. B+공급 전압은 스위칭 조절기에서 발생되고 조절된다. 스위칭 조절기는 스위치를 포함하는데, 예컨대 조절되지 않은 공급 전압에 결합된 입력 단자를 갖춘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스위치와 같은 스위치를 포함한다.
정상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SCR 스위치는 수평 편향 사이클의 각각 트레이스 간격내에서 발생하는 제어 가능한 순간부터 도전되고, 트레이스의 잔여 부분동안 도전 상태에서 래치된 채로 남는다. 리트레이스되는 동안, SCR 스위치는 턴-오프되어 다음 조절 사이클을 준비한다.
조절된 B+공급 전압은 필터 인덕턴스를 통해 SCR 스위치의 출력 단자에 결합된 필터 커패시터에서 발생된다. 필터 커패시터는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편향 회로 출력단에서 흐르는 로드 전압을 공급한다. 발진기를 포함하는 조절기의 제어 회로는 제1제어 신호의 주어진 사이클에서, SCR 스위치가 도전 상태로 될 때의 순간을 변화시키는 트리거 펄스를 제공한다. 트리거 펄스는 B+공급 전압이 예정된 값으로 유지되는 부궤환 방식으로 B+공급 전압에 따라 제어되는 순간에 발생된다.
조절되지 않은 공급 전압과 SCR의 애노드 사이에 결합된 플라이백 변압기의 턴 오프 권선은 리트레이스 기간 동안 SCR 스위치를 턴 오프하기 위해 각각의 수평 리트레이스 간격 동안 SCR 스위치의 애노드에 리트레이스 펄스를 공급한다. 따라서, 제어 회로의 발진기는 리트레이스 펄스에 의해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동기화된다. 턴 오프 동작 기간 동안 발진기는 자유로이 동작한다.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발진기에 의해 발생된 트리거 펄스의 타이밍은 부궤환 방식으로 B+공급 전압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특성을 구체화한 전력원에서, 제어 회로는 파워 업 동작과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에너지를 공급받아서, 온/오프 전력 스위치를 통하여 조절되지 않은 공급 전압을 스위칭 오프할 필요성을 명백히 하게 된다. 다른 한편, 수평 구동단에서 편향 회로 출력단에 제공된 수평 출력 구동 신호는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발생이 정지된다. 결과적으로, 편향 전류와 리트레이스 펄스의 발생은 방지된다. 그 결과는 필터 커패시터로부터 공급된 로드 전류가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실제로 저감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트리거 펄스는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프리러닝 주파수에서 발생한다. SCR의 애노드-캐소드 전압이 SCR 스위치에서 스위칭 동작을 가능하게 할만큼 충분하게 크지 않을 때 발생하는 트리거 펄스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SCR 스위치로 하여금 트리거 펄스의 펄스폭에 비례하는 간격동안 래치되지 않은 동작 모드에서 턴온되게 한다. 트리거 펄스의 폭이 일정할 때, SCR 스위치가 래치되지 않은 동작 모드에 있을 때 SCR 스위치를 통과하는 평균 전류는 트리거 펄스의 프리러닝 주파수와 직접 관련된다.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트리거 펄스의 주파수나 듀티 사이클이 SCR 스위치에서의 평균 전류가 로드 전류보다 작은 낮은 값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자. 또한, 로드 전류는 전적으로 SCR 스위치를 통하여 공급되는 것으로 가정하자. 따라서, 필터 커패시터는 스위칭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SCR 스위치에서 충분히 큰 애노드-캐소드 전압차를 발생하는 레벨을 얻을 때까지 방전할 것이다. 그후, SCR 스위치는 프리러닝 발진기의 다음 트리거 펄스에 의해 트리거되고, 래칭 동작은 SCR 스위치에서 발생할 것이다.
로드 전류가 작기 때문에, 래칭 동작을 가능케 할 정도로 충분히 큰 애노드-캐소드 전압차를 얻기 위한 방전 시간은 예를들면 160㎳와 동일할 수 있다. 리트레이스 펄스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그러한 래칭 동작은 필터 커패시터가 조절되지 않은 공급 전압과 동일하거나 더 큰 전압으로 또 다시 충전될 때까지 계속되어, SCR 스위치가 턴 오프되게 한다. 각각의 래칭 동작의 종료후 160㎳의 간격이 경과될 때까지 SCR 스위치의 애노드-캐소드 전압은 또다시 너무 작아서 다음 래칭 동작을 할 수 없게 된다.
래칭 동작 기간 동안 전류의 큰 진폭, 큰 폭의 펄스가 SCR 스위치에서 흐르고, 예를들면 필터 인덕턴스에서 그러한 펄스는 예를들면 6㎐의 대응 주파수에서 반복한다. 그러한 큰 폭의 전류 펄스는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불유쾌한 사운드를 발생할 수도 있다. 불유쾌한 소리는 예를들면 필터의 인덕턴스에서 큰 폭의 펄스 전류를 발생시키는 기생적인 기계적 진동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필터 커패시터는 SCR 스위치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래칭 동작이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게 하는 레벨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라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각각 파워 오프 동작과 파워 업 동작을 나타내는 두 상태를 갖는 제2제어 신호는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제어 회로의 발진기의 프리러닝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회로에 인가된다. 제2제어 신호는 SCR 스위치가 래치되지 않은 턴 온 모드에서 동작할 때 SCR 스위치의 도전-증가시키기 위하여 프리러닝 주파수가 증가하게 만든다. 도전이 증가되면 평균 전류는 각각의 트리거 펄스 기간 동안 바로 앞에 있는 트리거 펄스의 종료시부터 경과된 간격 동안 없어졌던 모든 필터 커패시터 전하를 각각의 트리거 펄스 기간 동안 재충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모든 손실된 전하가 트리거 펄스의 각각의 주기동안 재충전되므로, 필터 커패시터 전압은 각각의 트리거 펄스의 종료시에 실제로 동일 레벨에 있게 된다. 그러한 레벨은 파워 오프 동작을 통하여 SCR 스위치의 래칭 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SCR 스위치의 애노드-캐소드 전압을 충분히 낮은 레벨로 유지시킬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높다. 그 결과로, 상기 불유쾌한 사운드가 제거된다.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제2제어 신호는 SCR 스위치의 듀티 사이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른 한편,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제2제어 신호는 제2제어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따라서 SCR 스위치의 듀티 사이클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제2제어 신호의 동작 없이, SCR 스위치의 듀티 사이클은 래치 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것보다 낮을 수도 있다.
몇몇 텔레비젼 수상기는 수상기의 공통 도선과 관련하여 발생되는 예를들면 R,G 및 B와 같은 외부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단자를 구비한다. 그러한 신호 단자와 수상기 공통 도선은 대응 신호 단자와, 예를들면 VCR이나 텔레텍스트 디코더와 같은 외부 장치의 공통 도선에 접속될 수도 있다.
외부 장치와 텔레비젼 수상기 사이의 신호의 결합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수상기와 외부 장치의 공통 단자는 함께 접속되어, 모두 동일 전위에 있게 된다. 각각의 외부 장치의 신호 라인은 수상기의 대응 신호 단자에 접속된다. 그러한 배열에서, 텔레비젼 수상기와 같은 각각의 장치의 공통 도선은 그러한 장치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대응 AC 주전원과 관련하여 부유(floating) 또는 도전적으로 격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공통 도선이 부유 상태로 유지될 때, 공통 도선의 전위에 있는 단자를 만지는 사용자는 전기 충격을 받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예를들면 텔레비젼 수상기의 공통 도선이나 접지를 텔레비젼 수상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AC 주전원의 단자의 전위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격리는 변압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격리된 공통 도선은 때때로 콜드(cold) 접지 도선으로 지칭된다.
본 발명의 전원의 스위칭 조절기에서, AC 주 공급 전압은 예를들면 핫(hot) 접지로 지칭되는 공통 도선에 관련되고 콜드 접지 도선에서 도전적으로 격리된 조절되지 않은 직류(DC) 입력 공급 전압을 발생하기 위하여 브리지 정류기에 직접 접속된다. 그 결과, 제어 회로, B+공급 전압, 플라이백 변압기의 1차 권선, 선형 인덕턴스 및 편향 권선은 핫 접지 도선에도 연관된다. 다른 한편, 편향 회로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기단의 한 부분은 예를들면 콜드 접지 도선과 관련된다. 마찬가지로, 수상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원격 제어 수상기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는 온/오프 제어 신호는 콜드 접지 도선과도 관련된다.
구동기단의 구동기 변압기는 콜드 접지 도선과 관련된 구동기단의 상기 부분으로부터의 수평 주파수에서의 스위칭 제2제어 신호를 핫 접지와 관련된 편향 회로 트랜지스터 스위치에 접속한다. 구동기의 변압기는 핫 접지와 콜드 접지 도선 사이에 필요한 격리 장벽을 제공한다. 온/오프 제어 신호는 정상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제2제어 신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며 편향 회로를 동작하지 않게 하는 차단 또는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상기 제2제어 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라서, 제1제어 신호 즉, 제어 회로의 발진기의 프리러닝 주파수가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오디오 범위 이상에 있게 하는 제어 신호는 편향 회로 출력단의 선형 인덕터에서 발생된 전압으로부터 발생된다. 제1제어 신호는 선형 인덕터와 제어 회로 사이에 신호 선로를 형성하는 배열에 의해 발생되며, 상기 신호 선로는 핫 접지와 관련된다. 신호 선로가 핫 접지와 관련되므로, 온/오프 제어 신호의 파워 업 및 파워 오프 제어 정보를 제어 회로에 인가하기 위한 추가의 핫-콜드 격리 배열에 대한 필요성이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한가지 양상을 구체화한 텔레비젼 장치는 편향 주파수와 관련된 주파수에서 입력 신호의 소스를 포함한다. 입력 신호에 응답하는 편향 전류 선형 소자를 편향 회로 출력단은 텔레비젼 편향 장치의 파워 오프 기간 동안이 아닌 파워 온 동작 기간 동안 선형 소자에서 제1신호를 발생한다. 턴 온/턴 오프 제어 신호는 파워 온 동작 기간 동안 파워 온 상태를 나타내고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파워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제1신호로부터 발생된다. 텔레비젼 장치의 사용 회로는 이 사용 회로가 제어 신호의 레벨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로 동작하게 하는 파워 온/파워 오프 제어 신호에 응답한다.
제1도는 주 공급 전압 VAC를 정류하여, 조절되지 않은 DC 전압 VUR을 발생하는 브릿지 정류기(101)를 사용한 텔레비젼 수상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SCR(200)로 지칭된 실리콘 제어형 정류기(SCR) 스위치를 포함하는 출력단 또는 스위치 조절기(102)는 플라이백 변압기 T1의 권선 W1에 접속된 조절된 전압 B+을 발생한다. 조절기(102)의 입력 단자(102a)는 조절되지 않은 전압 VUR에 접속된다. 조절된 전압 B+는 스위치 조절기(102)의 출력 단자(102d)에서 발생된다. 변압기 T1의 권선 W1은 수평율 fH에서 동작하는 수평 전류 출력단(99)의 편향 스위칭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 전극에 접속된다. 수평율 fH에서 제어 신호 Hr은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에서 발생된다. 신호 Hr은 본 명세서에서 수평 발진기 및 구동기(100)로 지칭되는 제어 회로에서 인가되며, 상기 신호 Hr은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 전극에 접속된다. 신호 Hr은 수평 출력단(99)의 편향 권선 LY, 트레이스 커패시터 Ct 및 선형 인덕터 LLIN의 직렬 배열에서 편향 전류 Iy를 발생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 Q1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리트레이스 전압 VW2는 각각의 수평 주기 H의 각각의 리트레이스 간격에서 변압기 T1의 2차 권선 W2 양단간에 종래의 방식으로 발생된다. 각각의 리트레이스 간격은 트랜지스터 Q1이 도통되지 않게 된 바로 직후에 발생한다. 동작 모드 DC 공급 전압 V+즉, +26V는 권선 W2에 접속되는 정류기 배열(104)에서 전압 VW2를 정류함으로써 발생된다. 전압 V+는 도시되지 않은 수상기의 여러 회로에 접속되어,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동작 공급 전압을 상기 여러 회로에 제공하게 된다.
전압 B+는 저항 RS1, RS2및 RS3를 포함하는 분압기를 거쳐서 본 명세서에서 조절기 발진기(110)라 지칭되는 제어 회로(110)에 접속되며, 상기 제어 회로(110)는 파워 업 동작 및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활성화되어 단자(110a)에서 궤환 전압 VIN을 제공하게 된다.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제어 회로(110)는 수평율 fH에서 그리고 각각의 수평 간격 H에서 SCR(200)이 도전되는 순간을 제어하는 제어 가능한 위상에서 신호 Sc를 발생한다. 신호 Sc의 위상은 전압 B+에 비례하는 전압 VIN과 제어 회로(110)에서 발생된 기준 전압(제1도에 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차에 따라서 변한다. 신호 Sc에 의해 제공된 조절은 조절된 전압 B+가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129V와 같은 예정된 DC 전압 레벨에서 유지되게 한다.
SCR(200)의 노드는 변압기 T1의 권선 W4를 통하여 조절되지 않은 전압 VUR에 접속된다. 레벨(200)의 캐소드는 필터 인덕터 L2의 단부 단자(102c)에 접속된다. 조절된 전압 B+이 발생되는 인덕터 L2의 다른 단부 단자인 출력 단자(102d)는 플라이백 변압기 T1의 권선 W1에 접속된다. 필터 커패시터 C2는 출력 단자(102d)에 접속된다. 신호 Sc는 구동기 변압기 T2를 경유하여 SCR(200)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된다.
제1도의 파형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제거 가능한 위상을 갖는 제1도의 신호 Sc의 리딩 에지(LE; leading edge)가 발생할 때 SCR(200)은 트리거되고 즉시 도전 상태로 된다. 정상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리딩에지 LE는 권선 W4의 양단간에 발생된 전압 VW4의 각각의 주기 H의 트레이스 간격동안 시간 tla에서 발생한다. SCR(200)이 도전 상태로 되는 간격 동안, 커패시터 C2를 충전하는 인덕터 L2에서의 전류 iL2는 증가한다. 전류 iL2의 증가율은 조절되지 않은 전압 VUR과 조절된 전압 B+에 의해 결정된다.
제1도의 파형에서 도시된 수평 트레이스의 끝 즉, 시간 t2a에서, 파형 VW4의 리트레이스 펄스 부분은 리트레이스 커패시터 Cr에서 전압 VR로부터 변압기 작용에 의해 발생된다. 권선 W4에서 리트레이스 펄스 VW4는 SCR(200)을 역바이어스시키고 인덕터 L2에서 흐르는 대응 전류를 저감시키는 방식으로 폴(pole)된다. 인덕터 L2에서 전류 iL2의 음의 변동유의 결과로, 단부 단자(102c)에서 발생된 전압은 단부 단자(102c)에 접속된 캐치 다이오드 D2가 도전 상태로 될 때 리트레이스 펄스 부분 RT의 시간 t3a까지 감소된다. 캐치 다이오드 D2와 같은 다이오드의 동작은 디. 에이취. 윌리스에 의한 텔레비젼 장치용 스위치 조절기라는 명칭의 미국특허 제4,163,926호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제2도는 제1도의 조절기 발진기 즉, SCR 제어 회로(110)의 상세한 개략 선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유사한 번호와 기호는 유사한 아이템이나 기능을 표시한 것이다. 정상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제2도의 제어 회로, 즉, 조절기 발진기(110)은 전압 VW4로 부터 제1도의 SCR(200)의 입력 단자(102a)에서 발생된 리트레이스 신호(49)에 의해 동기화된다. 차단 즉,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조절기(110)는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리러닝 발진기로 연속하여 동작하고, 신호 Sc를 발생한다.
제2도의 PNP 트랜지스터(53)와 NPN 트랜지스터(52)는 제어 단자(54)용 트립(trip) 레벨 전압에 의해 형성되는 속도로 상태를 스위칭한다. 제어 단자(54)는 다이오드(59)를 통하여 트랜지스터(52)의 에미터에 접속된다. 조절된 +33V 전원에 접속된 충전 커패시터(55)는 직렬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57)와 트랜지스터(58)를 포함하는 제어 가능한 전류원(56)을 통하여 충전된다. 커패시터(55)의 접합부와 트랜지스터(57)의 콜렉터는 위에서 설명되었던 제어 단자(54)를 형상한다. +33V 전원은 파워 업 동작과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제너 다이오드 Z33(제1도에 도시됨) 양단간에 발생된다.
상보형 트랜지스터(52),(53)는 래칭 배열로 서로 접속된다. 즉, 트랜지스터(53)의 콜렉터 출력 단자는 트랜지스터(52)의 베이스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52)의 콜렉터 출력 단자는 트랜지스터(53)의 베이스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두 트랜지스터는 재생식 래치를 형성한다.
이후에 설명되는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발생하는 조절기 발진기(110)의 연속 프리러닝 발진기 상태하에서, 트랜지스터(52)가 도전 상태로 될 때, 전류는 +33V 전원에서 저항(60),(6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52)의 콜렉터에 전달되어, 트랜지스터(53)를 턴 온 시킨다. 트랜지스터(53)의 콜렉터 전류는 저항(62)을 통하여 트랜지스터(52)의 베이스 접속되어, 두 트랜지스터 모두 포화된 도전 상태로 턴 온된다.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52)가 도전되지 않게 되면 두 트랜지스터가 모두 턴 오프된다.
1프리러닝 사이클 동안 조절기 발진기(110)의 동작은 이제부터 설명된다. 트랜지스터(52),(53)가 도전되지 않는 간격을 고려해보자. 트랜지스터(52)의 베이스에서의 전압은 저항(64),(62)의 병렬 결합과 직렬로 배열된 저항(63)을 포함하는 분압기의 저항치에 의해 결정된다. 트랜지스터(52)가 도전 상태로 되기 위하여, 전압 V54는 더 낮은 트립 전압 VL이하로 감소해야 하는데, 이 트립 전압은 트랜지스터(52)의 베이스에서의 전압 이하로의 두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이다. 단자(54)에서의 전압 V54가 전압 레벨 VL이하로 감소하면 트랜지스터(52),(53)는 턴 온된다.
트랜지스터(52),(53)가 모두 도전되면 분압기 비율이 변한다. 트랜지스터(53)가 포화된 도전 상태에 있을 때, 저항(64)이 아닌 저항(63)이 저항(62)에 의해 효과적으로 병렬 상태로 되어, 트랜지스터(52)에 대해 더 큰 양의 베이스 전압을 발생하게 되고 제어 단자(54)에 대해 상위 레벨 트립 전압 VH를 형성하게 된다. 단자(54)에서의 전압 V54가 레벨 VH이상으로 증가하면 트랜지스터(52),(53)는 턴 오프된다.
제4a도 및 제4b도는 전력원의 턴 오프 동작 기간 동안 발생하는 조절기 발진기(110)의 연속 프리러닝 동작 제어 단자(54)에서의 전압 V54와 발진기 트랜지스터(53)의 콜렉터 전압의 이상적인 파형도를 도시한 것이다.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제1도의 조절기 발진기(11)는 활성화되지만, 수평 출력단(99)은 디스에이블된다. 시간 T1 약간 이후부터 시작한 간격 동안 제2도의 전압 V54를 고려해 보자. 트랜지스터(52),(54)는 턴 오프되고, 커패시터(55)는 제어 가능한 전류원(56)의 트랜지스터(57)의 베이스 전압에 의해 결정되는 일정한 비율로 +33V 전원으로부터 충전된다. 단자(54)에서의 전압은 따라서 저감하는 톱니파이다. 시간 T2에서, 전압 V54는 그의 더 낮은 트립 전압 레벨 VL로 저감하여, 트랜지스터(52),(53)가 턴 온되게 한다.
트랜지스터(53)의 콜렉터는 다이오드(65)를 통하여 출력 단자 B-B중 하나에 접속된다. 제1도의 변압기 T2의 1차 권선 T2a는 단자 B-B 사이에 접속된다. 커패시터(55)의 방전 선로는 +33V 전원에 접속된 커패시터(55)의 단자, 트랜지스터(53)의 에미터-콜렉터 선로, 단자 B-B 양단 사이의 권선 T2a, 그리고 커패시터(55)의 다른 단자를 포함한다. 전류원(56)이 커패시터 방전 레벨 동안 바람직하지 않게 충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53)의 콜렉터는 저항(77)을 통하여 트랜지스터(57)의 에미터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53)가 도전될 때 트랜지스터(57)는 차단되어, 방전 간격 동안 전류원(56)을 디스에이블시킨다.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2에서 시작하여, 단자(54)에서의 전압 V54는 증가하는 톱니파를 포함한다. 시간 T3에서, 전압 V54는 그의 상위 트립 전압 레벨 VH로 증가되었다. 트랜지스터(52),(53)는 턴 오프되고 다음 충전 사이클이 시작한다.
제4b도에 도시된 트랜지스터(53)의 콜렉터 전압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대략의 간격 T2-T3 기간 동안 출력 신호는 조절기 발진기(110)의 출력 단자 B-B에 접속되어, 게이팅 전류를 제공하여, 제1도의 조질기SCR(200)를 턴 온 한다. 제4a도 내지 제4b도의 간격 T2-T3의 실제 시간폭은 충분한 지속 기간의 충분한 SCR 게이팅 전류가 제1도의 SCR(200)에 결합되어 이 SCR을 턴 온할 경우 비교적 중요성이 작다.
정상의 파워 업 동작에서, 조절기 발진기(110)는 파워 오프 동작에서 처럼 연속적으로 프리러닝 상태로 남지 않으나, 수평 편향과 동기된다. 제2도의 커패시터(55)의 충전율은 제1도의 SCR(200)의 턴 온 순간과 도전 각도를 변동시키기 위하여 궤환 단자(101)에 접속된 궤환 전압 Vf의 크기에 따라서 변동된다.
제3a도 내지 제3d도는 제1도와 제2도의 제어 회로(110)의 정상 파워 업 동작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파형을 설명한 것이다. 제1도, 제2도 및 제3a도 내지 제3d도에서의 유사한 번호와 부호는 유사한 아이템과 기능을 표시한다.
제3a도의 시간 t1에서 리트레이스 간격의 시작에서, 제2도의 음으로 향하는 리트레이스 펄스(49)는 입력단자(102a)에서 저항(149)과 커패시터(150)를 통하여 트랜지스터(53)의 베이스 전극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53)가 도전 상태로 되게 한다. 따라서, 커패시터(55)는 그후 즉각적으로 실제로 방전된다.
시간 t2후에 즉, 트레이스 시작후에 커패시터(55)는 전류원(56)의 트랜지스터(57)의 베이스에서의 전압에 의해 결정되는 비율로 충전되기 시작한다. 전압(54)은 더 낮은 트립 전압 VL이 시간 t4에 이를 때까지 감소한다. 시간 t4에서 발진기 트랜지스터는 턴 온되어, 결국 제 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팅 신호 Sc(2)가 발생되어 SCR(200)에 결합되어 SCR을 턴 온시킨다.
조절기 발진기(110)는 프리러닝 모드로 지속되고, 제3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다른 동기 리트레이스펄스(49)가 시간 t5에서 단자(102a)에 접속되기 전에 여러 충방전 사이클이 일어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워 오프 동작에서와는 달리 프리러닝 모드는 동기 리트레이스 펄스(49)에 의해 방해받는다. 따라서, 제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4후 그리고 다음 리트레이스 펄스(49)전의 후속 프리러닝 모드에서, 또 다른 SCR(200)의 게이팅 신호 Sc는 SCR에 접속될 수도 있다. 추가의 게이팅 신호의 수는 수평 트레이스 간격 내에서의 턴 온 순간 t4의 위치와 커패시터(55)에 대해 설정된 충전 및 방전율에 따라서 결정된다. SCR을 통과하는 전류가 그 홀딩 전류 레벨 이상인 한 SCR이 도전 상태로 남기 때문에, 그러한 추가의 턴온 게이팅 신호는 비교적 작은 결과를 가져온다.
조절을 제공하기 위하여, 턴 온 시간 t4는 트랜지스터(57)의 베이스에서의 변동하는 저항을 통하여 커패시터(55)의 충전율을 변동시킴으로써 트레이스 간격 내에서 변동된다. 트랜지스터(57)의 베이스 전압은 저항(70),(71)을 포함하는 분압기를 통하여 트랜지스터(57)의 베이스에 접속된 궤환 전압 Vf의 비례치이다.
에러 증폭 트랜지스터(43)는 입력 저항(43a)을 통하여 전압 B+를 나타내는 궤환 신호 VIN에 접속되는 베이스 전극을 갖는다. 커패시터 로드 저항(43a),(70),(71)은 트랜지스터(43)의 콜렉터에서 로드 저항을 형성한다. 트랜지스터(43)의 에미터에 접속되는 제너 다이오드 Z43은 트랜지스터(43)를 포함하는 반전 증폭기의 임계 전압을 결정한다. 단자(91)에서 발생된 증폭된 에러 전압 Vf는 트랜지스터(43)의 콜렉터에서 트랜지스터(57)의 베이스 전극으로 접속된다.
시간 t2후 즉, 트레이스 시작후, 커패시터(55)는 전류원(56)의 트랜지스터(57)의 베이스에서의 전압에 의해 결정되는 비율로 충전되기 시작한다. 전압(54)은 더 낮은 트립 전압 VL이 시간 t4에 도달될 때까지 감소한다. 시간 t4에서, 제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기 트랜지스터는 턴온되어, 결국 게이팅 신호 Sc(2)가 SCR(200)에 결합되어 SCR을 턴 온시키게 된다.
제1도의 잔자(102d)에서 조절된 B+전압이 감소하면, 예를들면 제2도의 반전된 궤환 전압 Vf는 증가하여, 트랜지스터(57)의 베이스 전압이 증가하게 된다. 전류원(56)의 전류 크기가 증가하여, 커패시터(55)의 충전율이 증가한다. 점선 파형 V54와 Sc(1)로 제3d도 및 제3c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낮은 트립 전압 레벨 VL은 이른 순간 t3에서 도달되어, 적절한 조절을 위해서 요구된 바와 같이 더 이른 순간 t3에서 게이팅 펄스 Sc(1)을 발생한다.
텔레비젼 수상기의 차단 동작이나 파워 오프 동작을 가능케 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으로, 제1도의 원거리 수신기(120)가 분압기(100)에 인가되는 온/오프 제어 신호 ON/OFF를 OFF 상태에서 발생하게된다. 파워 오프 명령이 발생한 후 신호의 온/오프 동작은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 전극에서의 스위칭 신호 Hr이 제거되게 한다. 따라서, 수평 출력단(99)은 디스에이블되고, 공급 전압 V+는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변압기 T1의 권선 W4에서의 리트레이스 펄스 VW4는 발생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정상 파워 업 동작시에 조절기의 발진기(110)를 동기화시키는 리트레이스 신호(49)는 뒤따르는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발생되지 않는다. 조절기 발진기(110)가 파워 오프 동작 기간동안에도 저압 VUR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으므로, 조절기 발진기(11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자유로이 동작한다.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발생하는 주어진 간격에서 SCR(200)의 애노드-캐소드 전압의 크기는 SCR(200)에서 래칭 동작을 인에이블시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크기보다 작다. 이 경우, SCR(200)의 애노드-캐소드 전압이 SCR(200)에서의 래칭 동작을 인에이블시키기에 불충분할 정도로 클 때 발생하는 프리러닝 제어 신호 Sc의 어떤 트리거 펄스도 SCR(200)이 래치되지 않은 모드에서 턴 온되게 한다. 신호 Sc의 각각의 그러한 주기에서, SCR(200)은 트리거 펄스의 펄스폭이나 예를들면, 제4b도의 간격 T2-T3에 비례한 간격 동안 턴 온될 것이다. 각각의 트리거 펄스의 펄스폭은 일정하다. 래치되지 않은 턴 온 동작으로 동작하는 제1도의 SCR(200)에서의 주어진 애노드-캐소드 전압차 동안, SCR(200)을 통과하는 전류 iSCR200의 평균치는 트리거 펄스의 주파수에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더 나아가,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상기 주어진 간격에서, 트리거 펄스의 프리러닝 주파수가 너무 낮아서, 트리거 펄스의 각각의 주기에서 SCR(200)에서의 전류 iSCR200의 평균값이 저항 RS1에서의 로드 전류 i2보다 작은 것으로 가정하자.
또한, 로드 전류 iL이 완전히 SCR(200)을 통해서 공급되는 것으로 가정하자. 따라서, 필터 캐패시터 C2는 래칭 동작을 인에이블시키기 위하여 10V와 같이 SCR(200)에서 충분히 큰 애노드-캐소드 전압차를 발생하는 전압 레벨을 얻을 때까지 로드 전류 iL에 의해 방전된다. 그후 SCR(200)은 프리러닝 발진기(110)에 의해 발생된 다음 트리거 펄스에 의해 트리거될 것이고, 래칭 동작은 SCR(200)에서 발생할 것이다.
로드 전류 iL이 작기 때문에 SCR(200)에서 래칭 동작을 인에이블시키는 충분히 큰 애노드-캐소드 전압차를 얻기 위하여 방전 간격은 예를들면 160㎳와 같을 수도 있다. 리트레이스 펄스 VW4가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존재하지 않으므로, 그러한 래칭 동작은 필터 커패시터 C2가 또다시 조절되지 않은 공급 전압 VUR과 같거나 더 큰 전압으로 또다시 충전되어 SCR(200)을 턴 온되게 할 때까지 계속된다. 그러한 래칭 동작 각각의 종료시에 SCR(200)의 애노드-캐소드 전압을 160㎳의 다음 간격이 경과될 때까지 다음 래칭 동작을 허용하기에 불충분할 정도로 크다.
래칭 동작은 약 6㎐의 대응 주파수에서 반복하는 SCR(200)과 필터 인덕터 L2에서 흐르는 높은 진폭, 넓은 폭의 전류 iSCR200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한 넓은 전류 펄스는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발쾌한 사운드를 발생할 수 있다. 불쾌한 사운드는 예를들면 인덕터 L2에서 넓은 폭의 펄스 전류의 결과로 가능한 의사의 기계적 진동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다. 그러한 음성은 사용자가 꺼진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나오는 어떠한 사운드도 기대하지 않을 때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발생할 경우 거부할 수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필터 커패시터 C2가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SCR(200)에서의 바람직하지 못한 래칭 동작을 가능케 하는 레벨로 방전 레벨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양상에 따라서, 제1도의 선형 인덕턴스 LLIN에서 발생된 전압 VLIN으로부터 파생된 신호 V121은 조절기 발진기(110)의 단자(110a)에 접속되고 스위치로 동작하는 트랜지스터 Q2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 Q2가 전압 VIN으로 하여금 0이 되게 하고, 이 전압은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신호 Sc의 주파수를 후에 설명되는 방식으로 최대치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가정하자.
신호 V121이 없으면 신호 Sc의 프리러닝 주파수는 신호 Sc의 바로 선행 트리거 펄스에서부터 경과된 간격 동안 손실된 필터 커패시터 C2에서의 모든 전하를 각각의 트리거 펄스 동안 재충전 가능케 하기 위해 트리거 펄스의 주파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증가한다. 손실된 모든 전하가 트리거 펄스의 각각의 주기 동안 재충전되므로, 필터 커패시터 C2에서의 전압 B+는 각각의 트리거 펄스의 끝에서 실제로 동일한 레벨로 유지될 것이다. 그러한 레벨의 전압 B+는 SCR 스위치의 래칭 동작이 파워 오프 동작을 통하여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SCR(200)의 애노드-캐소드 전압을 충분히 낮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높다. 그 결과는 유익하게도, 1989년 9월 12일 로드리주에즈-카바조즈 등에게 허여된 텔레비젼 장치 전력원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4,866,525호에서 상세히 설명되었듯이, 상기 불쾌한 음성은 제거된다.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신호 V121은 트랜지스터 Q2가 비도전 상태로 되게 하여, SCR(200)의 스위칭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다른 한편,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신호 V121은 트랜지스터 Q2가 도전 상태로 되게 하고, 이것은 신호 Sc의 증가시키며 차례로 SCR(200)의 도전을 증가시킨다. 신호 V121이 발생되어 사용되는 방식은 이후에 더 설명된다.
정상의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주파수 fH에서의 전압 VLIN은 선형 인덕터 LLIN에서 발생된다. 커패시터 C121a와 저항 R121은 인덕터 LLIN과 직렬 접속되고 인덕터 LLIN에서 링잉(ringing)을 완충하는 직렬 배열을 형성한다. 리트레이스의 일부분 동안 커패시터 C121a는 전압 VLIN의 양으로 향하는 리트레이스 펄스에 의해 충전된다. 그러한 리트레이스 펄스 부분의 끝에서, 전압 VLIN의 리트레이스 펄스가 더 작아질 때 이미 충전된 커패시터 C121a는 저항 R121과 커패시터 C121a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 D121의 캐소드에서 바이폴라 신호 V121a의 음의 펄스 전압을 발생한다. 다이오드 D121과 필터 커패시터 C121b는 신호 V121을 발생하는 음의 피크 검출기 121을 형성한다. 인덕터 LLIN상의 검출기(121)의 로딩 영향은 실제로 불충분하다. 따라서, 검출기(121)는 편향 전류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음인 신호 V121은 다이오드 D121의 에노드에서 발생되고 저항 R121a를 통하여 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 전극과 애노드 전극 사이에 접속된 보호 다이오드 D122는 트랜지스터 Q2에서의 베이스-에미터 역 전압이 다이오드 D122의 순방향 전압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한 특성에 따라서, 음의 신호 V121은 트랜지스터 Q2가 정상 파워 업 동작을 통하여 비 도전 상태로 되게 한다. 다른 한편, 파워 오프 동작을 통하여, 음의 신호 V121은 발생되지 않으며, +33V 전원과 트랜지스터 Q2 사이에 접속된 저항 R122b는 트랜지스터 Q2가 도전되게 한다. 제1도의 트랜지스터 Q2는 파워 오프 동작을 통하여 도전 스위치로 동작하고 정상 파워 업 동작을 통하여 비도전 스위치로 동작한다. 트랜지스터 Q2의 콜렉터는 전압 VIN이 발생되는 제어 회로(110)의 입력 단자(110a)에 접속되고, 전압 VIN이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0으로 되게 한다. 따라서, 제2도의 전압 V54의 변동 비유은 B+가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전압 VIN의 레벨을 제어하도록 허용되었을 경우보다 실제로 더 높게 된다. 그 결과는 제어회로(110)가 최대에 있는 프리러닝 주파수에서 제1도의 신호 Sc를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불쾌한 음성은 제거된다. 전압 B+가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전압 VIN의 레벨을 제어하도록 허용되었다면, 신호 Sc의 주파수는 상기 160㎳의 간격 각각의 최소한 일부분 동안 최대로 될 수 있었다.
조절기 발진기(110), 트랜지스터 Q2, 선형 인덕턴스 LLIN, 스위치 조절기(102) 및 선형 인덕터 LLIN은 주 공급 전압 VAC에 도전적으로 접속되고 본 명세서에서 핫 접지 도선 HG라 지칭되는 공통 접지 도선 HG에 각각 연관된다. 다른 한편, 텔레비젼 수상기의 각각의 원격 수신기(120)와 수평 발진기 및 구동기(100)는 핫 접지 도선 HG에서 도전적으로 절연되고 본 명세서에서 콜드 접지 도선 CG로 지칭되는 공통 접지 도선 CG와 관련된다. 핫 접지 도선과 콜드 접지 도선 사이의 도전적 절연은 핫 접지 도선 HG로부터 도전적으로 절연되는 종래의 방식으로 발생된 전압(78)으로부터 원격 수신기(120) 및 구동기(10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부분적으로 달성된다. 전압(78)은 파워 오프 업 동작 기간 동안 발생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라서, 조절기 발진기(110)에 인가되고 트랜지스터 Q2를 통하여 조절기 스위치(102)에 인가되는 신호 V121은 핫 접지 도선 HG에 관련된 신호 선로를 경유하여 인덕터 LLIN양단간에 발생된 전압 VLIN으로부터 발생된다. 신호 선로는 핫 접지 도선 HG에 각각 도전적으로 접속된 커패시터 C121a와 검출기(121)를 포함한다. 핫 접지 도선 HG와 관련된 신호 V121은 콜드 접지 도선 CG와 관련된 온/오프 제어 신호 ON/OFF의 OFF상태에 ON상태에 각각 대응하는 두 레벨을 갖는다. 신호 V121의 파워 업 상태는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에만 발생되는 수평을 신호 Hf에서 얻어진다. 신호 Hr을 변압기 T3에 의해 형성된 핫-콜드 장벽 양단간에 접속되는 변압기에 접속된 신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온/오프 제어 신호 ON/OFF는 핫-콜드 장벽을 유지시키는 변압기 T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 Q2에 인가된다. 변압기 T3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편향 스위치 트랜지스터 Q1에 신호 Hr을 인가하기 위해 사용된 동일한 변압기이다. 결론적으로, 그러한 핫-콜드 장벽을 지나 온/오프 제어 신호 ON/OFF의 두 상태를 인가하기 위한 추가의 회로 소자에 대한 필요성이 명백해진다. 전압 VLIN으로부터 온/오프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편향 전류 iy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이루어진다.

Claims (30)

  1. 편향 주파수에 관련된 주파수에서의 입력 신호(Hr)의 신호원(100),(120)과 텔레비젼 장치의 파워-온 동작 동안에는 편향 전류 선형 소자(LLIN)에서 제1신호(VLIN)를 발생하지만, 파워-오프 동작 동안에는 상기 신호(VLIN)를 발생하지 않는,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하는 편향 전류 선형 소자(LLIN)를 포함하는 편향 회로 출력단(99)을 포함하는 텔레비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형 소자(LLIN)에 접속되는 상기 제어 신호(VLIN)에 응답하여 상기 파워 온 동작 기간 동안 파워 온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파워 오프 상태는 나타내는 파워 온/파워 오프 제어 신호(V121)를 발생하는 수단(121)과, 이용 회로(Q2)가 상기 제어 신호의 상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로 동작하게 하는 상기 파워 온/파워 오프 제어 신호(V121)에 응답하는 상기 텔레비젼 장치의 이용 회로(Q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발생 수단은 피크 검출기(121)를 포함하고, 상기 편향 회로 출력단은 수평 편향 출력단을 포함하며, 상기 선형 소자는 선형 인덕턴스(LLI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발생 수단은 상기 검출기(121)와 상기 선형 인덕턴스(LLIN) 사이에 합체된 완충 저항(R121)을 포함하는 RC 회로(C121a,R12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의 상기 신호원은 원격 수신기(120)와, 상기 원격 수신기(120)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2파워 온/파워 오프 제어 신호(ON/OFF)에 응답하여, 제2파워 온/파워 오프 제어 신호가 파워 오프 상태에 있을 때가 아니라 상기 제2파워 온/파워 오프 제어 신호가 파워 온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입력 신호(Hr)를 발생하는 구동단(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전기 충격 장애 절연에 대하여 상기 구동단(100)이 상기 출력단(99)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기 편향 회로 출력단(99)에 상기 구동단(100)을 결합하는 결합 수단(T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6. 텔레비젼 장치의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이 아니라 상기 텔레비젼 장치의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편향 주파수에 관련된 주파수에서 제1신호(제1수단(100)의 출력)를 발생하는 제1수단(100)을 포함하는 텔레비젼 장치에 있어서, 전기 충격장애 정연에 대하여 상기 제 1신호(제1수단(100)으 출력)을 전기적으로 절연되지 않은 제1부분(1차)과, 전기 충격장애 절연에 대하여 상기 제 1신호로부터 전기 절연된 제2부분(2차)을 구비하며, 제2신호(Hr)가 상기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이 아닌 상기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신호(제1수단(100)의 출력)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2부분에서 상기 제2신호가 발생하도록 상기 제1신호를 상기 제2부분에 결합하는 결합 수단(TR3)과, 상기 결합 수단(T3)의 상기 제2부분(2차)에 결합되어 전기 절연되고 상기 파워 오프 동작 기간이 아닌 상기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상기 제2신호(Hr)에 응답하여 스위치되며 상기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편향 권선(Ly)에서 편향 전류(iy)를 발생하는 편향 스위치(Q1)와, 상기 제1신호(제1수단(100)의 출력)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제2신호(Hr)가 상기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발생되는 한 파워 업 상태(음)에 있고 상기 제2신호(Hr)이 상기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발생되지 않는 한 파워 오프 상태(0)에 있는 상기 파워 업/파워 오프 제어 신호(V121)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제2신호(Hr)에 응답하고 상기 결합수단(T3)의 상기 제2부분(2차)로부터 전기 절연되지 않은 제3수단(121)과, 두 동작 기간 동안 발진기 신호(Sc)를 발생하도록 파워 업 및 파워 오프 동작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신호(제1수단(100)의 출력)에서 전기 절연되고, 상기 제어 신호(V121)에 응답하고 전기적으로 절연되지 않으며, 상기 제어 신호(V121)가 상기 파워 업 상태(음)에 있을 때 파워 업 동작 모드에 있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파워 오프 상태(0)에 있을 때 파워 오프 동작 모드에 있는 발진기(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110)는 전력원 조절기 발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 발진기(110)는 입력 AC 주 공급 전압(VAC)으로부터 전기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T3)은 절연 변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스위치(Q1)에서의 스위칭이 발생할 때 상기 파워 온/파워 오프 제어 신호(V121)의 제1레벨(음)을 발생하고 상기 편향 스위치(Q1)에서의 스위칭 동작이 동작하지 않게 될 때 제2레벨(0)을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제3수단(121)에 선형 인덕턴스(LLIN)에서 발생되는 신호(LLIN)에 응답하는 선형 인덕턴스(LLI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단(121)은 피크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검출기(121)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바이폴라 신호(V121a)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선형 인덕턴스(LLIN)와 상기 검출기(121) 사이에 접속된 R-C 회로(R121,C12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R-C 회로(R121,C121a)는 상기 선형 인덕턴스(LLIN)에서 전류 링잉을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절기는 상기 발진기 신호(Sc)에 따라서 변하는 레벨에서 출력 공급 전압(B+)을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제1신호(제1수단(100)의 출력)에 따라서 결정되는 주어진 주기적 간격의 일부 동안 입력 공급 전압(VUR)을 부하에 접속하기 위한 조절기 스위치(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진기(110)는 출력 공급 전압(B+)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기 스위치(200)의 듀티 사이클을 부궤환 루프 방식으로 변하게 하는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을 표시하는 궤환 신호(Vin)에 따라서 상기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상기 스위칭 신호가 변하도록 상기 파워 업 및 상기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상기 발진기 신호(Sc)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파워 업 동작과 상기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활성화되는 조절기 발진기를 포함하며, 상기 파워 업/파워 오프 신호(V121)는 상기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상기 제1신호(제1수단(100)의 출력)의 주파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상기 발진기 신호(Sc)의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궤환 루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 발진기(110)는 상기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상기 제1신호(제1수단(100)의 출력)에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을 수신하도록 결합되어 이에 의해 활성화되는 편향 회로 출력단(9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제1수단(100)의 출력)는 상기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수평 비율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T3)은 상기 편향 스위치(Q1)로부터 상기 제1신호(제1수단(100)의 출력)를 전기 절연시키는 핫-콜드 장벽 절연을 형성하며, 상기 제3수단(121)과 상기 조절기 발진기(110)는 상기 조절기 스위치(200)와 상기 편향 스위치(Q1) 사이에 합체된 신호 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19. 제6항에 있어서, 원격 수신기(120)와, 상기 제2파워 온/파워 오프 제어 신호가 상기 파워 오프 상태가 아닌 파워 온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신호(제1수단(100)의 출력)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원격 수신기(120)에 의해 발생되는 제2파워 온/파워 오프 제어 신호(ON/OFF)에 응답하는 구동기단(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
  20.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모드 전력원으로서, 입력 공급 전압(VUR)의 전원(101)과, 출력공급 전압(B+)를 발생하기 위한 필터 커패시터(C2)와, 상기 필터 커패시터(C2)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 커패시터(C2)에 저장된 전하로부터 로드 전류를 발생하는 부하(99)와, 상기 전력원의 파워 온 및 파워 오프 모드 동작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스위칭하는 제1제어 신호(Sc)를 발생하는 수단(110)과, 파워 온 및 파워 오프 모드 동작 기간 동안, 상기 제1필터 커패시터(C2)에서 출력 공급 전압(B+)을 상기 스위칭 전류(iL2)로부터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필터 커패시터(C2)에 결합되는 조절기 스위치(200)에서 스위치 전류(iSCR200)를 발생하기 위하여, 제어 단자(게이트)에 접속되는 상기 주기적으로 스위칭하는 제1제어 신호(Sc)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공급 전압(VUR)에 접속되는 주 전류 도전 입력 단자(102a)와 상기 필터 커패시터(C2)에 접속되는 주 전류 도전 출력 단자(102c)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기 스위치 출력 단자(102c)에서 발생되고 상기 필터 커패시터(C2)로부터 접속된 제1전압((102c)에서)이 값의 제1범위내에 있는 레벨이 있을 경우 상기 제1제어 신호가 발생될 때 주기적으로 래칭된 도전 상태로 동작할 수 있는 조절기 스위치(200)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력원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 스위치(200)가 상기 파워 오프 동작을 통하여 래치된 도전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전압((102c)에서)으로 하여금 값의 제1범위 이외의 값으로 되게 하는 상기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상기 조절기 스위치(200)에서 상기 스위칭 전류(iSCR200)를 발생하도록, 상기 파워 오프 모드 동작 기간 동안 상기 제1제어 신호(Sc)를 변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제어 신호 발생 수단(110)의 제어 단자(110a)에 결합된 파워 온/파워 오프 제어 신호(V121)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1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력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원은 상기 제1제어 신호(Sc)의 듀티 사이클을 증가시켜 상기 조절기 스위치(200)의 듀티 사이클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파워 오프 동작을 통하여 상기 제1제어 신호 발생 수단(110)의 상기 제어 단자(110a)로부터 상기 출력 공급 전압(B+)를 표시하는 궤환 신호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제어 신호 발생 수단(110)의 상기 제어 단자(110a)와 상기 출력 공급 전압(B+) 사이에 형성된 궤환 신호 선로에 결합되고 파워 온/파워 오프 제어 신호(V121)에 응답하는 제2스위치(Q2)를 포함하며, 상기 파워 오프 모드 동작 기간 동안 상기 궤환 신호(B+로부터)는 상기 제1제어 신호 발생 수단(110)으로 하여금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에 따라서 상기 제1제어 신호(Sc)의 타이밍을 변동하게 하여,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기 스위치(200)의 상기 듀티 사이클을 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력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업 모드 동작 기간 동안 편향 주파수와 연관된 주파수에서 입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100)과, 상기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상기 제2제어 신호(VW4)가 디스에이블되도록 동기화된 방식으로 상기 조절기 스위치(200)를 턴 오프시키도록 상기 조절기 스위치(200)의 출력 단자(102c)와 상기 입력(102a)중 하나 사이에 접속되고 제2제어 신호(VW4)를 상기 파워 업 모드 동작 기간 동안 대응 주파수에서 상기 출력단(99)에서 발생하기 위하여, 대응 주파수에서 스위치하고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하는 편향 스위치(Q1)를 갖는 편향 회로 출력단(9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력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회로 출력단(99)은 선형 인덕턴스(LLIN)를 포함하며, 선형 인덕턴스(LLIN)에서 발생되고 상기 편향 스위치의 어떤 스위치 동작도 없음을 표시하는 제3신호(VLIN)는 상기 제1제어 신호(Sc)의 상기 듀티 사이클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1제어 신호 발생 수단(110)의 상기 제어 단자(110a)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력원.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신호(VLIN)는 상기 검출기(121)의 상기 입력 단자에서 바이폴라 제4신호(V121a)를 발생하기 위하여 피크 검출기(121)의 입력 단자에 결합된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R-C 회로(C121a,R121)의 입력 단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력원.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R-C 회로(C121a,R121)는 상기 선형 인덕턴스(LLIN)에서 전류 링잉을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력원.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상기 편향 회로 출력단(99)에 포함된 플라이백 변압기(T1)의 1차 권선을 포함하고 상기 편향 스위치(Q1)에서 스위칭 동작이 발생하지 않을 때 상기 파워 오프 모드 동작 기간 동안 실제로 부하 전류를 발생하지 않는데, 상기 1차 권선(W1)은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에 접속되고 이에 의해 상기 파워 업 모드 동작 기간 동안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력원.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Hr)는 상기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수평 비율에 있고, 상기 제2제어 신호(VW4)는 상기 출력단(99)의 플라이백 변압기 권선(W4)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력원.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신호 발생 수단은 상기 파워 업 동작 기간 동안 상기 입력 신호(Hr)에 동기화되고 상기 파워 오프 동작 기간 동안 자유로이 동작하는 조절기 발진기(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력원.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신호 발생 수단(110)의 상기 제어 수단(110a)에 접속된 상기 파워 온/파워 오프 제어 신호는 상기 파워 오프 동작을 통하여 상기 제1제어 신호(Sc)의 주파수를 증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력원.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 스위치(200)는 실리콘 제어식 정류기(SCR)를 포함하고, 장기 제2제어 신호는 변압기 턴 오프 권선(W4)에 결합되어, 또다시 상기 SCR(200)과 직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력원.
KR1019890015667A 1988-11-01 1989-10-31 텔레비젼 장치 및 그 스위치 모드 전력원 KR0137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5,846 1988-11-01
US07/265,846 US5013980A (en) 1988-11-01 1988-11-01 Voltage regulator in a televis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835A KR900008835A (ko) 1990-06-04
KR0137276B1 true KR0137276B1 (ko) 1998-04-28

Family

ID=23012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667A KR0137276B1 (ko) 1988-11-01 1989-10-31 텔레비젼 장치 및 그 스위치 모드 전력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13980A (ko)
EP (1) EP0367101B1 (ko)
JP (1) JP3037955B2 (ko)
KR (1) KR0137276B1 (ko)
CA (1) CA2001907C (ko)
DE (1) DE68926020T2 (ko)
SG (1) SG599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1241A (en) * 1989-09-13 1992-11-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RT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synchronized high and low voltage power supply switching circuits
GB8929129D0 (en) * 1989-12-22 1990-02-2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Power regulation during start up and shut down
GB9113924D0 (en) * 1991-06-27 1991-08-14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Fault protection using microprocessor power up reset
GB2264425A (en) * 1992-02-20 1993-08-25 Ibm Crt display reduces raster size during standby mode
GB9219663D0 (en) * 1992-09-17 1992-10-28 Rca Thomson Licensing Corp Switch mode power supply with low input current distortion
US5377090A (en) * 1993-01-19 1994-12-27 Martin Marietta Corporation Pulsed power converter with multiple output voltages
US5940147A (en) * 1995-06-01 1999-08-17 U.S. Philips Corporation Power supply synchronization
US5956240A (en) * 1996-11-15 1999-09-2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Quick-reset circuit for auxiliary power supply
US7269034B2 (en) 1997-01-24 2007-09-11 Synqor, Inc. High efficiency power converter
US6169801B1 (en) 1998-03-16 2001-01-02 Midcom, Inc. Digital isolation apparatus and method
HU225166B1 (en) * 1998-09-25 2006-07-2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ignal process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US6441590B1 (en) * 1999-03-26 2002-08-27 Sarnoff Corporation Two stage architecture for a monitor power supply
US6396672B1 (en) * 2000-03-01 2002-05-28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a snubber capacitor to power a silicon-controlled rectifier gate trigger circuit
US10199950B1 (en) 2013-07-02 2019-02-05 Vlt, Inc. Power distribution architecture with series-connected bus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29885E (en) * 1972-04-05 1979-01-16 Rca Corporation Horizontal deflection system with boosted B plus
DE2651196C2 (de) * 1976-11-10 1986-06-26 Telefunken Fernseh Und Rundfunk Gmbh, 3000 Hannover Schaltnetzteil für ein Gerät der Nachrichtentechnik, insbesondere einen Fernsehempfänger
US4147964A (en) * 1978-02-09 1979-04-03 Rca Corporation Complementary latching disabling circuit
US4185234A (en) * 1978-07-28 1980-01-22 Gte Sylvania Incorporated Isolated B+ voltage sensing, high-voltage shutdown
JPS5830278A (ja) * 1981-08-18 1983-0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平偏向装置
US4392090A (en) * 1981-11-16 1983-07-05 Rca Corporation Remote responsive television receiver ferroresonant power supply
US4441052A (en) * 1982-11-26 1984-04-03 Rca Corporation Degaussing circuit for television receiver having switched mode power supply
US4631652A (en) * 1984-11-30 1986-12-23 Rca Corporation Frequency controlled resonant regulator
US4651214A (en) * 1984-12-24 1987-03-17 Rca Corporation Remote controlled television receiver power supply
US4672642A (en) * 1985-07-30 1987-06-09 Rca Corporation Circuit for generating a clock signal at an AC line frequency
DE3602858A1 (de) * 1986-01-31 1987-08-06 Thomson Brandt Gmbh Schaltnetzteil fuer fernsehgeraete
US4680511A (en) * 1986-03-28 1987-07-14 Rca Corporation Video apparatus for generating a conductively isolated control signal
US4692852A (en) * 1986-06-25 1987-09-08 Rca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raster width stabilization
US4866525A (en) * 1988-11-01 1989-09-1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Television apparatus power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81584A (ja) 1990-07-16
EP0367101A3 (en) 1992-06-03
EP0367101B1 (en) 1996-03-20
CA2001907A1 (en) 1990-05-01
EP0367101A2 (en) 1990-05-09
KR900008835A (ko) 1990-06-04
DE68926020T2 (de) 1996-09-05
DE68926020D1 (de) 1996-04-25
SG59944A1 (en) 1999-02-22
JP3037955B2 (ja) 2000-05-08
US5013980A (en) 1991-05-07
CA2001907C (en) 199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7727A (en) Switch-mode power supply with transformer-coupled feedback
KR0137276B1 (ko) 텔레비젼 장치 및 그 스위치 모드 전력원
US4368409A (en) Switching regulator power supply device combined with the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of a television receiver which it supplies
US4282460A (en) Deflection and power supply circuit with reduced start-up drive
US4866525A (en) Television apparatus power supply
JP2559282B2 (ja) スイッチモード電源
US4930060A (en) Switch-mode power supply
EP0332095B1 (en) A switch-mode power supply
EP0767528B1 (en) Tuned switch-mode power supply with current mode control
US4385264A (en) Start-up circuit for a power supply
KR850001658B1 (ko) 텔레비전 음극선관용 편향장치
JP2721925B2 (ja) スイッチモード電源
JP2824253B2 (ja) 電源装置
FI70104C (fi) Reglerad linjeavlaenkningsapparat
US4362974A (en) Commutated switched regulator with line isolation for transistor deflection
EP0454001B1 (en) Switched mode vertical deflection system
US4298892A (en) Switching regulator with independent feedback path filter
GB2037033A (en) Switching regulator
US4987525A (en) Switching power supply
EP0030136B1 (en) Regulated deflection circuit with start-up control
EP0504687B1 (en) Deflection circuit with a feedback arrangement
JPS6235307B2 (ko)
JPS6142906B2 (ko)
GB2378630A (en) A power supply and start-up arrangement for a deflection circuit operating at multi-scan frequencies
GB2031679A (en) Switching regulator for a televis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