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353B1 -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수 난용성 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수 난용성 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353B1
KR850001353B1 KR8200413A KR820000413A KR850001353B1 KR 850001353 B1 KR850001353 B1 KR 850001353B1 KR 8200413 A KR8200413 A KR 8200413A KR 820000413 A KR820000413 A KR 820000413A KR 850001353 B1 KR850001353 B1 KR 850001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oxide
acid
salt
benzyl
phenylethyl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108A (ko
Inventor
웰리스레이 암스트롱 윌리암
에드워드 모펫트 챠알스
윌리암 윈 디쉬 웬델
Original Assignee
윌리암 데이비스 헌
화이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암 데이비스 헌, 화이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윌리암 데이비스 헌
Publication of KR830009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4-thia-1-azabicyclo [3.2.0] hep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penicillins, penem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499/04Preparation
    • C07D499/14Preparation of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4-thia-1-azabicyclo [3.2.0] hep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penicillins, penem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n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수 난용성 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포유 동물에 있어서의 세균 감염에 대한 화학 요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발명은 포유 동물에 있어서 세균 감염의 요법 치료용 β-락타마제 억제제인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수 난용성 염의 제조 방법 및 β-락탐 항생제와의 병용법에 관한 것이다.
항균제로서 가장 널리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β-락탐계 항생제인데. 이들 화합물은 티아졸리딘환이나 또는 디히드로-1,3-티아진환과 2-아제티디논(β-락탐) 환이 축합된 핵을 갖임을 특징으로 한다. 핵이 티아졸린딘환을 갖는 화합물은 일반으로 페니실린이라 불려지며, 디히드로티아진환을 갖는 화합물은 세팔로스포린이라 불려진다. 임상 진료에 보통 사용되는 페니실린류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벤질페니실린(페니실린G), 페녹시메틸 페니실린(페니실린 V), 암피실린 및 카르베니실린이 있으며, 세팔로스포린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세팔로신, 세팔렉신 및 세파졸린이 있다.
β-락탐계 상생제가 유용한 화학 요법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β-락탐 계열의 어느 화합물들은 특정 미생물에 대하여 불활성인 주 결점이 있는데, 이것은 주로 미생물이 β-락타마제라는 효소를 산생하기 때문에 그 미생물에 있어서 β-락탐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생긴다고 생각할 수 있다. β-락타마제는 페니실린 및 세팔로스포린의 β-락탐 환을 분해시켜 항균 활성이 없는 물질을 생성시키는 효소이다. 그러나 어떤 물질은 β-락타마제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데, β-락타마제를 페니실린이나 또는 세팔로스포린과 병용하며는 특정 미생물에 대하여 페니실린 또는 세팔로스포린의 항균 활성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 β-락타마제 억제제
Figure kpo00001
로서는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유용하다 :
미합중국 특허 제4,234,579호의 명세서에는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 및 β-락타마제로서의 β-락탐 항생제와의 병용법에 대하여 서술되어 있다. 또, 미합중국 특허 제4,234,579호의 명세서에는 아민염 등의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염에 대하여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미합중국 특허 제4,234,579호의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아민염은 물에 상당히 가용성이기 때문에 비 경구투여시 포유 동물로부터 속히 배설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어떤 아민염류는 물에 난용성이기 때문에 포유동물에 비 경구 투여시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혈중 농도가 연장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전술한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난용성염으로서는 1 : 2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염, N-벤질-2-페닐아민염 및 디벤질아민염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벤질페니실린과 같은 수개의 페리실린 항생제의 1 : 2N,N'-디벤질에틸렌디아민염, N-벤질-2-페닐에틸아민염 및 디벤질아민염들을 제조하였다(참조 : 미합중국 특허 제2,627,491호와 제2,585,432호 및 영국 특허 제732,559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의 염들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
(a)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1 : 2N,N'-디벤질에틸렌디아민염,
(b)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N-벤질-2-페닐에틸아민염, 및
(c)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디벤질아민염.
상기 염들은 물에 난용성이기 때문에 포유 동물의 세균감염에 대한 화학 요법에 있어서 공지된 β-락타마제 억제제인 지효성 형태의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염은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1 : 2N,N'-디벤질에틸렌디아민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염이다.
Figure kpo00002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1 : 2N,N'-디벤질에틸렌 디아민염은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과 2몰딩량의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로부터 생성되는 염이며,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N-벤질-2-페닐에틸아민염은 N-벤질-2-페닐에틸아민과 1몰 당량의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로부터 생성되는 염이고,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디벤질아민염은 디벤질아민과 1몰 당량의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로부터 생성되는 염이다.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은 벤자틴과 DBED로도 알려지고 있으며, N-벤질-2-페닐에틸아민은 베네타민으로 또한 알려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은 당 분야에 숙련된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통상법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이를테면,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와 아민을 -20내지 30℃ 온도의 적당한 불활성 용매 또는 불활성 용매의 혼액중에서 화학 양론적 비율로 접촉시킴으로써 수분내에 염을 생성시킬 수가 있다. 불활성 용매로서는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와 아민을 실질적으로 용해시키면서,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 아민 또는 생성염과 바람직하지 못한 상호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용매가 적합하다. 이러한 용매의 예로서는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저급 알칸올류 ; 아세톤, 메틸이소 부틸케톤과 같은 저 분자량 케톤류 ;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와 같은 저 분자량 에테르류 ; 초산에틸, 초산부틸과 같은 저 분자량 에스테르류 ; 아세토니트릴 ; 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 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 및 이들의 혼합물을 열거할 수 있다. 염 생성물은 여과, 용매 증발 또는 침전 후 여과에 의해 간단히 회수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재결정과 같은 고전적 기술에 의해 또 정제를 행할 수가 있다. 또 용매는 염이 유리 용해될 수 있거나 또는 난용성인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난용성 용매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염을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는 화학양론적 양의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수용성염을 아민의 수용성 염과 -20 내지 30℃ 온도의 수성 용매 중에서 염 생성물이 전부 침전될 수 있는 농도로 접촉시키는 별법이 있다. 다음에 염 생성물은 여과에 의해 회수할 수가 있다. 본 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 페니실란산 염의 예로서는 나트륨염, 칼륨염과 같은 알칼리금속염 ; 및 트리에틸아민염, 트리부틸아민염과 같은 저 분자량 아민류를 열거할 수 있으며, 사용할 수 있는 아민반응 물질염의 예로서는 염화수소산염, 브롬화수소산염과 같은 할로겐화 수소산염 ; 및 초산, 프로피온산과 같은 지방족 카르복시산과의 염을 열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염을 제조한는 데에 있어서는 화학양론적인 양의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를 약산에 의해 생성되는 아민 반응 물질의 염과 -20 내지 30℃온도하에서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 및 아민염 반응 물질을 용해시킴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염은 난용성인 용매 중에서 접촉시키는 별법이 있다. 본 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 아민 반응 물질의 염을 예시하면 초산, 프로피온산, 낙산, 이소낙산, 이소카프로산, 카프로산, 2-에틸헥산산과 같은 간단한 지방족 카르복산들을 열거할 수 있으며, 본 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 용매의 예로서는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저급 알칸올류 ; 아세톤, 메틸에틸렌케톤과 같은 저분자량 케톤류 ;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와 같은 저 분자량 에테르류 ; 초산에틸, 초산부틸과 같은 저 분자량 에스테르류, 및 이들의 혼합물을 열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염은 지효성 형태의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염을 포유 동물에 투여하며는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혈중농도가 지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염은 물에 난용성인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과같은 지효성 형태의 β-락탐 항생제와 함께 투여하며는 특히 유효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염은 물에 난용성인 페니실린 또는 세팔로스포린 항생제 1회 용량과 함께 1회 용량을 동시에 투여할 수가 있기 때문에 편리하며, 이후의 용량은 혈액 중에 필요한 농도의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 함량을 유지시켜 줌과 동시에 페니실린 또는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이 혈액 중에 계속 유지될 수 있는 양만을 적당한 간격으로 투여하면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염은 함께 투여할 수 있는 페니실린 또는 세팔로스포린 화합물과 함께 제제하여 동시에 투여할 수가 있으며, 복용량은 혈액 중에 필요한 농도의 함량이 유지되도록 반복해 주면된다. 활성 성분들의 중량 비율은 통상 1 : 6 내지 6 : 1 이며, 1 : 3 내지 3 :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염을 지효성 형태의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로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근육내 투여 또는 피하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근육 내 투여 또는 피하 투여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암피실린·3수화물 또는 벤자틴 페니실린 G와 같은 수 난용성 β-락탐 항 생제의 제제시 현재 채용되고 있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염의 수 현탁액 또는 비수액성 현탁액을 제조하여 통상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 50 내지 200mg이 함유되게 한다. 또 수성 현탁액의 경우에는 수성 현탁액의 제제에 통상 사용되는 다른 성분들도 소량 첨가할 수 있다. 이를테면, 레시틴, 소르비탄 모토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와 같은 유화제 ; 카르복시메틸 샐룰로오스와 같은 히드로콜로이드 ; 폴리비닐 피롤리돈과 같은 분산제 ; 및 안식향산 나트륨,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과 같은 방부제를 첨가할 수가 있다. 또 현탁액의 pH를 6내지 7범위로 완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완충제로서는 구연산 나트륨/구연산 완충제가 적합하다. 또 소량의 페놀을 함유하는 프로필렌글리콜디에스테르(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를 사용하여 비수성 현탁액을 제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은 수 난용성 페니실린 또는 세팔로스포린 화합물과 함께 인체와 가축(고양이, 개) 및 농가의 큰 동물(말, 양, 소, 돼지)에 함께 투여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적당한 약용량은 약사가 처방 결정해야 하며, 약용량은 환자의 체중, 환자의 상태, 및 환자의 증상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근육내 또는 피하투여의 약용량은 통상 체중 1kg당 약 4내지 약 40mg을 사용한다. 만일에 혈액 중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농도가 기준치에 미달될 경우에는 상기 약용량을 반복 투여한다. 또 목적하는 치료 효과가 얻어질 때까지 상기 복용량을 계속 투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을 함께 투야할 수 있는 수 난용성 페리실린 항생제를 예시하면 페니실린 G와 페니실린 V 및 암파시린·3수화물의 1 : 2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염들을 열거할 수 있다.
하기에 실시예들을 열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겠으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있어서는 적외선 흡수 시료로서 브롬화칼륨 원판을 사용하여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주 흡수치들을 파수(cm-1)로 나타내었다. 양성자 자기 공명 스펙트럼은 퍼듀테로디메틸술폭시드 중에서 용액에 대하여 100MHz에서 측정하고, 흡수치들을 내부 표준 트리메틸실만으로 부터 ppm으로 나타내었으며, 피이크 모양에 대해서는 다음의 약호를 사용하였다 ; s, 단일선 ; m, 다중선. 양성자 공액 해제 13C 자기 공명 스펙트럼은 피듀테로디메틸술폭시드 중에서 용액에 대하여 측정하고, 흡수치들을 내부 표준 테트라메틸실란으로부터 ppm으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1 : 2 N,N'-디벤질 에틸렌디아민염
증류수 1000㎖ 중에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 나트륨 201.7g을 용해시킨 용액을 약 8℃로 냉각시킨 다음, 여기에 증류수 1400㎖중에 N,N'-디벤질에틸렌 디아민디아세테이트 156.2g을 용해시키고 약10℃로 냉각시킨 용액을 12내지 15분간 동안 맹렬히 교반하면서 적가하였다. 첨가를 중지시킨 후 5내지 8℃에서 또 20분간 계속 교반한 다음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회수하였다. 회수한 고상물을 냉수로 잘 세척한 다음 40℃에서 진공건조하여 표제의 염 255.6g을 얻었다. 융점 165-166℃(분해). Karl Fisher 적정에 의해 이 물질은 물 5.03%를 함유하였다.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결과 3546, 3333, 2666, 2409, 1769, 1626, 1562, 1398, 1111 및 754cm-1에서 흡수를 나타내다. 또 양성자 자기 공명 시펙트럼 결과 1.31(s, 6H), 1.38(s, 6H), 3.04(s, 4H), 3.08(m, 2H), 3.26(m, 2H), 3.90(s, 2H), 4.04(s, 4H), 4.93(m, 2H) 및 7.42(m, 10H)ppm에서 흡수를 나타내었다. 양성자 공액 해제 13C 자기 공명 스펙트럼 결과 18.4831, 19.9920, 36.9787, 43.6649, 50.6570, 60.6107, 62.6252, 64.7556, 128.599, 129.627, 133.507, 169.961및 172.023ppm에서 흡수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N-벤질-2-페닐에틸아민염디에틸에테르 125㎖중에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
885mg을 용해시킨 용액을, 디에틸에테르 100㎖ 중에 N-벤질-2-페닐에틸아민 828mg을 용해시킨 용액에 약 20분 동안 교반하여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또 20분간 교반한 다음 여과에 의해 고상물을 회수하였다. 이 고상물을 에테르로 세척한 다음 진공 건조를 행하여 표제의 화합물 1.57g을 얻었다. 융점 161 내지 163℃(분해). Karl Fisher 적정에 의해 이 물질은 물 1.33%를 함유하였다.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결과 3067, 2816, 2380, 1785, 1600, 1298, 111, 784, 751 및 699cm-1에서 흡수를 나타내었다. 또 양성자 자기공명 스펙트럼 결과 1.38(s, 3H), 1.52(s, 3H), 3.04(s, 4H), 3.12(m, 1H), 3.54(m, 1H), 3.90(s, 1H), 4.10(s, 2H), 4.94(m, 1H) 및 7.28(m, 10H)ppm에서 흡수를 나타내었다. 양성자 공액 해제 13C 자기 공명 스펙트럼 결과 18.5835, 20.0678, 31.9754, 36.8485, 47.7418, 50.0436, 60.5537, 62.6515, 65.1919, 126.547, 12.506, 129.710, 138,008, 137.697, 169.570 및 171.986ppm에서 흡수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디벤질아민염
물 약 3㎖중에 페실란산 1,1-디옥사이드나트륨 1.275g을 용해시킨 용액을, 물 37㎖ 중에 디벤질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용해시킨 용액에 교반 첨가하였다. 20분간 교반을 계속 행하고 여과에 의해 고상물을 회수하였다. 고상물을 물로 세척한 다음 실온에서 진공 건조를 행하여 표제의 화합물 1.102g을 얻었다. 융점 150-160℃ Karl Fisher 적정에 의해 이 물질은 물 2.95%를 함유하였다.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결과 4347, 3333, 2985, 2777, 2439, 1769, 1587, 1398, 1111,775및 669cm-1에서 흡수를 나타내었다. 또 양성자 자기 공명 스펙트럼 결과 1.34(s, 3H), 1.3(s, 3H), 3.30(m, 2H), 3.90(s, 1H), 4.06(s, 4H), 4.94(m, 1H) 및 7.40(m, 10H)ppm에서 흡수를 나타내었다. 양성자 공액 해제 13C 자기 공명 스펙트럼 결과 18.5613, 20.0192, 36.9093, 50.0135, 60.5833, 62.6788, 65.0384, 128.457, 129.703, 133.388, 169.426 및 171.939ppm에서 흡수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디벤질아민염
디벤질아민 38.4㎖, 증류수 500㎖ 및 초산 15㎖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을 행하여 얻어지는 용액을, 증류수 300㎖중에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 나트륨 62g을 용해시킨 용액에 20분간 교반 적가하였다. 또 10분간 계속 교반한 다음, 침전물을 여취하여 얻어지는 고상물을 실온에서 일야 건조시켜 표제의 화합물 68g을 얻었다. 융점 149-151℃(분해). Karl Fischer 적정에 의해 이 물질은 물 6.11%를 함유하였다.
[실시예 5]
수성 제제예
하기 성분들로 조성되는 제제물을 제제하였다.
Figure kpo00003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다음 탈이온수를 가하여 용량을 100㎖ 로한 다음 필요한 약용량에 따라 적당히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6]
비수성 제제예
성 분 함 량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1 : 2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염 9.06g
암피실린 3수화물 13.8g
페 놀 0.5g
프로필렌글리콜디에스테르(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80㎖
상기 성분들을 충분히 혼합하고, 필요한 약용량에 따라 적당히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Claims (4)

  1. 화학양론적 양의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N-벤질-2-페닐에틸아민, 또는 디벤질아민을 분활성 용매 중에서 접촉 반응시키거나, 또는 화학양론적 양의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수용성 염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N-벤질-2-페닐에틸아민 또는 벤질아민의 수용성 염을 실질적으로 수성 용매 중에서 생성되는 염이 모두 침전되는 농도로 접촉 반응시키거나, 또는 화학양론적 양의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과 약산으로 부터 생성된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N-벤질-2-페닐에틸아민 또는 디벤질아민의 염을 반응 물질은 가용성이나 생성염은 난용성인 용매 중에서 접촉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1 : 2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염,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N-벤질-2-페닐에틸아민염 및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디벤질아민염 중에서 선택되는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수 난용성 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양론적 양의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N-벤질-2-페닐에틸아민 또는 디벤질아민을 0°내지 30℃ 온도범위로 저급알칸올류, 저 분자량 케톤류, 저 분자량 에테르류, 저 분자량 에스테르류, 아세토니트릴, 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롬아미드, N,N'-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및 디메틸술폭시드 중에서 선택되는 용매 중에서 접촉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화학양론적 양의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알카리 금속염 또는 저 분자량 아민염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N-벤질-2-페닐에틸아민 또는 디벤질아민의 히드로할라이드염 또는 간단한 지방족 카르복시산염을 0°내지 30℃ 온도 범위로 실질적으로 수성 용매 중에서 생성되는 염이 모두 침전되는 농도로 접촉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화학양론적 양의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N-벤질-2-페닐에틸아민 또는 디벤질아민의 간단한 지방족카르복시산염을 0°내지 30℃ 온도범위로 저급알칸올류, 저 분자량 케톤류, 저 분자량 에테르류, 저 분자량 에스테르류 및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선택되는 용매 중에서 접촉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8200413A 1981-02-02 1982-02-01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수 난용성 염의 제조방법 KR850001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230,779 US4331599A (en) 1981-02-02 1981-02-02 Sparingly water-soluble salts of penicillanic acid 1,1-dioxide
US230,779 1981-02-02
US230779 1994-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108A KR830009108A (ko) 1983-12-17
KR850001353B1 true KR850001353B1 (ko) 1985-09-21

Family

ID=2286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413A KR850001353B1 (ko) 1981-02-02 1982-02-01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수 난용성 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1) US4331599A (ko)
EP (1) EP0057606B1 (ko)
JP (1) JPS57146784A (ko)
KR (1) KR850001353B1 (ko)
AR (1) AR228175A1 (ko)
AT (1) ATE13060T1 (ko)
AU (1) AU528128B2 (ko)
CA (1) CA1178948A (ko)
DE (1) DE3263337D1 (ko)
DK (1) DK159781C (ko)
EG (1) EG15905A (ko)
ES (1) ES509240A0 (ko)
FI (1) FI76346C (ko)
GR (1) GR74718B (ko)
GT (1) GT198273511A (ko)
IE (1) IE52287B1 (ko)
IL (1) IL64908A (ko)
MX (3) MX6982E (ko)
MY (1) MY8700500A (ko)
NO (1) NO159856C (ko)
NZ (1) NZ199620A (ko)
PH (1) PH16679A (ko)
PT (1) PT74363B (ko)
SG (1) SG23087G (ko)
YU (1) YU43064B (ko)
ZA (1) ZA82623B (ko)
ZW (1) ZW38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5432A (en) * 1948-10-19 1952-02-12 Bristol Lab Inc Dibenzylamine salts of penicillin
US2547782A (en) * 1948-10-26 1951-04-03 Lilly Co Eli 2-chloroprocaine salt of penicillin
US2627491A (en) * 1950-07-15 1953-02-03 Wyeth Corp Penicillin salts of substituted alkylene diamines
GB732559A (en) 1952-08-27 1955-06-29 Glaxo Lab Ltd A new amine salt of penicillin g
US3594368A (en) * 1969-06-11 1971-07-20 American Home Prod Preparation of n,n'-dibenzylethylene-diamine bis d(-) - alpha - aminobenzylpenicillin trihydrate
ES397477A1 (es) * 1971-11-29 1975-03-16 Antibioticos Sa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de la sal dibenciletilenodia- minica del acido 6-(d - 2 - amino - 2 - fenilacetamido) - 3,3-dimetil - 7 - oxo - 4 - thio - 1 - azabiciclo (3,2,0)hep- tano-2-carboxilico poco soluble en agua y activa tera.
US4234579A (en) * 1977-06-07 1980-11-18 Pfizer Inc. Penicillanic acid 1,1-dioxides as β-lactamase inhibitors
JPS6056160B2 (ja) * 1977-06-07 1985-12-09 フアイザ−・インコ−ポレ−テツド β−ラクタマ−ゼ阻害剤としてのペニシラン酸1,1−ジオキシド
IE50650B1 (en) * 1979-10-11 1986-06-11 Leo Pharm Prod Ltd Method for producing penicillanic acid derivatives
US4392081A (en) * 1981-07-31 1983-07-05 General Electric Company Light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G15905A (en) 1986-12-30
PT74363A (en) 1982-03-01
JPH0310632B2 (ko) 1991-02-14
IL64908A (en) 1984-12-31
PT74363B (en) 1984-10-22
US4331599A (en) 1982-05-25
ATE13060T1 (de) 1985-05-15
DK159781B (da) 1990-12-03
FI820313L (fi) 1982-08-03
ES8304991A1 (es) 1983-03-16
EP0057606A1 (en) 1982-08-11
GR74718B (ko) 1984-07-09
IL64908A0 (en) 1982-04-30
FI76346C (fi) 1988-10-10
DK159781C (da) 1991-04-22
NO820289L (no) 1982-08-03
CA1178948A (en) 1984-12-04
AU528128B2 (en) 1983-04-14
DK42882A (da) 1982-08-03
MX5825A (es) 1993-11-01
ZW382A1 (en) 1982-05-26
EP0057606B1 (en) 1985-05-02
JPS57146784A (en) 1982-09-10
ES509240A0 (es) 1983-03-16
MX6982E (es) 1987-01-19
DE3263337D1 (de) 1985-06-05
NZ199620A (en) 1985-07-12
NO159856B (no) 1988-11-07
NO159856C (no) 1989-02-15
YU21382A (en) 1985-03-20
ZA82623B (en) 1982-12-29
AU7997182A (en) 1982-08-12
AR228175A1 (es) 1983-01-31
IE820224L (en) 1982-08-02
FI76346B (fi) 1988-06-30
KR830009108A (ko) 1983-12-17
YU43064B (en) 1989-02-28
GT198273511A (es) 1983-07-23
MY8700500A (en) 1987-12-31
MX5826A (es) 1993-11-01
IE52287B1 (en) 1987-09-02
SG23087G (en) 1987-07-10
PH16679A (en) 198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S228537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methandiole bis-ester with derivates of foaming lanic acid
JPS6219160B2 (ko)
KR850001936B1 (ko) 페니실란오일옥시메틸 페니실라네이트 1, 1, 1', 1'-테트라옥사이드의 제조 방법
EP0329008B1 (de) Cephalosporinderivativ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H08208662A (ja) 新規な結晶性セフェム酸付加塩およびその調製方法
CA1043261A (en) Cephalosporin-type antibiotic composition
DE2222434C2 (de) Cephalosporin-Deriva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I59413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6-d(-)-alfa-amino-p-acetoxifenylacetamido penicillansyra anvaendbar saosom antibakteriskt aemne
KR850001353B1 (ko) 페니실란산 1,1-디옥사이드의 수 난용성 염의 제조방법
US4053609A (en) Penicillin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US4189479A (en) Cephalosporin esters
JPS5917117B2 (ja) 抗菌剤の製法
US4035381A (en) Antibacterial agents
FI62840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antibakteriellt verkande 6-2-aryl-2-(imidoylaminoalkanoylamino)acetamido)penicillans yrr och farmaceutiskt godtagbara salter daerav
US20110118462A1 (en) N-heterocyclic substituent-containing antibiotic, preparation and use thereof
USRE29164E (en) 7-Amino-cephalosporanic and decephalosporanic acid derivatives
US4061862A (en) Derivatives of 7-(cyclized)phenylglycyl-3-triazolo-thio methyl cephalosporin
US20140128359A1 (en) N-Heterocyclic Substituent-Containing Antibiotic, Preparation and Use Thereof
US4026888A (en) Certain derivatives of particular 3-thiolated cephalosporins
DE2244915B2 (de) Methoxymethylester von Hetacilli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4046904A (en) Novel penicillin, and its preparation and use
KR101142582B1 (ko) β-락타마제 효소에 저항성을 갖는 세팔로스포린 에스테르화합물 및 이의 염
US3489746A (en) Derivatives of alpha-aminobenzylpenicillin
KR800001511B1 (ko) 6-아미노-2, 2-디메틸-3-(5-테트라졸릴) 페남의 아실화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00001188B1 (ko) α-아미노벤질 페니실린 유도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