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996B1 - 내연기관의 시동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996B1
KR850000996B1 KR1019810000908A KR810000908A KR850000996B1 KR 850000996 B1 KR850000996 B1 KR 850000996B1 KR 1019810000908 A KR1019810000908 A KR 1019810000908A KR 810000908 A KR810000908 A KR 810000908A KR 850000996 B1 KR850000996 B1 KR 850000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shaft
gear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st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481A (ko
Inventor
아기부미 오오이시
Original Assignee
야마하 하쓰도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고이게 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하쓰도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고이게 히사오 filed Critical 야마하 하쓰도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5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50/00Problems related to engine starting or engine's starting apparatus
    • F02N2250/08Lubrication of starters; Sealing means for sta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시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동 장치에 장착되는 원웨이크러치의 정면도.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습식윤활이 되어있지 않은 크랭크축 위에 스타아터모우터의 동력을 도입하여 내연기관의 시동을 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엔진배기량이 50cc 혹은 80cc의 소형오오토바이에서는 일반적으로 크랭크케이스 밖에 돌출된 크랭크축의 회전력은 V벨트 무단변속기를 개재해서 뒷 바퀴축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기때문에 크랭크케이스 밖에 크랭크축에서의 구동계통은 습식윤활이 했하여지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 때문에 이와같은 엔진에 대한 시동장치로서 크랭크축에 스타아터모우터의 동력을 도입하는 경우, 습식윤활이 되고 있는 대형엔진의 크랭크축과 같이 피구동기어가 직접 그 크랭크축에 장착한 것과 같은 기구를 그대로 사용한다면 윤활부족으로 인해서 타서붙는 등의 일이 발생할 염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문제를 해소하고, 습식윤활되어 있지 아니한 크랭크축이면서, 그 크랭크축에 적극적인 윤활을 행하지 않아도 스타아터모우터의 동력을 도입하는 기어는 크랭크축과 타서 붙는 일이 없도록할 수 있고, 그리고 또한 정비하기가 용이한 내연기관의 시동장치를 제공하고저 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시동장치는, 크랭크케이스의 외벽측에 크랭크축과 동축적으로 통상의 스테이를 떼어내기가 자유롭게 장착하고, 이 스테이에 스타아터모우터의 구동축의 기어와 맞물림하는 기어를 회동이 자유롭게 축받이하고, 이 기어와 전술한 크랭크축과의 사이에 원웨이크러치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에 도면에 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며, 제2도는 동 장치에서의 원웨이크러치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1A)(1B)는반을 절단한 상태로 구성한 하우징케이스이며, 안쪽의 하우징케이스(1B)의 단부에는 케이스(1C)와 일체로 된 원동기의 크랭크케이스(2)가 형성되어 있다.
3은 크랭크축, 4는 크랭크아암, 5는 코넥팅로드이다. 크랭크축(3)의 단부에는 한쌍의 시이브(6A)(6B)가 설치되고, 6A는 스플라인(3A)을 개재해서 크랭크축(3)에 고정되나, 6B는 가이드 메달(7)을 개재해서 크랭크축(3)의 축방향으로 접동이 가능하도록 축받이되어 있다.
8은 시이브(6B)의 등쪽에 있고, 크랭크축(3)위에 굳게 붙인 가이드판이다.
이 가이드판(8)과 시이브(6B)와의 사이에는 강구(9)가 수납되어 있다.
시이브(6A)(6B)의 사이에는 V벨트(15)가 권착되고 이 V벨트(15)의 타단은 뒷바퀴축(도시않음)이 시브에 감아 붙이도록 되어 있다.
크랭크축(3)의 회전속도에 따라 강구(9)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시이브(6B)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이 시이브(6B)의 이동에 의해서 V벨트(15)가 반경방향 외축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서 크랭크축(3)의 회전은 무단계로 변속되어 뒷바퀴축에 전달된다.
크랭크축(3)의 단부에는 다시 크러치단턱(10A)이 고정되어 있고, 이 크러치단턱(10A)은 하우징케이스(1A)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축받이된 헬리컬기어(11)의 단부에 굳게 붙어 있는 크러치단턱(10B)가 대면하고 있다. 크러치단턱(10B)에는 마찰스프링(12)이 이어붙여 있고, 크러치단턱(10B)이 회전할때에는 회전을 조금 제동하도록 항상 힘이 가하여져 있다.
또 헬리컬기어(11)는 킥축(14)에 굳게 붙인 부채형 헬리컬기어(13)와 킥할때 맞물림하고 있다. 따라서 킥페달(도시않음)을 밟으므로서 킥축(14)을 회동시키면은 헬리컬기어(11)가 부채형 헬리컬기어(13)의 작용에 의해서 크랭크축측(3)에 향하는 슬러스트가 걸려서, 그 결과 크러치단턱(10B)이 크러치단턱(10A)과 맞물리어 크랭크축(3)을 회동시키고 다시 킥넥팅로드(5)를 개재해서 원동기를 시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크랭크케이스(2)의 외벽측에는 통상의 스테이(16)가 크랭크축(3)과 같은 축으로 하여 나사(17)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 통상의 스테이(16)는 오일시이일(18)을 누르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그외 주측에는 외주에소음 대책용의 고무를 가열 부착한 래치트기어(19)와 이래치트기어(19)에 일체적으로 굳게 붙이는 기어(20)을 윤활유가 있는 베어링(21)을 개재시켜서 회동이 자유롭게 축받이 하고 있다.
22는 크랭크축(3)에 스플라인(3A)에 의해서 고정된 스테이이고, 이 스테이(22)의 단부에는 래치트단턱(23)이 축(24)을 개재해서 회동이 자유롭게 축받이되어 있다.
래치트단턱(23)은 다시 스프링(25)에 의해서 래치트기어(19)측에 일정의 탄성력이 가해져서 래치트기어(19)와 맞물리도록 되어서 원웨이크러치(30)를 구성하고 있다.
26은 스타아터모우터이고, 이 스타아터모우터(26)와 구동축(27)에 형성된 기어(27A)는 (28)(29)기어를 회동하여 감속되고, 다시 기어(29)가 스테이(16)위의 기어(20)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스타아터모우터(26)를 회동시키면은 기어(29)에 의해서 기어(20)와 같이 래치트기어(19)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래치트기어(19)의 회전에 의해서 래치트단턱(23)을 개재해서 스테이(22)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크랭크축(3)은 스풀라인(3A)을 개재해서 회전되어 진다.
크랭크축(3)의 회전에 의해서 원동기가 시동하면은 크랭크축(3)의 회전속도는 래치트기어(19)의 회전속도보다도 높아지기 대문에 래치트단턱(23)은 래치트기어(19)로 부터 해탈된다. 래치트단턱(23)은 다시 원심력에 의해 스프링(2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제2도의 실선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크랭크축(3)과 같이 회전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장치에 의하여 스타아터모우터(26)에서 동력을 받는 기어(20)및 래치트기어(19)는 다같이 크랭크케이스(2)에 장착된 스테이(16)위에 축받이 되어있으므로 크랭크축(3)하고는 미끄러져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크랭크케이스(2)로 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크랭크축(3)의 부분이 습식윤활되어 있지 않아도 타서 붙는 일은 없다.
더우기 오일시이일(18)을 누르는 스테이(16)는 나사(17)에 의해서 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오일시이일(18) 교환의 경우에는 이 스테이(16)만을 해탈하면 되고 원통기 전체를 분해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비작업 하기가 극히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원웨이크러치(30)로서 래치트타입의 기구를 표시하였으나 다른 기구로 바꾸어도 지장이 없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시동장치는 크랭크케이스의 외주벽에 크랭크축과 같은 축으로 하여 통상의 스테이를 해탈이 자유롭게 장착하고, 이 스테이에 스타아터모우터의 구동측의 기어와 맞물리는 사이에 원웨이크러치를 개재시켜서 구성 하였으므로 크랭크축이 습식윤활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도, 스타아터모우터의 동력을 도입하는 기어와 크랭크축과의 타서 붙는 일이 없고 또 오일시이일의 교환등에 있어 정비 작업을 용이하게 할수가 있다.

Claims (1)

  1. 크랭크케이스(2)의 외벽측에 크랭크축(3)가 같은축으로 하여 통상의 스테이(16)를 해탈이 자유롭게 장착하고, 이 스테이(16)에 스타아터모우터(26)의 구동축(27)의 기어(27A)와 맞물리는 기어(20)를 회동이 자유롭게 축받이하고, 이 기어(20)와 크랭크축(3)과의 사이에 원웨이크러치(30)를 개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시동장치.
KR1019810000908A 1980-07-23 1981-03-19 내연기관의 시동장치 KR850000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0-99796 1980-07-23
JP99796 1980-07-23
JP9979680A JPS5726264A (en) 1980-07-23 1980-07-23 Starte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481A KR830005481A (ko) 1983-08-20
KR850000996B1 true KR850000996B1 (ko) 1985-07-15

Family

ID=14256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908A KR850000996B1 (ko) 1980-07-23 1981-03-19 내연기관의 시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726264A (ko)
KR (1) KR8500009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9517B2 (ja) * 1995-08-09 2004-07-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ユニットスイング内燃機関のスタータモータ取付配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77763A (fr) * 1966-03-10 1967-04-21 Paris & Du Rhone Dispositif pour le démarrage des moteurs thermiques
JPS5545081Y2 (ko) * 1974-04-17 1980-10-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26264A (en) 1982-02-12
KR830005481A (ko) 1983-08-20
JPS6345505B2 (ko) 1988-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3642A (en) Power takeoff on marine diesel engine
US3786688A (en) Variable ratio belt-type transmission having improved driven pulley
US4020935A (en) Direct cranking starter drive
WO2009098913A4 (ja) 車両のパワーユニット
KR850000996B1 (ko) 내연기관의 시동장치
EP0358787B1 (en) Small engine provided with self starting motor
JP2620490B2 (ja) ベルトコンバータ
JPH0544615A (ja) エンジンのスタータクラツチ機構潤滑装置
JPS6376952A (ja) 車両の動力伝達装置
US4583291A (en) Electric chain saw speed reduction device
JP2001349401A (ja) 無段変速機の制御機構
JPH0314957A (ja) 車両用補機駆動装置
JP2703355B2 (ja) 内燃機関のバランサ装置
JP2653518B2 (ja) 内燃機関のバランサ装置
JPH03176289A (ja) 自動二輪車の動力伝達装置
JP2767589B2 (ja) Vベルト無段変速機
JP2994368B1 (ja) 車輌用エンジンの始動装置
JP2860391B2 (ja) トルクカム機構の摺動部材取付構造
JP2001355697A (ja) 無段変速機
JPH0680340B2 (ja) Vベルト式自動変速機
JPH04203324A (ja) 自動二輪車用エンジンのバランサー駆動とキック始動装置
JPS5918090Y2 (ja) オ−トバイのオイル供給装置
JPS589258B2 (ja) エンジン補機駆動装置
JPH0746619Y2 (ja) 二サイクルエンジンのクランク軸装置
JPS6334358A (ja) 内燃機関の始動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