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442Y1 - 유도 가열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442Y1
KR850000442Y1 KR2019810005104U KR810005104U KR850000442Y1 KR 850000442 Y1 KR850000442 Y1 KR 850000442Y1 KR 2019810005104 U KR2019810005104 U KR 2019810005104U KR 810005104 U KR810005104 U KR 810005104U KR 850000442 Y1 KR850000442 Y1 KR 850000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high frequency
container
switch
h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51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872U (ko
Inventor
다몽 이께다
Original Assignee
소니가 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가 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소니가 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0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8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4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도 가열 조리장치
제1도는 종래의 유도 가열조리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이 고안에 대한 유도가열조리장치의 회로도.
제3도는 마찬가지로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회로도.
이 고안은 비자성체 금속용기를 선택적으로 가열하며, 그 가열정지와 함께 위의 비자성금속용기의 가열 모드를 자성체 금속용기만 가열 가능한 모드에 리셋트할 수 있게 한 유도가열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도 가열조리장치로서, 종래부터 제1도에 표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의하면, 알루미늄이나 구리등으로 만들어진 통상의 비자성체 금속용기는, 이것이 유도부하로서 가볍기 때문에, 유도가열하는 데는 부적합한 부하이므로 가열을 행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이것을 도면에 대하여 설명하면, 1은 상용 전원측의 콘센트, 2는 전원스위치, 3은 워어킹코일, 4에 접속한 고주파 인버어터, 5는 자성체금속이지만 열용량이 작은 소물 부하를 검출하는 소물부하검지기, 6은 자성체 금속검지기 즉 알루미늄등의 금속부하를 배제하기 위한 검지기로, 이들 두 검지기(5), (6)의 출력의 유무에 의해, 콘트롤회로(7)를 작동하여, 구동회로(8)에 의해 위의 고주파 인버어터(3)를 구동할 수 있게 구성되고 있다.
떠라서, 위의 워어킹코일(4) 위에 절연판을 끼워 설치한 용기(9)는 워어킹코일(4)에 20 내지 100KHz의 고주파 신호로서 단속되는 구동신호를 공급하면, 그 워어킹코일(4)에 발생하는 고주파자계에 의하여, 용기(9)에 소용돌이 전류손이 생겨 가열되며, 조리용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 위 회로에 있어서, 부하인금속용기가 비자성체인 경우는, 위의 콘트롤회로(7)가 위의 고주파 인버어터(3)의 구동을 정지하여 이 용기를 부하로 사용함을 배제함과 동시에 나이프나 포오크등이 열용량의 작은 물체를 소물검출기(5)로 검출하여, 이것의 가열이 정지될 수 있게 위의 콘트롤회로(7)가 가동한다. 이런 자성체금속 검지기(6)를 갖춘 유도가열조리장치에서는, 알루미늄박과 같이 표피두께가 훨씬 엷은 비자성금속용기가 부하로서 무거울 경우에는 소물부하검지기 만으로서는 이것이 중부하로서 검지되어, 워어킹코일(4)에 의하여 이것이 녹을 때까지 가열되는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개중에는 이런 자성체 금속검지기(6)를 갖지 않으므로, 알루미늄이 가열되어 탈 수 있는 셋트도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런 자성체 금속검지기(6)를 갖춘 유도 가열조리기에서는 일반으로 시판되어 널리 실용되어 있는 18-8 스테인레스로 된 금속남비의 사용을 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은 비자성체금속으로 부하로서는 철 등에 비해좀 가볍고 알루미늄이나 구리등에 비해서는 훨씬 무거우나, 이것이 비자성체이기 때문에 가열을 할 수 없다.
또 남비국수나 솥 가운데 물을 넣거나, 처음부터 조미액이 들어 있는 알루미늄박 용기가 있으나, 물이나 조미액의 열용량이 훨씬 클때에는 그 용기가 녹는다든가 고온이 되는 걱정이 없는 것도 있다. 이러나 이와같은 유도 가열조리기로서는, 이들 용기의 가열을 할 수 없어서, 실용상 불편하다.
이에 대하여, 제1도에 표시하는 자성체 금속 검지기(6)와 콘트롤회로(7)과의 사이에, 18-8 위스테인레스 등으로 된 금속남비의 사용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선택 스위치수단을 접속하는 것이 고안된다. 그런데 그런 선택스위치수단을 세운 것은, 위의 18-8 스테인레스 남비의 가열 종료후, 그 선택스위치를 되돌리는 것을 잊으면, 다시 그 조리를 사용하는 경우, 잘못올려 놓은 비자성 금속용기를 과열하여 버리는 위험이 따른다.
이 고안은 이런 선택스위치수단을 세운 것에 있어서는, 특히, 이것을 워어킹코일에 대한 고주파전류의 정지후, 자성체금속검출모드에 자동복기되게 하여, 더욱 사용상의 안정성을 높인 유도가열조리장치를 제공한다.
제2도는 이 고안의 1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다. 이것이 제1도에 표시한 것과 다른곳은, 비자성체금속의 가열을 허용하는 스위치회로 A를 설치하여 이것을 전원투입시에 리셋트하는 회로를 부가한 점이다. 그림에 있어서, 10은 오아게이트 회로로, 한쪽 입력측에는 위의 자성체금속검지기(6)가 접속되고, 다른 한쪽의 입력측에는 인버어터(11)가 접속되어 있다. 12는 직류전원으로 이에는 저항(13)과 사이리스터(14)와를 맺는 직렬회로 및 저항(15)과 자기복기형의 푸쉬스위치(16)와 저항(17)을 맺는 직렬회로가 접속되어 위의 사이리스터(14)의 게이트는 위의 스위치(19)와 저항(17)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18은 위의 스위치(2)와 작류전원(12)와의 사이에 접속된 직류전원(12)용의 리셋트회로이다.
이런 회로에 있어서는, 위의 18-8 스테인레스등의 남비를 쓸 때에는, 위의 전원스위치 2를 닫은 다음, 다시 위의 푸쉬스위치(16)를 닫는다. 그러면, 직류전원(12)에서 사이리스터(14)의 게이트에 스위칭펄스가 입력되어, 이 사이리스터(14)가 다운 온(오르내림)한다.
이 때문에 사이리스터(14)의 애노우드측 전위가 저하하여, 인버어터(1)의 출력이 하이레벨로 된다. 따라서 자성체금속검지기(6)가 자성체검지신호를 출력하지 않아도, OR게이트회로(10)가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콘트롤회로(7)를 작동시킨다. 이리하여, 고주파 인버어터(3)와 구동회로(8)로서 저출력으로 초기구동된다.
이때, 위의 소물부하금속검지기(5)는 위의 18-8 스테인레스등이 중부하인 것을 검지하여 그 신호를 콘트롤회로(7)에 보내어, 위의 구동회로(8)로 하여금 고주파 인버어터(3)에 통상의 출력동작을시켜, 워어킹코일(4)에 큰 고주파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이리하여, 위의 18-8 스테인레스의 남비나 내부에 열용량이 큰 액체를 넣은 알루미늄박의 용량가열을 임의로 한다. 또 위와같은 가열조작이 종료한 경우에는, 위의 전원스위치(2)가 열려지므로, 위의 직류전원(12)과 전원 리셋트회로(18)를 끼워 리셋트되어, 사이리스터(14)에 대한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며, 인버어터(11)를 통한 상기 OR게이트회로(10)로부터의 신호출력이 없어진다. 따라서, 스위치회로 A는 자성체금속검지기(6) 만으로의 출력에 의해 동작하는 회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자성체금속검지기에는 관계없고, 비자성체금속의 가열이 임의로 되어, 그 비자성체의 가열 조작은 전원스위치의 오프조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되어, 전원투입시에는 꼭 자성체 금속검지기만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셋트되어 있다.
제3도는 이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회로다. 이것은 사용자의 푸쉬스위치조작에 의하여, 비자성체 금속의 가열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비자성체금속의 가열상태의 리셋트를 전원리셋트회로 B 및 소물부하 금속검지회로 C로서 하고자 하는데 있다. 위선, 스위치회로 A는 직류전원에 접속된 푸쉬스위치(16)와 저항(19) 및 이들의 접속 중간에 접속된 R-S 플립플롭회로(20)와, 이의 출력단자 Q 및 자성체검지기(6)에 접속된 OR게이트회로(10)로 되어있다. 또 전원리셋트회로 B는 전원스위치(2)에 접속된 직류전원장치(21)에, 제너다이오드(22) 및 트랜지스터(23)의 저항(24) 내지 (26)을 끼워 접속한 것이며, 그 트랜지스터(23)의 에미터는 다이오드(27)를 통하여 위의 R-S 플립플롭회로(20)의 리셋트입력단자 R에 접속되어 있다. 다시 소물부하금속검지회로 C는 소물부하금속검지기(5)의 출력측에, 인버어터(28), 콘덴서(29) 및 저항(30)으로부터되는 시정수회로 다이오드(31)를 접속하여, 이 다이오드(31)를 상기 R-S플립플롭회로(20)의 리셋트입력단자 R에 접속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로에 있어서는, 위선, 전원, 스위치(2)의 폐쇄에 의해 전원투입시는, 위의 직류전원장치(21)에서 제너다이오드(22)로써 정전압제어된 전류가 트랜지스터(23) 및 다이오드(27)을 통하여 R-S 플립플롭회로(20)의 리셋트 입력단자에 입력되어, 따라서, 그 출력단자 Q로 부터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지 못하며, 자성체금속검지기 6만이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알루미늄박 용기나 18-8 스테인레스의 남비등을 가열하는 경우는 위의 푸쉬스위치(16)를 조작하여, R-S 플립플롭회로를 셋트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또 한편 일단 가열된 상기 용기등의 부하를 제거한 경우는 소물부하 금속검지기(5)의 출력이 로우레벨로 되어, 이것이 인버어터(28)로서 하이레벨의 신호로서 위의 시정수회로에 입력되어 다이오드(31)를 통하여 상기 플립플롭(20)의 리셋트 입력단자 R에 입력된다.
이리하여 이 플립플롭회로(20)는 리셋트상태로 되어, 또 다시 알루미늄박의 용기등을 가열할 때에는, 상기 푸쉬스위치(16)를 재투입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조작은 좀 성가시나, 오과열 조작에 의한 위험을 확실히 회피한다. 그리고, 위의 회로는 이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일예이며, 이 밖에 여러가지 구성의 것이 고안되며, 비자성체금속이 가능한 모드에서는 경고의 의미로서의 표시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도록할 수 있다.
이상 말한대로, 이 고안에 의하면, 워어킹코일에 고주파전류를 공급하여, 피가열용기를 상기 워어킹코일 부터의 자속으로 가열조리 하는 유도 가열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가열용기가 강자성체금속인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자성체금속검지기 및 상기 피가열용기가 강자성체금속이 아닌 경우에 조작되는 스위치수단을 설치하여, 이 스위치수단의 조작시는 위의 자성체금속검지기의 출력여하에 불구하고, 위의 워어킹에 고주파전류를 공급함과 동시에 위의 고주파전류의 정지와 아울러, 위의 스위치수단을 자동티셋트할 수 있게 한 것에 의해, 자송금속체부하 및 비자성체금속부하를 써서 마음대로, 더욱 안전하게가열 할 수 있다. 도가열조리기를 제공하게 되어, 종래에 제한되었던 금속부하를 포함한 광범위의 금속부하의 유도가열이 가능하다.

Claims (1)

  1. 워킹코일에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고주파인버터와피가열용기의 강자성체금속여부를 검출하는 자성체금속검지기와 이의 출력으로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콘트롤 회로로 이루어져 상기 워킹코일로부터의 자속으로 피가열용기를 가열하여 조리하는 유도가열조리장치에 있어서, 스위치장치(A)를 설치하여, 푸쉬스위치(16)를 셋트시키므로써 피가열용기가 강자성체금속이 아닌 경우에도 상기 워킹코일에 고주파전류가 공급되고, 상기 고주파전류가 정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장치가 자동리셋트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장치.
KR2019810005104U 1980-07-19 1981-07-20 유도 가열 조리장치 KR85000044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0102255U JPS6213351Y2 (ko) 1980-07-19 1980-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872U KR830000872U (ko) 1983-09-22
KR850000442Y1 true KR850000442Y1 (ko) 1985-03-18

Family

ID=1432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5104U KR850000442Y1 (ko) 1980-07-19 1981-07-20 유도 가열 조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464553A (ko)
JP (1) JPS6213351Y2 (ko)
KR (1) KR8500004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8393A (ja) * 1983-06-10 1984-12-21 株式会社東芝 調理器
JPH0612699B2 (ja) * 1985-11-27 1994-02-16 株式会社東芝 誘導加熱調理器
JPS62180985A (ja) * 1986-02-05 1987-08-08 シャープ株式会社 高周波誘導加熱調理器
JPH0744061B2 (ja) * 1986-02-19 1995-05-15 ソニー株式会社 電磁調理器
CA2046851C (en) * 1990-08-06 1995-03-07 John M. Storm Apparatus and method of induction-hardening machine components with precise power output control
US5266765A (en) * 1990-08-06 1993-11-30 Contour Hardening, Inc. Apparatus and method of induction-hardening machine components with precise power output control
FR2672763B1 (fr) * 1991-02-08 1993-05-07 Bonnet Sa Dispositif inducteur, destine au chauffage par induction de recipients pour la cuisine et procede de commande d'un tel dispositif.
KR0160406B1 (ko) * 1993-12-15 1998-12-15 김광호 유도가열기능부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US7015438B2 (en) * 2002-01-25 2006-03-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duction heater
US6956188B2 (en) * 2002-12-06 2005-10-18 General Electric Company Induction heating coil with integrated resonant capacitor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and induction heating system employing the same
US9585202B2 (en) 2011-05-20 2017-02-28 Cooktek Induction Systems, Llc Induction-based food holding/warming system and method
ITTO20120896A1 (it) * 2012-10-15 2014-04-16 Indesit Co Spa Piano cottura a induzione
US10605464B2 (en) 2012-10-15 2020-03-31 Whirlpool Corporation Induction cooktop
US10356853B2 (en) 2016-08-29 2019-07-16 Cooktek Induction Systems, Llc Infrared temperature sensing in induction cooking systems
CN108289350B (zh) * 2017-01-09 2021-03-1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磁加热控制方法及电磁加热设备
FR3118389B1 (fr) * 2020-12-22 2023-06-23 Groupe Brandt Procédé de fonctionnement d’une table de cuisson à induction sur laquelle est posé un élément ferromagnétiqu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02175C2 (de) * 1979-01-20 1980-09-25 Audi Nsu Auto Union Ag, 7107 Neckarsulm Einrichtung zur Steuerung eines Wischermotors in einem Kraftfahrzeug
US4308443A (en) * 1979-05-01 1981-12-29 Rangaire Corporation Induction cook-top with improved touch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464553A (en) 1984-08-07
KR830000872U (ko) 1983-09-22
JPS5725496U (ko) 1982-02-09
JPS6213351Y2 (ko) 198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0442Y1 (ko) 유도 가열 조리장치
US4013859A (en) Induction cooking unit having cooking load sensing device and essentially zero stand-by power loss
US4764652A (en) Power control device for high-frequency induced heating cooker
KR890004502B1 (ko) 유도가열조리기
US4595814A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utilizing output energy for powering switching operation
JPS5848796Y2 (ja) 誘導加熱調理器における安全装置
US4314197A (en) Alternating current power control circuit
JP2901979B2 (ja) 電磁調理器
JPS6412492A (en) High-frequency heating device
JPS608394Y2 (ja) 誘導加熱調理器の小物負荷検知装置
US4323861A (en) Oscillator circuit for controlling the power level of a microwave oven
JP264337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0058250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964100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903689B2 (ja) 誘導加熱調理器とその専用負荷装置
JP2714168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920003585Y1 (ko) 전자조리기 안전보호회로
KR900005324Y1 (ko) 유도 가열 조리기
KR890001601Y1 (ko) 고주파 유도가열장치용 무부하가열 방지장치
JPS6111914Y2 (ko)
JPS5885293A (ja) 調理器
KR0139270Y1 (ko) 복합조리기의 용기감지장치
JPS6020876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0162409B1 (ko) 유도가열조리기
JPH04181684A (ja) 誘導加熱調理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