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419B1 - 농원예용 살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농원예용 살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419B1
KR840002419B1 KR7901434A KR790001434A KR840002419B1 KR 840002419 B1 KR840002419 B1 KR 840002419B1 KR 7901434 A KR7901434 A KR 7901434A KR 790001434 A KR790001434 A KR 790001434A KR 840002419 B1 KR840002419 B1 KR 840002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compound
ibp
effect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1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513A (ko
Inventor
세이고오 가와다
가쓰히도 히라가와
도시하루 호소이
이사오 찌요마루
유끼히로 와다세
Original Assignee
모찌쯔기 노부히코
구미아이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찌쯔기 노부히코, 구미아이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모찌쯔기 노부히코
Priority to KR7901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419B1/ko
Publication of KR83000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aryloxy- or arylthio-aliphatic or cyclo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or, e.g. phenoxyethylamine, phenylthio-acetonitrile, phenoxyacetone
    • A01N39/02Aryloxy-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농원예용 살균 조성물
본 발명은, 특히 도열병에 대하여 탁월한 효과를 갖는 농원예용 살균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벼의 도열병은 커다른 감수를 가져오므로, 그 방제대책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유기인재, 유기염소제, 항생물질제 등이 도열병 방제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예방적 효과와 치료적효과 중의 어느 한쪽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사용에 즈음해서는 그 목적에 용하여 나누어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또 동일구역에 대해 년간을 통하여 3∼4회의 살포가 필요하겠금 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같은 종래의 살균제가 갖는 결점을 극복하고, 도열병에 대한 예방적 효과의 양쪽을 겸비한 살균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1, 2, 5, 6-테트라히드로-4-피로로[3, 2, 1-i, j]키놀린-4-은(이하 화합물키놀린이라고 함)과 0, 0-디이소프로필-S-벤질티오포스페이트(이하 화합물 IBP라고 함)과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 발견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이룩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화합물 키놀린과 화합물와의 조합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원예용 살균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쪽의 성분으로서 쓰여지는 화합물 키놀린은, 식
Figure kpo00001
을 가지며, 도열병에 대하여 예방적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지만, 통상적인 살포농오로서는 치료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또 한쪽의 성분인 화합물 IBP는, 도열병에 대하여 치료졌으로는 높은 효과를 나타내지만, 예방적으로는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일반농가에서 사용할 경우 살포의 적기(適期)가 좁아 싫어하는 경향에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라, 화합물 키놀린과 화합물 IBP와를 혼합사용할 때에는, 예방효과와 치료효과의 양쪽이 증대하고, 잔효성(殘效性)도 길어지므로, 종래의 도열병 방제약제가 통상적으로 3, 4회의 살포를 필요로 하고 있는데 대하여 분열기(벼 가지 치기)로부터 동수기(穗
Figure kpo00002
期 : 이삭이 갖추어졌을 때)의 사이의 2회 살포로서 충분해지며, 더우기 살포시기의 설정도 용이해지므로, 농가로서는 노동력의 경감을 가져온다.
다시, 전기한 양 약제를 혼합사용할 때에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에 비교하여, 적은 살포농도로서 도열병에 대하여, 예방적 효과와 치료적 효과를 발휘한다고 하는 예상외의 결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약제사용량을 사용회수의 감소에 의하여 적게할 수가 있을뿐만 아니고, 1회의 사용량도 적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살균 조성물은, 전기한 유효성분에, 필요에 따라 담체, 희석제, 계면활성제, 분산제, 보조제등을 배합하는 것에 의해서 조제된다. 이들은, 분제, 수화제, 프로아플제, 입제등의 형태로 제재되며, 그대로 혹은 사용에 즈음하여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살포된다. 특히 입제형태의 것은 살포하기 쉬운 이점이 있으며, 또 프로아플제 형태의 것은 보존 안전성의 양호한 살포제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화합물 카놀린과 화합물 IBP와의 혼합비는 1:20∼4:1이 바람직하기는 1:10∼1:1이고 이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살균 조성물에, 보조성분으로서 0, 0-디메틸-0-(4-메탈리오-m-트릴)프소포로티오제이트, 3'-이소프로폭시-2-메틸벤즈아닐리드, 3'-이소프로폭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닐리드, 0-제2부틸페닐 메틸카아드메이트를 각각 가하는 것에 의해, 약해를 수반하는 일없이 더욱 방제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그밖에, 다시 다른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이 살균제로서는,
플라스토사이진 S, 폴리옥신, 카스가마이신, 바리다마이신 등의 항생물질.
테트라클로르이소프타토니트릴,
4, 5, 6, 7-테트라클로로 프라라이드,
펜타클로로니트로벤젠,
등의 함염소계 살균제,
염기성 염화동[CuCl23Cu(OH)2]등의 무기동제,
8-히드록시키놀린 동(銅)등의 유기동제,
메탄아루손산 철암모늄 등의 유기비소제,
S-벤질에틸페닐 포스포르 티오레이트,
0-에틸-, -디페닐 포스포로 디티오레이트,
등의 유기 인제(燐劑)외에,
N-(트리콜로르 메틸티오)-4-시클로헥센-1, 2-디카트복시이미드,
디이소프로필-1,3-디티오란-2-이리데마로 네이드,
메틸-1-(부틸카르 바모일)-2-벤즈이미다졸 카아바메이트,
1, 2-비스-(3-에톡 시카르보닐-2-티오우레이드)벤젠,
1, 2,-비스-(3-메톡시카르보닐-2-티오우레이드)벤젠,
3-히드록시-5-메틸이소옥사졸칼륨,
2-클로르-6-매록시-4-[트리클로르메틸]-피리딘,
1-이소프로필 카르 바모일-3-(3, 5-디클로르페닐)히단토인 등을 예기할 수가 있다.
또, 살충제로서는,
0, 0-디에틸-0-(2-이소프로필-4-메틸-6-피리미디닐)포스포로티오에이드,
2-클로로-1-(2', 4, 5-트리클로로페닐)비닐디메틸포스페이트,
2-클로로-1-(2, 4-디클로로페닐)비닐디메틸포스페이트,
2-클로로-1-(2, 4-트리클로로페닐)비닐디에틸포스페이트,
2, 2-디클로로비닐 디메틸포스페이트,
4-시아노페닐에틸 페닐 포스포노티오네이트,
0, 0-디메틸-4-메틸티오-m-트릴포스포로티오네이트,
S-[1,2-디에톡시카르보닐에틸]-0,0-디메틸포스포로 디티오레이트,
4-니트로페닐 에틸페닐포스포노 티오네이트,
0,S-디메틸-N-아세틸포스포스포로아미드리오에이드,
0, 0-디메틸-3, 5, 6-트리클로로-2-피리딜포스포로 티오에이드 등의 유기인(有機燦) 살충제,
1-나트틸메틸카아바메이트,
3-트릴 N-메틸카아바메이트,
3, 4-키시릴 N-메틸카아바메이트,
2-이소프로필 페닐 N-메틸카아바메이트 등의 카아바메이트계 살충 제외에,
S, S-[2-(디메틸아로노)트리메틸렌]비스(티오카아바메이트),
N-4(4-클로로-0-트릴)-N,
N-디메틸포름 아미딘 등을 예기할 수 있다.
다시 제초로서는,
P-니트로페닐-2, 4, 6-트리클로로페닐에테르,
S-(4-클로로 벤질) N, N-디에틸티올카아바메이트,
N-벤질아미노푸린,
2-클로로-2',6'-디에틸-N-(부톡시메틸)아세트아닐리드,
S-에틸헥사 히드로-1H-아제핀-1-카아보티오에이트 등을 예기할 수 있다.
상기한 화합물은 어느 것이든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약간을 들겠으나,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부로 되어 있는 것은 중량부를 나타냄.
실시예 1. 분제
화합물 키놀린 0.5부, 화합물 IBP0.8부, 탈크와 크레이의 균동혼합물 98.7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분쇄하여 분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2. 수화제
화합물 키놀린 20부, 화합물 IBP10부, 규조토 65부, 도데실 벤젠설픈산소오다 3부, 리그닌설픈산 소오다 2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분쇄하여 수화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3. 입제
화합물 키놀린 3부, 화합물 IBP4부, 화이트카아본 3부, 벤토나이드 20부 탈크 46부, 크레이 20부, 라우릴황산 소오다 1부, 리그닌설픈산 소오다 3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분쇄하여 소량의 물을 가하여 반죽하여 섞고, 조립(造粒)하고, 건조시켜 입제를 조재하였다.
실시예 4. 프로아플 제재
다음의 조성물 혼합물을 호모믹서(특수기화공업(주) 제TYPE HU-1)로서 20분간 저어섞는 것에 따라, 프로아플 제재를 조재하였다.
화합물 키놀린 25부
화합물 25부
에틸렌 그리콜 모노부틸에테르 4부
콜로이드성 함수 규산 알루미늄 미세분말 1부
개면활성제(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놀,
알킬벤젠 설픈산 소오다의 혼합물) 10부
물 35부
실시예 6. 수화제
화합물 키놀린 25부, 화합물 IBP 25부, 3'-이소프로폭시-2-메틸-벤즈아닐리드 25부, 규조로 8중량부 화이트카아본(카아프렉스 80) 12부, 알킬벤젠설픈산 소오다 3부, 알킬나프탈렌설픈산염 2부를 균일하게 혼합분쇄하고, 수화재를 조재하였다.
실시예 7. 수화제
화합물 키놀린 15부, 화합물 IBP 15부, 3'-이소프로폭시-2-트리플루오르메틸-벤즈아닐리드 15부, 규조로 50부, 도데실 벤젠설픈산 소오다 3부, 리그닌설픈산 소오다 2부를 균일하게 혼합분쇄하여 수화제를 조재하였다.
실시예 7. 유제
화합물 키놀린 12.5, 화합물 IBP 12.5부, 0-제2부틸페닐-메틸카아바메이트, 125부, 키시롤 49.5부, 소르폴(등록상표명) 13부를 혼합용해하고, 유제를 조재하였다.
실시예 8. 유제
화합물 키놀린 12.5부, 화합물 IBP 12.5부, 0, 0-디메틸-0-(4-메틸티오-m-트릴)포스포로티오네이트 12.5부, 키시를 49.5부, 소르볼(등록상표명) 13부를 혼합용해하여 유제를 조재하였다.
다음에 본 발명의 농원예용 설균 조성물의 효과를 시험예에 의하여 나타냄.
시험예 1. 벼도열병에 대한 치료효과 시험
직경 9의 백자포트에 벼의 종자(품종 : 아이찌 아사히)를 20알 파종하고, 벼가 4∼5엽기(葉期)가 되었을 때에, 도열병에 걸려 있는 잎에서 체취한 도열병균의 포자현탁액(현미경 150배 1시야(視野) 50개)를 1시험 화분당 5CC분무 접종하였다. 접종후는 즉시 25℃ 포화습도의 접종실에 넣고 1일간 유지한후, 온실내로 운반해 가서 약재의 살포를 행하였다.
약제의 살포는 희석한 각 약제를 터언테이블과 스푸레이건을 사용하여 1미터의 거리에서 5시험 화분당 20CC 살포하는 방법에 따랐다. 살포역을 바람으로 말린 후, 제차 시험 화분을 25℃ 포화습도의 접종실에 넣고, 5일후에 10엽 당의 병반수(病班數)를 헤아리고, 다음 식에 의하여 치료효과(방제가(防際價))를 산출하였다.
Figure kpo00003
결과를 제1표에 나타냄.
[표 1]
Figure kpo00004
시험예 2. 벼 도열병에 대한 예방효과 시험
약제살포 3일 후에 접종하였다. 그 외는 시험에 1에 준한다. 결과를 제2표에 나타냄.
[표 2]
Figure kpo00005
시험예 3. 벼 도열병 포장(圃場)시험
수전에 벼의 모(품종 : 농림 29호)를 이삭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재배하였다. 구제(區制)는 10㎡으로 하고, 3반복(反復)으로 하였다. 약제의 살포는, 제3표에 나타낸 시기에 있어서, 수화제는 소정 농도로 희석하고, 잎도열병에 대해서는, 120ℓ/10a로 하고, 이삭도열병에 대해서는, 150ℓ/10를 배낭식의 분무기로서 살포하는 것에 의하여 행하였다. 분제는 잎도열병에 대해서는 3kg/10a로 하고, 이삭도열병에 대해서는, 4kg/10a를 미젯트더스퍼로서 살포하고,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잎도열병에 대해서는 (1978)7월 25일에, 1구 40주에 대하여 병반(病班)면적을 조사하였다. 또 이삭도열병에 대해서는, 9월 26일에, 1구 20주를 벼베기하여, 다음 식에 따라서 그 피해도를 구하였다.
Figure kpo00006
[표 3]
Figure kpo00007
시험예 4. 벼문고병에 대한 예방효과 시험
직경 9cm의 백자포트에 수전토양을 충전하고 물을 가하여 수전상태로 하고, 벼의 모(품종 : 금남풍)을 한 폭씨 15주를 심어 재배하고, 이 수도(水稻)가 6엽기(葉期)에 달했을 때에 실시예 5 및 6에 준하여 조재한 수화재를 소정 농도가 되게 물로 희석하고, 1포트당 50㎖을 살포하고, 바람으로 건조한 후 연면 포테이토 베지에서 배양하였다. 문고병균(직경 9mm의 원형배양물)을 수도의 잎자루(葉
Figure kpo00008
)에 접종하여 온실내에 두고, 8일 후에 수도의 잎자루 부분에 형성된 문고병의 병반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본 시험은 1구 3포트의 결과인 것이다.
Figure kpo00009
[표 4]
Figure kpo00010
시험예 5. 저항성 반지목충(半支日科星蟲)에대한 살포시험
직경 15cm의 지성(磁性)포트에 재배한 벼가 뻗어난 높이 약 20cm의 수은(품종 : 금남풍)에 실시예 7 및 8에 준하여 조제한 각 유제를 물에 희석하여 소정 종도로 조제하고, 1포트당 20ℓ를 살포하였다. 바람으로 건조한 후 벼를 첫번째 줄기 갈라진 부분에서 베어서, 물을 넣은 관병(管甁)에 꽂아서 케이지로서 덮고, 이안에 실내에서 사육한 카아바메이트제 저항성 반지목충(雄)성충을 1케이지당 20마리를 놓아 주었다. 24시간후에 살아남은 충수 및 죽은 충수를 조사하여 치사율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1화합물당 3포트 공시(供試)하고 그 평균값으로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결과를 제5표에 나타냄.
[표 5]
Figure kpo00011

Claims (1)

  1. 유효 성분으로서, 0, 0-디이소프로필-S-벤질티오포스페이트와 1, 2, 5, 6-테트라히드로-4H-피로로[3, 2, 1-i, j]키놀린-4-온과올 1:10-1:1의 혼합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원예용 살균조성물.
KR7901434A 1979-05-04 1979-05-04 농원예용 살균 조성물 KR840002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434A KR840002419B1 (ko) 1979-05-04 1979-05-04 농원예용 살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434A KR840002419B1 (ko) 1979-05-04 1979-05-04 농원예용 살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513A KR830000513A (ko) 1983-04-16
KR840002419B1 true KR840002419B1 (ko) 1984-12-27

Family

ID=1921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1434A KR840002419B1 (ko) 1979-05-04 1979-05-04 농원예용 살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4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513A (ko) 198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94156T3 (es) Agentes herbicidas que contienen benzoil-pirazoles y antidotos.
EP0110564B1 (en) Nematocidal and insecticid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control of the said pests
KR840002419B1 (ko) 농원예용 살균 조성물
WO2023087410A1 (zh) 一种含有甲氨基阿维菌素B2a苯甲酸盐的杀虫组合物
JP2832482B2 (ja) 殺虫殺菌剤組成物
KR830001316B1 (ko) 농예원용 살균성 조성물
JPS6368505A (ja) 農業用殺虫殺菌組成物
JPH0768087B2 (ja) 除草剤組成物
US4066760A (en)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fungicidal compositions
JPH0347106A (ja) 農業用殺虫殺菌組成物
JPS6121444B2 (ko)
JPS6372610A (ja) 農業用殺虫殺菌組成物
US4696947A (en) Nematocide
JPS5829762B2 (ja) 農園芸用殺菌性組成物
JPH03284601A (ja) 農園芸用殺菌組成物
JPS6017763B2 (ja) イモチ病防除用殺菌組成物
JPS6335604B2 (ko)
KR810000544B1 (ko) 농원예용 살균조성물
KR950002850B1 (ko) 제초 조성물
JP4676626B2 (ja) 疫病及びべと病防除用殺菌剤
JPS5948806B2 (ja) 農園芸用殺菌剤
JPS5840922B2 (ja) 殺虫剤組成物
JPS58116406A (ja) 農業用殺菌組成物
JPH04154704A (ja) 農園芸用殺菌剤組成物
JPS5828845B2 (ja) 農園芸用殺菌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