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603B1 - 펀치프레스의 피가공물 협지장치 - Google Patents

펀치프레스의 피가공물 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603B1
KR840000603B1 KR1019800004974A KR800004974A KR840000603B1 KR 840000603 B1 KR840000603 B1 KR 840000603B1 KR 1019800004974 A KR1019800004974 A KR 1019800004974A KR 800004974 A KR800004974 A KR 800004974A KR 840000603 B1 KR840000603 B1 KR 840000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workpiece
clamp base
bas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066A (ko
Inventor
시게오 가사이
쓰네오 아이사와
기즈 가와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마다
아마다 미치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마다, 아마다 미치아끼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마다
Priority to KR1019800004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603B1/ko
Publication of KR830004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펀치프레스의 피가공물 협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타렛트 펀치 프레스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는 종단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좌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좌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펀치프레스와 공작기계의 피가공물 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협지장치를 이동할 때, 크램프 베이스(Clamping Base)가 다이스(Dies) 위에 올려 놓여졌을 때 크램프 베이스가 상방향으로 거의 평행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피가공물 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우선 타렛트 펀치프레스를 예시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타렛트 펀치프레스 이외의 다른 펀치프레스에도 응용되어지고 있을뿐만 아니라 레이저 공작기(Laser working machine)에도 응용되어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렛트 펀칭 프레스기와 같이 여러개의 펀치와 다이스를 갖는 프레스기의 피가공물 협지장치는 그 협지장치가 이동할때 크램프 베이스가 다이스 위에 올려놓이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종래의 이와같은 공작기계의 피가공물 협지장치는 크램프 베이스가 회전중심을 가지고 다이스 위에 올려놓여질 때, 협지장치 전체가 요동하거나, 단순히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전자의 경우 크램프 베이스의 지점은 회전운동을 하기때문에 기계적 무리를 없지만, 정밀도 유지에는 문제점이 많았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전자와 같이 정밀도 유지에는 별 문제점이 없지만 협지 장치의 이동속도가 빠르면 기계적 무리가 발생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크램프 베이스가 다이스 위에 올려놓여질 때 크램프 베이스 전체가 거의 상방향으로 평행이동하도록 구성하여 크램프 베이스의 지점에 기계적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한 펀치프레스의 피가공물 협지장치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스가공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펀치프레스의 피가공물 협지장치를 제공케되며, 그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조원가가 저렴한 경제적인 펀치프레스의 피가공물 협지장치를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제1도는 수치제어장치(도시에는 생략됨)에 의하여 모든 제어를 받게되는 판상의 피가공물(W)에 펀칭가공을 하게 되는 타렛트 펀치프레스(1)로써, 이 타렛트 펀치프레스(1)에 회전자재하게 장착된 타렛트 장치(3)에는 여러종류의 펀치 및 다이스(도시에는 생략됨)가 장착되어 있다. 전기 피가공물(W)을 지지하는 지지테이블(5)의 상면에는 피가공물(W)을 원활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자수의 볼(도시에는 생략됨)이 배설되어 있다.
지지테이블(5)의 전후측벽에는 타렛트 펀치프레스(1)의 프레임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신된 2본의 가이드레일(7)가 장착되어 있어서, 이 가이드레일(7)에는 지지테이블(5)의 길이방향과 직향하게 연신된 케리어 가이드(9)의 양단부가 이동 자재하게 지승되어 있다.
전기 케리어가이드(9)에는 이 케리어가이드(9)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습동자재한 케리지(11)가 있어서, 이 케리지(11)에 피강공물(W)을 협지시키는 피가공물 협지장치(13)가 장착되어져 있다.
피가공물 협지장치(13)에 의하여 피가공물(W)을 협지시킨후 캐리어가이드(9)를 가이드 레일(7)에 따라 이동시킴과 동시에 케리지(11)가 케리어 가이드(9)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이동함으로써 피작업물(W)은 지지테이블(5)의 수평상면을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타렛트 장치(3)에 장착된 펀치 및 다이스에 의하여 펀칭가공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테이블(5)의 위면에 장착된 볼은 가이드레일(7)에 따라 이동되고, 케리어 가이드(9)의 간섭을 받지 않고 지지테이블(5)의 위를 출몰자재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전술한 피가공물 협지장치(13)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리지(11)에 형성된 꼬리부(15)에 있는 홈부(17)에 의하여 습동자재하게 제합된 협지본체(19)와, 이협지본체(19)의 하단에 요동자재하게 협지된 크램프 베이스(21) 및 크램프로써 구성되어 있다.
크램프 베이스(21)는 포오크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이 크램프 베이스(21)의 내측에 전기 크램프(23)가 핀(25)에 의하여 회동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크램프 베이스(21)의 기단부는 구면(球面) 축수(27), 접시모양 스프링(29)으로 된 가이드롯드(31)가 입설되어 있고, 이 가이드 롯드(31)는 크램프 본체(19)에 고정된 스토로오크 베아링과 같은 안내부(33)에 유도되면서 승강운동을 하게 된다.
전술한 가이드 롯드(31) 상단부에는 볼트(35)가 있어서 연결판(37)의 일측면부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크램프 베이스(21)의 길이 방향 거의 중앙부 양측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볼트(39)가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제(41) 및 더블넛트(43)에 의하여 식설되어 있다.
이 가이드 볼트(39)의 선단은 연결판(37)에 형성된 안내공(45)에 의하여 안내되어지고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41)는 더블넛트(430의 조정에 따라 연결판(37)과 크램프 베이스(21)가 서로 평행이 되었을 때에 충분히 플리롯드가 걸리겠금되는 것이다. 또한 안내부(33)에 있는 스프링(47)은 스트로오크 베아링과 같이 안내부(33)의 자중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크램프 베이스(21) 위에는 두개의 단면이
Figure kpo00001
자 모양 브라켓(49)이 볼트(51)에 의하여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고 이 브라켓(49) 위에 에어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유체압 작동장치(53)가 설치되어 있다.
유체압 작동장치(53)는 중공상의 실린더(55)와 이 실린더(55)내에 습동자재하게 내장된 피스톤(57)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 피스톤(57)과 일체로 된 피스톤 롯드(59)의 선단에 크램프(23)의 기단부(23a)와 판상의 탄성부재(61)를 연결하였고 실린더(55)의 저부와 크램프(23)의 상면과의 사이에 해지용 코일상의 탄성부재(63)를 두고 있다.
또한 전술한 실린더(55)의 측벽에는 볼트(65)에 의하여
Figure kpo00002
자 모양의 앵글(67) 일단부를 취부하여 이 앵글(67)의 타단부에 형성된 안내공(69)에는 협지본체(19)에 식설된 안내볼트(71)의 선단부가 안내되겠금 감삽되어 있다.
가이드 볼트(71)에는 더블넛트(73)와 코일상의 탄성부재(75)가 있어서 이 탄성부재(75)는 상기 더블넛트(73)에 의하여 플리하중이 걸리게 되므로 이 플리로오드는 크램프 베이스(21), 크램퍼(23), 유체압작동장치(53), 연결판(37) 등의 자중을 받아 크램프 베이스(21)의 크램프면(21a), 다이스(77)의 윗면(77a)과 동일면을 이루게된다.
또산 앵글(67)은 상기플리 하중이 걸리는 기구의 미세조정을 할 수 있게 되어 있고 피스톤(57)내에 있는 유통로(79)는 실린더(55)내에 압력유체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것으로 크램프 본체(19)에 있는 나사(81)는 크램프 베이스(21)와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다.
또 크램프 핸들(83)은 케리지(11)에 대해서 크램프 본체(19)를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는 핸들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제2도와 같이 피가공물(W)을 협지한 상태에서 피가공물 협지장치(13)가 이동하여 크램프 베이스(21)가 다이스(77)위에 올려놓여 질때 크램프 베이스(21)는 순간적으로 구명축수(27)를 중심으로 하여 위로 회동하게 되고 크램프 베이스(21)의 회동에 의하여 가이드 볼트(39)와 가이드볼트(39)의 둘레에 있는 탄성부재(41)가 압축되어지고 이로 인하여 가이드볼트(39) 및 더블넛트(43)가 위로 압상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판(37)의 가이드 롯드(31)가 위로 압상하기 때문에 크램프 베이스(21)의 기단부도 위로 올라가게 되고, 크램프 베이스(21)의 기단부가 위로 올라간 량과 전부측(前部側)이 압상되는 량이 동일하게 되었을 때 크램프 베이스(21)는 평행을 유지하게 되므로, 탄성부재(41)는 근사한 평행이동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탄성부재(41)의 플리부하는 상술한 평행이동의 시간을 좌우하게 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피가공물(W)협지조작은 실린더(55)내의 압력실에 유통로(79)에 의하여 작동압유체를 공급하면 피스톤(57)이 위로 압상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피스톤 롯드(59)가 탄성부재(63), 연결된 크램퍼(23)의 기단부(23a)를 위로 올려주게 된다.
이에 따라서 크램퍼923)가 핀(25)을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므로 크램프 베이스(21)와의 중간에 피가공물(W)을 협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 피가공물(W)을 해지할 때는 실린더(55)의 압력실내에 공급되어 있던 작동압유체를 배출하면 해지용 탄성부재(63)의 탄력에 의하여 크램퍼(23)의 기단부(23a)가 아래로 압하하며, 크램퍼(23)는 핀(25)을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피가공물(W)은 해지되게 되는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 설명중 제1실시예와 동일구성 요소는 동일부호를 부치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에서의 크램프 벼이스(21)의 길이방향 거이 중앙부 양측에 링크부재(85)를 설착하고 링크부재(85)의 일단을 핀(87)으로 회동자재하게 연결하고 링크부재(85)의 타단부와 가이드롯드(31)의 상단부를 핀(89), 볼트(35) 및 판상의 탄성부재(91)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 실예의 경우 크램프 베이스(21)의 선단부가 다이스(77) 위에 올라올 때는 크램프 베이스 (21)는 순간적으로 구면축수(27)의 중심을 요동하게 된다.
그래서 크램프 베이스(21)가 요동하게 되면 링크부재(85)위로 압상하게 되므로 판상으로 탄성부재(91)가 변형되며, 이 변형된 탄성부재(91)에 의하여 핀(89)을 중심으로 하여 가이드 롯드(31)가 위로 당겨 올라가고 이로 인하여 크램프 베이스(21)의 후단부가 인상되어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위로 근사적으로 평행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같은 부호를 부치고 그 설명을 생략키로 한다.
제3실시예에서 크램프 베이스(21)의 길이방향 거이 중앙부와 전술한 가이드 롯드(31)의 상단부는 단면
Figure kpo00003
형의 탄성부재(93) 및 볼트(35)로써 연결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크램프 베이스(21)가 다이스(77)위에 올라오게 되면 순간적으로 구면축수(27)의 중심은 위로 요동하게 되고, 크램프 베이스(21)의 요동에 따라 단면이
Figure kpo00004
형의 탄성부재(93)는 변형이 되지만 이 탄성부재는 탄성력 때문에 원형태로 복귀할려고 하므로 그 탄성력에 의하여 가이드 롯드(31)는 위로 인상하게 된다.
따라서 크램프 베이스(21)의 후단부가 위로 인상되고 크램프 베이스(21)가 거이 평행이동을 하게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크램프 베이스(21) 길이방향 적당한 위치에 가이드 롯드(31)의 상단부와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연결시켰으므로 크램프 베이스(21)가 다이스(77)위를 올라올 경우에도 크램프 베이스(21) 전체는 상방향으로 거이 평행이동하게 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때문에 크램프 베이스(21)의 요동지점에 기계적 부하가 생기지 않게되므로 안정하고, 확실한 협지를 할 수 있게 되고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지극히 간단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보수유지가 용이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크램프 본체(19)에 지지된 크램프 베이스(21)와 크램퍼(23) 사이에 피가공물(W)을 삽입하고, 크램퍼(23)의 기단부에 연결된 유에압작동장치(53)를 작동시켜 피가공물(W)을 협지하는 협지장치(13)에 있어서, 크램프 베이스(21)의 기단부상에 크램프본체(19)에 형성된 안내부(33)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가이드롯드(31)를 요동자재하게 입설하여, 크램프 베이스(21)의 길이 방향 일정위치에 링크부재(85)의 일단을 회동자재하게 연결하고 이 링크부재(85)의 타단부와 가이롯드(31)의 상단부를 탄성부재(91)로써 연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프레스의 피가공물 협지장치.
KR1019800004974A 1980-12-27 1980-12-27 펀치프레스의 피가공물 협지장치 KR840000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974A KR840000603B1 (ko) 1980-12-27 1980-12-27 펀치프레스의 피가공물 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974A KR840000603B1 (ko) 1980-12-27 1980-12-27 펀치프레스의 피가공물 협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066A KR830004066A (ko) 1983-07-06
KR840000603B1 true KR840000603B1 (ko) 1984-04-28

Family

ID=1921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974A KR840000603B1 (ko) 1980-12-27 1980-12-27 펀치프레스의 피가공물 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60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066A (ko) 198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81021A (ko) 프레스 장치
KR840000603B1 (ko) 펀치프레스의 피가공물 협지장치
JPH0263899A (ja) 製図機械等のためのマーカー駆動装置
KR890003805B1 (ko) 프레스 브레이크
KR920008588B1 (ko) 전단기(剪斷機)
KR100313587B1 (ko)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
EP3685967A1 (en) Workpiece conveyance device
KR100693269B1 (ko) 반도체 제조용 프레스 금형장치
CN208556453U (zh) 一种焊接治具
JP3279906B2 (ja) ダイセット装置
CN217572805U (zh) 多用途加载的动力平台
CN216097360U (zh) 一种快速压飞爪设备
CN210651033U (zh) 一种安装孔生成模具
KR860002016B1 (ko) 공작물 크램프 장치
JP2545861Y2 (ja) クランプ装置
CN218702208U (zh) 一种新型伺服调整的气动打标装置
CN220005551U (zh) 一种便于精确定位的模具夹具
US4932300A (en) Control mechanism for adjusting the punch tool carriage stroke of a punch press
CN216576280U (zh) 一种点焊设备用压料机构
CN213410048U (zh) 一种数控冲床用阵列式模具的安装结构
CN220739195U (zh) 一种农机轮毂冲孔上料机构
CN213728734U (zh) 一种移动工作台弹性连接的压纹机
JP4149556B2 (ja) 板材加工機
JPS6321936Y2 (ko)
CA2029340C (en) Die including slide c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