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506Y1 - 조립식 건축용 기둥자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용 기둥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506Y1
KR840000506Y1 KR2019820004311U KR820004311U KR840000506Y1 KR 840000506 Y1 KR840000506 Y1 KR 840000506Y1 KR 2019820004311 U KR2019820004311 U KR 2019820004311U KR 820004311 U KR820004311 U KR 820004311U KR 840000506 Y1 KR840000506 Y1 KR 840000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column
cornea
formwor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4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도
Original Assignee
황의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의도 filed Critical 황의도
Priority to KR2019820004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5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5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건축용 기둥자재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건축용 기둥자재의 각종 실시 예시도.
제5도는 보의 예시도.
제6도는 기둥과 보의 평면적 접속 시공 예시도.
제7도는 기둥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둥본체 2 : 보 지지용 각막대
3 : 보 지지용 판막대 4 : 보
5 : 보 받침판 6,6',7 : 볼트 체결용 구멍
9 : 기둥본체(1)의 배근 구멍 10 : 기둥본체(1)하단부의 돌출핀
본 고안은 기둥을 조립식 건재화환 건축재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조립식 건축재는 어떤 구조물 예를들면 빌딩등에 있어서 내 외벽 판재 및 바닥판에 한정되어 있으며 기둥과 보는 전과 다름없이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멘트 회죽물을 양생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거푸집을 이용하는 양생방법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거푸집을 설치하고 양생후 철거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작업상 위험부담이 컸고 또한 양생된 구조물의 표면애 매끄럽지 못했으며, 시멘트 회죽물이 양생되기 까지에는 적어도 며칠간을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공사 진척도가 매우 느렸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기둥과 보를 일반 벽판재처럼 조립식 건재화 함으로써 공기를 단축시키고 거푸집 사용시의 여러 결점을 해소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근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기둥의 각종 변형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형, T자형, ㄱ자형 및 1 (또는 -자형)자형이 있다. 기둥의 형식은 보를 어떤식으로 걸치느냐의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들면 네개의 보가 각 보간이 직각을 이루도록 기둥의 사면방향으로 걸쳐지는 경우 여기에 사용할 기둥은 +자형 기둥(제1도)이고 보가 기둥의 어느 한면을 제외한 나머지 3면에 걸쳐 각 그 면방향으로 얹힐 경우에 사용할 기둥은 T자형 기둥(제2도)이며, 사각 기둥에서 사면 가운데 두면만을 선택해서 그 면방향으로 보를 걸칠 경우에는 ㄱ자형 또는 1자형 기둥이 적용된다. +자형 기둥을 제외한 T자형, ㄱ자형 또는 1자형 기둥은 모두 1개 이상의 판막내(3),(3')를 각 막대(2)와 함께소유한다. 각막대(2)는 모두 기둥본체(1)의 상단면 모서리부에서 기둥본체(1)에 일련체로 형성되며, 판막대(3),(3')는 일측 모서리와 같은 면쪽의 다른 모서리를 연결한 상태의 것으로서 보(4)가 걸쳐지지 않는 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판막대(3),(3')가 설치된쪽 받침판(5)은 생략된다.
개개의 각막대(2)와 판막대(3),(3')의 윗끝부근에는 그면을 가로 지르는 볼트 끼움용 구멍(6),(6')이 한개 또는 두개 이상 뚫려 있으며 받침판(5)에는 가장자리 부근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와 같은 구멍(7)이 뚫려 있다. 이 구멍(6),(6'),(7)들은 모두 기둥 위에 얹힌 보(4)의 양단측부(4a)와 저부(4b)의 당해 위치에 뚫린 같은 목적, 크기의 구멍(8)과 맞춘뒤에 볼트를 가로 꿰고 너트로 조여서 기둥과 보를 결속 시공하는게 본연의 역활이다.
받침판(5)은 기둥 본체(1)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의 돌출폭 정도에 따라서 기둥 본체(1)의 단면적이 좌우된다. 다시 말해서 층수가 낮은 건물일 경우의 기둥은 고층 건물용 기둥에 비해 내압 강도가 낮게 책정되는게 일반적이며 따라서 기둥 본체(1)의 단면적도 그 내압강도에 상응하여 작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둥본체(1)의 단면적은 작으나 걸칠 보(4)만큼은 통일된 규격의 것을 사용한다면 기둥본체(1)의 단면적이 좁은만큼 이를 감안하여 보(4)가 충분히 걸칠 수 있을 정도록 받침판(5)이 확장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반면에 기둥의 내압강도가 큰 것이 요구될 경우에는 단면적이 상대적을 커지게 될 것은 당연하고 역시 통일 규격의 보(4)를 걸친다면 받침판(5)의 돌출폭은 앞서 말한 경우와 반대로 작아도 된다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 한가지 우려되는 것은 기둥 본체(1)의 단면적이 작을수록 각막대(2) 또는 판막대(3),(3')의 두께가 얇아져서 그 자체의 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은각막대(2) 또는 판막대(3),(3')를 기둥본체(1)의 상단면에서 바깥쪽으로 튀어 나오게 ㄴ자형으로 변형하거나 또는 면자체에서 인출 형성하는 방법등으로 쉽게 해결할 수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기둥은 또, 그 형태에 관계없이 기둥본체(1)의 위에서 아랫끝까지 기둥본체(1)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각형 또는 원형 모양의 배근 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배근 구멍(9)은 통상 철골을 배근한 후에 거푸집을 치고 시멘트 회죽물을 부어 양생하는 과정에 있어서 거푸집이 이루는 공간부 역할을 하는데 선 배근, 후 거푸집 설치의 경우처럼 배근을 먼저 실시한 다음에 본 고안의 기둥을 배근한 것이 끼워지도록 시공한다. 이 같은 본 고안의 기둥을 사용하게 되면 기둥 그 자체가 바로 종래의 거푸집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기둥을 세우는 과정에 있어서의 통상의 거푸집은 불필요하며 양생후 흔히 볼 수 있는 기둥 표면의 거친 모습은 기둥 생산 당시 매끈하고 아름다운 그대로이고 거푸집 동원이 생략되는 만큼 양생시간, 거푸집 설치에 드는 노력등이 현저하게 줄어들므로 공기단축과 함께 경제적 시공이란 당초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기둥 본체(1)의 아랫끝 부분은 기둥 본체(1) 보다 다소 넓은 단면적을 같도록 플랜지형태로 하여 설치후의 안정감을 주고 또한 기초 배근과의 연결에 필요한 철근으로 된 돌출핀(10)이 옆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초용 기둥 이외의 기둥 예를 들면, 다층 건물에 있어서 2층 이상의 위치에 적용될 기둥으로서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둥과 기둥 사이에 바닥판이 생략되고 단순히 기둥끼리만 연결된 경우의 변경 실시예에 있어서는 아랫쪽 기둥의 상단부와 윗쪽 기둥의 하단부에 같은 형태로 된 볼트 체결부(11)를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각면에 형성하여 채울 수도 있다. 즉 하측기둥(12)의 상단부의 측면에 적당한 길이로 ""형상의 요홈(13)을 횡으로 각각 형성하고 각 요홈(13)의 상면에서 하측기둥(12)의 상면을 관통하는 장공(14)을 각각 천설한다. 또한 상측 기둥(15)의 하단부의 측면에 적당한 길이로 "" 형상의 요홈(16)을 횡으로 각각 형성하고 각 요홈(16)의 하면에서 상측기둥(15)의 하면을 관통하는 장공(17)을 각각 천설한 후 하측기둥(12)의 각 통공(14)에 볼트(18)의 일측을 삽착시키고 상측기둥(15)의 통공(17)을 볼트(18)의 타측에 각각 맞추어 삽착시킨 후 요홈(13)(16)을 통해서 너트로 볼트의 상하측을 각각 조이면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기둥과 보 및 단순한 기둥끼리의 조립식 연결법에 따르면 시공에 있어서 거푸집과, 거푸집을 짜맞추는데 필요한 자재, 이를테면 강선이나 못 같은 것 등이 모두 생략되고 또한 거푸집 및 그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므로서 공기가 단축됨은 물론 건축비가 현저하게 절감되며, 양생후의 기둥 표면이 매끈하고 아름답다.

Claims (1)

  1.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심부를 관통한 배근용 구멍(9)이 형성되고, 상단면의 각 모서리부에는 보를 얹어 고정할 각막대(2)와 판막대(3),(3')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또한 각막대(2)와 각막대사이 또는 판막대(3)(3')나 각막대(2) 사이 또는 판막대와 판막대 사이에 기둥의 상면에 평행한 보받침판(5)이 형성되고 각막대(2)와 판막대(3)(3')및 보 받침판(5)의 적절한 곳에 볼트 체결용 구멍(6)(6'),(7)이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조립식 건축용 기둥자재.
KR2019820004311U 1982-06-02 1982-06-02 조립식 건축용 기둥자재 KR840000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311U KR840000506Y1 (ko) 1982-06-02 1982-06-02 조립식 건축용 기둥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311U KR840000506Y1 (ko) 1982-06-02 1982-06-02 조립식 건축용 기둥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506Y1 true KR840000506Y1 (ko) 1984-03-28

Family

ID=1922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4311U KR840000506Y1 (ko) 1982-06-02 1982-06-02 조립식 건축용 기둥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5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9234A (en) Prefabricated wall section
US4727701A (en) Building panel
US6230465B1 (en) Precast concrete structural modules
CN209620330U (zh) 一种免拆模板混凝土剪力墙结构建筑
US6988347B2 (en) Metal stud frame element
CN209194694U (zh) 一种钢框架-混凝土剪力墙结构建筑
KR840000506Y1 (ko) 조립식 건축용 기둥자재
JPS6282147A (ja) プレストレス合成桁の製造方法
JPS6223968Y2 (ko)
JPH04161542A (ja) 柱と梁の接合工法及びその構造
US2107334A (en) Partition
KR200281359Y1 (ko) 건축물용 거푸집
PL311954A1 (en) Rigid cross-braced reinforcement combined with boarding
JPH0340176B2 (ko)
DE812596C (de) Deckenkonstruktion
AT164109B (de) Eisenbetondecke
JPS6095034A (ja) 基礎ブロツク
JPH03107047A (ja) スラブ構築工法
DE702343C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cken aus Eisenbetonplatten
KR960006904Y1 (ko) 복합 철골·프리캐스트 콘크리트
JPS6215368Y2 (ko)
JP3027210B2 (ja) 外壁パネル
DE2003316A1 (de) Herstellung von Bauwerken
JPH01154936A (ja) Pc板複合スラブ
DE687483C (de) Im Trockenbau herzustellende Decke aus Traegern und Deckplat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