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359Y1 - 건축물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359Y1
KR200281359Y1 KR2020020010346U KR20020010346U KR200281359Y1 KR 200281359 Y1 KR200281359 Y1 KR 200281359Y1 KR 2020020010346 U KR2020020010346 U KR 2020020010346U KR 20020010346 U KR20020010346 U KR 20020010346U KR 200281359 Y1 KR200281359 Y1 KR 200281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building
present
adjusting means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식
김재관
Original Assignee
김광식
김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식, 김재관 filed Critical 김광식
Priority to KR2020020010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3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359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용 거푸집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대략 사각틀체 형상을 이루며 양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바디, 상기 체결홈을 통해 결합되는 복수의 쐐기편에 의해 상호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는 건축물용 거푸집에 있어서, 바디 하부에는 바닥면에 대해 수평 수직도를 일치시키기 위한 조절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바디를 조절수단 즉, 조절나사와 너트를 통해 정확한 수평 수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시멘트 몰탈의 충진을 얻게되는 내,외벽에 경사가 발생되지 않게되어 이를 통해 형성된 건축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용 거푸집{A WALL MOULD OF THE CEMENT CONCRETE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물에서 내벽면이나 외벽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철근의 배근작업과 시멘트 몰탈의 충진 작업을 위하여 설치되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주택등의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施工)함에 있어서는, 초기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 거푸집의 내부와 바닥면에 필요한 철근의 배근작업과 시멘트 몰탈을 충진시켜서 건축물 축조(築造)하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초기에 상층의 바닥 콘크리트를 구축하고, 이 콘크리트면위에 실내의 크기 및 수평을 맞추기 위한 먹줄 표시선을 표시한다.
그리고 각재 및 합판등을 먹줄 표시선을 따라 수평 및 수직으로 설치하고 이를 고정수단 예컨대 못등을 통해 고정 설치한 다음 각재에 맞추어 미리 짜여진 수평 및 수직의 거푸집을 설치하였다.
도 1에는 이러한 거푸집의 종래 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는, 바디(body;10)를 구비하는 바, 이 바디(10)는 전면판(11)과 이 전면판(11)과 좌,우 측판(12,13) 그리고 상,하판(14,15)으로 이루어져 대략 사각틀체 형상을 이룬다.
바디(10)의 외면에는 즉, 좌,우 측판(12,13) 및 상,하판(14,15)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홈(h)이 복수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갖는 거푸집의 바디(10)를 서로 나란하게 배열한 상태에서 바디(10)의 가장자리면을 따라 형성된 즉, 좌,우 측판(12,13)과 상,하판(14,15)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홈(h)을 통해 복수의 쐐기편(30)을 체결함으로써 바디(10) 상호간의 고정을 행하고, 이렇게 고정된 바디(10)들을 소정간격으로 배열 함으로써 상호간의 사이에 공간부를 마련하여 이에 철근 배근작업과 시멘트 몰탈을 충진하여 내벽이나 외벽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거푸집에 있어서는, 바디(10)들을 수직으로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미세하나마 상호간의 수직도(垂直度)가 일치되지 않게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같이 바디(10) 상호간의 수직도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완성된 내,외벽이 전체적으로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완성됨으써 건물 축조의 불량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고층의 건물을 축조함에 있어서 더욱 심각하게 대두된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디 상호간의 수직도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호한 내,외벽면을 얻을 수 있는 건축물용 거푸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의 정면도.
도 2는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종래 거푸집의 정면도.
도 4는 종래 사용예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바디 11 : 전면판
12,13 : 좌,우 측판 14,15 : 상,하판
100 : 조절나사 200 : 너트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용 거푸집은, 대략 사각틀체 형상을 이루며 양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바디, 상기 결합홈을 통해 결합되는 복수의 쐐기편에 의해 상호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는 건축물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바디 하부에는 바닥면에 대해 수평 수직도를 일치시키기 위한 조절수단이 마련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바디의 상부로 부터 하부를 관통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조절나사와; 상기 조절나사의 외주면에 체결되며, 조절나사의 상,하 이송거리를 한정시키는 너트;로 이루어진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용 거푸집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동일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바디(body;10)를 구비하는 바, 이 바디(10)는 전면판(11)과 이 전면판(11)과 좌,우 측판(12,13) 그리고 상,하판(14,15)으로 이루어져 대략 사각틀체 형상을 이룬다.
바디(10)의 외면에는 즉, 좌,우 측판(12,13) 및 상,하판(14,15)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홈(h)이 복수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갖는 거푸집의 바디(10)를 서로 나란하게 배열한 상태에서 바디(10)의 가장자리면을 따라 형성된 즉, 좌,우 측판(12,13)과 상,하판(14,15)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홈(h)을 통해 복수의 쐐기편(30)을 체결함으로써 바디(10) 상호간의 고정을 행하고, 이렇게 고정된 바디(10)들을 소정간격으로 배열 함으로써 상호간의 사이에 공간부를 마련하여 이에 철근 배근작업과 시멘트 몰탈을 충진하여 내벽이나 외벽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거푸집에 있어서 바디(10)의 하부에는 바닥면과 바디(10)간의 수평 수직도를 일치시키기 위한 조절수단이 마련된다.
이러한 조절수단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조절나사(100)와 너트(200)로 이루어진다.
조절나사(100)는 전술한 바디(10)의 하부에 즉, 하판(15)상에 적어도 2곳 이상 복수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디(10)의 하판(15)을 관통하여 바닥면에 접촉되도록관통 체결된다.
너트(200)는 조절나사(100)의 상,하 이송거리를 한정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부측 바디(10)의 하판(15)을 관통한 조절나사(100)의 외주면에 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은, 소정높이의 내,외벽을 얻기 위하여 바디(10)를 바닥면상에 위치시킨다.
이때 바디(10)의 수평 수직도가 일치되지 않게되면, 조절수단 즉, 조절나사(100)를 풀고 조이는 동작을 통해 바디(10)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게된다.
이와같이 조절나사(100)를 통해 바디(10)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수직도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너트(200)를 체결하게 되면, 수직도가 일치된채 견고히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후공정 즉, 시멘트 몰탈의 충진 작업을 통해 양호한 내,외벽을 얻을 수 있게된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은, 바디(10)를 바닥면상에 설치할때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디(10)간을 상,하로 배열 설치할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한 것이다. 예를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용 거푸집에 의하면, 바디를 조절수단 즉, 조절나사와 너트를 통해 정확한 수평 수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시멘트 몰탈의 충진을 얻게되는 내,외벽에 경사가 발생되지 않게되어 이를 통해 형성된 건축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대략 사각틀체 형상을 이루며 양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바디, 상기 체결홈을 통해 결합되는 복수의 쐐기편에 의해 상호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는 건축물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바디 하부에는 바닥면에 대해 수평 수직도를 일치시키기 위한 조절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바디의 상부로 부터 하부를 관통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조절나사와;
    상기 조절나사의 외주면에 체결되며, 조절나사의 상,하 이송거리를 한정시키는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KR2020020010346U 2002-04-06 2002-04-06 건축물용 거푸집 KR200281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346U KR200281359Y1 (ko) 2002-04-06 2002-04-06 건축물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346U KR200281359Y1 (ko) 2002-04-06 2002-04-06 건축물용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359Y1 true KR200281359Y1 (ko) 2002-07-13

Family

ID=7307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346U KR200281359Y1 (ko) 2002-04-06 2002-04-06 건축물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35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303B1 (ko) 2006-07-06 2007-06-21 오경근 거푸집 높이조절장치
KR100900575B1 (ko) * 2008-08-08 2009-06-02 이은수 다기능 거푸집
KR200459960Y1 (ko) * 2009-10-24 2012-04-25 (주)블루폼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303B1 (ko) 2006-07-06 2007-06-21 오경근 거푸집 높이조절장치
KR100900575B1 (ko) * 2008-08-08 2009-06-02 이은수 다기능 거푸집
KR200459960Y1 (ko) * 2009-10-24 2012-04-25 (주)블루폼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2045B1 (en) Rapid forming system for tilt-up pre-cast concrete wall panels (tilt panel screed system-tipss)
KR100907112B1 (ko) 건축용 프리캐스트 블록
US8955282B2 (en) Soloarmar construction engineering system
JP2000136632A (ja) 生コンクリ―ト打設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型枠装置
CA2208401C (en) Building panels
JP2001512198A5 (ko)
EP1412595B1 (en) Cladding system
KR200281359Y1 (ko) 건축물용 거푸집
US20080196336A1 (en) Fiber reinforced concrete exterior wall system
EP1726728B1 (en) Method of erecting a partition wall integrated with a concrete floor
KR200205908Y1 (ko)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구조
JP3060292B2 (ja) 臥梁用ブロックとこの臥梁用ブロックを用いたブロック建築の施工方法
KR200201615Y1 (ko) 건축물용 거푸집
KR200201617Y1 (ko) 건축물용 거푸집
KR102622097B1 (ko) 영구 거푸집용 프레임 및 영구 거푸집
CN220203062U (zh) 一种分体装配式墙板连接件及连接结构
KR200189886Y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 수평 받침구
JP2004124485A (ja) 型枠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使用した建築構造物に対する床面や梁材等の造成工法
CN212896947U (zh) 一种预制墙板固定装置及预制墙体
KR102318781B1 (ko) 경량 기포 콘크리트 중공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와 시공 방법
KR102406336B1 (ko) 벽체 고정용 프레임 보강재 구조체
KR102231973B1 (ko) 세라믹 외장재의 결합장치
KR200219474Y1 (ko) 건축물용 거푸집
KR840000506Y1 (ko) 조립식 건축용 기둥자재
KR200215301Y1 (ko) 건축물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