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615Y1 - 건축물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거푸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1615Y1 KR200201615Y1 KR2020000017569U KR20000017569U KR200201615Y1 KR 200201615 Y1 KR200201615 Y1 KR 200201615Y1 KR 2020000017569 U KR2020000017569 U KR 2020000017569U KR 20000017569 U KR20000017569 U KR 20000017569U KR 200201615 Y1 KR200201615 Y1 KR 20020161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work
- coupling groove
- flange
- edge surface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용 거푸집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대략 사각틀체 형상을 이루며 양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바디, 이 바디의 가장자리면을 따라 서로 대면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대응되는 측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된 플랜지로 이루어지며, 체결홈과 결합홈을 통해 결합되는 복수의 쐐기편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건축물용 거푸집에 있어서, 바디의 가장자리면에 상기 플랜지와 동일 높이로 복수의 돌기를 연장형성하여, 쐐기편을 통해 상호 고정되는 본체가 상호 면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호간의 어긋남이 방지되도록 한 것으로서, 바디의 가장자리면을 따라 플랜지와 동일 높이로 형성된 돌기들에 의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바디들을 면접촉 시킨채 쐐기편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된다.
따라서 바디간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게되어 철근 배근과 시멘트 몰탈의 충진후 거푸집을 제거하게 되면 양호한 상태의 내,외벽을 완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건축물에서 내벽면이나 외벽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철근의 배근작업과 시멘트 몰탈의 충진 작업을 위하여 설치되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주택등의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施工)함에 있어서는, 초기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 거푸집의 내부와 바닥면에 필요한 철근의 배근작업과 시멘트 몰탈을 충진시켜서 건축물 축조(築造)하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초기에 상층의 바닥 콘크리트를 구축하고, 이 콘크리트면위에 실내의 크기 및 수평을 맞추기 위한 먹줄 표시선을 표시한다.
그리고 각재 및 합판등을 먹줄 표시선을 따라 수평 및 수직으로 설치하고 이를 고정수단 예컨대 못등을 통해 고정 설치한 다음 각재에 맞추어 미리 짜여진 수평 및 수직의 거푸집을 설치하였다.
도 1에는 이러한 거푸집의 종래 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는, 바디(body;10)를 구비하는 바, 이 바디(10)는 전면판(11)과 이 전면판(11)과 좌,우 측판(12,13) 그리고 상,하판(14,15)으로 이루어져 대략 사각틀체 형상을 이룬다.
이때 상판(14)은 천정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합판(미도시)을 결합시킬 경우에는 필요치 않게된다.
바디(10)의 외면에는 즉, 좌,우 측판(12,13) 및 상,하판(14,15)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홈(h)이 복수 형성된다.
바디(10)의 가장자리면을 따라서는 즉, 좌,우 측판(12,13)과 상,하판(14,15)상에는 서로 대면하도록 플랜지(flange;20)가 형성되는 바, 이 플랜지(20)의 대응되는 면에는 소정깊이로 체결홈(21)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갖는 거푸집의 바디(10)를 도 2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서로 나란하게 배열하거나 상,하로 배열 한 상태에서 바디(10)의 가장자리면을 따라 형성된 즉, 좌,우 측판(12,13)과 상,하판(14,15)의 일측면과 플랜지(20)에 형성된 결합홈(h)과 체결홈(21)을 통해 복수의 쐐기편(30)을 체결함으로써 바디(10) 상호간의 고정을 행하고, 이렇게 고정된 바디(10)들을 소정간격으로 배열 함으로써 상호간의 사이에 공간부를 마련하여 이에 철근 배근작업과 시멘트 몰탈을 충진하여 내벽이나 외벽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거푸집에 있어서는, 도 2에 가상선으로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바디(10)들을 서로 나란하게 위치 시킨후 쐐기편(30)을 통해 위치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바디(10)간의 어긋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바디(10)를 나란하게 배열할 때 얇은 두께로 형성된 플랜지(20) 부분이 서로 어긋나게 위치된 상태에서 쐐기편(30)을 통해 고정되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바디(10)간의 어긋남이 발생될 경우에는 시멘트 몰탈을 충진하여 내,외벽을 완성한 상태에서 고른 벽면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이를 평탄화 시키기 위한 후 작업공정이 수반되는등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쐐기편을 통해 바디간을 고정할 때 어긋남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양호한 내,외벽을 얻을 수 있는 건축물용 거푸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축물용 거푸집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거푸집간의 결합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용 거푸집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들의 결합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바디 11 : 전면판
12,13 : 좌,우 측판 14,15 : 상,하판
20 : 플랜지 21 : 체결홈
30 : 쐐기편 100 : 돌기
h : 결합홈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용 거푸집은, 대략 사각틀체 형상을 이루며 양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바디, 이 바디의 가장자리면을 따라 서로 대면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대응되는 측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된 플랜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홈과 결합홈을 통해 결합되는 복수의 쐐기편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건축물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면에 상기 플랜지와 동일 높이로 복수의 돌기를 연장 형성하여, 상기 쐐기편을 통해 상호 고정되는 본체가 상호 면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호간의 어긋남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돌기들은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면으로 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용 거푸집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들의 결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동일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바디(body;10)를 구비하는 바, 이 바디(10)는 전면판(11)과 이 전면판(11)과 좌,우 측판(12,13) 그리고 상,하판(14,15)으로 이루어져 대략 사각틀체 형상을 이룬다.
이때 상판(14)은 천정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합판(미도시)을 결합시킬 경우에는 필요치 않게된다.
바디(10)의 외면에는 즉, 좌,우 측판(12,13) 및 상,하판(14,15)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홈(h)이 복수 형성된다.
바디(10)의 가장자리면을 따라서는 즉, 좌,우 측판(12,13)과 상,하판(14,15)상에는 서로 대면하도록 플랜지(flange;20)가 형성되는 바, 이 플랜지(20)의 대응되는 면에는 소정깊이로 체결홈(21)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갖는 거푸집의 바디(10)를 도 2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서로 나란하게 배열하거나 상,하로 배열 한 상태에서 바디(10)의 가장자리면을 따라 형성된 즉, 좌,우 측판(12,13)과 상,하판(14,15)의 일측면과 플랜지(20)에 형성된 결합홈(h)과 체결홈(21)을 통해 복수의 쐐기편(30)을 체결함으로써 바디(10) 상호간의 고정을 행하고, 이렇게 고정된 바디(10)들을 소정간격으로 배열 함으로써 상호간의 사이에 공간부를 마련하여 이에 철근 배근작업과 시멘트 몰탈을 충진하여 내벽이나 외벽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거푸집에 있어서는 쐐기편(30)을 통해 결합할 때 얇은 두께를 갖는 플랜지(20)간에 어긋남이 발생되어 바디(10)들이 서로 어긋난 채 결합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바디(10)의 가장자리면을 따라서는, 즉, 좌,우 측판(12,13)과 상,하판(14,15)의 측면을 따라서는 복수의 돌기(100)가 플랜지(20)의 돌출 높이와 동일 높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100)는 좌,우 측판(12,13) 및 상,하판(14,15)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 예컨대 딥 드로잉 가공 등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바디(10)들을 서로 겹친채 나란하게 배열한 상태에서 서로간의 약간의 어긋남이 발생된채 쐐기편(30)을 통해 고정될 때 상호간의 대응되는 면에 형성된 돌기(100)들이 서로 면접촉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쐐기편(30)의 체결시 어긋남이 보상된채 즉, 서로 정확한 면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어긋남이 보상된채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철근 배근과 시멘트 몰탈을 충진한후, 거푸집을 제거하게 되면 양호한 내,외벽을 완성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한 것이다. 예를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용 거푸집에 의하면, 바디의 가장자리면을 따라 플랜지와 동일 높이로 형성된 돌기들에 의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바디들을 면접촉 시킨채 쐐기편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된다.
따라서 바디간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게되어 철근 배근과 시멘트 몰탈의 충진후 거푸집을 제거하게 되면 양호한 상태의 내,외벽을 완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 대략 사각틀체 형상을 이루며 양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바디, 이 바디의 가장자리면을 따라 서로 대면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대응되는 측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된 플랜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홈과 결합홈을 통해 결합되는 복수의 쐐기편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건축물용 거푸집에 있어서,상기 바디의 가장자리면에 상기 플랜지와 동일 높이로 복수의 돌기를 연장 형성하여,상기 쐐기편을 통해 상호 고정되는 본체가 상호 면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호간의 어긋남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면으로 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7569U KR200201615Y1 (ko) | 2000-06-13 | 2000-06-13 | 건축물용 거푸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7569U KR200201615Y1 (ko) | 2000-06-13 | 2000-06-13 | 건축물용 거푸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1615Y1 true KR200201615Y1 (ko) | 2000-11-01 |
Family
ID=1966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7569U KR200201615Y1 (ko) | 2000-06-13 | 2000-06-13 | 건축물용 거푸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1615Y1 (ko) |
-
2000
- 2000-06-13 KR KR2020000017569U patent/KR20020161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07704B2 (en) | Interlocking mortarless load bearing building block system | |
KR100907112B1 (ko) | 건축용 프리캐스트 블록 | |
KR200481707Y1 (ko) |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 |
US8955282B2 (en) | Soloarmar construction engineering system | |
RU2006147229A (ru) | Стро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ооружения плоских конструкций | |
KR101598692B1 (ko) | 경량블럭을 이용한 단열과 방음기능이 개선된 벽체구조 | |
CN215888729U (zh) | 一种装配式建筑内墙隔板 | |
KR200201615Y1 (ko) | 건축물용 거푸집 | |
KR100701497B1 (ko) | 건축용 무모르타르 블럭 | |
CZ2011646A3 (cs) | Stavebnicový systém pro presnou výstavbu | |
US2099077A (en) | Building construction | |
KR101376232B1 (ko) | 조립식 건축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 |
KR20140112175A (ko) | 형틀 일체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CN114319839A (zh) | 地下室模板搭建方法 | |
RU2422603C1 (ru) |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перекрытия | |
KR200281359Y1 (ko) | 건축물용 거푸집 | |
RU94601U1 (ru) |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 |
US20060185283A1 (en) |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 |
JP2016196788A (ja) | 柱と梁との接合構造 | |
JP6444444B2 (ja) | 建築用ブロック、建築用ブロック複合体及び建築用のフレーム | |
KR102622097B1 (ko) | 영구 거푸집용 프레임 및 영구 거푸집 | |
JPH0419135Y2 (ko) | ||
KR200415136Y1 (ko) | 건축용 블럭 조립체 | |
WO2009053909A2 (en) | Modular system and process for providing reinforced-concrete insulated walls. | |
JPH0470444A (ja) | コンクリート建築物の隔壁、及びコンクリート建築物の施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1013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