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249Y1 - 옹벽용 식생블록 - Google Patents

옹벽용 식생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249Y1
KR840000249Y1 KR2019830002516U KR830002516U KR840000249Y1 KR 840000249 Y1 KR840000249 Y1 KR 840000249Y1 KR 2019830002516 U KR2019830002516 U KR 2019830002516U KR 830002516 U KR830002516 U KR 830002516U KR 840000249 Y1 KR840000249 Y1 KR 840000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
block
soil
sam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2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기아끼 구사다께
Original Assignee
스기아끼 구사다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기아끼 구사다께 filed Critical 스기아끼 구사다께
Priority to KR2019830002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2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2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옹벽용 식생블록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옹벽의 구축상태를 표시한 일부 절결 정면도.
제2도는 동 배면도.
제3도는 기본 블록의 정면도.
제4도는 동 평면도.
제5도는 동 측면도.
제6도는 동 배면도.
제7도는 동 사시도.
제8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9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10도는 맞대기 블록의 정면도.
제11도는 동 좌측면도.
제12도는 동 우측면도.
제13도는 동 사시도.
제14도는 천판블록의 정면도.
제15도는 동 평면도.
제16도는 동 사시도.
제17도는 제14도의 A-A선 단면도.
제18도는 기본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19도는 동 평면도.
제20도는 동 배면도.
제21도는 동 측면도.
제22도는 제18도의 A-A선 단면도.
제23도는 기복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24도는 동 평면도.
제25도는 동 배면도.
제26도는 동 측면도.
제27도는 제23도의 A-A선 단면도.
제28도는 기본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29도는 동 평면도.
제30도는 동 배면도.
제31도는 동 측면도.
제32도는 제28도의 A-A선 단면도.
제33도는 기본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34도는 동 평면도.
제35도는 동 배면도.
제36도는 동 측면도.
제37도는 제33도의 A-A선 단면도.
제38도는 기본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39도는 동 평면도.
제40도는 동 배면도.
제41도는 동 측면도.
제42도는 제38도의 A-A선 단면도.
제43도는 기본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44도는 동 평면도.
제45도는 동 배면도.
제46도는 동 측면도.
제47도는 제43도의 A-A선 단면도.
제48도는 기본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49도는 동 평면도.
제50도는 동 배면도.
제51도는 동 측면도.
제52도는 제48도의 A-A선 단면도.
제53도는 기본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54도는 동 평면도.
제55도는 동 배면도.
제56도는 동 측면도.
제57도는 제53도의 A-A선 단면도.
제58도는 기본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59도는 동 평면도.
제60도는 동 측면도.
제61도는 제58도의 A-A선 단면도.
제62도는 곡선부에 기본 블록을 조적하는 상태를 표시한 요부 절결 배면도.
제63도는 기본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64도는 동 평면도.
제65도는 동 배면도.
제66도는 동 측면도.
제67도는 제63도의 A-A선 단면도.
제68도는 기본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69도는 동 평면도.
제70도는 동 배면도.
제71도는 동 측면도.
제72도는 제68도의 A-A선 단면도.
제73도는 기본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74도는 동 평면도.
제75도는 동 배면도.
제76도는 동 측면도.
제77도는 제73도의 A-A선 단면도.
제78도는 기본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79도는 동 평면도.
제80도는 제78도의 A-A선 단면도.
제81도는 맞대기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82도는 동 평면도.
제83도는 동 저면도.
제84도는 동 좌측면도.
제85도는 동 우측면도.
제86도는 다른형인 맞대기블록의 우측면도.
제87도는 제81도의 A-A선 단면도.
제88도는 구축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일부 절결 정면도.
제89도는 제88도의 A-A선 단면도.
제90도는 제68도 내지 제72도에 표시한 기본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구축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결 정면도.
제91도는 제90도의 A-A선 단면도.
제92도 및 제93도는 다른 구축방법의 실시예를 표시한 일부 절결 정면도.
제94도는 가로폭을 넓게 형성한 식생블록의 정면도.
제95도는 동 배면도.
제96도는 동 평면도.
제97도는 동 측면도.
제98도는 제94도의 A-A선 단면도.
제99도는 키가 높고 뒤가 긴 식생블록의 정면도.
제100도는 동 측면도.
제101도는 동 평면도.
제102도는 동 배면도.
제103도는 키가 높고 뒤가 긴 식생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104도는 동 배면도.
제105도는 동 평면도.
제106도는 동 측면도.
제107도는 버팀부의 후단에 토양채우기용 또는 담수용의 처올라간 벽을 설치한 식생블록의 정면도.
제108도는 동 배면도.
제109도는 동 평면도.
제110도는 동 측면도.
제111도는 버팀의 키가 높고 뒤가 긴 식생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구축한 상태를 표시한 일부 절결 정면도.
제112도는 동 배면도.
제113도는 제111도의 A-A선 단면도.
제114도는 가로폭이 넓은 식생블록을 사용하여 구축한 옹벽을 표시한 일부 절결 정면도.
제115도는 본 고안 식생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116도는 동 평면도.
제117도는 동 측면도.
제118도는 제117도의 A-A선 단면도.
제119도는 동 배면도.
제120도는 식생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121도는 동 평면도.
제122도는 동 측면도.
제123도는 동 배면도.
제124도는 제122도의 A-A선 단면도.
제125도는 식생블록의 다른 실시에를 표시한 측면도.
제126도는 옹벽구축 상태를 표시한 일부 절결 정면도.
제127도는 동 배면도.
제128도는 제126도의 A-A선 단면도.
제129도는 식생블록의 다른 실시에를 표시한 정면도.
제130도는 동 평면도.
제131도는 동 측면도.
제132도는 식생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133도는 동 측면도.
제134도는 식생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135도는 동 배면도.
제136도는 동 평면도.
제137도는 식생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138도는 동 측면도.
제139도는 동 평면도.
제140도는 옹벽구축 상태를 표시한 일부 절결 정면도.
제141도는 동 배면도.
제142도는 옹벽구축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일부 절결 정면도.
제143도는 제140도의 A-A선 단면도.
제144도는 식생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측면도.
제145도는 식생블록의 다른 실시에를 표시한 평면도.
제146도는 식생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측면도.
제147도는 동 조적상태를 표시한 일부 종단 정면도.
본 고안은 비탈면에 떼붙이기 혹은 식수하는 옹벽을 시공할 때 사용하는 구축을 블록에 관한 것으로, 자립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부벽을 구성하는 양측벽간에 토양을 채우는 요소를 일체로 연설해서 형성한 콘크리이트 재제 또는 합성수지 재제의 기본블록을 한개 건너로 열설하고 각각의 양측벽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조적함과 동시에 토양채우기 요소에 토양을 충전하면서 순차옹벽을 구축하고, 옹벽의 양측부에는 기본 블록이 사이가 떨어져 있으므로 그 측벽면에 맞대기블록을 개삽해서 조적하고, 옹벽의 최상단에 있어서는 기본블록이 교호로 돌출하므로 인접하는 기본블록에 충전한 토양과의 비탈면을 일치시키기 위해 치올린 굴곡 가장자리를 일체로 형성한 덮개형상의 천판블록을, 돌출된 기본블록의 상면에 조적하고 또한 그 천판 블록상에 성토하는 것으로서, 혹은 하단에 배설한 기본블록의 서로 인접한 측벽상에 상단의 기본블록을 연설해서 조적하고, 혹은 하단에 배설한 기본블럭의 중앙부에 설치한 측벽상에 상단의 기본블록을 연설해서 조적하고, 그래서, 각 기본블록에 형성된 토양채우기 요소에 토양을 충전하면서 순차 옹벽을 구측하는 것이며, 또한 토양채우기 요소에 충전한 토양의 비탈면을 두들겨 다지고, 그 비탈면에 매트형상의 흙덩이에 심은 잔디를 대꽂이 등을 사용해서 고착하여 떼붙이기 하고, 또는 망사 형상의 시이트에 종자와 비료를 뿌려서 이 시이트를 비탈면에 장설하고, 또는 종자와 비료를 혼합해서 스프레이건으로 비탈면에 뿜어서 심고, 블록자체의 자중과 기본블록이, 퇴적하는 토양의 중량이 서로 합처져서 옹벽 배후의 토압과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옹벽블록이며, 비탈면의 식생녹화를 도모하므로서 조성 개발후의 산림등의 녹화를 회복하고 이와 함께 소요자재를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 콘크리이트 블록을 사용해서 옹벽을 구축하는 경우에 궤쌓기, 골쌓기를 불문하고 블록을 현속하게 조적하므로 옹벽전체가 강체를 형성하고, 이 때문에 국부적인 집중토압이 가해지거나, 옹벽 하부의 지반이 융기 혹은 침하되거나 하면 같은 분포의 하중의 균형이 무너저서 해당부분에 균열이 생기거나, 극심한 경우에는 옹벽이 도괴하는 일이 있으며, 또 지하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옹벽의 배부에 조약돌 등 값비싼 뒤채움재를 타설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옹벽부분은 주위의 자연배경과는 어울리지 않아 살풍경이 되며, 조화가 되지않고, 측벽의 블록이 필요하여 자재비가 고액이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결점을 제거한 것으로 그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술하면 제3도 내지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단면이 대략형상으로서 길쭉한 구형상으로 형성된 토양채우기 요소(1)의 양측에, 토양채우기 요소(1)의 가로폭의 대략 1/2의 길이를 가진 단면이 대략형상의 측벽(2)(2)을 일체로 입설하고, 각 측벽(2)의 상단면에 요부(3)를 형성한 기본블록(4)을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표면을 약간 굴착해서 기초조약돌 및 기초콘크리이트를 타설하고 기초 콘크리이트의 상면에 기본블록(4)을 한개 건너로 열설하고, 각각의 토양채우기 요소(1)…에 토양(5)…을 충전하여 최하단을 설치한다. 다음에 인접하는 기본블록(4)(4)의 대향된 측벽(2)(2)위에 다른 기본블록(4)의 측벽(2)(2)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조적하고, 각각의 토양채우기 요소(1)…에 토양(5)…을 충전하여 제2단째를 설치한다.
이하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다단에 걸처서 기본블록(4)을 구축하고, 옹벽의 양측에 있어서 상하의 기본블록(4)(4)사이에 제10도 내지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본블록(4)의 측벽(2)과 동일형상의 맞대기블록(6)을 삽입해서 안정을 도모하고, 토양(5)을 두들겨 다저서, 잔디를 식생한 매트모양의 흙덩이를 토양(5)위에 재치하고 대꽂이(도시하지 않음)등을 사용해서 고정하도 떼붙이기를 하는 것으로서, 토양(5)에 관목이나 초화를 식생하여도 된다. 최상단에 조적할 기본블록(4)…은 최하단에 고정한 기본블록(4)…과 마찬가지로 그 상단이 지그재그 혀상으로 형성되어 요철이 생기므로 토양채우기 요소(1)…에 충전한 토양(5)…의 비탈면이 고르지 않게 되므로 돌출된 각 기본블록(4)의 측벽(2)(2)위에 제14도 내지 제1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단면이형상으로 처올린 굴곡연(7)을 형성한 길쭉한 구형의 덮개모양의 천판블록(8)을 조적하고, 그 천판블록(8)위에 성토(9)해서 그 성토(9)의 비탈면을 오목하게 된 각 기본블록(4)의 토양채우기 요소(1)에 충전한 토양(5)의 비탈면과 일치시켜, 각각의 비탈면에 상기와 같이 하여 떼붙이기한다. 기본블록(4)에 형성된 토양채우기 요소(1)의 후단에 보강리브를 겸하는 처올라간 벽(1')을 입석하고, 제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토양채우기 요소(1)내에 지하수를 유지하여 일조로 인한 잔디의 고사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각 측벽(2)에 형성된 요부(3)는 인접되는 토양(5)…의 연속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구축방법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8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기본블록(4)에 토양(5)를 충전하여 열설하여 인접되는 측벽(2)(2)위에 제2단째의 기본블록(4)…을 조적해서 연설하는 방법이나, 제9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기본블록(4)의 가로폭을 넓게 형성함과 동시에 측벽(2)(2)을 기본블록(4)의 중앙부 가까이에서 부터 입설하여서 된 블록을 토양(5)의 충전하여 열설하고, 인접한 축벽(2)(2)위에 제2단째의 기본블록(4)…을 조적하고 토양(5)…을 충전하면서 연설한 방법이나, 제9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기본블록(4)의 중앙부에 축벽(2)을 입설해서 형성한 블록을 연설하고, 인접한 축벽(2)(2)사이에 토양(5)…을 충전하면서 제1단째를 연설하며, 각 축벽(2)위에 제2단째의 기본블록(4)…을 연설하여 인접한 축벽(2)(2)사이에 토양(5)(5)을 출전하여 조적하는 방법이 있다. 기본블록(4)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8도 내지 제2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토양채우기 요소(1)앞면의 앞으로 경사된 구배를 수직에 가까운 급한 구배로 하고 또한 입상벽(1')을 축벽(2)의 후단과 일치하는 위치까지 후퇴하여 입설하는 예나, 제23도 내지 제2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토양채우기 요소(1)의 저부에 물빼기구멍(1")을 천설한 예나, 제28도 내지 제3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토양채우기 요소(1)를 돋우어 올린 바닥식으로 하여 입상벽(1')을 하향의 리브로 함과 동시에 측벽(2)(2)의 상하단부면에 각각 다른 기본블록(4)과 요철 감합하는 요철(2')(2')을 형성하는 예나, 제33도 내지 제3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토양채우기 요소(1)를 돋우어 올린 바닥식으로 하여 하향의 리브를 생략한 예나, 제38도내지 제4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토양채우기 요소(1)를 측벽(2)(2)의 상단에서 가로설비한 예나, 제43도 내지 제4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토양채우기 요소(1)를 측벽(2)(2)의 상단에서 가로설비하고 있으나 하향의 리브는 생략한 예나, 제48도 내지 제5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가장 간략한 형상의 기본블록(4)으로서 입상벽(1')을 생략한 토양채우기 요소(1)와, 측벽(2)(2)의 상하 단부면에 각각 상하의 기본블록(4)(4)을 요철 감합하기 위한 요철부(2')(2')를 형성한 예나, 제53도 내지 제5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입상벽(1')을 생략한 토양채우기 요소(1)와, 상위에 조적한 기본블록(4)의 토압에 의한 비어저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부를 착설한 가장 기본적인 형상을 가진 예나, 제58도 내지 제 6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입상벽(1')을 약간 후퇴시킴과 동시에 토양채우기 요소(1)후단의 각이진 부분을 제거해서 기본블록(4)을 매달때에 메달기 기구의 걸림구배(10)로 하는 예가 있으며, 또한 제5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측벽(2)의 상단면 및 하단면의 후반부에 요철부(2')(2')를 형성하는 예나, 제63도 내지 제6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자 형상의 틀체를 형성하도록 측벽(2)(2)을 기본블록(4)의 배부에 돌설한 예나, 제68도 내지 제7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바닥이 없는 틀체형상의 기본블록(4)의 측벽(2)(2)의 상하 단부면에 요부(3)(3) 또는 통공(3')(3')을 형성한 예나, 제73도 내지 제7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단면이 대략형상이고 길쭉한 구형상으로 형성한 토양채우기 요소(1)의 양측에 측벽(2)(2)을 입설하고, 측벽(2)의 상단면에 요부(3)를 형성함과 동시에 후단부 상면에 블록의 좌우에의 접동을 저지하는 요철부(2')(2')를 형성하여, 토양채우기 요소(1)의 후단부에 보수용의 입상벽(1')을 설치한 예나, 제78도 내지 제8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바닥이 없는 틀체형상의 기본블록(4)의 배판에 물빼기구멍(1")을 천설한 예가 있으며, 또 맞대기블록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81도 내지 제8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후단부 상면에 요철부(6')를 기본블록(4)에 형성하여 요철부(2')와 감합해서 좌우에의 접동을 저지하는 예가 있고, 제90도 및 제91도에 표시한 용벽은 제68도 내지 제72도에 표시한 기본블록(4)…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축한 것이다.
용벽의 곡선부를 구축하는 경우에는 하단에 열설하는 블록(4)…사이의 간격에 비례하여 상단에 열설하는 기본블록(4)…사이의 간격을 좁게 유지하고 또한 소망하는 각도로 굴절하여 조적하지 않으면 아니되므로 제6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단의 기본블럭(4)을 하단의 기본블록(4)의 중앙부쪽으로 조정자재케 슬라이드 함과 동시에 소망하는 각도로 굴절하여 조적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본블록(4)의 자중과 토양채우기 요소(1)에 충전한 토양(5)의 중량이 가중되어서 용벽 배후에 가해지는 토압과 맞서서 또한 그본블록(4)의 가로폭의 대략 1/2에 달하는 길이를 가진 측벽(2)이 겹처져서 부측벽을 구성하여 안정된 자립구조를 형상하는 것이며 따라서 특히 뒤채움 재료를 타설할 필요가 없다. 또 떼붙이기 한 잔디가 생육하므로서 기본블록(4)의 앞면이 은폐되어 옹벽전체가 녹화되고 토지조성전의 자연상태가 회복되는 것이며, 시공이 간단하고 신속하고, 뒤채움 재료가 없는것 및 기본블록(4)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조적하는 것과 관련해서 자재를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하다. 또 토양채우기 요소(1)에는 지하수가 유지되므로 일조시기에도 잔디가 고사되지 않고, 특히 용출수 등에 기인해서 연약한 지반에 있어서는 물빼기구멍(1")을 천설한 기본블록(4)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서 뒤채움 재료를 타설해서 옹벽을 구측하므로서 더욱 종래의 콘크리이트 옹벽은 전체가 강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옹벽 배후의 토압이 국부적으로 집중해서 가압되면 균열이 생기거나 도괴되는 일도 있는 것에 대하여, 본 고안에서는 기본블록(4)의 토양채우기 요소(1)에 토양(5)을 충전한 구성이므로 국부적인 토압의 집중가압이 있어도 이 부분의 토양(5)이 옹벽의 앞면에 밀러서 융기되는 것뿐으로서 기본블록(4)에 하등 악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균열이 생기거나 혹은 옹벽이 도괴하는 우려는 전혀없다. 또 지반이 침하 또는 용기하도록 각 블록은 각 측벽에서만 조적된 소위 핀접합으로 각 블록은 가용성으로 접합되어 있으므로 침하 또는 융기된 개소의 블록의 다소의 굴곡에 의해서 옹벽전체가 파괴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측벽(2)에 형성된 요부(3)는 충전한 인접한 토양(5)…을 서로 연속시켜 토양이 일체와 되어 균등하게 수분 및 양분을 잠디에 공급해서 잔디를 일정하게 생장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비탈면에 떼붙이기 하므로서 토양(5)면을 강우로 인한 침식을 방지하고 토양(5)의 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옹벽의 자립안정을 확보하고, 또 이렇게 해서 구춘한 옹벽의 앞면은 각 기본블록(4)의 앞으로 경사된 앞판이 자동차의 소음을 그 발생원으로 반사하고, 멀리 파급시키지 않고 토양(5)에 식생된 잔디, 관목등이 소음을 흡수하여 소음공해를 경감하는 소음효과를 올린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94도 내지 제9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단면이형상으로 굴곡된 광폭의 콘크리이트재 제품 또는 합성수지재 제품의 앞면판(11)의 중앙부에 편평한 짧은 각통체로서 앞으로 경사된 앞면판(11)의 형상과 일치하는 돌출부(12')를 축벽의 전방에 돌설한 버팀(12)을 일체로 성형해서 광폭의 식생블록(13)을 형성하고, 또 제99도 내지 제10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단면이형상이고 키가 높으며 깊이가 길고 더우기 양측벽의 전방에 돌출된 버팀(14)과 이 버팀(14)에 직교해서 비교적 폭이 좁은 앞면판(15)을 버팀(14)의 돌출 하밤녕에 일체로 성형해서 토양채우기 부분(16)을 가진 식생블록(17)을 형성하고, 또 제103도 내지 제10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앞으로 경사된 앞면판(18)(18)을 전방에 돌출시킨 2매의 측벽으로 된 버팀(19)(19)의 돌출 하반면에 일체로 성형하여 토양채우기 부분(20)을 가진 식생블록(21)을 형성하고, 또 제107도 내지 제11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전술한 식생블록(17)에 있어 버팀(14)의 후미에 토양을 채우고 담수용의 입상벽(22)을 구축하여 식생블록(17)을 형성해서 이루어져 있으며, (23)은 토양채우기 부분(11) 또는 (16) 또는 (20)에 충전한 토양, (24)는 잔디로서 토양(23)의 비탈면을 두들겨서 잔디를 식생한 매트모양의 흙덩이를 붙이는 것으로서, 잔디(24)대신에 관목이나 초화를 식생할 수도 있으며, (25)는 기초콘크리이트, (26)은 조약돌이다.
본 실시에는 이와같이 해서 이루어지므로 제111도 내지 제11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제1단째에 식생블록(13) 또는 (17) 또는 (17') 또는 (21)을 열설하고, 각각의 토양채우기 부분(11) 또는 (16) 또는 (20)에 토양(23)을 충전함과 동시에 토양(23)의 비탈면에 떼붙이기하고, 각각의 버팀(12) 또는 (14) 또는 (19)위에 2단째의 식생블록(13) 또는 (17) 또는 (17') 또는 (21)을 조적하여 열설하고, 각각의 토양채우기 부분(11) 또는 (16) 또는 (20)에 토양(23)을 충전함과 동시에 떼붙이기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소망하는 단수로 옹벽을 구축하면 이와같은 식생블록(13)에 있어서는 그 폭을 현저하게 광폭으로 하기 때문에 단위면적당의 블록사용 계수를 반감시키고, 또 식생블록(17) 또는 (17') 또는 (21)에 있어서는 각각의 버팀(14)또는 (19)가 그 키가 현저하게 높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단위면적 당의 블록사용 게수를 반감시킴과 동시에 깊이가 긴 버팀으로 하므로서 각 식생블록을 조적하였을 때 깊이가 긴 견고한 부벽이 구성되어 고도의 자립 안정성을 갖는 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제115도 내지 제119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에를 표시한 것이다. 즉, 앵글형상을 기본형으로 하여 그 저변의 전방을 윗쪽으로 비스듬하게 굴곡해서 단면이 대략형상인 앞면판(31)을 이루고, 저변의 후미를 위쪽에 굴곡해서 입상벽(32)으로 하고, 또한 저변의 측부와 연설하는 측벽을 앞면판(31)의 대략 2배의 높이로 함과 동시에 모서리 부분을 제거해서 돌출된 버팀부(33)을 형성하고 버팀부(33)과 앞면판(31)에 의해서 토양채우기 부분(34)을 형성하고, 버팀(33)의 상단면에 상하의 록블을 전후로 슬라이드하지 않게 요철 감합용의 철부(35)를 형성하고, 하단면에 요부(36)를 형성하여 식생록블(37)을 형성한다. 또 제119도 내지 제12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토양채우기 부분(38)을 버팀(39)깊이의 대략 1/2로 하고, 또한 버팀(39)의 대략 중앙부에 통공(40)을 천설하여 다른 식생블록(41)을 형성한다. 또 제12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버팀(33)의 후단에 각각 철부(35)와 요부(36)를 형성하고 또한 앞면판(31)을 후미에 입상벽(32)을 입설하고, 버팀(33)의 전단면을 수직면으로 함과 동시에 전단부를 차차 올라가게 윗쪽으로 비스듬하게 돌출시킨 식생블록(45)을 형성한다. 또한 도면중(42)는 기초콘크리이트, (43)은 조약돌, (44)는 토양이고, 토양(44)의 표면을 두들겨 다져서 잔디나 관목 혹은 초화를 식생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이 해서 이루어져 있으므로 식생블록(37) 또는 (41)을 기초콘크리이트(42)위에 열설하고, 각각의 토양채우기 부분(34) 또는 (38)에 토양(44)을 충전해서 첫째단을 구축하는 것이나, 제12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버팀(33) 또는 (39)의 상면에 다른 식생블록(37) 또는 (41)의 토양채우기 부분(34) 또는 (38)의 중앙부를 재치하여 각각의 처루(35)와 요부(36)를 요철 감합하여 조적하고, 토양채우기 부분(34) 또는 (38)에 토양(44)을 충전해서 첫째단을 구축하고, 다음에 제12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버팀(33) 또는(39)의 상면에 다른 식생블록(37) 또는 (41)의 토양채우기 부분(34) 또는 (38)의 중앙부를 재치하여 각각의 철부(35)와 요부(36)를 요철 감합하여 조적하고, 토양채우기 부분(34) 또는 (38)에 토양(44)을 충전하여 둘째단을 구축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다단에 걸쳐서 웅벽을 구축하면 식생블록(37) 또는 (41)의 자중과 토양(44)의 하중이 가중되어 또한 토양(44)이 웅벽 배후의 지반과 밀착해서 안정성이 있는 중력 웅벽이 형성되고, 웅벽의 앞면은 생육된 잔디 등으로 거의 녹색으로 덮이므로 주위의 녹색과 잘 조화되어 웅벽의 배후에는 뒷채움재를 쓰지 않아도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으며, 또한 버팀(33) 또는 (39)의 키가 크므로 인하여 토양채우기 부분(34), 또는 (38)에는 대량의 토양(34)을 충전할 수 있고, 따라서 식생록블(37) 또는 (41)의 사용개수를 종래의 웅벽이 콘크리이트 블록을 전면에 장설하고 있던것에 비해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자원절약의 관점에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제129도 내지 제131도에 의거 상술하면, 큰크리이트 구체 또는 합성 수지 제재 구체를 임의의 각도를 붙어 굴곡해서 V자 형상의 토양채우기 요부(51)를 형성하고, 이 토양채우기 요부(51)의 앞면을 돌출시켜서 토양채우기 용의 옹벽(52)을 일체로 성형해서 골쌓기블록(53)을 형성하고, 또 제132도 및 제13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토양채우기 요부(51)와 옹벽(52)의 상단면에 처올라간 벽(54')을 쌓아올린 골쌓기블록(54)을 형성하고, 또 제134도 내지 제13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각통형상의 토양채우기 요부(51)를 형성하고, 이 토양채우기 요부(51)의 앞면을 돌출시켜서 토양채우기용의 옹벽(52)을 일체로 성형해서 골쌓기블록(55)을 형성하고, 또 제137도 내지 제13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단면이 V형상의 토양채우기 요부(51)의 앞면에 토양채우기 옹벽(52)을 돌설함과 동시에 토양채우기 요부(51)의 후단부에 토양채우기 용의 처올라간 벽(56')을 일체로 성형한 골쌓기블록(56)을 형성하고, 또 제14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처올라간 벽(56')을 토양채우기 요부(51)의 중앙부 가까이 입설하고, 또 제14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옹벽(52)을 V형 벽을 이루는 토양채우기 요부(51)와 직교하는 방향에 일체로 성형함과 동시에 V형 벽에 둥근구멍(60)(60)을 천설해서 형성한 골쌓기블록(53')이나, 또 제146도 제14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V형 벽의 상단면에 철부(61)(61)를 돌설하고 또한 V형 벽의 저부에 투공(62)을 천설한 골쌓기블록(63)을 형성한다. 또한 (57)은 토양 (58)은 기초콘크리이트, (59)는 조약돌이다.
본 실시예는 이와같이 해서 이루어졌으므로 첫째단에 골쌓기블록(53) 또는 (54) 또는 (55) 또는 (56)을 각각의 토양채우기 요부(51)에 토양(57)을 충전하면서 하나 건너로 열설하고, 토양(57)의 비탈면에 잔디를 식생한 매트모양의 흙덩이를 붙이고, 둘째단에 골쌓기블록(53) 또는 (54) 또는 (55) 또는 (56)을 골쌓기 하여 토양(57)을 충전하고 또한 떼붙이기를 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시공하여 다단의 골쌓기 옹벽을 구축하면, 토양채우기 요부(51)에 충전된 토양(57)의 하중과, 골쌓기블록의 자중이 기중되어서 옹벽 배후에 가해지는 토압과 균형을 유지하고 안전성 있는 견고한 옹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골쌓기블록(63)을 그 저부에 형성된 투공(62)에 하위에 조적하는 다른 골쌓기블록(63)의 V형 벽의 상단부에 돌설한 철부(61)(61)를 감입하면 각 골쌓기 블록(63)은 서로 부동상태로 지지되어 전후방향으로는 절대로 벗어지지 않으며, 또 투공(62)에서 잉여 지하수 등이 투과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골쌓기 또는 궤쌓기 콘크리이트블록과는 전혀 다르고 옹벽의 구축시공이 간단하며 토양의 중력을 이용한 중력 옹벽임과 동시에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식생록블의 소재는 콘크리이트 재제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재제로 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Claims (1)

  1. 토양채우기 요소(1)의 양측에 이 요소(1)의 가로폭의 1/2길이인 측벽(2)(2)을 일체가 되게 착설하고, 상기 요소(1)의 후단에는 토양을 포지하는 리브(1')를 입설하고, 상기 측벽(2)(2)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에 토양의 연속성을 도모하는 요부(3)를 형성한 기본블록(4)과, 상기 기본블록(4)의 상하단에 상기 측벽(2)과 동일형상의 맞대기블록(6)과, 최상단 측벽(2)(2)상에 비탈면을 일치시키기 위한 단면이형상인 장방형 천판블록(8)으로 구성된 옹벽용 식생블록.
KR2019830002516U 1978-05-22 1983-03-22 옹벽용 식생블록 KR840000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2516U KR840000249Y1 (ko) 1978-05-22 1983-03-22 옹벽용 식생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1536 1978-05-22
KR2019830002516U KR840000249Y1 (ko) 1978-05-22 1983-03-22 옹벽용 식생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1536 Division 1978-05-22 1978-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249Y1 true KR840000249Y1 (ko) 1984-02-14

Family

ID=2662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2516U KR840000249Y1 (ko) 1978-05-22 1983-03-22 옹벽용 식생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2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330B1 (ko)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CN211006526U (zh) 一种适合于生态敏感区的公路土质边坡绿色生态防护结构
KR840000249Y1 (ko) 옹벽용 식생블록
CN111395104A (zh) 彩色沥青梁浇筑式商品住宅小区景观路面
JPH10195898A (ja) 植生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植生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KR200185613Y1 (ko) 호안용 블록
KR200442424Y1 (ko) 식생용 옹벽블록
JP3096897B2 (ja) 植生緑化積ブロック
KR100998674B1 (ko) 물저장공간이 구비된 식생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 방법
JPH08120693A (ja) 擁 壁
CN210562283U (zh) 一种园林生态景观挡墙结构
CN209669896U (zh) 一种生态防护板
KR102042226B1 (ko) 화분장착형 보강토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24520Y1 (ko) 옹벽블럭
KR100317471B1 (ko) 식생 및 토사유출 방지용 블록과 그 시공방법
JP3390861B2 (ja) 植栽可能な壁面緑化構造
JP3506371B2 (ja) 擁壁緑化ブロックおよび擁壁緑化構造
JP2007077771A (ja) 緑化擁壁ブロック
KR102238975B1 (ko) 자연사면 복원 및 보강을 위한 테라스형 식생블록
JPS6340892B2 (ko)
JP3241516U (ja) 傾斜地ガリー整備構造
KR102326713B1 (ko)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S6340891B2 (ko)
JP3495002B2 (ja) 護岸等に使用され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3266877B2 (ja) 客土・覆土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01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