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722B1 - 세파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파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722B1
KR830002722B1 KR1019820003909A KR820003909A KR830002722B1 KR 830002722 B1 KR830002722 B1 KR 830002722B1 KR 1019820003909 A KR1019820003909 A KR 1019820003909A KR 820003909 A KR820003909 A KR 820003909A KR 830002722 B1 KR830002722 B1 KR 830002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mino
added
chloride
carbamoylpropano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20003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설
Original Assignee
김영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설 filed Critical 김영설
Priority to KR1019820003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722B1/ko

Links

Landscapes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파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새로운 세파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A는 페닐, P-하이드록시페닐, 1,4-싸이클로헥사디엔닐기등이며, B는 수소, 나트륨등의 무기염이거나 탄소수 1-4인 저금알킬아민의 4급 암모늄염이며,
R1은 수소, 메칠기, 염소, 매혹시기, -CH2Y(Y는 S-테트라졸, 트리아졸, 리아디아졸)등이며,
R2는 수소, 매흑시기등이다.
상기 일반식( l )로 표시되는 새로운 세파로스포린 유도체는 넓은 범위에서 항박레리아작용을 나타내며 체내에서 높은 혈중농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Ⅱ)인 D-2-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판산의 아민기를 0-니트로 페닐설포닐-클로라이드나 톨루엔-P-설폰닐클로라이드, 식프염기, 댄염등으로 보효하여 다음 일반식(Ⅲ)인 α-아미노세파로스포란산의 유도체와 반응시킨 후 아민기의 보효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한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여기서 A,B,R1및 R2는 전술한 바와같다.
본 발명은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은 상기 일반식( I )인 새로운 세파로스포린 유도체를 합성하는데 있어 D-2-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탄산 수용액을 이용하여 테트라하이드로 후란용액에서 0-니트로페닐설픈닐클로라이드를 가하여 아민기를 보효하거나 D-2-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판산을 염화메칠렌속에서 포름알데히드와 반응시퀴므로서 쉬프염기를 제조하여 보호하거나 D-2-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판산을 메탄올과 벤젠용액속에서 에칠아세토아세레이트나 메칠아세토아세레이트등을 가하여 댄염을 제조하여 보효시킨후 α-아미노세파로스포탄산의 아민기와 아실화반응에 의해 목적물을 제조하였다.
아실화반응에서는 여러방법에 의해 아민기가 보효된 D-2-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판산을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아미드를 사용하여 강한 탈수조건하에서 반응시키거나 아민기가 보효된D-2-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판산의 자복실기를 치오닐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산염화물을 제조하여 상기 일반식(Ⅲ)과 반응시키거나 아민기가 보효된 D-2-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판산의 자복실기와 에칠클로로카보네이트나 메칠클로로카보네이트등을 반응시켜 산무수물을 제조하여 상기 일반식(Ⅲ)과 반응시키거나 아민기가 보효된 D-2-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판산의 카복실기에 N-하이드록시씩신이미드나 N-하이도록시프탈이미드등을 반응시켜 활성화된 에스테르를 제조한 후 상기일반식(Ⅲ)과 반응시켜 아민기가 보효된 세파로스포린 유도체를 제조한 후 분리하거나 또는 분리하지 않은채 산가수분해 또는 치오벤자아미드등을 사용하여 아민기의 보효기를 제거함으로써 목적물인 상기일반식(I)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한 상세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D-2-(0-니트로 페닐설픈닐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산의 제조 : D-2-아미노-3-N-메칠카바모일 프로판산의 염산염 1.6g을 물 16m1에 녹여 탄산칼륨으로 중화하고 테트라하이드로후란 5ml를 가한다. 여기에 0-니트로페닐설픈닐클로라이드 2.5g을 5-10℃에서 가한 다음 같은 온도에서 2시간 반응시킨다.
반응중 반용액의 pH는 8.0으로 조절하고(pH조절은 탄산칼륨으로 함) 반응혼합물에 물 10m1를 가하여 불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에칠아세테이트로 2회 세척한 후 물층을 산성으로 하여 에칠아세테이트로 추출한후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하여 용매를 유거하면 D-2-(0-니트로페닐설픈닐아미도)-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산 2.8g을 얻는다. 분석결과 녹는점이 135-137℃였다.
[실시예 2]
7-[D-(-)-2-(0-니트로페닐설픈닐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노)-2-P-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도)-3-메칠-Δ3-세팜-4-카복실산의 제조 :
D-2-(0-니트로페닐설픈닐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산 3.31g을 테트라하이드로후란 30m1에 용해시키고 온도를 -5℃로 조절하여 N,N'-디사이클로 헥실카보디이미드 2.24g을 가하여 0-5℃에서 1시간 반응시키고 세마드록실 1수화물 3.81g을 테트라하이드로후란 20ml와 염화메칠렌 20m1의 혼액에 가하고 트리에칠아민 3.5ml를 가하여 용해시킨다.
위에 제조한 산무수물 용액의 온도를 -20℃로 조절하고 세파드록실-트리에칠아민염 용액을 서서히 가한 후 반응온도는 -10- -5℃로 조절하여 2시간 반응시킨다.
반응액을 감압하에서 완전히 제거하고 잔유물에 물 30m1와 에칠아세테이트 30m1를 가하고 염산으로 pH를 2.0으로 조절하여 유기층을 감압유거하면 황색결정 5.6g(82.8%)이 생성된다.
분석결과 황함량이 9.2%(이론치 9.46%)였으며, 산적정결과 98.4%였고, 192℃에서 분해되었다.
[실시예 3]
7-[D-(-)-2-(D-2-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드)-2-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도]-3-메칠-Δ3-세팜-4-카복실산의 제조 : 7-[D-(-)-2-(0-니트로페닐설픈산아미노)-3-N-메칠카마모일프로판아미도)-2-P-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도[-3-메칠-Δ3-세팜-4-카복실산 7.08g을 에탄올 30m1와 테트라하이드로후란 30ml에 가하고 치오벤조아미드 4.5g을 서서히 가하고 25℃에서 30분간 반응시킨다. 반응액을 감압하에서 제거시키고 잔유물에 테트라하이드로후란 50m1와 물을 가하고 에칠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하여 여액을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유물을 n-헥산에 분산시키면 미황색결정이 석출된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과 아세톤으로 세척하여 건조하면 4.1g(79.9%)을 얻는다.
분석결과 질소함량 14.9%(이론치 14.27%)였고, 황함량 6.2%(이론치 6.52%)였으며, 산적정결과 98.4%였으며, 요드분석 결과 96.4%였다.
[실시예 4]
7-[D-(-)-2-(0-니트로페닐설폴닐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도)-2-페닐아세트아미도)-3-메칠-Δ3-세팜-4-카복실산의 제조 :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산무수물을 제조한후 산무수물을 제조한 후 산무수물용액에 세파렉신 1수화물 3.65g을 가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아실화반응시켜 결정물을 분리하면 목적물 5.2g(78.8%)을 얻는다.
분석결과 질소함량 12.3%(이론치 12.7%)였고, 황함량 4.6%(이론치 4.84%)였으며, 산적정결과 96.4%였다.
[실시예 5]
7-[D-(-)-2-(-2-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도)-2-페닐아세트아미 도)-3-메칠-Δ3-세팜-4-카복실산의 제조 :
7-[D-(-)-2-(0-니트로페닐설픈닐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노)-2- 폐닐아세트아미도]-3-메칠-Δ3-세팜-4-카복실산 6.6g과 치오벤조아미드 4.29g을 가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목적물 3.7g(77.83g)을 얻는다.
분석결과 질소함량 14.3%(이론치 14.7%)였고 황함량 6.83%(이론치 6.73%)였으며. 산적정결과 98.4%였고 요드분석으로 96.3%였다.
[실시예 6]
7-[D-(-)-2-(0-니트로페닐설폰닐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도(-2-(1,4-사이클로헥사디엔닐)아세트아미도]-3-메칠-Δ3-세팜-4-카복실산의 제조 :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산무수물을 제조한 후 산무수물 용액에 세프라딘 1수화물 3.67g을 가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목적물 4.9g(74%)을 얻는다.
분석결과 질소함량 12.1%(이론치 12.68%)였고, 황함량 9.9%(이론치 9.66%)였으며, 산적정으로 96.9% 였다.
[실시예 7]
7-[D-(-)-2-(-2-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도)2-(1,4-사이클로헥 사디엔닐) 아세트아미도)-3-메 칠-Δ3-세팜-4-카복실산의 제조 :
7-[D-(-(-2-(0-니트로페닐설픈닐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도)-2- (1,4-사이클로헥사디엔닐)아세트아미도)-3-메칠-Δ3-세팜-4-카복실산 6.62g과 치오벤조아미드 4.29g을 가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목적물 3.4g(71.2%)을 얻는다. 분석결과 질소함량 14.9%(이론치14.66%)였고, 황함량 6.3%(이론치 6.76%)였으며 산적정결과 98.4%였으며, 요드분석으로 97.4%였다.
[실시예 8]
7-[D-(-)-2-(0-니트로페닐설픈닐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도)-2-P-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도]-3-트리아졸치오메칠-Δ3-세팜-9-카복실산의 제조 :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세파트리진 4.62g을 가하여 반응시킨 결과 목적물 6.1g(78.7%)을 얻는다.
분석결과 잘소함량 16.6%(이론치 16.25%)였고, 황함량 12.8%(이론치 12.38%)였고, 산적정으로 96.5% 였다.
[실시예 9]
7-[D-(-)-2-(2-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드-2-P-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도]-3-트리아졸치호메칠-Δ3-세팜-4-카복실산의 제조 :
7-[D-(-)-2-(0-니트로페닐설픈닐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도)-2-P-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도)-3-트리아졸치오메칠-Δ3-세팜-4-카복실산 7.75g을 이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면 목적물 4.2g(71.18%)을 얻는다.
분석결과 질소함량 18.3%(이론치 18.97%)였고, 황함량 10.4%(이론치 10.8%)였으며 산적정으로 96.9% 요드분석으로 98.4%였다.
[실시예 10]
7-[D-(-)-(2-(0-니트로페닐설픈닐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도)-2-페닐아세트아미도]-3-클로로-Δ3-세팜-4-카복실산의 제조 :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세파클로 3.67g을 가하여 반응시킨 결과 목적물 5.1g(75%)을 얻었다.
분석결과 황함량 9.1%(이론치 9.40%)였고, 질소함량 12.7%(이론치 12.34%)였으며, 산적정으로 99.8% 였다.
[실시예 11]
7-[D-(-)-2-(2-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드)-2-페닐아세트아미도]-3-클로로-Δ3-세팜-4-카복실산의 제조 :
7-[D-(-)-[2-(0-니트로페닐설폰닐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도]-2-페닐아세트아미도]-3-클로로-Δ3-세팜-4-카복실산 6.8g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면 목적물 3.9g(78.78%)을 얻는다.
분석결과 질소함량 6.6%(이론치 6.45%)였으며, 산적정으로 102.3%였고, 요드분석으로 97.4%였다.
[실시예 12]
7-메톡시-7-[D-(-)-[2-(0-니트로페닐설폰닐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도]-2-(1,4-사이클로핵사디엔닐)아세트아미도]-3-메톡시-Δ3-세팜-4-카복실산의 제조 :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세프록사딘 3.65g을 가하여 반응시키면 목적물4.8g(70.79%)을 얻는다.
분석 결과 황함량.9.9%(이론치 9.43%)였고. 질소함량 12.6%(이론치 12.3%)였으며, 산적정으로101.4% 였다.
[실시예 13]
7-메톡시-7-(D-(-)-2-(2-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도)-2-(1,4-사이클로핵사디엔닐 )-아세트아미도]-3-메톡시-Δ3-세팜-4-카복실산의 제조 :
7-메톡시-7-[D-(-)-(2-(0-니트로페닐설폰닐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도]-2-(1,4-사이클로핵사디엔닐)아세트아미도]-3-메톡시-Δ3-세팜-4-카복실산 6.78g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목적물3.1g(62.8%)을 얻었다.
분석결과 질소함량 14.8%(이론치 14.19%)였고, 황함량 6.6%(이론치 6.48%)였으며, 산적정으로 96.8%였고, 요드분석으로 97.4%였다.
[실시예 14]
2-메칠렌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판산의 트리에칠아민염의 제조 :
D-2-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판산 14.6g을 염화메칠렌 50m1에 가하고 트리에칠아민 14.5ml를 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키고 무수황산 마그네슘 20g을 가하고 교반하면서 37% 포르만린수용액 8.1ml를 가하고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후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하에서 농축시키면 미황색결정 20.4g(78.76%)을 얻는다.
분석결과 질소함량 16.3%(이론치 16.21%)였고, 194℃에서 분해되었다.
[실시예 15]
D-2-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판산의 댄염 제조 :
D-2-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판산 14.6g을 매탄올 30m1에 현탁시키고 수산화나트륨 4.1g 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온도룬 60℃로 유지한 후 에칠아세토아세테이트 13.2g을 가하고 벤젠200m1를 가하고 1.5시간 가온환류시킨다.
용매를 2/3정도 증류한 후 이소푸로판올 200m1를 가하면 백색결정이 석출된다.
온도를 10℃로 조절하여 30분간 교반하고 여과하면 백색결정을 20.4g(76.69% )얻는다.
분석결과 질소함량 10.1%(이론치 10.52%)였고, 192-196℃에서 분해되었다.
[실시예 16]
7-[D-(-)-2-(2-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판아미드)-2-P-하이드록시페닐아세 트아미도]-3-메칠-Δ3-세 팜-4-카복실산의 제조 :
2-메칠렌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판산의 트리에칠아민염 2.59g을 염화메칠렌 20ml에 현탁시키고 온도를 -20℃로 조절하에 에칠클로로카보네이트 1.09g을 가하고 0-5℃에서 1시간 반응시킨다. 반응액의 온도를 -20℃로 냉각시켜 방치한다.
한편 세파드본실 1수화물 3.81g을 염화에칠렌 30m1에 현탁시키고 트리에칠아민 2.3ml를 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위에서 제조한 산무수물용액을 가하고 -20℃에서 2시간동안 아실화반응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시키고 잔유물에 물 30m1와 초산에칠 30m1를 가하여 10%염산으로 pH를 2.0으로 조절하고 1시간 교반하면 결정이 생성된다.
결정물을 여과하고 건조하면 목적물 4.0g(77.9%)을 얻는다.
분석결과 질소함량 14.2%(이론치 14.27%)였고, 황함량 6.7%(이론치 6.52%)였으며, 산적정결과 98.5%였고, 요드적정으로 94.9%였다.
[실시예 17]
7-[D-(-)-2-(2-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판아미드)-2-P-하이드록시페닐아세 트아미도)-3-메칠-Δ3-세팜-4-카복실산의 제조 :
D-2-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판산의 댄염 2.66g을 사용하고 실시예 1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목적물 3.4g(66.25% )을 얻는다.
분석결과 황함량6.3%(이론치 6.52%)였고, 질소함량 14.4%(이론치 14.27%)였으며 산적정으로 101.4%였고, 요드적정으로 94.9%였다.
[실시예 18]
7-[D-(-)-[2-(0-니트로페닐설폰닐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도]-2-P-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도)-3-메칠-Δ3-세팜-4-카복실산의 제조 :
D-2-(0-니트로페닐설폰닐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산 3.31g을 데트라하이드로후란 30m1에 현탁시키고 N-하이드본시썩신이미드 1.15g을 가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 15g을 가하여 실온에서 3시간 반응시키고 고과하여 여액을 -30℃로 유지시키고 한편 세파드본실 1수화물 3.81g을 염화매칠렌 30m1와 트리에칠아민 2.41m1 가하여 용해시킨 용액을 위에서 제조한 용액에 서서히 가한다. -25℃에서 2시간 반응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물 20m1와 초산에칠 30m1를 가하고 10%염산으로 pH를 2.0으로 조절하고 1시간 교반하면 결정이 생성된다.
결정물을 여과하고 건조하면 목적물 4.3g(63.57%)을 얻는다. 분석결과 황함량 9.5%(이론치 9.46%)였고, 산적정결과 98.4%였다.
[실시예 19]
7-[D-(-)-(2-(0-니트로페닐설폰닐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아미도]-2-P-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노[-3-메칠-Δ3-세팜-4-카복실산의 제조 :
D-2-(-니트로페닐설폰닐아미노)-3-N-메칠카바모일프로판산 3.31g을 벤젠 50ml에 현탁시키고 치오닐클로라이드 2.4g을 가하고 2시간동안 가온환류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시킨 후 잔유물에 벤젠 50ml를 가하고 재차 감합하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킨후 잔류물에 염화메칠렌 30ml를 가하여 0℃로 방치한다.
한편, 세파드본실 1수화물 3.81g을 염화메칠렌 30ml에 현탁시키고 트리에칠아민 2.41m1를 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온도를 -30℃로 조절하고 위에서 제조한 산염화물 용액을 서서히 가하고 아실화반응시켜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면 목적물 4.7g(69.48%)을 얻는다.
분석결과 황함량 9.4%(이론치 9.46%)였고, 산적정으로 101.5%였다.

Claims (3)

  1. 다음 일반식(Ⅱ)의 2-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판산의 아민기를 보호하여 다음 일반식(Ⅲ)의 α-아미노세파로스포린유도체와 아실화시켜 다음 일반식( I )의 세파로스포린유도체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04
    여기서 A는 페닐, P-하이드록시페닐, 1,4-싸이클로핵사디엔닐기등이며, B는 수소, 나트륨등의 무기염이거나 탄소수 1-4인 저급알킬아민염이며, R1은 수소, 메틸기, 염소, 메톡시기 -CH2Y (Y는 S-테트라졸, 트리아졸, 티아디아졸)등이며, R2는 수소, 또는 메톡시기동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아실화를 N,N'-디싸이클로핵실카보디이미드를 사용하거나 에칠클로로 카보네이트나 메칠클로로 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산무수물 중간체, N-하이드록시썩신이미드나 N-하이드록시프탈이미드를 이용하여 활성화된 에스테르 중간체, 아민기가 보효된 2-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판산의 카복실산에 치오닐클로 라이드와 작용시켜 얻은 산염화물의 중간체를 이용하는 세파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2-아미노-3-N-카바모일프로판산의 아민기보호를 0-니트로페닐설폰닐클로라이드나 톨루엔-P-설폰닐클로라이드, 쉬프염기나 댄염을 이용하는 세파로스포린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20003909A 1982-08-30 1982-08-30 세파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30002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20003909A KR830002722B1 (ko) 1982-08-30 1982-08-30 세파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20003909A KR830002722B1 (ko) 1982-08-30 1982-08-30 세파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722B1 true KR830002722B1 (ko) 1983-12-09

Family

ID=1922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20003909A KR830002722B1 (ko) 1982-08-30 1982-08-30 세파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72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717B1 (ko) 세프디니르의 결정성 아민 염
JPH0313237B2 (ko)
JPS6178778A (ja) 4,5‐ジヒドロ‐4‐オキソ‐2‐〔(2‐trans‐フエニルシクロプロピル)アミノ〕‐3‐フランカルボン酸とその誘導体
KR100407584B1 (ko) 세포독심 프록세틸 디아스테레오이성체의 제조 방법
KR830002722B1 (ko) 세파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342600B1 (ko) 신규한 티아졸 화합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34555B2 (ko)
EP0142274A2 (en) Cephalosporin compounds and salts thereof, their production, and medicaments containing them
KR920003902B1 (ko) 페니실린 유도체의 수화물 및 그 제조방법
US495949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intermediates used to produce aminothiazoloximino cephalosporins
JPH0745411B2 (ja) カルボン酸アミドの製造方法
KR830001969B1 (ko) 6―{D―(―) α-(4―에틸-2. 3-디옥소-1 피페라지노카보닐아미노) 페닐(또는 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도 페니실란산 및 그 염의 제조방법
KR950010085B1 (ko) 안정한 결정형태의 세팔로스포린 중간생성물
KR830001970B1 (ko) 세파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123611A (en) N-protected amino compounds
KR830002897B1 (ko) 세펨계 항생물질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237280A (en) Intermediate for cephalosporin type compound
KR930007810B1 (ko) 7-아실아미노-3-비닐 세파로스포라닉에시드의 제조방법
KR100472048B1 (ko) 아즈트레오남의 신규제조방법
JP2859630B2 (ja) チアジアゾリル酢酸誘導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中間体
JP2001517248A (ja) β−ラクタム抗生物質の製造で有用なアミノチアゾール誘導体
KR810001135B1 (ko) 탈암피실린 염산염의 제조방법
FI72123C (fi) 7-/d(-)- -(4-etyl-2,3-dioxo-1 -piperazinkarboxiamido)- -(4-hydroxifenyl)acetamido/-3-/5-(1-metyl -1,2,3,4-tetrazolyl)tiometyl/- 3-cefem-4-karboxylsyrans n,n-dimetylacetamidaddukt och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denna.
KR100197788B1 (ko) 세펨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10000837B1 (ko) β-락탐계 항생물질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