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729B1 - 농업용 피복재 - Google Patents

농업용 피복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729B1
KR830001729B1 KR1019800001938A KR800001938A KR830001729B1 KR 830001729 B1 KR830001729 B1 KR 830001729B1 KR 1019800001938 A KR1019800001938 A KR 1019800001938A KR 800001938 A KR800001938 A KR 800001938A KR 830001729 B1 KR830001729 B1 KR 830001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va
coating
film
synthetic resin
co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597A (ko
Inventor
도시오 야마무라
다다마사 데라오
쓰요시 이가라시
마사도시 후루에
후꾸미 가미소노
모도후미 마쓰가와
유다까 마에다
히데히꼬 싸까다
노소무 후지사와
Original Assignee
가네보우 가부시기가이샤
이도우 춘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보우 가부시기가이샤, 이도우 춘지 filed Critical 가네보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729B1/ko
Publication of KR830002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농업용 피복재
첨부도면은 본 발명 농업용 피복재의 일례를 표시한 설명도로서,
제1도는 그 물체의 한쪽면에 피막체를 전면에 점착화 한 공극부가 없는 밀폐형 예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피막체와 그 물체를 부분적으로 점착화하고, 일부분이 그 물체만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공국부를 형성시킨 예시도.
제4도 및 제5도는 구멍을 천설하여 공극부를 형성시킨 예시도.
본 발명은 농업용 피복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흡습성, 투습성, 보온성, 채광특성 및 내후성에 뛰어난 농업용 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소채, 과수 등의 작물생육에 미치는 광량, 탄산가스농도, 온도, 습도 등의 환경인자의 영향은 극히 중요한 것이며, 현대의 농업경영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많은 종류의 농업생산 자재의 이용도 이들 작물생육 환셩을 인공적으로 호적하게 해서 재배하려고 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빛과 탄산가스는 작물생육의 근원인 광합성에 있어서 불가결한 것으로서,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광포화점, 탄산가스 보상점의 값은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많을수록 좋다. 또, 작물생육에 있어서는 온도는 광합성, 뿌리로 부터의 영양수분의 흡수 등을 포함해서 여러가지의 생리현상에 관여하는 중요한 환경인자로서, 작물생육과 온도의 관계는 작물의 종류 혹은 생육의 단계에 따라서 상이하지만 각기 생육에 적당한 온도가 있으며, 주간온도에 고온한계, 저온기의 야간 온도에 저온한계가 존재한다. 이 한계온도를 초과하면 작물은 정상적인 생육이 되지않을 뿐만 아니라 그 상태가 수시간에 걸치게 되면 말라 죽게 되어 전멸에 이르게 될때도 있다. 또한 작물생육과 습도의 관계도 극히 중요하며, 작물이 번성한 밀폐환경하에 있어서는 작물로부타의 증발소산으로 80~90%이상의 다습 상태가 되기 쉽고 이 다습 조건이 작물의 병원균 번식을 조장해서 정상적인 작물생육을 저해한다. 특히 저온기에 있어서는, 이 경향이 강하여 각종 과채를 침해하는 회색곰팡이병을 필두로 토마토의 역병, 잎곰팡이병, 오이의 노균병, 균핵병 등 다종류의 병해가 다습 조건에서 유발되며, 작물자체도 다습조건하에서는 연약하게 도장되는 생육이 되기 때문에 될 수 있는 한 습도를 내리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종래, 저온기의 소채, 과수 등의 촉성재배, 서리방제, 방한용의 농업용 피복재로서 폴리염화 비닐필름, 폴리에틸렌필름, 폴리아세트산 비닐필름 등 밀폐형의 합성수지필름 혹은 천공가공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아세트산 비닐필름 등, 환기형의 합성수지 필름 및 폴리에틸렌그물, 망사 등 그물형의 피복재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한 작물의 생육환경 조절이란 점에서 다음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결점을 가지고 있으며 만족할 만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즉, 폴리염화 비닐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아세트산 필름 등의 합성수지 필름에 있어서는, 먼저 가소재 혹은 정전기 때문에 더럽혀지기 쉽고 사용중에 투광율이 저하하여 작물생육에 불가결인 태양광선을 충분히 채광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기 쉽고 내후성이 빈약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이 불가능하며, 예를들면 하우스설치 용으로 보통 1년, 턴넬 씌우기로 무리를 해서 사용해도 2~3년이 사용 한계이며, 그 교체 비용과 교체하는데 필요한 노력은 큰 것이다. 또, 6~17μ 파장역의 적외선 투과율이 소재특성적으로 크기 때문에 낮의 온도상승은 큰 것임에도 불구하고 야간에 있어서는 피복내라 할지라도 방사냉각에 의한 기온, 지온 및 작물체온의 저하는 억제할 수 없고, 폴리에틸렌과 같은 소재에 있어서는 경우에 따라 무피복보다도 저온이 되는 일이 있어, 만족할만한 보온성을 구비하고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또한 밀폐된 피복하에 있어서는 외기와의 교환이 없기 때문에 광합성에 불가결한 탄산가스의 보급을 할 수 없는 것에 덧붙어서, 소재에 흡습성이 없기 때문에 항상 80~90% 이상의 다습조건하에 있으며 상기 설명과 여러가지의 병해발생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주간의 온도상승은 저온기라 할지라도 작물재배 기간에 따라서는 극히 크고 작물생육의 고온한계를 넘기 때문에 환기조작이 필요하게0 된다. 환기조작은 다대한 노력을 요하게 되나, 이것을 게을리 하면 작물은 정상적인 생육이 안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전멸에 이르게 되는 일도 있다.
최근 이 환기조작을 생력화 할 목적으로 천공가공을 한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아세트산 비닐필름 등의 환기형의 합성수지 필름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피복재로는 일부 환기의 효과는 확실히 생기지만, 반대로 야간의 보온성을 저하시켜 이들의 소재를 농업용 피복재에 적용하였을 때의 소재자체가 갖는 고유의 결점인 흡습성이 없고 또 투광율의 시간경과에 따른 저하에 대해서는 하등의 개량도 할 수 없다. 폴리에틸렌 고물에 대해서도 똑같은 결점을 갖고 있으며 특히 야간의 보온성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거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또, 비닐론 망사는 약간의 흡습성이 있으나, 차광성이기 때문에 작물생육에 불가결인 빛을 충분히 채광할 수 없는 위에, 공극율이 크기 때문에 야간의 보온성에 대해서도 불충분한 것이다. 보온성의 증대를 의도해서 공극율을 감소하여서는 한층 투광율은 저하해서 실용성이 빈약하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농업용 피복재가 갖는 상기 재절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흡습성, 투습성, 보온성, 채광특성 및 내후성에 뛰어나 호적한 작물생육 환경을 참조할 수 있는 신규한 농업을 피복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다른 목적 및 효과는 다음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은 폴리비닐 알코올계 합성수지 피막체와 적어도 연신 및 열처리된 폴리비닐 알코올계 합성수지 그 물체를 점착 일체화 한 적층체로 된 농업용 피복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합성수지 피막체(이하 폴리비닐 알코올을 PVA라고 약기함)라 함은 PVA 100%로 된 피막체 혹은 일반적으로 30%(몰 %, 이하같음)이하의 비율로 다른 단위체 혹은 중합체, 가장 적합하게는 올레핀류 혹은 그들의 단위체를 함유한 공중합체 혹은 혼합물 등의 변성 PVA로된 피막체를 뜻하지만, 이러한 PVA계 합성수지를 통상의 제막법, 예를들면 유연법 혹은 용해압출법 등에 의해서 피막화 된 후의 소위 미처리인 피막체라도 되고, 피막화 후 필요에 따라서 열처리 혹은 연신, 열처리 등의 처리를 한 피막체라도 된다. 특히 PVA계 합성수지 피막체 조성의 PVA비율이 높아지면 흡수, 흡수시에 현저하게 덩어리가 지거나 팽윤이 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는 상기한 열처리 혹은 연신, 열처리의 실시가 극히 효과적이며, 예를들면 PVA 100%로 된 피막체를 사용할 경우, 180~210℃의 온도로 10~30초간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실용상 바람직하다. 변성 PVA로 된 피막체는, 예를들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혹은 조립된 함수 PVA와 폴리에틸렌과의 혼합물 들을 용해압출법에 의해 피막화 하므로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러한 PVA계 합성수지 피막체는 흡습성, 투습성, 투명성, 내후성에 뛰어남과 동시에 6~17μ 파장역의 적외선 투과율이 극히 작어서 보온성도 양호하며 피복재로 하였을 경우, 다습화, 결로에 의한 병해 발생 혹은 한해, 서리피해 발생의 우려가 적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서 충분한 투명성, 채광성을 유지하고, 한편 그들 피막체의 결점인 습윤시의 치수 안정성 불량 및 저온, 저습시의 취약화는 뒤에 상세히 설명 하겠으나 상기 피막체와 같은 소재로 되고 적어도 연신 및 열처리가 실시된 치수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에 뛰어난 PVA계 합성수지 그물체와 결합적층 하므로서 피막체가 갖는 상기 제특성을 하등 손상하는 일없이 이것을 충분히 실용에 견딜 수 있는 정도까지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채, 과수 등의 서리방제, 방한, 촉성재배용 피복재로서 종래품에는 볼 수 없는 뛰어난 특성을 갖고, 더우기 내구성이 양호한 농업용 피복재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PVA계 합성수지 피막체와 결합시키는 소재로서 상기 특정의 PVA계 합성수지 그 물체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것에 의해서 PVA계 합성수지 피막체의 제특성이 유효하게 유지되고 또한 피막체와 그물체와의 적층 강도도 양호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것을 대신에 다른 소제, 통상의 부직포 등을 사용하여서는 본 발명과 같은(효과는 성취할 수 없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PVA계 합성수지 피막체는 극히 흡습성 및 보온성에 뛰어나고 있기 때문에 뒤에서도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PVA계 합성수지 그물체와 접착일체화 된 적층체에 일부분을 상기 그 물체만으로 구성시키거나 혹은 구멍을 천설해서 적당한 비율로 공극부를 형성하므로서 농업용 피복재로서 용하였을 경우, 서리방제, 방한효과에는 하등 지장을 일으키지 않고 일종 온도상승의 조절, 외기와의 교환 등을 목적으로 한 소위 환기 조작을 피복한 채의 상태에서 할 수 있는 극히 생력적 또한 유용한 농업용 피복재의 제공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최근의 농업기상, 작물 생리에 관한 연구의 진전에 따라, 태양광의 산란광이 많을수록 전 일사량이 동일한 경우에 있어서는, 작물의 광합성 속도가 촉진되어 균일하고 뛰어난 작물생육을 한다는 것이, 콩, 오이 옥수수 등의 작물에서 판명되어, 서리방제 방한성에 덧붙여 산광성에도 뛰어난 농업용 피복재가 주목을 끌고 있으며, 이 목적에 불투명 가공을 한 폴리염화 비닐필름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피복재는 확실히 산란광의 증가효과는 볼 수 있으나 불투명화로 인한 채광부족과 사용중에서의 광선 투과율의 저하가 크므로 실제로는 그다지 작물의 생육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대상작물 혹은 계절에 따라서는 수량감소 또는 연약하게 도장되는 작물생육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 현상이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적츠ㄷ체로 된 피복재에 있어서는 뒤에서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적층시 PVA계 합성수지 피막체와 PVA계 합성수지 그 물체와의 수축차를 이용하므로서 전체적으로 혹은 표면부분에 요철의 주름살을 가진 적층체로 하는 것이 용이하며, 이것에 의해서 투명성과 산란광 증가효과를 함께 가진 채광성에 뛰어난 피복재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점도 본 발명의 커다란 이점이다. 그리고 상기 산란광 증가에 의한 광합성 속도의 향상, 더우기는 작물생육의 균일화라는 관점에서 그들 요철주름살을 갖는 것이 본 발명의 피복재 중에서도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PVA계 합성수지 그물체는 상기 PVA계 합성수지 피막소재를 그믈로 구성한 것으로 적어도 연신 및 열처리가 실시된 실용적 치수 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에 뛰어나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PVA계 합성수지 피막체는 농업용 피복재로서 사용하였을 경우 작물생육에 있어서 극히 호적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나, 습윤시의 팽윤성이 커서 실용적 치수안정성이 없고 또한 저온, 저습시의 취약화로 파손되기 쉬운 결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피막체가 갖는 피복재로서 제특성을 손상하지 않고 실용화가 가능하게 하려면, 실용적 치수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에 뛰어나고 더우기 피막체와 같은 소재인 PVA계 합성수지로 된 그 물체와 적충제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것을 달성하려면 적어도 연신 및 열처리가 실시된 PVA계 합성수지 그 물체인 것이 필요하며, 연신 및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고PVA계 합성수지 피막소재를 단지 그 물체로 한 것으로는 상기의 목적을 이룰 수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은 PVA계 합성수지 그 물체이면 본 발명에 적용이 가능하나 다음에 기재하는 그물형상 부직포를 사용하면 실용적인 치수안정성, 투명성 및 PVA계 합성수지 피막체와의 적층강도라는 점에서 더욱 호적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그물형상 부직포는 PVA계 합성수지 피막체를 연신, 할섬, 열처리, 확폭해서 얻어지는 것으로, 그 방법은 공지의 어떠한 방법으로도 해도 된다. 예를들면 PVA 100%로 된 피막체를 사용할 경우는, 평균중합도 1400이상, 비누화도 98.5% 이상의 PVA 피막체를, 180℃ 이상으로 적어도 5.5배, 호적하게는 6~6.5배로 연신하고, 할섬후 200℃ 이상으로 열처리를 행하고, 이어서 클로스 가이더(Cloth guider)방식, 스프링방식 등으로 확폭하므로서 얻어진다. 이 경우, 평균중합도가 1400이상, 비누화도 98.5%이상의 PVA수지 피막체를 사용하면, 얻어지는 그물형상 부직포의 실용적인 치수안정성 및 강도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연신온도를 180℃이상으로 하면 연신성의 점에서 문제가 없고, 얻어지는 그물형상 부직포의 강도 및 실용적인 치수 안정성이 좋아서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연신 및 열처리 온도는 열 분해가 생기지 않는 온도까지, 일반적으로 200~230℃이다.
PVA게 합성수지 피막체로서 올레핀 변성 PVA합성수지 피막체를 사용할 경우는 올레핀의 함유량에 비례적으로 융점 및 열분해온도가 저하되고 또한 실용적 치수 안정성은 향상하므로 상기 PVA 100% 합성수지 피막체의 경우보다 낮은 온도로 상기 방법과 같이 연신, 할섬, 열처리를 하므로서 실용적인 치수안정 및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게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사용하는 그물형상 부직포를 구성하는 할섬유의 적어도 80%가, 일반적으로 0.5mm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mm이상의 폭을 가지고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그물형상 부직포는 상기의 할유섬조건을 적의 선정하므로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할섬유의 폭이 0.5mm보다 작으면 PVA계 피막체의 저온, 저습시의 취약화에 대한 보강효과가 불충분하여 좋지 않다. 하우스 설치용 등 고강도가 요구되는 경우는, 1mm이상의 폭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요철의 주름살을 형성시킬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에 덧붙여 동일하게 할섬유의 적어도 80%가 폭 3mm정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mm를 상회하면, PVA계 피막체와 맞붙인 후의 적층체의 요철주름살이 거칠고 또한 불균일하게 되어서 산란광의 증가효과가 빈약하고, 산광성의 점에서 좋지 않다.
또, 본 발명의 그물형상 부직또는 확폭후의 소위 그물형상 직물 그대로도 되고, 이 그물형상 직물을 가로세로에 각 1매, 경우에 따라서는 더욱 다수매를, 공지의 방법으로 적층 접착한 것으로도 되며, 나아가서는 또 보강용으로서 비닐론사, PVA계 연신테이프 등 그물형상 부직포와 밀착성이 있는 소재를 적당한 간격으로 삽입하여도 좋으나, 어느쪽 경우도 그 공극율을, 통상 70%이하, 특히 요철주름살을 형성시킬 경우에는 70%이하, 30% 이상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극율이 70%보다 크면 PVA계 필름의 저온, 저슴시의 취약화에 대한 보강효과가 불충분하여 좋지 않고, 또 주름살 형성의 경우 30%보다 작으면 PVA계 피막체와 맞붙인 후의 적층체의 요철주름살이 적어 산광성의 점에서 좋지 않다. 그물형상 직물을 가로 세로로 적층 접착하기 위한 접합제로서는, 밀착성이 있는 소재이면 좋으나, 내후성, 흡습성 투명성의 점에서 같은 소재인 PVA계 중합체, 예를들면 비닐알코올 단독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농업용 피복제는 상기 PVA계 합성수지 피막체와 PVA계 합성수지 그물체를 점착 일체화 하므로서 얻어지는 것이나, 상기 피막체를 그물체의 전면에 점착화 한 밀폐형의 것으로도 되며, 상기 피막체를 그 물체에 부분적으로 중합해서 점착화 하고 일부를 그물체 만으로 구성시키거나, 혹은 또 부분적으로 유공부를 형성시켜서 적당한 비율로 공극부를 가진 구조로 한 환기형의 것으로도 된다. 엄동기에 있어서 작물을 생육촉진, 한해 및 서리피해 방지를 목적으로 해서 낮의 온도상승, 야간의 보온을 다같이 필요로 할 경우는, 상기 밀폐형의 것을, 또 엄동기 전후의 시기에 있어서, 낮의 온도상승은 적절히 억제하고 야간의 보온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상기 환기형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호적하며, 공극부의 유무 및 공극율의 설정은 뒤에서도 설명하겠으나 간편 또한 자유롭게 설정, 형성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농업피복재에 대해서 그 일실시태양을 도면에 의해 다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 농업용 피복재의 일례를 표시한 설명도로서, (1)은 PVA계 합성수지 피막체, (2)는 PVA게 합성수지 그물체, (3)온 PVA게 합성수지 피막체와 PVA게 합성수지 그물체와의 중합부분, (4)는 공극부를 나타낸다.
제1도에 표시한 농업용 피복재는 PVA계 합성수지 그물체(이하 그물체라 약기한다) (2)의 한쪽면에 PVA계 합성수지 피막체(이하 피막체라 약기한다) (1)를 전면에 점착화 한 공극부가 없는 밀폐형의 것이지만 그 물체의 양면에 피막체를 혹은 또 피막체의 양면에 그물체를 점착하여 샌드위치 모양으로 구성한 것이라도 된다. 기타 그물체와 피막체와의 점착방법은 여러가지로 고려될 수 있으나 요컨대 피막체가 그물체에 대해서 중합된 공극부가 없는 밀폐형의 구성으로 점착하면 된다.
제2도 및 제3도는 피막체(1)와 그물체(2)를 부분적으로 점착화 하고 일부분이 그물체 만으로 구성되도록 해서 공극부(4)를 형성시킨 것으로서, 제4도 및 제5도는 구멍을 천설해서 공극부를 형성시킨 것으로서 다같이 환기형의 농업용 피복재이다. 제2도에 표시한 농업용 피복재는, 그물체(2)의 한쪽면에 피막체(1)를 부분적으로 점착한 것이나 그물체의 양면에 피막체를 부분적으로 점착하여 샌드위치 모양으로 구성한 것이라도 되고, 기타 여러가지의 점착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나 요컨대 일부를 그물체 만으로 구성하도록 점착해서 공극부(4)를 형성시키면 된다. 또, 제3도는 그물체(2)의 단부에 피막체(1)를 점착한 것이지만, 이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피막체를 그 물체의 양측에 점착해도 된다. 그리고 제3도와 같이, 그 물체의 단부에 피막체를 점착한 것 보다도 제2도와 같이, 그 물체를 겹치게 해서 피막체에 점착한 쪽이 치수안정성 및 강도의 점에서 호적하다.
제4도에 표시한 농업용 피복재는 미리 구멍을 천설 형성시킨 피막체(1)의 한쪽면에 그물체(2)를 점착한 것이지만, 피막체의 양면에 그 물체를 샌드위치 모양으로 점착한 것으로도 된다. 기타 그 물체의 양면에 투공부가 일치하도록 피막체를 샌드위치 모양으로 구성한 것이라도 좋고, 요컨대 투공부가 그 물체만으로 구성되도록 점착하면 된다.
제5도는 피막체(1)와 그물체(2)를 점착한 후에, 투공부를 천설시킨 것으로서, 이 경우도 그 구성은 피막체의 양면에 그물체를 혹은 반대로 그물체의 양면에 피막체를 샌드위치 모양으로 점착한 것이라도 된다. 그리고 제5도에 표시한 것으로도 투공부의 단부가 강도가 뛰어난 그 물체로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찢어지거나, 파손되기 어려워 실용적 강도에 뛰어난 것이지만, 제4도에 표시한 피복제와 같이 투공부가 그 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 쪽이 찢어짐이나 파손에 대한 실용적 강도의 점에서 보다 호적하다. 구멍을 천설시키는 방향은 공지의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도 된다. 예를들면 원형 절단기가 붙은 프레스반으로 단속적으로 천공하는 방법 혹은 원형절단기가 붙은 회젖로울러로 연속적으로 천공하는 방법등에 의해 용이하게 구멍을 천설시킬 수가 있다. 또, 투공부는 상기와 같이 미리 피막체에 구멍을 천설시킨 후 그 물체와 점착해도 되고, 피막체와 그물체를 점착한 후 구멍을 형성시켜도 좋으나 실용적 강도의 점에서 보다 전자의 폭이 호적하다. 또, 본 발명 농업용 피복재는 상기 설명과 같은 투명형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카아본블랙, 알루미늄 분말 등 무기 혹은 유기질의 안료로 염착하여 사용목적에 맞는 차광성을 부어시켜도 되고, 특정 파장역의 빛을 흡수하는 조제을 첨가해서 광 선택성을 부여시커도 된다. 기타 작물을 재배할 경우의 사용목적에 따라서 조제를 첨가하는 등의 각종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특히 하절기에 있어서 낮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적온하에서 작물을 재배하려고 하는 소위 보냉재배용 으로서는 카아본 블랙 혹은 알루미늄 분말로 염착한 것, 특히 알루미늄 분말로 염착한 것이 차열성에 뛰어나 높은 효과를 발휘하고 또 동절기의 하우스 재배에 있어서는, 알루미늄 분말로 염착한 것을 하우스의 커어텐에 이용한 경우, 소재특성에 덧붙어 알루미늄의 효과에 의해 높은 보온성을 나타내어 에너지 절약형 농업의 실현에 더욱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피막체와 그 물체를 맞붙이기 위한 점착제로서는 밀착성, 내후성, 흡습성, 투명성의 점에서 상기 그 물형상 부직포의 제조에서와 마찬가지인 PVA계 중합체, 예를들면 비닐알코올 단독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호적하다.
이상 본 발명 농업용 피복재의 일실시 태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제1도에 표시함과 같은공극부가 없는 밀폐형의 피복재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낮의 온도상승, 야간의 보온성 다같이 필요로 하는 엄동기의 작물 재배에 있어서 극히 호적하다.
또 제2도 내지 제5도에 표시함과 같은 공극부를 가진 환기형의 피복재는 적절한 공극율의 설정에 의해 낮의 온도상승을 적온으로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야간의 보온성도 충분히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엄동기 전후의 시기에 있어서의 작물재배에 호적하며, 다대한 노력을 요하는 환기조작을 생력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공급율의 설정은 작물의 종류 혹은 작물재배기간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는 70%이하, 바람직하게는 5~2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로 하는 것이 낮의 승온억제 환기성및 야간의 보온성의 점에서 호적하며, 또, 구멍을 천설시킬 경우에 있어서는, 투공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1~10cm, 바람직하게는 1~5cm로 하는 것이 상기와 마찬가지 이유로 호적한 것이다. 또한, 그 물체와 피막체는 그 중합체 조성이 동일한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한쪽 조성이 예를들면 올레핀류의 공중합비 혹은 혼합비가 큭 경우, 다른쪽의 조성을 올레핀류의 공중합비 혹은 혼합비를 작게한 것, 바람직하게는, PVA 100%로 되게 하는 편이 흡습성, 투습성, 투명성, 6~17μ 파장역의 적외선 투과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 물체와 피막체를 맞붙이는 구체적인 방법은 공지인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도 된다. 예를들면, 그 물체에 로울코터(roll cotter)법, 침지법 등 공지의 방법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후, 피막체를 맞붙어서 건조하거나, 혹은 그 물체로 해서, 확폭후의 그물형상 직물을 가로 세로 각 1매 이상 적층 접착한 것을 사용할 경우라면, 보다 호적하게는 피막체를 상기 적층 접착과 동시에 맞붙이면 된다. 다만, 그 물체와 피막체와의 첩합조건에 있어서 100℃ 전후의 고온화도 건조를 행할 경우에는 그 물체는 그 제조조건 혹은 이것을 구성하는 PVA게 중합체의 조성에 따라서는 0~10% 정도의 범위로 수축하는 일이 있으므로 후술하는 요철주름살을 형성시킬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판판하게 당긴 상태에서 맞붙임 및 건조를 행하는 것이 좋고 또 다시 문제가 있는 경우는, 첩합, 건조에 앞서서, 미리 건조와 동일조건 하에서 그 물체에 수축처리를 하고, 건조공정에서의 수축을 거의 0으로 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 평활성이 뛰어난 적층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 요철주름살이 있는 적층체를 제조하려면, 상기와 같이 해서 얻어진 평활한 적층체에 기계적으로 주름살 형성을 행하는 방법도 있으나 보다 좋게는 피막체와 그 물체와의 수축차를 이용하는 방법, 즉 피막체와 그 물체와의 수축차를 이용하는 방법, 즉 피막체의 평형습윤 후의 건조공정 수축율과 그 물체의 건조공정 수축율과의 차가 생기도록 조정한 다음, 피막체를 평형습윤 상태로 유지시킨 상태로 그 물체에 맞붙어, 건조 수축시켜서 주름살을 나타나게 하는 방법에 의하는 것이 조작이 간편하며, 또 주름살이 나타나는 상태도 양호해서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 그 물체로서 전술과 같은 공극율 및 할섬유폭을 가진 것을 사용하고, 또한 피막체의 습윤도를 평형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렇게 하므로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요철 주름살이 형성된 산광성이 뛰어난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피막체를 평형상태에 까지 습윤시키지 않고 맞붙여서, 건조하였을 경우는, 요철주름살이 불균일하고 또한 불충분하게 되어서 좋지 않다.
또, 그물체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이 그 건조공정 수축율을 사용하는 PVA계 중합체의 조성,혹은 연신 열처리 조건에 의해서, 경우에 따라서는 10% 정도까지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이 성질만을 이용해서 피막체를 습윤시키지 않고 맞붙여 수축, 건조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피막체 특히 PVA성분의 커다란 피막체는 습윤하에서의 팽윤속도가 극히 크기 때문에, PVA 수용액등, 피막체를 팽윤시키기 쉬운 접착제 등을 사용해서 맞붙이도록 할 경우, 피막체가 단시간에 불균일하게 팽윤된 상태로 그 물체와 맞붙어지기 때문에, 얻어지는 적층체의 요철 주름살이 불균일하고 또한 불충분할 뿐 아니라 피막체와 그 물체의 밀착성이 빈약하게 될 경향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는 상기 평형 습윤 상태의 피막체를 사용하는 방법에 의하는 것이 좋다. 피막체의 건조 공정의 수축율은 습윤하여서의 평형 팽윤도에 상당하는 것으로, 이 조정은 피막체의 조성은 열처리조건의 선정에 의해 이것을 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PVA 100% 피막체에서 200℃의 열처리로 10%, 에틸렌 30% 공중합 피막체에서는 150℃의 열처리로 약 4%로 조절할 수 있다. 또 평형 습윤상태로 하려면 일정시간 예를들면 수중에 체류시키면 된다.
본 발명 농업용 피복제는 흡습성, 투습성, 투명성, 내후성에 뛰어난 PVA계 중합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더럽혀지기 어렵고 시간경과에 따른 투광율의 변화가 작아서 장기간의 사용을 할 수 있는것 및 피복하의다습화를 방지하고 작물의 다종류의 병해를 방제할 수 있는 것 또 6~17μ 파장역의 적외선 투과율이 극히 낮으므로 야간의 방사냉각의 저지능력에 뛰어나 보온성이 높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또 일부분을 공극부로해서 환기성을 부여시킨 본 발명 농업용 피복재에 있어서는 상기 제 특성에 덧붙여서 외기와의 교환을 할 수 있고, 낮은 승온억제. 탄산가스 보급 등의 환기조작이 피복한 채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균일한 요철주름살을 형성시킨 본 발명 농업용 피복재에 있어서는 다시 상기 특성에 덧붙여서 태양광을 산란시켜 작물의 광합성 촉진, 균일한 생육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한다.
[태양광의 투과율]
조도계에 의해 무피복하의 태양광 조도(ℓ0)와 같은 시각으로 높이 50㎝의 위치에 시료를 삽입하였을 때의 태양광 조도(ℓ1)를 측정하여 다음식에 의해 구하였다.
태양광 투과율(%)= ℓ1/ℓ0×100
또, 시간경과에 의한 변화는 시료를 실제로 터널피복법으로 일정기간 사용한 후의 태양광의 투과율을 상기 방법으로 측정해서 구했다.
[흡습율]
20℃로 일정습도 조건하(40% RH~95% RH)에 일주야 방지하였을 때의 시료의 중량(W1)과 이 시료를 50℃로 10시간 진공건조를 행하였을 때의 절대건조 중량(W0)을 측정해서 다음식에 의해 구했다.
Figure kpo00001
[투습율]
JIS Z-208에 의해 온도 40℃에 있어서 시료를 경계면으로 해서 한쪽의 공기습도를 90%, 다른쪽의 공기를 흡습제에 의해서 건조상태로 유지하였을 때에 24시간에 경계면을 통과하는 수증기의 중량(g)을 측정하여 시료 1㎡당으로 환산해서 구했다.
[6~17μ 파장역의 적외선 투과율]
적의 분광광도계(히다찌세이사구쇼제 225형)에 의해 6~17μ 파장역의 적외선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해서 구했다.
[6~17μ 파장역이 적외선 투과율]
적외 분광광도계(히다찌세이사구쇼제 225형)에 의해 6~17μ파장역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해서 구했다.
[낮은 온도상승도, 야간 보온도]
정면폭 약 1.2m, 약0.6m, 정장 약 20m의 터널 피복하의 낮 최저온도(t1)와 야간의 최저온도(t2), 및 무피복하의 낮의 최고온도(t3)와 야간 최저온도(t4)를 각기 지상 15cm의 높이에서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구했다.
낮 온도상승도(℃)=t2-t3
야간 보온도(℃)=t1-t4
[광합성 속도]
시료에 의해 밀폐피복된 높이 40cm, 폭 60cm, 길이 80cm의 터널내에 작물을 넣고 5월의 맑은 하늘 밑에 5시간 광합성을 행하였다. 초기 및 5시간 경과후의 탄산가스 농도를 적외선 가스 분석계로 측정하고, 작물의 잎면적 1㎡가 한 시간 당에 소비하는 탄산가스량을 산출해서 구했다.
[내후성]
기상계로, 150시간 햇빛을 쬔후의 시료의 장력강도(S1)와 햇빛을 쬐이기 전의 시료의 장력강도(S0)를 장력형 인장시험기로 측정하여 다음식으로 햇빛을 쬔 후의 강도유지율을 구했다.
강도유지율(%)=S1/S0×100
[실시예 1]
평균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9%의 PVA 100% 피막체(두께 60μ)를 190℃에서 6배로 연신, 할섬후 200℃ 30초간 열처리를 행하여 연신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확폭해서 얻어진 그물형상 직물을, 평균중합도 1400, 비누화도 99.9%의 PVA 9% 수용액을 사용해서 가로세로로 각 1매 적충 접착한 그물형상 부직포를 제조함에 있어, PVA계 피막체(두께 50μ)를 상기 적층접착과 동시에 맞붙어, 100℃의 온도로 팽팽하게 당겨서 건조를 행하여 표면이 실질적으로 평활한 적충체(적충직물/피막체적층)을 제조하였다. 이 경우 그물형상 직물의 확폭비를 조절해서 그물형상 부직포의 공극율을 30%로 하고, 이곳과 205℃에서 열처리한PVA 100% 피막체로 된 본 발명품 1, 에틸렌 10% 공중합의 PVA피막체로 된 본 발명품 2, 및 에틸렌 30% 공중합의 PVA 피막체로 된 본 발명품 3을 얻었다. 본 발명품과 종래품에 대해서 제 1표에 태양광 투과율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제2표에 흡습율 및 투습율을, 또 제3표에 6~17μ 파징역의 적외선 투과율 및 보온특성을 각각 표시하였으마, 이 결과에서 본 발명품이 비해 어떻게 투명성, 흡습성, 투습성, 보온성에 뛰어나고, 작물재배에 대해서 호적한 피복자재인가가 명백하다.
[제 1 표]
Figure kpo00002
주(1) 필름두께 50μ
[제 2 표]
Figure kpo00003
[제 3 표]
Figure kpo00004
주(1) 12월 ~2월
[실시예 2]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그물형상 부직포를 제조함에 있어, 열처리 후 상온의 평형 습윤시킨 PVA계 피막체(두께 50μ)를 그물형상 적층접착과 동시에 맞붙인 후, 80℃에서 수축건조를 행해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요철주름살을 갖는 적층체를 얻었다. 이 경우 그물형상 직물의 확폭비와 PVA계 피막체의 조성 및 열처리 조건을 조절해서, 공극을 30%의 그물형상 부직포와 205℃에서 열처리한 PVA 100% 피막체로 된 본 발명품 4, 공극율 30%의 그물형상 부직포와 150℃에서 열처리한 에틸렌 30% 공중합의 PVA피막체로 된 본 발명품 5, 및 공극율 70%의 그물형상 부직포와 205℃에서 열처리한 PVA 100% 피막체로 된 본 발명품 6을 얻었다.
본 발명품은 4~6은, 태양광의 투과성, 흡습성, 투습성 6~17μ 파장역의 적외선 투과성에 있어서는 본 발명품 1~3과 대략 같은 정도의 특성을 갖고 있었으나, 제4표에 작물 광합성 속도의 측정결가의 일례를 표시함과 같이, 본 발명품 4~6은 본 발명품 1~3과 비교해서 광합성 속도가 빠르고 균일한 요철의 주름살형성에 의한 산란광의증가효과가 명백하다. 또한, 종래의 산광성 자재인 불투명 폴리염화 비닐필름과의 대비에서도, 본 발명품 4~6은 사용직후의 광합성 속도에 있어서 우수할 뿐 아니라, 6개월 사용후에 있어서는, 시간경과 따른 태양광 투과율의 감소가 불투명 폴리염화 비닐필름에 비해 극히 작기 때문에, 이 필름과의 광합성 속도의 차가 한층 현저하게 된다.
[제 4 표]
Figure kpo00005
(주) 대상작물 : 대두
[실시예 3]
본 발명품과의 비교로서, 본 발명의 그물형상 부직포 대신에 비닐론 망사(구라레 제. "구레모나 망사"#00), 폴리에스테르 스판본드 부직포(유니티카제. "라브시이드"20407) 및 폴리에틸렌그물(닛세끼가 가꾸제. 닛세끼와 리후" S형)을 사용해서 PVA 100% 피막체(50μ)와 맞붙여 실질적으로 평활한 표면을 갖는 적층체(대조품 1~3)를 얻었다. 제5표에 본 발명품 1과 대조품 1~3의 태양광 투과율, 내후도 및 흡습율의 비교예를 표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품의 그물형상 부직포 이외의 보강용 자재와의 맞붙임에서는 PVA계 피막체의 특성을 저하시키거나, 보강용 자재의 내후도 부족 때문에 실용적인 보강효과가 얻을 수 없어 적합하지 않다.
[제 5 표]
Figure kpo00006
주 (1) 태양광 투과율……미사용품의 측정치
(2) 흡수율……20℃, 60% RH하에서의 측정치
(3) 내후성……PVA계 피막체와 맞붙인 보강용 자재 단독으로서의 내후시헐 결과
[실시예 4]
실시예 1의 본 발명품 1~3과, 본 발명품 1~3의 제조에 사용한 PVA계 피막체 단독품을 단독품을, 앞면폭 약1.2m, 높이 약 0.6m, 전장 20m의 터널 피복법으로 실용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의 개요를 제6표에 표시하였으나, PVA계 피막체 단독으로 실용적인 치수 안정성이 충분하지 않고, 또 저온 저습시의 취약화로 파손되기 쉽기 때문에 농업용 피복자재로서는 실용화 할 수 없는 것에 대해, 본 발명품은 하등의 지장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한 것이다.
[제 6 표]
Figure kpo00007
주 (1) ◎ : 우, ○ : 양, △ : 약간불량, × : 불량
(2) 시험시기 11~3월
[실시예 5]
실시예 1의 본 발명품 1 및 3과, 종래품의 폴리염화 비닐필름 및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해서, 실제의 작물에 대해 재배시험을 다음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결과의 개요는, 폴리에틸렌구에서는 야간의 보온성이 없기 때문에 정상적인 생육을 할 수 없고, 또 폴리염화 비닐구에서는 수확직전의 서리가 내린날에 완전한 시리방제를 할 수 없어서 약 20%의 서리피해를 받았으나, 본 발명품구에서 서리방제성도 충분하며 서리피해를 받는 일도 없이 양호한 수확을 할 수 있었다.
(1) 피복재료……본 발명품 1 및 3 폴리염화 비닐필름(씨아아이가세이제, 두께 75μ)
폴리에틸렌필름(세끼스이가세이제, 두께 75μ)
(2)공시작물……서양상치(품종 그레이트 레이크스 54)
(3) 파종, 이식……11월 6일 이랑나비 140㎝, 전장 20㎝의 시험구에 줄사이 30㎝, 그루사이 30㎝로 3줄 심기를 하였다.
(5) 피복기간……12월 20일부터 수확까지 실시
(6) 피복방법……높이 약 50㎝로 이랑 전폭에 터널피복을 행하였다.
환기는 관행되로 약 25℃를 넘지않도록 밑을 열어서 행하였다.
(7) 방 제……각구 다같이 밑을 열어서 3회 행하였다.
(8) 수 확……2월 2일~2월 10
[실시예 6]
실시에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그물형상 부직포를 제조함에 있어서 그물형상 직물의 확폭비를 조절해서 그물형상 부직포의 공극율을 60%로 하고, 이것에 PVA계 피막체를 상기 적층접착과 동시에 중앙부가 그물형상 부직포만이 되도록 부분적으로 맞붙여 100℃의 온도로 팽팽하게 당겨서 건조하고 공극부를 가진 본 발명품을 제조하였다. 이 경우 전체의 공극율을 10%로 조절하여 맞붙이는 PVA계 피막체가 205℃에서 열처리된 PVA 100%로 된 본 발명품 7, 에틸렌 10% 공중합의 PVA로 된 본 발명품 8, 에틸렌 30%의 공중합의 PVA로 된 본 발명품 9, 및 맞붙이는 PVA계 피막체로서 205℃에서 열처리된 PVA 100% 피막체를 사용해서 전체의 공극율이 5%인 본 발명품 10, 전체의 공극율이 15%인 본 발명품 11, 전체의 공극율이 20%인 본 발명품 12를 얻었다.
본 발명품 7~12는 태양광의 투과성, 흡습성, 투습성 및 6~17μ 파장역의 적외선 투과율은 본 발명품 1~6과 마찬가지로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 환기성의 효과를 목적으로 본 발명품 7~12와 종래의 농업용 피복재를 사용해서 다음 방법으로 피복시험을 실시하고 피복내의 온도 측정을 행하였다. 제7표에 그 결과의 일례를 표시하였으나, 본 발명품이 낮의 온도상승도가 적어 적당한 온도로 조절할 수 있는 위에 야간보온도로 폴리염화비닐 이상이며 종래품의 농업용 피복재에 없는 작물재배에 있어서 극히 호적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명백하다. 즉 본 발명품을 저온기의 작물재배용 피복재로서 사용하였을 경우 낮의 온도상승도를 적당한 온도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환기를 할 필요가 없게 되어 노력절약이 될 뿐만 아니라 야간의 보온성도 충분하다는 것에 대하여 종래품의 폴리염화비닐필름, 폴리 에틸렌필름과 같은 밀폐피복재로는 낮의 온도상승도가 너무 크기 때문에 환기조작에 다대한 노력의 소요가 불가결하며, 또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한 공극율에 천공가능한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에틸렌 등의 필름으로는 낮의 온도 상승도는 억제할 수 있어도 반대로 야간의 보온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1) 피복제……본 발명품 7~12 폴리염화비닐필름(씨이아이가세이제, 두께 50μ)
폴리에틸렌필름(세끼스이가세이제, 두께 50μ)
폴리아세트산비닐필름(미쓰이가가꾸제, 두께 50μ)
천공폴리에틸렌필름(도오교오도바리제, 두께 50μ)
천공폴리아세트산 비닐필름(사까다슈묘오 펀치필름, 두께 50μ)
(2) 피복방법……이랑나비 140cm, 전장 10m의 시험구에 높이 약 50cm로 이랑 전폭에 터널피복을 행하였다.
[제 7 표]
Figure kpo00008
주 (1) 1~3월의 측정결과
[실시예 7]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그물형상 부직포를 제조함에 있어 그물형상 직물의 확폭비를 조절해서 그물형상 부직포의 공극율을 50%로 하고 이것에 미리 원형절단기가 붙은 회전로울러로 연속적으로 천공해서 직경 5cm의 구멍을 천설시킨 PVA계 피막체를 상기 적층접착과 동시에 맞붙여서, 100℃의 온도로 팽팽하게 당겨서 건조하여 본 발명품을 제조하였다. 이 경우, 전체의 공극율을 10%로 조절하여 맞붙이는 PVA계 피막체가 205℃로 열처리 된 PVA 100%로 된 본 발명품 13, 에틸렌 10% 공중합의 PVA로 된 본 발명품14, 에틸렌 30%의 공중합의 PVA로 된 본 발명품 15 및 맞붙인 PVA계 피막체로서 PVA 100% 피막체를 사용하고, 공극율이 5%인 본 발명품 16, 공극율이 15%인 본 발명품 17, 공극율이 20%인 본 발명품 18을 얻었다. 본 발명품 13~18은 실시예 6의 본 발명품 7~12와 동등한 농업용 피복재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환기조작의 노력절감화를 할 수 있는 촉성재배, 방한 서리방제용의 피복재로서 호적하다는 것이 제표의 결과에서 명백하다.
(1) 피복제……본 발명품 13~18 폴리염화비닐필름(씨아아이가세이제, 두께 50μ)
폴리에틸렌필름(세끼스이가이세이제, 두께 50μ)
폴리아세트산비닐필름(미쓰이가가꾸제, 두께 50μ)
천공폴리에틸렌필름(도오교오도바리제, 두께 50μ)
천공폴리아세트산비닐필름(사까다슈묘오천공필름, 두께 50μ)
(2) 피복방법……이랑나미 140㎝, 전장 10m의 시험구에 높이 약 50㎝로 이랑 전폭에 터널피복을 행하였다.
[제 8표]
Figure kpo00009
실시예 6의 본 발명품 7 및 실시예 8의 본 발명품 14와 종래품인 폴리염화 비닐필름 및 천공폴리아세트산 비닐필름을 사용해서 실제로 작물에 대해서 재배시험을 다음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결과의 개요는 폴리염화 비닐구에서는 야간의 보온성, 즉 방한, 서리방제 효과는 문제가 없었으나, 낮은 온도상승이 크기 때문에, 다대한 노력이 들여서 환기를 행할필요가 있으며, 또한 피복내가 다습하게 되기 쉬워서, 약 20%의 병해를 입은 그루가 발생하였다. 또, 천공폴리아세트산 비닐필름구에서는 낮은 온도상승은 대체로 적당하여 환기의 필요는 없었으나 야간의 보온성이 빈약하고 생옥촉진이 불충분하고 또한 동해와 서리의 피해를 받아서 상급품을 얻을 수 없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구에서는 낮의 온도상승도 적절하고 환기가 필요없으며, 또한 야간의 보온성도 충분해서 해와 서리피해를 받는일 없이 양호한 수확이었다
(1) 피복재……본 발명품 8 및 14 폴리염화비닐필름(씨이아이가세이제, 두께 75μ)
천공폴리아세트산비닐필름(사까다슈묘오 천공필름, 두께 50μ)
(2) 공시작물……산동배추
(3) 파종기……2월 1일
(4) 파종량……1아르당 250cc
(5) 시험구……이랑나비 1.1m, 길이 20m의 시험구에 괭이폭으로 4를 뿌림
(6) 피복방법……2월 1일부터 수확일까지
(8) 솎 음……면적당의 포기수를 일정 하기 위해서 5cm 포기간격이 되게 솎음
(9) 시 비 량……1아르당 유안 6.0㎏, 과석 2.5kg, 용인 2.5kg, 염화가리 1.5kg
(10) 기 타……관행과 같음

Claims (1)

  1.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수지 피막체와 적어도 연신 및 열처리가 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수지 그물체를 점착 일체화 한 적층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피복재.
KR1019800001938A 1980-05-17 1980-05-17 농업용 피복재 KR830001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938A KR830001729B1 (ko) 1980-05-17 1980-05-17 농업용 피복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938A KR830001729B1 (ko) 1980-05-17 1980-05-17 농업용 피복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597A KR830002597A (ko) 1983-05-30
KR830001729B1 true KR830001729B1 (ko) 1983-09-02

Family

ID=1921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938A KR830001729B1 (ko) 1980-05-17 1980-05-17 농업용 피복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7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597A (ko) 198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18533A (en) Composite sheets for agricultural use
KR20130033741A (ko) 인삼재배용 보온덮개 겸용 차광막 및 그 제조방법
KR830001729B1 (ko) 농업용 피복재
TWI668256B (zh) 基於保留特定波長之透光材料,其隔熱複合材料及其複合載體
KR102141338B1 (ko) 인삼재배용 보온덮개 겸용 차광막 및 그 제조방법
KR102411355B1 (ko) 필름농법을 위한 농작물 재배시설
JPS62223A (ja) 通気性薄膜状資材
JPS6174522A (ja) 農業用被覆資材
JP2009241364A (ja) 保温シート
KR102059778B1 (ko) Uv코팅층과 방습코팅층을 구비한 농업용 단열원단
JP2619313B2 (ja) 遮熱用被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44136B2 (ja) 農業用被覆資材
JPS6344820A (ja) 植物を直接被覆する保護シ−ト
JP4077686B2 (ja) 生分解マルチフィルムを用いた栽培方法
JP3760054B2 (ja) 農産用被覆メッシュ材
JP2004238784A (ja) 遮熱シートおよび農業用被覆シート
JP2001275498A (ja) 農園芸用シート及びこの農園芸用シートを用いた栽培装置
JPH07274742A (ja) 虫忌避性を有する農業用被覆資材とその製造方法
RU216638U1 (ru) Фольгированный укрывной материал
JPS5928420A (ja) 農業用被覆材
JPS5947989B2 (ja) 農業用被覆資材
JPH0330658A (ja) 褐色種葉たばこ乾燥用被覆材及び褐色種葉たばこ乾燥用ハウス
JPH0427319Y2 (ko)
JPS6038094B2 (ja) 作物の栽培方法
JPH048771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