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591B1 - 3-엑소 메틸렌세팜 설폭사이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엑소 메틸렌세팜 설폭사이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591B1
KR830001591B1 KR1019790003526A KR790003526A KR830001591B1 KR 830001591 B1 KR830001591 B1 KR 830001591B1 KR 1019790003526 A KR1019790003526 A KR 1019790003526A KR 790003526 A KR790003526 A KR 790003526A KR 830001591 B1 KR830001591 B1 KR 830001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o
complex
methyl
chlorosulfinyl
azetid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3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292A (ko
Inventor
타센추
Original Assignee
아디 알. 웨일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디 알. 웨일,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아디 알. 웨일
Publication of KR830001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5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02Preparation
    • C07D501/08Preparation by forming the ring or condensed r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3-엑소 메틸렌세팜 설폭사이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3-엑소 메틸렌세팜 설폭사이드 에스테르의 개선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딘-4-온으로부터 3-엑소 메틸렌세팜 설폭사이드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2-클로로설피닐 아제티디논을 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옥소 리간드 화합물 존재하에 염화 제 2주석과 반응시켜, 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 염화 제 2주석 및 옥소 리간드 화합물로 생성된 불용성 복합체를 제공한다.
비균질 조건하에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 이 폐환되는데, 이는 통상의 온도에서 고체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복합체를 하이드록시-함유 화합물로 분해시키면, 3-엑소 메틸렌세팜 설폭사이드 에스테르가 놀라운 수율로 복합체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 방법의 특성은, 프리델-크라프츠 촉매인 염화 제 2주석으로 2-클로로로설피닐 아제티디논을 폐환시킬때, 에테르 및 케톤같은 옥소 리간드-생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옥소 리간드 화합물을 사용하므로써 염화 제 2주석 및 2-클로로설피닐아제디논으로부터 보다 안정한 복합체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공정은 페니실린 설폭사이드 에스테르를 사용한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의 제조과정과 함께 유리하게 수행된다. 즉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을 분리하지 않고, 3-엑소 메틸렌세팜 설폭사이드 에스테르로의 폐환 단계에서 직접 염화 제 2주석 복합체를 생성시킨다.
루이스산-형태의 프리델-크라프츠 촉매, 브론스태드 양성자 산-형태의 프리델-크라프츠 촉매, 또는 복분해성 양이온-생성제를 사용한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의 폐환은 미합중국 특허 제 4,052,387호에서 Kukolja에 의해 기술된 바 있다. 폐환에 의해 3-엑소 메틸렌세팜 설폭사이드 에스테르가 생성된다. 이 방법은 페니실린 설폭사이드 에스테르를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 중간체를 거쳐 3-엑소 메틸렌세팜 에스테르 설폭사이드로 전환시키는 2단계 공정으로 유용하다. 2단계 공정은 다음의 일반화된 반응도식으로 설명된다.
Figure kpo00001
2단계 공정에 따른 2-클로로설피닐 아제티디논의 제조 및 그 사용이 Chou의 미합중국 특허 제 4,075,203호에 기술되어 있다. 1978년 11월 13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 960,347호 및 1979년 6월 18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 49,266호에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 중간체의 개선된 제조방법이 기술되어 있는데, 이 방법에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 4,075,203호와는 달리 에폭사이드 또는 에폭사이드-산화 칼슘 혼합물 대신에 염화수소-결합제로써 불용성 폴리비닐 피리딘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3-엑소 메틸렌세팜 설폭사이드로의 프리델-크라프츠 촉매화 폐환 반응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을 중간체로 사용한다.
따라서, 상술한 2-단계 공정은 페니실린-형화합물로부터 세팔로스포린-형 화합물을 제조하는 한 방법을 나타내는데, 이는 페니실린 설폭사이드 에스테르의 데스 아세톡시세팔로스포린 에스테르의 산 촉매화 열재배반응을 기술한 Morin 및 Jackson의 미합중국 특허 제 3,275,626호의 방법과는 다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일반식(1)로 나타내는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딘-4-온을 거의 무수 조건하에 불활성 유기 용매중에서 옥소 리간드 화합물 존재하에 염화제 2주석과 반응시켜,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 염화제 2주석 및 옥소 리간드 화합물로 형성된 불용성 복합체를 생성한다.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R은 카복실산 잔기를 나타내고,
R1은 카복실산-보호 그룹이다.
복합체를 약 3내지 24시간 교반하면 이 동안에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의 3-엑소 메틸렌세팜 설폭 사이드 에스테르로의 폐환 반응이 고체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이어서 복합체를 여과, 원심분리, 경사, 또는 다른 통상적 방법으로 유기용매로부터 분리하여 저급 알콜과 같은 하이드록시-함유 화합물로 처리하여 복합체를 분해시켜, 일반식(2)로 나타내는 3-엑소메틸렌세팜 설폭사이드 에스테르를 생성한다.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R 및 R1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과정에서 염화 제 2주석-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 복합체 제조중에 옥소리간드-생성 화합물을 사용한다. 옥소 화합물은 전자쌍의 공여체 역할을 하여 주석원자와 배위 공유 결합을 생성하여, 복합체의 일부를 이룬다. 본 발명 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옥소 화합물은 저급 알킬 에테르, 사이클로알킬 에테르, 저급알킬케톤, 사이클로알킬케톤, 트리-저급알킬 포스핀 옥사이드, 트리사이클로알킬 포스핀 옥사이드 및 트리아릴 포스핀 옥사이드이다. 본 발명의 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옥소 화합물은 다음 일반식으로 나타낸다.
저급알킬 에테르
Figure kpo00004
(a) 사이클로알킬에테르
Figure kpo00005
(a')
저급알킬 케톤
Figure kpo00006
(b) 사이클로알킬 케톤
Figure kpo00007
(b')
포스핀옥사이드
Figure kpo00008
(c)
상기식에서 각각의 R2는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측쇄 C1-4 알킬이며,
R2'는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측쇄 C1-4 알킬, C5또는 C6사이클로알킬 그룹, 페닐 또는 C1-C4알킬, C1-C4알콕시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이고,
Z는 CH2, -CH2-CH2-O-CH2-CH2-또는 -CH2-O-CH2-CH2-이며,
m는 4 또는 5이고,
Z'는
Figure kpo00009
이며 각각의 R0 2는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n은 3내지 6의 정수이다.
일반식(a)로 나타낸 저급알킬 에테르로는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디-n-프로필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n-부틸 에테르, 메틸 에틸에테르, 메틸-n-프로필에테르, 메틸-2급-부틸 에테르등이 있다. 일반식(a')인 사이클로알킬 에테르의 대표적 예로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테트라하이드로피란, 1,4-디옥산 및 1,3-디옥산이 있다. 일반식(b)로 나타낸 저급 알킬 케톤으로는 아세톤, 메틸에틸 케톤, 디에틸케톤, 디-n-프로필케톤, 디-이소프로필 케톤, 메틸-이소프로필 케톤, 디-n-부틸 케톤, 디-2급-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 케톤, 디-2급-부틸 케톤, 메틸-이소-부틸 케톤, 및 유사한 저급알킬 케톤이 있다. 일반식(b')로 나타낸 사이클로알킬 케톤으로는 사이클로부타논, 사이클로헥사논, 사이클로헵타논, 3-메틸사이클로헥사논, 3,4-디에틸사이클로펜타논, 3,5-디메틸사이클로헥사논, 4-t-부틸사이클로헥사논, 및 유사한 사이클로알킬 및 치환된 사이클로알킬케톤이 있다. 일반식(C)로 나타낸 저급알킬-,사이클로 알킬-, 페닐-및 치환된 페닐-포스핀 옥사이드로는 트리메틸포스틴 옥사이드, 트리부틸포스핀 옥사이드 트리-n-프로필포스핀옥사이드, 트리-n-프로필 포스핀 옥사이드, 트리사이클로헥실포스핀 옥사이드, 트리페닐포스핀옥사이드 및 트리-(P-톨릴) 포스핀옥사이드, 트리-(P-클로로페닐)포스핀 옥사이드같은 치환된 트리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및 유사한 저급알킬-,사이클로알킬-, 페닐-및 치환된 페닐-포스핀 옥사이드가 있다.
상술된 옥소 화합물은 본 발명 공정에서 두가지 기능을 갖는다. 먼저, 이들은 산소원자 상에서 염화제 2주석의 주석 원자와 함께 전자쌍에 의해 배위 결합을 이루어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에 대한 할로겐화 주석의 반응성을 낮추며, 두번째로, 이들은 염화 제 2주석-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 복합체와 리간드를 생성하여 복합체를 보다 안정화시킨다. 옥소 리간드는 복합체의 중심 주석 원자와 배위 공유 결합을 생성하여 폐환에 앞서 복합체를 파괴시킬 수도 있는 반응매질내습기의 영향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옥소 화합물은 보다 안정한 복합체의 생성을 가능케하는데, 복합체내에서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의 3-엑소메틸렌세팜설폭사이드로의 폐환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공정을 수행하는데 있어, 염화제 2주석을 가하기에 앞서 옥소 화합물을 먼저 2-클로로아제티디논 용액에 가하거나, 염화제 2주석과 옥소 화합물을 불활성 유기용매내에서 혼합하여 2-클로로아제티디논용액에 함께 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행에서는 염화제 2주석을 가하기 전에 먼저 옥소 화합물을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 용액에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옥소 화합물은 디에틸 에테르, 아세톤 및 디에틸 케톤이다.
염화 제 2주석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옥소 리간드 복합체의 구조는 아직 결정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염화 제 2주석 및 아제티디논의 설피닐클로라이드 그룹의 산소 원자가 배위 공유 결합을 이루고 있으며 1-옥소 화합물이 중심 주석 원자와 단일 배위 공유 결합을 생성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그 결합에 대해서는 다른 가능성도 있는데, 예를들어 아제티디논의 3-위치에 있는 아실아미도 그룹의 산소원자 또한 주석원자와 배위 공유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에스테르 그룹의 산소원자가 주석 원자와 배위 공유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폐환 반응에 사용할 수 있는 불활성 유기용매는 이에 대해 2-클로로설피닐 아제티디논 및 옥소 화합물은 가용성이며, 염화 제 2주석은 적어도 일부 가용성인 용매이다. 이러한 불활성 유기용매는 거의 비극성이며 벤젠, 클로로벤젠, 아니솔, 톨루엔, 클로로톨루엔, 크실렌 및 테트랄린같은 방향족 용매 ; 사이클로알킬 탄화수소 용매 및 유사한 탄화수소 용매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매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전에 통상적인 방법, 예를들어 공비증류(이원(binary)-증류) 또는 분자체를 이용한 건조, 또는 염화칼슘, 황산칼슘, 황산나트륨등과 같은 통상적인 건조제중 하나에 의해 탈수 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시약용 용매를 사용한다.
전술한 복합체의 생성 반응은 약 -15℃ 내지 45℃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장 편리하게는, 약 0℃ 내지 약 20℃에서 복합체를 생성시킨다.
본 발명 공정의 한 태양에서, 벤젠 또는 톨루엔같은 불활성 유기용매중 2-클로로설피닐 아제티디는 용액에, 교반하면서, 설피닐 클로라이드 1몰당 약 1내지 1.5몰의 옥소화합물을 가한다. 그후에, 설피닐 클로라이드 1몰당 약 2 내지 약 3몰의 염화 제 2주석을 혼합물에 가한다. 통상적으로, 복합체 생성반응은 신속히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 공정에서 생성된 복합체의 색은 연오렌지 내지 홍적색 내지 갈색의 범위이다. 침전된 복합체를 반응기중에서 약 3 내지 약 24시간 교반하면, 이 동안에 폐환 반응이 완결된다. 대략 3시간이면 폐환이 대개 완결되나, 수율을 높이기 위해 복합체를 더 오래 교반한다. 폐환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복합체의 주목할만한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교반한후, 복합체를 용매로부터, 예를들어 여과 또는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하거나, 용매를 복합체로부터 경사시킬 수 있으며, 이어서 복합체를 바람직하게는 석유에테르, 사이클로헥산, 톨루엔, 티에틸 에테르같은 적절한 용매 또는 아세톤으로 세책한다. 세책한 복합체는 적절한 용기에 저장하거나, 바람직하게는, 분해시켜 3-엑소메틸렌세팜 에스테르 설폭사이드를 생성한다.
본 발명 공정에서 생성된 복합체의 분해는, 복합체를 메틸알콜 또는 에틸알콜같은 저급알콜등의 하이드록시-함유 화합물에 가하므로써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물 또는 아세트산 또는 희염산같은 산으로 복합체를 분해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분해결과 생성물과 바람직하지 못한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염화수소가 생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복합체를 메틸알콜과 같은 저급알콜에 가한다. 복합체는 분해되어 신속히 통상백색 내지 회백색을 띠는 3-엑소메틸렌세팜 에스테르 설폭 사이드의 슬러리 또는 현탁액을 생성한다.
상기 일반식으로 나타낸 2-클로로설피닐 아제티딘-4-은 화합물은 kukolja의 1978년 3월 28일자 미합중국 특허 제 4,081,440호, Chou의 1978년 2월 21일자 미합중국 특허 제 4,075,203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일반식(1)의 R은 카복실산 잔기이다. 본 발명 공정의 출발 물질로 바람직한 화합물은, R이 수소, C1-C3알킬, 시아노메틸, 벤질옥시, 4-니트로벤질옥시, t-부틸옥시, 2,2,2-트로클로로에톡시, 4-메톡시벤질옥시이거나, 그륨 R'(여기서 R'는 페닐 또는 할로겐, 보호된 하이드록시, 니트로,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C1-C4알킬 또는 C1-C4알콜시 하나 또는 둘로 치환된 페닐이다)이거나 일반식 R"-(O)m-CH2-그륨(여기서 R"는 R'로 정의된 바와 같은 의미, 1,4-사이클로헥사 디에닐, 2-티에닐, 또는 3-티에닐이며, m은 0 또는 1이다)이거나 (단, m이 1인 경우, R"는 R'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일반식 R"-CH(W)-그룹(여기서 R"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W는 보호된 하이드록시 또는 보호된 아미노이다)인 일반식(1) 화합물이다.
상기 일반식(1)화합물은 본 명세서에서 편의상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딘-4-온이라 한다. 그러나 이들은 공식적으로는 1-아제티딘 치환된 부테노상의 에스테르로 명명된다. 예를들에, R이 벤질이며 R1이 ±-부틸인 일반식(1)의 화합물은 ±-부틸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페닐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 에이트라 명명한다.
본 발명 공정에 사용할 수 있는, 일반식(1)의 출발물질에는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부틸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페닐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
±-부틸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페녹시아세트아미도-4-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
벤질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
P-니트로벤질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포름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
P-메톡시벤질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시아노아세트아미노-1-아제티디닐)-3-부테노 에이트,
벤즈히드릴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부티르아미도-1-아제티디닐)-3-부변노 에이트,
P-니트로벤질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4-클로로페녹시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 에이트,
2,2,2-트리클로로에틸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2'-티에닐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 에이트,
P-니트로벤질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2'-티에닐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
벤질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벤즈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
P-니트로페닐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페닐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
펜아실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P-클로로벤즈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
프탈이미도메틸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펜옥시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
P-니트로벤질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P-니트로페닐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
2,2,2-트리클로로에틸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페닐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
P-니트로벤질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α-벤즈히드릴옥시페닐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 및
P-니트로벤질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α-t-부틸옥시카보닐아미도페닐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
본 발명 수행에 유용한 2-클로로설피닐 아제티디논의 바람직한 경우는 R이 2-티에닐-메틸, 벤질 또는 페녹시 메틸인 일반식(1)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출발물질은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페닐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산.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2'-티에닐-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산, 및 3-메틸-2-(2-클로로설피닐-4- -3-페녹시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산의 에스테르이다. 이들은 본 발명 공정에서 출발물질로 바람직한데, 항생제 화합물의 제조에 특히 유효한 중간체인 3-엑소메틸렌세팜 설폭사이드 에스테르를 생성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 공정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2-클로로설피닐 아제티딘-4-온 에스테르 화합물은 미합중국 특허 제 4,075,203호에 기술된 방법, 또는 바람직하게는 1978년 11월 13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 960,347호 및 1979년 6월 18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 49,266호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개선된 공정을 2단계 공정의 두번째 단계로 사용하는데, 페니실린 설폭하이드 에스테르를 먼저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으로 전환시키고, 이를 분리하지 않고 본 발명 공정에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하여 3-엑소 메틸렌세팜 설폭사이드 에스테르를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 공정의 바람직한 태양은, 상기 언급된 특허에 기술된 바와 같이 페니실린 설폭사이드 에스테르와 N-염소화제로부터 가교-결합 폴리비닐 피리든 존재하에 제조한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을 분리하지 않은채 폐환반응을 수행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태양에서, P-니트로벤질 6-페녹시아세트아미도-2,2-디메틸펜암-3-카복실레이트-1-옥사이드를 무수 톨루엔중에서 페니실린 설폭사이드 1g당 약 2 내지 약 5%로 가교결합된 폴리(4-비닐피리딘)-디비닐벤젠 약 1 내지 약 3g 존재하에 약 1.1몰 당량의 N-클로로프탈이미드와 반응시킨다. 반응을 환류온도에서 약 100분간 진행시킨뒤, 반응 현탁액을 여과하여 불용성 공중합체 및 프탈이미드를 제거하고 P-니트로벤질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페녹시아세트아미도-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를 함유하는 여액을 약 0 내지 10℃로 냉각한다. 냉각한 여액에 약 1몰 당량의 디에틸 에테르를 가하고 이어서 약 2 내지 2.5몰당량의 염화 제 2주석을 가한다. 염화 제 2주석을 가하면, 설피닐 클로로라이드-염화 제 2주석-옥소 리간드 복합체가 냉각된 여액으로부터 침전되는데, 이를 용매중에서 약 3 내지 약 24시간 교반하여 복합체의 생성을 완결짓는다. 이후에, 복합체를 여과하여 필터상에서 펜탄 또는 헥산등의 탄화수소 용매같은 적절한 용매로 세책한뒤, 메틸 알콜에 서서히 가해 복합체를 분해시켜 P-니트로벤질 7-페녹시아세트아미도-3-엑소메틸렌팜-4-카복실-4-카복실-레이트-1-옥사이드를 생성한다. 생성물 현탁액을 약 2 내지 4시간 교반하고 여과한다. 여과된 생성물을 편리하게는 필터상에서 세척하여 건조시킨다.
본 발명 공정에서 수록된 생성물의 품질은 우수하여, 일반적으로 항생제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하기 전에 더 정제해야 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필요하면, 적절한 용매로 재결정시켜 그 순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 공정의 전기한 바람직한 태양은 다음 반응도식으로 설명된다.
Figure kpo00010
1/2%가교-결합을 포함한 폴리(4-비닐피리딘)-디비닐벤젠
다음 표 I은 바람직한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의 염화 제 2주석 촉매화 폐환에 참여하는 대표적인 옥소화합물의 경우에 수득된 3-엑소메틸렌세팜 설폭사이드의 수율을 나타낸다. 각각의 경우에, 50g의 P-니트로벤질 6-페녹시-아세트아미도-2,2-디메틸펜암-3-카복실레이트-1-옥사이드를, 대략 2% 가교걸합을 함유한 폴리(4-비닐피리딘)-디비닐벤젠 존재하에 환류 온도에서 톨루엔중에서 N-클로로프탈이미드에 의해 상응하는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 P-니트로벤질 에스테트로 전환시킨다. 이 반응의 생성물은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페녹시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이다. 불용성 중합체 및 프탈이미드를 반응매질로부터 여과하고,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디논 에스테르(45.4g)를, 2-클로로설피닐 화합물 몰당 약 1몰의 옥소화합물 존재하에 염화 제 2주석으로 폐환시킨다. 각 경우에, 생성된 복합체를 분리하여, 세척하고, 메틸 알콜로 분해시킨다. 표 I 의 제 3단은 각 경우에 수득된 복합체의 품질을 나타낸다. 생성물인 P-니트로벤질 7-페녹시아세트아미도-3-엑소메틸렌세팜-4-카복실레이트-1-옥사이드의 융점은 표의 제4단에 나타나 있다.
[표 1]
폐환반응에 사용된 옥소 화합물
Figure kpo00011
1. 펜암 설폭사이드로부터의 P-니트로벤질-7-페녹시아세트아미도-3-엑소메틸렌세팜-4-카복실레이트-1-옥사이드의 중량 퍼센트 수율.
2. 폐환 생성물의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칼럼 : Merck RP18 25㎝×4mm i.d.
칼럼용매 : 530㎖. H2O, 300㎖. THF, 150㎖. 메탄올. 및 20㎖ 아세트산, 매 리터당 1.1g의 옥탄설폰산을 함유한다.
속도 : 2㎖/분
샘플량 : 25㎖의 무수 아세트산 또는 포름산에 대해 8㎎.
공정에 의해 제공되는 3-엑소메틸렌세팜 설폭사이드 에스테르는 세팔로스포린 항생제 제조에 중간체로 유용하다. 예를들어, 생성물을 오존과 반응시켜 3-하이드록시-3-세펨설폭사이드 에스테르를 생성하는데, 후자는 이분야에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설파이드 형태로 환원시킬 수 있으며, 수득된 하이드록시-3-세펨에스테르를 디메틸포름아미드 존재하에 디아조메탄 또는 삼염화인과 반응시켜 각각 3-메를시-3-세펨 에스테르 또는 3-클로로-3-세팜 에스트르톡 생성할 수 있다. 에스테르의 탈에스테르화 걸과, 각각, chauvette 의 미합중국 특허 제 3,917,587호 및 제 3,917,588호에 기술된 3-메톡시-3-세펨 항생제 또는 chauvette의 미합중국 특허 제 3,925,372호 및 3,962,227호에 기술된 3-클로로-3-세펨 화합물이 수득된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 공정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은 가교걸합된 폴리(4-비닐피리딘)-디비닐벤젠 존재하에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딘-4-은 에스테르를 제조하고, 본 발명의 옥소 화합물을 가함이 없이, 이를 염화 제 2주석에 의해 폐환시키는 과정의 실시예이다.
[실시예 1]
2ℓ의 시약용 톨루엔을 Dean-tark 수(water)트랩하에서, 트랩으로부터 200㎖의 액체가 제거될 때까지 2시간 환류시킨다. 증류기로부터 가열장치를 제거하고 25.0g의 폴리(4-비닐피리딘)-디비닐벤젠(대략 2%가고 걸합됨), 502g의 P-니트로벤질 6-페녹시아세트아미도-2,2-디메틸펜암-3-카복실레이트-1-옥사이드 및 20g의 N-클로로프탈이미드를 가한다. 현탁액을 환류 온도로 신속히 재가열하고 교반하면서 약 100분간 환류를 계속한다. 반응 혼합물을 약 10℃로 냉각하고 10분간 교반한다. 현탁액을 여과하여 공중합체 및 프탈이미드를 제거하고,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페녹시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39g)를 함유한 냉각된 여액을, 25㎖의 톨루엔중의 염화 제 2주석냉용액 25㎖에 가한다. 생성된 연홍적색 복합체를 빙욕 온도에서 1시간, 실온에서 약 16시간 교반하면, 복합체의 색이 담갈색으로 바뀐다. 복합체를 여과하여 200㎖의 펜탄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이어서 복합체를 300㎖의 메틸알콜에 서서히 가하면 생성물인 P-니트로벤질7-페녹시-아세트아미도-3-엑소메틸렌세팜-4-카복실레이트-1-옥사이드의 현탁액이 생성된다. 현탁액을 빙욕 온도로 7시간 교반하고 여과한다. 생성물을 50㎖의 메틸 알콜, 50㎖의 디메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 건조시켜 융점이 약 187 내지 188.5℃인 생성물 29.7g(59.5% 수율)을 수득한다.
다음 실시예는 전술된 실시예의 반복인데, 단 페니실린 설폭사이드가 2배 농도로 사용되었다.
[실시예 2]
2ℓ의 시약용 톨루엔을 Deam-Stark수 트랩장치하에서, 트랩으로부터 200㎖의 액체가 제거될 때까지 환류시켜 탈수시킨다. 증류기로부터 가열장치를 제거하고 50g의 폴리(4-비닐피리딘)-디비닐벤젠 공중합체(대약 2%가교걸해됨), 38.4g의 N-클로로프탈이미드, 및 10.3g의 P-니트로벤질 6-페녹시아세트아미도-2,2-디메틸펜암-3-카복실레이트-1-옥사이드를 열(hot) 톨루엔에 가한다. 현탁액을환류온도로 100분간 가열한 뒤 10℃로 냉각한다. 10분간 교반한후, 69g의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페녹시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를 함유하는 현탁액을, 50㎖ 톨루엔중의 염화 제 2주석 냉용액 25㎖ 중으로 여과한다. 생성된 연오렌지색 복합체를 빙욕온도에서 1시간, 실온에서 약 16시간 교반한뒤, 여과하고, 펜탄으로 세척하여, 필터상에서 부분적으로 건조시킨다. 복합체를 600㎖의 메틸 알콜에 서서히 가하여 생성물인 P-니트로벤질 7-페녹시아세트아미도-3-엑소메틸렌세팜-4-카복실레이트-1-옥사이드의 현탁액을 생성한다. 현탁액을 빙욕온도에서 7시간 교반하고 여과하여 융점이 약 193.5 내지 194℃인 생성물 54.g(54.1% 수율)을 수득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출발물질은 실시예 2와 같은 농도(1g/18㎖ 톨루엔)로 사용하고 폐환 단계중에 디에틸 에테르를 옥소화합물로 사용한 본 발명 공정의 태양이다.
시약용 톨루엔 1800㎖를 전술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이 탈수시키며, 100.3g의 열(hot) P-니트로벤질 6-페녹시아세트아미도-2,2-디메틸-펜암-3-카복실레이트-1-옥사이드, 50g의 폴리(4-비닐피리딘)-디비닐벤젠 공중합체(대략 2% 가교걸합) 및 38.4g의 N-클로로프탈이미드를 가한다. 반응 현탁액을 환류온도로 100분 가열하고 10℃로 냉각하여 10분간 교반한다. 반응의 진행을 NMR로 추적하는데 설피닐 클로라이드가 약 90% 수율로 생성됨이 확인된다. 반응 현탁액을 여과하고 설피닐 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여액을 빙욕에서 냉각한다.
설피닐 클로라이드인 P-니트로벤질-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페녹시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 에이트의 존재는 NMR 데이타로 확인된다.
NMR(CDCl3) : δ1.93(s, 3H, 비닐성메틸)
δ4.33(s, 2H, 측쇄-CH-)
δ5.03-5.13(m, 3H, CH2=
Figure kpo00012
)
δ5.30(s, 2H, 에스테르메틸렌)
δ5.57(d, 1H, J=4.5cps, β-락탐상 C-2H)
δ6.30(q, 1H, J=4.5cps 및 9.0cps, β-락탐상 C-3H)
δ6.8-7.0(m, 5H, 측쇄방향족)
δ7.20-8.23(2d, 4H, J=9.0cps, 에스테르 방향족)
δ7.82(bs, 1H, NH).
냉각된 현탁액을 여과하여 공중합체 및 프탈이미드를 제거하고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딘-4-온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여액을 빙욕에서 냉각한다. 먼저, 18.28㎖의 디에틸 에트르를 냉각된 여액에 가하고 이어서 50㎖의 염화 제 2주석을 가한다. 생성된 연 홍적색 복합체를 빙욕에서 30분 교반한뒤 실온에서 약 16시간 교반한다. 복합체의 색 변화는 거의 없다.
복합체를 여과하여, 필터상에서 400㎖의 헥산으를 세척하고 공기 건조시킨다. 복합체를 교반하면서 600㎖의 메틸 알콜에 서서히 가해 P-니트로벤질 7-페녹시아세트아미도-3-엑소메틸렌-세팜-4-카복실레이트-1-옥사이드 현탁액을 생성한다.
현탁액을 0℃에서 4시간 교반하고 여과하여 생성물을 모은다. 생성물을 100㎖의 메틸알콜로 세척하여 진공 건조시켜 76.15g(76.2% 수율)을 수득하는데 이의 융점은 약 194.5 내지 195℃이다.
[실시예 4]
전술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페니실린 설폭사이드 에스테르, 염소화제 및 공중합체를 동양 사용하고, 동일한 용량의 톨루엔을 사용하고, 디에틸에테르 대신 12.9㎖의 아세톤을 이용하여, 융점이 약 195℃인 72.63g(72.7% 수율)의 P-니트로벤질 7-페녹시아세트아미도-3-엑소메틸렌세팜-4-카복실레이트-1-옥사이를 수득한다.
[실시예 5]
P-니트로벤질 7-페닐아세트아미도-3-엑소메틸렌세팜-4-카복실레이트-1-옥사이드.
시약용 톨루엔 300㎖를 Dean-stak수(water)트랩 장치하에서 증류시켜 300㎖의 액체를 트랩으로부터 제거한뒤 가열장치를 제거하고 2.5g의 폴리(4-비닐 피리딘)-디비닐벤젠(약 2% 가교걸합됨)을 가한다.
현탁액을 수분간 환류시며, 중합체와 함께 가해졌을 수도 있는 물을 제거한다. 가열 장치를 치우고 7.28g의 P-니트로벤질 6-페닐아세트아미도-2,2-디메틸펜암-3-카복실레이트-1-옥사이드 및 2.88gg의 N-클로로프탈이미드를, 현탁액이 뜨거울때 가한다. 혼합물을 환류온도로 100분 가열하고 거무스름한 현탁액을 10℃로 냉각하고 여과하여 불용성 중합체 및 프탈이미드를 제거한다. 이 반응생성물은 P-니트로벤질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페닐 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이며 그 수율은 약 78%이다. 설피닐클로라이드 존재는 NMR 데이타로 확인된다.
NMR(CDCl3) : δ1.80(s, 3H, 비닐 메틸)
δ3.57(s, 2H, 측쇄CH2)
δ5.0-5.13(m, 3H, CH2=
Figure kpo00013
)
δ5.20(s, 2H, 에스테르 CH2)
δ5.43(d, 1H, J=4.5cps, β-락탐상 C-2H)
δ6.42(q, 1H, J=4.5 및 9.0cps, β-락탐상 C-3H)
δ7.13(s, 5H, 측쇄방향족)
δ7.4 및 8.18(2P 4H, J=8cps, 에스테르방향족)
디에틸 에테르 1.37㎖(0.013M) 및 염화 제 2주석 3.75㎖(0.032M)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면 복합체에 색이 불용성 갈색 복합체가 생성된다. 이를 빙욕 온도에서 30분, 실온에서 약 16시간 교반한다. 초콜릿 갈색복합체를 여과하여 60㎖의 헥산으로 세척하고 45㎖의 메틸알콜에 서서히 가해 생성물, P-니트로벤질 7-페닐아세트아미도-3-엑소메틸렌세팜-4-카복실레이트-1-옥사이드의 현탁액을 생성한다. 생성물 현탁액을 빙욕온도에서 4시간 교반하고, 여과하여 15㎖의 메틸알콜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건조시키고 아세톤으로부터 재걸정하여 융점이 약 208°내지 208.5℃인 4.3g(59.3% 수율)의 건조 생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6]
2,2,2-트리클로로에틸 7-페녹시아세트아미도-3-엑소메틸렌세팜-4-카복실레이트-1-옥사이드
톨루엔 800㎖를 Dean-Stark 수트랩 장치하에 이원-증류시켜 80㎖의 액체를 트랩으로부터 제거한다. 가열을 중단하고 약 2%의 가교걸합을 포함한 6.68g의 폴리(4-비닐피리딘)디비닐벤젠, 20g의 2,2,2-트리클로로에틸 6-페녹시아세트아미도-2,2-디메틸펜암-3-카복실레이트-1-옥사이드 및 7.74g의 N-클로로프탈이미드를 열 톨루엔에 가한다. 현탁액을 환류온도에서 100분간 가열하고 빙욕에서 약 20분 냉각한다. 냉각된 현탁액을 여과하여 공중합체 및 프탈이미드를 제거하고 여액을 빙욕에서 냉각한다. 설피닐 클로라이드, 2,2,2-트리클로로에틸 3-메틸-2-(2-클로로설피닐-4-옥소-3-페녹시아세트아미도-1-아제티디닐)-3-부테노에이트의 생성(약 83% 수율)이 NMR 데이타로 확인된다.
NMR(CDCl3) : δ1.95(s, 3H, 비닐성 메틸)
δ4.52(s, 2H, ψOCH2-)
δ4.66(d, 2H, J=2cps, -CH2CCl3)
δ5.07-5.33(m, 3H, CH=
Figure kpo00014
)
δ5.53(d, 1H, J=4.5cps, β-락탐상 C-2H)
δ6.28(q, 1H, J=4.5cps 및 10cps, β-락탐상 C-3H)
δ6.83-7.47(m, 5H, C6H5-O-)
δ8.06(1H, d, J=10cps NH)
냉각된 여액을 디에틸 3.66㎖를 가하고, 교반하면서 10㎖의 염화 제 2주석을 가한다. 약 1시간 교반하면 복합체가 침전되기 시작한다. 거무스름한 복합체 현탁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여과하여 80㎖의 헥산으로 세척한다. 생성된 황갈색의 사상(sand lke) 복합체를 120㎖의 메틸 알콜에 가하고 혼합물을 빙욕에서 냉각한다. 약 4시간동안 교반한뒤 생성물이 더 이상 침전되지 않으면, 메틸 알콜을 증발시켜 용적을 1/3로 감소시킨다. 농축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하고 이를 중탄산나트륨 5% 수용액 및 물로 2회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탈수시킨다. 탄수시킨 용액을 증발 건고시켜 15.62g의 조 생성물, 2,2,2-트리-클로로에틸 7-페녹시아세트아미도-3-엑소메틸렌세팜-4-카복실레이트-1-옥사이드를 갈색 포말로 수득한다.
생성물을 60㎖의 메틸알콜에 현탁시키고 이를 약 50℃로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시킨다. 실온으로 냉각시키면 생성물이 걸정화되는데, 걸정상 침전을 여과하여 건조시켜 융점이 약 143.5 내지 144℃인 1.9g의 생성물을 수득한다.
NMR(CDCl3) : δ3.75(q, 2H, J=4 및 18cps, C2H)
δ4.58(s, 2H, 측쇄 CH2)
δ4.83(d, 2H, J=1.5cps, 트리클로로에틸 에스테르 CH2)
δ4.95(d, 1H, J=4.5cps, C6H)
δ6.06(q, 1H, J=4.5 및 11cgs, C7H)
δ5.53(s, 1H, C4H)
δ5.42 및 5.87(2s, =CH2)
δ8.16(d, 1H, J=11cps, NH) 및
δ6.83-7.50(m, 5H, 방향족 H).

Claims (1)

  1. 무수 조건하에 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일반식(1)의 2-클로로설피닐아제티딘-4-온과 제 2주석을 일반식 (a), (a'), (b), (b') 및 (c)중에서 선택된 옥소 화합물 존재하에 반응시켜 복합체를 생성하고, 이를 분리하여 분해시켜 일반식(2) 화합물을 생성함을 특징으로하여, 일반식(2)의 3-엑소메틸렌세팜 설폭사이드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5
    상기식에서 R 은 카복실산 잔기이며, R1은 카복실산 보호그룹이며,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4알킬이며,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4알킬, C5또는 C6사이클로알킬, 페닐 또는 C1-C4알킬, C1-C4알콕시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이고, Z는 -(CH2)-m, -CH2-CH2-O-CH2-CH2-, 또는-CH2-O-CH2-CH2-CH2-이며, m은 4 또는 5이고, Z'는
    Figure kpo00016
    이며, 각각의 R2 0는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n은 3 내지 6의 정수이다.
KR1019790003526A 1978-11-13 1979-10-13 3-엑소 메틸렌세팜 설폭사이드의 제조방법 KR830001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60346 1978-11-13
US05/960,346 US4190724A (en) 1978-11-13 1978-11-13 Process for 3-exomethylenecepham sulfoxi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292A KR830001292A (ko) 1983-04-30
KR830001591B1 true KR830001591B1 (ko) 1983-08-16

Family

ID=2550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526A KR830001591B1 (ko) 1978-11-13 1979-10-13 3-엑소 메틸렌세팜 설폭사이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3)

Country Link
US (1) US4190724A (ko)
EP (1) EP0011369B1 (ko)
JP (1) JPS5566590A (ko)
KR (1) KR830001591B1 (ko)
AR (1) AR225421A1 (ko)
AT (1) ATA663779A (ko)
AU (1) AU5147779A (ko)
BE (1) BE879210A (ko)
BG (1) BG30628A3 (ko)
CA (1) CA1150240A (ko)
CH (1) CH640537A5 (ko)
CS (1) CS209824B2 (ko)
DD (1) DD146457A5 (ko)
DE (1) DE2962353D1 (ko)
DK (1) DK431479A (ko)
ES (1) ES484917A0 (ko)
FI (1) FI793094A (ko)
FR (1) FR2440952A1 (ko)
GB (1) GB2034702B (ko)
GR (1) GR73094B (ko)
HU (1) HU180745B (ko)
IE (1) IE48964B1 (ko)
IL (1) IL58406A (ko)
IS (1) IS1041B6 (ko)
LU (1) LU81769A1 (ko)
MA (1) MA18605A1 (ko)
MW (1) MW2979A1 (ko)
NO (1) NO793271L (ko)
OA (1) OA06355A (ko)
PL (1) PL117584B1 (ko)
PT (1) PT70263A (ko)
ZA (1) ZA795242B (ko)
ZM (1) ZM83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2884A (ja) * 1981-08-20 1983-02-25 Otsuka Chem Co Ltd 3−エキソメチレンセフアム誘導体の製造方法
FI103048B (fi) * 1989-03-22 1999-04-15 Dsm Nv Menetelmä 3-eksometyleenikefaamisulfoksidijohdannaisten valmistamiseks i
US4950753A (en) * 1989-05-17 1990-08-21 Eli Lilly And Company Process for 3-exomethylenecepham sulfoxide esters
US5126446A (en) * 1991-01-04 1992-06-30 Eli Lilly And Company Process for 3-exomethylenecepham sulfoxide esters
US5350845A (en) * 1992-04-08 1994-09-27 Eli Lilly And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7-substituted-amino-3-hydroxy-3-cephem-4-protected carboxy-sulfoxide esters
US5604222A (en) * 1993-12-27 1997-02-18 Lupin Laboratories, Lt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2-chloro sulfinyl azetidinones
US5578721A (en) * 1994-07-11 1996-11-26 Lupin Laboratories Limited Process for preparation of 3-exomethylene cepham sulfoxide este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3682A (en) * 1972-05-15 1974-10-22 Lilly Co Eli 2-chlorosulfinyl-3-imido-azetedin-4-ones
GR59922B (en) * 1974-12-24 1978-03-20 Lilly Co Eli Process for preparing 3-methylene cepham
US4052387A (en) * 1974-12-24 1977-10-04 Eli Lilly And Company Method of preparation of 3-methylenecephams
CA1069126A (en) * 1974-12-24 1980-01-01 Eli Lilly And Company Sulfinyl halides and their preparation from penicillin sulfoxides
US4375397A (en) * 1976-03-15 1983-03-01 E. R. Squibb & Sons, Inc. Process for preparing 3-methylene cephalospor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S1041B6 (is) 1980-11-25
FI793094A (fi) 1980-05-14
AR225421A1 (es) 1982-03-31
EP0011369A1 (en) 1980-05-28
IE791941L (en) 1980-05-13
ES8101608A1 (es) 1980-12-16
CH640537A5 (fr) 1984-01-13
PL218930A1 (ko) 1980-06-16
AU5147779A (en) 1980-05-22
GB2034702B (en) 1983-03-23
IL58406A0 (en) 1980-01-31
ZM8379A1 (en) 1981-02-23
GR73094B (ko) 1984-02-01
JPS5566590A (en) 1980-05-20
DD146457A5 (de) 1981-02-11
GB2034702A (en) 1980-06-11
ATA663779A (de) 1981-04-15
ZA795242B (en) 1981-05-27
MA18605A1 (fr) 1980-07-01
US4190724A (en) 1980-02-26
IE48964B1 (en) 1985-06-26
LU81769A1 (fr) 1980-01-24
DK431479A (da) 1980-05-14
NO793271L (no) 1980-05-14
CA1150240A (en) 1983-07-19
KR830001292A (ko) 1983-04-30
BE879210A (fr) 1980-04-08
EP0011369B1 (en) 1982-03-24
IL58406A (en) 1982-08-31
PL117584B1 (en) 1981-08-31
JPH0127075B2 (ko) 1989-05-26
DE2962353D1 (en) 1982-04-29
ES484917A0 (es) 1980-12-16
FR2440952A1 (fr) 1980-06-06
IS2515A7 (is) 1980-05-14
MW2979A1 (en) 1981-04-08
FR2440952B1 (ko) 1983-02-25
CS209824B2 (en) 1981-12-31
OA06355A (fr) 1981-06-30
PT70263A (en) 1979-11-01
HU180745B (en) 1983-04-29
BG30628A3 (en) 198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0716B2 (ja) 3−アリル及び3−ブテニル−3−セフェムの製造
KR840000503B1 (ko) 3-아이오도메틸 세팔로스포린의 제조방법
KR830001591B1 (ko) 3-엑소 메틸렌세팜 설폭사이드의 제조방법
CA1075229A (en) Reduction process for sulfoxides
JPS5934714B2 (ja) 7β−アミノ−セフアム−3−オル−4−カルボン酸化合物または相当する3−θ−エステルの製法
CA1131646A (en) Process for preparing 2-chlorosul-finylazetidinones
US4075203A (en) Process for preparing a 3-exomethylenecepham sulfoxide from penicillin sulfoxides
US4007202A (en) Azetidine derivatives
US4024152A (en) 4-Dithio-3-imido-azetidin-2-ones
US4165316A (en) Process for preparing sulfinyl chlorides from penicillin sulfoxides
US4362880A (en) Chemical process
CA1052373A (en) Cephalosporin and penicillin derivatives
US3962226A (en) 3-nitrooxycepham compounds and process for preparing desacetoxycephalosporins therefrom
US4316842A (en) Penicillin intermediates
US4046761A (en) Process for preparing cephalosporin derivatives
US4035354A (en) Thioamides of beta-lactam antibiotics
CS203983B2 (en) Method of preparing ester of 7-acylamido-3-methyl-3-cephem-4-carboxylic acid
US3960851A (en) Preparation of desacetoxy-cephalosporin sulfoxides from penicillin sulfoxides
KR970005894B1 (ko) 3-알릴-, 3-부테닐, 3-탄소고리 아릴메틸- 및 3-헤테로고리 아릴메틸-3-세펨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KR0183184B1 (ko) 3-엑소메틸렌 세팜설폭사이드의 제조방법
US4006139A (en) 1,2,4-Dithiaaz-3-enes
US3933810A (en) Intermediates for producing semi-synthetic cephalosporins
US3953437A (en) Process of preparing cephalosporanic acid ester derivatives
KR850001960B1 (ko)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BE863998A (fr) 1-oxadethiacepha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