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796Y1 - 인간 수송 컨베이어(Conveyor) - Google Patents

인간 수송 컨베이어(Convey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796Y1
KR830000796Y1 KR2019820009616U KR820009616U KR830000796Y1 KR 830000796 Y1 KR830000796 Y1 KR 830000796Y1 KR 2019820009616 U KR2019820009616 U KR 2019820009616U KR 820009616 U KR820009616 U KR 820009616U KR 830000796 Y1 KR830000796 Y1 KR 830000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guide
handrail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9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071U (ko
Inventor
마사유끼 구보다
마사미쓰 하나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2019820009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796Y1/ko
Publication of KR8300000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0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7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4Driving gear for handrails
    • B66B23/06Driving gear for handrails with means synchronising the operation of the steps or the carrying belts and the hand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B66B23/24Handrail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간 수송 컨베이어(Conveyor)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인 에스컬레이터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제2도에 유사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예컨데, 에스컬레이터 등의 주프레임 구조에 핸드레일의 안내틀을 지지하는 구조를 구비한 인간 수송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 수송 컨베이어에 있어서의 대표격이라로 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에서는, 난간의 내측에 무단상으로 연결된 발판이 상부 이송장치 및 하부이송장치로 부터 동력을 받아 왕로(往路) 및 복로(復路)에 있어서의 안내궤조조에 의해 안내되어 주행하는 한편 무단상의 핸드레일 왕로 구간의 난간상의 안내틀에 의해 안내되고, 또 복로 구간의 복수개의 안내륜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한 발판과 동일한 속도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유형의 에스컬레이터는 난간내에서 상부 주부재 및 하부 주부재를 상하 평행하게 지지하는 양측의 부부재(副部材)에 의해 트러스(truss)구조의 주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으며, 발판 양측의 부부재를 연결하는 궤조지지간 및 돌출된 궤조지지대를 주프레임의 부부재에 고정하여 발판의 왕로 안내궤조를 궤조지지간에 발판의 복로 안내 궤조를 궤조지지대에 각각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한 핸드레일의 안내륜은 주 프레임의 부부재에 고정된 안내륜의 지지대에 장착되어 복로구간에서 핸드레일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 발판 양측의 주 프레임 하부 주부재는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 고정되어 있으며, 연결부재에는 발판체인 및 궤조등의 윤활유와 승객에 의해 생기는 먼지 등을 에스컬레이터의 본체내에 받아내는 기름받이가 고정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종래의 주프레임 구조에 있어서는 주프레임이 상부 주부재, 하부 주부재, 부부재를 용접 결합하여 구성한 트러스 구조이기 때문에, 즉 서로가 전혀 독립된 단독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어 구 부재수가 방대해질 뿐만 아니라, 부부재는 상하부의 수평 승강부 및 중간의 경사부에 있어서 그 길이가 달라지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또 주부재와는 작용력이 현저하게 상이하기 때문에 주 프레임용으로서 각종의 길이, 크기를 가진 부재가 필요했었던 것이며, 프레임 그 자체가 복잡하고 또한 단독부재를 용접에 의해 결합하기 때문에 제품의 조립시에 생기는 칫수의 오차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기는 등 부재의 선택, 부재의 관리, 조립 등에 다대한 시간과 노력을 요했던 것이다. 또 지지간 및 지지대도 마찬가지로 전혀 독립된 단독 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한편 부부재에 용접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들이 있었다.
한편 에스컬레이터의 주 프레임이 승객의 하중, 발판, 핸드레일, 펼드레일의 안내틀을 포함하는 난간, 외부 의장부품등 커다란 중량을 지지해 주는데 있어서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고, 또 에스컬레이터의 전체적인 깊이 및 전체적인 폭은 건물에 대한 설치공간을 줄여주기 위하여 가능하다면 그 공간을 줄여주어야 한다. 이 때문에 에스컬레이터의 전체적인 깊이 및 전체적인 폭을 가장 좁게 하는 한편 상기했던 커다란 중량을 지지함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를 주 프레임이 흡수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발판과 기름받이간의 틈을 가장 적게 해주고, 상부 주부재와 하부 주부재의 간격을 늘려 트러스 전체의 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복로의 핸드레일은 상부 주부재 또는 부부재의 내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인간 수송 컨베이어의 전체적인 폭을 좁혀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부 주부재의 상면을 넓혀서는 않된다. 이 때문에 핸드레일의 안내틀을 지지하는 기둥을 상부 주부재에 고정하는 것이 불안정해지므로, 안내틀이 승객에 의해 압압된 경우에는 기둥에 생기는 에스컬레이터의 폭방향의 하중에도 충분하게 견뎌낼 수 있도록 상부 주부재의 내측에 에스컬레이터의 폭방향으로 넓은 보강재를 고정시킴으로써 상부 주부재의 상면과 보강부재를 합친 폭이 넓은 면을 이용하여 기둥을 고정할 필요가 있다.
또 이 보강재는 에스컬레이터의 의장 형식 예컨데, 상기와 같이 기둥에 의해 안내틀의 강도를 지지하고 있다든가 기둥을 사용치 않고 글라스 등으로 안내틀의 강도를 지지하고 있는 것 등에 의해 고정위치 및 형상을 바꿔야 하는 결점이 있다.
핸드레일의 안내륜이 가져야 할 기능으로서는 단지 핸드레일만을 지지 할 것이 아니라 핸드레일의 사행(蛇行)을 방지하는 한편 원활하게 주행시켜야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안내륜을 주 프레임내측의 좁은 공간에 취부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륜을 정확하게 취부하기 곤란한 점도 있으며 또한 핸드레일의 원활한 주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등의 결점이 있다.
이상 종래의 전형적인 에스 컬레이터에 관하여 기술해 왔지만, 전동(電動)통로 등의 기탕 다른 유형의 인간 수송 컨베이어도 상기와 같은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그외의 종래예로서는 미국특허 제2,039,994호가 있지만, 이것은 양측의 반송비임이 각각 하나씩 에스컬레이터의 길이방향으로 연설되어 비임에 발판의 레일을 취부한 직립부재를 지지시키도록 한 본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각각의 비임이 단독적으로 비틀림 변형을 일으키는 한편, 승객에 의한 부하가 치우칠 경우에는 한쪽의 비임으로 그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이 비임의 높이는 매우 낮아서 전체적인 비틀림 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소형비임에서는 에스컬레이터의 전체적인 부하를 지지하기는 불가능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부재수도 적고, 또한 비틀림 강성도 높은 프레임을 가진 인간 수송 컨베이어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키 위해 본 고안은 주 프레임 구조를 I자형 또는 기타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비임 강재로 구성하고, 그 상연부에 핸드레일의 안내틀을 지지하는 지주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제1도에 의해 본 고안을 적용하는 에스컬레이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1쌍의 난간(1)(도면에는 한개만 도시됨)의 내측에서 무단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발판(2)은 상부 이송장치(3) 및 하부 이송장치(4)의 동력을 받아 왕로 구간에는 안내궤조(5),(6)에 의해, 복로 구간에는 안내궤조(7),(8)에 의해 각각 안내되어 이 왕로 및 복로의 안내궤조(5),(6),(7),(8) 상을 주행한다. 한편, 1쌍의 무단상의 핸드레일(9)(도면에는 한개만 도시됨)은 왕로구간의 난간(1) 상과 복로구간의 복수개의 안내륜(2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발판(2)과 동일한 속도를 내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다음은 본 고안의 주요부인 제2도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에 따른 부분 확대로서 본 도면은 좌우 대칭으로 된 동일 구조이므로 좌측의 구조를 생략하여 우측의 구조만을 도시한 것이다.
제2도에 있어서, 난간(1)네에는 상하 연부(11),(12) 및 이 상하연부(11),(12)간에 개재된 수직부재(13)등으로 이루어지는 예컨대, 단면 I자형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비임형의 주 프레임(14)이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의 주 프레임(14)의 상연부(11)에는 횡간(15)이, 하연부(12)에는 연결부재 즉, 보강부재를 겸한 기름받이(16)가 각각 고정되어 이들에 의해 상자형의 본체가 구성되어 있다. 또 횡간(15)의 상부에 왕로 안내궤조(5),(6)를 고정하였고, 횡간(15)의 하부에는 복로 안내궤조(7),(8)를 취부한 지지대(17)를 각각 고정하였다. 그리고 주 프레임(14)의 상연부(11) 상에 핸드레일(9)의 안내틀(18)을 지지하는 지주(19)를 고정하였고, 이 지주(19)의 내측벽에는 핸드레일(9)의 복도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륜(20)을 고정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 상기한 왕로 안내궤조(5),(6) 및 복로안내궤조(7),(8) 상으로 발판(2)의 측부에 취부된 발판지지륜(21),(22)이 전동 주행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한 안내틀(18) 및 안내륜(20)상으로 핸드레일(9)이 주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 프레임(14)를 단면 I자형의 강재로 비임을 구성하여 그 상연부(1)에는 횡간(15)을, 하연부(12)에는 보강부재를 겸용한 기름받이(16)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완전하게 독립된 단위부재를 조합하여 트러스 방식의 주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부재에 의한 비임방식의 주프레임(14)이므로 그 구조가 간소하고 조립도 용이하다. 양측의 주프레임(14)을 가로 질러 고정함에 있어서 주프레임(14)의 상연부(11)를 횡간(15)으로, 하연부(12)를 기름받이(16)로 연결 고정한 상자형의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프레임(14) 그 자체가 매우 견고하다. 주프레임 구조가 간소해짐과 동시에 주프레임 조립시에 칫수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것은 궤조(5),(6),(7),(8)을 고정하는 횡간(15)과, 안내륜(20) 및 핸드레일 안내틀(18)을 지지하기 위해 지주(19)를 고정하는 주프레임 상연부(11) 뿐이기 때문에 조립 및 칫수의 조정이 용이해진다.
또 주프레임(14)를 비임 형태로 하나의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주프레임(14)의 강성이 증가하고, 종래의 트러스 방식보다는 주프레임 부재의 상연부(11)와 하연부(12)간의 높이를 작게할 수 있어 복로에 있는 핸드레일(9)을 주프레임 부재의 상연부(11) 보다 높은 위치에 놓일 수 있고, 발판(2) 상의 승객이 안내틀(18)에 치우친다든가 밀어 부쳐지는 등의 경우가 발생했을 경우 지주(19)에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지주(19)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종래의 구조에서는 핸드레일(9)의 안내틀(18)을 지지하는 지주(19)를 주프레임에 고정키 위해 주프레임을 가공해야할 필요가 있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주프레임의 윗면이 넓기 때문에 직접 지주(19)를 고정할 수 있으며 작업효율이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또 핸드레일(9)의 복로 이동을 안내하고 안내륜(20)을 지주(19)의 측면에 설치하기 때문에 취부가 용이해짐과 동시에 칫수의 조정이 용이해지며 핸드레일(9)을 원활하게 주행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2도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나타낸다.
제2도와 다른 것은 I자형의 주프레임(14)의 상연부(11)에 횡간(15)을 개재하여 중간체(23)를 고정하였고, 이 중간체(23)에 지주(19)를 고정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효과 외에 지주(19)의 위치가 난간의 의장 형식에 따라 변하여도 중간체(23)만을 교체해 줌으로써 I자형의 주프레임(14)을 바꾸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의장 형식의 변경에 따른 제작상의 오차도 적어진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프레임(14)을 횡단면 I자형의 강재로 했었으나, 이 주프레임으로서 횡단면 ㄷ자형의 강재를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지주(19)를 취부하는 중간체(23')를 제4도와 같이 L자형으로 하여도 상기한 바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주프레임 그 자체가 매우 견고하면서 인간 수송 컨베이어의 내부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핸드레일 안내륜, 핸드레일 안내틀의 지주에의 취부나 칫수의 조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 등 인간 수송 컨베이어의 설치작업의 신속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수 있는 등 그 효과는 대단히 크다.

Claims (1)

  1. 발판지지륜(21),(22)을 좌우 양측으로 설치하는 한편 무단상으로 연결된 발판(2)과, 상기 발판 지지륜(21),(22)을 안내하는 안내궤조(5),(6),(7),(8)와, 상기한 발판(2)의 양측에 설치된 난간(1)과, 이 난간(1)에 설치된 안내틀(18)과, 이 안내틀(18)에 안내되어 발판(2)과 동일한 속도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무단상의 핸드레일(9) 등을 구비한 인간수송용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한 발판(2)의 양측을 따라 상하의 연부(11),(12) 및 이 상하의 연부(11),(12)간에 개재한 수직부재(13) 등을 일체로 성형한 비임형의 주프레임(14) 등을 설치하고, 이들 주프레임(14)의 상연부(11) 및 하연부(12)를 연결부재(15),(16)로 연결하는 한편 상기한 주프레임(14)의 상연부(11)에 안내틀(18)을 지지하는 지주(1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수송 컨베이어.
KR2019820009616U 1977-10-31 1982-12-01 인간 수송 컨베이어(Conveyor) KR830000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9616U KR830000796Y1 (ko) 1977-10-31 1982-12-01 인간 수송 컨베이어(Convey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70002545 1977-10-31
KR2019820009616U KR830000796Y1 (ko) 1977-10-31 1982-12-01 인간 수송 컨베이어(Convey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70002545 Division 1977-10-31 1977-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071U KR830000071U (ko) 1983-03-25
KR830000796Y1 true KR830000796Y1 (ko) 1983-05-23

Family

ID=7247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9616U KR830000796Y1 (ko) 1977-10-31 1982-12-01 인간 수송 컨베이어(Convey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7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071U (ko) 198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972B1 (ko) 승객 수송기용 트러스 구조물
JP4824157B2 (ja) 長いエスカレータと動く歩道の支持構造体
JP5376146B2 (ja) 乗客コンベア
KR101953400B1 (ko) 사람 운송 장치
US6105748A (en) Escalator or travelling walkway with underneath bracing
MX2015003891A (es) Sistema de carril para una escalera mecanica o un anden rodante.
CA1068630A (en) Man conveyor
CN105829235A (zh) 移动步道
US4235326A (en) Main frame construction of conveyor
KR830000796Y1 (ko) 인간 수송 컨베이어(Conveyor)
CN113165850B (zh) 桁架部段的连接区域
US3682289A (en) Apparatus for guiding a conveyor
CN1906113B (zh) 活动人行道、活动坡道和扶梯
RU2141022C1 (ru) Передвижные подмости
JP6650416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S62285891A (ja) 乗客コンベヤの主枠
US9457996B2 (en) Balustrade support for an escalator or a moving walkway
JPH07238710A (ja) スラットコンベア
CN220578174U (zh) 运输机栈桥
SU1404441A1 (ru) Пролетное строение крана мостового типа
WO2021205544A1 (ja) 乗客コンベアのトラス構造
CA1107222A (en) Man-conveyor
JPS6341419Y2 (ko)
JPH0524709Y2 (ko)
JP2002068655A (ja) マンコンベ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