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016B1 - 혼섬멀티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혼섬멀티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016B1
KR820002016B1 KR1019810002461A KR810002461A KR820002016B1 KR 820002016 B1 KR820002016 B1 KR 820002016B1 KR 1019810002461 A KR1019810002461 A KR 1019810002461A KR 810002461 A KR810002461 A KR 810002461A KR 820002016 B1 KR820002016 B1 KR 820002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yarn
yarns
filament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섭
오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김상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김상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KR1019810002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혼섬멀티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표시하는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사의 긴장시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사로 제직한 직물의 표면사진(평직 10배 확대).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사로 제직한 직물의 표면사진(능직 10배 확대).
본 발명은 혼섬 멀티필라벨트(multifilament)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1본의 열가소성합성섬유 멀리필라멘트 미연신사 또는 연신사와 1본 이상의 동종 또는 이종의 합성섬유 멀리필라멘트 연신사를 급사율이 다르게 공급하여 공지의 에어제트(Air Jet)에 의하여 교착점(交看點)을 생성시켜 방적사의 외관효과를 주는 혼섬멀티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적사와 유사한 외관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합성섬유 필라펜트에 부여되는 방법으로는 찰과(擦過) 에어제트등에 의하여 모우(毛羽), 루프(Loop)를 생성시키거나, 고전압으로 개섬한 후 혼섬등에 의하여 루프를 도입하거나, 심사(芯系)에다 피복시에 스러브(Slub)를 형성시켜 방적사 특유의 불균제성을 유발시키는 방법등이 많이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 생산성이 매우 낮고 복잡한 부대설비가 필요하거나, 후공정 즉, 제직 이후 공정에서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염단등이 유발되며 모우로 인한 필링(Pilling)생성등의 문제점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랜연구와 시험끝에 제직후의 외관이 방적사로 제직한 직물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는 혼섬멀티필라멘트사를 공지의 설비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혼섬 멀티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제조공정 개략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가소성 합성섬유 필라멘트 미연신사(A)는 제1로울러와(1) 제2로울러(5)의 속도 차에 의하여 연신되면서 160-220℃의 제1히이터(2)에서 열처리가 되고 냉각판(3)을 지나 마찰식 가열장치(4)에 의하여 가연되어 진다. 제2로올러(5)를 지나서 해연된 사는 편물용 사의 경우 제2히이터(6)를 통과하고 직물용 사인 경우는 통과하지 않고 제3로울러(7)를 통과하는데 이 제3로울러(7)를 통과하기 전 또는 후에 (A)사보다 낮은 속도로 공급되는 (B)사와 합사되고공지의 에어제트유니트(8)에서 혼섬 교착되어 제2도의 교착점(10)이 생성되고 테이크업보울(Take up bowl)(9)에 의하여 치-즈(C)상으로 권취된다. 이 (A)사의 가연방법은 통상의 공지되어 있는 연신-가연방법으로서 (A)사를 연신사로 사용했을 경우는 가연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로울러(1)와 제2로울러(5)를 제1차오버피드(Overfeed)율에 따라 회전속도를 맞추어 주면 된다.
한편, 합성 섬유 멀리필라멘트 연신사(B)는 제1로울러 (1'), 제1히이터(2'), 냉각판(3')을 통과하지 않고 마찰식가연장치(4')에 의하여 트위스팅(Twisting)이 된 후 제2로울러(5')와 제2히이터(6')를 통과하지 않고 (A)사의 사도(系道)인 제3로울러(7)로 이송되거나 (B)사의 사도인 제3로울러(7')를 통과하여 에어제트유니트(8)에서 (A)사와 혼섬 교착되어져 본 발명의 혼섬사가 제조되어 치-즈(C)에 권취되므로서 본 발명이 완성된다. 이때(B)사는 제1로울러(1')의 닢로울러(Nip Roller)를 제1도와 같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거치던지 또는 장력가이드(Guide)를 설치하여 약간의 해서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좋고, 또한 제1히이터(2')에서 열처리하여도 무방하나 열에 의하여 섬유의 열수축율이 저하되어 제직후 방적사의 외관효과가 감소되기 쉬우므로 꼭 열수축율을 저하시킬 필요가 있을 때만, 사용함이 좋으며 마찰식 가연장치(4')에서 트위스팅시킬때는 S연(撚), Z연 어느 방향도 관계없다.
이상의 사도에서 제1로울러(1)(1'), 제2로울러(5)(5'), 제3로울러(7)(7')는 모두 피드로울러와 닢로울러로 되어 있고, 피드로울러는 각 로울러별로 동일구동축에 의하여 회전되며, 이들의 표면회전속도에 따라 사가 송출 공급되고 있다.
이때 사의 속도를 결정짓는 것은(A)사의 경우 제2로울러(5)의 표면회전속도, (B)사의 경우 제3로울러(7)(7')의 표면회전속도라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A)사와 (B)사의 속도차는 제2로울러(5)와 지3로울러(7)(7')간의 표면회전속도차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고, 제3로울러(7)(7')와 테이크업보울(9)의 회전속도차에 의하여 에어제트에 의한 혼섬 교착효과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로울러(5), 제3로울러(7)(7'), 테이크업보울(9)의 속도를 조화있게 조정하여 방적사와 유사한 외관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공정의 트러블(Trouble)감소, 염가공 등에 있어서 다양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과급율(過給率)의 범위를 규정하는 것이 본 발명구성의 주요인자이기도 하다.
다시 말하면 제2로울러(5)에서 제3로울러(7)(7')의 파급율을 01(%), 제2로울러(5)에서 테이크업보울(9)의 과급율을 O2(%)라고 할때 통상가연방법에서는 01
Figure kpo00001
02가 되도록 하여 가연작업을 행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사도에서는 반대로 02
Figure kpo00002
01이 되도록 하여 이 범위중에서도 2
Figure kpo00003
01
Figure kpo00004
20(%), 4
Figure kpo00005
02
Figure kpo00006
25(%)인 상태에서 1
Figure kpo00007
02-01
Figure kpo00008
20(%)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본 발명의 특징의 요소로 하고있다.
통상의 가연방법에서는 벌키사를 권취하여야 하므로 01>02로 하여 약간의 장력(5-30gr)이 있는 상태에서 권취하여 권취장력 저하에 의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도에서는 01
Figure kpo00009
02로 할경우 (B)사가 제3로울러(7)(7')와 테이크업보울(9)간에서 사절되거나 장력이 높아 (A)사와의 혼섬 교착이 이루어기기 않아 제직준비공정이나 제직공정에서 작업상 여러가지 문제점을 유발시킬 뿐 만아니라 직물의 표면효과면에서도 방적사의 외관을 내지 못하여 원사결점에 의한 직단(織段)등이 발생된다.
따라서 02
Figure kpo00010
01으로 하여야 하며 이로 인한 권취장력저하는 에어제트의 혼섬 교착에 의해 알맞는 권취장력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01은 0(%)에서 2%까지는 (A)사가 해연된 후 안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제3로울러(7)에 의하여 송출되기 때문에 제직후 방적사의 외관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며 0%미만에서는 (A)사의 사절로 인하여 작업이 불가능하고 21% 이상에서는 (A)사가 너무 과잉 공급되어 제2로울러(5)에 역으로 되감기게 되어 사절된다.
따라서 01이 2
Figure kpo00011
01
Figure kpo00012
20(%) 범위를 벗어날 수 없으며, 01의 가장 알맞는 범위는 5≤01≤15(%)이다.
02의 경우 0%에서 4%까지는 과급율이 적어 제직후 방적사의 외관을 발현시키기 어려우며 0%미만에서는 (A)(B)사 모두 작업이 불가능하고 26% 이상에서는 제3로울러(7)(7')와 테이업보울(9)사이에 (A)사가 과잉공급되어 권취시 치즈 패키지(Cheese Package)형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교착상태도 매우 불량해지는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02는 4
Figure kpo00013
02
Figure kpo00014
25(%)범위를 초과할 수 없으며 02의 가장 알맞는 범위는 7
Figure kpo00015
02
Figure kpo00016
20(%)이다. 또02-01은 에어제트(8)에 의한 혼섬교착효과를 좌우하는 인자로서 1%미만에서는 교착이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로 강한 텐션(Tension)이 (B)사에 주어지거나 사절이 일어나며 21% 이상에서는 고착이 이루어지더라도 과잉공급에 의해 매우 불균일하고 권취작업상 문제점을 많이 유발시킨다.
따라서 1
Figure kpo00017
02-01
Figure kpo00018
20(%)의 범위를 벗어날 수 없으며, 02-01의 가장 알맞는 범위는 3
Figure kpo00019
02-01
Figure kpo00020
14(%)이다.
단, 여기서 제2로울러(5)의 표면회전속도를 V1, 제3로울러(7)(7')의 표면회전속도를 V2, 테이크업보울(9)의 표면회전속도를 V3라 할때 과급율 01, 02
Figure kpo00021
이상 3조건 01, 02, 02-01의 범위를 만족시키도록 상기 설명한 사도의 제2로울러(5), 제3로울러테(7)(7'), 테이크업보울(9)의 회전속도를 조화시키면 첨부도면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사를 생산할 수 있고 이를 제직하여 제3도, 제4도에서 불 수 있는 것과 같이 양호한 방적사의 효과를 나타내는 스펀(Spun)조 직물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혼섬사를 제조하기 위하여 복잡한 장치개선이나 별도의 급사설비가 필요없이 연신-가연기나 가연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모우-루프사, 스러브사등 종래 스펀라이크 (Spun like)사들의 생산속도가 통상 100-200m/min인데 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적사 효과를 내는 혼섬사는 400-600m/min까지의 초고속성산이 가능하며 에어제트에 의한 사의 교착점(10)생성으로 제직준비공정시 사이징이 필요없이 바로 제직할 수 있어 후공정의 원가절감 및 단순공정으로 능률을 기할 수 있으며 1본 이상을 원착사로 사용하였을 경우 서리가 내린 것과 같은 심미한 색상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색공정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나일론 또는 아세테이트등 이염성(易染'性)소재와 폴리에스테르등의 난염성 소재와의 혼섬시 이염 외에도 흡습성, 강신도 특성 및 수축율 등의 결점이 서로 보완되어 외관뿐 만 아니라 기능면에서도 바람직한 직물을 얻을 수 있으며 과급된 사의 단사들이 직물표면에 돌출하여 모우에 의하여 생기는 필링현상이 없는 스펀(Spun)조의 직물을 생산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공급원사 A :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75D용)
〃 B : 폴리에스테르 연신사(흑색 75D/36F)
사 속 : 500m/min
제1히이터온도 : 200℃
01=11%
02=16%
폴리에스테르미연신사(75D용)를 제1로울러(1)와 제2로울러(5)의 속도차에 의하여 연신시키면서 200℃의 제1히이터(2)에서 열처리하여 냉각판(3)을 지나 마찰식 가연장치(4)에서 가연된다. 이때의 사속은 500m/min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연신사(흑석75D/36F)를 사속 445m/min으로 하여 제1로울러(1'), 제1히이터(2'), 냉각판(3')을 통과시키지 않고 마찰식 가연장치(4')에 의해 트위스팅시킨 후 제2로울러(5')와 제2히이터(6')를 통과시키지 않고 제3로울러(7)로 이송시키거나 또는 제3로울러(7')를 통과시켜 에어제트유니트(8)에서 양쪽의 사를 혼섬교착시켜 교착점(10)을 생성시켜서 본 발명의 제품을 제조한다.
이상의 조건으로 제조한 합성섬유 혼섬사는 사이징(Sizing)하지 않고 양호한 제직성을 나타내었으머, 직물로 하였을 때 울(wool)혼방사 직물과 유사한 외관을 가지며 블랙사 바탕위에 흰서리가 내린 것 같은 색조를 나타내어 염색하지 않아도 하복지로서 적합하였다.
[실시예 2]
공급원사 A : 폴리에스테르 연신사(75D/36F)
〃 B : 폴리에스테르 연신사(흑색 75D/36F)
사 속 : 450m/min 01=11%
제1히이터 온도 : 195℃ 02=1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제1로울러와 제2로울러 사이에서 제1차오버피드를 부여한 결과동일한 효과를 얻었으며 춘하복지로 적합하였다.
[실시예 3]
공급원사 A :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150D용)
〃 B : 아세테이트사(120D/34F)
사 속 : 400m/min 01=8%
히이터 온도 : 190℃ 02=1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에어제트 통과시 아세테이트사에 모우가 무수히 발생하여 모우사가 되었고 노사이징(No Sizing)에 의하여 양호한 제직성을 나타냈으며 제직 후 염기성 염료에 의하여 상압염색하여 심미한 색조를 갖는 울 혼방직물의 효과를 얻었으며 추동복지로 적합하였다.
[실시예 4]
공급원사 A :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75D용)
〃 B : 나일론사(100D/24F)
사 속 : 600m/min 01=9%
제1히이터 온도 : 200℃ 02=15%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였고, 노사이징에 의하여 양호한 제직성을 나타냈으며 제직후 산성염료로서 상압염색하여 서리내리는 것 같은 심미한 색조를 이루는 울 혼방직물효과로서 춘하복지로 적합하였다.

Claims (1)

  1. 공지의 연신가연기를 이용하여 혼삼멀리필라멘트사를 제조함에 있어, 1본의 열가소성 합성섬유필라멘트사(A)를 연신가연 또는 가연한 것과, 1본 이상의 동종 혹은 이종의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연신사(B)를 마찰식 가연장치(4')로 트위스팅한 것을 제3로울러(7)의 전·후에서 합사하여 에어제트유니트(8)로서 혼섬교착하는 통상의 방법에 있어서 제2로울러(5)에서 게3로울러(7)(7')의 과급율 01과 제2로울러(5)에서 테이크업보울(9)의 과급율 02가 02>01인 상태에서 2
    Figure kpo00022
    01
    Figure kpo00023
    20(%), 4
    Figure kpo00024
    02
    Figure kpo00025
    25(%), 1
    Figure kpo00026
    02-01
    Figure kpo00027
    20(%)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제2로울러(5)와 제3로울러(7)(7') 또는 테이크업보울(9)간의 표면회전속도비를 조화시켜 행하는 혼섬멀티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상기식에서
    Figure kpo00028
    단, V1은 제2로울러(5)의 표면회전속도
    V2는 제3로울러(7)(7')의 표면회전속도
    V3는 테이크업보울(9)의 표면회전속도이다.
KR1019810002461A 1981-07-07 1981-07-07 혼섬멀티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KR820002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461A KR820002016B1 (ko) 1981-07-07 1981-07-07 혼섬멀티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461A KR820002016B1 (ko) 1981-07-07 1981-07-07 혼섬멀티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016B1 true KR820002016B1 (ko) 1982-10-24

Family

ID=1922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461A KR820002016B1 (ko) 1981-07-07 1981-07-07 혼섬멀티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0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560A (ko) * 2005-02-18 2006-08-23 김재정 의장연사기의 의장사 보풀형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560A (ko) * 2005-02-18 2006-08-23 김재정 의장연사기의 의장사 보풀형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20002016B1 (ko) 혼섬멀티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KR102226839B1 (ko) 투톤 발현이 가능한 복합 가연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직물
JPS607732B2 (ja) 異収縮混繊糸の製造法
KR0148547B1 (ko) 혼섬사의 제조방법
JPS6151053B2 (ko)
JP4373571B2 (ja) ストレッチ仮撚りスラブ複合糸、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織物及び編物
JP4050405B2 (ja) 意匠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69680B1 (ko) 폴리에스테르 융착 가연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S59116434A (ja) 杢調加工糸の製造方法
JP3748462B2 (ja) アセテート麻調複合仮撚加工糸
KR950004073B1 (ko)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
JP3059585B2 (ja) 混繊複合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870000878B1 (ko) 폴리에스텔 텍스츄어 가공사의 제조방법
KR910006394B1 (ko) 실크와 화섬필라멘트를 에어제트 텍스츄어링(Air jet Textuiring)에 의한 실크혼섬 팬시원사의 제조방법
JP3018479B2 (ja) 異染性複合仮撚糸
JP3093845B2 (ja) ポリエステル複合仮撚糸の製造法
JP2000234226A (ja) 複合仮撚糸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織編物
JPH0231136B2 (ja) Fukugoshinoseizoho
JP3154797B2 (ja) 染着差を有する複合仮撚糸の製法
JP3759828B2 (ja) 仮撚り複合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80631A (ja) 混繊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21090B1 (ko) 폴리에스터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KR910002286B1 (ko) 폴리아미드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
JPH04370216A (ja) ポリエステル太細糸及びポリエステル仮撚捲縮糸
JPH081017B2 (ja) 複合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EXTG Extingu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7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