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2123A - 강화약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강화약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12123A KR20240112123A KR1020230004314A KR20230004314A KR20240112123A KR 20240112123 A KR20240112123 A KR 20240112123A KR 1020230004314 A KR1020230004314 A KR 1020230004314A KR 20230004314 A KR20230004314 A KR 20230004314A KR 20240112123 A KR20240112123 A KR 202401121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ugwort
- composition
- extract
- acid
- ganghwa
- Prior art date
Links
- 240000006891 Artemisia vulgari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5000003261 Artemisia vulgari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5282 brightening Methods 0.000 title 1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8099 melanin synthesi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3810 hyperpig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08000000069 hyperpigmenta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06010014970 Ephelide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8000003351 Melan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6010027145 Melanocytic naevu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7256 Nevu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24217 lentigo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3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KRZBCHWVBQOTNZ-PSEXTPKNSA-N 3,5-di-O-caffeoyl qu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C@](O)(C[C@H]([C@@H]1O)OC(=O)\C=C\C=1C=C(O)C(O)=CC=1)C(O)=O)C(=O)\C=C\C1=CC=C(O)C(O)=C1 KRZBCHWVBQOTNZ-PSEXTPKNSA-N 0.000 description 18
- XUMBMVFBXHLACL-UHFFFAOYSA-N Melanin Chemical compound O=C1C(=O)C(C2=CNC3=C(C(C(=O)C4=C32)=O)C)=C2C4=CNC2=C1C XUMBMVFBXHLAC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AAWZDTNXLSGCEK-LNVDRNJUSA-N (3r,5r)-1,3,4,5-tetrahydroxycyclohexane-1-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C(O)(C(O)=O)C[C@@H](O)C1O AAWZDTNXLSGCEK-LNVDRNJUSA-N 0.000 description 15
- AAWZDTNXLSGCEK-UHFFFAOYSA-N Cordycepinsaeure Natural products OC1CC(O)(C(O)=O)CC(O)C1O AAWZDTNXLSGCE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AAWZDTNXLSGCEK-ZHQZDSKASA-N Quinic acid Natural products O[C@H]1CC(O)(C(O)=O)C[C@H](O)C1O AAWZDTNXLSGCEK-ZHQZDSKASA-N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469 ethano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KRZBCHWVBQOTNZ-UHFFFAOYSA-N (-) 3,5-dicaffeoyl-muco-quinic acid Natural products OC1C(OC(=O)C=CC=2C=C(O)C(O)=CC=2)CC(O)(C(O)=O)CC1OC(=O)C=CC1=CC=C(O)C(O)=C1 KRZBCHWVBQOTN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BJRNKVDFDLYUGJ-RMPHRYRLSA-N hydroquinone O-beta-D-glucopyranosid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C=C(O)C=C1 BJRNKVDFDLYUGJ-RMPHRYRLSA-N 0.000 description 10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194 fractio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APIXJSLKIYYUKG-UHFFFAOYSA-N 3 Isobutyl 1 methylxanthine Chemical compound O=C1N(C)C(=O)N(CC(C)C)C2=C1N=CN2 APIXJSLKIYYUK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MVCIFQBXXSMTQD-UHFFFAOYSA-N 3,5-dicaffeoylquinic acid Natural products Cc1ccc(C=CC(=O)OC2CC(O)(CC(OC(=O)C=Cc3ccc(O)c(O)c3)C2O)C(=O)O)cc1C MVCIFQBXXSMT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60000271 arbutin Drugs 0.000 description 5
- BJRNKVDFDLYUGJ-UHFFFAOYSA-N p-hydroxyphenyl beta-D-all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1=CC=C(O)C=C1 BJRNKVDFDLYUG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4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FHHSEFRSDKWJKJ-UHFFFAOYSA-N eupafolin Natural products C=1C(=O)C2=C(O)C(OC)=C(O)C=C2OC=1C1=CC=C(O)C(O)=C1 FHHSEFRSDKWJK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DDUMTOHNYZQPO-RVXRWRFUSA-N Cynarine Chemical compound O([C@@H]1C[C@@](C[C@H]([C@@H]1O)O)(OC(=O)\C=C\C=1C=C(O)C(O)=CC=1)C(O)=O)C(=O)\C=C\C1=CC=C(O)C(O)=C1 YDDUMTOHNYZQPO-RVXRWRFUSA-N 0.000 description 3
- 206010040865 Skin hyperpigmen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752 mela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454 non-polar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798 polar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826 Artemis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08838 Ast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MTVPOQKYYUETRT-UHFFFAOYSA-N Eupatilin Natural products C1=C(OC)C(OC)=CC(OC)=C1C1=CC(=O)C2=C(O)C=C(O)C=C2O1 MTVPOQKYYUET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8522 Gastro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ol Natural products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IGBRXMKCJKVMJ-UHFFFAOYSA-N Hydroquinone Chemical compound OC1=CC=C(O)C=C1 QIGBRXMKCJKVM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424775 Leontice leontopetal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052 artemis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22 artemisia absinthium l. herb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SESFRYSPDFLNCH-UHFFFAOYSA-N benzyl benzoat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OCC1=CC=CC=C1 SESFRYSPDFLN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50009125 cynar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86 esse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DRRWBCNQOKKKOL-UHFFFAOYSA-N eupatilin Chemical compound C1=C(OC)C(OC)=CC=C1C1=CC(=O)C2=C(O)C(OC)=C(O)C=C2O1 DRRWBCNQOKKKO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454 hep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283 hep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10 lo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807 phytochemic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0223 plant secondary metabolit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88 sampl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761 scalp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AIPRVGONGVQAS-DUXPYHPUSA-N trans-caffeic acid Chemical group OC(=O)\C=C\C1=CC=C(O)C(O)=C1 QAIPRVGONGVQAS-DUXPYHPU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40119569 wormwood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2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WVRJTMFETXNAD-GMZLATJGSA-N 5-Caffeoyl quinic acid Natural products O[C@H]1C[C@](O)(C[C@H](OC(=O)C=Cc2ccc(O)c(O)c2)[C@@H]1O)C(=O)O CWVRJTMFETXNAD-GMZLATJG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0084 Abdominal pain low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72919 Anthemid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23 Artemisia s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98939 Artemisia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8925 Brachyphy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21633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PZIRUHCJZBGLDY-UHFFFAOYSA-N Caffeoylquin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O)C(C)C1C(=O)CC2C3CC(O)C4CC(O)CCC4(C)C3CCC12C)C(=O)O PZIRUHCJZBGLD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667 Chron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XDTMQSROBMDMFD-UHFFFAOYSA-N Cyclohexa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XDTMQSROBMDM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930 Fatty Li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654 Fib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708 Hepatic steat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53 Hydroxyprop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1 L-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069 L-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68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1529936 Murin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2641 Pigmentat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251 Prur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453 Skin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425 Tyrosin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60008724 Tyrosi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3930 alkal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08 ampu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668 atopic ecz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03 benzyl benzo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52 biotechnolog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87 chromatography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82 cirrh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425 cirrhosis of li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7 crude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3 crude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33 cyto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72 cyto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643 digestive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84 disinteg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8 dry gran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28 e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26 essential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706 fatty liv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685 gastrointestinal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62 gland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group [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63 hydroxyprop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77 hydroxyprop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1 ino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34 intra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03 i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510 kerati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BEJNERDRQOWKJM-UHFFFAOYSA-N kojic acid Chemical compound OCC1=CC(=O)C(O)=CO1 BEJNERDRQOWK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ZNJWVWKTVETCG-UHFFFAOYSA-N koj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N1C=CC(=O)C(O)=C1 WZNJWVWKTVETC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705 koj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69 liquid formul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270 liver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018 liver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0 matu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45 metal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13 microcrystalline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8 microcrystalline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6286 microcrystalline 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QDGTJPVBWZJAZ-UHFFFAOYSA-N mono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 CQDGTJPVBWZJA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96 neu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61 over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DMXHXBGUNHLMQO-UHFFFAOYSA-N pedaliin Natural products C1=C2OC(C=3C=C(O)C(O)=CC=3)=CC(=O)C2=C(O)C(OC)=C1OC1OC(CO)C(O)C(O)C1O DMXHXBGUNHLM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group Chemical group C1(=CC=CC=C1)O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VDDGKGOMKODPV-ZQBYOMGUSA-N phenyl(114C)methanol Chemical compound O[14CH2]C1=CC=CC=C1 WVDDGKGOMKODPV-ZQBYOMGU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612 pi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9 plan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138 primary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64 purified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333 secondary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849 ski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80 skin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019 skin pigmentat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56 steam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40 steatosis hep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85 syst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00 topic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CWVRJTMFETXNAD-NXLLHMKUSA-N trans-5-O-caffeoyl-D-qu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C@](O)(C(O)=O)C[C@H]1OC(=O)\C=C\C1=CC=C(O)C(O)=C1 CWVRJTMFETXNAD-NXLLHMKU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37 ultrasound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60 weight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0 wet gran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약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화약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쑥(Artemisia sp.)은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국화과 다년생 식물이며 예로부터 중요한 약용식물로 널리 사용되어 왔고 특히, 만성위장병, 하복부통, 천식, 구충 및 악취제거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쑥은 독특한 향과 맛을 지니고 있어 여러 형태의 식품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 들어 쑥의 고유한 생리활성을 이용하여 식품에 응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쑥은 강화쑥, 황해쑥, 사철쑥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쑥에는 인체에 유익한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위장병, 변비, 신경통, 관절염, 냉병, 천식, 간염, 습진, 피부가려움증 등에 효능이 있고, 특히 급만성 간염을 비롯하여 지방간, 간경화, 간암에 현저한 효능을 나타낸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어 약용으로 사용된다. 쑥은 수분, 단백질, 지방, 조섬유뿐만 아니라 알칼로이드, 비타민, 무기질 등을 포함하고 있고, 필수지방산, 섬유소, 회분량이 많아 체중조절식품으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멜라닌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페놀류의 고분자 물질로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이다. 멜라닌은 인체의 피부에 존재하며 자외선에 대항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아민, 유리기, 금속이온 등과 같은 세포 독성물질에 대한 제거제로 작용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반면에 체내, 외적인 여러 요인에 의해 멜라닌 생성이 증가되어 다량의 멜라닌이 각질형성세포에 전달되고 피부 상피층에 축적되어 과색소침착 현상이 나타나며 이런 멜라닌의 과잉생산은 인체에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고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피부암의 유발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미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피부 미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미백 성분으로서, 코지산(Kojic acid) 또는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에는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 비타민 C (L-Ascorbic acid) 또는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이 있다. 이들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의 개선이 가능하다. 그러나 피부 적용 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안정하면서도 기존의 미백 효과가 있는 물질보다 효과가 우수한 미백 원료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보다 안전한 천연물로부터 미백 원료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강화약쑥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강화약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강화약쑥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화약쑥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강화약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백을 위한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강화약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안전한 천연식물로부터 추출한 원료이므로, 피부에 자극없이 피부 미백 또는 피부 과색소 침착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쑥의 종류에 따른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강화약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쑥 속(Artemisia L.)은 국화과(Asteraceae), 국화족(Anthemideae) 내에 속하는 가장 큰 속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종과 종하분류군을 포함하여 500여 분류군 이상이 주로 북반구의 중·고위도 온대성 기후지역에 넓게 분포하며, 일부 분류군이 한대성 기후지역과 건조지역, 남반구지역에 각각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특히, 상기 쑥은 강화약쑥(Artemisia Argy)일 수 있다. 강화약쑥은 강화 지역에서 주로 자생하는 황해쑥의 일종으로서, 잎이 넓고 짙은 녹색이며 키는 70 cm 내외로 곧게 자란다. 강화약쑥의 꽃은 중앙 양성화가 임성인 두상화서 구조이며, 약 3 mm 정도의 크기의 이삭모양으로 7월 내지 9월에 피고, 연보라색을 띤다. 꽃턱에 털이 없는 특징이 있다. 또한, 강화약쑥의 잎은 사자발 모양으로 갈라져 있으며 백색선모가 매우 뚜렷하게 관찰된다. 강화약쑥은 강화군의 지리적 특산품으로 인정받아 지리적 표시 품목으로 등록된 강화도 지역에서 자생하는 쑥, 예컨대 강화군에서 자생하는 사자발쑥, 싸주아리쑥일 수 있다. 수 있다.
상기 강화약쑥 추출물은 식물체 전체를 대상으로 추출한 것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식물체의 꽃, 줄기, 잎, 뿌리, 열매, 열매의 껍질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대상으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식물체의 줄기 또는 잎을 대상으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의미하며, 상기 강화약쑥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강화약쑥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 등이나, 이들의 희석액, 농축액, 조정제물, 정제물, 액상을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을 모두 포함한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용매추출법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추출법은 상기 식물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는 방법이다. 추출온도는 저온, 상온, 고온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추출온도는 10℃, 13℃, 15℃, 18℃, 20℃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하한; 및 30℃, 32℃, 35℃, 38℃, 40℃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한으로부터 선택되는 온도일 수 있다. 예컨대, 추출 온도는 10 내지 40℃, 15 내지 35℃, 20 내지 30℃일 수 있다. 추출 온도가 상기 범위일 때 강화약쑥에서 미백 활성을 갖는 유효성분이 가장 많이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추출 시간은 1분 내지 30일, 5분 내지 15일, 10분 내지 10일 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이 용매추출법으로 얻어지는 경우, 상기 용매는 극성 용매,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극성 용매의 대표적인 예로는 물, 저급 알코올, 아세톤, 프로필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저급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6, 탄소수 1 내지 4, 특히 탄소수 1 내지 2의 1급 또는 2급 알코올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비극성 용매의 대표적인 예로는 에테르, 클로로포름(chloroform),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이 50:50 내지 80:20, 60:40 내지 75:25의 비율로 혼합된 용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아니다. 용매가 상기와 같을 때, 미백 활성을 갖는 유효성분이 가장 많이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상온에서 70%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한 용매추출법으로 강화약쑥을 추출한 추출물을 수득하였고, 상기 추출물은 증류수나 100% 에탄올을 용매로 상온에서 추출한 경우 또는 70% 에탄올 수용액을 용매로 60℃에서 추출한 경우보다 미백 활성을 갖는 유효성분을 가장 많이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추출방법으로 강화약쑥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강화약쑥 추출물은 디카페오일퀸산(dicaffeoylquinic acid, DCQA)을 포함한다.
상기 디카페오일퀸산은 퀸산(quinic acid)과 2개의 카페익산(caffeic acid) 단위로 구성된 에스테르이며, 카페올기(caffeoyl group)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퀸산(quinic acid) 또는 이의 유도체들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피토케미칼(phytochemical)로서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아 안전하다.
상기 디카페오일퀸산은 퀸산(quinic acid)과 2개의 카페익산(caffeic acid) 단위로 구성된 에스테르이며, 카페올기(caffeoyl group)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퀸산(quinic acid) 또는 이의 유도체들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피토케미칼(phytochemical)로서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아 안전하다.
상기 디카페오일퀸산은 하기 화학식 1의 일반식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카페오일(caffeoyl)기이고,
상기 R1, R2, R3, R4 중에서 수소는 2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카페오일퀸산은 1,3-디카페오일퀸산, 1,4-디카페오일퀸산, 1,5-디카페오일퀸산, 3,4-디카페오일퀸산, 3,5-디카페오일퀸산, 4,5-디카페오일퀸산일 수 있고, 그 중에서 3,5-디카페오일퀸산, 4,5-디카페오일퀸산, 3,4-디카페오일퀸산일 수 있고, 특히, 3,5-디카페오일퀸산(3,5-dicaffoyl quinic acid, 3,5-DCQA)일 수 있다.
상기 디카페오일퀸산 유도체 중 3,5-디카페오일퀸산은 화학식 2을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상기와 같은 추출방법으로 강화약쑥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강화약쑥 추출물에는 디카페오일퀸산을 높은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화약쑥 추출물에 포함된 디카페오일퀸산 중에서 3,5-디카페오일퀸산(3,5-dicaffoylquinic acid, 3,5-DCQA)은 45 mg/g 이상, 50 mg/g 이상, 55 mg/g 이상, 특히 60 mg/g 이상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강화약쑥 추출물은 디카페오일퀸산을 상기와 같은 함량으로 포함하므로, 다른 종류의 쑥 추출물보다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강화약쑥의 70% 에탄올 추출물에 유파폴린과 유파틸린에 비해서 3,5-디카페오일퀸산의 함량이 250배 내지 1,000배 이상 많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분획물은 상기 추출물로부터 통상의 분획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수득된 것이다. 예컨대 상기 통상의 분획 공정은 다양한 용매를 처리하여 수행하는 용매 분획법,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수행하는 한외여과 분획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를 수행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및 이의 조합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강화약쑥 추출물의 분획물은 용매 분획법으로 수득될 수 있는데, 상기 용매 분획법은 서로 섞이지 않는 용매 사이의 분배를 이용하여 분획물을 수득하는 방법으로서, 물, 알코올,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등의 비극성 용매;를 개별적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혼합물이 상기 용매 분획법의 용매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 분획법은 저온, 상온 또는 고온에서 1분 내지 30일, 5분 내지 15일, 10분 내지 10일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용매분획시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분별깔때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이후 감압농축 또는/및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강화약쑥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클로로포름 및 부탄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해 분획하는 경우, 3,5-디카페오일퀸산의 함량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강화약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피부 미백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부"는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몸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미백'은 피부에서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하거나, 분해를 촉진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피부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 또는 멜라닌체의 형성, 성숙 및 전환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피부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켜 피부 톤을 밝게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강화약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10% 이상, 20% 이상, 30% 이상, 50% 이상, 90% 이상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강화약쑥을 상온에서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강화약쑥의 추출물을 5 μg/ml, 10 μg/ml, 20 μg/ml을 처리했을 때, 멜라닌 생성을 각각 약 20%, 57%, 95% 이상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다른 종류의 쑥을 같은 조건에서 추출하였을 때,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지 않거나, 오히려 멜라닌 생성을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양성 대조군인 알부틴보다 적은 농도에서도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높아 미백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인체를 청결미화하여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 또는 이의 원료를 의미하며,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통상적인 의미로서 로션, 크림, 오일, 세정용 제품 및 기능성 화장품 및 이의 원료를 모두 포함한다. 기능성 화장료란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화장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화장품 군이나 화장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화장료를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예를 들면, 크림, 로션, 앰플, 스킨, 에센스, 샴푸, 비누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기초 화장료 조성물(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및 클렌징 워터와 같은 세안제, 팩, 보디오일), 색조 화장료 조성물(파운데이션,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또는 마스크 팩 또는 팩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부위는 피부를 신체 부위에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피부를 포함하는 신체 부위는, 얼굴, 목, 손등, 두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적용되는 부위에 다양한 투여 경로, 예를 들면 전신 또는 국소, 특히 국소 투여, 경피, 또는 주사, 특히 경피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강화약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외에,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크림 제형의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 유화제, 증점제, 향료, 물, 산화방지제, 및 UV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추출물의 함량은 목적하는 제품의 구체적 용도 또는 제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전체 조성물 중에 약 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상기 강화약쑥 추출물 이외에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또는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용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에스테르가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강화약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므로,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색소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색소 질환은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질환으로, 피부 또는 손발톱의 특정 부위에서 멜라닌의 과도한 증가에 의해 다른 부위에 비해 검거나 어둡게 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부 색소 질환은 기미, 주근깨, 노인성 색소반, 잡티, 모반 또는 일광흑색증(solar lentigines)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미백 또는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색소 질환의 증상을 차단하거나, 그 증상의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미백 또는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색소 질환의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미백 또는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색소 질환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유효성분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carrier) 또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의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상기 담체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상기 강화약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특히 강화약쑥 추출물은 단독으로 또는 어떤 편리한 담체 등과 함께 혼합하여 투여될 수 있고, 그러한 투여 제형은 단회 투여 또는 반복 투여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고형 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있다. 고형 제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좌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형 제제에는 담체, 착향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활택제, 충진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상 제제로는 물,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같은 용액제, 현탁액제, 유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제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끈끈이대나물 추출물과 유당,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등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당한 담체를 단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과립제는 본 발명의 끈끈이대나물 추출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당한 담체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당한 결합제를 혼합한 후,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습식과립법 또는 압축력을 이용한 건식과립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정제는 상기 과립제를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당한 활택제와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3,5-디카페오일퀸산의 함량이 강화된 강화약쑥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강화약쑥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10 내지 40℃에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 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과 물을 저급 알코올과 물이 40:60 내지 85: 15, 50:50 내지 80:20, 55:45 내지 80:20, 60:40 내지 75:25의 비율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으로 강화약쑥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3,5-디카페오일퀸산의 함량을 45mg/g 이상, 50mg/g 이상, 55mg/g, 60mg/g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약쑥, 추출 방법, 추출 시간, 피부 미백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바를 원용하며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쑥 추출물의 제조
생약재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서 구입한 강화약쑥 100g에 70% 에탄올 수용액을 1L를 넣고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킨 후 여과하였다. 이러한 침적 및 여과 과정을 2회 반복하여 수득한 여과액을 농축하여 제조한 고형분을 70% 에탄올 추출물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생약재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서 구입한 애엽, 인진쑥, 개똥쑥 각각 100g에 70% 에탄올 수용액을 1L를 넣고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 시킨 후 여과하였다. 이러한 침적 및 여과 과정을 2회 반복하여 수득한 여과액을 농축하여 제조한 고형분을 70% 에탄올 추출물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쑥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분석
[2-1] 쑥의 종류에 따른 유효성분의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쑥 추출물에 포함된 미백 활성 성분인 디카페올퀸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쑥의 70% 에탄올 추출물 100 mg을 10 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메탄올을 표시선까지 채운 다음 0.45 μm 실린지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상기 여과한 시료에서 디카페올퀸산 중 가장 많이 포함된 3,5- DCQA를 표준으로 하여 이의 함량을 HPLC로 측정하였다.
HPLC 분리조건으로 유속은 1.0 mL/min, 시료는 5 μL를 주입하여 아세토니트릴(A 용매)과 1% 인산수용액(B 용매)을 이동상으로 사용하였고, A 용매 20-60%, B용매 80-40%로 농도에 변화를 주어 50분간 수행하였다. 컬럼의 온도는 30 ℃, UV 파장은 327 nm로 고정하여 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른 쑥보다도 강화약쑥의 70% 에탄올 추출물에 3,5-DCQA의 함량이 1.5배 내지 2배 이상 가장 많이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쑥 종류 | 강화약쑥 | 애엽 | 개똥쑥 | 인진쑥 |
3,5-DCQA(mg/g) | 63.218 | 40.911 | 38.738 | 32.898 |
[2-2] 추출 방법에 따른 유효성분의 함량 분석
강화약쑥에서 미백 활성 유효성분인 3,5-DCQA의 함량을 가장 많이 추출할 수 있는 추출방법을 찾기 위해, 추출 방법을 달리하여 3,5-DCQA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되, 추출 온도만 상온 또는 60℃로 달리하여 강화약쑥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같은 조건에서 강화약쑥을 증류수로 추출한 증류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상기 수득한 강화약쑥의 70% 에탄올 추출물 또는 증류수 추출물에 대해여 상기 실시예 2-1과 같은 방법으로 3,5-디카페오일퀸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70% 에탄올 추출물과 달리, 증류수 추출물은 3,5-디카페오일퀸산이 거의 추출되지 않았다. 70% 에탄올 수용액을 용매로 하는 경우에도 상온에서 추출하는 경우 63.218 ㎎/g 함량으로 검출되어, 60℃에서 추출하는 경우보다 3,5-디카페오일퀸산이 2배 이상 많이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강화약쑥을 상온에서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방법이 3,5-DCQA의 함량을 강화하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추출방법 | 70% 에탄올 | 증류수 | ||
상온 | 60℃ | 상온 | 60℃ | |
3,5-DCQA (mg/g) | 63.218 | 34.298 | 0.247 | 8.778 |
피부 미백 효과 확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실제로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쑥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쥐 멜라닌형성세포(murine melanocyte)를 6웰 플레이트에 각 1Х104 세포/웰로 접종하였다. 접종 24시간 후, 멜라닌 생성을 유도하는 IBMX(isobutylmethylxanthine) 및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 쑥의 추출물을 5 ㎍/㎖ 내지 20 ㎍/㎖로 계열희석한 시료를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군에는 IBMX 및 알부틴을 처리하고, 음성 대조군에는 IBMX만을 세포에 처리하였다. 처리 72시간 후 세포를 회수하고 1N NaOH로 용해하여 세포 내 멜라닌을 검출하였다. 무처리군(배양액만 처리), 음성 대조군(IBMX만 처리), 양성 대조군(IBMX와 알부틴을 농도별 처리), 시험군(IBMX와 각 시료를 농도별 처리)의 흡광도(OD405)를 측정하고 음성 대조군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0으로, 무처리군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100으로 하여 각 군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강화약쑥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5 ㎍/㎖ 농도로 처리하여도 멜라닌의 생성이 19.2% 억제되었고, 20 ㎍/㎖의 농도로 처리하는 경우 멜라닌 생성량이 95.4% 억제되어, 강화약쑥 에탄올 추출물에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이 억제되었다. 이에 반해, 다른 종류의 쑥(애엽, 개똥쑥, 인진쑥)의 경우, 추출물을 20 ㎍/㎖의 농도로 처리하여도 멜라닌 생성이 전혀 억제되지 않고, 오히려 멜라닌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화약쑥 추출물은 알부틴보다 적은 농도에서도 높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갖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이 기미나 주근깨 개선 및 피부 미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쑥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보다 미백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미백 활성 유효성분 함량 분석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주성분이 3,5-디카페오일퀸산인지 확인하기 위해, 미백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유파폴린, 유파틸린, 3,5-디카페오일퀸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쑥의 70% 에탄올 추출물 약 100 mg을 정확히 달아 10 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메탄올을 표시선까지 채운 다음 0.45 μm 실린지필터로 필터한 액을 검액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HPLC 조건으로 유파폴린, 유파틸린, 3,5-DCQA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증류수 추출물,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도 유파폴린, 유파틸린, 3,5-DCQA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강화약쑥의 70% 에탄올 추출물에 포함된 3,5-디카페오일퀸산의 함량이 유파폴린 또는 유파틸린 대비 내지 250배 내지 1,000배 이상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강화약쑥에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주 유효성분은 유파폴린 또는 유파틸린이 아닌 3,5-디카페오일퀸산일 것을 알 수 있었다.
함량 (mg/g) | 증류수 | 70% 에탄올 | 100% 에탄올 |
유파폴린(Eupafolin) | ND | 0.06 | 0.18 |
유파틸린(Eupatilin) | ND | 0.25 | 1.40 |
3,5-DCQA | 0.25 | 63.22 | 0.97 |
Claims (14)
- 강화약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화약쑥 추출물은 디카페올퀸산을 포함하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카페올퀸산은 3,5-디카페오일퀸산, 1,3-디카페오일퀸산, 1,4-디카페오일퀸산, 1,5-디카페오일퀸산, 3,4-디카페오일퀸산 및 4,5-디카페오일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카페오일퀸산은 45 mg/g 이상의 농도로 포함된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강화약쑥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과 물이 50:50 내지 80:20으로 혼합된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강화약쑥을 10 내지 40℃에서 추출한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 강화약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색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색소 질환은 기미, 주근깨, 노인성 색소반, 잡티, 모반 또는 일광흑색증(solar lentigines)인,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색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강화약쑥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화약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과 물을 50:50 내지 80:20의 비율로 혼합한 것인 강화약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10 내지 40℃에서 수행하는 것인 강화약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4314A KR20240112123A (ko) | 2023-01-11 | 2023-01-11 | 강화약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4314A KR20240112123A (ko) | 2023-01-11 | 2023-01-11 | 강화약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12123A true KR20240112123A (ko) | 2024-07-18 |
Family
ID=92302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04314A KR20240112123A (ko) | 2023-01-11 | 2023-01-11 | 강화약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12123A (ko) |
-
2023
- 2023-01-11 KR KR1020230004314A patent/KR20240112123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7308B1 (ko) |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JP3407935B2 (ja) | 皮膚外用剤 | |
JP4647991B2 (ja) | Scf発現阻害剤 | |
KR101794006B1 (ko) |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 |
KR101009766B1 (ko) | 하고초 추출물 및 개사철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289957B1 (ko) | 백향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835356B1 (ko) |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 |
KR102472974B1 (ko)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170137549A (ko)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150145704A (ko) |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
US8986758B2 (en) | Method for extracting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component using a polished-rice steaming method | |
KR20240112123A (ko) | 강화약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20180137151A (ko) | 강황잎 및 황촉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232699B1 (ko) | 스키산드린(Schisandrin)의 함량이 증진된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 완화 또는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60003916A (ko) |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786853B1 (ko) | 백심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200058730A (ko) |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 |
KR102480364B1 (ko) |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JP6017259B2 (ja) | エンドセリン作用抑制剤 | |
KR102308715B1 (ko) | 가는 갯능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292114B1 (ko) |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미세먼지 유발 염증 개선, 및 모공축소용 조성물 | |
KR100561781B1 (ko) | 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1995367B1 (ko) |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 |
KR102110903B1 (ko) |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 |
KR102553245B1 (ko) | 녹악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