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8516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08516A KR20240108516A KR1020247020749A KR20247020749A KR20240108516A KR 20240108516 A KR20240108516 A KR 20240108516A KR 1020247020749 A KR1020247020749 A KR 1020247020749A KR 20247020749 A KR20247020749 A KR 20247020749A KR 20240108516 A KR20240108516 A KR 202401085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ea
- absorbent article
- sheet
- top sheet
- skin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5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5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5610 lign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lass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3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3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DTOSIQBPPRVQHS-PDBXOOCHSA-N alpha-linolen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DTOSIQBPPRVQHS-PDBXOOCH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1 b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08 skin proble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YHQOLUKZRVURQ-NTGFUMLPSA-N (9Z,12Z)-9,10,12,13-tetratritiooctadeca-9,12-di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3H])\[3H])\[3H])\[3H])(=O)O OYHQOLUKZRVURQ-NTGFUMLPSA-N 0.000 description 1
- WRIDQFICGBMAFQ-UHFFFAOYSA-N (E)-8-Octadec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WRIDQFICGBMA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QJBNNIYVWPHFW-UHFFFAOYSA-N 20:1omega9c fatty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LQJBNNIYVWPH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SBYPNXLFMSGKH-UHFFFAOYSA-N 9-Heptadecensaeur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O)=O QSBYPNXLFMSG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89 Almon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QPLDLSVMHZLSFG-UHFFFAOYSA-N Copper oxide Chemical compound [Cu]=O QPLDLSVMHZLS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51 Copper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1639 Incontin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817 Olea europa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UHFFFAOYSA-N 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642 O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251 Prur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935 Sclerocarya birr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836 Sclerocarya caff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936 Vitellaria paradox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62 absorption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67 acupunc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68 almond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61 alpha-linole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78 arga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31 coppe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17 gas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35 hexane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6 in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5 inorganic fill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XJSBBXBKPUZAA-UHFFFAOYSA-N iso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QXJSBBXBKPUZ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03 i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488 linole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75 menstr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21 menstrual period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906 menstru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KTKRTIGZSA-N ole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KTKRTIGZ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13 ole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9 plan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1 skin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5 sunscreen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16 sunscre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에 의한 불포화 지방산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유제에 의한 효능을 부여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1)은,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톱 시트(11)와, 천연 유래이며, 또한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제가 처리된 부여 영역(S10)을 갖는 본체부(10)를 포함한다. 톱 시트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끼리가 마주보도록 흡수성 물품이 접음선(FL)을 기점으로 접어 개켜진 상태에서, 톱 시트끼리가 마주보는 내측 영역(S20)을 갖는다. 부여 영역은, 톱 시트의 내측 영역에 설치된 내측 부여 영역(S11)을 갖는다. 흡수성 물품은, 톱 시트보다도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저투과 부재(15)를 갖는다. 저투과 부재는, 접어 개켜진 상태에서, 내측 부여 영역의 비피부면측을 덮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제(油劑)가 처리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ω-6 지방 등의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제가 처리된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유제는, 톱 시트, 백 시트, 및 톱 시트와 백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 코어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당해 흡수성 물품의 하나 이상의 층에 배치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었다. 유제는, 외음 피부와 접촉시키도록 배치되어, 외음 피부의 피부 배리어 기능을 개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불포화 지방산은,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열화되기 쉽고, 당해 열화에 기인하여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거나, 피부에 대한 효능이 저하되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흡수성 물품은, 제조에서부터 유통 과정을 거쳐, 소비자에게 이르러, 제조에서부터 사용까지 시간이 걸린다. 게다가, 사용 양태에 따라서는, 흡수성 물품을 밖으로 꺼내는 경우가 있어, 외부 환경에 의한 자외선 등의 영향을 받기 쉬웠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자외선에 의한 불포화 지방산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유제에 의한 효능을 부여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톱 시트와, 천연 유래이며, 또한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제가 처리된 부여 영역을 갖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톱 시트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끼리가 마주보도록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접음선을 기점으로 접어 개켜진 상태에서, 상기 톱 시트끼리가 마주보는 내측 영역을 갖는다. 상기 부여 영역은, 상기 톱 시트의 상기 내측 영역에 설치된 내측 부여 영역을 갖는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톱 시트보다도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저투과 부재를 갖는다. 상기 저투과 부재는, 상기 접어 개켜진 상태에서, 상기 내측 부여 영역의 비피부면(非肌面)측을 덮는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전개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전개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비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전개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개별 포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전개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비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전개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개별 포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1) 실시형태의 개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일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톱 시트와, 천연 유래이며, 또한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제가 처리된 부여 영역을 갖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톱 시트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끼리가 마주보도록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접음선을 기점으로 접어 개켜진 개킴(折疊) 상태에서, 상기 톱 시트끼리가 마주보는 내측 영역을 갖는다. 상기 부여 영역은, 상기 톱 시트의 상기 내측 영역에 설치된 내측 부여 영역을 갖는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톱 시트보다도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저투과 부재를 갖는다. 상기 저투과 부재는, 상기 접어 개켜진 상태에서, 상기 내측 부여 영역의 비피부면측을 덮는다. 본 양태에 의하면,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제가 톱 시트의 내측 부여 영역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에 대하여 불포화 지방산을 부여할 수 있어,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 유제가 천연 유래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유제에 대한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내측 부여 영역은, 접어 개켜진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톱 시트에 의해 덮인다. 따라서, 개킴 상태에서는, 내측 부여 영역에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에서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기 어려워, 자외선에 의한 유제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내측 부여 영역의 비피부면측은, 저투과 부재에 의해 덮여 있다. 저투과 부재는, 자외선을 투과하기 어렵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비피부면측에서 자외선이 내측 부여 영역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여, 자외선에 의한 유제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에 의한 불포화 지방산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유제에 의한 효능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톱 시트보다도 비피부면측에 위치하고, 흡수 재료를 갖는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보다도 비피부면측에 위치하는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와, 상기 백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고정 부착부(止着部)를 갖는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고정 부착부를 덮는 박리 시트를 갖는다. 상기 저투과 부재는, 상기 흡수 코어, 상기 백 시트 및 상기 박리 시트 중 적어도 어느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백 시트, 박리 시트 및 흡수 코어 중 적어도 어느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비피부면측으로부터의 자외선에 대해 내측 부여 영역을 보호할 수 있다. 별도의 저투과 부재를 설치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부품 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개킴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 상기 백 시트 및 상기 박리 시트는, 상기 내측 부여 영역의 비피부면측에 있어서 적층되어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백 시트, 박리 시트 및 흡수 코어의 3개의 부재에 의해 내측 부여 영역을 보호할 수 있어, 내측 부여 영역에서의 유제에 대해 자외선이 도달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접음선은,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전후 방향으로 끼고 설치된 제 1 폭 접음선과 제 2 폭 접음선을 갖는다. 상기 접어 개켜진 상태에서,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서의 상기 내측 부여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폭 접음선보다도 후측(後側)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과, 상기 제 2 폭 접음선보다도 전측(前側)에 위치하는 전측 영역에 의해 덮여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전측 영역 및 후측 영역에 의해 가랑이 아래 영역의 내측 부여 영역을 보호할 수 있다. 가랑이 아래 영역은, 예민한 배설구에 대해 맞닿는 영역이며, 배설구에 대해 불포화 지방산에 의한 효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의 상기 유제의 평량은, 상기 전측 영역의 상기 유제의 평량보다도 높고, 상기 후측 영역의 상기 유제의 평량보다도 높다. 본 양태에 의하면, 배설구에 맞닿는 가랑이 아래 영역에서의 유제의 평량이 높기 때문에, 배설구에 대해 불포화 지방산에 의한 효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전측 영역 및 후측 영역은, 가랑이 아래 영역과 비교하여 착용 시에 좌우로 움직이기 쉬운 영역이다. 당해 전측 영역 및 후측 영역이 착용 시의 움직임에 의해 피부에 접촉하기 쉬워, 사용자가 전측 영역 및 후측 영역의 유제의 촉감을 느끼기 쉽다. 따라서, 전측 영역 및 후측 영역의 유제의 평량이 비교적 낮아도, 사용자는, 유제에 의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톱 시트는, 상기 톱 시트의 폭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부 영역을 갖는다.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부여 영역의 면적은, 각 상기 측부 영역에서의 상기 부여 영역의 면적보다도 크다. 본 양태에 의하면, 중앙 영역은, 배설구 등의 몸의 예민한 부분에 닿기 쉽다. 배설구에 대해 불포화 지방산에 의한 효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측부 영역의 유제의 단위면적당 중량(目付)이 낮기 때문에, 다리 주위에 유제가 너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은, 사용 시에 착용 물품의 비피부면측으로 되접히는 윙과, 상기 윙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윙 고정 부착부를 덮는 윙 박리 시트를 갖는다. 상기 개킴 상태에 있어서, 상기 윙 및 상기 윙 박리 시트는, 상기 내측 부여 영역의 피부면측을 덮는다. 본 양태에 의하면, 윙 및 윙 박리 시트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으로부터 자외선이 내측 부여 영역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여, 자외선에 의한 유제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윙이 부분적으로 내측 부여 영역에 겹쳐지는 경우에는, 윙의 일부로 유제가 이행한다. 사용자는, 본체부의 장착 시에 윙을 시인(視認)하거나, 만지거나 한다. 그때에, 사용자는, 윙으로 이행한 유제의 색이나 감촉 등에 의해 유제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포장 시트에 의해 개별적으로 포장되어 있다. 포장 시트에 의해 상기 본체부가 개별적으로 포장된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여 영역에 대한 자외선 투과량이 0mW/㎠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개별 포장 상태에서 본체부의 내측 부여 영역에 도달하는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어, 장기간 보관한 후에 있어서도 톱 시트에 부여된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제가 자외선에 피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은, 착색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착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부여 영역에 겹쳐져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당해 착색부의 잉크 등의 존재에 의해 자외선의 투과가 억제되어, 부여 영역의 유제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착색부에 의해 부여 영역을 눈에 띄게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유제의 존재 및 유제의 위치를 파악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상기 유제를 상기시키는 상기(想起) 디자인이 설치되어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유제의 존재를 파악하기 쉬워져, 유제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상기 유제를 마스킹하는 향료 성분이 처리되어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천연 유래의 유제의 냄새, 특히,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는 유제의 조성 변화로 인한 냄새의 변화에 의해 불량품인지 등의 위화감을 가질 수 있다. 마스킹하는 향료 성분을 구비함으로써, 유제의 냄새에 의한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어, 사용자는, 보다 안심하고 흡수성 물품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톱 시트의 피부면측의 영역에서의 상기 톱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간 거리는, 상기 톱 시트의 비피부면측의 영역에서의 상기 섬유의 섬유 간 거리보다도 짧다. 본 양태에 의하면, 톱 시트의 피부면측의 영역에서의 섬유 간 거리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톱 시트의 유제가 비피부면측으로 이행하기 어려워, 피부에 대하여 유제를 계속 부여하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저투과 부재는, 산화 티탄을 포함하고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산화 티탄은, 조사된 자외선을 산란 및 반사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그 때문에, 저투과 부재에 도달한 자외선의 일부를 산란 및 반사시켜, 저투과 부재를 투과하는 자외선량을 저하할 수 있다. 따라서, 톱 시트에 도달하는 자외선량을 저감하여, 당해 톱 시트의 내측 부여 영역에서의 유제에 대해 자외선이 도달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톱 시트보다도 비피부면측에 위치하고, 흡수 재료를 갖는 흡수 코어를 갖는다. 상기 흡수 코어는, 리그닌(페놀 유도체)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흡수 코어와 상기 톱 시트를 압착한 압착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측 부여 영역은, 상기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비압착부에 설치되어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리그닌은, 자외선을 흡수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리그닌을 포함하는 흡수 코어가 내측 부여 영역의 비피부면측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톱 시트의 내측 부여 영역에 도달하는 자외선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압착부의 유제는, 비압착부의 유제보다도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경시(經時)에 따른 유제의 확산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비압착부의 유제는, 피부에 대하여 부착되기 쉽다. 그 때문에, 비압착부의 유제에 의해 사용 시에 곧바로 피부에 대하여 효능을 부여하고,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열화를 억제한 압착부의 유제를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톱 시트의 상기 내측 부여 영역에는, 두께 방향으로 상기 톱 시트를 관통한 톱 개공(開孔) 및 상기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인 톱 오목부(凹部) 중 적어도 한쪽이 설치되어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톱 개공 및 톱 오목부 중 적어도 한쪽이 설치된 영역에서는, 톱 시트와 피부의 접촉 면적을 저감할 수 있고, 유제에 의해 톱 시트가 피부에 달라붙는 것을 저감할 수 있어, 장착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톱 개공 또는 톱 오목부 내로 유제가 들어감으로써, 유제가 톱 시트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가, 유제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2)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에 대해서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1)은, 생리용 패드, 팬티 라이너, 성인용 실금 패드와 같은 흡수성 물품(1)이어도 된다. 특히, 흡수성 물품(1)은, 사용자의 속옷과 같은 착용 물품의 내측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물품이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전개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피부면측(T1)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전개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비피부면측(T2)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전개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피부면측(T1)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개별 포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평면도이고, 도 5(b)는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제 1 전개 상태는, 흡수성 물품(1)이, 어느 접음선(FL)에 의해서도 접어 개켜져 있지 않은 상태이며, 제 2 전개 상태는, 윙 접음선(FL1, FL2)을 기점으로 윙(3)을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접어 개키고, 폭 접음선(FW1 및 FW2)을 기점으로 접어 개켜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개별 포장 상태는, 포장 시트(70)에 의해 본체부(10)가 개별적으로 포장된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의 전개 상태는, 제 1 전개 상태 및 제 2 전개 상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 윙(3)을 갖지 않는 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전개 상태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흡수성 물품(1)은,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을 갖는다. 전후 방향(L)은, 착용자의 전측(복측)에서 후측(등측)으로 연장되는 방향, 또는 착용자 후측에서 전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폭 방향(W)은, 전후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흡수성 물품(1)은, 피부면측(T1)과 비피부면측(T2)으로 연장되는 두께 방향(T)을 갖는다. 여기에서, 「피부면측」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측에 상당한다. 「비피부면측」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로 향하는 측에 상당한다. 흡수성 물품(1)은, 본체부(10)를 적어도 갖는다. 본체부(10)는,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가랑이 아래 영역(S3)을 갖는다. 윙(3)을 갖는 본체부(10)에 있어서는, 가랑이 아래 영역(S3)은, 윙(3)이 설치된 영역이어도 된다. 본체부(10)는, 톱 시트(11)와, 백 시트(20)와, 흡수 코어(30)와, 고정 부착부(50)를 가져도 된다. 톱 시트(11)는,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시트이다. 톱 시트(11)는, 흡수 코어(30)의 폭 방향의 중앙을 덮는 센터 시트와, 센터 시트의 측방을 덮는 사이드 시트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터 시트와 사이드 시트를 아울러 톱 시트(11)로서 설명한다. 톱 시트(11)는, 액체 투과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톱 시트(11)는, 톱 시트(11)의 폭 방향(W)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C11)과, 중앙 영역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부 영역(R11)을 가져도 된다. 또한, 톱 시트(11)가 센터 시트와 사이드 시트를 갖는 형태에 있어서는, 본체부(10)의 피부면에 센터 시트가 배치된 영역이 중앙 영역을 구성하고, 본체부(10)의 피부면에 사이드 시트가 배치된 영역이 측부 영역을 구성해도 된다. 또, 다른 형태에 있어서는, 톱 시트(11)의 폭 방향(W) 전체를 3등분한 3개의 영역 중 중앙에 위치하는 영역이 중앙 영역을 구성하고, 3개의 영역 중 측방에 위치하는 영역이 측부 영역을 구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톱 시트(11)의 폭 방향(W) 전체를 3등분한 3개의 영역 중 중앙에 위치하는 영역이 중앙 영역(C11)을 구성하고, 3개의 영역 중 측방에 위치하는 영역이 측부 영역(R11)을 구성한다.
흡수 코어(30)는,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흡수 코어(30)는, 수분을 흡수 가능한 흡수 재료를 갖는다. 흡수 코어(30)는, 코어 랩(31)(도 4 참조)에 의해 덮여 있어도 된다. 코어 랩(31)은, 예를 들면 티슈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에는, 적어도 흡수 코어(30)와 톱 시트(11)를 두께 방향(T)으로 압축한 압착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도 된다. 백 시트(20)는, 흡수 코어(30)보다도 비피부면측(T2)에 위치한다. 백 시트(20)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쪽을 향한다. 백 시트(20)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백 시트(20)의 비피부면에는, 본체부(10)를 속옷 등의 착용 물품에 고정 부착하기 위한 고정 부착부(50)가 설치되어도 된다. 고정 부착부(50)는, 점착제가 부여된 부분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고정 부착부(50)는, 흡수 코어(30)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된 본체 고정 부착부(51)와, 윙(3)에 배치된 윙 고정 부착부(52)를 가져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후 방향(L)을 따라」라는 용어는, 전후 방향(L)에 대해 45°미만의 각도를 가진 방향을 의미하고, 「폭 방향(W)을 따라」라는 용어는, 폭 방향(W)에 대해 45°미만의 각도를 가진 방향을 의미한다. 또, 외측연은, 폭 방향(W)의 외단(外端)이다. 외측부는, 외측연을 포함하고, 또한 폭 방향(W)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부분이다. 전단연은, 전측의 가장자리이고, 후단연은, 후측의 가장자리이다. 외단연은, 전단연과 후단연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 외연은, 외측연, 전단연 및 후단연을 포함하는 바깥 둘레 전체의 가장자리이다. 또, 외단부는, 외단연을 포함하고, 또한 전후 방향(L)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부분이다.
본체부(10)는, 윙(3)을 가져도 된다. 윙(3)은, 흡수 코어(30)보다도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사용 시에 착용 물품의 비피부면측(T2)으로 되접힌다. 윙(3)은, 전후 방향(L)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윙 접음선(FL1, FL2)을 기점으로 접어 개켜져도 된다. 한 쌍의 전후 접음선(FL)은,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도 되고, 본체 폭 중심(20)(CW)을 사이에 둔 양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윙 접음선(FL1, FL2)은, 윙(3)의 죽지부끼리를 연결해도 된다.
흡수성 물품(1)은, 본체부(10)의 고정 부착부(50)를 덮는 박리 시트(60)와, 본체부(10)를 개별적으로 포장하는 포장 시트(70)를 가져도 된다. 박리 시트(60)는, 본체 고정 부착부(51)를 덮는 본체 박리 시트(61)와, 윙 고정 부착부(52)를 덮는 윙 박리 시트(62)를 가져도 된다. 본체 박리 시트(61)는, 본체부(10)와 포장 시트(70)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윙 박리 시트(62)는, 윙(3)이 윙 접음선(FL1, FL2)을 기점으로 접어 개켜진 제 2 전개 상태(도 3 참조)에 있어서, 윙 고정 부착부(52)를 덮어도 된다. 윙 박리 시트(62)는, 한 쌍의 윙(3)에 걸쳐져 있어도 된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은, 본체부(10)만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고정 부착부(50)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 포장 시트(70)의 본체부(10)측의 면을 실리콘 등으로 코팅함으로써, 박리 시트(60)의 기능을, 포장 시트(70)가 겸하고 있어도 된다.
흡수성 물품(1)은, 사용 전에, 접음선(FL)을 기점으로 흡수성 물품(1)의 피부면측(T1)끼리가 마주보도록 접어 개켜져도 된다. 접음선(FL)은, 윙 접음선(FL1, FL2) 및 폭 접음선(FW1, FW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갖는다. 윙 접음선(FL1, FL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윙(3)을 접어 개키는 접음선이다. 폭 접음선(FW1, FW2)은, 폭 방향(W)을 따른 접음선이다. 폭 접음선은,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폭 접음선은, 가랑이 아래 영역(S3)을 끼고 배치된 제 1 폭 접음선(FW1) 및 제 2 폭 접음선(FW2)을 가져도 된다. 제 1 폭 접음선(FW1)은, 복수의 폭 접음선 중, 본체부(10)의 후단연(10R)에 가장 가깝고, 제 2 폭 접음선(FW2)은, 복수의 폭 접음선 중, 본체부(10)의 전단연(10F)에 가장 가깝다. 본체부(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폭 접음선(FW1)보다도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S2)과, 제 2 폭 접음선보다도 전측에 위치하는 전측 영역(S1)을 갖는다. 후측 영역(S2)은, 본체부(10)의 후단연(10R)과 제 1 폭 접음선(FW1) 사이의 영역이다. 전측 영역(S1)은, 본체부(10)의 전단연(10F)과 제 2 폭 접음선(FW2) 사이의 영역이다. 가랑이 아래 영역(S3)은, 제 1 폭 접음선(FW1)과 제 2 폭 접음선(FW2) 사이의 영역이다.
흡수성 물품(1)은, 본체부(10), 박리 시트(60) 및 포장 시트(70)가 어느 접음선(FL)에 의해서도 접어 개켜져 있지 않은 제 1 전개 상태(도 1 및 도 2 참조)에 있어서, 윙 접음선(FL1, FL2)을 기점으로 접어 개켜져, 제 2 전개 상태(도 3 참조)가 된다. 흡수성 물품(1)은, 제 2 전개 상태에 있어서, 폭 접음선(FW1 및 FW2)을 기점으로 접어 개켜져, 도 5에 나타내는 개별 포장 상태가 된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이, 윙(3)을 갖지 않는 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전개 상태를 실현하지 않고, 제 1 전개 상태로부터 개별 포장 상태가 되어도 된다. 흡수성 물품(1)은, 윙 접음선(FL1, FL2)에 의해서만 접어 개켜져 있어도 되고, 폭 접음선(FW1, FW2)에 의해서만 접어 개켜져도 된다. 또, 흡수성 물품(1)이, 박리 시트(60) 및 포장 시트(70)를 갖지 않는 형태에 있어서는, 접음선은, 본체부(10)만을 접어 개키는 접음선이어도 된다.
톱 시트(11)는, 흡수성 물품(1)의 피부면측(T1)끼리가 마주보도록 흡수성 물품(1)이 접음선을 기점으로 접어 개켜진 상태에 있어서, 톱 시트(11)끼리가 마주보는 내측 영역(S20)을 갖는다. 내측 영역(S20)은, 윙 접음선(FL1, FL2)을 기점으로 접어 개켜진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영역이어도 되고, 폭 접음선(FW1, FW2)을 기점으로 접어 개켜진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영역이어도 된다. 또, 접어 개켜진 상태에서 톱 시트(11)끼리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는, 톱 시트(11)끼리가 다른 부재를 끼우지 않고 마주보는 상태뿐만 아니라, 톱 시트(11)끼리가 다른 부재(예를 들면, 윙 박리 시트(62))를 개재하고 마주보고 있는 상태여도 된다. 즉, 내측 영역(S20)은, 피부면측(T1)끼리가 마주보도록 본체부(10)가 접어 개켜져, 톱 시트(11)의 일부가 톱 시트(11)의 다른 부분을 덮었을 때에, 덮인 부분과 덮은 부분을 합친 영역이다.
흡수성 물품(1)은, 천연 유래이며, 또한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제가 처리된 부여 영역(S10)을 갖는다. 여기에서, 천연 유래란, 천연물이나 천연에서 유래하는 물질이며, 주로 식물 추출물이다. 불포화 지방산은, 올레인산, 리놀레산, α-리놀렌산을 예시할 수 있고, 천연 유래의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제는, 올리브 오일, 아르간 오일, 아몬드 오일, 시어 오일, 마룰라 오일을 예시할 수 있다. 부여 영역(S10)은, 당해 유제가 도포, 함침 또는 분사된 영역이어도 되고, 당해 유제가 재료에 함유된 영역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톱 시트(11)에 유제가 도포되고 있어, 톱 시트(11) 전체가 부여 영역(S10)을 구성하는 동시에, 코어 랩(31)에 유제가 도포되어 있어, 코어 랩(31)이 부여 영역(S10)을 구성한다.
또한, 부여 영역(S10)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특정할 수 있다. (1) 측정 대상 재료를 3cm×3cm의 크기로 커트하여, 시험관에 분취(分取)하고, 헥산 또는 아세톤 1ml를 첨가하여 진탕 추출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헥산 추출물 또는 아세톤 추출물의 일부를 분취하여, 헥산 또는 아세톤으로 희석한다. (2)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계를 이용하여 피크 파장을 표준 샘플과 비교한다. 표준 샘플과 비교하여 유제를 특정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유제의 종류와, 당해 유제가 부여된 부여 영역(S10)을 특정할 수 있다. 부여 영역(S10)의 범위를 특정하기 위해서는, 흡수성 물품을 상기 사이즈로 절단한 복수의 시료를 준비하고, 상기 방법에 의해 당해 시료에 대응하는 영역이 부여 영역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 각 부재마다 부여 영역을 특정하는 경우에는, 각 부재로 분해한 상태에서 시료를 준비하고, 부여 영역을 특정한다.
또, 유제가 천연 유래인지 아닌지는, 가속기 질량 분석계(AMS)에 의한 방사성 탄소(C14) 농도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 측정 대상 시료(유제가 부여된 흡수성 물품)를 3cm×3cm의 크기로 커트하여, 시험관에 분취하고, 헥산 또는 아세톤 1ml를 첨가하여 진탕 추출한다. 추출한 시료를 액체 질소로 냉각하여 고체화시킨다. (2) 시료를 산화동과 함께 석영관에 넣어, 900℃에서 4시간 가열하여 연소하고, 이산화탄소를 회수한다. 회수한 이산화탄소는, 철분 촉매하에 수소를 이용해 환원하여 그래파이트로 바꾼다. 그래파이트와 철의 혼합물을 시료 홀더에 채운다. (3) 가속기 질량 분석계를 이용하여 방사성 탄소(C14) 농도를 측정한다. 방사성 탄소(C14) 농도를 검출할 수 있으면, 천연 유래라고 판단한다.
부여 영역(S10)은, 톱 시트(11)의 내측 영역(S20)에 설치된 내측 부여 영역(S11)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톱 시트(11) 전체가 부여 영역(S10) 및 내측 영역(S20)을 구성하기 때문에, 톱 시트(11) 전체가 내측 부여 영역(S11)을 구성한다. 본 양태에 의하면,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제가 톱 시트(11)의 내측 부여 영역(S11)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에 대하여 불포화 지방산을 부여할 수 있어,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 유제가 천연 유래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유제에 대한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제는, 톱 시트(11) 이외의 부재에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당해 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1)은, 톱 시트(11)의 내측 영역(S20)에 유제가 처리된 내측 부여 영역(S11)과, 톱 시트(11) 이외의 부재(예를 들면, 코어 랩)에 유제가 처리된 부여 영역(S10)을 가져도 된다. 또, 톱 시트(11)의 일부가 내측 영역(S20)을 구성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톱 시트(11)에는, 내측 부여 영역(S11)과, 내측 부여 영역(S11) 이외의 영역에 설치된 부여 영역(S10)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출원인이 예의 연구를 행한바, 생리 기간 중에 생리용 패드를 사용하고 있으면, 착용 물품의 땀참 등에 의해 가려움 등의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거나, 경혈(經血) 양이 적은 시기(예를 들면, 생리 개시 후의 3∼4일 후)에 건조에 의해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거나 한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습관에 의해 또는 위생면을 고려하여 체모(剃毛)를 행하는 경우가 있다. 체모를 행함으로써, 피부가 보다 민감해져,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기 쉬운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올리브 오일 등의 천연 유래의 유제를 부여할 수 있어, 피부 트러블을 저감할 수 있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흡수성 물품(1)에서의 자외선에 의한 불포화 지방산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1)은, 톱 시트(11)보다도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저투과 부재(15)를 갖는다. 여기에서, 자외선 투과율(%)이란,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파장 300(nm)∼400(nm) 영역의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블랭크(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지 않는 필름)의 경우의 UV 투과율을 100으로 한 경우의 상대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의 저투과 부재(15)는, 백 시트(20), 흡수 코어(30), 본체 박리 시트(61), 윙 박리 시트(62) 및 포장 시트(필름)를 포함한다. 또, 자외선 투과율이 부분에 따라 다른 형태에 있어서는, 적어도 일부의 자외선 투과율이 톱 시트(11)의 자외선 투과율보다도 높으면, 저투과 부재(15)를 구성한다.
저투과 부재(15)는, 접어 개켜진 상태에서, 내측 부여 영역(S11)의 비피부면측(T2)을 덮는다. 바꿔 말하면, 저투과 부재(15)는, 제 2 전개 상태(윙 접음선(FL1, FL2)에 의해 접어 개켜진 상태)에서, 톱 시트(11)끼리가 마주보는 영역(윙 접음선(FL1, FL2)보다도 폭 방향(W)의 외측의 영역 및 당해 영역에 의해 덮인 영역)보다도 비피부면측(T2)에 위치한다. 또는, 저투과 부재(15)는, 개별 포장 상태에서, 톱 시트(11)끼리가 마주보는 영역(폭 접음선(FW1, FW2)에 의해 접어 개켜진 영역 및 당해 영역에 의해 덮인 영역)보다도 비피부면측(T2)에 위치한다. 본 양태에 의하면, 내측 부여 영역(S11)은, 접어 개켜진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톱 시트(11)에 의해 덮인다. 따라서, 개킴 상태에서는, 내측 부여 영역(S11)에는, 흡수성 물품(1)의 피부면측(T1)으로부터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기 어려워, 자외선에 의한 유제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내측 부여 영역(S11)의 비피부면측(T2)은, 저투과 부재(15)에 의해 덮여 있다. 저투과 부재(15)는, 자외선을 투과하기 어려워, 흡수성 물품(1)의 비피부면측(T2)으로부터 자외선이 내측 부여 영역(S11)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여, 자외선에 의한 유제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열화를 억제한 양질의 유제를 사용자에게 부여하여, 피부 트러블을 억제해, 흡수성 물품의 장착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부여 영역(S11)의 적어도 일부의 비피부면측(T2)을 저투과 부재(15)에 의해 덮고 있으면 되지만, 적합하게는, 내측 부여 영역(S11)의 전역(全域)의 비피부면측(T2)을 저투과 부재(15)에 의해 덮어도 된다.
저투과 부재(15)는, 흡수 코어(30), 백 시트(20) 및 박리 시트(60) 중 적어도 어느 것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백 시트(20), 박리 시트(60) 및 흡수 코어(30) 중 적어도 어느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의 비피부면측(T2)으로부터의 자외선에 대해 톱 시트(11)에 부여된 유제를 보호할 수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별도의 저투과 부재(15)를 설치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부품 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에서의 저투과 부재(15)는, 백 시트(20), 흡수 코어(30), 본체 박리 시트(61), 윙 박리 시트(62) 및 포장 시트(70) 이외의 다른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당해 변형예에 의하면, 별체의 저투과 부재(15)를 배치함으로써, 기존의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도 자외선에 의한 유제의 열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저투과 부재(15)를 구성하는 흡수 코어(30), 백 시트(20) 및 박리 시트(60)는, 내측 부여 영역(S11)의 비피부면측(T2)에 있어서 적층되어도 된다. 바꿔 말하면, 흡수 코어(30), 백 시트(20) 및 박리 시트(60)의 3층이 적층된 적층부가, 내측 부여 영역(S11)의 비피부면측(T2)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도 된다. 본 양태에 의하면, 백 시트(20), 박리 시트(60) 및 흡수 코어(30)의 3개의 부재에 의해 내측 부여 영역(S11)을 보호할 수 있어, 내측 부여 영역(S11)에서의 유제에 대해 자외선이 도달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저투과 부재(15)는, 산화 티탄을 포함해도 된다. 산화 티탄은, 조사된 자외선을 산란 및 반사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그 때문에, 저투과 부재(15)에 도달한 자외선의 일부를 산란 및 반사시켜, 저투과 부재(15)를 투과하는 자외선량을 저하할 수 있다. 따라서, 톱 시트(11)에 도달하는 자외선량을 저감하여, 당해 톱 시트(11)의 내측 부여 영역(S11)에서의 유제의 열화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산화 티탄은, 저투과 부재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섬유에 함유되어 있어도 되고, 저투과 부재를 구성하는 필름을 구성하는 무기 필러로서 이용되고 있어도 된다.
본체부(10)가 어느 접음선(FL)을 기점으로 접어 개켜진 상태에서, 가랑이 아래 영역(S3)에서의 내측 부여 영역(S11)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폭 접음선(FW1)보다도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S2)과, 제 2 폭 접음선(FW2)보다도 전측에 위치하는 전측 영역(S1)에 의해 덮여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폭 접음선(FW1)을 기점으로 접어 개켜진 상태에서, 가랑이 아래 영역(S3)에서의 내측 부여 영역(S11)의 적어도 일부는, 후측 영역(S2)에 의해 덮여도 되고, 제 2 폭 접음선(FW2)을 기점으로 접어 개켜진 상태에서, 가랑이 아래 영역(S3)에서의 내측 부여 영역(S11)의 적어도 일부는, 전측 영역(S1)에 의해 덮여도 된다. 전측 영역(S1) 및 후측 영역(S2)에 의해 가랑이 아래 영역(S3)의 내측 부여 영역(S11)을 보호할 수 있다. 가랑이 아래 영역(S3)은, 예민한 배설구에 대해 맞닿는 영역이며, 배설구에 대해 불포화 지방산에 의한 효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전측 영역(S1)과 후측 영역(S2)이 겹쳐지는 형태에 있어서는, 전측 영역(S1)과 후측 영역(S2)의 양쪽에 의해 가랑이 아래 영역(S3)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가랑이 아래 영역(S3)의 내측 부여 영역(S11)에 대한 자외선의 도달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가랑이 아래 영역(S3)의 유제의 평량은, 전측 영역(S1)의 유제의 평량보다도 높고, 후측 영역(S2)의 유제의 평량보다도 높아도 된다. 배설구에 맞닿는 가랑이 아래 영역(S3)에서의 유제의 평량이 높기 때문에, 배설구에 대해 불포화 지방산에 의한 효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전측 영역(S1) 및 후측 영역(S2)은, 가랑이 아래 영역(S3)과 비교하여 착용 시에 좌우로 움직이기 쉬운 영역이며, 착용 시의 움직임에 의해 피부에 접촉하기 쉽다. 사용자는, 전측 영역(S1) 및 후측 영역(S2)의 유제의 촉감을 느끼기 쉽다. 따라서, 전측 영역(S1) 및 후측 영역(S2)의 유제의 평량이 비교적 낮아도, 사용자는, 유제에 의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전측 영역(S1) 및 후측 영역(S2)에서의 유제의 평량이 낮기 때문에, 장착 시의 유제의 촉감에 의한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가랑이 아래 영역(S3)의 부여 영역(S10)의 면적은, 전측 영역(S1)의 부여 영역(S10)의 면적보다도 커도 되고, 후측 영역(S2)의 부여 영역(S10)의 면적보다도 커도 된다. 당해 부여 영역(S10)의 면적의 관계에 의해서도, 유제의 평량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유제에 의한 불쾌감을 억제하면서, 본체부(10) 전체에 걸쳐 불포화 지방산에 의한 효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톱 시트(11)의 중앙 영역(C11)에서의 부여 영역(S10)의 면적은, 각 측부 영역(R11)에서의 부여 영역(S10)의 면적보다도 커도 된다. 본 양태에 의하면, 중앙 영역(C11)은, 배설구 등 몸의 예민한 부분에 닿기 쉽다. 배설구에 대해 불포화 지방산에 의한 효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측부 영역(R11)의 유제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낮기 때문에, 다리 주위에 유제가 너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중앙 영역(C11)의 부여 영역(S10)의 유제의 평량은, 측부 영역(R11)의 부여 영역(S10)의 평량보다도 높아도 된다. 부여 영역(S10)의 유제의 평량의 관계에 의해서도 부여 영역(S10)의 면적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유제에 의한 불쾌감을 억제하면서, 배설구에 대해 불포화 지방산에 의한 효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톱 시트(11)는, 셀룰로오스를 포함해도 된다. 보다 적합하게는, 톱 시트(11)는, 코튼 섬유를 포함해도 된다. 당해 톱 시트(11)에 유제를 부여함으로써, 섬유 사이의 공극에 의해, 유제가 들어가기 쉬워, 유제에 의한 효능을 착용자에게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톱 시트(11)에 대해 피부 친화적인 심증을 갖고, 또한, 천연 유래의 유제가 처리된 톱 시트(11)에 대해 피부에 보다 친화적인 심증을 갖는다. 사용자는, 피부 친화적인 흡수성 물품(1)이라고 인식하여, 안심하고 흡수성 물품(1)을 사용할 수 있다.
톱 시트(11)의 피부면측(T1)의 영역에서의 톱 시트(11)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간 거리는, 톱 시트(11)의 비피부면측(T2)의 영역에서의 섬유의 섬유 간 거리보다도 짧아도 된다. 톱 시트(11)의 피부면측(T1)의 영역의 섬유 간 거리가 짧기 때문에, 톱 시트(11)의 유제가 비피부면측(T2)으로 이행하기 어려워, 피부에 대하여 유제를 계속 부여하기 쉽다. 한편, 톱 시트(11)의 비피부면측(T2)의 영역에서의 섬유 간 거리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톱 시트(11) 내로 인입된 경혈 등의 체액이 톱 시트(11)의 피부면으로 재차 이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톱 시트의 피부면 상에 체액이 계속 남는 것을 억제하여, 피부에 대하여 친화적인 표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섬유 간 거리의 비교는, 이하의 측정 방법에 따라 비교할 수 있다. (1) 톱 시트(11)를 10mm×10mm의 크기로 잘라내어 시료로 한다. (2) 가부시키가이샤 키엔스 제조의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 VHX-100(렌즈 VH-Z20R+가변 조명 어태치먼트 VH-K20)을 사용하여, 촬영 배율: 200배, 측정 면적: 세로 1300㎛×가로 1735㎛로, 톱 시트의 표면(피부측측의 영역), 이면(비피부면측의 영역) 각각으로부터 화상을 촬영한다. 그때, 표면·이면 각각에 대해, 깊이 0㎛에서 100㎛의 범위에서, 깊이 20㎛마다 합계 5회, 화상을 촬영한다. (3) 얻어진 각 화상으로부터, 섬유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의 면적을 구한다. 그때, 얻어진 각 화상에 있어서의 각 화소에서의 휘도가 소정의 휘도(역치)보다도 낮은지 높은지에 따라 당해 화소에서의 섬유의 유무를 판정하고, 각 화상에서의 촬영 영역 내의 섬유의 유무를 판정한다. 단, 섬유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만 광이 투과하여 밝은, 즉 휘도가 높아진다. 그것에 의해, 촬영 영역 내의 섬유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의 면적을 구한다. (4) 구한 섬유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의 면적을 촬영 영역의 면적(측정 면적)에서 감산하고, 촬영 영역의 면적(측정 면적)으로 제산(除算)함으로써, 공극률을 산출한다. 그 계산을 깊이 20㎛마다의 화상에서 행하여, 5개의 공극률을 산출한다. (5) 5개의 공극률의 평균을 산출함으로써, 톱 시트(11)의 표면, 이면 각각의 공극률을 결정한다. 공극률의 대소를 비교함으로써, 섬유 간 거리의 대소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공극률이 큰 경우, 섬유 간 거리가 크다고 볼 수 있다.
톱 시트(11)의 내측 부여 영역(S11)에는, 두께 방향(T)으로 톱 시트(11)를 관통한 톱 개공 및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인 톱 오목부 중 적어도 한쪽이 설치되어도 된다. 본 양태에 의하면, 톱 개공 및 톱 오목부가 설치된 영역에서는, 톱 시트(11)와 피부의 접촉 면적을 저감할 수 있고, 유제에 의해 톱 시트(11)가 피부에 달라붙는 것을 저감할 수 있어, 장착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톱 개공 또는 톱 오목부 내로 유제가 들어감으로써, 유제가 톱 시트(11)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가, 유제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윙(3) 및 윙 박리 시트(62)는, 개킴 상태에서, 내측 부여 영역(S11)의 피부면측(T1)을 덮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윙(3)이 윙 접음선(FL1 및 FL2)을 기점으로 접어 개켜진 상태에서, 윙(3)의 저투과 부재(15)가, 윙 접음선(FL1, FL2)보다도 폭 방향(W)의 내측의 내측 부여 영역(S11)을 덮는 동시에, 윙 박리 시트(62)가, 윙 접음선(FL1, FL2)보다도 폭 방향(W)의 내측의 내측 부여 영역(S11)을 덮는다. 윙(3) 및 윙 박리 시트(62)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의 피부면측(T1)으로부터 자외선이 내측 부여 영역(S11)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여, 자외선에 의한 유제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윙(3)이 부분적으로 내측 부여 영역(S11)과 겹쳐지는 경우에는, 윙(3)의 일부로 유제가 이행한다. 사용자는, 본체부(10)의 장착 시에 윙(3)을 시인하거나, 만지거나 한다. 그때에, 사용자는, 윙(3)으로 이행한 유제의 색이나 감촉 등에 의해 유제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시트(70)는, 개별 포장 상태에서 본체부(10)를 개별적으로 포장하고 있다.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포장 시트(70)끼리는, 포장 시일부(71)를 통해 접합되어도 된다. 포장 시일부(71)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별 포장 상태의 포장 시트(70)의 폭 방향(W)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또한 포장 시트(70)의 전후 방향의 외단부 중,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외측에 위치하는 외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포장 시일부(71)는, 용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 포장 시트(70)끼리를 접합한 부분이다. 포장 시일부(71)를 통해 포장 시트(70)끼리를 접합함으로써,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포장 시트(70)에 의해 본체부(10)를 보호할 수 있어, 본체부(10)에 대한 자외선의 영향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포장 시트(70)에 의해 본체부(10)를 보호하는 관점에서, 포장 시트(70)의 자재는, 부직포보다도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 시트(70)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포장 시트와 비교하여, 섬유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자외선의 투과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체부(10)가 포장 시트(70)에 의해 개별적으로 포장된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내측 부여 영역(S11)에 대한 자외선 투과량이 0mW/㎠여도 된다. 당해 자외선 투과량은, 조도 UV Recorder TR-74ui-H(TANDD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쾌청한 날의 14시부터 15시에 옥외에 측정 대상 흡수성 물품(1)을 두고 측정한다. 개별 포장 상태의 내측 부여 영역(S11)의 측정은, 셋으로 접은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내부에, 조도 UV Recorder를 삽입하여, 자외선 투과량을 측정한다. 또한, 포장 시일부가 설치된 형태에 있어서는, UV Recorder를 삽입할 수 있는 틈새만큼 포장 시일부(71)를 개봉하고, 당해 틈새로 UV Recorder를 삽입하여 측정한다. 본 양태에 의하면, 개별 포장 상태에서 본체부(10)의 내측 부여 영역에 도달하는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어, 장기간 보관한 후에 있어서도 톱 시트(11)에 부여된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제가 자외선에 피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은, 착색부(90)가 설치되어도 된다. 착색부(90)의 적어도 일부는, 부여 영역(S10)과 겹쳐져도 된다. 착색부(90)와 부여 영역(S10)이 겹쳐지는 형태는, 유제가 처리된 부여 영역(S10)(예를 들면, 톱 시트(11)) 자체가 착색되어 있어도 되고, 부여 영역(S10)과 두께 방향(T)으로 겹쳐지는 부재(예를 들면, 후술하는 상기 디자인(80)이 형성된 포장 시트)가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착색부(90)는, 흡수 코어(30)를 덮는 코어 랩(3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코어 랩(31)은, 도 5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코어 랩(31)은, 유제가 부여되고 있고, 코어 랩(31)이 배치된 영역은, 부여 영역(S10)을 구성한다. 착색부(90)에는, 안료나 잉크가 포함되어 있다. 당해 착색부의 잉크 등의 존재에 의해 자외선의 투과가 억제되어, 부여 영역(S10)의 유제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착색부에 의해 부여 영역(S10)을 눈에 띄게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유제의 존재 및 유제의 위치를 파악하기 쉬워진다. 또한, 변형예에 있어서, 톱 시트(11) 자체에 착색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2 및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에는, 유제를 상기시키는 상기 디자인(80)이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디자인(80)은, 유제의 형상, 색, 문자 중 어느 것을 나타내는 디자인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유제는, 올리브 오일이며, 상기 디자인(80)은, 올리브의 열매와 잎을 나타낸 디자인이다. 상기 디자인(80)은, 흡수성 물품(1)을 구성하는 어느 부재에 형성되어도 되고, 포장 시트(70), 본체 박리 시트(61), 윙 박리 시트(62), 본체부(10) 중 어느 것에 설치되어도 된다. 본 양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유제의 존재를 파악하기 쉬워져, 유제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1)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포장 시트와 윙 박리 시트(62)에 상기 디자인(80)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개별 포장 상태의 복수의 흡수성 물품(1)을 수용하는 수용체에도, 상기 디자인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사용자는, 수용체의 외측에서 유제의 존재나 효능을 파악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에는, 유제를 마스킹하는 향료 성분이 처리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향료 성분, 바람직하게는 향기의 강도가 높은 향료 성분을 채용함으로써, 유제의 냄새 성분의 향기를 마스킹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천연 유래의 유제의 냄새, 특히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는 유제의 조성 변화에 의한 냄새의 변화로 인해 불량품인지 등의 위화감을 가질 수 있다. 마스킹하는 향료 성분을 구비함으로써, 유제의 냄새로 인한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어, 사용자는, 보다 안심하고 흡수성 물품(1)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 코어(30)는, 리그닌(페놀 유도체)을 포함해도 된다. 흡수 코어(30)에서의 리그닌의 함유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천연 섬유를 포함하고, 유색인 것은 리그닌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표백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거나 유색을 유지할 정도로 표백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도 리그닌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리그닌은, 자외선을 흡수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리그닌을 포함하는 흡수 코어(30)가 내측 부여 영역(S11)의 비피부면측(T2)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톱 시트(11)의 내측 부여 영역(S11)에 도달하는 자외선량을 저감할 수 있다. 내측 부여 영역(S11)은, 압착부와, 압착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비압착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압착부의 유제는, 비압착부의 유제보다도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경시에 따른 유제의 확산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비압착부의 유제는, 피부에 대하여 부착되기 쉽다. 그 때문에, 비압착부의 유제에 의해 사용 시에 곧바로 피부에 대하여 효능을 부여하고,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열화를 억제한 압착부의 유제를 부여할 수 있다.
이상, 상술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수정 및 변경 양태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아무런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에 의한 불포화 지방산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유제에 의한 효능을 부여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1: 흡수성 물품
3: 윙
10: 본체부 11: 톱 시트
C11: 중앙 영역 S11: 측부 영역
15: 저투과 부재 20: 백 시트
30: 흡수 코어 50: 고정 부착부
51: 본체 고정 부착부 52: 윙 고정 부착부
60: 박리 시트 61: 본체 박리 시트
62: 윙 박리 시트 70: 포장 시트
80: 상기 디자인 90: 착색부
FL1, FL2: 윙 접음선 FW1, FL2: 폭 접음선
S1: 전측 영역 S2: 후측 영역
S3: 가랑이 아래 영역 S10: 부여 영역
S11: 내측 부여 영역 S20: 내측 영역
L: 전후 방향 T: 두께 방향
T1: 피부면측 T2: 비피부면측
W: 폭 방향
10: 본체부 11: 톱 시트
C11: 중앙 영역 S11: 측부 영역
15: 저투과 부재 20: 백 시트
30: 흡수 코어 50: 고정 부착부
51: 본체 고정 부착부 52: 윙 고정 부착부
60: 박리 시트 61: 본체 박리 시트
62: 윙 박리 시트 70: 포장 시트
80: 상기 디자인 90: 착색부
FL1, FL2: 윙 접음선 FW1, FL2: 폭 접음선
S1: 전측 영역 S2: 후측 영역
S3: 가랑이 아래 영역 S10: 부여 영역
S11: 내측 부여 영역 S20: 내측 영역
L: 전후 방향 T: 두께 방향
T1: 피부면측 T2: 비피부면측
W: 폭 방향
Claims (15)
-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톱 시트와, 천연 유래이며, 또한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제가 처리된 부여 영역을 갖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톱 시트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끼리가 마주보도록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접음선을 기점으로 접어 개켜진 개킴 상태에서, 상기 톱 시트끼리가 마주보는 내측 영역을 갖고,
상기 부여 영역은, 상기 톱 시트의 상기 내측 영역에 설치된 내측 부여 영역을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톱 시트보다도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저투과 부재를 갖고,
상기 저투과 부재는, 상기 접어 개켜진 개킴 상태에서, 상기 내측 부여 영역의 비피부면측을 덮는, 흡수성 물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톱 시트보다도 비피부면측에 위치하고, 흡수 재료를 갖는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보다도 비피부면측에 위치하는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와, 상기 백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고정 부착부를 갖고,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고정 부착부를 덮는 박리 시트를 가지며,
상기 저투과 부재는, 상기 흡수 코어, 상기 백 시트 및 상기 박리 시트 중 적어도 어느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킴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 상기 백 시트 및 상기 박리 시트는, 상기 내측 부여 영역의 비피부면측에 있어서 적층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음선은,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전후 방향으로 끼고 설치된 제 1 폭 접음선과 제 2 폭 접음선을 갖고,
상기 개킴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서의 상기 내측 부여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폭 접음선보다도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과, 상기 제 2 폭 접음선보다도 전측에 위치하는 전측 영역에 의해 덮여 있는, 흡수성 물품.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의 상기 유제의 평량은, 상기 전측 영역의 상기 유제의 평량보다도 높고, 상기 후측 영역의 상기 유제의 평량보다도 높은, 흡수성 물품.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톱 시트는, 상기 톱 시트의 폭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부 영역을 갖고,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부여 영역의 면적은, 각 상기 측부 영역에서의 상기 부여 영역의 면적보다도 큰, 흡수성 물품.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사용 시에 착용 물품의 비피부면측으로 되접히는 윙과, 상기 윙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윙 고정 부착부를 덮는 윙 박리 시트를 갖고,
상기 개킴 상태에 있어서, 상기 윙 및 상기 윙 박리 시트는, 상기 내측 부여 영역의 피부면측을 덮는, 흡수성 물품.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포장 시트에 의해 개별적으로 포장되어 있고,
상기 포장 시트에 의해 상기 본체부가 개별적으로 포장된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여 영역에 대한 자외선 투과량이 0mW/㎠인, 흡수성 물품.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착색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착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부여 영역에 겹쳐져 있는, 흡수성 물품.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상기 유제를 상기시키는 상기(想起) 디자인이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상기 유제를 마스킹하는 향료 성분이 처리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톱 시트의 피부면측의 영역에서의 상기 톱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간 거리는, 상기 톱 시트의 비피부면측의 영역에서의 상기 섬유의 섬유 간 거리보다도 짧은, 흡수성 물품. -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투과 부재는, 산화 티탄을 포함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톱 시트보다도 비피부면측에 위치하고, 흡수 재료를 갖는 흡수 코어를 가지며,
흡수 코어는, 리그닌(페놀 유도체)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흡수 코어와 상기 톱 시트를 압착한 압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부여 영역은, 상기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비압착부에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톱 시트의 상기 내측 부여 영역에는, 두께 방향으로 상기 톱 시트를 관통한 톱 개공 및 상기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인 톱 오목부 중 적어도 한쪽이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21/044766 WO2023105588A1 (ja) | 2021-12-06 | 2021-12-06 | 吸収性物品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08516A true KR20240108516A (ko) | 2024-07-09 |
Family
ID=86729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20749A KR20240108516A (ko) | 2021-12-06 | 2021-12-06 | 흡수성 물품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08516A (ko) |
CN (1) | CN118317754A (ko) |
WO (1) | WO2023105588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515589A (ja) | 2009-12-30 | 2013-05-09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ω−6脂肪酸を含むローション組成物を含む吸収性物品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06817A (ja) * | 1999-10-07 | 2001-04-17 | Kao Corp | 透湿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
US20040238393A1 (en) * | 2003-05-30 | 2004-12-0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contained in package having transparent window |
US8052664B2 (en) * | 2006-01-30 | 2011-11-08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Packaged absorbent article |
JP3222578U (ja) * | 2015-05-27 | 2019-08-0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おむつ |
JP2017025315A (ja) * | 2015-07-24 | 2017-02-02 | Mcppイノベーション合同会社 |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成形体及び自動車用部品 |
JP6836389B2 (ja) * | 2016-12-27 | 2021-03-03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7098424B2 (ja) * | 2018-06-04 | 2022-07-11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7224157B2 (ja) * | 2018-11-30 | 2023-02-1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7186137B2 (ja) * | 2019-06-20 | 2022-12-0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7315437B2 (ja) * | 2019-11-20 | 2023-07-26 | 大王製紙株式会社 | 使い捨ておむつ |
JP7158513B2 (ja) * | 2021-02-12 | 2022-10-21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
2021
- 2021-12-06 CN CN202180104546.XA patent/CN118317754A/zh active Pending
- 2021-12-06 KR KR1020247020749A patent/KR20240108516A/ko unknown
- 2021-12-06 WO PCT/JP2021/044766 patent/WO202310558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515589A (ja) | 2009-12-30 | 2013-05-09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ω−6脂肪酸を含むローション組成物を含む吸収性物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8317754A (zh) | 2024-07-09 |
WO2023105588A1 (ja) | 2023-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11788B2 (en) | Package containing a plurality of wrapped absorbent articles | |
JP3218754U (ja) | 吸収性物品 | |
TW200404523A (en) | Absorbent article having a graphic visible through body contacting surface | |
CN106572924B (zh) | 吸收性物品 | |
US20200214907A1 (en) | Disposable hygiene absorbent product | |
JP3226498U (ja) | 吸収性物品 | |
WO2020075439A1 (ja) | 吸収性物品 | |
CN110520085B (zh) | 温感物品 | |
WO2021131320A1 (ja) |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包装体 | |
JP4390446B2 (ja) |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01258936A (ja) | 吸収性物品 | |
KR20240108516A (ko) | 흡수성 물품 | |
CN216823898U (zh) | 吸收性物品 | |
CN112107431B (zh) | 短裤型吸收性物品 | |
JP6868602B2 (ja) | 吸収性物品の個別包装体 | |
JP7145842B2 (ja) |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包装体 | |
JP2020141874A (ja) | 吸収性物品 | |
CN115484912A (zh) | 吸收性物品 | |
JP7350773B2 (ja) | 吸収性物品包装体、及び、吸収性物品包装体のパッケージ | |
JP7339176B2 (ja) | 吸収性物品 | |
WO2021117910A1 (ja) |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包装体 | |
JP7272862B2 (ja) | 吸収性物品 | |
JP3236879U (ja) | 吸収性物品包装体、及び、吸収性物品包装体のパッケージ | |
JP2018102616A (ja) | 吸収性物品 | |
JP3225557U (ja) | 生理用ナプキ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