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9307A -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9307A
KR20240089307A KR1020247014833A KR20247014833A KR20240089307A KR 20240089307 A KR20240089307 A KR 20240089307A KR 1020247014833 A KR1020247014833 A KR 1020247014833A KR 20247014833 A KR20247014833 A KR 20247014833A KR 20240089307 A KR20240089307 A KR 20240089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flat
heat exchanger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4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지엔 웨이
관쥔 왕
얼강 딩
리싱 주
전신 우
Original Assignee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22706128.8U external-priority patent/CN216205497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220403404.5U external-priority patent/CN217383880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220961160.2U external-priority patent/CN217383869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210662495.9A external-priority patent/CN117268161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221483863.5U external-priority patent/CN218002296U/zh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89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930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8Evaporators having distribu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28F1/128Fins with openings, e.g. louvered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28F1/325Fins with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28F9/027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in the form of distribution pipes
    • F28F9/0275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in the form of distribution pipes with multiple branch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5/00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6Fastening; Joining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80/00Mounting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of heat exchanger parts
    • F28F2280/04Means for preventing wrong assembling 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를 제공한다. 상기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는 복수의 핀(10) 및 복수의 편평관(20)을 포함한다. 복수의 핀(10)은 병렬로 설치되어 복수 행을 형성한다. 상기 핀(10)에는 삽입 연결홈(11)이 개설된다. 복수의 상기 편평관(20)은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수 층을 형성한다. 상기 편평관(20)은 삽입 연결홈(11) 내에 관통 설치된다. 상기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는 분배기(30) 및 어댑터관(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분배기(30)에는 복수의 모세관(31)이 설치된다. 상기 어댑터관(40)의 일단은 상기 모세관(31)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편평관(20)과 연통된다.

Description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본 출원은 2022년 2월 25일 출원되고 출원번호가 202220403404.5이며 발명의 명칭이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인 중국 특허출원, 2021년 11월 4일 출원되고 출원번호가 202111302595.2이며 발명의 명칭이 "열교환기"인 중국 특허출원, 2022년 4월 21일 출원되고 출원번호가 202220961160.2이며 발명의 명칭이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인 중국 특허출원, 2022년 6월 13일 출원되고 출원번호가 202210662495.9이며 발명의 명칭이 "어댑터관 및 이의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인 중국 특허출원, 2022년 6월 13일 출원되고 출원번호가 202221483863.5이며 발명의 명칭이 "어댑터관 및 이의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인 중국 특허출원, 2021년 11월 4일 출원되고 출원번호가 202122706128.8이며 발명의 명칭이 "열교환기"인 중국 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는 전체로서 본 출원에 인용되었다.
본 출원은 냉동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는 산업 발전 수요를 충족시키도록 설계되어 구조가 콤팩트하고 가벼운 고효율 열교환기이다.
종래 기술의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는 그 편평관의 양단에 2개의 헤더관이 설치된다. 편평관의 입구와 출구는 모두 헤더관과 연통된다. 헤더관은 복수의 편평관 홈을 개설해야 하므로 헤더관 가공이 어렵다.
본 출원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를 제공하며, 여기에는 복수의 핀 및 복수의 편평관이 포함된다. 복수의 핀은 병렬로 설치되어 복수 행을 형성한다. 상기 핀에는 삽입 연결홈이 개설된다. 복수의 상기 편평관은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수 층을 형성한다. 상기 편평관은 삽입 연결홈 내에 관통 설치된다. 상기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는 분배기 및 어댑터관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분배기에는 복수의 모세관이 설치된다. 상기 어댑터관의 일단은 상기 모세관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편평관과 연통된다.
본 출원에 따른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세부 사항은 이하의 첨부 도면 및 설명에서 제공한다. 본 출원의 기타 특징, 목적 및 장점은 명세서, 첨부 도면 및 청구 범위를 통해 명확하게 설명한다.
본원에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 및/또는 예시를 더 잘 설명하고 해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첨부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첨부 도면 설명에 사용되는 추가적 세부 사항 또는 예시는 개시된 발명, 현재 설명된 실시예 및/또는 예시와 현재 이해된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를 하나의 시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를 다른 시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관의 구조도이다.
도 4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핀의 구조도이다.
도 5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핀의 구조도이다.
도 6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핀의 구조도이다.
도 7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핀의 구조도이다.
도 8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돌기가 설치된 핀의 구조도이다.
도 9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2열 핀이 맞닿을 때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관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관과 편평관이 연결된 일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A 지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관과 편평관이 연결된 다른 일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B 지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의 구조도이다.
도 16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의 구조도이다.
도 17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의 부분 구조도이다.
도 18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편평관과 어댑터관의 연결 단면 구조도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A 지점의 부분 확대 구조도이다.
도 20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구조도이다.
도 21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곡관의 구조도이다.
도 22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α가 90°인 곡관의 구조도이다.
도 23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α가 예각인 곡관의 구조도이다.
도 24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곡관과 편평관이 연결되는 일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곡관과 편평관이 연결되는 다른 일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사각형 연결 포트를 구비한 곡관의 관 개구 지점의 구조도이다.
도 27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과 제2 측면이 모두 원호이고 꼭대기면과 바닥면이 모두 제1 측면과 접하는 곡관의 관 개구 지점의 구조도이다.
도 28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과 제2 측면이 모두 원호이고 꼭대기면과 바닥면이 모두 제1 측면과 접하지 않는 곡관의 관 개구 지점의 구조도이다.
도 29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타원 연결 포트를 구비한 곡관의 관 개구 지점의 구조도이다.
도 30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과 제2 측면이 모두 타원 호면인 곡관의 관 개구 지점의 구조도이다.
도 31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과 제2 측면이 모두 절곡면인 곡관(즉 삼각형 헤드 구조)의 관 개구 지점의 구조도이다.
도 32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핀과 편평관이 맞춤된 정면도이다.
도 33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핀의 일부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34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징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35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핀의 일부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36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 연결홈의 너비와 높이의 치수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많은 구체적인 세부내용을 통해 본 출원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돕는다. 그러나 본 출원은 본원에 설명된 것과 다른 여러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출원에 내포된 함의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유사한 개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은 이하에 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또는 "설치"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위치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수직의", "수평의", "상", "하", "좌", "우" 및 유사한 표현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유일한 실시방식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또한 용어 "제1", "제2"는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의미 또는 암시하거나, 가리키는 기술적 특징의 수량을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없다. 여기에서 "제1", "제2"로 한정된 특징은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복수"는 달리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 한 2개, 3개 등과 같이 적어도 2개를 의미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달리 명확하게 규정 및 한정되지 않는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 "상" 또는 "하"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이거나,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중간 매개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상방" 및 "상면"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상방 또는 비스듬한 상방에 있는 것이거나, 단지 제1 특징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높음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아래", "하방" 및 "하면"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하방 또는 비스듬한 하방에 있는 것이거나, 단지 제1 특징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낮음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출원의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출원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하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관련하여 나열된 항목의 임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는 냉동 시스템에 장착된다.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에는 매체가 유동된다.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는 매체가 외부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데 협조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는 복수의 핀(10) 및 복수의 편평관(20)을 포함한다. 복수의 핀(10)은 병렬로 이격 설치되어 복수 행의 핀(10)을 형성한다. 복수의 편평관(20)은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수 층의 편평관(20)을 형성한다. 핀(10)에는 삽입 연결홈(11)이 개설된다. 편평관(20)은 삽입 연결홈(11) 내에 관통 설치된다. 본 출원에서 복수 행의 핀(10)이라 함은 편평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핀(10)이 복수 행으로 배열됨을 의미한다. 복수 층의 편평관(20)이라 함은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편평관(20)이 복수 층으로 평행하게 설치됨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복수 열이라 함은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의 너비 방향을 따라 편평관(20)과 핀(10)이 각각 전후 복수 열로 배열됨을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는 분배기(30) 및 어댑터관(40)을 더 포함한다. 분배기(30)에는 복수의 모세관(31)이 설치된다. 어댑터관(40)의 일단은 모세관(31)과 연통되고, 타단은 편평관(20)과 연통된다. 매체는 분배기(30)에서 균일하게 분배된 후 편평관(20)으로 유입된다. 분배기(30)로 종래의 헤더관을 대체하면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프로세스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적합한 분배기(30)를 선택하고 모세관(31)의 수량을 줄이면 된다. 헤더관으로 분배하는 경우에는 헤더관(60)에 복수의 편평관 홈을 개설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함을 이해할 수 있다.
어댑터관(40)의 편평관(20)을 향하는 관 개구는 편평관(20)의 관 개구와 매칭된다. 편평관(20)의 일단은 어댑터관(40) 내에 연장되며, 용접 강도를 강화시킨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어댑터관(40)의 편평관(20)을 향하는 관 개구의 너비(W1)는 편평관(20)의 관 개구 너비(W2)보다 크다. 어댑터관(40)의 편평관(20)을 향하는 관 개구의 높이(H1)는 편평관(20)의 관 개구 높이(H2)보다 크다. 편평관(20) 및 어댑터관(40)은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어 플레어링이 쉽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어댑터관(40)의 관 개구 치수를 편평관(20)의 관 개구보다 크게 설계하면, 편평관(20)의 일단을 어댑터관(40) 내에 원활하게 삽입하기가 용이하다. 어댑터관(40)의 편평관(20)을 향하는 관 개구의 너비 및 높이는 모두 어댑터관(40)의 편평관(20)을 향하는 관 개구의 내부 치수를 의미하며, 여기에는 어댑터관(40)의 두께가 포함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편평관(20)의 관 개구의 치수도 편평관(20)의 두께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출원은 추가로 제공하는 어댑터관(40)은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에 장착된다. 어댑터관(40)은 인접한 편평관(20)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또흔 어댑터관(40)은 편평관(20)과 모세관(31)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관련 기술의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에 있어서, 편평관과 어댑터관의 연결에는 통상적으로 위치제한 구조가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편평관과 어댑터관 사이의 용접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편평관과 어댑터관이 용접 과정에서 변위 현상을 일으켜 용접이 불편하다.
관련 기술에서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에 장착되는 어댑터관(40)을 제공한다. 상기 어댑터관(40)은 편평관(20)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어댑터관(40)은 복수개이며, 일부 어댑터관(40)의 일단은 모세관(31)에 연결되고, 타단은 편평관(20)에 연결된다. 일부 어댑터관(40)의 양단은 모두 편평관(20)에 연결된다. 즉, 모세관(31)에 연결된 어댑터관(40)에는 상기 일단의 관 개구가 원형이고, 타단의 관 개구가 긴 홀형인 구조가 채택된다. 양단이 모두 편평관(20)에 연결된 어댑터관(40)에는 곡관 구조가 채택된다.
어댑터관(40)은 편평관(20)과 매칭되는 제1 관 개구(401)를 구비한다. 제1 관 개구(401)는 편평관(20)이 삽입되도록 제공된다. 어댑터관(40)의 내벽에는 위치제한부(402)가 설치된다. 위치제한부(402)는 편평관(20)의 일단에 맞닿고/맞닿거나 편평관(20)의 측벽에 맞닿아, 편평관(20)의 위치를 제한하는 데 사용된다.
인접한 편평관(20)을 연결해야 하거나, 편평관(20)과 모세관(31)을 연결해야 하는 경우, 먼저 각 편평관(20)을 각 어댑터관(40)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삽입한 후, 일체로 용접해야 한다. 따라서 용접 과정에서 편평관(20)과 어댑터관(40) 사이에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어댑터관(40) 내벽에 상기 편평관(20)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위치제한부(402)를 설치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편평관(20)과 어댑터관(40) 사이의 용접 전의 연결 고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편평관(20) 축선 방향을 따라, 위치제한부(402)는 편평관(20)의 어댑터관(40) 내에 삽입되는 깊이에 대한 위치제한을 수행해야 한다. 편평관(20)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위치제한부(402)는 어댑터관(40) 내에서 편평관(20)의 흔들림에 대한 위치제한도 수행해야 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제한부(402)는 제1 돌출부(402A)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402A)는 어댑터관(40)의 내벽에 설치되며 어댑터관(40)의 내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돌출부(402A)는 편평관(20)의 일단에 맞닿는 데 사용되며, 어댑터관(40) 내로 연장되는 편평관(20)의 단면이 제1 돌출부(402A)에 맞닿을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편평관(20)의 어댑터관(40) 내에서의 삽입 깊이에 대해 위치제한을 수행한다. 동시에, 제1 돌출부(402A)의 설치는 냉각제에 대해 유동 교란 작용을 일으켜, 냉각제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돌출부(402A)의 어댑터관(40) 내벽에 대한 돌출 높이는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을 수 없다. 이는 적합한 범위 내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제1 돌출부(402A)의 어댑터관(40)의 내벽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높이를 H3로 정의하고, 편평관(20)의 높이를 H1으로 정의한다. 어댑터관(40) 내에는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 내벽(403) 및 제2 내벽(404)이 구비된다. 제1 돌출부(402A)는 제1 내벽(403) 및 제2 내벽(404)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다. 제1 내벽(403)과 제2 내벽(404) 사이의 거리는 H2이고, 편평관(20)의 높이는 H1이다. 여기에서, 제1 돌출부(402A)의 어댑터관(40)의 내벽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높이는 H3이고, 편평관(20)의 높이는 H1이다. 제1 내벽(403)과 제2 내벽(404) 사이의 거리(H2)는 관계식 0.2mm≤[H3-(H2-H1)]≤3mm를 충족시킨다. 즉, [H3-(H2-H1)]의 값은 0.2mm, 1mm, 2mm, 3mm 또는 이 범위에 속하는 임의 값일 수 있다. 편평관(20)의 높이(H1)는 편평관(20)의 외부 높이이다. 이는 편평관(20) 내부 채널의 높이가 아니다.
제1 돌출부(402A)의 어댑터관(40)의 내벽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높이(H3)가 너무 크면, 제1 돌출부(402A)가 어댑터관(40) 내에서 유체 유동을 어느 정도 방해할 수 있으며, 심지어 스로틀링이 유발될 수도 있다. 제1 돌출부(402A)의 어댑터관(40)의 내벽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높이(H3)가 너무 작으면, 위치제한 기능이 구현되지 않을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따라서 제1 돌출부(402A)의 어댑터관(40)의 내벽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높이(H3)가 적합한 범위 내에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편평관(20) 단면에 대한 위치제한을 보장할 수 있으며, H3가 너무 커 유체 유동 저항이 너무 커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어댑터관(40) 내벽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돌출부(402A)의 수량은 1개, 2개, 3개 또는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1 돌출부(402A)의 수량을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돌출부(402A)의 형상은 반원형,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일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돌출부(402A)가 어댑터관(40) 내벽에 설치되는 위치는 실질적으로 편평관(20)이 어댑터관(40) 내에 삽입되는 최대 위치에 해당한다. 편평관(20)이 어댑터관(40) 내에 삽입되는 깊이도 적합한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제1 돌출부(402A)와 제1 관 개구(401)의 단면 사이의 거리, 즉 편평관(20)이 어댑터관(40) 내에 삽입되는 깊이를 L1으로 정의한다. L1은 관계식 2mm≤L1≤10mm를 충족시킨다. 즉, 제1 돌출부(402A)와 제1 관 개구(401)의 단면 사이의 간격(L1)은 2mm, 4mm, 6mm, 8mm, 10mm 또는 이 범위 내의 임의 값일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편평관(20)이 어댑터관(40) 내에 삽입되는 깊이(L1)가 너무 크면, 내부 매체의 유동이 어느 정도 방해를 받게 된다. 편평관(20)이 어댑터관(40) 내에 삽입되는 깊이(L1)가 작으면, 편평관(20)과 어댑터관(40) 사이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이들 둘 사이의 용접 강도가 낮아질 수 있음에 유의한다. 따라서, 제1 돌출부(402A)와 제1 관 개구(401)의 단면 사이의 간격(L1)이 관계식 2mm≤L1≤10mm를 충족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편평관(20)이 어댑터관(40) 내에 삽입되는 깊이가 적절한 범위 내에 있도록 한다. 이는 편평관(20)이 너무 깊게 삽입되어 유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편평관(20)이 너무 얕게 삽입되어 용접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제한부(402)는 제2 돌출부(402B)를 포함한다. 제2 돌출부(402B)는 어댑터관(40)의 내벽에 설치되며, 어댑터관(40) 내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돌출부(402B)는 제1 돌출부(402A)에 상대적으로 제1 관 개구(401)로부터 멀리 설치된다. 제2 돌출부(402B)가 어댑터관(40)의 내벽에 돌출되는 높이는 제1 돌출부(402A)가 어댑터관(40)의 내벽에서 돌출되는 높이보다 작다. 제2 돌출부(402B)는 편평관(20)의 외측벽과 맞닿는 데 사용된다. 주로 편평관(20)이 어댑터관(40)의 내벽 사이에 대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위치제한부(402)는 제1 돌출부(402A) 및 제2 돌출부(402B)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402A)는 편평관(20)의 일단에 맞닿도록 하는 데 사용되고, 제2 돌출부(402B)는 편평관(20)의 외측벽에 맞닿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편평관(20)이 어댑터관에 삽입되는 깊이, 및 어댑터관(40) 내에서 편평관(20)의 흔들림에 대해 위치제한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편평관(20)과 어댑터관(40) 사이의 연결 고정성을 더욱 보장하며 용접이 용이해짐을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2 돌출부(402B)의 편평관(20)에 대한 위치제한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제2 돌출부(402B)와 편평관(20) 외측벽 사이를 억지 끼워맞춤해야 한다. 제2 돌출부(402B)의 어댑터관(40)의 내벽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높이를 H4로 정의한다. 제2 돌출부(402B)는 제1 내벽(403) 및 제2 내벽(404)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다. 편평관(20)의 높이(H1), 제2 돌출부(402B)의 어댑터관(40)의 내벽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높이(H4), 제1 내벽(403)과 제2 내벽(404) 사이의 거리(H2)는 관계식 0mm≤[H4-(H2-H1)]≤0.2mm를 충족한다. 즉, [H4-(H2-H1)]은 0mm, 0.1mm, 0.2mm 또는 이 범위에 속하는 임의 값일 수 있다.
편평관(20)의 높이(H1), 제2 돌출부(402B)의 어댑터관(40)의 내벽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높이(H4), 제1 내벽(403)과 제2 내벽(404) 사이의 거리(H2)가 관계식 0mm≤[H4-(H2-H1)]≤0.2mm를 충족시키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제2 돌출부(402B)와 편평관(20) 사이의 억지 끼워맞춤을 보장하여, 제2 돌출부(402B)가 편평관(20)을 어댑터관(40) 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편평관(20)이 어댑터관(40)과 용접 과정에서 변위가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어댑터관(40) 내벽의 둘레 방향 또는 축 방향을 따라, 제2 돌출부(402B)의 수량은 1개, 2개, 3개 또는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2 돌출부(402B)의 수량을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돌출부(402B)의 형상은 반원형,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일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어댑터관(40) 내벽에만 제1 돌출부(402A) 또는 제2 돌출부(402B)를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제1 돌출부(402A) 및 제2 돌출부(402B)에 동시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제1 돌출부(402A) 및 제2 돌출부(402B)는 어댑터관(40) 외벽을 가압하여 가공할 수 있다.
편평관(20)과 어댑터관(40) 사이의 용접 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어댑터관(40)의 내벽과 편평관(20)의 외벽 사이에 용융된 땜납이 침투할 수 있는 틈새가 남겨져 있어야 한다. 상기 틈새의 크기는 적합한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편평관(20)의 높이(H1) 및 제1 내벽(403)과 제2 내벽(404) 사이의 거리(H2)는 관계식 0.02mm≤(H2-H1)≤0.4mm를 충족시킨다. 즉, (H2-H1)의 값은 0.02mm, 0.1mm, 0.2mm, 0.3mm, 0.4mm 또는 이 범위에 속하는 임의 값일 수 있다.
어댑터관(40)의 내벽과 편평관(20)의 외벽 사이의 틈새는 너무 작아서는 안 된다. 너무 작으면 땜납이 유동되지 않는다. 어댑터관(40)의 내벽과 편평관(20)의 외벽 사이의 틈새가 너무 커서도 안 된다. 너무 크면 어댑터관(40)과 편평관(20) 사이가 용접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편평관(20)의 높이(H1) 및 제1 내벽(403)과 제2 내벽(404) 사이의 거리(H2)가 관계식 0.02mm≤(H2-H1)≤0.4mm를 충족시키도록 한다. 이를 통해 편평관(20) 외벽과 어댑터관(40) 내벽 사이가 틈새 끼워맞춤되도록 한다. 이는 땜납의 유동에 도움이 된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어댑터관(40)은 제2 관 개구(405)를 구비한다. 제2 관 개구(405)는 어댑터관(40)의 제1 관 개구(401)에서 멀어지는 일단에 위치한다. 제2 관 개구(405)는 원형이며, 제2 관 개구(405)는 모세관(31)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모세관(31)은 특히 가늘고 횡단면이 원형인 반면, 편평관(20)은 횡단면에 띠 모양의 홀 형태이다. 따라서 이들 둘 사이는 직접 도킹하여 연결할 수 없으며, 어댑터관(40)의 연결을 통해 이들 둘의 연통을 구현해야 한다. 여기에서, 어댑터관(40)의 모세관(31)에 근접한 일단은 모세관(31)과 매칭되는 원형으로 설치되고, 어댑터관(40)의 편평관(20)에 근접한 일단은 편평관(20)과 매칭되는 긴 띠 모양으로 설치된다.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행의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는 어댑터관(40)이 곡관이다. 어댑터관(40)의 양단에는 모두 제1 관 개구(401)가 구비된다. 어댑터관(40)의 양단은 인접한 행의 편평관(20)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관련 기술의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에서는 통상적으로 편평관을 절곡시켜 복수 행의 편평관을 구현한다. 따라서 편평관이 절곡되면서 편평관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절곡 반경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의 전체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절곡 과정에서 핀 변형으로 인해 열교환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어댑터관(40)을 사용하여 인접한 편평관(20)을 연결함으로써, 핀(10) 절곡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한다. 어댑터관(40)의 양단이 모두 편평관(20)에 연결되면, 어댑터관(40)의 양단에 모두 제1 돌출부(402A)와 제2 돌출부(402B)가 설치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어댑터관(40)은 위치제한부(402)가 편평관(20)의 일단에 맞닿도록 하고/하거나 편평관(20)의 측벽에 맞닿도록 하여, 편평관(20)의 위치를 제한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편평관(20)과 어댑터관(40) 사이의 연결 고정성을 보장하여, 편평관(20)과 어댑터관(40)이 용접 과정에서 변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편평관(20)과 어댑터관(40)의 용접 성능을 강화한다.
관련 기술 종래의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에서는 통상적으로 수동 용접 형태로 편평관과 어댑터관을 용접한다. 상기 방법은 용접에 대한 제어 및 효과가 좋지 않고, 땜납 및 용접 이음을 잘 제어할 수 없다. 또한 수동 용접은 제조 비용이 비교적 높아 대규모 투입 및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관련 기술에서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에 존재하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에는 네킹관(70) 및 플레어링관(80)이 더 포함된다. 플레어링관(80)은 어댑터관(40)에 연결되고, 네킹관(70)은 편평관(20)에 연결된다. 네킹관(70)은 편평관(20) 네킹을 통해 형성하고, 플레어링관(80)은 어댑터관(40) 플레어링을 통해 형성한다. 또는, 네킹관(70)은 어댑터관(40)에 연결되고, 플레어링관(80)은 편평관(20)에 연결된다. 플레어링관(80)은 편평관(20) 플레어링을 통해 형성하고, 네킹관(70)은 어댑터관(40) 네킹을 통해 형성한다. 네킹관(70) 외부에는 용접 링(90)이 씌워지도록 설치된다. 네킹관(70)은 플레어링관(80) 내에 연장되며 플레어링관(80)과 용접에 의해 연결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는 네킹관(70) 외부에 용접 링(90)이 씌워지도록 설치하고, 네킹관(70)이 플레어링관(80) 내로 연장된 후, 함께 노내납땜이 수행된다. 용접 링(90)은 용융된 후 네킹관(70) 외벽과 플레어링관(80) 내벽 사이에 침투하여, 네킹관(70)과 플레어링관(80)을 고정 연결한다. 수동 용접에 비해, 노내 일체형 납땜 방식을 채택하여 편평관(20)과 어댑터관(40)을 용접하는 것보다 용접 일관성이 더욱 높다. 또한 편평관(20)과 어댑터관(40)이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의 다른 부재와 함께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이 절감되고 용접 효율이 향상되며, 편평관(20)과 어댑터관(40)의 용접 일관성도 향상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편평관(20)은 네킹관(70)에 연결되고, 어댑터관(40)은 플레어링관(80)에 연결된다. 네킹관(70)은 플레어링관(80) 내로 연장되어 플레어링관(80)과 용접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어댑터관(40)이 네킹관(70)에 연결되고, 편평관(20)이 플레어링관(80)에 연결될 수도 있다.
편평관(20)이 네킹관(70)에 연결된다는 것은 편평관(20)과 네킹관(70)이 분리형으로 설치되는 것일 수 있으며, 직접 편평관(20)에 대한 네킹을 수행하여 설치하는 것일 수도 있다. 어댑터관(40)이 플레어링관(80)에 연결된다는 것은 어댑터관(40)과 플레어링관(80)이 분리형으로 설치되는 것일 수 있으며, 직접 어댑터관(40)에 대한 플레어링을 수행하여 설치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는 어댑터관(40)이 네킹관(70)에 연결된다는 것은 어댑터관(40)과 네킹관(70)이 분리형으로 설치되는 것일 수 있으며, 직접 어댑터관(40)에 대한 네킹을 수행하여 설치하는 것일 수도 있다. 편평관(20)이 플레어링관(80)에 연결된다는 것은 편평관(20)과 플레어링관(80)이 분리형으로 설치되는 것일 수 있으며, 직접 편평관(20)에 대한 플레어링을 수행하여 설치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네킹관(70)은 서로 연결된 제1 구간(71) 및 제2 구간(72)을 포함한다. 제1 구간(71)의 외경은 제2 구간(72)에 근접하는 방향을 따라 점진 감소한다. 용접 링(90)은 제1 구간(71) 외부를 씌우도록 설치된다. 네킹관(70)의 축 방향을 따라, 제1 구간(71)의 길이는 L1이고, 용접 링(90)의 횡단면의 직경은 D1이고, 제1 구간(71)의 길이(L1)는 관계식 D1≤L1≤1.2D1을 충족시킨다. 즉, 제1 구간(71)의 길이(L1)는 D1, 1.1D1, 1.2D1 또는 이 범위에 속하는 임의 값일 수 있다.
제1 구간(71)에 용접 링(90) 장착을 위한 충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하고, 용접 링(90)이 제1 구간(71)의 외부를 더욱 잘 씌우도록 설치하며, 용접 링(90)이 다른 곳으로 미끄러져 용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려면, 제1 구간(71)의 네킹관(70) 축선 방향을 따르는 길이(L1)가 적어도 용접 링(90)의 직경(D1)과 동일해야 한다. 용접 링(90)의 직경(D1)보다 어느 정도 클 수도 있으나, 제1 구간(71)의 네킹관(70) 축선 방향을 따르는 길이(L1)는 너무 커서는 안 된다. 너무 크면 불필요한 재료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 제1 구간(71)의 길이(L1)를 D1≤L1≤1.2D1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또한, 제2 구간(72)의 길이는 L2이고, 제2 구간(72)의 길이 L2는 3mm≤L2≤5mm의 관계식을 충족한다. 즉, 제2 구간(72)의 길이(L2)는 3mm, 4mm, 5mm 또는 이 범위 내의 임의 값일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네킹관(70)과 플레어링관(80) 사이의 용접 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제2 구간(72)은 일정한 길이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상기 길이가 너무 길어서는 안 된다. 너무 길면 네킹관(70)과 플레어링관(80) 내 유전체의 유동을 방해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용접 링(90)의 횡단면은 원형이고, 용접 링(90) 전체는 타원 링형을 나타낸다. 이는 제1 구간(71) 외벽을 씌우도록 연결되어, 용접 링(90)의 형상과 편평관(20)의 형상이 서로 매칭되도록 한다. 따라서 땜납이 네킹관(70)의 외벽 주변에 고르게 덮일 수 있어, 용접 품질이 보장된다. 편평관(20)의 너비는 W1이고, 제2 구간(72)의 너비는 W2이며, 용접 링(90)의 내륜 장축은 D이다. 용접 링(90)의 내륜 장축(D)은 관계식 W2≤D≤W1을 충족한다. 여기에서, W2<W1이므로, 용접 링(90)이 제1 구간(71) 외부를 원활하게 씌울 수 있다. 즉, 용접 링(90)의 내륜 장축(D)은 W2, W1 또는 W2 내지 W1 내의 임의 값일 수 있다. 편평관(20)의 너비가 W1이라는 것은 편평관(20) 외부의 너비를 의미하며, 제2 구간(72)의 너비가 W2라는 것은 제2 구간(72) 외부의 너비를 의미한다. 용접 링(90)의 내륜은 타원형이고, 타원형에는 장축과 단축이 있다. 용접 링(90) 내륜의 장축은 용접 링(90) 내륜의 너비이다. 즉, 용접 링(90) 내륜의 최대 직경으로 해석해야 한다.
상이한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에서는 편평관(20)이 경우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치수로 설계될 수 있다. 편평관(20)의 너비가 비교적 크면, 그 외주 길이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더 많은 땜납으로 채워야 한다. 따라서 용접 링(90)의 횡단면의 직경(D1)이 편평관(20) 너비(W1)가 증가함에 따라 일정 비율로 증가될 수 있어야, 편평관(20)과 어댑터관(40) 사이의 용접 강도가 보장된다. 본 출원에 있어서, 용접 링(90) 횡단면의 직경(D1)은 관계식 D1=0.06W1을 충족한다. 즉, 용접 링(90)의 횡단면의 직경(D1)은 0.06배의 편평관(20) 너비(W1)일 수 있다.
또한, 네킹관(70) 내의 너비는 W3이고, 어댑터관(40) 내의 너비는 W4이며, 0.8W4≤W3≤1.2W4이다. 즉, 네킹관(70) 내의 너비(W3)는 0.8W4, 0.9W4, W4, 1.1W4 또는 0.8W4 내지 1.2W4 내의 임의 값일 수 있다. 네킹관(70) 내의 너비가 W3이라는 것은 네킹관(70) 내부 채널의 너비를 의미하며, 어댑터관(40) 내의 너비가 W4라는 것은 어댑터관(40) 내부 채널의 너비를 의미한다.
매체가 편평관(20)으로부터 어댑터관(40)까지 사이에서 유동하는 과정에서, 관 직경이 갑자기 증가하거나 갑자기 감소하면 모두 매체의 유동 저항이 커지게 되므로 유량 손실을 유발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매체가 유동하는 동안 관 내경이 가능한 일관되도록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은 네킹관(70) 내의 너비(W3)를 0.8W4 내지 1.2W4 범위 내로 한정하여, 매체 유동 저항을 감소시킨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링(90)이 제1 구간(71) 외벽을 씌우도록 설치되면, 네킹관(70)이 플레어링관(80) 내로 연장되고, 플레어링관(80)의 네킹관(70)에 근접하는 일단의 단면이 용접 링(90)에 맞닿는다. 용접 링(90)이 용융된 후 네킹관(70) 외벽과 플레어링관(80) 내벽 사이에 침투되기 용이하도록, 네킹관(70)의 외벽과 플레어링관(80)의 내벽 사이가 틈새 끼워맞춤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용접 링(90)의 용융된 땜납이 상기 틈새 내에서 충분히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네킹관(70)의 외벽과 플레어링관(80)의 내벽의 틈새는 H이고, H는 관계식 0.1mm≤H≤0.35mm를 충족한다. 즉, 네킹관(70)의 외벽과 플레어링관(80)의 내벽의 틈새(H)는 0.1mm, 0.2mm, 0.35mm 또는 이 범위 내의 임의 값일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네킹관(70)의 외벽과 플레어링관(80)의 내벽의 틈새(H)가 관계식 0.1mm≤H≤0.35mm를 충족시키도록 함으로써, 틈새(H)가 적합한 범위 내에 있도록 한다. 틈새(H)가 너무 작으면 땜납이 유동되지 못하고, 틈새(H)가 너무 크면 편평관(20)과 어댑터관(40) 사이의 용접 강도가 낮아진다는 점에 유의한다.
편평관(20)은 복수 열일 수 있다. 인접한 열의 편평관(20)은 어댑터관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편평관(20)을 절곡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편평관(20)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절곡이 핀(10)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며, 절곡 반경이 크게 감소하여 제품 치수가 감소된다.
편평관(20)의 관 개구는 편평형이며, 모세관(31)과 편평관(20) 사이는 어댑터로 연결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어댑터관(40) 일단의 관 개구는 원형이며, 모세관(31)과 용접에 의해 연결된다. 타단은 네킹관(70) 및 플레어링관(80)을 통해 편평관(20)과 용접에 의해 연결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어댑터관(40)은 U자형이며, 양단은 모두 네킹관(70)과 플레어링관(80)을 통해 편평관(20)과 용접에 의해 연결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는 네킹관(70) 외부에 용접 링(90)을 씌우도록 설치하며, 네킹관(70)이 플레어링관(80) 내로 연장되어 플레어링관(80)과 용접에 의해 연결된다. 이처럼 노내납땜의 방식을 채택하여 편평관(20)과 어댑터관(40)을 용접할 수 있다. 이는 용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평관(20)과 어댑터관(40)의 용접 일관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편평관(20)은 복수 열일 수 있다. 즉, 편평관(20)은 제1열 편평관(21) 및 제2열 편평관(22)을 적어도 포함한다.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는 복수의 곡관(50)을 더 포함한다. 인접한 열의 편평관(20)은 곡관(50)을 통해 연통된다. 또는 동일한 열의 편평관(20) 사이는 곡관(50)을 통해 연통된다. 또는 인접한 열의 편평관(20)은 곡관(50)을 통해 연통되며, 동일한 열의 편평관(20) 사이는 곡관(50)을 통해 연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체의 상이한 프로세스의 전향을 구현한다. 곡관(50)과 편평관(20) 사이는 분리형으로 설치되며,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된다. 따라서 편평관(20)의 절곡 공정을 줄인다. 절곡 과정에서 핀(10)의 변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절곡이 필요하지 않아 절곡으로 인한 핀(10)의 변형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편평관(20)은 복수개이며, 복수의 편평관(20)은 이격 설치된다. 삽입 연결홈(11)은 복수개이며, 복수의 삽입 연결홈(11)은 핀(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다. 삽입 연결홈(11)과 편평관(20)의 형상이 서로 매칭되어, 핀(10)이 삽입 연결홈(11)을 통해 편평관(20)에 삽입 연결된다. 곡관(50)은 연결 구간(51) 및 절곡 구간(52)을 포함한다. 연결 구간(51)은 2개이다. 2개의 연결 구간(51)은 절곡 구간(5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2개의 연결 구간(51)과 절곡 구간(52)이 연결되어 U자형 관 구조를 형성한다. 2개의 연결 구간(51)은 각각 2개의 편평관(20)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연결 구간(51)의 편평관(20)을 씌우도록 설치되는 깊이는 P이며, 2mm≤P≤20mm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열교환기를 채택하여, 복수의 편평관(20)이 수직 방향을 따르거나 수직 방향과 작은 각도(여기에서의 작은 각도는 15° 미만일 수 있음)를 이루도록 이격 배치한다. 장착 시 핀(10)을 복수의 편평관(20)에 직접 삽입 연결하고, 곡관(50)을 통해 편평관(20)을 연결한다. 핀(10)은 복수개일 수 있으며, 복수의 핀(10)은 편평관(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편평관(20)에 이격되도록 삽입 설치한다. 핀(10)은 수직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열교환기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핀(10)을 통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수의 원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곡관(50)을 통해 2개의 편평관(20)을 연결하여, 회로의 설계 유연성을 높인다. 연결 구간(51)의 편평관(20)을 씌우도록 설치되는 깊이를 전술한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연결 구간(51)과 편평관(20)의 연결 강도를 보장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용접을 수행하기가 용이하며, 전체 구조의 작용 신뢰성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절곡 구간(52)은 U자형 곡관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구간(51)과 절곡 구간(52) 사이에는 전이 구간(53)이 더 설치된다. 절곡 구간(52)에서 연결 구간(51)까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전이 구간(53)의 유통 면적이 점진 감소한다. 절곡 구간(52)은 원형관 구조이며, 절곡 구간(52)의 외경은 D이고, 편평관(20) 너비는 W이다. 5mm≤D<6mm일 때, 0<W≤8mm, 2mm≤P≤5mm이다. 6mm≤D<7mm일 때, 0<W≤10mm, 3mm≤P≤10mm이다. 7mm≤D<8mm일 때, 0<W≤12mm, 3mm≤P≤15mm이다. 8mm≤D<10mm일 때, 0<W≤15mm, 3mm≤P≤20mm이다. 10mm≤D<12mm일 때, 0<W≤18mm, 4mm≤P≤20mm이다. 12mm≤D<15mm일 때, 0<W≤21mm, 4mm≤P≤25mm이다. 15mm≤D<18mm일 때, 0<W≤27mm, 5mm≤P≤25mm이다. 18mm≤D<25mm일 때, 0<W≤38mm, 5mm≤P≤25mm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구간(51)의 내벽면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꼭대기면, 제1 측면, 바닥면 및 제2 측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꼭대기면과 바닥면은 모두 평면이다.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모두 호면이다. 호면은 꼭대기면 또는 바닥면과 접할 수도 있고 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호면은 원호면 또는 타원호면일 수 있다. 제1 측면과 제2 측면이 모두 평면일 수 있다. 꼭대기면 및 바닥면과 제1 측면의 연결 지점이 모두 원호 전이이고, 꼭대기면 및 바닥면과 제2 측면의 연결 지점이 모두 원호 전이이다. 또는, 제1 측면과 제2 측면이 모두 타원면일 수 있다. 또는,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모두 절곡면이다. 상기 절곡면은 2개의 인접한 평면이고 삼각 헤드 편평관(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연결 구간(51)의 내벽면의 단면은 타원면이다.
구체적으로, 곡관(50)의 2개의 연결 구간(51)은 모두 축 대칭 구조이다. 2개의 연결 구간(51)의 대칭 중심이 연결되어 연결 축선을 형성한다. 곡관(50)의 관 개구의 길이 연장 방향과 연결 축선 사이의 협각은 α이고, 0≤α≤90°이다. 이러한 구조적 설치를 채택하여, 곡관(50)의 2개의 연결 구간(51)이 같은 높이로 설치되거나 엇갈리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이한 협각(α)을 갖는 곡관(50)이 상이한 높이와 위치의 편평관(20)을 연결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20°≤α≤90°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 연결홈(11)의 너비는 Gw이고, 삽입 연결홈(11)의 높이는 Gt이며, 1.5≤Gw/Gt≤10이다. 이러한 구조적 설치를 채택하면, 삽입 연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가 용이하여, 핀(10)과 편평관(20)의 연결이 안정적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핀(10)과 편평관(20)은 수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장착 시, 핀(10)을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는 배수에 도움이 되며, 핀(10) 상의 프로스팅으로 인해 열교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핀(10)은 제1 측(12)과 제2 측(13)을 구비한다. 제1 측(12)은 바람이 불어오는 측에 근접하고, 삽입 연결홈(11)의 일단은 제2 측(13)을 관통한다. 장착 시, 제1 측(12)으로부터 편평관(20)을 조립하여 넣어, 핀(10)을 보호할 수 있다. 핀(10)이 비교적 얇기 때문에, 편평관(20)을 제1 측(12)으로부터 조립하여 넣어, 핀(10)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 연결홈(11)의 제2 측(13)에 근접한 홈 개구의 내벽과 제2 측(13)의 측면 사이가 모따기 또는 라운드 처리되도록 설치되어, 편평관(20)이 삽입 연결홈(11) 내에 보다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핀(10)에는 복수의 제1 돌기(14)가 설치된다. 제1 돌기(14)는 핀(10)의 강도를 강화하고 핀(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돌기(14)는 복수개이다. 복수의 제1 돌기(14)는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물결무늬형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돌기(14)는 원형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돌기(14)는 초승달형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돌기(14)는 사각형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돌기(14)는 물결무늬형이며, 강화 작용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배수 작용도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돌기(14)는 S자형, 삼각형 등 형상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물결무늬형의 제1 돌기(14)는 핀(1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며, 삽입 연결홈(11)에서 끊어져 배수 작용을 강화한다. 이는 응축수가 제때에 적시에 배출되지 않아 프로스팅되어 열교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돌기(14)에는 슬릿(15)이 개설된다. 슬릿(15)은 핀(1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환기 채널을 형성한다. 이는 바람이 현재의 핀(10)으로부터 슬릿(15)을 통해 인접한 핀(10)까지 블로잉되도록 하여 난류를 강화시킴으로써 열교환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슬릿(15)은 제1 돌기(14)의 양측에 개설된다. 바람은 제1 돌기(14) 측면의 슬릿(15)으로부터 원활하게 블로잉되어 들어오거나 나갈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핀(10)은 수직으로 장착된다. 핀(10)의 제1 측(12)에 근접한 측면에는 복수의 제2 돌기(16)가 구비된다. 복수의 제2 돌기(16)는 핀(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분포되어 물결무늬 구조를 형성한다. 제2 돌기(16)의 양단은 각각 핀(10)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핀(10)의 양단을 관통한다. 본 출원의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는 증발기로 사용된다. 제1 측(12)은 바람이 불어오는 측에 근접하며, 제1 측(12)에 근접한 핀(10)에 응축수가 형성되기 더욱 쉽다. 제2 돌기(16)를 바람이 불어오는 측에 근접하도록 설치하여 프로스팅 문제를 완화함으로써, 핀(10)의 프로스팅이 열교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출원에서 제2 돌기(16)의 물결무늬 구조라 함은, 제2 돌기(16)가 긴 띠 모양이고, 핀(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돌기(16) 사이에 기복이 있는 물결무늬 구조 형태가 형성되고, 인접한 제2 돌기(16) 사이의 배수홈이 형성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제2 돌기(16)의 횡단면은 삼각형, 다각형 등일 수 있다.
삽입 연결홈(11)의 길이는 핀(10)의 너비보다 작다. 따라서 핀(10)에 제2 돌기(16)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돌기(16)는 편평관(20)에 의해 차단되지 않아 배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핀(10)과 연결 구간(51) 사이의 최소 간격(즉, 단부의 연결 구간(51)에 근접한 핀(10)과 연결 구간(51) 사이의 간격)은 C이고, 0≤C≤80mm이다. 이러한 구조적 설치를 채택하면 효과적인 열교환을 수행하기가 용이하고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핀(10)은 본체부(17) 및 플랜징 구조(18)를 포함한다. 플랜징 구조(18)는 본체부(17)에 연결된다. 삽입 연결홈(11), 제1 돌기(14) 및 제2 돌기(16)는 모두 본체부(17)에 설치된다. 플랜징 구조(18)는 삽입 연결홈(11)에 설치된다. 플랜징 구조(18)는 본체부(17)에 대해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플랜징 구조(18)는 편평관(20)과 맞춤되는 데 사용된다. 플랜징 구조(18)는 편평관(20)의 측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닿아, 핀(10)과 편평관(20)의 용접 면적을 증가시키고, 용접 강도를 향상시켜 연결 안정성을 보다 잘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설치를 채택하면, 삽입 연결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가 용이할 수 있다.
플랜징 구조(18)는 제1 플랜지(181)를 포함한다. 제1 플랜지(181)는 삽입 연결홈(11)에 설치되며 삽입 연결홈(11)의 둘레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제1 플랜지(181)는 편평관(20)의 길이 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제1 플랜지(181)와 편평관(20)의 측면이 맞닿아, 제1 플랜지(181)가 편평관(20)과 매칭되는 형태로 둘러싸도록 한다. 제1 플랜지(181)는 핀(10)과 편평관(20)의 용접 면적을 증가시켜 용접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설치를 채택하면, 편평관(20)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가 용이하며, 편평관(20)의 삽입 연결 및 위치결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플랜지(181)의 높이는 H1이고, 0<H1≤1mm이다. 이러한 구조적 설치를 채택하면, 삽입 연결의 안정성을 더욱 잘 향상시키기가 용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플랜지(181)의 높이라 함은 제1 플랜지(181)가 본체부에서 돌출된 높이를 의미한다.
플랜징 구조(18)는 제2 플랜지(182)를 더 포함한다. 제2 플랜지(182)는 제1 플랜지(181)에 연결된다. 제2 플랜지(182)는 편평관(20)의 길이 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제2 플랜지(182)와 제1 플랜지(181)는 동일 평면에 위치한다. 제2 플랜지(182)는 1개일 수 있으며, 복수개일 수도 있다. 복수의 제2 플랜지(182)는 삽입 연결홈(11)을 감싸도록 이격 설치되어, 편평관(20)과 핀(10)의 용접 강도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플랜지(182)는 삽입 연결홈(11)의 둘레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제1 플랜지(181)에 이격 설치된다. 제2 플랜지(182)가 있는 평면은 제1 플랜지(181)가 있는 평면과 겹친다. 이러한 구조적 설치를 채택하면, 삽입 연결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가 용이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플랜지(182)가 이격 설치되므로, 인접한 2개의 제2 플랜지(182)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핀(10)을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플랜지(182)의 높이는 H2이고, 삽입 연결홈(11)의 높이는 Gt이며, 0.25<H2/Gt<1이다. 이러한 구조적 설치를 채택하면, 연결 삽입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해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플랜지(182)의 높이라 함은 제2 플랜지(182)가 제1 플랜지(181)에서 돌출된 높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2 플랜지(182)의 너비의 범위는 1mm 내지 6mm이다.
플랜징 구조(18)는 제3 플랜지(183)를 더 포함한다. 제3 플랜지(183)는 제2 플랜지(182)와 연결된다. 제3 플랜지(183)와 제2 플랜지(182)는 수직으로 설치된다. 복수의 제3 플랜지(183)와 복수의 제2 플랜지(182)는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각각의 제3 플랜지(183)는 제2 플랜지(182)의 제1 플랜지(181)에서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되어, 삽입 연결홈(11)을 회피한다. 제3 플랜지(183)는 인접한 편평관(20)과 맞닿아, 위치제한 작용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3 플랜지(183)는 복수개일 수 있다. 제3 플랜지(183)와 제2 플랜지(182)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3 플랜지(183)는 삽입 연결홈(11)을 회피하도록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핀(10)도 복수 열이다. 바람이 불어오는 측의 일 열에 근접한 핀(10)은 다음 일 열의 핀(10)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맞닿아, 복수 행의 핀(10)을 형성한다. 각 열의 상기 핀(10)은 복수 행의 이격 설치된 상기 핀(10)을 포함한다. 상이한 열의 핀(10), 동일한 행의 핀(10)은 분리형으로 설치되어, 편평관(20)의 삽입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상이한 열의 핀(10)과 동일한 행의 핀(10)은 동일한 방향을 향하므로, 제2 돌기(16)가 모두 바람이 불어오는 측에 근접하여 배수에 도움이 된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이한 열의 동일한 행인 핀(10)에서의 삽입 연결홈(11)은 교차로 설치된다. 따라서 이전 열의 핀(10)에서의 삽입 연결홈(11)의 뒤쪽에 대응하는 것은 핀(10)이다. 편평관(20) 내의 매체는 삽입 연결홈(11) 양측의 핀(10)을 이용하여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평관(20) 뒤쪽의 핀(10)을 이용하여 열교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핀(10)을 충분히 활용하여 열교환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열의 동일한 행인 핀(10)에서의 삽입 연결홈(11)의 중심점 연결선은 정삼각형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1열 제1행 중 하나의 삽입 연결홈(11)은 핀(10)의 길이 방향 상에서 제2열 제1행의 인접한 2개의 삽입 연결홈(11)의 바로 중간에 위치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이전 열의 편평관(20)의 뒤쪽의 양측이 모두 핀(10)을 이용하여 열교환을 강화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열교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편평관(20)은 2열이고, 핀(10)도 2열이다. 곡관(50)은 편평관(20)의 분배기(30)에서 멀어지는 일단에 위치한다.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는 U자형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편평관(20)은 3열, 4열 또는 4열 이상일 수도 있다. 편평관(20)의 양단에는 모두 곡관(50)이 설치된다.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는 L자형, V자형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핀(10)은 복수 열이다. 각 행의 핀(10)은 복수 열의 이격 설치된 삽입 연결홈(11)을 포함하며,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동일 열의 핀(10)에서의 삽입 연결홈(11)이 교차하도록 설치된다.
핀(10)에서의 삽입 연결홈(11)을 교차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삽입 연결홈(11) 내에 삽입 설치된 편평관(20)이 교차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편평관(20)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켜,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의 열교환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6을 참조하면,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는 헤더관(60)을 더 포함한다. 헤더관(60)은 편평관(20)의 출구에 연결되어, 매체를 모으는 데 사용된다. 모세관(31)의 일단은 분배기(30)에 연결되고, 타단은 편평관(20)에 연결된다. 편평관(20)의 출구는 헤더관(60)에 연결된다. 분배기(30)를 통해 냉각제를 분배하여, 입구 헤더관(60)을 대체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편평관(20)은 복수 열이다. 마지막 열의 편평관(20)은 헤더관(60)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열 편평관(22)은 헤더관(60)을 연결한다. 매체는 제1열 편평관(21)으로부터 유입되며, 곡관(50)을 거쳐 구부러져 제2열 편평관(22)에 유입된 다음 헤더관(60)으로 유입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편평관(20)이 3열이면, 헤더관(60)은 제3열 편평관을 연통시킨다. 이러한 설치는 곡관(50)을 통해 매체의 다중 흐름을 구현한다. 헤더관(60)은 매체에 대한 마지막 수렴만 필요하며, 매체의 방향 전환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헤더관(60)에 분리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헤더관(60)의 공정이 단순화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편평관(20)은 1열이고, 핀(10)도 1열이다. 편평관(20)의 일단은 어댑터관(40)을 통해 분배기(30)를 연결하고, 타단은 헤더관(60)을 연결한다. 작동 과정에서 매체는 분배기(30)로부터 유입되어 모세관(31)을 거쳐 각 편평관(20)에 고르게 분배된다. 또한 핀(10)을 거쳐 외부와 열교환을 수행하며, 열교환 후 헤더관(60)으로부터 집중적으로 유출된다.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의 편평관(20)이 단일 열인 경우, 편평관(20)의 일단은 어댑터관(40) 및 모세관(31)을 통해 분배기(30)에 연결되고, 타단은 헤더관(60)에 연결된다.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의 편평관(20)이 복수 열인 경우, 제1열 편평관(20)의 일단은 어댑터관(40) 및 모세관(31)을 통해 분배기(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어댑터관(40)에 연결된다. 마지막 열의 편평관(20)의 출구는 헤더관(60)에 연결된다.
본 출원의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100)는 그 편평관(20)의 일단이 모세관(31) 및 어댑터관(40)을 통해 헤더관(60) 대신 분배기(30)를 연결하여,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분배기(30)와 헤더관(60)은 모두 편평관(20)의 곡관(50)에서 멀어지는 일단에 장착되어, 열교환기의 구조적 레이아웃이 더욱 컴팩트해진다. 분배기(30)는 분배 헤드(32) 및 분배 헤드(32)와 연결된 복수의 모세관(31)을 포함한다. 분배 헤드(32)는 복수의 액체 분배홀을 구비한다. 복수의 액체 분배홀은 복수의 모세관(31)과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각 분배홀의 분배구를 거친 유체는 상응하는 모세관(31)을 거쳐 대응하는 편평관(20) 내로 유입되어 열교환을 수행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설명하지 않았으나, 기술적 특징의 조합에 모순이 없는 한 이는 모두 본 발명에 기술된 범위로 간주되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를 표현한 것으로 설명이 비교적 구체적이고 상세하나, 본 출원 특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출원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수정 및 개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 특허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100-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10-핀, 11-삽입 연결홈, 12-제1 측, 13-제2 측, 14-제1 돌기, 15-슬릿, 16-제2 돌기, 17-본체부, 18-플랜징 구조, 181-제1 플랜지, 182-제2 플랜지, 183-제3 플랜지, 20-편평관, 21-제1열 편평관, 22-제2열 편평관, 30-분배기, 31-모세관, 32-분배 헤드, 40-어댑터관, 401-제1 관 개구, 402-위치제한부, 402A-제1 돌출부, 402B-제2 돌출부, 403-제1 내벽, 404-제2 내벽, 405-제2 관 개구, 50-곡관, 51-연결 구간, 52-절곡 구간, 53-전이 구간, 60-헤더관, 70-네킹관, 71-제1 구간, 72-제2 구간, 80-플레어링관, 90-용접 링.

Claims (37)

  1.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에 있어서,
    복수의 핀 및 복수의 편평관을 포함하고, 복수의 핀은 병렬로 설치되어 복수 행을 형성하고, 상기 핀에는 삽입 연결홈이 개설되고, 복수의 상기 편평관은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수 층을 형성하고, 상기 편평관은 삽입 연결홈 내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는 분배기 및 어댑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배기에는 복수의 모세관이 설치되고, 상기 어댑터관의 일단은 상기 모세관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편평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관은 복수개이고, 일부 상기 어댑터관의 일단은 상기 모세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편평관에 연결되고, 일부 상기 어댑터관의 양단이 모두 상기 편평관에 연결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관은 상기 편평관과 매칭되는 제1 관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 개구는 상기 편평관이 삽입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어댑터관의 내벽에는 위치제한부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편평관의 일단에 맞닿고/맞닿거나 상기 편평관의 측벽에 맞닿아, 상기 편평관의 위치를 제한하는 데 사용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어댑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돌출부에 상대적으로 상기 제1 관 개구에서 멀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돌출부의 상기 어댑터관의 내벽에서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어댑터관의 내벽에서 돌출되는 높이보다 크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편평관의 일단에 맞닿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편평관의 외측벽에 맞닿는 데 사용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어댑터관의 내벽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높이는 H4이고, 상기 편평관의 높이는 H1이고, 상기 어댑터관 내에는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 내벽 및 제2 내벽이 구비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 내벽 및 상기 제2 내벽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내벽과 상기 제2 내벽 사이의 거리는 H2이고, 0mm≤[H4-(H2-H1)]≤0.2mm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가 반원형,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이고, 및/또는 상기 제2 돌출부가 반원형,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상기 어댑터관의 내벽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높이는 H3이고, 상기 편평관의 높이는 H1이고, 상기 어댑터관 내에는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 내벽 및 제2 내벽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내벽 및 상기 제2 내벽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내벽과 상기 제2 내벽 사이의 거리는 H2이고, 상기 편평관의 높이는 H1이고, 0.2mm≤[H3-(H2-H1)]≤3mm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관 개구의 단면 사이의 간격은 L1이고, 2mm≤L1≤10mm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관의 높이는 H1이고, 상기 어댑터관 내에는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 내벽 및 제2 내벽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내벽과 상기 제2 내벽 사이의 거리는 H2이고, 0.02mm≤(H2-H1)≤0.4mm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관은 제2 관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관 개구는 상기 어댑터관의 상기 제1 관 개구에서 멀어지는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관 개구가 원형이거나, 또는 상기 어댑터관이 곡관이고, 상기 어댑터관의 양단에 모두 상기 제1 관 개구가 구비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는 네킹관 및 플레어링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어링관이 상기 어댑터관에 연결되고, 상기 네킹관이 상기 편평관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네킹관이 상기 어댑터관에 연결되고, 상기 플레어링관이 상기 편평관에 연결되고, 상기 네킹관의 외부에는 용접 링이 씌워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네킹관이 상기 플레어링관 내로 연장되며 상기 플레어링관과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킹관은 서로 연결된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간의 외경은 상기 제2 구간에 근접한 방향을 따라 점진 감소하고, 상기 용접 링은 상기 제1 구간의 외부를 씌우도록 설치되고, 상기 네킹관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구간의 길이는 L1이고, 상기 용접 링의 횡단면의 직경은 D1이고, D1≤L1≤1.2D1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의 길이는 L2이고, 3mm≤L2≤5mm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편평관에 연결되고, 상기 편평관의 너비는 W1이고, 상기 제2 구간의 너비는 W2이고, 상기 용접 링은 타원 링형이고, 상기 용접 링의 내륜 장축은 D이고, W2≤D≤W1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15.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편평관에 연결되고, 상기 편평관의 너비는 W1이며, D1=0.06W1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편평관에 연결되고, 상기 네킹관 내의 너비는 W3이고, 상기 어댑터관 내의 너비는 W4이고, 0.8W4≤W3≤1.2W4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킹관의 외벽과 상기 플레어링관의 내벽은 틈새 끼워맞춤되고, 상기 네킹관의 외벽과 상기 플레어링관의 내벽의 틈새는 H이고, 0.1mm≤H≤0.35mm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킹관은 상기 편평관에 연결되고, 상기 플레어링관은 상기 어댑터관에 연결되고, 상기 네킹관은 상기 편평관을 통해 네킹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레어링관은 상기 어댑터관을 통해 플레어링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플레어링관은 상기 편평관에 연결되고, 상기 네킹관은 상기 어댑터관에 연결되고, 상기 플레어링관은 상기 편평관을 통해 플레어링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네킹관은 상기 어댑터관을 통해 네킹되도록 형성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관은 복수 열이고, 인접한 열의 상기 편평관은 상기 어댑터관, 상기 네킹관 및 상기 플레어링관을 통해 연결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관은 적어도 2열이고, 상기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는 복수의 곡관을 더 포함하고, 인접한 열의 상기 편평관은 상기 곡관을 통해 연통되고, 상기 곡관은 상기 편평관과 분리되도록 설치되고, 및/또는 동일한 열의 상기 편평관 사이는 상기 곡관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곡관은 상기 편평관과 분리되도록 설치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21.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편평관은 이격 설치되고, 상기 삽입 연결홈은 복수개이고, 복수의 상기 삽입 연결홈은 상기 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고, 상기 삽입 연결홈과 상기 편평관의 형상이 서로 매칭되어, 상기 핀이 상기 삽입 연결홈을 통해 상기 편평관에 삽입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는 곡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곡관은 연결 구간 및 절곡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구간은 2개이고, 2개의 상기 연결 구간은 상기 절곡 구간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2개의 상기 연결 구간과 상기 절곡 구간이 연결되어 U자형 관 구조를 형성하고, 2개의 상기 연결 구간은 각각 2개의 상기 편평관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 구간이 상기 편평관을 씌우는 깊이는 P이고, 2mm≤P≤20mm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간의 내벽면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꼭대기면, 제1 측면, 바닥면 및 제2 측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상기 꼭대기면과 상기 바닥면은 모두 평면이고,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이 모두 호면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이 모두 평면이고, 상기 꼭대기면 및 상기 바닥면과 상기 제1 측면의 연결 지점이 모두 원호 전이이고, 상기 꼭대기면 및 상기 바닥면과 상기 제2 측면의 연결 지점이 모두 원호 전이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이 모두 타원면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이 모두 절곡면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곡관의 2개의 상기 연결 구간은 모두 축 대칭 구조이고, 2개의 상기 연결 구간의 대칭 중심이 연결되어 연결 축선을 형성하고, 상기 곡관의 관 개구의 길이 연장 방향과 상기 연결 축선 사이의 협각은 α이고, 0≤α≤90°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연결홈의 너비는 Gw이고, 상기 삽입 연결홈의 높이는 Gt이고, 1.5≤Gw/Gt≤10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에는 복수의 제1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돌기가 원형, 초승달형, 삼각형, 사각형, S자형 또는 물결무늬형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에는 슬릿이 개설되고, 상기 슬릿이 상기 핀의 표면을 관통하여 환기 채널을 형성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제1 측 및 제2 측을 구비하고, 상기 핀의 상기 제1 측에 가까운 측면에는 복수의 제2 돌기가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핀의 너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분포되어 물결무늬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물결무늬 구조의 양단은 각각 상기 핀의 길이 방향의 양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핀의 양단을 관통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서로 연결된 본체부 및 플랜징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연결홈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플랜징 구조는 상기 삽입 연결홈에 설치되고, 상기 플랜징 구조는 상기 본체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의 상기 플랜징 구조가 상기 편평관의 측면과 맞닿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서로 연결된 본체부 및 플랜징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연결홈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플랜징 구조는 상기 삽입 연결홈에 설치되고, 상기 플랜징 구조는 상기 본체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플랜징 구조는 상기 편평관과 맞춤하는 데 사용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징 구조는 제1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삽입 연결홈의 둘레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플랜지가 상기 편평관과 매칭되는 형상으로 둘러싸도록 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높이는 H1이고, 0<H1≤1mm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징 구조는 제2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랜지는 복수개이고, 복수의 상기 제2 플랜지는 상기 삽입 연결홈의 둘레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플랜지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제2 플랜지가 있는 평면이 상기 제1 플랜지가 있는 평면과 겹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의 높이는 H2이고, 상기 삽입 연결홈의 높이는 Gt이고, 0.25<H2/Gt<1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징 구조는 제3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플랜지는 복수개이고, 복수의 상기 제3 플랜지는 복수의 상기 제2 플랜지와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제3 플랜지는 상기 제2 플랜지의 상기 제1 플랜지에서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3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는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3 플랜지가 상기 삽입 연결홈을 회피하도록 설치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3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핀과 상기 연결 구간 사이의 최소 거리는 C이고, 0≤C≤80mm인,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적어도 2열을 포함하고, 각 열의 상기 핀은 복수 행의 이격 설치된 상기 핀을 포함하고, 2열의 상기 핀의 동일 행의 상기 핀은 분리되도록 설치되고, 동일 행의 상기 핀의 상기 삽입 연결홈이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및/또는 동일 열의 상기 핀의 상기 삽입 연결홈이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는 헤더관을 포함하고, 상기 편평관은 제1열 편평관 및 제2열 편평관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1열 편평관과 상기 제2열 편평관은 병렬로 설치되고, 상기 제1열 편평관은 상기 어댑터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열 편평관은 상기 헤더관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편평관은 1열이고, 상기 편평관의 일단은 상기 어댑터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헤더관에 연결되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KR1020247014833A 2021-11-04 2022-11-04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KR202400893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2706128.8 2021-11-04
CN202111302595.2 2021-11-04
CN202122706128.8U CN216205497U (zh) 2021-11-04 2021-11-04 换热器
CN202111302595 2021-11-04
CN202220403404.5U CN217383880U (zh) 2021-11-04 2022-02-25 微通道换热器
CN202220403404.5 2022-02-25
CN202220961160.2U CN217383869U (zh) 2022-04-21 2022-04-21 微通道换热器
CN202220961160.2 2022-04-21
CN202210662495.9A CN117268161A (zh) 2022-06-13 2022-06-13 转接管及其微通道换热器
CN202221483863.5U CN218002296U (zh) 2022-06-13 2022-06-13 转接管及其微通道换热器
CN202221483863.5 2022-06-13
CN202210662495.9 2022-06-13
PCT/CN2022/129911 WO2023078399A1 (zh) 2021-11-04 2022-11-04 微通道换热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9307A true KR20240089307A (ko) 2024-06-20

Family

ID=86240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4833A KR20240089307A (ko) 2021-11-04 2022-11-04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89307A (ko)
WO (1) WO20230783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85953A1 (fr) * 1974-09-30 1976-04-23 Creusot Loire Procede et dispositif de centrage de tubes
JP2012032089A (ja) * 2010-07-30 2012-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CN201954845U (zh) * 2011-01-26 2011-08-31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平行流换热器
US10677531B2 (en) * 2015-12-25 2020-06-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r, air-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flat-tube U-bend
CN207365784U (zh) * 2017-09-30 2018-05-15 博格思众(常州)热交换器有限公司 一种翅片及蒸发器
CN212931129U (zh) * 2020-08-20 2021-04-09 浙江三可热交换系统有限公司 一种微通道换热器加厚结构
CN216745578U (zh) * 2021-11-04 2022-06-14 浙江盾安热工科技有限公司 换热器
CN217383869U (zh) * 2022-04-21 2022-09-06 浙江盾安热工科技有限公司 微通道换热器
CN216205497U (zh) * 2021-11-04 2022-04-05 浙江盾安热工科技有限公司 换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8399A1 (zh)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639B1 (ko) 열교환기
JP3445905B2 (ja) 熱交換器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ヘッダパイプの製造方法
US11614286B2 (en) Un-finned heat exchanger
US11454448B2 (en) Enhanced heat transfer surface
US20210285733A1 (en) Heat exchanger
WO2019056951A1 (zh) 微通道换热器的扁管以及微通道换热器
KR20240089307A (ko)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CN218002296U (zh) 转接管及其微通道换热器
JPH10176892A (ja) 瘤付きプレートフィン型熱交換器
JP2004060920A (ja) 熱交換器
JP4273483B2 (ja) 熱交換器用チューブおよび熱交換器
US6739387B1 (en) Heat exchanger tubing and heat exchanger assembly using said tubing
KR102635810B1 (ko) 열교환기
JP2000346585A (ja) 熱交換器
CN211777753U (zh) Egr冷却器壳体及egr冷却器
KR101566546B1 (ko) 루버 핀형 열교환기
JP3317672B2 (ja) 熱交換器
WO2021057984A1 (zh) 换热器
CN218511545U (zh) 一种换热器
KR200311823Y1 (ko) 열교환기용튜브
CN117268161A (zh) 转接管及其微通道换热器
CN215413346U (zh) 一种新型单开肩翅片
CN217818317U (zh) 一种翅片及换热器
WO2022191106A1 (ja) 仕切部材及び熱交換器
CN218583865U (zh) 翅片和热交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