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810B1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810B1
KR102635810B1 KR1020170016578A KR20170016578A KR102635810B1 KR 102635810 B1 KR102635810 B1 KR 102635810B1 KR 1020170016578 A KR1020170016578 A KR 1020170016578A KR 20170016578 A KR20170016578 A KR 20170016578A KR 102635810 B1 KR102635810 B1 KR 102635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upled
bent
header tan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412A (ko
Inventor
고광옥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6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81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1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33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헤더탱크;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에 양단이 연결된 복수개의 튜브; 상기 튜브들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핀; 및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헤더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서포트; 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서포트는 각각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서로 인접한 반대측이 헤더탱크에 결합되며 서로 인접한 측이 제1부재와 제2부재가 배열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크기가 다른 열교환기에도 서포트를 공용화할 수 있으며, 치수 공차가 있는 경우에도 서포트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교환기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한 쌍의 헤더탱크, 헤더탱크들에 양단이 연결된 복수개의 튜브, 튜브들의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핀 및 헤더탱크들에 양단이 결합된 한 쌍의 서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온도차가 있는 두 환경 사이에서 한쪽의 열을 흡수하여 다른쪽으로 열을 방출시키는 장치로서, 실내의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경우에는 냉방 시스템으로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방출할 경우에는 난방 시스템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1)는 도 1과 같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20);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20)에 양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냉매 튜브(4); 및 상기 냉매 튜브(4)들 사이에 접하여 고정되는 복수개의 핀(5);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핀(5)은 냉매 튜브(4)들의 사이에 주름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냉매 튜브(4) 사이에 조립된 후 브레이징에 의해 접합되어 결합되며, 상기 냉매 튜브(4)들의 사이로 통과하는 공기와 접촉면적을 높여준다. 그리하여 상기 냉매 튜브(4)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열교환매체와 주변 공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높여준다. 또한, 튜브(4)들 및 핀(5)들이 배열된 방향의 양측 최외측에 한 쌍의 서포트(30)가 배치되어, 서포트(30)들의 양단이 한 쌍의 헤더탱크에 결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열교환기는 헤더탱크들 간이 거리가 다르게 형성된 크기가 다른 열교환기들 간에는 동일한 서포트를 공용으로 사용하기 어렵고, 동일한 사양의 열교환기라 하더라도 치수 공차가 있을 경우 조립이 어려우며, 핀의 일부가 서포트에 접합되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여 방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핀의 끝단 부분이 브레이징 시 뭉쳐져 접합됨에 따라 튜브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열교환기의 팽창과 수축이 반복되는 열 사이클에 대한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KR 10-0839175 B1 (2008.06.1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의 크기에 따라 서포트의 공용화가 가능하고, 열교환기의 치수 공차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으며, 서포트 양단인 헤더탱크에 서포트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핀의 브레이징 시 서포트에 접합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교환기(1000)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헤더탱크(100);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0)에 양단이 연결된 복수개의 튜브(200); 상기 튜브(200)들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핀(300); 및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0)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헤더탱크(10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서포트(400); 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서포트(400)는 각각 제1부재(410) 및 제2부재(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는 서로 인접한 반대측이 헤더탱크(100)에 결합되며 서로 인접한 측이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가 배열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400)는, 상기 제1부재(410)는 일측에 삽입부(41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420)는 일측에 안내부(422)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412)가 안내부(42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410)의 삽입부(412)에는 외측으로 제1절곡탭(414)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420)의 안내부(422)에는 양면을 관통하는 가이드 슬롯(424)이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절곡탭(414)이 가이드 슬롯(424)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곡탭(414)의 단부에서 가이드 슬롯(424)의 폭방향으로 제1고정탭(415)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410)의 삽입부(412)에는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4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420)의 안내부(422)에는 제2절곡탭(423)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절곡탭(423)이 관통공(413)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부(412)의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410) 및 제2부재(420)가 인접한 반대측에는 각각 헤더탱크(100)에 결합되는 헤더탱크 결합부(411, 421)가 형성되며, 상기 헤더탱크 결합부(411, 421)의 일부가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0)가 마주보는 면에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탱크 결합부(411, 421)는 핀(300)과 접하는 부분인 수평부(410a, 420a)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절곡부(411a, 421a)가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0)가 마주보는 면에 접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서포트(400)에 인접한 핀(300)은 서포트(400)의 수평부(410a, 420a)에 브레이징되어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한 쌍의 헤더탱크 간의 이격된 거리가 다르게 형성된 크기가 다른 열교환기에도 서포트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치수 공차가 있는 경우에도 서포트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포트 양단인 헤더탱크에 서포트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핀의 브레이징 시 핀의 일부가 서포트에 접합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핀 전제가 브레이징 될 수 있어 방열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열교환기의 가열에 따른 팽창 및 냉각에 따른 수축이 반복되는 열 사이클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열교환기의 서포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의 제1부재와 제2부재가 분해, 조립 및 슬라이딩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열교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의 제1부재와 제2부재가 분해, 조립 및 슬라이딩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000)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헤더탱크(100);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0)에 양단이 연결된 복수개의 튜브(200); 상기 튜브(200)들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핀(300); 및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0)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헤더탱크(10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서포트(400); 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서포트(400)는 각각 제1부재(410) 및 제2부재(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는 서로 인접한 반대측이 헤더탱크(100)에 결합되며 서로 인접한 측이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가 배열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000)는 일례로 라디에이터가 될 수 있으며, 이외의 다른 종류의 열교환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헤더탱크(100)는 높이방향으로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헤더탱크(100)에는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 파이프(110) 및 배출되는 출구 파이프(1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튜브(200)가 한 쌍의 헤더탱크(100)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열교환매체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튜브(200)들 사이에는 핀(300)이 개재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최외측에 배치된 튜브(200)들의 바깥쪽에도 핀(300)이 배치되어 튜브(2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400)는 한 쌍의 헤더탱크(100)에 양단이 결합되며, 서포트(400)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4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최외곽 튜브(200)들의 바깥쪽에 배치된 핀(300)들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최외곽에 한 쌍의 서포트(4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트(400)와 근접한 튜브(200) 사이에 개재된 핀(300)은 서포트(400) 및 튜브(200)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한 쌍의 서포트(400)는 각각 제1부재(410) 및 제2부재(4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로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두 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하나의 서포트(400)로 형성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가 높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서로 인접한 측인 제1부재(410)의 하부측와 제2부재(420)의 상부측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반대측인 제1부재(410)의 상부와 제2부재(420)의 하부가 각각 상부에 배치된 헤더탱크(100)와 하부에 배치된 헤더탱크(10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가 서로 인접하여 결합된 부분은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가 배열된 방향인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서포트(400)는 한 쌍의 헤더탱크(100)가 이격된 거리에 따라 높이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한 쌍의 헤더탱크 간의 이격된 거리가 다르게 형성된 크기가 다른 열교환기에도 서포트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사양의 열교환기에서 한 쌍의 헤더탱크간 거리에 치수 공차가 있는 경우에도 서포트의 길이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조립 및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의 가열에 따른 팽창 및 냉각에 따른 수축이 반복되는 열 사이클에 의해 헤더탱크들 간의 거리가 반복적으로 변하더라도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서포트가 이러한 변화를 흡수하여 열교환기의 전체적인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400)는, 상기 제1부재(410)는 일측에 삽입부(41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420)는 일측에 안내부(422)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412)가 안내부(42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서포트(400)를 구성하는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가 인접하여 결합되는 부분은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되, 일례로 제1부재(410)의 일측에 삽입부(412)가 형성되고 제2부재(420)의 일측에 안내부(422)가 형성되어, 삽입부(412)가 안내부(4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삽입부(412)와 안내부(422)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방향으로 제1부재(410)의 양단 사이를 길이방향 및 폭방향 평면으로 자른 단면과 제2부재(420)의 양단 사이를 자른 단면이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삽입부(412)의 단면 외곽이 제2부재(420)의 내측면과 일치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제1부재(410) 및 제2부재(420)의 단면이 "ㄷ"자형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으나, "C"자형, "□"자형 및 "○"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412)와 안내부(422)도 상기한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410)의 삽입부(412)에는 외측으로 제1절곡탭(414)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420)의 안내부(422)에는 양면을 관통하는 가이드 슬롯(424)이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절곡탭(414)이 가이드 슬롯(424)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부재(410)는 삽입부(412)의 외측면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제1절곡탭(414)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부재(420)의 안내부(422)에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슬롯(424)이 형성되되 슬롯(424)은 슬라이딩되는 방향인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절곡탭(414)이 슬롯(424)을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1부재(410)의 삽입부(412)가 제2부재(420)의 안내부(4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으며, 동시에 높이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비틀었을 때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가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절곡탭(414)은 삽입부(412)의 양면을 관통하도록 "ㄷ"자형 등으로 절개부(416)가 형성되어, 절개되지 않고 남은 부분이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제1절곡탭(41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가 슬라이딩은 가능하되 제1절곡탭(414) 및 슬롯(424)에 의해 제한된 범위 내에서 서포트(400)의 높이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두 부재가 분리되거나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되어 결합된 형태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높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꺾이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곡탭(414)의 단부에서 가이드 슬롯(424)의 폭방향으로 제1고정탭(415)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부재(410)의 삽입부(412)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절곡탭(414)의 단부에서 제1고정탭(415)이 연장 형성된 형태로 절곡될 수 있으며, 이때 제1고정탭(415)은 길이방향인 가이드 슬롯(424)의 폭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고정탭(415)에 의해 제1절곡탭(414)이 가이드 슬롯(42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410)의 삽입부(412)에는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4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420)의 안내부(422)에는 제2절곡탭(423)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절곡탭(423)이 관통공(413)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부(412)의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부재(420)의 안내부(422)에 형성된 제2절곡탭(423)은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420)의 안내부(422)의 단부에서 헤더탱크 결합부(421)쪽을 향해 180도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되, 제1부재(410)의 삽입부(412)에 형성된 관통공(413)을 통과하여 관통공(413)에 근접한 삽입부(412)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가 슬라이딩은 가능하되 제2곡탭(423) 및 관통공(413)에 의해 제한된 범위 내에서 서포트(400)의 높이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두 부재가 분리되거나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되어 결합된 형태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높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꺾이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410) 및 제2부재(420)가 인접한 반대측에는 각각 헤더탱크(100)에 결합되는 헤더탱크 결합부(411, 421)가 형성되며, 상기 헤더탱크 결합부(411, 421)의 일부가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0)가 마주보는 면에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서포트(400)는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가 인접하여 결합된 반대측인 제1부재(410)의 상부측에 헤더탱크 결합부(411)가 형성되어 상측에 배치된 헤더탱크(100)에 결합되며, 제2부재(420)의 하부측에 헤더탱크 결합부(421)가 형성되어 하측에 배치된 헤더탱크(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헤더탱크 결합부(411, 421)는 일부가 한 쌍의 헤더탱크(100)가 서로 마주보는 면인 상측에 배치된 헤더탱크의 하면과 하측에 배치된 헤더탱크의 상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서포트(400)가 헤더탱크(10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탱크 결합부(411, 421)는 핀(300)과 접하는 부분인 수평부(410a, 420a)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절곡부(411a, 421a)가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0)가 마주보는 면에 접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서포트(400)에 인접한 핀(300)은 서포트(400)의 수평부(410a, 420a)에 브레이징되어 접합될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서포트(400)의 제1부재(410)는 핀(300)과 접하도록 튜브(200)와 나란하게 형성된 수평부(410a)와 수평부(410a)의 폭방향 양측에서 길이방향 바깥쪽을 향해 절곡된 형태로 한 쌍의 수직부(410b)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헤더탱크 결합부(411)는 핀(300)과 접하도록 튜브(200)와 나란하게 형성된 수평부(410a)의 단부에서 길이방향 바깥쪽으로 절곡된 형태로 제1절곡부(411a)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절곡부(411a)가 상측에 배치된 헤더탱크(100)의 하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부재(420)의 헤더탱크 결합부(421)도 제1부재(410)의 헤더탱크 결합부(411)와 형태는 같되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400)에 인접한 핀(300)은 서포트(400)의 수평부(410a, 420a)에 브레이징되어 접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서포트(400)의 수평부(410a, 420a) 및 헤더탱크 결합부(411, 421)의 제1절곡부(411a, 421a)에 의해 핀(300)이 서포트(400)에 접합되지 않을 수 있는 영역이 줄어들거나 없을 수 있어, 핀(300)의 전체가 서포트에(400)에 접합되어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최외측에 배치된 튜브(200)들의 높이방향 양단이 핀(300) 및 서포트(400)에 의해 지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부재(410)의 헤더탱크 결합부(411)는 제1절곡부(411a)의 단부에서 높이방향 상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제2절곡부(411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절곡부(411b)의 폭방향 양측에서 길이방향 바깥쪽을 향해 절곡된 형태로 제3절곡부(411c)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측에 배치된 헤더탱크(100)는 길이방향쪽 면에서 돌출되어 하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고정탭(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헤더탱크(100)는 길이방향쪽 면과 고정탭(130) 사이에 상기 제2절곡부(411b)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탭(130)은 한 쌍의 제3절곡부(411c) 사이에 배치되어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412)의 제1절곡탭(414) 및 안내부(422)의 가이드 슬롯(424)은 수평부(410a, 420a)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부(410b, 420b)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412)의 관통공(413) 및 안내부(422)의 제2절곡탭(423)은 수평부(410a, 420a)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열교환기
100 : 헤더탱크
110 : 입구 파이프 120 : 출구 파이프
130 : 고정탭
200 : 튜브
300 : 핀
400 : 서포트
410 : 제1부재
410a : 수평부 410b : 수직부
411 : 헤더탱크 결합부 411a : 제1절곡부
411b : 제2절곡부 411c : 제3절곡부
412 : 삽입부
413 : 관통공 414 : 제1절곡탭
415 : 제1고정탭 416 : 절개부
420 : 제2부재
420a : 수평부 420b : 수직부
421 : 헤더탱크 결합부 421a : 제1절곡부
421b : 제2절곡부 421c : 제3절곡부
422 : 안내부 423 : 제2절곡탭
424 : 가이드 슬롯

Claims (7)

  1.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헤더탱크(100);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0)에 양단이 연결된 복수개의 튜브(200);
    상기 튜브(200)들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핀(300); 및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0)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헤더탱크(10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서포트(400); 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서포트(400)는 각각 제1부재(410) 및 제2부재(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는 서로 인접한 반대측이 헤더탱크(100)에 결합되며 서로 인접한 측이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가 배열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서포트(400)는,
    상기 제1부재(410)는 일측에 삽입부(41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420)는 일측에 안내부(422)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412)가 안내부(422)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1부재(410)의 삽입부(412)에는 외측으로 제1절곡탭(414)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420)의 안내부(422)에는 양면을 관통하는 가이드 슬롯(424)이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절곡탭(414)이 가이드 슬롯(424)에 삽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탭(414)의 단부에서 가이드 슬롯(424)의 폭방향으로 제1고정탭(415)이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410)의 삽입부(412)에는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4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420)의 안내부(422)에는 제2절곡탭(423)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절곡탭(423)이 관통공(413)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부(412)의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410) 및 제2부재(420)가 인접한 반대측에는 각각 헤더탱크(100)에 결합되는 헤더탱크 결합부(411, 421)가 형성되며, 상기 헤더탱크 결합부(411, 421)의 일부가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0)가 마주보는 면에 접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탱크 결합부(411, 421)는 핀(300)과 접하는 부분인 수평부(410a, 420a)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절곡부(411a, 421a)가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0)가 마주보는 면에 접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서포트(400)에 인접한 핀(300)은 서포트(400)의 수평부(410a, 420a)에 브레이징되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170016578A 2017-02-07 2017-02-07 열교환기 KR102635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578A KR102635810B1 (ko) 2017-02-07 2017-02-07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578A KR102635810B1 (ko) 2017-02-07 2017-02-07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412A KR20180091412A (ko) 2018-08-16
KR102635810B1 true KR102635810B1 (ko) 2024-02-13

Family

ID=6344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578A KR102635810B1 (ko) 2017-02-07 2017-02-07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8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742B1 (ko) * 2020-09-18 2022-06-29 카호코리아 주식회사 라디에이터용 멀티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175B1 (ko) 2002-07-06 2008-06-19 한라공조주식회사 라디에이터의 사이드 서포트 결합구조
BRPI0813819A2 (pt) * 2008-04-18 2017-06-06 Johnson Controls Tech Co mecanismo de trava
KR20140083287A (ko) * 2012-12-26 2014-07-0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412A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301B1 (ko) 열교환기 및 그 코르게이트 핀
KR102590069B1 (ko) 열 교환기용 핀 조립체 및 그러한 핀 조립체를 가지는 열 교환기
US20090173480A1 (en) Louvered air center with vortex generating extensions for compact heat exchanger
US11614286B2 (en) Un-finned heat exchanger
JP2007232246A (ja) 熱交換器
KR102520736B1 (ko) 열 교환기
KR20190097632A (ko) 공기압 손실을 저감한 세경관 열교환기
JP6938669B2 (ja) 自動車両用の熱交換器
US6786276B2 (en) Heat exchanger tube with optimized plates
KR102635810B1 (ko) 열교환기
US11506457B2 (en) Header plateless type heat exchanger
KR102252235B1 (ko) 열교환기
KR102173324B1 (ko) 일체형 열교환기
JP5079597B2 (ja) 熱交換器
KR102597633B1 (ko) 터뷸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물 가열기용 열교환기
JP2017133790A (ja) 熱交換器
JP5569410B2 (ja) 熱交換器用チューブ及び熱交換器
KR102137501B1 (ko) 열교환기
JP4205885B2 (ja) 熱交換器
KR100689903B1 (ko) 열교환기의 열 교환 핀
KR101566546B1 (ko) 루버 핀형 열교환기
CN105051480B (zh) 热交换器
KR101543522B1 (ko) 열교환기용 납작관 및 이를 구비하는 열교환기
KR102222507B1 (ko) 열교환기
KR102158387B1 (ko) 헤더탱크의 결합력을 높인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