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5976A -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교량 시공용 지그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교량 시공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5976A
KR20240085976A KR1020220171057A KR20220171057A KR20240085976A KR 20240085976 A KR20240085976 A KR 20240085976A KR 1020220171057 A KR1020220171057 A KR 1020220171057A KR 20220171057 A KR20220171057 A KR 20220171057A KR 20240085976 A KR20240085976 A KR 20240085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panel
bridge construction
precast
jig
support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1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교선
Original Assignee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85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5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T- or I-section beams or gi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01D2101/32Metal prestressed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교량 시공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교량 시공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은 교각 위에 이송 모듈을 인양하는 단계, 상기 교각 위에 프리캐스트 판넬을 인양하는 단계, 상기 이송 모듈을 이용해서 인양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호 인접 배치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 사이에 구비된 현장 타설부에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교량 시공용 지그{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PANEL AND JIG FOR BRIDGE CONSTRUCTION USED THEREFOR}
본 발명은 교량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교량 시공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교량 시공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설 교량이나 고가 도로 등의 상판의 하나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은 미리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즉시 시공이 가능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통상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은 크레인 장치에 의해서 거더 상에 가설된다. 그러나 크롤라 크레인(crawler crane)과 같은 장치는 자재를 인양한 상태에서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작업 반경에 제한이 있다. 또한, H/D 크레인과 같은 장치는 카고와 같은 이동용 장비를 추가 사용하게 됨에 따라 시공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수상 구간, 협곡, 높이가 높은 교량, 아치교와 같은 상부 트러스인 교량 등과 같이 시공하는 교량의 종류에 따른 특성이나 고가 도로 등의 상부에 송전선 등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 등 크레인 장치의 설치와 관련된 작업 환경의 제한도 있게 된다.
따라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설 교량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다 개선되어 시공성과 경제성이 향상되어 보다 능률적인 가설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941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각 위로 인양된 프리캐스트 판넬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교량 시공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교각 위에 이송 모듈을 인양하는 단계, 상기 교각 위에 프리캐스트 판넬을 인양하는 단계, 상기 이송 모듈을 이용해서 인양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호 인접 배치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 사이에 구비된 현장 타설부에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이송 모듈을 이용해서 인양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이전에는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이 설치될 위치에 합성수지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 모듈을 이용해서 인양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현장 타설부에 지지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장 타설부에 지지부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과 동일한 높이까지 연장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를 상기 현장 타설부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호 인접 배치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상면과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상면을 통해 지지되도록 제2 지지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장 타설부에 지지부를 설치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이송 모듈을 이용해서 인양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을 들어올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 모듈을 이용해서 인양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을 들어올리는 단계는, 인양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에 지그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이송 모듈이 상기 지그를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을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양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에 지그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지지빔과, 상기 제1 지지빔의 상면에 일체로 배치되되,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2 지지빔을 포함하는 상기 지그를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상면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상면으로 돌출된 고리 부재에 상기 제1 지지빔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상면으로 돌출된 고리 부재에 상기 제1 지지빔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고리 부재가 상기 제1 지지빔에 구비된 관통홀의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관통 배치되도록 상기 지그를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상면에 배치하는 단계, 및 고정핀이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빔과 상기 고리 부재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 모듈이 상기 지그를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을 들어올리는 단계는,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 상면과 상기 제2 지지빔 하면 사이의 삽입 공간으로 상기 이송 모듈의 리프팅 레그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리프팅 레그를 상향 이동시켜서 상기 지그를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프팅 레그를 상향 이동시켜서 상기 지그를 들어올리는 단계 이전에는 삽입된 상기 리프팅 레그의 폭 방향 양면을 지지하는 이탈 방지 프레임을 상기 제2 지지빔의 하면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청구항 1에 따른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교량 시공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지지빔, 및 상기 제1 지지빔의 상면에 일체로 배치되되,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2 지지빔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교량 시공용 지그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1 지지빔에는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상면으로 돌출된 고리 부재가 높이 방향을 따라 관통 배치되도록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지그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빔과 상기 고리 부재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지지빔의 하부에는 이송 모듈의 리프팅 레그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빔의 하면에는 상기 리프팅 레그의 폭 방향 양면을 지지하는 이탈 방지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교량 시공용 지그는 이송 모듈을 이용해서 인양된 프리캐스트 판넬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므로 작업 반경의 제한이 없고, 시공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작업 환경의 제한도 없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각 위에 이송 모듈을 인양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각 위에 프리캐스트 판넬을 인양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각 위에 프리캐스트 판넬을 가설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된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송 모듈로 들어올리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모듈과 프리캐스트 판넬을 교각 위에 동시에 인양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모듈을 이용해서 프리캐스트 판넬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타설부에 타설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판넬이 설치될 위치에 합성수지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모듈을 이용해서 프리캐스트 판넬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타설부에 지지부를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타설부에 지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판넬에 교량 시공용 지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a)는 평면도이고, 도 14(b)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판넬에 지그를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판넬과 제1 지지빔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모듈이 프리캐스트 판넬을 들어올리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모듈의 리프팅 레그로 제2 지지빔을 들어올리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각 위에 이송 모듈을 인양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각 위에 프리캐스트 판넬을 인양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각 위에 프리캐스트 판넬을 가설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된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송 모듈로 들어올리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모듈과 프리캐스트 판넬을 교각 위에 동시에 인양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모듈을 이용해서 프리캐스트 판넬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타설부에 타설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여기서 X 축은 길이 방향을 의미하고, Y 축은 폭 방향을 의미하며, Z 축은 높이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은, 교각(10) 위에 이송 모듈(100)을 인양하는 단계(S100), 교각(10) 위에 프리캐스트 판넬(20)을 인양하는 단계(S200), 이송 모듈(100)을 이용해서 인양된 프리캐스트 판넬(20)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300), 및 상호 인접 배치된 프리캐스트 판넬(20) 사이에 구비된 현장 타설부(30)에 타설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0) 위에 이송 모듈(100)을 인양하기 위해 크레인(C)과 같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크레인(C)은 교각(10) 위의 특정 부분으로 이송 모듈(100)을 인양하게 되며, 일 예로, 크롤라 크레인이나 H/D 크레인과 같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송 모듈(100)은 후술할 리프팅 레그(110)가 구비된 지게차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0) 위에 프리캐스트 판넬(20)을 인양하기 위해 크레인(C)을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크레인(C)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일 수 있다. 이때, 프리캐스트 판넬(20)은 지상의 별도 공간(야적장 등)에 보관될 수 있고, 이와 같이 보관된 프리캐스트 판넬(20)은 바지선에 선적된 후 시공 대상이 되는 아치교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된 프리캐스트 판넬(20)은 공동구에 목재 토퓨판(11)을 설치한 후 임시로 거치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모듈(100)은 이와 같이 거치된 프리캐스트 판넬(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모듈(100)과 프리캐스트 판넬(20)을 교각(10) 위로 동시에 인양할 수도 있다.
아울러 현장 타설부(30)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으며, 현장 타설부(30)의 타설 이후에는 공동구의 타설 단계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 모듈(100)을 이용해서 인양된 프리캐스트 판넬(20)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므로 작업 반경의 제한이 없고, 시공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작업 환경의 제한도 없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판넬이 설치될 위치에 합성수지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모듈(100)을 이용해서 인양된 프리캐스트 판넬(20)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300) 이전에는 프리캐스트 판넬(20)이 설치될 위치에 합성수지 플레이트(40)를 배치하는 단계(S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 플레이트(40)는 고무 재질의 플레이트일 수 있으나, 반드시 고무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미끄럼 방지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프리캐스트 판넬(20)의 하면에 길이 방향(X)을 따라 합성수지 플레이트(40)가 구비되면 이송 모듈(100) 이동 시 인가되는 하중으로 인해 프리캐스트 판넬(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모듈을 이용해서 프리캐스트 판넬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모듈(100)을 이용해서 인양된 프리캐스트 판넬(20)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300)는, 현장 타설부(30)에 지지부(50)를 설치하는 단계(S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송 모듈(100)을 이용해서 스팬(SPAN) 별로 프리캐스트 판넬(20)을 가설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타설부에 지지부를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타설부에 지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타설부(30)에 지지부를 설치하는 단계(S310)는, 프리캐스트 판넬(20)과 동일한 높이까지 연장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51)를 현장 타설부(30)에 배치하는 단계(S311), 및 상호 인접 배치된 프리캐스트 판넬(20)의 상면과 제1 지지 부재(51)의 상면을 통해 지지되도록 제2 지지 부재(52)를 배치하는 단계(S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51)는 목재 지지 부재일 수 있으며, 제2 지지 부재(52)는 철판 지지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지 부재(52)는 프리캐스트 판넬(20)의 상면과 제1 지지 부재(51)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모듈(100)은 제2 지지 부재(52)를 통해 상호 인접 배치된 프리캐스트 판넬(20)을 사이를 이동하면서 프리캐스트 판넬(20)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지지 부재(51)가 제2 지지 부재(52)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어 이송 모듈(100)의 하중에 의해 제2 지지 부재(52)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현장 타설부(30)의 마감면에도 합성수지 플레이트(4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타설부(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31)가 구비된 지지 플레이트가 폭 방향(Y)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 플레이트(40)는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에 폭 방향(Y)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다. 즉, 현장 타설부(3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볼트(31)가 구비된 지지 플레이트와 프리캐스트 판넬(2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일종의 간극일 수 있음)을 통해 누수가 발생할 수 있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에 합성수지 플레이트(40)가 배치되면 이와 같은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타설부(30)에 지지부(50)를 설치하는 단계(S310) 이후에는 이송 모듈(100)을 이용해서 인양된 프리캐스트 판넬(20)을 들어올리는 단계(S3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프리캐스트 판넬(20)이 이송 모듈(100)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설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판넬에 교량 시공용 지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a)는 평면도이고, 도 14(b)는 정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모듈(100)을 이용해서 인양된 프리캐스트 판넬(20)을 들어올리는 단계(S320)는, 인양된 프리캐스트 판넬(20)에 지그(200)를 설치하는 단계(S321), 및 이송 모듈(100)이 지그(200)를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프리캐스트 판넬(20)을 들어올리는 단계(S322)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이송 모듈(100)이 프리캐스트 판넬(20)을 직접 들어올리도록 구성하면 작업이 단순화될 수 있으나, 큰 중량의 프리캐스트 판넬(20)을 이송 모듈(10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이동 과정에서 낙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프리캐스트 판넬(20)이 이송 모듈(100)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송 모듈(100)이 프리캐스트 판넬(20)을 직접 들어올리지 않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지그(200)를 프리캐스트 판넬(20)에 설치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판넬(20)에 지그(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송 모듈(100)이 이러한 지그(200)를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프리캐스트 판넬(20)을 들어올리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판넬에 지그를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판넬과 제1 지지빔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된 프리캐스트 판넬(20)에 지그(200)를 설치하는 단계(S321)는, 프리캐스트 판넬(2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배치된 제1 지지빔(210)과, 제1 지지빔(210)의 상면에 일체로 배치되되, 프리캐스트 판넬(20)의 폭 방향(Y)을 따라 배치된 제2 지지빔(220)을 포함하는 지그(200)를 프리캐스트 판넬(20)의 상면에 배치하는 단계(S321a), 및 프리캐스트 판넬(20)의 상면으로 돌출된 고리 부재(21)에 제1 지지빔(210)을 연결하는 단계(S32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빔(210)과 제2 지지빔(220)이 구비된 지그(200)를 프리캐스트 판넬(20)의 상면에 배치하고, 프리캐스트 판넬(20) 상면으로 돌출된 고리 부재(21)를 이용해서 지그(200)와 프리캐스트 판넬(20)을 연결하는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판넬(20)의 상면으로 돌출된 고리 부재(21)에 제1 지지빔(210)을 연결하는 단계(S321b)는, 고리 부재(21)가 제1 지지빔(210)에 구비된 관통홀(211)의 내부에 높이 방향(Z)을 따라 관통 배치되도록 지그(200)를 프리캐스트 판넬(20)의 상면에 배치하는 단계(S321b’), 및 고정핀(230)이 폭 방향(Y)을 따라 제1 지지빔(210)과 고리 부재(21)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배치하는 단계(S32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부재(21)의 양단은 프리캐스트 판넬(20)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고, 제1 지지빔(210)에 구비된 관통홀(211)에 고리 부재(21)가 배치되도록 지그(200)를 프리캐스트 판넬(20) 상면에 배치하는 것이다. 이후 고정핀(230)이 제1 지지빔(210)과 고리 부재(21)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배치해서 이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제1 지지빔(210)은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단위 지지빔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통홀(211)은 이러한 한 쌍의 단위 지지빔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모듈이 프리캐스트 판넬을 들어올리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모듈(100)이 지그(200)를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프리캐스트 판넬(20)을 들어올리는 단계(S322)는, 프리캐스트 판넬(20) 상면과 제2 지지빔(220) 하면 사이의 삽입 공간(60)으로 이송 모듈(100)의 리프팅 레그(110)를 삽입하는 단계(S322a), 및 리프팅 레그(110)를 상향 이동시켜서 지그(200)를 들어올리는 단계(s322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지그(200)를 프리캐스트 판넬(20) 상면에 배치하게 되면 제1 지지빔(210)이 프리캐스트 판넬(20) 상면에 안착 배치되고, 제2 지지빔(220)은 프리캐스트 판넬(20)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면서 삽입 공간(60)이 형성되며, 이러한 삽입 공간(60)으로 이송 모듈(100)의 리프팅 레그(110)를 삽입한 후 리프팅 레그(110)를 상향 이동시켜서 지그(200)를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레그(110)를 상향 이동시켜서 지그(200)를 들어올리는 단계(S322c) 이전에는 삽입된 리프팅 레그(110)의 폭 방향(Y) 양면을 지지하는 이탈 방지 프레임(240)을 제2 지지빔(220)의 하면에 설치하는 단계(S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송 모듈(100)을 이용해서 프리캐스트 판넬(20)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일부 회전하면서 측방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도 프리캐스트 판넬(20)이 리프팅 레그(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이탈 방지 프레임(240)을 설치하는 것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지그는, 청구항 1에 따른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교량 시공용 지그일 수 있으며, 이러한 지그(200)는, 프리캐스트 판넬(2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배치된 제1 지지빔(210), 및 제1 지지빔(210)의 상면에 일체로 배치되되, 프리캐스트 판넬(20)의 폭 방향(Y)을 따라 배치된 제2 지지빔(2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지그(200)를 프리캐스트 판넬(20) 상면에 배치하게 되면 제1 지지빔(210)이 프리캐스트 판넬(20) 상면에 안착 배치되고, 제2 지지빔(220)은 프리캐스트 판넬(20)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면서 삽입 공간(60)이 형성되며, 이러한 삽입 공간(60)으로 이송 모듈(100)의 리프팅 레그(110)를 삽입한 후 리프팅 레그(110)를 상향 이동시켜서 지그(200)를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빔(210)에는 프리캐스트 판넬(20)의 상면으로 돌출된 고리 부재(21)가 높이 방향(Z)을 따라 관통 배치되도록 관통홀(211)이 구비되고, 지그(200)는 길이 방향(X)을 따라 제1 지지빔(210)과 고리 부재(21)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고정핀(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고리 부재(21)의 양단은 프리캐스트 판넬(20)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고, 제1 지지빔(210)에 구비된 관통홀(211)에 고리 부재(21)가 배치되도록 지그(200)를 프리캐스트 판넬(20) 상면에 배치하는 것이다. 이후 고정핀(230)이 제1 지지빔(210)과 고리 부재(21)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배치해서 이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모듈의 리프팅 레그로 제2 지지빔을 들어올리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빔(220)의 하부에는 이송 모듈(100)의 리프팅 레그(110)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60)이 구비되고, 제2 지지빔(220)의 하면에는 리프팅 레그(110)의 폭 방향(Y) 양면을 지지하는 이탈 방지 프레임(24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이송 모듈(100)을 이용해서 프리캐스트 판넬(20)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일부 회전하면서 측방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도 프리캐스트 판넬(20)이 리프팅 레그(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이탈 방지 프레임(240)을 설치하는 것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송 모듈(100)을 이용해서 인양된 프리캐스트 판넬(20)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므로 작업 반경의 제한이 없고, 시공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작업 환경의 제한도 없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교각 11 : 토퓨판
20 : 프리캐스트 판넬 21 : 고리 부재
30 : 현장 타설부 31 : 볼트
40 : 합성수지 플레이트 50 : 지지부
51 : 제1 지지 부재 52 : 제2 지지 부재
60 : 삽입 공간 100 : 이송 모듈
110 : 리프팅 레그 200 : 지그
210 : 제1 지지빔 211 : 관통홀
220 : 제2 지지빔 230 : 고정핀
240 : 이탈 방지 프레임 C : 크레인
X : 길이 방향 Y : 폭 방향
Z : 높이 방향

Claims (13)

  1. 교각 위에 이송 모듈을 인양하는 단계;
    상기 교각 위에 프리캐스트 판넬을 인양하는 단계;
    상기 이송 모듈을 이용해서 인양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호 인접 배치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 사이에 구비된 현장 타설부에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모듈을 이용해서 인양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이전에는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이 설치될 위치에 합성수지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모듈을 이용해서 인양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현장 타설부에 지지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타설부에 지지부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과 동일한 높이까지 연장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를 상기 현장 타설부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호 인접 배치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상면과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상면을 통해 지지되도록 제2 지지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타설부에 지지부를 설치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이송 모듈을 이용해서 인양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을 들어올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모듈을 이용해서 인양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을 들어올리는 단계는,
    인양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에 지그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이송 모듈이 상기 지그를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을 들어올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인양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에 지그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지지빔과, 상기 제1 지지빔의 상면에 일체로 배치되되,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2 지지빔을 포함하는 상기 지그를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상면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상면으로 돌출된 고리 부재에 상기 제1 지지빔을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상면으로 돌출된 고리 부재에 상기 제1 지지빔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고리 부재가 상기 제1 지지빔에 구비된 관통홀의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관통 배치되도록 상기 지그를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상면에 배치하는 단계; 및
    고정핀이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빔과 상기 고리 부재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모듈이 상기 지그를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을 들어올리는 단계는,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 상면과 상기 제2 지지빔 하면 사이의 삽입 공간으로 상기 이송 모듈의 리프팅 레그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리프팅 레그를 상향 이동시켜서 상기 지그를 들어올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레그를 상향 이동시켜서 상기 지그를 들어올리는 단계 이전에는 삽입된 상기 리프팅 레그의 폭 방향 양면을 지지하는 이탈 방지 프레임을 상기 제2 지지빔의 하면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11. 청구항 1에 따른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교량 시공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지지빔; 및
    상기 제1 지지빔의 상면에 일체로 배치되되,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2 지지빔;
    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교량 시공용 지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빔에는 상기 프리캐스트 판넬의 상면으로 돌출된 고리 부재가 높이 방향을 따라 관통 배치되도록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지그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빔과 상기 고리 부재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교량 시공용 지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빔의 하부에는 이송 모듈의 리프팅 레그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빔의 하면에는 상기 리프팅 레그의 폭 방향 양면을 지지하는 이탈 방지 프레임이 구비되는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교량 시공용 지그.
KR1020220171057A 2022-12-09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교량 시공용 지그 KR20240085976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5976A true KR20240085976A (ko) 2024-06-18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014B1 (ko) 수상에서 인양잭을 이용한 교량상판 가설공법
CN202247687U (zh) 通用型桥梁现浇支架
JP2918475B2 (ja) 橋脚の構築工法ならびに橋脚の解体工法およびリフトアップ・回転装置
CN113005919A (zh) 一种桥墩施工装置及桥墩施工方法
JP2020002778A (ja) 橋脚構築方法
CN101839063B (zh) 一种施工预制梁用的活动钢底座及其标准节
CN211285316U (zh) 一种采用消能减震连接的桥建混合式高架车站结构
CN214831975U (zh) 一种桥墩施工装置
JP7136309B2 (ja) 上部工部材運搬設備および上部工部材運搬方法
KR20240085976A (ko)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교량 시공용 지그
KR100627102B1 (ko) 리프팅트레블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교량상부시공방법
CN214883824U (zh) 一种预找平的塔基基础
JP6969646B2 (ja) 上部工部材運搬設備および上部工部材運搬方法
JP2005146695A (ja) 高架橋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6618116B2 (ja) 橋脚の建設方法
JP7012486B2 (ja) 橋梁の施工方法
JPH11269825A (ja) 橋桁の架設方法及び引揚装置
JP6627177B2 (ja) 車両積載型リフタおよび橋脚の建設方法
CN220283407U (zh) 一种履带吊行走平台
CN219671101U (zh) 一种窄断面小曲线半径匝道桥辅助架桥机转向的结构
JP2006009421A (ja) タワークレーンを用いた建物の施工方法
CN218713281U (zh) 一种近轨道基坑外施工平台
JP6798527B2 (ja) 上部工部材運搬設備および上部工部材運搬方法
KR101011443B1 (ko) 슬래브 일체형 빔교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3690463B2 (ja) 高架橋の構築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