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0616A - 이동식 목욕차량내 욕조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이동식 목욕차량내 욕조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0616A
KR20240080616A KR1020220164129A KR20220164129A KR20240080616A KR 20240080616 A KR20240080616 A KR 20240080616A KR 1020220164129 A KR1020220164129 A KR 1020220164129A KR 20220164129 A KR20220164129 A KR 20220164129A KR 20240080616 A KR20240080616 A KR 20240080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tub
bathing
lowering
elevating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4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승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웅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웅
Publication of KR20240080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061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anitation devices
    • B60R15/02Washing facil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목욕차량내 욕조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욕조의 저면과 마주보는 형태로 목욕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목욕실의 바닥면 및 측벽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욕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부재와; 상기 욕조를 틸팅회동시키는 틸팅부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승하강부재, 틸팅부재와 힌지결합되어 욕조의 상하이동 또는 틸팅회동시 욕조의 원활한 회동을 가이드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재 및 틸팅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부재와, 틸팅부재 및 링크부재를 통해 한정된 공간 내에서 욕조의 배치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욕을 돕는 보조원의 이동 또는 목욕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목욕차량내 욕조의 설치구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동식 목욕차량내 욕조의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bathtub in mobile bath vehicle}
본 발명은 이동식 목욕차량내 욕조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목욕실의 바닥면에 상기 욕조의 저면을 바라보는 형태로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목욕실의 바닥면 및 측벽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욕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부재와; 상기 욕조를 틸팅회동시키는 틸팅부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승하강부재, 틸팅부재와 힌지결합되어 욕조의 상하이동 또는 틸팅회동시 욕조의 원활한 회동을 가이드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재 및 틸팅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부재와, 틸팅부재 및 링크부재를 통해 한정된 공간 내에서 욕조의 배치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욕을 돕는 보조원의 이동 또는 목욕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목욕차량내 욕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체 장애자, 노약자들의 경우, 거동이 불편하여 주로 누워서 생활을 한다.
이들은 거동의 불편으로 신체의 청결을 본인 스스로 해결할 능력이 부족하다.
그런데, 일반적인 가정에는 지체 부자유자를 용이하게 목욕시킬 수 있도록 된 욕조 및 기타설비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최근 들어 사회복지의 일환으로 이동식 목욕 차량을 통해 거동이 불편한 지체 부자유자에게 목욕을 시켜주는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다.
이동식 목욕 차량은 후방에 적재함이 마련되는 1ton, 12ton, 또는 25ton 차량을 주로 이용하며, 상기 적재함 내부에는 욕조와, 목욕에 필요한 각종 설비가 탑재되고, 차량의 후방에는 휠체어에 탑승한 사용자를 들어 올려 적재함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리프트가 구비된다. 이러한 이동식 목욕 차량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32397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헌에 나타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의 목욕 차량은 사용자를 욕조에 옮기기 위해서 일단 휠체어 등으로 사용자를 목욕 차량까지 데리고 나온 다음, 리프트를 이용하여 휠체어와 함께 사용자를 소정 높이까지 들어올려 사용자가 휠체어를 탑승한 상태로 적재함 내부로 진입하도록 한 후, 보조원이 사용자를 욕조로 옮겨야 했다. 따라서, 여러 명의 보조원이 필요할 뿐 아니라 사용자 역시 큰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욕조는 적재함을 후방에서 바라봤을 때 적재함의 좌측(또는 우측)에 최대한 인접하게 고정설치되어 욕조와 적재함의 내벽 사이에 휠체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된다.
25ton 차량은 적재함의 폭과 길이가 충분하기 때문에 보조원이 적재함 내부에서 목욕을 시키거나 이동하는데 제약이 없으나, 1ton 또는 12ton 차량의 경우 적재함의 폭과 길이가 대략 1,650mm x 2,340mm이고, 욕조의 폭과 길이는 대략 750mm x 2,000mm로서, 목욕시 보조원이 휠체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부에 위치할 경우 약 900mm의 폭이 확보되므로 원활한 움직임이나 이동이 가능하나, 머리나 다리를 씻기기 위해 적재함의 내측 끝단과 욕조의 단부 사이 또는 후면도어와 욕조의 단부 사이에 위치할 경우 상대적으로 공간이 현저히 협소하여 움직임이나 이동에 제약이 있었다.
즉, 휠체어의 이동을 위한 공간부를 제외한 잔여 공간상에 욕조가 고정설치되어 공간활용과 작업능률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목욕실 내부에서 욕조의 배치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조원이 한정된 공간 안에서 이동이나 목욕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하도록 할 수 있는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동식 목욕차량내 욕조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식 목욕차량내 욕조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목욕실의 바닥면에 상기 욕조의 저면을 바라보는 형태로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목욕실의 바닥면 및 측벽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욕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부재와; 상기 욕조를 틸팅회동시키는 틸팅부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승하강부재, 틸팅부재와 힌지결합되어 욕조의 상하이동 또는 틸팅회동시 욕조의 원활한 회동을 가이드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재 및 틸팅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부재와, 틸팅부재 및 링크부재를 통해 한정된 공간 내에서 욕조의 배치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욕을 돕는 보조원의 이동 또는 목욕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목욕실 내부에서 욕조의 높이가 가변되거나 틸팅회동에 의해 배치형태가 가변되면서 목욕보조원이 목욕실 내부에서 이동 또는 목욕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실시하도록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가 매우 높으며, 편의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내 욕조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욕조의 가변된 배치형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내 욕조의 설치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목욕실 내부에서 욕조의 배치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조원이 한정된 공간 안에서 이동이나 목욕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하도록 할 수 있는 이동식 목욕차량내 욕조의 설치구조를 개시한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내 욕조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고,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욕조의 가변된 배치형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도 1 내지 7과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베이스프레임(100)과, 승하강부재(200)와, 틸팅부재(300)와, 링크부재(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상기 욕조의 저면을 바라보는 형태로 목욕실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바닥면에 설치되어 욕조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도록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적절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폭방향프레임 사이에 복수개의 길이방향 프레임이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재(200)는 상기 목욕실의 바닥면 및 측벽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욕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부재로서, 상기 목욕실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승하강실린더(210) 및 상기 제1승하강실린더(210)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2승하강실린더(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승하강실린더(210) 및 제2승하강실린더(220)는 각각 로드가 상향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로드는 제1힌지부(211) 및 제2힌지부(221)를 매개로 욕조의 저면에 힌지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제1,2승하강실린더(210,220)의 로드가 동시에 인출되면서 욕조(1)를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 및 6과 같이 두 승하강실린더 중에서 일측의 실린더만 구동하도록 하여 해당 실린더의 로드가 인출되면 후술할 링크부재(400)에 의해 욕조의 일측 단부 또는 타측 단부만 상향 이송되면서 욕조가 경사진 형태로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욕조의 일측 단부 측에 배치되는 제1승하강실린더(210)만 작동되면 상기 제1힌지부(211) 및 제2힌지부(221)를 통해 의해 욕조는 일측 단부가 타측 단부보다 높은 형태로 배치되고, 반대로 제2승하강실린더(220)만 작동되면 도 6과 같이 욕조는 타측 단부가 일측 단부보다 높은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재(200)는 상기 목욕실의 측벽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는 승하강리니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리니어(230)는 목욕실의 측벽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는 LM레일(231)과, 상기 LM레일에 치합되어 LM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LM블럭(2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LM레일(231)은 한 쌍으로 마련되되 목욕실의 측벽에 각각 제1승하강실린더 및 제2승하강실린더와 대응되게 위치되며, 상기 LM블럭(232)은 각 LM레일(231)에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리니어(230)는 상기 LM레일(231)에 치합된 LM블럭(232)과 결합되는 승하강프레임(233) 및 상기 승하강프레임과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욕조의 하부에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서브프레임(23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승하강프레임(233)은 상기 제1승하강실린더와 대응되는 제1승하강프레임 및 제2승하강실린더와 대응되는 제2승하강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프레임(234)은 제1승하강프레임과 대응되는 제1서브프레임 및 제2승하강프레임과 대응되는 제2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제1서브프레임 및 제2서브프레임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힌지축(110) 및 제2힌지축(미도시)이 형성되며, 각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1힌지축(110) 및 제2힌지축과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링크(410) 및 제2힌지링크(420)와 결합된다.
상기 제1,2승하강실린더(210,220)에 의해 욕조가 상하로 회동되면 상기 서브프레임(234)과 따라 승하강프레임(233)이 상하로 이동되는데, 이때 승하강프레임(233)이 LM레일(231) 및 LM블럭(232)의 안내를 받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상하로 이동하게 되므로, 욕조의 하중에 의한 흔들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제1,2승하강실린더(210,220)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욕조를 틸팅회동시키는 틸팅부재(30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승하강부재(200), 틸팅부재(300)와 힌지결합되어 욕조의 상하이동 또는 틸팅회동시 욕조의 원활한 회동을 가이드하는 링크부재(400)와; 상기 승하강부재(200)와 틸팅부재(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부재(300)는 욕조의 하부에서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틸팅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틸팅실린더는 로드 측이 높고 타측이 낮은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실린더의 몸체는 링크부재(400)의 제3힌지링크(430)를 매개로 베이스프레임와 결합되고, 실린더의 로드는 제3힌지부(301)를 매개로 베이스프레임에 힌지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틸팅실린더는 제1승하강실린더와 제2승하강실린더의 사이에 위치되어 욕조의 중앙부와 대응되게 위치함으로써, 로드 인출시 그 힘이 욕조에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틸팅실린더의 로드가 인출되면 제3힌지링크(430) 및 제3힌지부(301)를 통해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 모서리를 피벗축으로 하여 욕조를 틸팅회동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욕조를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시키거나 수평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하강부재 및 틸팅부재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제1,2승하강실린더(210,220)를 제어하여 욕조의 상승높이를 제어할 수 있고, 또는 상기 틸팅실린더를 제어하여 욕조가 기울어지는 각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유,무선 컨트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한정된 공간 내에서 욕조의 배치형태를 가변시켜 목욕을 돕는 보조원이 목욕실 내에서 이동하거나 목욕대상자의 목욕을 도울 때 보다 원활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경, 변환, 치환 및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1 :욕조
100 : 베이스프레임
110 : 제1힌지축
200 : 승하강부재
210 : 제1승하강실린더 211 : 제1힌지부
220 : 제2승하강실린더 221 : 제2힌지부
230 : 승하강리니어
231 : LM레일
232 : LM블럭
233 : 승하강프레임
234 : 서브프레임
300 : 틸팅부재
301 : 제3힌지부
400 : 링크부재
410 : 제1힌지링크
420 : 제2힌지링크
430 : 제3힌지링크

Claims (1)

  1. 이동식 목욕차량내 욕조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목욕실의 바닥면에 상기 욕조의 저면을 바라보는 형태로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목욕실의 바닥면 및 측벽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욕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부재(200)와;
    상기 욕조를 틸팅회동시키는 틸팅부재(30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승하강부재(200), 틸팅부재(300)와 힌지결합되어 욕조의 상하이동 또는 틸팅회동시 욕조의 원활한 회동을 가이드하는 링크부재(400)와;
    상기 승하강부재 및 틸팅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부재와, 틸팅부재 및 링크부재를 통해 한정된 공간 내에서 욕조의 배치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욕을 돕는 보조원의 이동 또는 목욕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목욕차량내 욕조의 설치구조.
KR1020220164129A 2022-11-30 이동식 목욕차량내 욕조의 설치구조 KR20240080616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0616A true KR20240080616A (ko) 2024-06-0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2804B2 (en) Patient movemen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6006377A (en) Patient carrying device
JP2009036000A (ja) 駐車塔のターンテーブル
JP2000350750A (ja) 介護用の天井走行リフト装置
KR20240080616A (ko) 이동식 목욕차량내 욕조의 설치구조
KR20200142267A (ko)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
JP2007022751A (ja) エレベータ連絡階段における着座手段の移動装置
JP2009082568A (ja) 障害者用車両の補助椅子
JP4186067B2 (ja) ターンレールの構造
JPH11199186A (ja) 階段段差解消装置
JPH019561Y2 (ko)
CN110876665A (zh) 电动移位机
JP3450832B2 (ja) 階段昇降装置
JPH0650479Y2 (ja) テーブルリフター
JP2768395B2 (ja) 立体駐車場
RU198578U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подъемник для лиц с ограниченны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JP2003070668A (ja) 浴室構造
JP3069241B2 (ja) リフト式入浴装置
JP2000201989A (ja) 浴室ユニット
JP3442537B2 (ja) ゲート式入浴リフター
JP2006281816A (ja) 昇降装置
JP2001206680A (ja) リフト装置
KR20180016706A (ko) 엘리베이터 방향 전환장치
JPH078356A (ja) アルミニウム製構造柱に組み付けられる昇降式ベッド装置及び昇降式収納装置
JPH10328263A (ja) 風呂用リフト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