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8267A -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8267A
KR20240068267A KR1020220149481A KR20220149481A KR20240068267A KR 20240068267 A KR20240068267 A KR 20240068267A KR 1020220149481 A KR1020220149481 A KR 1020220149481A KR 20220149481 A KR20220149481 A KR 20220149481A KR 20240068267 A KR20240068267 A KR 20240068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ample
fat diet
cudrania
f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
박세은
최준희
김명곤
Original Assignee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40068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826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꾸지뽕 나무 가지를 발효시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비만, 고혈압, 고혈당, 고중성지방 및 낮은 고비중지단백-콜레스테롤을 개선시킬 수 있는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 comprising fermented product of Cudrania tricuspidate branch and a health-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꾸지뽕 나무 가지를 발효시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비만, 고혈압, 고혈당, 고중성지방 및 낮은 고비중지단백-콜레스테롤을 개선시킬 수 있는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e)는 뽕나무과 낙엽 교목이다. 동의보감에서는 강장, 자양, 숙취해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줄기는 부인병, 잎은 습진, 폐결핵, 타박상, 관절염, 열매는 청열과 양혈 치료에 사용되었다. 꾸지뽕나무 줄기는 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하며 항산화, 항균, 항암, 항당뇨, 간보호 등 다양한 효능이 보고되었다.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특히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강장, 이뇨, 해독, 항균, 면역, 진해, 진통, 혈압 강하 등 다양한 치료 용도로 사용되었다. 영지버섯의 자실체와 균사체는 항염, 항당뇨, 면역조절, 항암, 항종양, 고혈압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었다.
대사질환(metabolic disease)이란 만성적인 대사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비만,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관상 또는 동맥경화증, 비알코올성지방간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질환이 동시에 발생하는 질환을 일컫는 것으로서 1988년 Reaven에 의해 처음으로 규명되었다. 대사질환은 인슐린저항성,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대부분 과체중이나 비만을 동반하고 있다. 대사질환의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당뇨병성 망막병증,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족부병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고지혈증, 심혈관질환(뇌졸중, 협심증, 심근경색증, 말초혈관질환) 등과 같은 만성 합병증의 발생이며, 이러한 만성 합병증은 대부분 일단 발생된 이후에는 비가역적인 진행과정을 밟게 되며, 아직까지는 이러한 과정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적절한 치료가 병행되지 않을 경우, 심각한 증상을 초래하여 환자를 죽음에까지 이르게 한다. 그리고 아직까지는 이러한 복합적 증상을 갖는 대사질환의 치료를 위해서 혈당강하제, 혈압강하제, 콜레스테롤 치료제 등을 각각 개별적으로 복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복합적 증상을 가지는 대사질환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치료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증상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신규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대사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가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가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며, 중성지방 생성, 콜레스테롤 생성, 랩틴(laptin) 생성을 감소시키고, 아디포넥틴(adiponectin)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체증중가 억제율, 식이효율 억제율, 간 지방축적 억제 및 부정소 지방축적 억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가지 발효물은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가지를 가노더마(Ganoderma)속 균주로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가노더마(Ganoderma)속 균주로 발효시킨 꾸지뽕 열매 퓨레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노더마속 균주는 G. alba, G. annularis, G. atrum, G. aurea, G. australe, G. amboinense, G. applanatum, G. boninense, G. brownie, G. colossus, G. cupreum, G. curtisii, G. formosanum, G. incrassatum, G. lobatum, G. lingzhi, G. lucidum, G. megaloma, G. meredithiae, G. miniatocinctum, G. multipileum, G. neo-japonicum, G. nigrolucidum, G. orbiforme, G. oregonense, G. purpurea, G. pfeifferi, G. philippii, G. pseudoferreum, G. resinaceum, G. rubra, G. sessile, G. sichuanense, G. sinense, G. steyaertanum, G. tornatum, G. tsugae, G. viridis, G. weberianum, G. zonatum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노더마속 균주는 영지버섯(G. lucidum KACC 42231) 균주를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나, 시중에서 영지버섯으로 유통되는 균주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영지버섯은 일반적으로 G. lucidum를 지칭하지만, 전통 의학 분야에서는 G. lingzhi, G. multipileum, G. sichuanense, 및 G. sinense 또한 영지버섯으로 지칭되고 있으므로 이들 균주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꾸지뽕나무 가지는 나무껍질을 포함한 잔가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가지 발효물은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가지를 가노더마속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물을 용매에 침지시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가지 발효물 및 가노더마(Ganoderma)속 균주로 발효시킨 꾸지뽕 열매 퓨레의 혼합물을 용매에 침지시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꾸지뽕 열매 퓨레는 꾸지뽕 열매에 물을 가하고 분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꾸지뽕 열매에 상온(25 ℃) 내지 90℃의 온수를 가하고 분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발효물은 발효된 산물, 발효 후 여과한 여과물, 발효물을 용매로 추출한 발효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발효는 가노더마속 균주를 꾸지뽕나무 가지의 중량 대비 1 중량% 내지 10 중량%, 1 중량% 내지 8 중량%, 1 중량% 내지 6 중량%, 1 중량% 내지 5 중량%, 2 중량% 내지 10 중량%, 2 중량% 내지 8 중량%, 2 중량% 내지 6 중량%, 2 중량% 내지 5 중량%, 3 중량% 내지 10 중량%, 3 중량% 내지 8 중량%, 3 중량% 내지 6 중량%, 3 중량% 내지 5 중량%, 4 중량% 내지 10 중량%, 4 중량% 내지 8 중량%, 4 중량% 내지 6 중량%, 4 중량% 내지 5 중량%, 또는 5 중량%로 접종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발효는 15 ℃ 내지 35 ℃, 20 ℃ 내지 30 ℃ 또는 상온에서 진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발효는 1일 내지 14일, 1일 내지 10일, 1일 내지 8일, 1일 내지 7일, 2일 내지 14일, 2일 내지 10일, 2일 내지 8일, 2일 내지 7일, 3일 내지 14일, 3일 내지 10일, 3일 내지 8일, 3일 내지 7일, 4일 내지 14일, 4일 내지 10일, 4일 내지 8일, 4일 내지 7일, 5일 내지 14일, 5일 내지 10일, 5일 내지 8일, 5일 내지 7일, 6일 내지 14일, 6일 내지 10일, 6일 내지 8일, 6일 내지 7일 또는 7일간 발효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추출은 15 ℃ 내지 35 ℃, 20 ℃ 내지 30 ℃ 또는 상온에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추출은 용매에 1일 내지 14일, 1일 내지 10일, 1일 내지 8일, 1일 내지 7일, 2일 내지 14일, 2일 내지 10일, 2일 내지 8일, 2일 내지 7일, 3일 내지 14일, 3일 내지 10일, 3일 내지 8일, 3일 내지 7일, 4일 내지 14일, 4일 내지 10일, 4일 내지 8일, 4일 내지 7일, 5일 내지 14일, 5일 내지 10일, 5일 내지 8일, 5일 내지 7일, 6일 내지 14일, 6일 내지 10일, 6일 내지 8일, 6일 내지 7일 또는 7일간 침지시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발효 및 추출 과정에서 사용되는 꾸지뽕나무 가지는 1 mm 내지 5 mm, 1 mm 내지 4 mm, 1 mm 내지 3 mm, 2 mm 내지 5 mm, 2 mm 내지 4 mm 또는 2 mm 내지 3 mm 크기로 분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대사질환은 비만,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관상동맥증, 비알코올성지방간, 당뇨병성 망막병증,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족부병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고지혈증, 뇌졸중, 협심증, 심근경색증, 말초혈관질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유효한 양, 또는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한 양은 개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질환 내지 상태의 중증도, 개체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개체의 발효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투여 기간, 상기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다른 조성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생리 내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경구, 경피(transdermal), 점막, 코안 (intranasal), 기관내 (intratracheal)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경로로,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개체로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개체당 일당 0.1 mg 내지 1,000 mg, 예를 들면, 0.1 mg 내지 500 mg, 0.1 mg 내지 100 mg, 0.1 mg 내지 50 mg, 0.1 mg 내지 25 mg, 1 mg 내지 1,000 mg, 1 mg 내지 500 mg, 1 mg 내지 100 mg, 1 mg 내지 50 mg, 1 mg 내지 25 mg, 5mg 내지 1,000 mg, 5 mg 내지 500 mg, 5 mg 내지 100 mg, 5 mg 내지 50 mg, 5 mg 내지 25 mg, 10mg 내지 1,000 mg, 10 mg 내지 500 mg, 10 mg 내지 100 mg, 10 mg 내지 50 mg, 또는 10 mg 내지 25 mg을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투여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투여 횟수는 1일 1회 또는 임상적으로 용인가능한 부작용의 범위 내에서 2회 이상이 가능하고, 투여 부위에 대해서도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에 투여할 수 있으며, 매일 또는 2 내지 5일 간격으로 총 투여 일수는 한번 치료 시 1일에서 30일까지 투여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적정 시기 이후에 동일한 치료를 반복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kg당 인간과 동일한 투여량으로 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적의 동물과 인간과의 기관(심장 등)의 용적비(예를 들면, 평균값) 등으로 상기의 투여량을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상기 대사질환용 건강기능식품은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며, 중성지방 생성, 콜레스테롤 생성, 랩틴(laptin) 생성을 감소시키고, 아디포넥틴(adiponectin)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체증중가 억제율, 식이효율 억제율, 간 지방축적 억제 및 부정소 지방축적 억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캅셀제, 현탁액, 유제, 시럽제, 침제, 액제, 엑스제 등의 일반적인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젤리,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의 임의의 건강식품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건강식품의 제제화를 위해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의 제조에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담체 또는 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서 각종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중의 상기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중량%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음료로서 제조될 경우 100 mL를 기준으로 0.02 g 내지 10 g, 구체적으로 0.3 g 내지 1 g의 비율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음료는 상기 조성물 이외의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음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단당류(예: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예: 말토즈, 수크로즈 등), 다당류(예: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함유될 수 있다. 또한,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예: 사카린, 아스파탐 등)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음료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1 g 내지 20g, 구체적으로 약 5 g 내지 12g으로 함유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의 비율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g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1 g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가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은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며, 중성지방 생성, 콜레스테롤 생성, 랩틴(laptin) 생성을 감소시키고, 아디포넥틴(adiponectin)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체증중가 억제율, 식이효율 억제율, 간 지방축적 억제 및 부정소 지방축적 억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상태에 따른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가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종균 배양 과정,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 추출물 및 꾸지뽕 열매 퓨레를 제조하여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한 시료의 농도에 따른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3T3-L1 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adipogenesis) 동안 지방 축적(lipid accumulation)에 대한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3T3-L1 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adipogenesis) 동안 중성 지방 함량에 대한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3T3-L1 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adipogenesis) 동안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3T3-L1 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adipogenesis) 동안 렙틴 생성(secretion)에 대한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3T3-L1 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adipogenesis) 동안 아디포넥틴 생성(secretion)에 대한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체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체중증가 억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일당 평균식이량(feed intake/day)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일당 식이효율 값(diet efficiency)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간 조직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신장 조직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비장 조직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간 조직의 지질 및 지방을 Oil-Red O로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6은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지방간 축적 억제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부정소 지방 무게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혈청 내 총 단백질 농도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은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혈청 내 혈당 농도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혈청 내 인슐린 농도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방법>
1. 시료 및 균주
꾸지뽕나무 가지는 김제에서 직접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실온에서 보관한 것을 사용하였다. 영지버섯(G. lucidum KACC 42231) 균주는 농촌진흥청 한국 농업미생물자원센터(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2.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 추출물 제조
도 1은 일 실시상태에 따른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가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1을 참고하여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맥아배지(malt extract broth; Kisan biotech, Seoul, Korea)에서 25 ℃로 1 주일간 배양한 영지버섯 균주를 꾸지뽕나무 줄기에 접종하고 25 ℃에서 20 일간 배양하여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를 위한 영지버섯 종균으로 사용하였다.
건조된 꾸지뽕나무 가지, 즉 꾸지뽕나무 잔가지를 파쇄기로 2 mm 내지 3 mm의 크기로 분쇄하여 톱밥을 준비하였다. 냉동 꾸지뽕 열매 1 kg에 3 리터의 온수(90 ℃)를 가하고 믹서기로 균질화시켜 꾸지뽕 열매 퓨레를 준비하였다. 상기 꾸지뽕나무 가지 톱밥과 상기 꾸지뽕 열매 퓨레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의 수분함량을 약 65 중량%로 조정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용기에 넣어 121 ℃에서 45 분간 살균(sterilization)하였다. 상기 살균된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영지버섯 종균을 5 중량% 정도로 접종하고 25 ℃에서 1 주일간 발효시킨 후에 동결건조하였다.
이후 상기 발효된 꾸지뽕나무 가지 톱밥 및 미발효된 꾸지뽕나무 가지 톱밥 각각 100 g에 에탄올 수용액(농도: 70 중량%) 300 ml을 가하고 상온에서 1 주일간 침지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필터 페이퍼(filter paper, Advantec, Tokyo, Japan)로 여과하고 회전 감압농축기 (Tokyo Rikakikai, Tokyo, Japan)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 (Ilshin Lab, Dongducheon, Korea)시켜 분말화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말은 -20 ℃에 보관하며 실험에 시료로 사용하였다.
3. 지방세포 3T3-L1 세포주의 배양 및 3T3-L1 세포의 분화유도
3T3-L1 세포는 37 ℃ 및 5% CO2 조건에서 90% DMEM (Du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배지에 10% BS (bovine serum, Gibco)를 첨가하여 배양하고, 세포밀도가 60% 내지 70% 성장하였을 때 Trypsin-EDTA(gibco)를 처리하여 계대배양을 하였다.
3T3-L1 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하여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1×105 cells/well로 분주하고, 80% 내지 90%의 포화 상태가 되었을 때 1 μM 덱사메타손(DEX, dexamethasone, Sigmal Aldrich), 0.5 mM IBMX(Sigmal Aldrich), 5㎍/㎖ 인슐린(Sigmal Aldrich) 및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GIBCO)이 함유된 DMEM 배지로 분화를 유도하였다. 2일 후에 인슐린(5㎍/㎖, Sigmal Aldrich, 미국) 및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로 교환하고, 이후부터 2일에 한 번씩 10% FBS를 포함한 DMEM 배지로 보충하여 분화된 세포를 유지시켰으며, 4일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4. 세포 독성 측정
시료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3-(4,5-디메틸씨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브로마이드(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세포를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여 배양하고, 상기 세포에 상기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각 웰 플레이트에 MTT 용액(5 mg/ml) 10 ㎕와 배지 90 ㎕를 처리하고 Formazan 생성을 위해 37 ℃에서 4 시간 동안 배양하여 MTT를 환원시켰다. 배지를 제거하고 생성된 formazan을 DMSO 100 ㎕에 녹이고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독성을 분석하였다.
5. 3T3-L1 세포 내 지방 확인-오일 레드 오(Oil red O) 염색
3T3-L1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상기 추출액을 처리하여 8 일간 분화유도를 끝낸 후 PBS로 세척하였다. 그후 10 중량% 농도의 포르말린 용액으로 30 분간 고정시킨 후 증류수로 1회 세척한 뒤 완전히 건조시키고, 0.3% Oil Red O 용액(Sigma aldrich, 미국)으로 1분 동안 상온에서 염색시킨 후, 60 중량% 농도의 이스프로판올(Merck)를 이용하여 1회 세척하고 현미경으로 지방 축척 정도를 관찰하였다.
6. 중성지방(triglyceride) 및 콜레스테롤 함량 측정
중성지방(triglyceride) 및 콜레스테롤 함량은 Assay kit에 지시되어 있는 정량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화된 3T3-L1 세포에 상기 추출액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PBS로 2회 세척하고 시약을 첨가하여 추가로 상온에서 처리한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control 값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였다.
7. 렙틴(leptin) 및 아디포넥틴(adiponectin) 함량 측정
렙틴(leptin) 및 아디포넥틴(adiponectin) 함량은 ELISA에 지시되어 있는 정량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상기 분화된 3T3-L1 세포에 상기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PBS로 2회 세척하고 시약을 첨가하여 추가로 상온에서 처리한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Standard의 흡광도로부터 표준곡선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흡광도로부터 렙틴(leptin) 및 아디포넥틴(adiponectin) 농도를 정량하였다.
8. 실험동물 사육 및 식이조성
실험을 위하여 8 주령된 ICR계 수컷 흰쥐 50 마리 내지 60 마리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식이가 시작되기 전 1 주일간은 고형배합사료로 적응시킨 후, 체중을 고려하여 10 마리씩 5 군 내지 6 군으로 임의 배치한 다음, 적정환경(온도 20±2 ℃, 명암은 12 시간 주기)에서 50 일간 사육하며, 체중 및 식이량을 매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식이는 일반 식이군(Control group),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Model group),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Model group +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 시료 1000 mg/kg/day),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Model group + 지질강하 치료제(fenofibrate) 200 mg/kg/day)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상기 모든 실험식이와 음용수는 자유 섭취방법으로 급여하였다.
9. 혈액채취 및 혈청 검사
마우스의 혈청 내 생화학적 분석을 하기 위해 24 시간 절식 후 흰쥐를 에틸에테르로 마취한 후 심장 채혈하여 얻은 혈액을 상온에서 20 분간 방치한 뒤 8,000 rpm에서 20 분간 원심분리 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혈청은 사용 시까지 -70 ℃에서 보관하였다.
생화학적 분석은 Vitros 250 chemistry system (Ortho Clinical Diagnostics)을 이용하여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총 단백질(total protein) 및 혈당(glucose)을 측정하여 체지방 감소 효과를 분석하였다. 혈장 인슐린(Serum insulin)은 ELIS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0. 조직 분석
혈액 채혈 후 실험동물로부터 간, 신장, 비장, 부정소 지방의 조직을 추출하여 PBS로 씻어내고 사용 시까지 -70 ℃에서 보관하였다. 실험 식이가 종료된 후 지방은 추출 후 무게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간 조직의 분석은 지방의 일부를 절취하여 생리식염수로 세척 후 3.75%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를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상기 고정 후 생리식염수로 세척 후 농도 별 에탄올을 이용하여 탈수 과정을 진행하였으며, 이 후 Tissue-Tek(Sakura prohosp)을 이용하여 block을 만들어 15 μm 내지 30 μm 두께로 microm (HM 325, Theromo Scientific, Florida,FL,USA)을 이용하여 박절하였다. 간 조직의 지방을 관찰하기 위해 Oil Red O을 이용해 10 분간 염색을 하여 100 배율 광학 현미경 (Olympus CX-31, Japen)으로 관찰하였으며, 지방의 분포 정도는 Image J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11. 통계 처리
모든 실험은 3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통계적 분석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실시예 1: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한 시료의 세포독성 평가>
지방전구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0 ㎍/㎖, 100 ㎍/㎖, 300 ㎍/㎖, 500 ㎍/㎖, 700 ㎍/㎖ 및 1000 ㎍/㎖의 농도인 시료로 3T3-L1 지방전구세포에 48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도 2는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한 시료의 농도에 따른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세포 생존율은 MTT assay로 측정되었다.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각각의 농도에 따라 세포 생존율은 100 %, 100 %, 105 %, 109 %, 100 % 및 103 %으로 하기의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시료 농도(㎍/㎖) 0 100 300 500 700 1,000
세포 생존률(%) 100 100 105 109 100 103
<실시예 2: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한 시료의 지방구 함량 변화 측정>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의 처리에 의한 3T3-L1 세포의 분화 중 지방구의 생성억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Oil red O 염색을 이용하여, 세포 내 지방구를 확인하였다.
도 3은 3T3-L1 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adipogenesis) 동안 지방 축적(lipid accumulation)에 대한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3을 참고하면, 분화유도인자(MDI, 1 μM 덱사메타손(Dexamethsone) + 0.5 mM IBMX + 1 ㎍/㎖ 인슐린(insulin))를 처리하여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한 군에서는 지방전구세포(분화유도인자를 처리하지 않은 것, Com)에 비해 205 %로 증가하였다. 구체적으로 100 ㎍/㎖, 200 ㎍/㎖ 및 300 ㎍/㎖ 각각의 농도인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 동안 처리한 후 Oil Red O 염색으로 지방 축적을 확인한 결과, 분화유도인자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군(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처리한 군에서 189 %, 169 % 및 118 %로 지방 축적이 감소하였다.
<실시예 3: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한 시료의 중성지방 함량 변화 측정>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한 시료의 처리에 의하여 3T3-L1 세포의 분화 중 중성지방의 생성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4는 3T3-L1 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adipogenesis) 동안 중성 지방 함량에 대한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세포는 8 일간 농도를 달리한 시료로 처리된 후 중성지방 함량을 확인하였다. 상기 도 4를 참고하면, 분화유도인자(MDI, 1 μM 덱사메타손(Dexamethsone) + 0.5 mM IBMX + 1 ㎍/㎖ 인슐린(insulin))의 단독 처리에 의해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한 군(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는 지방전구세포(Con)에 비해 198%로 증가하였다. 100 ㎍/㎖, 200 ㎍/㎖ 및 300 ㎍/㎖ 농도인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분화과정 동안 처리한 후 확인한 결과, 분화유도인자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군(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처리한 군에서 180, 149, 119%로 중성지방 생성이 감소하였다.
<실시예 4: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한 시료의 콜레스테롤 함량 변화 측정>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한 시료의 콜레스테롤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Assay kit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도 5는 3T3-L1 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adipogenesis) 동안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세포는 8 일간 농도를 달리한 시료로 처리된 후 콜레스테롤 함량을 확인하였다.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분화유도인자(MDI, 1 μM 덱사메타손(Dexamethsone) + 0.5 mM IBMX + 1 ㎍/㎖ 인슐린(insulin))의 단독 처리에 의해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한 군(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는 콜레스테롤이 지방전구세포(Con)에 비하여 181 %로 증가하였다. 100 ㎍/㎖, 200 ㎍/㎖ 및 300 ㎍/㎖ 농도인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분화과정 동안 처리한 후 확인한 결과, 분화유도인자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군(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처리한 군에서 162%, 143% 및 113%로 콜레스테롤 생성이 감소하였다.
<실시예 5: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한 시료에 의한 렙틴 및 아디포넥틴 생성 변화 측정>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한 시료 처리에 의해 3T3-L1 세포의 분화 중 렙틴(leptin) 생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ELISA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도 6은 3T3-L1 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adipogenesis) 동안 렙틴 생성(secretion)에 대한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세포는 8 일간 농도를 달리한 시료로 처리된 후 콜레스테롤 함량을 확인하였다. 상기 도 6을 참고하면, 분화유도인자(MDI, 1 μM 덱사메타손(Dexamethsone) + 0.5 mM IBMX + 1 ㎍/㎖ 인슐린(insulin))의 단독 처리에 의해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한 군(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는 지방전구세포(Con)에 비하여 렙틴이 158 pg/㎖로 증가하였다. 100 ㎍/㎖, 200 ㎍/㎖ 및 300 ㎍/㎖ 농도인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분화과정 동안 처리한 후 확인한 결과, 분화유도인자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군(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처리한 군에서 129 pg/㎖, 94 pg/㎖ 및 54 pg/㎖로 렙틴(leptin) 생성이 감소하였다.
한편,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한 시료 처리에 의해 3T3-L1 세포의 분화 중 아디포넥틴(adiponectin) 생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ELISA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도 7은 3T3-L1 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adipogenesis) 동안 아디포넥틴 생성(secretion)에 대한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세포는 8 일간 농도를 달리한 시료로 처리된 후 콜레스테롤 함량을 확인하였다. 상기 도 7을 참고하면, 분화유도인자(MDI, 1 μM 덱사메타손(Dexamethsone) + 0.5 mM IBMX + 1 ㎍/㎖ 인슐린(insulin))의 단독 처리에 의해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한 군(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는 지방전구세포(Con)에 비하여 아디포넥틴이 26 pg/㎖로 증가하였다. 100 ㎍/㎖, 200 ㎍/㎖ 및 300 ㎍/㎖ 농도인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분화과정 동안 처리한 후 확인한 결과, 분화유도인자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군(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처리한 군에서 30 pg/㎖, 59 pg/㎖ 및 76 pg/㎖로 아디포넥틴(adiponectin )생성이 증가하였다.
<실시예 6: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한 시료에 의한 평균체중, 체중 증가 억제율, 식이량 및 식이효율 분석>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한 시료의 비만 억제 효능을 분석하기 위해 비만모델은 60 % 고지방 식이를 50 일 동안 유지하여 비만을 유도시켰고,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한 시료로 하여 매일 1000 mg/kg/day의 농도로 고지방 식이 21 일째부터 30 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비교분석을 위해 지질강하 치료제(fenofibrate)(200 mg/kg/day)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50 일 동안 평균체중에 대한 결과는 식이 마지막 날의 평균체중과 체중증가 억제율로 분석하였다. 도 8은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체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8을 참고하면, 식이 종료 후 일반 식이만 섭취한 일반 식이군(Control group)에서는 평균체중이 46.33 ± 1.53 g, 고지방 식이만 섭취한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Model group)은 61.33 ± 8.96 g, 고지방 식이와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투여한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Model + sub-branches sample group, Model group +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 시료 1000 mg/kg/day)은 53.25 ± 1.39 g, 고지방 식이와 지질강하 치료제를 투여한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Model + fenofibrate group, Model group + 지질강하 치료제(fenofibrate) 200 mg/kg/day)은 52.67 ± 1.15 g으로 확인되었다.
체중증가 억제율은 각 그룹의 체중증가량을 이용하여 각 그룹의 억제율을 분석하였다. 도 9는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체중증가 억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에서 53.9%,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서 57.7%의 체중증가 억제율이 확인되었다.
도 10은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일당 평균식이량(feed intake/day)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10을 참고하면, 일당 평균식이량 결과는 일반 식이군(Control group)에서 5.08 ± 0.25 g,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Model group)에서 4.985 g,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Model + sub-branches sample group)에서 4.93 g,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Model + fenofibrate group)에서 5.45 g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도 11은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일당 식이효율 값(diet efficiency)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일당 평균식이량을 통해 도출된 식이효율 값은 일반 식이군(Control group)에서 0.045,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Model group)에서 0.106,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Model + sub-branches sample group)에서 0.074,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Model + fenofibrate group)에서 0.065로 확인되었다.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은 일반 식이군에 비하여 고지방 식이로 인해 식이효율이 두 배 이상 크게 증가되었지만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에서는 51.9%,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서 66.9%의 식이효율 억제율 결과를 보였다.
<실시예 7: 간, 신장 및 비장 조직 무게 분석>
고지방 식이를 종료한 후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의 조직(간, 신장 및 비장)들을 추출하여 처리 후 무게 변화를 분석하였다.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 각각을 분석을 하기 위해 24 시간 절식 후 에틸에테르로 마취한 후 조직을 채취였으며, 상기 조직을 사용 시까지 -70 ℃에서 보관하였다. 이후 10 중량% 농도의 포르말린으로 처리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도 12는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간 조직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12를 참고하면, 간 조직의 무게는 일반 식이군에서 2.43 ± 0.12 g,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에서 3.40 ± 0.86 g,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에서 2.32 ± 0.53 g,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서 2.10 ± 0.01 g으로 분석되었다.
도 13은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신장 조직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13를 참고하면, 신장 조직의 무게는 일반 식이군에서 0.44 ± 0.02 g,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에서 0.49 ± 0.06 g,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에서 0.45 ± 0.02 g,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서 0.40 ± 0.04 g으로 분석되었다.
도 14는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비장 조직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14를 참고하면, 비장 조직의 무게는 일반 식이군에서 0.123 ± 0.006 g,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에서 0.143 ± 0.032 g,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에서 0.129 ± 0.017 g,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서 0.10 ± 0.017 g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지방 식이가 간, 신장 및 비장의 무게 및 크기를 증가시켰고, 특히 이러한 고지방 식이 비만모델에서 간의 비대증이 관찰되었다. 간의 무게는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섭취한 그룹인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에서 111.3%, 지질강하 치료제를 섭취한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서 134.0%의 조직 무게 증가 억제율 결과를 보였다. 신장의 무게는 고지방 식이만 섭취한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Model group)과 비교하였을 때 모든 그룹의 신장 무게에서 일반 식이만 섭취한 일반 식이군(Control group)의 수준으로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비장의 무게는 고지방 식이만 섭취한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Model group) 과 비교하였을 때 지질강하 치료제를 섭취한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서 강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고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섭취한 그룹인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에서 다소 감소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8: 간 지방축적 억제 및 부정소 지방축적 억제 분석>
식이종료 후 각 그룹의 간 조직 및 부정소 지방을 추출하여 간 내 지방 및 체지방 축적 정도를 분석하였다. 도 15는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간 조직의 지질 및 지방을 Oil-Red O로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상기 도 15을 참고하면, 각 그룹의 간 조직의 지질, 지방 등을 Oil-Red O로 염색하여 관찰 및 밀도를 분석하였다.
도 16은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지방간 축적 억제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16을 참고하면, 일반 식이만 먹인 일반 식이군(Control group)의 지방 밀도를 100%로 하였을 때 고지방 식이만 먹인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Model group)에서는 133.8 ± 3.6%,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Model + sub-branches sample group)에서는 115.4 ± 4.4%,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Model + Fenofibrate group)에서는 127.0 ± 3.5%로 확인되었다. 간 내 지방축적 억제율은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에서 54.4%,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서 20.1%의 결과를 보였다.
한편, 도 17은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부정소 지방 무게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17을 참고하면, 부정소 지방의 무게 분석에서는 고지방 식이만 섭취한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Model group)에서 지방조직의 무게가 3.2배 증가한 형태를 확인할 수 있고, 지방의 무게는 일반 식이군(Control group)에서 0.61 ± 0.10 g,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Model group)에서 1.98 ± 0.30 g,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Model + sub-branches sample group)에서 1.35 ± 0.17 g,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Model + fenofibrate group)에서 1.56 ± 0.18 g으로 확인되었다. 지방조직 성장 및 축적 억제 효능은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에서 46.0%,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서 30.7%의 결과를 보였다.
<실시예 9: 총 콜레스테롤, 총 단백질, 혈당, 인슐린 변화 분석>
식이종료 후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혈청을 분리하여 생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각의 혈청으로부터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총 단백질 (Total protein), 혈당 (serum glucose) 및 인슐린 (insulin)의 결과를 확인하여 생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 18은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18을 참고하면, 각 그룹의 총 콜레스테롤 (TC) 수치는 일반 식이군(Control group)에서 100.0 ± 9.2 mg/dL,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Model group)에서 155.0 ± 26.3 mg/dL,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Model + sub-branches sample group)에서 140.6 ± 12.8 mg/dL,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Model + fenofibrate group)에서 95.3 ± 5.0 mg/dL으로 확인되었다.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 농도증가 감소율 효능은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Model + sub-branches sample group)에서 26.2%,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Model + fenofibrate group)에서 108.5%의 결과를 보였다.
도 19는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혈청 내 총 단백질 농도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19를 참고하면, 혈청 내 총 단백질 농도는 일반 식이군(Control group)에서 5.30 ± 0.60 mg/dL,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Model group)에서 5.33 ± 0.40 mg/dL,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Model + sub-branches sample group)에서 5.26 ± 0.51 mg/dL,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Model + fenofibrate group)에서 5.20 ± 0.44 mg/dL으로 확인되었다. 혈청 내 총 단백질 농도는 모든 그룹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도 20은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혈청 내 혈당 농도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20을 참고하면, 혈청 내 혈당 농도는 일반 식이군(Control group)에서 215.33 ± 27.32 mg/dL,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Model group)에서 238.67 ± 23.39 mg/dL,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Model + sub-branches sample group)에서 216.1 ± 20.83 mg/dL,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Model + fenofibrate group)에서 190.33 ± 19.48 mg/dL으로 측정되었다. 혈청 내 혈당 농도증가 감소율 효능은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Model + sub-branches sample group)에서 96.7%,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Model + fenofibrate group)에서 207.1%의 결과를 보였다.
도 21은 일반 식이군,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 및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에 의한 비만 유도된 쥐의 혈청 내 인슐린 농도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21을 참고하면, 혈청 내 인슐린 농도는 일반 식이군(Control group)에서 0.043 ± 0.015 ng/mL, 고지방 식이한 대조군(Model group)에서 0.191 ± 0.064 ng/mL,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Model + sub-branches sample group)에서 0.055 ± 0.009 ng/mL,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Model + fenofibrate group)에서 0.037 ± 0.010 ng/mL으로 측정되었다. 혈청 내 인슐린 농도증가 감소율 효능은 고지방 식이 + 시료 1 실험군(Model + sub-branches sample group)에서 91.9%, 고지방 식이 + 시료 2 실험군(Model + fenofibrate group)에서 104.1%의 결과를 보였다.

Claims (6)

  1.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가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가지 발효물은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가지를 가노더마(Ganoderma)속 균주로 발효시킨 것인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가노더마(Ganoderma)속 균주로 발효시킨 꾸지뽕 열매 퓨레를 더 포함하는 것인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노더마속 균주는 G. alba, G. annularis, G. atrum, G. aurea, G. australe, G. amboinense, G. applanatum, G. boninense, G. brownie, G. colossus, G. cupreum, G. curtisii, G. formosanum, G. incrassatum, G. lobatum, G. lingzhi, G. lucidum, G. megaloma, G. meredithiae, G. miniatocinctum, G. multipileum, G. neo-japonicum, G. nigrolucidum, G. orbiforme, G. oregonense, G. purpurea, G. pfeifferi, G. philippii, G. pseudoferreum, G. resinaceum, G. rubra, G. sessile, G. sichuanense, G. sinense, G. steyaertanum, G. tornatum, G. tsugae, G. viridis, G. weberianum, G. zonatum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인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사질환은 비만,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관상동맥증, 비알코올성지방간, 당뇨병성 망막병증,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족부병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고지혈증, 뇌졸중, 협심증, 심근경색증, 말초혈관질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청구항 1의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용 건강기능식품.
KR1020220149481A 2022-11-10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20240068267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8267A true KR20240068267A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0193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s of lindera obtusiloba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KR102478724B1 (ko) 감귤 발효 콤부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심혈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2112599B1 (ko) 석류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50046B1 (ko) 항비만 효능을 갖는 복합 생약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28167B1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64519A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68267A (ko) 꾸지뽕나무 가지 발효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1808808B1 (ko) 벌나무 및 후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44189B1 (ko) 발효 또는 미발효된 금은화 및 진피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120733A (ko)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2형 당뇨 또는 이상지질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81347B1 (ko)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11210B1 (ko)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 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824217B1 (ko) 모로오렌지주스 및 와일드망고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10006806A (ko) 표고버섯 및 미역귀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용 조성물
KR20170106103A (ko) 돌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200083712A (ko) 복분자, 대두 및 산초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596006B1 (ko)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2002B1 (ko) 동충하초균사체로 고상발효된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41338B1 (ko) 편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007787A (ko) 꾸지뽕 발효식초를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