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4519A -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4519A
KR20100064519A KR1020080122998A KR20080122998A KR20100064519A KR 20100064519 A KR20100064519 A KR 20100064519A KR 1020080122998 A KR1020080122998 A KR 1020080122998A KR 20080122998 A KR20080122998 A KR 20080122998A KR 20100064519 A KR20100064519 A KR 20100064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ut
extract
delaying
prevent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8403B1 (ko
Inventor
전효곤
주준영
권선화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2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4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64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잎(soybean leave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gout) 예방, 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되는 콩잎 추출물은 혈중 뇨산의 저하 효능을 가짐으로써 통풍의 예방, 지연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콩잎 추출물, 고뇨산혈증, 통풍.

Description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soybean leaves for the prevention,delay or treatment of gout}
본 발명은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풍(Gout)이란 사람에게서만 발견되는 다양한 질병군을 나타내는 용어로 조직 및 혈중요산의 농도의 증가에 의해 야기되는 관절계 질병이다. 통풍환자에게서는 혈청 요산 농도의 증가(hyperuricemia), 급성 관절염 재발 증상, 활액 백혈구(synovial fluid leukocyte) 내의 모노소디움 요산염 결정(monosodium urate crystal)의 존재, 관절 안과 그 주위의 모노소디움 요산염 결정 덩어리의 침착 및 이로 인한 관절의 기형과 불구를 유발하고 신장질환을 동반하는 증상들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서로 다른 조합으로 나타날 수 있다. 통풍은 '질병의 왕' 및 '왕들의 질병'이라 불리고 있고 나이가 들수록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며, 엄지발가락 부위 요 산 결정에 의하여 발생된 염증성 반응에 의하여 굉장한 통증을 수반하는 질환이다.
통풍이 우리 인체에 찾아오는 증상은 처음에는 자각증상이 없다가 점차 진행되면 인체조직의 변성이 일어나면서 심한 자각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제일 먼저 평상시에 아침에 일어날 때, 얼굴이나 손발에 약간 부종을 느끼고, 피로하고, 묽은 변을 자주 보는 증상을 보이고, 발병 1단계로서 야간에 수족의 관절이 심한 통증을 느껴 잠자리를 깨는 증상이 나타나며, 발병 2단계로서 통증이 계속 되면서 일어서지도 걷지도 못하게 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이러한 증상은 1주일을 지나면 나았다가 다시 재발이 되풀이 된다. 그리고, 합병증 단계로서 요산결석증이나 당뇨병, 비만증, 고혈압증, 동맥경화증 또는 요독증이 나타난다(김용서, 통풍이란, 한방과 건강, 151-154, 2001).
통풍의 원인이 되는 고요산증(Hyperuricemia)이란 혈액에 요산의 농도가 증가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혈청에서 모노소디움 요산염의 농도가 제한된 용해도의 한계를 넘을 때 발생한다. 37℃에서 혈장의 요산 포화도는 약 7 mg/dl이다. 그러므로 이 농도를 넘으면 물리화학적으로 과포화 상태가 된다. 혈청 요산 농도는 정상인의 평균 혈청 요산 농도보다 +2 SD를 초과한 경우에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역학 조사에서 남자의 상위 한계는 7.0 mg/dl, 여자는 6.0 mg/dl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고요산혈증이 실질적인 상위 한계수준은 7.0 mg/dl 이상인 경우로 정의되고 있다.
지금까지 통풍 치료제로는 알로퓨리놀(allopurinol)이라는 약물이 치료제로서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많은 부작용을 갖고 있으므로,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천연물 유래 통풍 치료제로서 버섯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59467), 자색고구마로부터 분리한 자색색소(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59468), 부추 추출물(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27105), 장생홍도라지 추출물(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62206), 정제 어유, 녹차 추출물, 서양산사자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산조인 추출물 및 은행잎 추출물의 혼합물(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92470), 및 개다래 추출물(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80640)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콩은 콩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서, 민간에서는 콩으로 탕을 만들어 어류에 의한 식중독을 치료하고 중풍에 의한 실음의 응급처방에 콩즙을 먹였으며, 또한 이러한 증세가 있는 사람은 콩 삶은 물을 계속해서 마시게 하면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한방에서는 종자를 대두 또는 흑대두라 하여 활혈, 이수, 거풍, 해독, 이뇨, 복종, 사하, 황달 및 강장 등의 효능이 있고, 검정콩을 발아 후 볕에 말린 것을 대두황권이라 하여 청열표사, 통락, 제독, 소변불리 및 설사 등에 이용하였으며, 검정콩을 증숙하고 발효시켜 얻은 발효대두를 항시 또는 담수시라 하여 해열, 발한, 건위, 지번, 자양 및 한열왕래 등의 효능에 이용하였다(동의학연구소, 1994, 동의보감, 여강출판사, 356).
콩은 단백질과 지질의 함량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생리적 조절 작용에 관여하는 생리활성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우리의 식생활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Kwon TW, Korea soybean Digest 17(1):1-4, 2000). 콩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 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콩의 섭취가 높은 지역에서 관상 심질환 및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암의 발생률이 낮고 골다공증, 당뇨병, 항 콜레스테롤증 및 동맥경화 억제 등의 성인병 예방에도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Messina MMV, J Ren Nutr 10(2):63-68, 2000; Barnes S et al., Korea Soybean Digest 15(2):81-93, 1998). 이와 같이 콩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콩잎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콩잎은 대두엽 또는 곽이라 하여 혈림, 사교상을 치료하며 어린잎으로 나물을 만들어 먹고, 쌈, 김치 및 장아찌 등의 식용으로 이용한다. 특히 콩잎은 콩잎 짱아찌와 콩잎 김치의 형태로 경상도 지역에서 주로 애용하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여름철에 부드러운 어린 콩잎을 따서 물김치로 담거나 가을철에 노랗게 낙엽진 콩잎을 삭힌 뒤 젓갈 등으로 양념하여 먹기도 한다. 이때 푸른색의 콩잎과 낙엽진 노란 콩잎의 생리 활성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콩잎은 소자골(sojagol; Keen NT et al., Phytochemistry, 11:1031-1039, 1972)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박성종, 석사학위논문, 순천대, 2002)을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상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중에서도 특히 아피제닌(apigenin), 캠퍼롤(kaempferol) 배당체, 아프롤모신(afrormosin) 배당체 및 이소플라본 성분(pinitol, chiroinositol, genistein, daidzein) 등을 함유하며, 상기 성분들은 알코올 흡수 억제 작용(Keung et al., Chemicobiological Interactions Interactions, 130-132:919-930, 2000),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Xie CI et al.,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18:1443-1447, 1994), 뼈손실 예 방작용(Ishida H et al., Biol Pharm Bull 21:62-66, 1998), MAO 억제 작용(Keung WM & Vallee BL, Proc. Natl. Acad. Sci. USA, 95:2195-2203, 1998), 양성전립선비대증, 전립선암 저해활성(Geller J et al., The prostate 34:75-79, 1998), B16 흑색종 억제작용(Record IR et al., Int J Cancer 72:860-864, 1997), 항돌연변이활성(Miyazawa M et al., J Agric Food Chem, 47:1346-1349, 1997), 항산화 및 항이뇨작용(Vedavanam K et al., Phytotherapy Research 13:601-608, 1999), 지질과산화 억제작용(Toda S & Shirataki Y, Phytotherapy Research 13:163-165, 1999) 등의 활성을 가진다. 그러나 콩잎이 고요산증 또는 통풍의 예방, 지연 또는 치료 효능이 있다는 보고는 전무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콩잎 추출물이 당뇨병 모델 마우스를 대상으로 혈중 뇨산의 저하 효능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통풍 예방, 지연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통풍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풍 지연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풍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콩잎 추출물은 혈중 뇨산의 저하 효능을 가짐으로써 통풍의 예방, 지연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 및 '지연'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통풍의 증상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 및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통풍의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통풍의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또는 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이는 개체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통풍은 고요산증에 의해 유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콩잎 추출물은
1) 건조한 콩잎을 분말로 만든 후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열수 추출, 진탕 추출, 초음파 추출법, Soxhlet 추출법 및 환류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콩잎은 잎이 녹색일 때 채취한 것이나 노란색이 된 것 모두를 포함하고, 시판되고 있는 소금물에 침지한 콩잎은 제외한다. 상기 콩잎을 채취한 후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 및 염분을 제거한 후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물, C1 ~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C1 ~ C4의 저급 알코올로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의 부피는 분쇄한 콩잎 부피의 2배 내지 15배를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배 내지 10배를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 온도는 2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40℃ 내지 8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 시간은 1일 내지 5일인 것이 바람직하며, 2일 내지 3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 횟수는 1번 내지 3번 반복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 방법은 열수 추출, 진탕 추출, 환류 추출 또는 Soxhlet 추출 등이 모두 이용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콩잎 건조물을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추출용기에 넣고 용매를 넣은 후 초음파기를 이용하여 추출한 다음, 거름종이 등으로 여과한 후,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콩잎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콩잎 추출물이 혈중 뇨산 저하 효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생후 4주 정도의 수컷 db/db 마우스에 콩잎 추출물을 첨가한 식이를 섭취시킨 후 혈랙을 채취하여 혈중 뇨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콩잎 추출물을 함께 섭취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약 59 ~ 57%의 혈중 뇨산 저하를 나타내었다(표 2 참조).
또한, 콩잎은 예로부터 식용되어온 식품으로서 이의 추출물에 독성이 없는 것이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콩잎 추출물은 우수한 혈중 뇨산의 저하 효능을 가지며 부작용이 없는 매우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는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치료에 유용 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뇨산 저하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카이로이노시톨 또는 제니스테인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및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개체는 척추동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쥐, 생쥐, 토끼, 기니아피크, 햄스터, 개, 고양이, 침팬지 또는 고릴라와 같은 포유동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통풍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풍 지연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풍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통풍은 고요산증에 의해 유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콩잎 추출물은 우수한 혈중 뇨산의 저하 효능을 가지며 부작용이 없는 매우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는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뇨산 저하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카이로이노시톨 또는 제니스테인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외용 또는 복강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용으로 사용한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배를 함유하거나 또는 1/2, 1/3 또는 1/4배를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바람직하기로는 유효 약물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용량은 0.0001 ~ 10 g/㎏이고, 바람직하기로는 0.001 g ~ 1 g/kg이며, 하루 1 ~ 6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풍의 예방, 지연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통풍은 고요산증에 의해 유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콩잎 추출물은 우수한 혈중 뇨산의 저하 효능을 가지며 부작용이 없는 매우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는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예를 들어, 츄잉껌, 캐러멜 제품, 캔디류, 빙과류, 과자류 등의 각종 식품류, 청량 음료, 미네랄 워터, 알코올 음료 등의 음료 제품,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을 포함한 건강기능성 식품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콩잎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위생)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콩잎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식품 100 중량부당 0.01 ~ 0.0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식품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콩잎 물 추출물의 제조
농협중앙회에서 구입한 콩잎을 세척하고, 건조기를 이용해 완전히 건조시킨 후, 잘게 잘라서 사용하였다. 잘게 자른 콩잎 100 g을 물 10배 즉 1 L에 침지하여 24시간 열수 추출하고 3회 반복하였다. 추출액을 식혀서, 여과 과정을 거친 후 얻어진 상등액의 용매를 진공상태에서 증발시켜 추출물을 농축하였다. 수율은 74.2%(w/w)이었다.
<실시예 2> 콩잎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잘게 자른 콩잎을 100% 에탄올(HPLC 등급) 10배에 침지하여 상온에서 3일간 초음파기(Branson Ultrasonics corporation, USA)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여과 과정을 거친 후 얻어진 상등액의 용매를 진공상태에서 증발시켜 추출물을 농축하였다. 수율은 79.5%(w/w)이었다.
<실시예 3> 콩잎 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제조
70% 에탄올 수용액(HPLC 등급)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율은 82.3%(w/w)이었다.
<실시예 4> 콩잎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100% 메탄올(HPLC 등급)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율은 83.76%(w/w)이었다.
<실험예 1> 혈중 뇨산의 저하효과
생후 4주 정도의 수컷 db/db 마우스(오리엔트 바이오, 한국)를 2군으로 나누어, AIN-93 diet 정상식이(표 1) 및 음용수에 1%의 콩잎 물, 에탄올, 에탄올 수용액 및 메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식이를 6주간 자유식이로 섭취시켰다. 식이 섭취 6주째 12시간 절식시킨 동물을 심장 채혈법으로 희생시켜 혈액을 수집하였다. 혈액에서 혈장을 분리한 후, Hitachi 7600-110 분석기(Hitachi, Japan)를 사용하여 혈중 뇨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AIN-93 diet 정상식이 조성(%)
성분 함량(%)
카제인 14.0
L-시스테인 0.18
콘 스타치 46.6
호정 콘 스타치 15.5
설탕 10.0
섬유소 5.0
대두유 4.0
AIN-93 종합 미네랄 3.5
AIN-93 종합 비타민 1.0
주석산수소콜린 0.25
터셔리부틸히드로퀴논(mg) 0.8
라드 0
혈중 뇨산 저해 정도
종류 혈중 뇨산(mg/dl) 혈중 뇨산 저해(%)
대조군 2.32 0
콩잎 물 추출물 0.99 57.32
콩잎 에탄올 추출물 0.90 61.21
콩잎 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0.97 58.18
콩잎 메탄올 추출물 0.99 57.33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콩잎 추출물을 첨가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약 59% ~ 57%의 혈중 뇨산 저하 효과를 나타내었다(표 2).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조예를 예시한다.
<제조예 1> :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2의 추출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2의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3의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환의 제조
실시예 4의 추출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5. 과립의 제조
실시예 4의 추출물 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 ℃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조예 2> : 식품의 제조
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추출물을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추출물을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추출물의 추출물을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추출물을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실시예 1의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실시예 1의 추출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제조예 3> : 음료의 제조
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 올리고당(2 %), 설탕(2 %), 식염(0.5 %), 물(75 %)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추출물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2. 야채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추출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3. 과일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추출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 ㎖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은 콩잎 추출물을 이용한 통풍의 예방, 지연 또는 치료를 위한 치료제, 생약제제, 건강보조식품, 건강기능식품 및 음료 등의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콩잎 100% 에탄올 추출물의 혈중 뇨산 저하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Claims (13)

  1. 콩잎(soybean leave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gout) 예방, 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콩잎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카이로이노시톨 또는 제니스테인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은 고요산증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제 1항의 조성물을 통풍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풍 지연 또는 치료 방법.
  8.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제 1항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풍 예방 방법.
  9.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은 고요산증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예방, 지연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080122998A 2008-12-05 2008-12-05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18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998A KR101018403B1 (ko) 2008-12-05 2008-12-05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998A KR101018403B1 (ko) 2008-12-05 2008-12-05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519A true KR20100064519A (ko) 2010-06-15
KR101018403B1 KR101018403B1 (ko) 2011-02-28

Family

ID=4236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998A KR101018403B1 (ko) 2008-12-05 2008-12-05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4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875A1 (ko) * 2014-06-19 2015-12-23 (주)아모레퍼시픽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02897B1 (ko) 2016-04-15 2017-02-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틴이 결합된 카페인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348B1 (ko) 2015-01-30 2019-08-27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전복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잔틴 옥시다아제 저해용 조성물
KR102423829B1 (ko) 2020-12-15 2022-07-25 재단법인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아스파라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246A (ko) * 1998-02-06 1999-09-06 유주현 콩나물 추출물의 잔신 산화효소, 알도스 환원효소 및 스쿠알렌 합성효소 저해 효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875A1 (ko) * 2014-06-19 2015-12-23 (주)아모레퍼시픽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02897B1 (ko) 2016-04-15 2017-02-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틴이 결합된 카페인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8403B1 (ko) 201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7235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JP4496127B2 (ja) 生薬材抽出物混合物および骨粗鬆症の予防または治療剤
KR101018403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71525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20140133016A (ko)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74778B1 (ko) 발효청국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070476B1 (ko) 흑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고요산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09151A (ko) 삼백초와 황금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5213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
KR101044717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5877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100590726B1 (ko) 목질진흙버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페린신 에이를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656571B1 (ko) 퇴행성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001557B1 (ko)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19974B1 (ko) 감초 및 노랑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장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041272A (ko) 복합 생약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성장 촉진 또는 성장 장애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904819B1 (ko) 여주와 마늘을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Jis-1로 발효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99492B1 (ko) 숙지황과 골쇄보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130082A (ko) 우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70037690A (ko) 미강 또는 발효 미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용 조성물
KR20220103862A (ko) 간기능 개선 또는 내분비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144232B1 (ko) 블루베리 추출물의 고요산혈증 예방 및 치료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