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5991A - 고강도, 고저장안정성 듀얼경화 접착제 - Google Patents

고강도, 고저장안정성 듀얼경화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5991A
KR20240065991A KR1020220147386A KR20220147386A KR20240065991A KR 20240065991 A KR20240065991 A KR 20240065991A KR 1020220147386 A KR1020220147386 A KR 1020220147386A KR 20220147386 A KR20220147386 A KR 20220147386A KR 20240065991 A KR20240065991 A KR 20240065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omposition
monomer
base adhesive
epoxy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7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김해찬
김정수
권용록
김은지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47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5991A/ko
Publication of KR20240065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599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8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glycid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경화 및 열경화가 가능한 듀얼 경화 접착제에 사용되는 베이스 접착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에폭시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적어도 2종 이상의 페놀성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높은 저장안정성 및 고접착강도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강도, 고저장안정성 듀얼경화 접착제{DUAL CURING ADHESIVE WITH HIGH STRENGTH AND HIGH STORAGE STABILITY}
본 발명은 듀얼 경화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2종 이상의 혼합 페놀성 안정제를 사용하여 고강도 및 고 저장안정성을 나타내는 무용제(solvent-free) 듀얼 경화 접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에서는 듀얼 경화로 접착이 이루어지는 접착제에 대한 개발과 이용이 활발하며, 듀얼 경화 기술을 통해 각 개별적 경화 기술들 간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지속되어 왔다. 듀얼 경화 공정은 동시 또는 순차적인 두 경화 반응 조합으로 정의되며 단일 공정의 경화 조건이 분리된 순차적 경화 방법과 구분된 2가지 공정 조합을 통한 열/열, 광/열, 습기/열, 습기/광, 광/산화환원 등의 경화 기술 조합을 통칭한다. 듀얼 경화는 개발 초기 멀티스테이지(Multi-stage)형, 동시경화(co-curing) 기술로 불렸으나 현재는 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듀얼경화(dual-curing)으로 불리고 있다.
기존의 기계적 접합 공정이 접착제로 대체됨에 따라 첨단 접착 산업의 전반적인 트렌드는 유해성분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면서 우수한 접착력, 내열성, 난연성, 내수성 등 높은 수준의 기능화를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염두에 두고 대체 재료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지만, 각 개별 경화 공정의 한계와 단점은 분명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듀얼 경화 공정은 각 개별 공정의 장벽을 허물어 최종 경화율을 2단계로 높여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유형의 접착제에 결합할 수 있는 안정적이고 선택적 경화성을 갖는 중간 재료를 제조한다. 또한 부품의 모양에 따라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을 경화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중 경화 접착제의 산업적 응용은 거의 20년 동안 보고되었으며, 경화/열화 조건을 사용하는 접착제는 빠른 경화와 높은 접착 강도의 장점 때문에 가장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수많은 보고서에는 이중 경화성 수지의 합성에 따른 새로운 재료의 연구와 빛/열 경화 조건의 특성이 포함되어 있다. 접착제의 저장 수명은 접착제 업계의 주요 이슈임에도 불구하고, 경화 특성이 다른 이중 경화 접착제의 저장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결착성이 높은 접착제는 물질의 혼합 상태에서 저장으로부터 조기 중합이 일어나면 접착제의 수명이 짧아지고 이 후 사용에 있어 물리적 특성 및 접착력의 감소를 동반하며 상품으로서 가치가 하락한다. 따라서, 저장안정성은 품질관리에 매우 중요한 변수로서, 통상적으로 72시간 동안 점도 증가율이 25% 미만인 접착제는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제품으로 분류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안정제를 통한 조기 중합의 방지는 접착 산업군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는 저장안정성으로 평가된다. 안정제는 접착제의 자동 산화를 방지하거나 지연시키는 대안으로 기존의 일반적인 에폭시 수지 사용 접착제에서의 적용성, 저장안정성이 확인되어왔으나, 무용제 제형의 경화 메커니즘이 다른 듀얼 경화 접착제에서의 저장안정성 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듀얼 경화 접착제의 경우 2단계의 경화가 이루어져야 하는 만큼 경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고, 주변의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아 겔화가 이루어져 접착제의 저장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KR 10-2003-0055313 A
(특허문헌) JP 2013-181121 A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높은 저장안정성 및 고접착강도의 특성을 가지는 무용제 제형의 듀얼 경화 접착제를 위한 베이스 접착 조성물, 듀얼경화 접착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경화 및 열경화가 가능한 듀얼 경화 접착제에 사용되는 베이스 접착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에폭시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적어도 2종 이상의 페놀성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은, 2종의 페놀성 안정제를 포함하고, 상기 2종의 페놀성 안정제의 총 함량은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의 0 wt% 초과 0.4 wt% 이하가 되도록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은, Benzene-1,2,3-triol 과 Dodecyl 3, 4, 5-trihydroxybenzoate 를 포함하는 페놀성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은, 상기 Benzene-1,2,3-triol 를 상기 페놀성 안정제 총 함량의 50 wt% 이상 100 wt%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은 상기 Benzene-1,2,3-triol 를 상기 페놀성 안정제 총 함량의 70 wt% 이상 100 wt%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은, 에폭시 화합물과 2개 이상의 이타콘산 단량체(B)를 합성하여 형성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C)를 중합하여 이루어진 올리고머를 포함하며,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C)는 각 이타콘산 단량체의 카르복실기 중 하나가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에테르기에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경화 접착제는, 이상에서 설명된 베이스 접착 조성물; 티올(Thiol) 단량체; 제2 에폭시 화합물; 및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티올계 단량체는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 메캅토프프로피오네이트) (Pentaerythritol tetrakis(3-mercaptopropionate)),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메캅토프프로피오네이트) (Trimethylolpropane tris(3-mercaptopropionate)), 2-하이드록시메틸-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스3-메캅토프프로피오네이트) ((2-HYDROXYMETHYL-2-METHYL-1,3-PROPANEDIOL TRIS-(3-MERCAPTOPROPIONAT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경화 접착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티올 단량체는 상기 에폭시의 에폭시기에 대한 당량비가 10 내지 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더 포함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 내의 에폭시 단량체 몰수의 3배의 몰수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과 열을 사용하는 듀얼 경화 접착제 조성물에 2종 이상의 혼합 페놀 안정제를 사용하여 종래 듀얼 경화 접착제에 비교하여 현저히 뛰어난 접착 강도(adhesion strength) 및 저장안정성(storage stability)를 나타내는 듀얼 경화 접착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접착제의 경화시간을 감소시키고 저장 안정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높은 접착 강도를 구비하여 극한 환경에서 작동되는 장비의 접착에 최적화되고 접착 강도가 약 10MPa 이상이면서 72시간 동안 점도증가율이 25% 미만인 고저장안정성의 무용제 듀얼 경화 접착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듀얼 경화 접착제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페놀 안정제를 사용하는 베이스 접착 조성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경화 및 열경화가 가능한 듀얼 경화 접착제에 사용되는 베이스 접착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에폭시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및 적어도 2종 이상의 페놀성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은, 에폭시 화합물과 2개 이상의 이타콘산 단량체(B)를 합성하여 형성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C)를 중합하여 이루어진 올리고머를 포함하며,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C)는 각 이타콘산 단량체의 카르복실기 중 하나가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에테르기에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페놀성 안정제는 벤젠트리올(benzenetriol), 라우릴 갈레이트(lauryl gallate), 메톡시하이드로퀴논(methoxy hydroquinone, MEHQ)을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 그룹 중 적어도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벤젠트리올은 Benzene-1, 2, 3-triol을 포함하며, 피로개롤산(pyrogallol acid)으로 불리기도 하고, C6H3(OH)3 으로 나타내며 이하의 화학식(1)을 가진다.
--------화학식 (1)
상기 라우릴 갈레이트(lauryl gallate)는 Dodecyl 3,4,5-trihydroxybenzoate을 포함하며 도데실 갈레이트로 불리기도 하고, C19H30O5로 나타내며 이하의 화학식(2)를 가진다.
--------화학식 (2)
상기 메톡시하이드로퀴논(methoxy hydroquinone)은 1,4-Dihydroxy-2-methoxybenzene를 포함하고 MEHQ로 불리기도 하고, (CH3O)C6H3(OH)2로 나타내며 이하의 화학식(3)을 가진다.
-------------화학식(3)
상기 적어도 2종 이상의 페놀성 안정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2종의 페놀성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2종의 페놀성 안정제 혼합물의 총 함량은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의 0 wt% 초과 0.4 wt% 이하가 되도록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0 wt%가 되면 페놀성 안정제의 첨가에 따른 저장안정성의 강화의 효과를 나타낼 수 없으며, 0.4 wt% 보다 큰 경우에는 오히려 저장안정성 강화의 효과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접착 조성물에서, 상기 2종 이상의 페놀성 안정제는 바람직하게는Benzene-1,2,3-triol (피로개롤산, pyrogallol acid) 및 Dodecyl 3,4,5-trihydroxybenzoate (라우릴 갈레이트, lauryl gal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은 상기 Benzene-1,2,3-triol 를 상기 페놀성 안정제 총 함량의 50 wt% 이상 100 wt%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Dodecyl 3,4,5-trihydroxybenzoate 또한 50 wt% 이상 100 wt%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저장안정성 효율을 더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해서 상기 Benzene-1,2,3-triol 를 상기 페놀성 안정제 총 함량의 70 wt% 이상 100 wt%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Dodecyl 3,4,5-trihydroxybenzoate 또한 0 wt% 초과 30 wt%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듀얼 경화 접착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경화 접착제는 이상에서 서술된 페놀안정제를 사용하는 베이스 접착 조성물에 티올(Thiol) 단량체, 제2 에폭시 화합물, 및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듀얼 경화 접착제는 이 외에도 촉진제, 촉매, 광개시제, 열개시제 등의 추가적인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듀얼 경화 접착제는 무용제 듀얼 경화 접착제일 수 있다.
상기 더 포함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 내의 에폭시 단량체 몰수의 3배의 몰수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티올계 단량체는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 메캅토프프로피오네이트) (Pentaerythritol tetrakis(3-mercaptopropionate)),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메캅토프프로피오네이트) (Trimethylolpropane tris(3-mercaptopropionate)), 2-하이드록시메틸-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스3-메캅토프프로피오네이트) ((2-HYDROXYMETHYL-2-METHYL-1,3-PROPANEDIOL TRIS-(3-MERCAPTOPROPIONAT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티올 단량체는 상기 에폭시의 에폭시기에 대한 당량비가 10 내지 20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타콘산 기반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제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에 이타콘산 기반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에폭시 화합물과 2개 이상의 이타콘산 단량체를 합성하여 형성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올리고머는 2 내지 15개의 반복 단량체 단위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수지이며, 중합체란 10개 이상의 반복 단량체 단위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수지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폭시 화합물에 촉매를 혼합하고 이타콘산 단량체를 첨가하여 이타콘산 기반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한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2 이상의 관능기, 즉 에폭시드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2 또는 3개의 관능기, 즉 에폭시드기를 포함하는 에폭시 화합물이고, EGDGE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BADGE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및 TPTGE (Trimethylolpropane triglycidyl ether) 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폭시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촉매는 카보닐디이미다졸(Carbonyldiimidazole)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 phosphine), 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Trimethyl Ammonium Chloride), 벤질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Benzyltrimethylammonium chloride),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Benzyltriethylammonium chloride), 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trimethylammonium bromide),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상기 2개 이상의 이타콘산 단량체 각각의 카르복실기 (즉, COOH-기) 중 하나가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에테르기 (즉, -O-기)에 결합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2관능기 에폭시 화합물[화학식 1]과 2개의 이타콘산 단량체[화학식 2]를 합성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화학식 3]를 생성할 수 있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이상의 [화학식 3]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에폭시 화합물의 2개의 에테르기에 별도의 2개의 이타콘산 단량체 각각의 카르복실기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3관능기 에폭시 화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3개의 에테르기 각각에 별도의 이타콘산 단량체의 카르복실기가 결합하여 한 에폭시 화합물에 3개의 이타콘산 단량체가 합성되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2이상의 관능기를 가진 에폭시 화합물의 에테르기에 2개 이상의 이타콘산 단량체의 카르복실기를 결합하여 이타콘산 기반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합성하면, 이를 베이스 접착제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접착강도 등의 접착특성이 향상되며 가스발생율이 낮아질 수 있고 투명도가 높아지며 점도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베이스 접착제 조성물은 광경화 및 열경화 성능이 향상된다. 게다가, 이와 같이 듀얼 경화를 위한 중간 pre-polymer단계를 거치지 않는 저분자량 단량체 혼합물 조성은 저점도 제형의 접착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베이스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며, 상기 베이스 접착제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희석제가 첨가되어 점도가 조절되거나 광경화성을 높이기 위해 광개시제가 첨가될 수 있고, 기능성 또는 반응성을 개선하기 위해 기타 다른 첨가제가 혼합될 수도 있다.
상기 희석제는 싸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Cyclohexyl meth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투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테트라하이드로퍼류릴 아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 acrylate), 포아크릴오일모폴린4-acryloylmorpholine), 투하이드록시 에틸아크릴레이트 (2-hydroxy ethyl acrylate), 투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hydroxy propyl acrylate), 1, 3,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1,3, butandiol diacrylate),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diacrylate), 네오펜틸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Neopentyl glycol diacrylate), 폴리에틸렌 디아크릴레이트(Poly ethylene Diacrylate), 하이드록시 피페리디노익산 에스테르 네오펜틸 -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Hydroxy piperidinoic acid ester neopentyl -glycol diacrylate), 트리메틸롤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 Propane Triacrylate), 펜타에리트리톨 (Pentaerythritol), 트리아크릴레이트(triacrylate),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ithritol hexaacrylate), 1,3,5-트리알릴- 1, 3, 5-트리아진-2, 4, 6-트리원(1,3,5-Triallyl-1,3,5-triazine-2,4,6-trione), 트리사이클로 데케인다이메탄올 다아크릴레이트(Tricyclo decanedimethanol diacrylate), 트리메틸로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에톡실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ETPTA, Ethoxylated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다이펜타에리스롤 펜타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를 포함하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1-하이드록실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이드록시 디메틸 아세토페논 (Hydroxy dimethylacetophenone), 메틸벤조일포메이트(methylbenzoylformate), 벤조페논(Benzophenone), 4-메틸벤조페논(4-Methylbenzophenone), 벤질 다이메틸케탈(Benzyl-dimethyl ketals), 4-벤조일-4'-메틸다이페닐 설파이드(4-benzoyl-4`-methyl diphenyl sulfide), 4-페닐벤조페논(4-phenyl- benzophenone), 및 irgacure 819, 1173을 포함하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타콘산 기반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듀얼 경화 접착제 제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경화 및 열경화에 기반한 듀얼 경화 접착제는 상기 이타콘산 기반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티올(Thiol)계 단량체, 제2 에폭시 화합물, 및 아크릴레이트류 희석제 또는 가교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티올계 단량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경화 접착제에서 열경화 및 광경화를 촉진하며 광경화 반응 속도를 개선시켜 광고정시간을 감소시킨다. 상기 티올계 단량체는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 메캅토프프로피오네이트) (Pentaerythritol tetrakis(3-mercaptopropionate)),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메캅토프프로피오네이트) (Trimethylolpropane tris(3-mercaptopropionate)), 2-하이드록시메틸-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스3-메캅토프프로피오네이트) ((2-HYDROXYMETHYL-2-METHYL-1,3-PROPANEDIOL TRIS-(3-MERCAPTOPROPIONAT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티올계 단량체는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기에 대한 당량비가 10 내지 20의 범위로 첨가되는 경우, 광고정시간이 최적화되어 감소하고, 접착강도가 증가하며, 접착제의 저장안정성이 향상된다. 당량비가 20이 넘으면 오히려 접착강도 감소로 인해 광고정시간이 증가하여 광경화에 장시간이 소요된다. 당량비가 10보다 작은 경우 티올계 단량체의 효과가 미비하게 되어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제2 에폭시 화합물은 열경화를 촉진시키며,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단량체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열경화와 광경화를 촉진시키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희석제 또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듀얼경화 접착제 조성물에 경화제 또는 필러를 추가적으로 첨가할 수도 있다.
비교예 1 (페놀성 안정제가 함유되지 않은 듀얼 경화 접착제)
끓는점(Bp)이 90 ℃ 이상인 용매 (예컨데, 1-propanol)에 제1에폭시화합물과 이타콘산, 촉매를 넣고 90 ℃ 6시간 반응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제1에폭시 화합물로서 EGDGE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를 사용하여 EGDGE 0.02 mol에 촉매인 벤질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Benzyltrimethylammonium chloride) 혹은 카보닐디이미다졸(Carbonyldiimidazole)을 넣고 교반하여 혼합하고, 촉매의 존재 하에 이타콘산 단량체 0.04 mol을 적하시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합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였다.
제2 에폭시 화합물인 에폭시 단량체 비스페놀 A 다이글리시딜 에테르(Bisphenol A diglycidyl ether)의 0.01 mol과 아크릴레이트인 아크릴산(Acrylic acid) 0.03 mol의 혼합물에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에0.03 mol 혼합하여 교반하고, 이에 티올(Thiol)계 단량체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Pentaerythritol tetrakis(3-mercaptopropionate))을 에폭시 단량체 기준 당량비 20만큼 첨가하고 듀얼 경화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피로갤산을 0.2wt% 함유)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Benzene-1,2,3-triol을 0.2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피로갤산을 0.4wt% 함유)
실시예 2는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Benzene-1,2,3-triol을 0.4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피로갤산을 0.6wt% 함유)
실시예 3은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Benzene-1,2,3-triol을 0.6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피로갤산을 0.8wt% 함유)
실시예 4는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Benzene-1,2,3-triol을 0.8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라우릴 갈레이트를 0.2wt% 함유)
실시예 5는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Dodecyl 3,4,5-trihydroxybenzoate을 0.2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라우릴 갈레이트를 0.4wt% 함유)
실시예 6은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Dodecyl 3,4,5-trihydroxybenzoate을 0.4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라우릴 갈레이트를 0.6wt% 함유)
실시예 7은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Dodecyl 3,4,5-trihydroxybenzoate을 0.6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라우릴 갈레이트를 0.8wt% 함유)
실시예 8은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Dodecyl 3,4,5-trihydroxybenzoate을 0.8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MEHQ를 0.2wt% 함유)
실시예 9는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1,4-Dihydroxy-2-methoxybenzene을 0.2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MEHQ를 0.4wt% 함유)
실시예 10은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1,4-Dihydroxy-2-methoxybenzene을 0.4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MEHQ를 0.6wt% 함유)
실시예 11은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1,4-Dihydroxy-2-methoxybenzene을 0.6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MEHQ를 0.8wt% 함유)
실시예 12는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1,4-Dihydroxy-2-methoxybenzene을 0.8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 내지 12. 듀얼 경화 접착제에서의 단일 안정화제 첨가에 따른 제조>
피로갤산
(wt%)
라우릴 갈레이트
(wt%)
MEHQ
(wt%)
비교예 1 0 0 0
실시예 1 0.2 - -
실시예 2 0.4 - -
실시예 3 0.6 - -
실시예 4 0.8 - -
실시예 5 - 0.2 -
실시예 6 - 0.4 -
실시예 7 - 0.6 -
실시예 8 - 0.8 -
실시예 9 - - 0.2
실시예 10 - - 0.4
실시예 11 - - 0.6
실시예 12 - - 0.8
실시예 13(피로갤산 0.1wt%, 라우릴 갈레이트 0.3 wt% 함유)
실시예 13은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Benzene-1,2,3-triol을 0.1wt% 첨가하고Dodecyl 3,4,5-trihydroxybenzoate을 0.3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피로갤산 0.2wt%, 라우릴 갈레이트 0.2 wt% 함유)
실시예 14는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Benzene-1,2,3-triol을 0.1wt% 첨가하고Dodecyl 3,4,5-trihydroxybenzoate을 0.2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피로갤산 0.3wt%, 라우릴 갈레이트 0.1 wt% 함유)
실시예 15는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Benzene-1,2,3-triol을 0.3wt% 첨가하고Dodecyl 3,4,5-trihydroxybenzoate을 0.1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6(피로갤산 0.1wt%, MEHQ 0.3 wt% 함유)
실시예 16은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Benzene-1,2,3-triol을 0.1wt% 첨가하고1,4-Dihydroxy-2-methoxybenzene 을 0.3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피로갤산 0.2wt%, MEHQ 0.2 wt% 함유)
실시예 17은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Benzene-1,2,3-triol을 0.2wt% 첨가하고1,4-Dihydroxy-2-methoxybenzene 을 0.2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8(피로갤산 0.3wt%, MEHQ 0.1wt% 함유)
실시예 17은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Benzene-1,2,3-triol을 0.3wt% 첨가하고1,4-Dihydroxy-2-methoxybenzene 을 0.1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9(라우릴 갈레이트 0.1 wt%, MEHQ 0.3 wt% 함유)
실시예 16은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Dodecyl 3,4,5-trihydroxybenzoate를 0.1wt% 첨가하고1,4-Dihydroxy-2-methoxybenzene 을 0.3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0(라우릴 갈레이트 0.2 wt%, MEHQ 0.2 wt% 함유)
실시예 16은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Dodecyl 3,4,5-trihydroxybenzoate를 0.2wt% 첨가하고1,4-Dihydroxy-2-methoxybenzene 을 0.2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1(라우릴 갈레이트 0.3 wt%, MEHQ 0.1 wt% 함유)
실시예 16은 비교예 1에서 합성된 EGDGE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Dodecyl 3,4,5-trihydroxybenzoate를 0.3wt% 첨가하고1,4-Dihydroxy-2-methoxybenzene 을 0.1wt% 첨가하여 베이스 접착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들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얼 경화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내지 21. 듀얼 경화 접착제에서의 혼합 안정화제 첨가에 따른 제조>
피로갤산
(wt%)
라우릴 갈레이트
(wt%)
MEHQ
(wt%)
실시예 13 0.1 0.3 -
실시예 14 0.2 0.2 -
실시예 15 0.3 0.1 -
실시예 16 0.1 - 0.3
실시예 17 0.2 - 0.2
실시예 18 0.3 - 0.1
실시예 19 - 0.1 0.3
실시예 20 - 0.2 0.2
실시예 21 - 0.3 0.1
실험예 1 (접착강도 측정)
ADTM D 1002 규격의 Lap-shear test/UTM 장비(H5KT Benchtop Tester (Tinius Olsen)) 를 사용하여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21에 따라 제조된 듀얼 경화 접착제에 대하여 중첩 전단 강도(Lap shear strength) 형태의 (MPa)를 측정한 결과 이하의 [표 3]과 같은 실험결과가 도출되었다.
<접착강도>
Adhesion strength [MPa]
비교예 1 10.3
실시예 1 10.6
실시예 2 10.9
실시예 3 8.4
실시예 4 6.4
실시예 5 10.2
실시예 6 10.5
실시예 7 7.9
실시예 8 4.2
실시예 9 8.3
실시예 10 7.6
실시예 11 5.5
실시예 12 3.9
실시예 13 10.7
실시예 14 10.5
실시예 15 10.6
실시예 16 7.9
실시예 17 8.4
실시예 18 9.5
실시예 19 8.2
실시예 20 8.7
실시예 21 9.7
단일 페놀성 안정제를 사용한 경우 (실시예 1 내지 12), 피로갤산 0.4% 이하를 함유한 경우(실시예 1 및 2)에서는 페놀성 안정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 접착강도가 다소 증가하였으나, 피로갤산을 0.6%이상 함유한 경우(실시예 3 및 4)에는 접착강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라우릴 릴레이트 역시 0.4% 이하(실시예 5 및 6)를 함유한 경우에는 유사한 접착강도를 나타내거나 다소 증가하였으나 0.6% 이상(실시예 7 및 8)을 함유한 경우에는 접착강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MEHQ의 경우에는 전 범위에서 접착강도가 더 낮게 나타났으나, 역시 0.4%이하(실시예 9 및 10)의 경우와 0.6% 이상의 경우(실시예 11 및 12)에 현저히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페놀성 안정제의 경우 페놀성 안정제의 종류와 상관없이 베이스 접착 조성물의 0.4%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접착강도가 일관되게 급격히 하락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페놀성 안정제를 베이스 접착 조성물에 첨가하는 경우 베이스 접착 조성물의 0 wt% 초과 0.4% 이하의 범위가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혼합 페놀계 안정화제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13 내지 21)에는, 피로갤산과 라우릴 갈레이트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실시예 13 내지 15)에는 모두 페놀성 안정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보다 높은 접착 강도인 10.5 ~ 10.7MPa 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피로갤산 및 MEHQ 2종의 혼합 페놀성 안정제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16 내지 18)에는 접착강도가 7.9 내지 9.5 MPa 이며 라우릴 갈레이트 및 MEHQ 2종을 혼합한 혼합 페놀성 안정제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19 내지 21)에는 8.2 내지 9.7 MPa로 비교예 1보다 접착강도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저장안정성 측정)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21에 따라 제조된 듀얼 경화 접착제에 대하여 72시간(3일 후) 후의 점도(cP)의 상승 정도를 확인하여 경화되는 속도 즉, 저장안정성 및 경화된 시점을 측정하고, 제조 초기 점도를 72시간 후의 최종 점도로 나누어 저장안정성 효율을 확인하였으며, 그에 따라 이하의 [표 4]와 같은 실험결과가 도출되었다.
<저장안정성>
72시간 후의 점도 [cP] 경화된 시점
[day]
저장안정성 효율*
비교예 1 겔화됨(Gelled) 1 -
실시예 1 1114 - 0.1293
실시예 2 1042 - 0.1382
실시예 3 1267 - 0.1288
실시예 4 1328 - 0.1271
실시예 5 1188 - 0.1576
실시예 6 1310 - 0.1515
실시예 7 1526 - 0.1384
실시예 8 1776 - 0.1243
실시예 9 겔화됨 1 -
실시예 10 겔화됨 1 -
실시예 11 겔화됨 1 -
실시예 12 겔화됨 1 -
실시예 13 576.0 - 0.3319
실시예 14 393.6 - 0.3989
실시예 15 185.4 - 0.8177
실시예 16 겔화됨 1 -
실시예 17 겔화됨 1 -
실시예 18 겔화됨 2 -
실시예 19 겔화됨 1 -
실시예 20 겔화됨 1 -
실시예 21 겔화됨 2 -
* 저장안정성 효율: 초기점도/최종점도[표 4]에 따르면, 페놀성 안정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 단일 페놀 안정제 MEHQ를 첨가한 실시예 9 내지 12, 및 피로갤산+MEHQ 및 라우릴 갈레이트+MEHQ 조합의 혼합 페놀 안정제를 사용한 실시예 16 내지 21에서는 제조 후 72시간 내에 겔화되어 굳어져버려서 점도를 측정할 수 없었으며, 피로갤산, 라우릴 갈레이트 각각의 단일 페놀 안정제를 첨가한 경우는 1042 내지 1776 cP로 나타났고 피로갤산+ 라우릴 갈레이트 조합의 혼합 페놀 안정제의 경우에는 185.4 내지 576 cP로 나타나 저장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피로갤산+라우릴 갈레이트 조합의 혼합 페놀 안정제를 첨가한 경우에 단일 페놀안정제를 첨가한 경우보다 점도의 굳기가 15% 내지 55% 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뛰어난 저장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광경화 및 열경화가 가능한 듀얼 경화 접착제에 사용되는 베이스 접착조성물로서,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에폭시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적어도 2종 이상의 페놀성 안정제를 포함하는, 베이스 접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은, 2종의 페놀성 안정제를 포함하고, 상기 2종의 페놀성 안정제의 총 함량은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의 0 wt% 초과 0.4 wt% 이하가 되도록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접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은, Benzene-1,2,3-triol 과 Dodecyl 3, 4, 5-trihydroxybenzoate 를 포함하는 페놀성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접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은, 상기 Benzene-1,2,3-triol 를 상기 페놀성 안정제 총 함량의 50 wt% 이상 100 wt%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접착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은 상기 Benzene-1,2,3-triol 를 상기 페놀성 안정제 총 함량의 70 wt% 이상 100 wt%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접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은, 에폭시 화합물과 2개 이상의 이타콘산 단량체(B)를 합성하여 형성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C)를 중합하여 이루어진 올리고머를 포함하며,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C)는 각 이타콘산 단량체의 카르복실기 중 하나가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에테르기에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접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베이스 접착 조성물;
    티올(Thiol) 단량체;
    제2 에폭시 화합물; 및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듀얼 경화 접착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티올계 단량체는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 메캅토프프로피오네이트) (Pentaerythritol tetrakis(3-mercaptopropionate)),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메캅토프프로피오네이트) (Trimethylolpropane tris(3-mercaptopropionate)), 2-하이드록시메틸-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스3-메캅토프프로피오네이트) ((2-HYDROXYMETHYL-2-METHYL-1,3-PROPANEDIOL TRIS-(3-MERCAPTOPROPIONAT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경화 접착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티올 단량체는 상기 에폭시의 에폭시기에 대한 당량비가 10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경화 접착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더 포함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상기 베이스 접착 조성물 내의 에폭시 단량체 몰수의 3배의 몰수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경화 접착제.
KR1020220147386A 2022-11-07 2022-11-07 고강도, 고저장안정성 듀얼경화 접착제 KR20240065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386A KR20240065991A (ko) 2022-11-07 2022-11-07 고강도, 고저장안정성 듀얼경화 접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386A KR20240065991A (ko) 2022-11-07 2022-11-07 고강도, 고저장안정성 듀얼경화 접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5991A true KR20240065991A (ko) 2024-05-14

Family

ID=91076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7386A KR20240065991A (ko) 2022-11-07 2022-11-07 고강도, 고저장안정성 듀얼경화 접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59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3991B2 (ja) エンチオール系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KR100198863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US11884850B2 (en) Adhesive film including a (meth)acrylate matrix including a curable epoxy/thiol resin composition, tape, and method
KR20170010299A (ko) 저점도 올리고머 및 이를 포함하는 sla 3d 프린트용 수지 조성물
JP6283634B2 (ja) ウェハレベルレンズ用ラジカル硬化性組成物
JPWO2007026798A1 (ja) (メタ)アクリレートグラフトポリエーテルポリオール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JPWO2018181421A1 (ja) 硬化性組成物および構造物
CN111138615B (zh) 一种聚氨酯黏合剂用二胺扩链剂及其制备方法,聚氨酯黏合剂及其制备方法
CN111139020A (zh) 一种热固化兼uv固化复合胶及其制备方法
KR20240065991A (ko) 고강도, 고저장안정성 듀얼경화 접착제
CN111662540B (zh) 一种氨基改性不饱和聚酯树脂
JP5991315B2 (ja) 硬化性組成物および光学用接着剤
KR101141094B1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광학 재료용 조성물
KR20230037379A (ko) 이타콘산 기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제조 및 듀얼경화 접착제
KR101292749B1 (ko) 유리용 봉지재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접합 유리
KR20150086080A (ko) 이중 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중 경화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경화물
CN112940503B (zh) 一种由热引发的双固化透明互穿网络聚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958282A (zh) 防眩光高透过率的紫外线固化型胶粘剂
CN112469791A (zh) 含有α-亚甲基内酯的厌氧可固化组合物
JP7197055B2 (ja) 酸基含有(メタ)アクリレート樹脂、硬化性樹脂組成物、絶縁材料、ソルダーレジスト用樹脂材料及びレジスト部材
JP7231114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物品
WO2020202777A1 (ja) エポキシ硬化用化合物及び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WO2019230364A1 (ja) (メタ)アクリレート化合物、硬化性組成物、硬化物及び物品
JP2006016448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5742443B2 (ja) 硬化性組成物および光学接着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