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0339A - 차량의 폴딩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폴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0339A
KR20240060339A KR1020220141838A KR20220141838A KR20240060339A KR 20240060339 A KR20240060339 A KR 20240060339A KR 1020220141838 A KR1020220141838 A KR 1020220141838A KR 20220141838 A KR20220141838 A KR 20220141838A KR 20240060339 A KR20240060339 A KR 20240060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ushion
vehicle
passenger
sea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20141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0339A/ko
Publication of KR20240060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0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Hooks or loops provided with means to reinforce the attachment, e.g. by adhes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5/00Fastening by use of touch and clos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폴딩 시트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는 차량의 인테리어 트림에 함몰 형성되는 수납공간,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 상기 시트백 및 상기 시트쿠션을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 또는 전개시키는 링크구조체, 상기 시트쿠션에 착석한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거나, 입석 승객의 신체를 지지하는 보조쿠션, 상기 보조쿠션을 상기 인테리어 트림과 상기 시트쿠션의 대상부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폴딩 시트{FOLDING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폴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승객에게 안락함과 거주 쾌적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폴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사람과 물건을 운송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차량은 사람을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도록 캐빈룸 내에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탑재되며, 물건은 캐빈룸과는 구분되는 트렁크 등의 러기지룸에 적재되어 운송된다. 승용차량의 경우, 사람의 탑승 및 운송이 주요 목적이므로 시트가 캐빈룸의 특정 위치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소음 전달의 억제를 위해 캐빈룸과 러기지룸의 공간이 뚜렷하게 구획된다.
한편, 오늘날에는 사람들의 다양한 개성과 기호를 만족시켜줄 수 있도록 다목적 차량에 대한 인기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다목적 차량은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운용 상황에 따라 캐빈룸과 러기지룸의 공간 구획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시트가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나아가 최근에는 차량의 자율주행, 이동공유 서비스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차량의 사용 목적에 초점을 둔 간결한 구조의 이동 수단인 목적 기반 차량(PBV)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자율주행 기반의 목적 기반 차량은 엔진, 변속기 등이 탑재되는 공간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운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지 않으므로 사람과 사물을 효율적으로 운송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 기반 차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실내공간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편의장치들이 요구되며, 그 중에서도 차량의 실내공간 상 큰 부피를 차지하는 시트에 대한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51256호(2022. 01. 14. 공고)
본 실시 예는 시트를 인테리어 트림에 수납시켜 실내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폴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시트에 착석한 승객 및 입석 승객의 안락함과 거주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폴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시트의 용이한 수납 및 전개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의 폴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승객의 탑승모드와 물건의 적재모드에 따라 차량의 실내공간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차량의 폴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단순한 구조로 마련되어 제조단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폴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인테리어 트림에 함몰 형성되는 수납공간;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 상기 시트백 및 상기 시트쿠션을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 또는 전개시키는 링크구조체; 상기 시트쿠션에 착석한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거나, 입석 승객의 신체를 지지하는 보조쿠션; 및 상기 보조쿠션을 상기 인테리어 트림과 상기 시트쿠션의 대상부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대상부위는 상기 시트쿠션에 착석한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인테리어 트림 상 상기 수납공간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보조쿠션을 상기 대상부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대상부위는 입석 승객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수납된 상기 시트쿠션의 저면 상에 마련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보조쿠션을 상기 대상부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보조쿠션의 후면 및 상기 대상부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갈고리와, 상기 보조쿠션의 후면 및 상기 대상부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걸림고리를 구비하는 벨크로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대상부위에 마련되는 마운팅보드와, 상기 마운팅보드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홀과, 상기 보조쿠션의 후면에 마련되되 상기 걸이홀에 체결 및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후크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보드는 상기 인테리어 트림 또는 상기 시트쿠션의 저면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시트쿠션의 저면 형상은 상기 시트쿠션의 수납 시 상기 인테리어 트림의 외면 형상에 상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는 시트를 인테리어 트림에 수납시켜 실내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는 시트에 착석한 승객 및 입석 승객의 안락함과 거주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는 시트의 용이한 수납 및 전개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는 승객의 탑승모드와 물건의 적재모드에 따라 차량의 실내공간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는 단순한 구조로 마련되어 제조단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가 수납되고 보조쿠션이 헤드레스트로 작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가 수납되고 보조쿠션이 입석 승객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작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가 수납되고 보조쿠션이 대상부위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체결유닛을 나타내는 측방향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100)가 수납공간(110)으로부터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100)가 수납공간(110)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2는 보조쿠션(150)이 헤드레스트로 작용하는 상태, 도 3은 보조쿠션(150)이 입석 승객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작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는 인테리어 트림(10)에 형성되는 수납공간(110),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120),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130), 시트백(120)과 시트쿠션(130)을 수납공간(110)에 수납 또는 전개시키는 링크구조체(140), 시트쿠션(130)에 착석한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거나, 입석 승객의 신체 일부를 지지하는 보조쿠션(150), 보조쿠션(150)을 인테리어 트림(10)과 시트쿠션(130)의 대상부위(A)에 선택적으로 탈착시키는 체결유닛(160)을 포함한다.
차량의 폴딩 시트(100)는 차량의 인테리어 트림(10)에 형성되는 수납공간(110)에 수납될 수 있다. 수납공간(110)은 차량의 실내공간의 측벽을 이루는 인테리어 트림(10)에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여 착석할 시트가 필요한 경우 수납공간(110)으로부터 외측으로 전개되고, 다수의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거나 물건을 적재할 필요가 있는 경우 수납공간(110)으로 수납될 수 있다. 폴딩 시트(100)가 수납공간(1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인테리어 트림(10)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공간 활용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후술하는 시트쿠션(130)의 저면 형상을 인테리어 트림(10)의 외면 형상에 상응하게 또는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테리어 트림(10) 상 수납공간(110)의 상측에는 후술하는 보조쿠션(15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 대상부위(A)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탈착 대상부위(A)에는 체결유닛(160)의 걸림고리(161)가 마련된다.
시트백(120)은 승객이 착좌한 상태에서 승객의 등과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시트백(1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푹신한 소재로 마련되어 승객에게 안락함과 거주 쾌적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시트백(120)의 후방(도 1 기준 우측)에는 시트백(120)과 후술하는 시트쿠션(13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링크구조체(14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링크구조체(140)에 구비되는 복수의 링크부재에 의해 시트백(120)과 시트쿠션(130)이 회전함으로써 수납공간(110)에 수납 및 외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
시트쿠션(130)은 승객이 착좌한 상태에서 승객의 엉덩이를 비롯한 하체와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시트쿠션(13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시트쿠션(130)의 상면에는 승객의 하체와 접하는 쿠션부(1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시트쿠션(130)은 시트백(120)과 마찬가지로 푹신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시트쿠션(130)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보조쿠션(15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 대상부위(A)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탈착 대상부위(A)에는 체결유닛(160)의 걸림고리(161)가 마련된다. 또한, 시트쿠션(130)의 내부 및 후방에는 링크구조체(140)의 링크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시트쿠션(130)이 링크구조체(140)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수납공간(110)에 수납 및 외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
링크구조체(140)는 수납공간(110)과 시트백(120) 및 시트쿠션(130) 사이에 마련되어 시트백(120)과 시트쿠션(130)을 회전시킴으로써 수납공간(110)에 수납하거나 수납공간(110)으로부터 전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링크구조체(140)는 서로 힌지 연결되는 복수개의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링크부재를 회전 구동하여 시트백(120) 및 시트쿠션(130)의 회전을 자동적으로 구현하는 전동모터(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보조쿠션(150)은 시트쿠션(130)이 전개되고 이에 착석한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거나, 시트쿠션(130)이 수납된 상태에서 입석 승객의 신체 일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보조쿠션(150)은 푹신한 소재로 마련되어 승객의 머리 또는 신체 일부를 지지함에 있어서 안락함과 거주 쾌적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보조쿠션(150)은 수납공간의 상측 및 시트쿠션(130)의 저면에 각각 형성되는 탈착 대상부위(160)에 후술하는 체결유닛(160)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체결유닛(160)은 보조쿠션(150)을 탈착 대상부위(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체결유닛(160)은 보조쿠션(150)의 후면에 마련되는 갈고리(미도시)와, 탈착 대상부위(A)에 마련되는 걸림고리(161)를 포함하는 벨크로(160)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벨크로(160)의 걸림고리(161)가 보조쿠션(150)의 후면에 마련되고, 탈착 대상부위(A)에 갈고리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시트백(120)과 시트쿠션(130)이 수납공간(110)으로부터 전개되고, 승객이 시트쿠션(130)에 착좌한 상태에서 보조쿠션(150)은 착석한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로 작용하도록 체결유닛(160)은 보조쿠션(150)을 수납공간(110)의 상측에 형성되는 탈착 대상부위(A)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차량에 적재할 물건이 많거나 탑승 승객이 많아 실내공간을 넓게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시트백(120)과 시트쿠션(130)을 수납공간(110)으로 수납시키고 보조쿠션(150)이 입석 승객의 허리 또는 엉덩이 등 신체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체결유닛(160)은 보조쿠션(150)을 시트쿠션(130)의 저면에 형성되는 탈착 대상부위(A)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체결유닛(160)이 갈고리와 걸림고리(161)로 이루어지는 벨크로(160)로 마련됨에 따라, 보조쿠션(150)을 탈착 대상부위(A)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부착 및 탈거시킬 수 있으며, 승객의 착석 여부에 따라 보조쿠션(150)을 필요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탈착시킴으로써 승객에게 최적의 안락함과 승차감을 제공하고, 거주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200)가 수납되고 보조쿠션(150)이 대상부위(A)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체결유닛(260)을 나타내는 측방향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200)는 인테리어 트림(10)에 형성되는 수납공간(110),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120),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130), 시트백(120)과 시트쿠션(130)을 수납공간(110)에 수납 또는 전개시키는 링크구조체(140), 시트쿠션(130)에 착석한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거나, 입석 승객의 신체 일부를 지지하는 보조쿠션(150), 보조쿠션(150)을 인테리어 트림(10)과 시트쿠션(130)의 대상부위(A)에 선택적으로 탈착시키는 체결유닛(26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폴딩 시트(200)에 대한 설명 중 별도의 도면부호를 들어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경우 외에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폴딩 시트(100)와 동일한 것으로서 내용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체결유닛(260)은 보조쿠션(150)을 탈착 대상부위(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체결유닛(260)은 탈착 대상부위(A)에 마련되는 마운팅보드(261)와, 마운팅보드(261)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홀(262)과, 보조쿠션(150)의 후면에 마련되고 걸이홀(262)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게 마되는 후크(26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팅보드(26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어 인테리어 트림(10) 상 탈착 대상부위(A)와 시트쿠션(130)의 저면 상 탈착 대상부위(A)에 설치될 수 있다. 마운팅보드(261)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후술하는 후크(263)가 삽입 및 지지되는 걸이홀(262)이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걸이홀(262)은 승객의 착석 여부에 따라 보조쿠션(150)을 필요한 위치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탈착 대상부위(A) 상에서 차량의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걸이홀(262)을 구비하는 마운팅보드(261)는 인테리어 트림(10) 및 시트쿠션(130)의 저면과 별개의 부품요소로 제작되어 결합 설치되거나, 인테리어 트림(10)과 시트쿠션(130)의 저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263)는 보조쿠션(150)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어 마운팅보드(261)의 걸이홀(262)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보조쿠션(150)을 탈착 대상부위(A)에 장착 및 탈거시킬 수 있다. 후크(263)는 걸이홀(262)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마운팅보드(261)의 내면(도 5 기준 우측면)에는 삽입된 후크(263)가 인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시트백(120)과 시트쿠션(130)이 수납공간(110)으로부터 전개되고, 승객이 시트쿠션(130)에 착좌한 상태에서 보조쿠션(150)은 착석한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로 작용하도록 체결유닛(260)은 보조쿠션(150)을 수납공간(110)의 상측에 형성되는 탈착 대상부위(A)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차량에 적재할 물건이 많거나 탑승 승객이 많아 실내공간을 넓게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시트백(120)과 시트쿠션(130)을 수납공간(110)으로 수납시키고 보조쿠션(150)이 입석 승객의 허리 또는 엉덩이 등 신체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체결유닛(260)은 보조쿠션(150)을 시트쿠션(130)의 저면에 형성되는 탈착 대상부위(A)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체결유닛(260)이 걸이홀(261)과 이에 삽입되는 후크(262)로 마련됨에 따라, 보조쿠션(150)을 탈착 대상부위(A)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부착 및 탈거시킬 수 있으며, 승객의 착석 여부에 따라 보조쿠션(150)을 필요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탈착시킴으로써 승객에게 최적의 안락함과 승차감을 제공하고, 거주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200: 폴딩 시트
110: 수납공간 120: 시트백
130: 시트쿠션 131: 쿠션부
140: 링크구조체 150: 보조쿠션
160: 체결유닛(벨크로) 161: 걸림고리
260: 체결유닛 261: 마운팅보드
262: 걸이홀 263: 후크

Claims (7)

  1. 차량의 인테리어 트림에 함몰 형성되는 수납공간;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
    상기 시트백 및 상기 시트쿠션을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 또는 전개시키는 링크구조체;
    상기 시트쿠션에 착석한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거나, 입석 승객의 신체를 지지하는 보조쿠션; 및
    상기 보조쿠션을 상기 인테리어 트림과 상기 시트쿠션의 대상부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의 폴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부위는
    상기 시트쿠션에 착석한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인테리어 트림 상 상기 수납공간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보조쿠션을 상기 대상부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차량의 폴딩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부위는
    입석 승객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수납된 상기 시트쿠션의 저면 상에 마련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보조쿠션을 상기 대상부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차량의 폴딩 시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보조쿠션의 후면 및 상기 대상부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갈고리와, 상기 보조쿠션의 후면 및 상기 대상부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걸림고리를 구비하는 벨크로를 포함하는 차량의 폴딩 시트.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대상부위에 마련되는 마운팅보드와,
    상기 마운팅보드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홀과,
    상기 보조쿠션의 후면에 마련되되 상기 걸이홀에 체결 및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차량의 폴딩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보드는
    상기 인테리어 트림 또는 상기 시트쿠션의 저면과 일체로 마련되는 차량의 폴딩 시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의 저면 형상은
    상기 시트쿠션의 수납 시 상기 인테리어 트림의 외면 형상에 상응하게 마련되는 차량의 폴딩 시트.

KR1020220141838A 2022-10-28 2022-10-28 차량의 폴딩 시트 KR20240060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838A KR20240060339A (ko) 2022-10-28 2022-10-28 차량의 폴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838A KR20240060339A (ko) 2022-10-28 2022-10-28 차량의 폴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0339A true KR20240060339A (ko) 2024-05-08

Family

ID=91074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838A KR20240060339A (ko) 2022-10-28 2022-10-28 차량의 폴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03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256B1 (ko) 2020-08-21 2022-01-1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백 폴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256B1 (ko) 2020-08-21 2022-01-1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백 폴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8327B1 (en) Seating and cargo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EP1449710B1 (en) Seat device including a stowable auxiliary seat
US9016778B2 (en) Inflatable/deflatable seat with stowable collapsing frame
JP5646993B2 (ja) 車両のシート配置システム
US20030222475A1 (en) Rear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for hatchback vehicle
JP2001063421A (ja) 自動車のシート収納構造
US20070040406A1 (en) Vehicle rear seating arrangement
US7559602B2 (en) Cooler having an integrated seat
US20190232843A1 (en) Vehicle seating arrangement
JP2013111992A (ja) 車室内構造
KR20240060339A (ko) 차량의 폴딩 시트
JP5221898B2 (ja) 車両用シート
CN210062731U (zh) 座椅组件和车辆
JP2009179300A (ja) 車両用収納ボックスの配設構造
JP2013006500A (ja) ヘッドレストの支持構造
JP6597297B2 (ja) 車両用荷室構造
JP2007253669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1001805A (ja) 車両用センタシートの取付構造
JP2016060386A (ja) 車両用シート
KR20240060911A (ko) 차량의 폴딩 시트
CN219969505U (zh) 一种车载脚托和车辆
KR20240060340A (ko) 차량의 폴딩 시트
KR20240060338A (ko) 차량의 폴딩 시트
JP2005001618A (ja) シートバック構造
KR0136135Y1 (ko) 자동차의 뒷좌석 벤치식 시트와 트렁크 룸의 개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