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0338A - 차량의 폴딩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폴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0338A
KR20240060338A KR1020220141837A KR20220141837A KR20240060338A KR 20240060338 A KR20240060338 A KR 20240060338A KR 1020220141837 A KR1020220141837 A KR 1020220141837A KR 20220141837 A KR20220141837 A KR 20220141837A KR 20240060338 A KR20240060338 A KR 20240060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upport
seat
vehicle
suppor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만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20141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0338A/ko
Publication of KR20240060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0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translation only
    • B60N2/3025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translation only along transvers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폴딩 시트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는 차량의 인테리어 트림에 함몰 형성되는 수납공간,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승객의 하체와 접촉하여 지지하는 쿠션부를 구비하는 시트쿠션, 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하여 시트백과 시트쿠션을 수납공간에 수납 또는 전개시키는 링크구조체 및 링크구조체의 둘 이상의 링크에 연결되어 시트백과 시트쿠션이 수납 또는 전개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폴딩 시트{FOLDING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폴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승객의 착석 시 안락함과 거주 쾌적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폴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사람과 물건을 운송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차량은 사람을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도록 캐빈룸 내에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탑재되며, 물건은 캐빈룸과는 구분되는 트렁크 등의 러기지룸에 적재되어 운송된다. 승용차량의 경우, 사람의 탑승 및 운송이 주요 목적이므로 시트가 캐빈룸의 특정 위치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승객의 승차감과 소음 억제를 위해 캐빈룸과 러기지룸의 공간이 명확하게 구분된다.
한편, 오늘날에는 사람들의 다양한 개성과 기호를 만족시켜줄 수 있도록 다목적 차량에 대한 인기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다목적 차량은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운용 상황에 따라 캐빈룸과 러기지룸의 공간 구획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시트가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나아가 최근에는 차량의 자율주행, 이동공유 서비스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차량의 사용 목적에 초점을 둔 간결한 구조의 이동 수단인 목적 기반 차량(PBV)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자율주행 기반의 목적 기반 차량은 엔진, 변속기 등이 탑재되는 공간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운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지 않으므로 사람과 사물을 효율적으로 운송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 기반 차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실내공간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편의장치들이 요구되며, 그 중에서도 차량의 실내공간 상 큰 부피를 차지하는 시트에 대한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51256호(2022. 01. 14. 공고)
본 실시 예는 시트를 인테리어 트림에 수납시켜 실내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폴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안락함과 거주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폴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시트의 용이한 수납 및 전개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의 폴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승객의 탑승모드와 물건의 적재모드에 따라 차량의 실내공간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차량의 폴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단순한 구조로 마련되어 제조단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폴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폴딩 시트는 차량의 인테리어 트림에 함몰 형성되는 수납공간;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승객의 하체와 접촉하여 지지하는 쿠션부를 구비하는 시트쿠션; 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시트백 및 상기 시트쿠션을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 또는 전개시키는 링크구조체; 및 상기 링크구조체의 둘 이상의 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시트백 및 상기 시트쿠션이 수납 또는 전개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링크구조체는, 하고, 상기 링크구조체는, 상기 시트쿠션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링크; 상기 시트백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지링크; 상기 수납공간의 내벽의 양측에 부착되는 고정링크; 상기 고정링크와 상기 제1 지지링크와 상기 제2 지지링크를 연결하는 제1 연결링크; 및 상기 고정링크와 상기 제2 지지링크를 연결하는 제2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지지링크 및 상기 고정링크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부재에 전달하는 감속장치; 및 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장치가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지지링크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링크에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링크구조체는, 양측의 상기 제1 지지링크의 일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부착되는 제1 보강링크; 및 양측의 상기 제1 지지링크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부착되는 제2 보강링크;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지지링크 및 상기 제2 보강링크에 결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링크는 상기 고정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은 상기 제1 지지링크와 상기 고정링크 사이의 회전축과 일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는 시트를 인테리어 트림에 수납시켜 실내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는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안락함과 거주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는 시트의 용이한 수납 및 전개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는 승객의 탑승모드와 물건의 적재모드에 따라 차량의 실내공간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는 단순한 구조로 마련되어 제조단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를 수납 또는 전개시키는 링크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의 링크구조체가 전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딩 시트의 링크구조체가 수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딩 시트의 액추에이터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100)가 수납 및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100)를 수납 또는 전개시키는 링크구조체(1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100)의 링크구조체(140)가 전개 및 수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폴딩 시트(100)는 인테리어 트림(10)에 형성되는 수납공간(110),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120),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130) 및 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하여 시트백(120)과 시트쿠션(130)을 수납공간(110)에 수납 또는 전개시키는 링크구조체(140) 및 링크구조체(140)의 둘 이상의 링크에 연결되어 시트백(120)과 시트쿠션(130)이 수납 또는 전개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160)를 포함한다.
차량의 폴딩 시트(100)는 차량의 인테리어 트림(10)에 형성되는 수납공간(110)에 수납될 수 있다. 수납공간(110)은 차량의 실내공간의 측벽을 이루는 인테리어 트림(10)에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여 착석할 시트가 필요한 경우 수납공간(110)으로부터 외측으로 전개되고, 다수의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거나 물건을 적재할 필요가 있는 경우 수납공간(110)으로 수납될 수 있다. 폴딩 시트(100)가 수납공간(1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인테리어 트림(10)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공간활용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후술하는 시트쿠션(130)의 저면 형상을 인테리어 트림(10)의 외면 형상에 상응하게 또는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백(120)은 승객이 착좌한 상태에서 승객의 등과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시트백(1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푹신한 소재로 마련되어 승객에게 안락함과 거주 쾌적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시트백(120)의 후방(도 4 기준 우측)에는 시트백(120)과 후술하는 시트쿠션(13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링크구조체(14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링크구조체(140)에 구비되는 복수의 링크부재에 의해 시트백(120)과 시트쿠션(130)이 회전함으로써 수납공간(110)에 수납 및 외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 시트백(120)의 배면 양측에는 길이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링크구조체(140)의 제2 지지링크(142)가 한 쌍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링크142)의 양단은 타측의 링크부재와 힌지 연결되며, 이를 통해 시트백(120)이 수납공간(110)에 수납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시트쿠션(130)은 승객이 착좌한 상태에서 승객의 엉덩이를 비롯한 하체와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시트쿠션(13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시트쿠션(130)은 시트백(120)과 마찬가지로 푹신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시트쿠션(130)의 저면 양측에는 길이 방향(도 4 기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링크구조체(140)의 제1 지지링크(141a)가 한 쌍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링크(141a)의 일단은 타측의 링크부재와 힌지 연결되며, 이를 통해 시트쿠션(130)이 회전함으로써 수납공간(110)에 수납되거나 외측으로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링크구조체(140)는 수납공간(110)과 시트백(120) 및 시트쿠션(130) 사이에 마련되어 시트백(120)과 시트쿠션(130)을 회전시킴으로써 수납공간(110)에 수납하거나 수납공간(110)으로부터 전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링크구조체(140)는 서로 힌지 연결되는 복수개의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링크구조체(140)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링크구조체(140)는 시트쿠션(130)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링크(141a), 시트백(120)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지링크(142), 수납공간(110)의 내벽의 양측에 부착되는 고정링크(143), 고정링크(143)와 제1 지지링크(141a)와 제2 지지링크(142)를 연결하는 제1 연결링크(144) 및 고정링크(143)와 제2 지지링크(142)를 연결하는 제2 연결링크(145)를 포함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링크구조체(140)는 양측의 제1 지지링크(141a)의 일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부착되는 제1 보강링크(141b) 및 양측의 제1 지지링크(141a)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부착되는 제2 보강링크(14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강링크(141b) 및 제2 보강링크(141c)는 승객이 시트쿠션(130)에 착좌하는 경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제1 지지링크(141a)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링크구조체(140)의 제2 지지링크(142)와 고정링크(143)는 두 개의 연결링크(144)(145)에 의해 연결되어 4절 링크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링크구조에 제2 지지링크(142)는 제1 연결링크(144) 및 제2 연결링크(145)의 회전에 따라 수납공간(110)의 내벽에 부착된 고정링크(143)에 대해 이동하여 제2 지지링크(142)에 연결된 시트백(120)이 수납공간(110)으로 수납되거나 외측으로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지지링크(141a)는 고정링크(143)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고정링크(143)와 다른 위치에서 제1 연결링크(14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지지링크(141a)는 고정링크(143)와 힌지(153)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고, 제1 연결링크(144)와 힌지(151)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지지링크(141a)가 고정링크(143)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제1 연결링크(144)가 연동하여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제1 연결링크(144)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연결링크(144)와 힌지(152) 연결된 제2 지지링크(142)가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폴딩 시트(100)는 이처럼 제1 연결링크(144)가 제1 지지링크(141a) 및 제2 지지링크(142)와 동시에 연결됨으로써 제1 지지링크(141a)와 제2 지지링크(142)가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고, 제1 지지링크(141a)에 연결된 시트쿠션(130)과 제2 지지링크(142)에 연결된 시트백(120)이 연동되어 수납공간(110)에 수납되거나 외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
제1 연결링크(144)는 제1 지지링크(141a)에 회전 가능하면서 제1 지지링크(141a)의 연장방향(도 4 기준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링크(144)는 제1 지지링크(141a)에 제1 지지링크(141a)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홀에 결합되는 힌지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힌지핀이 가이드홀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회전함으로써 제1 연결링크(144)는 제1 지지링크(141a)에 대해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제2 지지링크(142)는 제1 연결링크(14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부재(142a) 및 제2 연결링크(145)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부재(142b)를 포함하고, 제1 부재(142a)와 제2 부재(142b)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2 부재(142b)의 길이는 제1 부재(142a)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링크(142)가 두 개의 부재(142a)(142b)로 마련됨으로써 폴딩 시트(100)가 구동 시 제2 지지링크(142)의 움직임에 대한 자유도가 증가한다. 이에 폴딩 시트(100)의 수납 또는 전개 과정에서 움직임에 여유가 생겨 부드러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부재(142a) 및 제2 부재(142b)는 폴딩 시트(100)의 수납 또는 전개 시 움직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토퍼(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에 의해 제1 부재(142a) 및 제2 부재(142b)가 정해진 각도에서 고정됨으로써 폴딩 시트(100)가 완전히 전개되거나, 혹은 폴딩 시트(100)가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고정링크(143)는 수납공간의 내벽에 부착되는 제3 부재(143a) 및 제1 지지링크(141a)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부재(143b)를 포함하고, 제3 부재(143a)와 제4 부재(143b)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고정링크(143)가 두 개의 부재(143a)(143b)로 마련됨으로서 폴딩 시트(100)가 구동 시 제1 지지링크(141a)의 움직임에 대한 자유도가 증가한다. 이에 폴딩 시트(100)의 수납 또는 전개 과정에서 움직임에 여유가 새여 부드러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3 부재(143a) 및 제4 부재(143b)는 폴딩 시트(100)의 수납 또는 전개 시 움직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스토퍼는 제4 부재(143b)에 마련된 오목부(143c)와 제3 부재(143a)에 상기 오목부(143c)의 위치에 상응하게 마련되는 고정핀(14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핀(147)은 오목부(143c)의 위치에 상응하게 마련되어 오목부(143c) 내에 안착됨으로써 제4 부재(143b)가 일방향(도 4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에 의해 제4 부재(143b)는 폴딩 시트(100)가 완전히 전개되거나, 혹은 폴딩 시트(100)가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폴딩 시트(100)가 수납 또는 전개되는 과정에서는 타방향(도 4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지지링크(141a)의 움직임에 여유를 부여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160)는 전술한 링크구조체(140)의 링크 중 둘 이상의 링크에 연결되어 시트백(120)과 시트쿠션(130)이 수납 또는 전개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160)는 임의의 둘 이상의 링크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링크(141a) 및 고정링크(143)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추에이터(160)의 실시예가 도 6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딩 시트(100)의 액추에이터(160)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액추에이터(160)는 링크구조체(140)의 제1 지지링크(141a) 및 고정링크(143)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액추에이터(16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61), 모터(16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미도시), 모터(161)의 구동력을 회전부재에 전달하는 감속장치(162) 및 모터(161)와 감속장치(162)가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163)을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160)는 모터(161)가 회전하면 감속장치(162)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회전 속도는 감소하고 회전 토크가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증가된 회전 토크가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고, 회전부재와 연결되는 링크를 회전시켜 폴딩 시트(100)를 수납하거나 전개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부재는 링크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63)은 제1 지지링크(141a)에 결합되고, 회전부재는 고정링크(143)에 연결될 수 있다.
혹은 하우징(163)은 제1 지지링크(141a) 및 제2 보강링크(141c)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하우징(163)이 두 개의 링크에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더욱 견고히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링크(141)는 고정링크(14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 액추에이터(160)의 회전부재의 회전축은 제1 지지링크(141)와 고정링크(143) 사이의 회전축과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회전축이 일치함으로서 액추에이터(160)에 의한 구동 시 구동력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100: 폴딩 시트
110: 수납공간 120: 시트백
130: 시트쿠션 131: 쿠션부
140: 링크구조체 141a: 제1 지지링크
141b: 제1 보강링크 141c: 제2 보강링크
142: 제2 지지링크 143: 고정링크
144: 제1 연결링크 145: 제2 연결링크
147: 고정핀 151: 제1 연결부
152: 제2 연결부 153: 제3 연결부
160: 액추에이터 161: 모터
162: 감속장치 163: 하우징

Claims (8)

  1. 차량의 인테리어 트림에 함몰 형성되는 수납공간;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승객의 하체와 접촉하여 지지하는 쿠션부를 구비하는 시트쿠션;
    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시트백 및 상기 시트쿠션을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 또는 전개시키는 링크구조체; 및
    상기 링크구조체의 둘 이상의 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시트백 및 상기 시트쿠션이 수납 또는 전개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의 폴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구조체는,
    상기 시트쿠션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링크;
    상기 시트백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지링크;
    상기 수납공간의 내벽의 양측에 부착되는 고정링크;
    상기 고정링크와 상기 제1 지지링크와 상기 제2 지지링크를 연결하는 제1 연결링크; 및
    상기 고정링크와 상기 제2 지지링크를 연결하는 제2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차량의 폴딩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지지링크 및 상기 고정링크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차량의 폴딩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부재에 전달하는 감속장치; 및
    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장치가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차량의 폴딩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지지링크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링크에 연결되는 차량의 폴딩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구조체는,
    양측의 상기 제1 지지링크의 일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부착되는 제1 보강링크; 및
    양측의 상기 제1 지지링크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부착되는 제2 보강링크;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폴딩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지지링크 및 상기 제2 보강링크에 결합되는 차량의 폴딩 시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링크는 상기 고정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은 상기 제1 지지링크와 상기 고정링크 사이의 회전축과 일치하도록 마련되는 차량의 폴딩 시트.
KR1020220141837A 2022-10-28 2022-10-28 차량의 폴딩 시트 KR20240060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837A KR20240060338A (ko) 2022-10-28 2022-10-28 차량의 폴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837A KR20240060338A (ko) 2022-10-28 2022-10-28 차량의 폴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0338A true KR20240060338A (ko) 2024-05-08

Family

ID=9107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837A KR20240060338A (ko) 2022-10-28 2022-10-28 차량의 폴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033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256B1 (ko) 2020-08-21 2022-01-1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백 폴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256B1 (ko) 2020-08-21 2022-01-1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백 폴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8054B2 (en) Stowable vehicle seat
US4475763A (en) Rear seat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 and the like
JP5646993B2 (ja) 車両のシート配置システム
EP1902895B1 (en) Movement device for vehicle seat
US7328939B2 (en) Seat assembly for vehicle
JP4152318B2 (ja) 自動車用座席
US20080169668A1 (en) Vehicle trunk internal storage compartment structure
US8844998B2 (en) Seat apparatus for vehicle
US20090218869A1 (en) Collapsible Seat and System
US11292370B2 (en) Rear seat for vehicle
KR20230092083A (ko) 컨트롤 암레스트 격납 구조
KR20240060338A (ko) 차량의 폴딩 시트
JP2007203757A (ja) シート格納構造
KR20240060911A (ko) 차량의 폴딩 시트
JP499408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5004009B2 (ja) 車両の荷室構造
US20110095585A1 (en) Vehicle seat device (as amended)
CN113771711A (zh) 用于车辆的座椅框架
JPS63173736A (ja) 自動車の後部座席構造
KR20240060340A (ko) 차량의 폴딩 시트
KR102328172B1 (ko)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
JP2006280747A (ja) アームレスト
JPH0412825Y2 (ko)
KR20240060339A (ko) 차량의 폴딩 시트
GB2567425A (en) A pos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