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172B1 -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 - Google Patents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172B1
KR102328172B1 KR1020200048059A KR20200048059A KR102328172B1 KR 102328172 B1 KR102328172 B1 KR 102328172B1 KR 1020200048059 A KR1020200048059 A KR 1020200048059A KR 20200048059 A KR20200048059 A KR 20200048059A KR 102328172 B1 KR102328172 B1 KR 102328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ever
rear seat
frame
center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9932A (ko
Inventor
권희원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8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17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9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를 제공한다.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는 리어 시트의 센터석에 배치된 센터 쿠션, 상기 센터 쿠션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수납 구조의 전개를 개시하기 위한 레버와 연결된 하부 링크, 상기 레버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되는 상부 링크, 상기 상부 링크와 연결된 푸쉬 암 및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 링크 및 상기 푸쉬 암이 이동됨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센터 쿠션의 하부와 연결된 회전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링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센터 쿠션이 회전되고, 상기 하부 링크와 연결된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승되어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Storage structure of rear seat}
본 발명은 리어 시트에 수납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탑승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차량 주행에 따른 피로감을 감소시키고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기 위해서 차량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시트는 폴딩 및 리클라이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차량의 2열 시트는 폴딩 및 리클라이닝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구성된 차량이 다수 존재한다. 차량의 2열 시트가 백 폴딩이 되지 않는 시트의 경우에는 승객이 2열에 앉은 상태에서 수화물을 실을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 이런 경우, 승객은 부득이하게 1열 시트의 백포켓 또는 암레스트의 트레이를 활용하여 수화물을 싣게 된다. 다만, 1열 시트의 백포켓이나 암레스트의 트레이는 부피가 큰 수화물을 실을 수 없는 수납 공간이다.
또한, 2열 시트 상에 수화물을 싣는 경우에는 차량의 거동 변화에 따라 수화물이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거동 변화가 발생되더라도 수화물이 과도하게 움직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2열에 착석한 승객과 수화물이 충돌하지 않도록 별도의 수납 공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리어 시트에 수화물을 실을 수 있는 수납 공간을 정의하기 위한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레버 및 간소한 다절 링크 구조를 통해 필요 시 개방될 수 있는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를 제공한다.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는 리어 시트의 센터석에 배치된 센터 쿠션, 상기 센터 쿠션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수납 구조의 전개를 개시하기 위한 레버와 연결된 하부 링크, 상기 레버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되는 상부 링크, 상기 상부 링크와 연결된 푸쉬 암 및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 링크 및 상기 푸쉬 암이 이동됨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센터 쿠션의 하부와 연결된 회전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링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센터 쿠션이 회전되고, 상기 하부 링크와 연결된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승되어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은 차량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레버와 연결된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링크의 일단이 상승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상부 링크는 상기 센터 쿠션을 기준으로 후방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하부 링크는 상기 센터 쿠션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회전 링크는 상기 센터 쿠션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 링크가 상승되고, 상기 상부 링크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푸쉬 암이 상기 센터 쿠션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되어 제1 방향으로 상기 회전 링크가 회전되고, 상기 회전 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센터 쿠션이 상기 리어 시트의 시트백으로 향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수납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레버의 끝단에 연결된 상기 하부 링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승시킨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센터 쿠션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 링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부 링크의 일단을 하강시키고, 상기 상부 링크의 일단이 하강됨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이 하강되어 상기 수납 공간이 폐쇄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하부 링크와 상기 상부 링크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하부 링크와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상부 링크는 상기 레버와 연결된 일단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된 타단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 암은 상기 상부 링크의 일단과 상기 상부 링크의 타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링크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상기 센터 쿠션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회전 링크를 회전시킨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 외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외벽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가 회전됨에 따라 상부 프레임이 상승되고 센터 쿠션이 회전되어 수납 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수화물의 보관할 공간이 부족한 리어 시트에 단순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의 동작 및 레버와 연결된 단순한 링크 구조에 의해 수납 공간이 폐쇄되고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간소화된 구조를 통해 리어 시트에 수납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1)는 센터 쿠션(100) 하부에 제공된 하부 프레임(210) 및 상부 프레임(230)의 움직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1)는 차량의 콘솔(20)과 리어 시트(10)의 센터석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1)는 센터 쿠션(100), 하부 프레임(210), 상부 프레임(230), 하부 링크(300), 레버(350), 상부 링크(400), 푸쉬 암(500) 및 회전 링크(6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1)는 다수의 링크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센터 쿠션(100)은 리어 시트(10)의 센터석에 배치될 수 있다. 센터 쿠션(100)은 센터석의 프레임 및 쿠션 패드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센터 쿠션(100)은 리어 시트(10)의 시트 쿠션(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센터 쿠션(100)은 “ㄱ”자로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30)은 센터 쿠션(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1)가 폐쇄된 상태에서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30)은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1)가 개방된 상태보다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30)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30)은 폐쇄된 공간을 정의하기 위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하부 프레임(210)은 차량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상부 프레임(230)은 레버(350)의 동작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하부 링크(300)는 하부 프레임(210) 및 레버(350)와 연결될 수 있다. 하부 링크(300)의 일단은 하부 프레임(210)과 연결되고, 하부 링크(300)의 타단은 레버(350)와 연결될 수 있다. 하부 링크(300)는 레버(350)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부 프레임(230)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링크(300)는 하부 프레임(210)의 대향하는 두 변에 각각 부착되도록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레버(350)는 하부 링크(300)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하부 링크들(300)은 “ㄷ”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 레버(350)의 일단과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레버(350)는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1)의 전개를 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레버(350)를 당김으로써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1)가 개방될 수 있다. 레버(350)는 하부 링크(300)의 타단과 연결되어 힌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부 링크(400)는 레버(350) 및 하부 프레임(21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링크(400)의 일단은 레버(350)와 연결되고, 상부 링크(400)의 타단은 하부 프레임(210)과 연결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레버(350)의 동작에 의해 상부 링크(400)가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링크(400)는 하부 프레임(210)의 대향하는 두 변에 각각 부착되도록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부 링크(400)는 센터 쿠션(100)을 기준으로 후방에서 하부 프레임(210)과 연결되고, 하부 링크(300)는 센터 쿠션(100)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하부 프레임(210)과 연결될 수 있다. 센터 쿠션(100)을 기준으로 전방은 차량의 진행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하부 링크(300)와 상부 링크(400)는 하부 프레임(210)의 서로 다른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푸쉬 암(500)은 상부 링크(4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쉬 암(500)은 상부 링크(400)와 동일하게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푸쉬 암(500)은 상부 링크(400)의 회전에 의해 센터 쿠션(100)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푸쉬 암(500)은 상부 링크(400)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센터 쿠션(100)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푸쉬 암(500)은 상부 링크(400)의 일단과 상부 링크(400)의 타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부 링크(400)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센터 쿠션(100)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 링크(600)는 푸쉬 암(500) 및 센터 쿠션(100)의 연결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링크(600)는 푸쉬 암(500)과 동일하게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회전 링크(600)는 푸쉬 암(500)의 전방 또는 후방의 이동에 따라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링크(600)의 회전에 의해 센터 쿠션(100)이 회전될 수 있고, 회전 링크(600)와 센터 쿠션(100)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레버(350)의 동작에 의해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1)가 개방될 수 있다. 레버(350)는 하부 링크(300)와 연결된 제2 지점(P2)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레버(350)가 센터 쿠션(100)을 기준으로 전방(차량의 전방)으로 동작됨에 따라 하부 링크(300)가 상승될 수 있다. 이 때, 하부 링크(300)는 하부 프레임(210)과 연결된 제3 지점(P3)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지점(P1) 및 레버(350)와 상부 링크(400)가 연결된 제1 지점(P1)의 높이가 상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은 도면 상 시계방향으로, 센터 쿠션(100)에서 리어 시트(10)의 시트백(15)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레버(350)가 회전되는 방향은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제2 방향일 수 있다. 제1 지점(P1)의 높이가 상승됨에 따라 상부 링크(400)도 하부 프레임(210)과 연결된 제4 지점(P4)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링크(400)는 제1 지점(P1)의 높이가 상승됨에 따라 제4 지점(P4)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링크(300)가 상승됨에 따라 하부 링크(300)와 연결된 상부 프레임(230)의 위치가 상승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30)의 위치가 상승됨에 따라 상부 프레임(230)과 하부 프레임(210)을 연결하는 외벽(700)이 펼쳐질 수 있다. 외벽(700)은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프레임(230)이 상승됨에 따라, 하부 프레임(210), 상부 프레임(230) 및 외벽(700)에 의해 수납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수납 공간의 저면은 하부 프레임(210)에 부착된 하부 플레이트(215)에 의해 막혀있을 수 있다. 따라서, 수화물이 수납 공간 내에 보관될 수 있다.
상부 링크(400)가 회전됨에 따라 푸쉬 암(500)은 센터 쿠션(100)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푸쉬 암(500)은 상부 링크(400)와 제5 지점(P5)에서 연결될 수 있다. 푸쉬 암(500)이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 링크(600)는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링크(600)는 제6 지점(P6)에서 푸쉬 암(500)과 연결되고, 제7 지점(P7)에서 연결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 링크(600)의 회전에 의해 센터 쿠션(100)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센터 쿠션(100)은 리어 시트(10)의 시트 쿠션(11)에서 시트백(15)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수납 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35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부 프레임(230)이 상승되고 센터 쿠션(100)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수납 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수화물의 보관할 공간이 부족한 리어 시트(10)에 수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350)의 동작 및 레버(350)와 연결된 단순한 링크 구조에 의해 수납 공간이 폐쇄되고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간소화된 구조를 통해 리어 시트(10)에 수납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 시트(10)의 수납 구조(1)를 개방하기 위해 레버(350)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부 링크(300), 상부 링크(400), 회전 링크(600) 및 센터 쿠션(100)은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반대로, 리어 시트(10)의 수납 구조(1)를 폐쇄하기 위해 레버(350)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부 링크(300), 상부 링크(400), 회전 링크(600) 및 센터 쿠션(100)은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하부 링크(300), 상부 링크(400), 회전 링크(600) 및 센터 쿠션(100)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리어 시트의 센터석에 배치된 센터 쿠션;
    상기 센터 쿠션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수납 구조의 전개를 개시하기 위한 레버와 연결된 하부 링크;
    상기 레버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되는 상부 링크;
    상기 상부 링크와 연결된 푸쉬 암; 및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 링크 및 상기 푸쉬 암이 이동됨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센터 쿠션의 하부와 연결된 회전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링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센터 쿠션이 회전되고, 상기 하부 링크와 연결된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승되어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차량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레버와 연결된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링크의 일단이 상승되는,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크는 상기 센터 쿠션을 기준으로 후방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하부 링크는 상기 센터 쿠션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되는,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링크는 상기 센터 쿠션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 링크가 상승되고, 상기 상부 링크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푸쉬 암이 상기 센터 쿠션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되어 제1 방향으로 상기 회전 링크가 회전되고,
    상기 회전 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센터 쿠션이 상기 리어 시트의 시트백으로 향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수납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레버의 끝단에 연결된 상기 하부 링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승시키는,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쿠션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 링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부 링크의 일단을 하강시키고,
    상기 상부 링크의 일단이 하강됨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이 하강되어 상기 수납 공간이 폐쇄되는,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링크와 상기 상부 링크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하부 링크와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크는 상기 레버와 연결된 일단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된 타단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 암은 상기 상부 링크의 일단과 상기 상부 링크의 타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링크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상기 센터 쿠션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회전 링크를 회전시키는,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 외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외벽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이 정의되는,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

KR1020200048059A 2020-04-21 2020-04-21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 KR102328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059A KR102328172B1 (ko) 2020-04-21 2020-04-21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059A KR102328172B1 (ko) 2020-04-21 2020-04-21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932A KR20210129932A (ko) 2021-10-29
KR102328172B1 true KR102328172B1 (ko) 2021-11-17

Family

ID=7823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059A KR102328172B1 (ko) 2020-04-21 2020-04-21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1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1436A (ja) 2002-03-19 2003-12-03 Toyoda Spinning & Weaving Co Ltd 車両用物入れ装置
JP2004122867A (ja) 2002-09-30 2004-04-22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自動車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974B1 (ko) * 2003-11-18 2005-1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트백 내장형 수납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1436A (ja) 2002-03-19 2003-12-03 Toyoda Spinning & Weaving Co Ltd 車両用物入れ装置
JP2004122867A (ja) 2002-09-30 2004-04-22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自動車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932A (ko)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7171B2 (en) Flexible motor vehicle work surface for laptops and tablets
US10457170B2 (en) Flexible motor vehicle work surface for laptops and tablets
US10239434B2 (en) Vehicle seat with center seat cushion and console armrest
US7059681B2 (en) Headrest for vehicle seat
US6499787B2 (en) Collapsible vehicle seat assemblies
US6435589B2 (en) Vehicular seat support structure
US6811200B2 (en) Seat device for vehicle
US7341302B2 (en) Seat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JP2005502519A (ja) 自動車用座席
KR20230092083A (ko) 컨트롤 암레스트 격납 구조
JP5427223B2 (ja) 車室内構造
KR102328172B1 (ko) 리어 시트의 수납 구조
CN113401227A (zh) 一种用于机动车辆的装载地板装置
WO2003055716A1 (en) Motor vehicle seat, with a knee-rest element
KR100516127B1 (ko) 자동차용 시트
CN113771711A (zh) 用于车辆的座椅框架
JP5604879B2 (ja) 車両用シート
JP6533339B2 (ja) 車両用シート
JP5365354B2 (ja) 車両用シート
JP4279297B2 (ja) 車両のシート配置構造
JP2011213154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JP2018079842A (ja) 車両用シート
JP2005297632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20240060911A (ko) 차량의 폴딩 시트
KR20240060338A (ko) 차량의 폴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