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638A - 산업차량 - Google Patents

산업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638A
KR20240054638A KR1020220134855A KR20220134855A KR20240054638A KR 20240054638 A KR20240054638 A KR 20240054638A KR 1020220134855 A KR1020220134855 A KR 1020220134855A KR 20220134855 A KR20220134855 A KR 20220134855A KR 20240054638 A KR20240054638 A KR 20240054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escape space
vehicle body
clause
industri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형주
권순규
Original Assignee
두산밥캣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밥캣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밥캣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638A/ko
Publication of KR20240054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9Stabiliz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산업차량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은 차체에 형성되는 도피공간; 및 상기 도피공간에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차체가 기울어질 경우 상기 스토퍼를 상기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전복방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업차량{industrial vehicle}
개시된 발명은 산업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복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마련되는 산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나 크레인과 같은 산업차량 중에는 전복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전복방지장치를 구비한 것들이 있다.
특히 양측 사이의 폭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게차의 경우, 전방에 위치하는 포크와 후방에 배치되는 카운터 웨이트를 통해 전후방의 안정성은 어느 정도 확보가 가능하지만, 측면 안전성이 취약하여 양고작업이나 선회작업시 무게 중심을 잃고 측방으로 기울어지면서 전복될 우려가 크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외관의 형태 변형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전복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산업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주행성능이나 작업성능의 저하됨이 없이 전복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산업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측방으로 전복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산업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산업차량은 차체에 형성되는 도피공간; 및 상기 도피공간에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차체가 기울어질 경우 상기 스토퍼를 상기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전복방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피공간에는 상기 스토퍼 복수 개가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스토퍼는 상기 차체가 기울어질 경우, 상기 도피공간 외부로 동시에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스토퍼는 상기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스토퍼는 상기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호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일단부가 상기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도피공간 내측으로 위치하는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 상기 스토퍼를 상기 일단부가 상기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하는 회전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스토퍼의 회전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회전단속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단속유닛은, 상기 스토퍼의 회전중심과 동심을 이루어 상기 스토퍼와 함께 회전하고, 외주에 래칫기어를 구비하는 래칫부재; 상기 래칫기어에 걸림 가능하게 마련되는 폴부재; 상기 폴부재를 랫칫기어에 걸리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폴부재와 래칫기어 사이의 걸림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폴부재를 가압하는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복방지장치는 상기 차체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차체의 기울어짐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스토퍼를 상기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상기 도피공간은 상기 차체의 저부 측면에 상기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도피공간에 상기 차체의 폭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토퍼를 상기 양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토퍼에 형성되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와 이물림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피공간은 상기 차체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복방지장치는 양쪽의 상기 도피공간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관의 형태 변형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전복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산업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행성능이나 작업성능의 저하됨이 없이 전복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산업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측방으로 전복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산업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산업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2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에 있어서, 전복방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에 있어서, 전복방지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로, 스토퍼가 도피공간 내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에 있어서, 전복방지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로, 스토퍼가 도피공간 내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에 있어서, 전복방지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로, 스토퍼가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에 있어서, 전복방지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로, 스토퍼가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요부 사시도로, 전복방지장치의 스토퍼가 차체의 도피공간 내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요부 사시도로, 전복방지장치의 스토퍼가 차체의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평면도, 전복방지장치의 스토퍼가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0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평면도로, 전복방지장치의 일 변형예가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평면도로, 전복방지장치의 다른 변형예가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 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성 순서들을 기재하는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으로서 지게차의 전반적인 구조가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은 지게차, 크레인, 굴삭기 등 일반차량과 구분되도록 산업현장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산업차량으로서 지게차가 이용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1)는 엔진이 설치되는 차체(2)와, 차체(2)의 전방으로 배치되는 마스트 조립체(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트 조립체(3)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마스트 레일(3a)과, 마스트 레일(3a)을 따라 상부와 하부로 승강하는 캐리지(3b)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지(3b)는 마스트 레일(3a)에 설치되는 체인을 따라 상하로 승강 하고, 캐리지(3b)의 전방에는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4)가 좌우로 그 사 이의 폭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차체(2) 저부의 전후방에는 전륜(5a) 및 후륜(5b)이 각각 배치되고, 차체(2) 상부에는 운전석(6)을 덮어 보호하는 오버헤드 가드(7)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게차(1)는 전복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전복방지장치(10)를 구비한다.
전복방지장치(10)는 지게차(1)가 균형을 잃고 기울어질 경우, 차체(2)와 지면 사이를 지지하여 지게차(1)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복방지장치(10)는 지면과 차체(2) 사이를 지지할 수 있게 마련되는 스토퍼(20)를 구비하고, 스토퍼(20)의 설치를 위해 차체(2)에는 도피공간(2a)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0)는 도피공간(2a)에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스토퍼(20)는 평상시에는 도피공간(2a)으로 도피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차체(2)가 기울어질 경우 차체(2)와 지면 사이를 지지하도록 도피공간(2a) 외부로 돌출하여 차체(2)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피공간(2a)에 도피되어 있는 스토퍼(20)는 차체(2) 외부로 돌출이 방지된 상태를 유지하여 평상시 지게차(1)의 외관이 별다르게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피공간(2a)에 도피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20)는 지게차(1)의 외관이 과도하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복방지장치(10)의 적용으로 인해 지게차(1)의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체(2) 외부로 돌출이 방지된 상태의 스토퍼(20)는 지게차(1)의 주행시나, 지게차(1)를 이용하여 물품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차체(2)와 주변의 인원이나 물건 사이에 걸림을 유발할 우려가 없게 된다. 따라서 지게차(1)는 전복방지장치(10)의 적용으로 인해 주행성능이나 작업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없게 된다.
도피공간(2a)은 차체(2) 측면에 있어서 지면과 가까운 저부에 형성되어 도피공간(2a) 외부로 돌출하는 스토퍼(20)가 보다 신속하게 지면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피공간(2a)은 차체(2) 측면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 형태로 마련되고, 차체(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0)는 일단부가 도피공간(2a) 외부로 돌출이 가능하도록 도피공간(2a) 내측으로 위치하는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도피공간(2a)에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20)는 몸체(21)와, 몸체(21)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체결편(22)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편(22)은 몸체(21) 단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장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체결편(22)에는 결합공(22a)이 형성되고, 결합공(22a)에는 도피공간(2a)에 결합하는 힌지축(20a)이 체결될 수 있다. 힌지축(20a)은 스토퍼(20)의 회전중심을 이루고, 스토퍼(20)는 힌지축(20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몸체(21)가 도피공간(2a) 외부로 돌출되거나 도피공간(2a)에 수용될 수 있다.
스토퍼(20)는 도피공간(2a) 외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몸체(21)가 도피공간(2a)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자세를 유지하고, 도피공간(2a) 내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도피공간(2a)에 수용되는 도피자세를 이룰 수 있다. 돌출자세에서 스토퍼(20)는 차체(2)와 직교하고, 도피자세의 스토퍼(20)는 차체(2)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복방지장치(10)는 차체(2)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센서(30)와, 스토퍼(20)를 도피공간(2a) 외부로 돌출시키는 구동부(40)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30)를 통해 차체(2)의 차체의 기울어짐이 감지될 경우, 구동부(40)는 센서(30)를 통해 감지되는 차체(2)의 기울어짐 감지신호를 기초로 스토퍼(20)를 돌출자세가 되도록 도피공간(2a) 외부로 회전시킬 수 있다. 스토퍼(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40)의 동작은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센서(30)는 차체(2)의 기울기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와 하중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중센서의 경우, 차체(2)가 한 쪽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차체(2)의 부위별 하중 차이를 감지하여 차체(2)의 기울어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동부(40)는 스토퍼(20)를 돌출자세를 이루는 회전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0)와, 스토퍼(20)의 회전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회전단속유닛(6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50)는 일단이 스토퍼(20)에 고정되고 타단이 도피공간(2a) 쪽의 차체(2)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51)을 포함할 수 있다. 토션스프링(51)의 양 단부 사이는 힌지축(20a) 둘레에 끼워질 수 있다. 토션스프링(51)은 스토퍼(20)가 도피자세를 이룬 상태에서 탄성변형 되고, 스토퍼(20)는 토션스프링(51)의 복원력을 통해 돌출자세를 이루도록 회전할 수 있다.
회전단속유닛(60)은 도피자세로 스토퍼(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스토퍼(20)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회전이 허용된 스토퍼(20)는 토션스프링(51)의 복원력을 통해 돌출자세를 이루도록 회전할 수 있다.
회전단속유닛(60)은 스토퍼(20)의 회전중심과 동심을 이루어 스토퍼(20)와 함께 회전하는 래칫부재(61)와, 래칫부재(61) 외주에 형성되는 래칫기어(61a)에 걸림 가능하게 마련되는 폴부재(62)와, 폴부재(62)를 래칫기어(61a)에 걸리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63)와, 폴부재(62)와 래칫기어(61a) 사이의 걸림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폴부재(62)를 가압하는 구동기(64)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칫부재(61)는 결합공(22a)과 동심을 이루도록 스토퍼(20) 한 쪽의 체결편(22)에 고정되고, 폴부재(62)는 래칫부재(61)의 외주 일측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피공간(2a)의 상부 일측 내면에는 폴부재(6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핀(62a)이 마련되고, 가압부재(63)는 폴부재(62)를 래칫기어(61a)에 걸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력적으로 끌어당기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63)는 일단이 폴부재(62)에 연결되고, 가압부재(63)의 타단은 도피공간(2a)의 상부 타측 내면에 마련되는 지지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기(64)는 솔레노이드밸브(64a)를 포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밸브(64a)는 코일체(64b)와, 코일체(64b)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 코일체(64b)와의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폴부재(62)를 래칫기어(61a)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도록 가압하는 플런저(64c)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기(64)는 폴부재(62)와 래칫기어(61a) 사이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와, 모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구동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복방지장치(10)는 다음과 같이 동작될 수 있다.
지게차(1)가 주행하거나 물건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차체(2)가 기울어지면, 이를 감지한 센서(30)는 제어부(70)로 차체(2)의 기울어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70)는 코일체(64b)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솔레노이드밸브(64a)를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64a)의 플런저(64c)는 폴부재(62)와 래칫기어(61a) 사이의 걸림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폴부재(62)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피자세를 유지하고 있던 스토퍼(20)는 탄성부재(50)의 복원력을 통해 돌출자세를 이루도록 도피공간(2a) 외부로 회전하여 차체(2)와 지면 사이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차체(2)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코일체(64b)에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되면, 가압부재(63)의 복원력에 의해 폴부재(62)는 다시 래칫기어(61a)에 걸리도록 회전하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도피공간(2a) 안쪽으로 회전하도록 스토퍼(20)를 수동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스토퍼(20)는 본래의 도피자세를 이루도록 도피공간(2a) 내측으로 위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피공간(2a)은 차체(2)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전복방지장치(10)는 차체(2) 양쪽의 도피공간(2a)에 각각 설치되어 차체(2)가 양 쪽 측방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피공간(2a)에는 복수 개의 스토퍼(20)가 설치되고, 복수의 스토퍼(20)는 차체(2)가 기울어질 경우 도피공간(2a) 외부로 동시에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차체(2)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피공간(2a)에는 각각 한 쌍의 스토퍼(20)가 설치되고, 각 스토퍼(20)가 위치하는 도피공간(2a) 내측에는 전술한 구동부(40)가 개별적으로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토퍼(20)는 도피공간(2a)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차체(2)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스토퍼(20)는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돌출자세를 유지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보다 더 넓은 영역에 걸쳐 지면과 차체(2) 사이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스토퍼(20)는 도피공간(2a)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 쪽에 회전중심이 위치하도록 도피공간(2a)에 설치될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방지장치(10)의 일 변형예가 도시된 도 도 10과 같이, 한 쌍의 스토퍼(20)는 도피공간(2a)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호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돌출자세에서 상호 지지되는 한 쌍의 스토퍼(20)는 상호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차체(2)와 지면 사이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스토퍼(20)는 도피공간(2a)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회전중심이 위치하도록 도피공간(2a)에 설치될 수 있다.
도피공간(2a)의 형태와 전복방지장치(10)의 구성이 전술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피공간(2a)과 전복방지장치(10)는 도피공간(2a)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20)가 차체의 기울어짐에 따라 도피공간(2a) 외부로 돌출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방자징치(10′)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복방지장치(10′)는 스토퍼(20′)를 구비하고, 스토퍼(20′)는 적어도 일단부가 도피공간(2a′) 외부로 돌출이 가능하도록 도피공간(2a′)에 차체(2)의 폭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피공간(2a′)은 차체(2)의 저부 내측에 차체(2)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전복방지장치(10′)의 구동부(40′)는 스토퍼(20′)를 양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40′)는 스토퍼(20′)에 형성되는 랙기어(41)와, 랙기어(41)와 이물림되는 피니언기어(42)와, 피니언기어(42)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기(4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기(43)는 피니언기어(42)를 양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모터(43a)로 구성되고, 모터(43a)의 동작은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스토퍼(20′)는 피니언기어(42)의 양쪽으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토퍼(20′)가 피니언기어(42)의 회전에 의해 함께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랙기어(41)는 한 쌍의 스토퍼(2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토퍼(20′)는 피니언기어(42)가 회전함에 따라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스토퍼(20′)는 차체(2)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외부로 함께 돌출이 가능하게 되어 양쪽 측방으로 차체(2)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복방지장치(10′)는 다음과 같이 동작될 수 있다.
지게차(1)가 주행하거나 물건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차체(2)가 기울어지면, 이를 감지한 센서(30)는 제어부(70)로 차체의 기울어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70)는 모터(43a)를 구동시켜 피니언기어(4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피자세를 유지하고 있던 한 쌍의 스토퍼(20′)는 피니언기어(42)와 맞물리는 랙기어(41)의 동작에 따라 일단부가 도피공간(2a′) 외부로 돌출하도록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피공간(2a) 외부로 돌출된 스토퍼(20′)는 차체(2)와 지면 사이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차체(2)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체(2)의 전복이 방지되면, 제어부(70)는 피니언기어(42)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43a)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스토퍼(20′)는 도피공간(2a′)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슬라이딩 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1: 지게차 2: 차체
2a: 도피공간 10: 전복방지장치
20: 스토퍼 30: 센서
40: 구동부 50: 탄성부재
60: 회전단속유닛 61: 래칫부재
61a: 래칫기어 62: 폴부재
63: 가압부재 64: 구동기

Claims (11)

  1. 차체에 형성되는 도피공간; 및
    상기 도피공간에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차체가 기울어질 경우 상기 스토퍼를 상기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전복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산업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피공간에는 상기 스토퍼 복수 개가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스토퍼는 상기 차체가 기울어질 경우, 상기 도피공간 외부로 동시에 돌출되는 산업차량.
  3. 제 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스토퍼는 상기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산업차량.
  4. 제 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스토퍼는 상기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호 지지되는 산업차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일단부가 상기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도피공간 내측으로 위치하는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
    상기 스토퍼를 상기 일단부가 상기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하는 회전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스토퍼의 회전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회전단속유닛을 포함하는 산업차량.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단속유닛은,
    상기 스토퍼의 회전중심과 동심을 이루어 상기 스토퍼와 함께 회전하고, 외주에 래칫기어를 구비하는 래칫부재;
    상기 래칫기어에 걸림 가능하게 마련되는 폴부재;
    상기 폴부재를 랫칫기어에 걸리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폴부재와 래칫기어 사이의 걸림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폴부재를 가압하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산업차량.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방지장치는 상기 차체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차체의 기울어짐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스토퍼를 상기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시키는 산업차량.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피공간은 상기 차체의 저부 측면에 상기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산업차량.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도피공간 외부로 돌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도피공간에 상기 차체의 폭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토퍼를 상기 양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산업차량.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토퍼에 형성되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와 이물림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산업차량.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피공간은 상기 차체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복방지장치는 양쪽의 상기 도피공간에 각각 마련되는 산업차량.
KR1020220134855A 2022-10-19 2022-10-19 산업차량 KR20240054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855A KR20240054638A (ko) 2022-10-19 2022-10-19 산업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855A KR20240054638A (ko) 2022-10-19 2022-10-19 산업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638A true KR20240054638A (ko) 2024-04-26

Family

ID=9088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855A KR20240054638A (ko) 2022-10-19 2022-10-19 산업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46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25478B1 (en) Reach type fork lift
EP1623863B1 (en) A driver's cab for a load handling vehicle
AU708876B2 (en) Axle pivot angle detecting apparatus for industrial vehicle and industrial vehicle
US7165776B2 (en) Pivotable tray for a pallet truck
US7731206B2 (en) Fork-lift truck and kit for truck
US20180065837A1 (en) Pallet truck with brake release and lower brake zone detection mechanism
MX2010010815A (es) Dispositivo para puerta de un vehiculo pequeño.
EP2684835A1 (en) Safety gate structure for a forklift truck, or similar transport vehicle
CA1043747A (en) Overhead guard battery ballast
KR20240054638A (ko) 산업차량
JPH06100297A (ja) 前載式荷物取扱い用トラック
JP2003054887A (ja) フォークリフト
JP2551709B2 (ja) 車体が後傾する運搬車におけるリヤーバンバー装置
JP3691346B2 (ja) フォークリフト
KR20160076669A (ko) 4륜식 지게차의 스티어 액슬 구조
JP3846862B2 (ja) フォークリフト
JP3669846B2 (ja) 荷受台昇降装置付車両における安全装置
JP3904466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パレットロック装置
EP3638613A1 (en) A clamping device for a forklift and a forklift having such a clamping device
KR0128512Y1 (ko)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
JP5459732B2 (ja) サイドフォークリフト
JP2003252596A (ja) フォークリフト
KR200407509Y1 (ko) 안전한 지게차
JP2830271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アタッチメント
JP2012240547A (ja)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