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950A - 차량용 에어 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 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950A
KR20240048950A KR1020220128849A KR20220128849A KR20240048950A KR 20240048950 A KR20240048950 A KR 20240048950A KR 1020220128849 A KR1020220128849 A KR 1020220128849A KR 20220128849 A KR20220128849 A KR 20220128849A KR 20240048950 A KR20240048950 A KR 20240048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otator
damper
air vent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9968B1 (ko
Inventor
중호 맹
병조 김
진후 김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20128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9968B1/ko
Publication of KR20240048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9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9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가 유동되는 덕트, 상기 덕트의 전면부에 구비되고,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 그리드 홀이 형성된 커버, 상기 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댐퍼, 상기 커버의 후방에 겹겹이 구비되고, 공기가 안내되는 안내 그리드 홀이 형성된 두 개 이상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레이어 조립체, 두 개 이상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일단에 형성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레이어 캐리어, 회전력을 생성하는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댐퍼 또는 상기 레이어 캐리어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로테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벤트 {AIR VENT FOR VEHICLE}
본 개시는 차량용 에어 벤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멀티 레이어(multi-layer) 히든 타입의 에어 벤트로서 커버 후방으로 그리드 홀이 형성된 복수의 레이어가 겹쳐져 계단식으로 작동함에 따라 풍향을 조절하는 구조의 차량용 에어 벤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냉·난방을 위해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거나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차량 내부를 상시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공기조화장치(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가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는 우천시나 동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낮은 경우에 윈드실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및 차량 유리에 생성되는 서리나 성에 등을 제거하여 안전 운전을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외부 공기 또는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로 공급하는 내외기, 증발기 및 히터 코어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킨 후 차량 내부로 공급하는 공조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장치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공조 케이스와 연통되는 차량용 에어 벤트(air vent)를 통해 차량 내부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차량 내부가 냉·난방된다.
종래의 에어 벤트의 경우,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가 에어 벤트 외관에 노출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경우 수평 블레이드와 수직 블레이드가 모두 요구된다. 이에 따라,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 벤트의 내부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레이드가 외관상 노출되는 구조인 바 블레이드 사이 공간으로 이물질이 들어가 에어 벤트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개시의 목적은 멀티 레이어(multi-layer) 히든 타입의 에어 벤트로서 커버 후방으로 그리드 홀이 형성된 복수의 레이어가 겹쳐져 계단식으로 작동함에 따라 풍향을 조절하는 구조의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멀티 레이어 히든 타입의 에어 벤트로서 액추에이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레이어를 효과적으로 조정 가능한 구조의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측면은 공기가 유동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전면부에 구비되고,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 그리드 홀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댐퍼와, 상기 커버의 후방에 겹겹이 구비되고, 공기가 안내되는 안내 그리드 홀이 형성된 두 개 이상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레이어 조립체와, 두 개 이상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일단에 형성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레이어 캐리어와, 회전력을 생성하는 제1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댐퍼 또는 상기 레이어 캐리어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로테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한다.
상기 로테이터가 회전될 때,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댐퍼 및 상기 레이어 캐리어 중 하나에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축은 공기의 유동 방향 상에서 상기 댐퍼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의 일단은 상기 댐퍼와 결합되고, 상기 로테이터의 타단은 상기 레이어 캐리어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는 제1,2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롯에는 상기 댐퍼에 구비되는 결합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슬롯에는 상기 레이어 캐리어에 구비되는 결합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2 슬롯 각각은 상기 로테이터가 회전될 때 대응되는 결합돌기에 동력을 전달 가능한 작동구간과, 상기 작동구간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로테이터가 회전될 때 대응되는 결합돌기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비작동구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는 상기 로테이터가 회전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차량용 에어 벤트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제2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제2 액추에이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레이어 캐리어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커버 후방으로 안내 그리드 홀이 형성된 복수의 레이어가 겹쳐져 계단식으로 작동함에 따라 외관상 노출되는 별도의 블레이드가 없더라도 손쉽게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력 모듈의 조작만으로 복수의 레이어가 자동으로 조정되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고 정밀하게 에어 벤트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의 풍향 및 풍속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출 그리드 홀이 형성된 커버의 후방으로 덕트 및 복수의 레이어가 은폐됨에 따라 에어 벤트는 차량 계기판 및 주변 구성요소와 조화를 이루는 유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랑용 에어 벤트의 레이어 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가 하향 모드일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가 상향 모드일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가 폐쇄 모드일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좌우 조정 메커니즘을 상방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가 좌향 모드일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가 우향 모드일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각 도면에서 실시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가 붙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부", "하부", "좌측", "우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는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가 탑승하는 공간인 차량의 내부로 온기 및/또는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차량의 내부는 차량 실내라고 표현될 수도 있다.
차량용 에어 벤트는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의 전측 패널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에어 벤트는 운전자의 후방 또는 조수석 탑승자의 후방에 위치될 수도 있고, 그 밖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차량용 에어 벤트는 일측에서 흡기한 공기를 타측에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에어 벤트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 방향 상에서 하류 측이 전방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류 측이 후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에어 벤트는 후방 측에서 공기를 흡기하여 전방 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랑용 에어 벤트의 레이어 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가 하향 모드일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할 때, 차량용 에어 벤트(1)는 덕트(100), 커버(200), 레이어 조립체(300), 댐퍼(400), 레이어 캐리어(500), 조정 메커니즘(600,700), 및 인터페이스(1000,20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100)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도록 전방 및 후방을 향해 개방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덕트(100)는 하나의 부재가 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부재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덕트(100) 내부의 유로의 전단은 덕트(100)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덕트(100) 내부의 유로의 후단은 덕트(100)의 후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덕트(100)는 일측(예: 후면부)이 냉난방 사이클을 갖는 공조장치(미도시)와 연통될 수 있으며, 덕트(100)의 내부에는 공조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난방 사이클은, 도시하지 않은 블로어 유닛(blower unit)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차량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 코어로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 교환시킨 후, 차량 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에어 벤트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차량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냉난방 사이클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버(200)는 차량 탑승자의 시야에 닿는, 차량용 에어 벤트(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200)는 덕트(1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200)는 덕트(100)의 전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커버(200)는 덕트(100)의 전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커버(200)는 나사,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덕트(100)의 전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200)에는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 그리드 홀(F)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200)에는 유출 그리드(210)가 형성되고, 유출 그리드(210)는 허니콤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출 그리드 홀(F)은 육각형 형상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유출 그리드 홀(F)의 형상 및/또는 유출 그리드(2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출 그리드 홀(F)은 유출 그리드(210)의 구조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이어 조립체(300)는 커버(200)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레이어 조립체(300)는 커버(200)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를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레이어 조립체(300)에는 커버(200)의 유출 그리드 홀(F)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로(S)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이어 조립체(300)는 커버(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이어 조립체(300)는 덕트(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이어 조립체(300)는 덕트(100) 내부의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이어 조립체(300)는 복수의 레이어(310,320,330)와, 복수의 레이어(310,320,330)를 연결 또는 결합시키는 레이어 링크(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레이어(310,320,330)는 제1 레이어(310), 제2 레이어(320), 및 제3 레이어(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레이어는 다양한 개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이어는 복수가 아니라 제1 레이어(310) 하나로만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3 레이어(310,320,330)는 커버(200)의 후방에 겹겹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내지 3 레이어(310,320,330)는 전후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커버(200)를 기준으로, 제1 내지 3 레이어(310,320,330) 중 가장 후방에 있는 레이어가 제1 레이어(310)이고, 제1 내지 3 레이어 중 가장 전방에 있는 레이어가 제3 레이어(330)이며, 제1 레이어(310)와 제3 레이어(330) 사이에 위치된 레이어가 제2 레이어(320)일 수 있다.
각각의 레이어(310,320,330)는 레이어의 형태를 이루는 판상의 레이어 플레이트(311,321,331)와, 레이어 플레이트(311,321,331)를 관통하는 안내 그리드 홀(G)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 그리드 홀(G)은 전후 방향으로 레이어 플레이트(311,321,331)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레이어(310)의 안내 그리드 홀(G)은 제1 안내 그리드 홀이라고 지칭될 수 있고, 제2 레이어(320)의 안내 그리드 홀(G)은 제2 안내 그리드 홀이라고 지칭될 수 있고, 제3 레이어(330)의 안내 그리드 홀(G)은 제3 안내 그리드 홀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1 내지 3 안내 그리드 홀(G)은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레이어(310,320,330)에 있어서 안내 그리드 홀들 사이의 레이어 플레이트(311,321,331) 부분을 안내 그리드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면에는 허니콤 구조의 안내 그리드 및 육각형 형상의 안내 그리드 홀(G)을 갖는 레이어(310,320,33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안내 그리드 및 안내 그리드 홀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레이어(310,320,330)가 겹겹이 구비됨에 따라 안내 그리드 홀(G)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오버랩되어 공기 유로(S)를 형성할 수 있다. 레이어들(310,320,330)이 겹겹이 구비됨에 따라 덕트(100)의 내부 전방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 유로(S)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3 안내 그리드 홀(G)이 오버랩되어 공기 유로(S)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3 안내 그리드 홀(G)의 배열에 따라 공기 유로(S)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안내 그리드 홀(G)의 배열이 변경됨에 따라 공기 유로(S)의 형상이 변형되면 공기 유로(S) 및 커버(200)를 통해 유출되는 기류의 방향 역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1 레이어(310)는 레이어 플레이트(311)에서 돌출되고 후술하는 조정 메커니즘(600,700)과 연결되는 체결부(312,314)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12,314)는 복수의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12,314)는 레이어 플레이트(311)의 좌우 측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체결부(314)와, 레이어 플레이트(311)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2 체결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314)는 상하 조정 메커니즘(600)과 결합되는 레이어 캐리어(500)와 결합될 수 있고, 제2 체결부(312)는 좌우 조정 메커니즘(7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체결부(314)와 제2 체결부(312) 각각은 샤프트에 해당될 수 있다.
레이어 링크(340)는 복수의 레이어(310,320,330)를 연결시켜주는 부재로서 하나 또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레이어(310,320,330) 일 측 또는 양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레이어 링크(340)는 레이어들(310,320,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어 링크(340)는 제1 레이어(310)와 제2 레이어(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이어 링크(34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크 바디(341)와, 링크 바디(341)의 일면(예: 후면)에서 돌출되는 제1 돌기(342)와, 링크 바디(341)의 타면(예: 전면)에서 돌출되는 제2 내지 4 돌기(343,344,3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342)는 제1 레이어(310)와 결합될 수 있고, 제2 돌기(343)는 제2 레이어(320)와 결합될 수 있고, 제3 돌기(344)는 제3 레이어(330)와 결합될 수 있고, 제4 돌기(345)는 커버(2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돌기(342)는 레이어 링크(340)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4 돌기(345)는 레이어 링크(34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및 3 돌기(343,344)는 제1 돌기(342)와 제4 돌기(34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4 돌기(342,343,344,345) 순서대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기(342)는 제1 레이어(310)의 좌우 방향 측단에 형성된 홀(313)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돌기(343)는 제2 레이어(320)의 좌우 방향 측단에 형성된 홀(323)에 삽입될 수 있고, 제3 돌기(344)는 제2 레이어(320)의 하단 모서리에 형성된 절개부(322)를 통과하여 제3 레이어(330)의 좌우 방향 측단에 형성된 홀(333)에 삽입될 수 있고, 제4 돌기(345)는 제3 레이어(330)의 하단 모서리에 형성된 절개부(332)를 통과하여 커버(200)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커버(200)는 제4 돌기(345)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브라켓(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이어(310)의 홀(313), 제3 레이어(330)의 홀(333), 커버(200)의 홀은 좌우 방향 폭보다 상하 방향 길이가 더 큰 장공일 수 있고, 제1 돌기(342), 제3 돌기(344), 제4 돌기(345)는 대응되는 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레이어들(310,320,330)의 홀(313,323,333) 및 커버(200)의 홀의 좌우 방향 폭은 대응되는 돌기들(342,343,344,345)의 직경과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댐퍼(400)는 덕트(100)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댐퍼(400)는 덕트(100)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댐퍼(400)는 덕트(100)의 유로를 흐르는 기류를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다. 댐퍼(400)는 덕트(100)의 유로를 흐르는 기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댐퍼(400)는 덕트(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400)는 덕트(100)의 내부에서 덕트(100)의 후면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400)는 덕트(100) 내부의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400)는 덕트(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댐퍼(400)는 레이어 조립체(300)보다 덕트(400) 내부를 흐르는 기류의 상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댐퍼(400)는 덕트(100)를 통하여 레이어 조립체(300)를 향하는 공기의 세기 및/또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댐퍼(400)는 덕트(100) 내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판상의 댐퍼 플레이트(410)와, 댐퍼 플레이트(410)에 후술하는 조정 메커니즘(600,700)의 동력을 전달하는 댐퍼 링크(42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 플레이트(410)와 댐퍼 링크(420)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댐퍼 플레이트(410)와 댐퍼 링크(420)는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댐퍼 플레이트(41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댐퍼(400)의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고, 회전축에 의해 덕트(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댐퍼(400)의 회전축은 댐퍼 플레이트(410)의 중심을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댐퍼(400)(또는, 댐퍼 플레이트(41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덕트(100)(또는, 덕트(100) 내부 유로)의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댐퍼 링크(420)는 댐퍼(400)의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댐퍼 링크(420)는 일단(예: 후단)이 댐퍼 플레이트(410)에 형성된 댐퍼(400)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댐퍼(4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랭크암과, 크랭크암의 타단(예: 전단)에 연결되고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42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421)는 댐퍼(400)의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게 위치될 수 있다.
댐퍼(400)는 댐퍼 링크(420)의 결합돌기(421)를 통하여 상하 조정 메커니즘(600)의 로테이터(610)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이어 캐리어(500)는 후술하는 조정 메커니즘(600,700)의 동력을 레이어 조립체(300)에 전달하는 부재로서, 레이어들(310,320,33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어 캐리어(500)는 제1 레이어(310)에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레이어 캐리어(50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510)와, 수평부(510)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된 양 측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어 캐리어(500)의 측부(520)에는 최후방 레이어인 제1 레이어(310)의 제1 체결부(314)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슬롯(521)과, 덕트(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샤프트 돌기(522)와, 상하 조정 메커니즘(600)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523)가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레이어 캐리어(500)는 체결슬롯(521)과, 샤프트 돌기(522)와, 결합돌기(523)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돌기(522)와 체결슬롯(521)은 양 측부(520) 모두에 형성될 수 있고, 결합돌기(523)는 양 측부(5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레이어 캐리어(500)는 샤프트 돌기(522)를 통해 덕트(100)와 결합되고, 체결슬롯(521)을 통해 최후방 레이어인 제1 레이어(310)와 결합되고, 결합돌기(523)를 통해 상하 조정 메커니즘(600)의 로테이터(610)에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 돌기(522)는 레이어 캐리어(500)(또는, 측부(520))의 일단(예: 전단)에 형성될 수 있고, 레이어 캐리어(50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슬롯(521)은 측부(52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폭이 그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폭보다 긴 장공에 해당될 수 있다. 체결슬롯(521)에 삽입된 결합돌기(314)는 측부(520)의 연장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체결슬롯(521)은 샤프트 돌기(522)와 결합돌기(5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돌기(523)는 샤프트 돌기(522)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돌기(523)는 수평부(510)의 좌우 방향 연장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조정 메커니즘(600,700)은 덕트(100)를 유동하여 커버(200)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정 메커니즘(600,700)은 덕트(100)를 유동하여 커버(200)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를 단속할 수 있다. 조정 메커니즘(600,700)은 레이어 캐리어(500)를 매개로 레이어 조립체(300)에 연결될 수 있다. 조정 메커니즘(600,700)은 댐퍼(400) 및/또는 레이어 조립체(300) 및/또는 레이어 캐리어(5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조정 메커니즘(600,700)은 커버(20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상하 조정 메커니즘(600)과, 커버(20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조정하는 좌우 조정 메커니즘(7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하 조정 메커니즘(600)과 좌우 조정 메커니즘(700) 중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하 조정 메커니즘(600)과 좌우 조정 메커니즘(700)은 동시에 작동할 수도 있고 따로따로 작동할 수도 있다.
상하 조정 메커니즘(600)은 제1 액추에이터(620)와 로테이터(6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620)는 동력 또는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서보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액추에이터(620)는 로테이터(610)에 토크를 인가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라도 상관없다.
제1 액추에이터(620)는 시계 방향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또는 반시계 방향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620)는 그 회전축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테이터(610)는 제1 액추에이터(620)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로테이터(61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로테이터(610)는 제1 액추에이터(620)의 동력을 댐퍼(400) 또는 레이어 캐리어(50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이들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로테이터(610)는 제1 액추에이터(620)의 동력을 레이어 캐리어(500)를 매개로 레이어 조립체(300)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로테이터(610)는 댐퍼 링크(420) 및 레이어 캐리어(500)와 결합될 수 있다. 로테이터(610)는 댐퍼 링크(4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로테이터(610)는 레이어 캐리어(5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로테이터(610)에 의하여 댐퍼 링크(420)는 댐퍼 플레이트(4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로테이터(610)에 의하여 레이어 캐리어(500)는 샤프트 돌기(522)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레이어 캐리어(500)는 회동함과 동시에 제1 레이어(3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로테이터(610)는 로테이터(610)의 형상을 이루고 로테이터(610)의 회전축(R)이 형성된 로테이터 바디(610a)와, 로테이터 바디(610a)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슬롯(611)과, 로테이터 바디(610a)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2 슬롯(6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롯(611)과 제2 슬롯(612)은 로테이터(610)의 회전축(R)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로테이터(610)는 덕트(100) 내부의 공기의 유동 방향 상에서(또는, 전후 방향 상에서) 댐퍼(400)와 레이어 조립체(300)(또는, 레이어 캐리어(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로테이터(610)의 회전축(R)은 덕트(100) 내부의 공기의 유동 방향 상(또는, 전후 방향 상에서) 에서 댐퍼(400)와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310,320,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슬롯(611,612)에는 결합돌기(421,523)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슬롯(611)에는 댐퍼(400)의 결합돌기(421)가 삽입될 수 있고, 제2 슬롯(612)에는 레이어 캐리어(500)의 결합돌기(523)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슬롯(611)에 삽입되는 댐퍼(400)의 결합돌기(421)를 제1 결합돌기(421)라고 지칭할 수 있고, 제2 슬롯(612)에 삽입되는 레이어 캐리어(500)의 결합돌기(523)를 제2 결합돌기(523)라고 지칭할 수 있다. 결합돌기들(421,523)은 각각 대응되는 슬롯(611,612)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제1,2 슬롯(611,612) 각각은 로테이터(610)가 회전될 때 대응되는 결합돌기(421,523)에 동력을 전달 가능한 작동구간(611a,612a)과, 작동구간(611a,612a)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로테이터(610)가 회전될 때 대응되는 결합돌기(421,623)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비작동구간(611b,612b)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슬롯(611)은 제1 결합돌기(421)가 그 내부에 위치될 때 제1 결합돌기(421)에 동력 또는 회전력을 전달 가능한 제1 작동구간(611a)과, 제1 결합돌기(421)가 그 내부에 위치될 때 제1 결합돌기(421)에 동력 또는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 제1 비작동구간(6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롯(612)은 제2 결합돌기(523)가 그 내부에 위치될 때 제2 결합돌기(523)에 동력 또는 회전력을 전달 가능한 제2 작동구간(612a)과, 제2 결합돌기(523)가 그 내부에 위치될 때 제2 결합돌기(523)에 동력 또는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 제2 비작동구간(6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작동구간(611b)은 로테이터(610)의 회전축(R)을 중심으로 하는 제1 원주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1 작동구간(611a)은 제1 비작동구간(611b)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로테이터(610)의 회전축(R)을 향해 제1 원주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비작동구간(612b)은 로테이터(610)의 회전축(R)을 중심으로 하는 제2 원주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2 작동구간(612a)은 제2 비작동구간(612b)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로테이터(610)의 회전축(R)을 향해 제2 원주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2 원주는 동심이나, 제1,2 원주의 직경은 서로 다를 수도 있고 같을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가 하향 모드일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가 상향 모드일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가 폐쇄 모드일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상하 조정 메커니즘(600)의 동작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차량용 에어 벤트(1)는 공기를 전후 방향에 나란하고 수평하게 토출하는 중립 모드, 공기를 하방으로 토출하는 하향 모드, 공기를 상방으로 토출하는 상향 모드, 및 공기를 토출하지 않는 폐쇄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차량용 에어 벤트(1)는 이러한 모드들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중립 모드일 때 안내 그리드 홀(G)은 모두 동일한 높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치하게 겹쳐진 상태일 수 있다.
차량용 에어 벤트(1)가 중립 모드 또는 상향 모드일 때, 차량용 에어 벤트(1)는 로테이터(61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하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용 에어 벤트(1)가 하향 모드일 때, 제1 결합돌기(421)는 제1 비작동구간(611b)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결합돌기(523)는 제2 작동구간(612a)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1,2 슬롯(611,6112) 각각에서 로테이터(610)의 회전축(R)과 인접한 작동구간(611a,612a) 내의 일 지점을 제1 위치(P1,Q1), 비작동구간(611b,612b)의 하단이자 작동구간(611a,612a)의 외측단으로서 작동구간(611a,612a)과 비작동구간(611b,612b)이 연결되는 지점을 제2 위치(P2,Q2), 비작동구간(611b,612b) 내의 상단측 일 지점(또는 상단)을 제3 위치(P3,Q3)라고 할 수 있다.
중립 모드 또는 상향 모드에서 하향 모드로 전환될 때, 제1 결합돌기(421)는 제1 비작동구간(611b) 내에서 제3 위치(Q3)를 향해 이동되며, 제2 결합돌기(523)는 레이어 캐리어(500)의 회동에 따라 제2 작동구간(612a) 내에서 제1 위치(P1)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421)가 제1 비작동구간(611b)의 상단에 걸려 더 이상 로테이터(610)가 회전되지 않을 때, 제2 결합돌기(523)는 제2 작동구간(612a) 내부의 제1 위치(P1)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이때 제1 결합돌기(421)는 덕트(100)에 대하여 정지된 상태이며, 제1 결합돌기(421)의 제1 슬롯(611) 내부에서의 이동은 로테이터(61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제1 슬롯(611)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일 뿐이다.
차량용 에어 벤트(1)가 중립 모드 또는 상향 모드에서 하향 모드로 전환될 때, 제1 결합돌기(421)는 제1 비작동구간(611b) 내에 위치되게 되므로, 제1 액추에이터(620)의 동력 또는 회전력은 댐퍼(400)로 전달되지 않는다. 반면에, 제2 결합돌기(523)는 제2 작동구간(612a) 내에 위치되게 되므로 제1 액추에이터(620)의 동력 또는 회전력은 레이어 캐리어(500)로 전달되게 된다. 제2 작동구간(612a)의 내면에 의하여 제2 결합돌기(523)는 가압될 수 있고, 제2 작동구간(612a)의 내면에 의한 가압으로 레이어 캐리어(500)는 상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하향 모드일 때, 댐퍼(400)는 열린 상태로 유지되며 회전되지 않는다. 복수의 레이어(310,320,330)는 상방으로 계단식으로 이동하면서 공기 유로(S)의 형상을 변형하며, 공기 유로(S)는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하향하게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로(S)를 통과하는 공기는 하향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레이어(310,320,330)는 로테이터(510)에 의하여 회동되는 레이어 캐리어(500)에 의하여 제1 레이어(310), 제2 레이어(320), 및 제3 레이어(330)는 순서대로 상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로테이터(610)에 의하여 회동되는 레이어 캐리어(500)는 제1 레이어(3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제1 레이어(310)에 결합된 레이어 링크(340)는 제1 레이어(310)와 함께 이동되며, 레이어 링크(340)에 결합된 제2,3 레이어(320,330) 역시 제1 레이어(310) 및 레이어 링크(340)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된다. 제1 내지 3 레이어(310,320,330) 각각의 상방으로의 이동 변위는 레이어 링크(340)가 결합된 홀의 형상에 의하여 상이하게 되며, 제1 레이어(310)가 도달하는 높이가 가장 높고 제1 내지 3 레이어(310,320,330) 순서대로 도달하는 높이가 낮아진다. 이에 따라, 중립 모드일 때 서로 오버랩 되는 제1 내지 3 안내 그리드 홀(G)은 하향 모드일 때 순서대로 위치되는 높이가 낮아지며, 제1 내지 3 안내 그리드 홀(G)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 유로(S)는 전방으로 갈수록 아래를 향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변형된다.
차량용 에어 벤트(1)가 중립 모드 또는 하향 모드일 때, 차량용 에어 벤트(1)는 로테이터(610)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용 에어 벤트(1)가 상향 모드일 때, 제1 결합돌기(421)는 제1 비작동구간(611b)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결합돌기(523)는 제2 작동구간(612a)에 위치될 수 있다.
중립 모드 또는 하향 모드에서 상향 모드로 전환될 때, 제1 결합돌기(421)는 제1 비작동구간(611b) 내에서 제2 위치(Q2)를 향해 이동되며, 제2 결합돌기(523)는 레이어 캐리어(500)의 회동에 따라 제2 작동구간(612a) 내에서 제2 위치(P2)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이때 제1 결합돌기(421)는 덕트(100)에 대하여 정지된 상태이며, 제1 결합돌기(421)의 제1 슬롯(611) 내부에서의 이동은 로테이터(61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제1 슬롯(611)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일 뿐이다.
차량용 에어 벤트(1)가 중립 모드 또는 하향 모드에서 상향 모드로 전환될 때, 제1 결합돌기(421)는 제1 비작동구간(611b) 내에 위치되게 되므로, 제1 액추에이터(620)의 동력 또는 회전력은 댐퍼(400)로 전달되지 않는다. 반면에, 제2 결합돌기(523)는 제2 작동구간(612a) 내에 위치되게 되므로 제1 액추에이터(620)의 동력 또는 회전력은 레이어 캐리어(500)로 전달되게 된다. 제2 작동구간(612a)의 내면에 의하여 제2 결합돌기(523)는 가압될 수 있고, 제2 작동구간(612a)의 내면에 의한 가압으로 레이어 캐리어(500)는 하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향 모드일 때, 댐퍼(400)는 열린 상태로 유지되며 회전되지 않는다. 복수의 레이어(310,320,330)는 하방으로 계단식으로 이동하면서 공기 유로(S)의 형상을 변형하며, 공기 유로(S)는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상향하게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로(S)를 통과하는 공기는 하향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레이어(310,320,330)는 로테이터(610)에 의하여 회동되는 레이어 캐리어(500)에 의하여 제1 레이어(310), 제2 레이어(320), 및 제3 레이어(330) 순서대로 하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로테이터(610)에 의하여 회동되는 레이어 캐리어(500)는 제1 레이어(31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제1 레이어(310)에 결합된 레이어 링크(340)는 제1 레이어(310)와 함께 이동되며, 레이어 링크(340)에 결합된 제2,3 레이어(320,330) 역시 제1 레이어(310) 및 레이어 링크(340)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된다. 제1 내지 3 레이어(310,320,330) 각각의 하방으로의 이동 변위는 레이어 링크(340)가 결합된 홀의 형상에 의하여 상이하게 되며, 제1 레이어(310)가 도달하는 높이가 가장 낮고 제1 내지 3 레이어(310,320,330) 순서대로 도달하는 높이가 높아진다. 이에 따라, 중립 모드일 때 서로 오버랩 되는 제1 내지 3 안내 그리드 홀(G)은 상향 모드일 때 순서대로 위치되는 높이가 높아지며, 제1 내지 3 안내 그리드 홀(G)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 유로(S)는 전방으로 갈수록 위를 향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변형된다.
차량용 에어 벤트(1)가 중립 모드, 하향 모드, 및 상향 모드 중 하나일 때 차량용 에어 벤트(1)는 로테이터(61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폐쇄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에어 벤트(1)가 상향 모드일 때, 로테이터(610)가 추가적으로 제2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폐쇄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용 에어 벤트(1)가 폐쇄 모드일 때, 제1 결합돌기(421)는 제1 작동구간(611a)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결합돌기(523)는 제2 비작동구간(611b)에 위치될 수 있다.
상향 모드에서 폐쇄 모드로 전환될 때, 제1 결합돌기(421)는, 댐퍼 링크(420)의 회전에 따라 제2 위치(Q2)로부터 제1 작동구간(611a) 내에서 제1 위치(Q1)를 향해 이동되며, 제2 결합돌기(523)는 제2 위치(P2)로부터 제2 비작동구간(612b) 내에서 제3 위치(P3)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이때 제2 결합돌기(523)는 덕트(100)에 대하여 정지된 상태이며, 제2 결합돌기(523)의 제2 슬롯(612) 내부에서의 이동은 로테이터(61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제2 슬롯(612)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일 뿐이다.
차량용 에어 벤트(1)가 상향 모드에서 폐쇄 모드로 전환될 때, 제1 결합돌기(421)는 제1 작동구간(611a) 내에 위치되게 되므로, 제1 액추에이터(620)의 동력 또는 회전력은 댐퍼(400)로 전달된다. 반면에, 제2 결합돌기(523)는 제2 비작동구간(612b) 내에 위치되게 되므로 제1 액추에이터(620)의 동력 또는 회전력은 레이어 캐리어(500)로 전달되지 않는다. 레이어 캐리어(500)에 제1 액추에이터(620)의 동력 또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음에 따라 레이어 캐리어(500)가 움직이지 않으므로 레이어 조립체(300) 역시 이동되지 않는다. 제1 작동구간(611a)의 내면에 의하여 제1 결합돌기(421)는 가압될 수 있고, 제1 작동구간(611a)의 내면에 의한 가압으로 댐퍼(400)는 회전될 수 있다.
폐쇄 모드일 때, 복수의 레이어(310,320,330)는 상향 모드일 때의 상태를 유지하며, 댐퍼(400)는 회전되어 덕트(100)를 폐쇄할 수 있다.
폐쇄 모드에서, 로테이터(61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차량용 에어 벤트(1)는 다시 상향 모드로 전환되며, 댐퍼(400)는 덕트(100)를 개방하게 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좌우 조정 메커니즘을 상방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8을 참조할 때, 좌우 조정 메커니즘(700)은 제2 액추에이터(720)와 액추에이터 링크(7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720)는 동력 또는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서보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액추에이터(720)는 액추에이터 링크(710)에 토크를 인가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라도 상관없다.
제2 액추에이터(720)는 시계 방향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또는 반시계 방향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7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액추에이터 링크(710)는 제2 액추에이터(720)의 동력 또는 회전력을 레이어 조립체(300)에 전달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 링크(710)는 제2 액추에이터(720)에 의하여 회동되며, 레이어 조립체(30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 또는 변형시킬 수 있다. 액추에이터 링크(710)의 일단(예: 후단)에는 액추에이터 링크(710)의 회전축이 형성되며 액추에이터 링크(710)의 타단(예: 전단)에는 제1 레이어(310)의 제2 체결부(312)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레이어(310)의 제2 체결부(312)는 덕트(10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개구(312a)를 통과하여 상단이 덕트(100) 외부에 노출될 수 있고, 액추에이터 링크(710)는 제2 체결부(312)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 링크(710)의 회전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액추에이터 링크(71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스윙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가 좌향 모드일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가 우향 모드일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좌우 조정 메커니즘(700)의 동작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차량용 에어 벤트(1)는 공기를 좌방으로 토출하는 좌향 모드와, 공기를 우방으로 토출하는 우향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차량용 에어 벤트(1)는 이러한 모드들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 조정 메커니즘(600)에서 설명하였던 중립 모드에서 좌향 모드 또는 우향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고, 좌향 모드에서 우향 모드로 또는 우향 모드에서 좌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용 에어 벤트(1)가 중립 모드 또는 우향 모드일 때, 차량용 에어 벤트(1)는 액추에이터 링크(710)가 제1 방향(예: 우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좌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좌향 모드일 때, 댐퍼(400)는 열린 상태일 수도 있고 닫힌 상태일 수도 있다. 복수의 레이어(310,320,330)는 우측으로 계단식으로 이동하면서 공기 유로(S)의 형상을 변형하며, 공기 유로(S)는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좌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로(S)를 통과하는 공기는 좌향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에어 벤트(1)가 좌향 모드로 전환될 때, 제1 레이어(31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 또는 병진될 수 있다. 이때 제1 레이어(310)의 제1 체결부(314)는 체결슬롯(521)에 삽입된 상태로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제1 레이어(31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제1 레이어(310)에 결합된 레이어 링크(340)의 상단부도 제1 레이어(310)와 함께 우측으로 이동되며 레이어 링크(340)는 커버(200)에 결합된 제4 돌기(345)를 회전축으로 하여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회동될 수 있다. 레이어 링크(340)의 회동 또는 기울어짐과 함께, 레이어 링크(340)와 결합된 제2 및 3 레이어(320,330) 역시 우측으로 이동 또는 병진될 수 있다. 제1 내지 3 레이어(310,320,330) 각각의 우측으로의 이동 변위는 상이하게 되며, 제1 레이어(310)가 가장 우측으로의 이동 변위가 크며, 제2 및 3 레이어(320,330) 순서대로 우측으로의 이동 변위가 작아진다. 이에 따라, 중립 모드일 때 서로 오버랩되는 제1 내지 3 안내 그리드 홀(G)은 좌향 모드일 때 제1 레이어(310)에서 제3 레이어(330)로 갈수록 제2,3 안내 그리드 홀이 제1 안내 그리드 홀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좌측으로 치우쳐지게 배열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3 안내 그리드 홀(G)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 유로(S)는 전방으로 갈수록 좌측을 향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변형된다.
차량용 에어 벤트(1)가 중립 모드 또는 좌향 모드일 때, 차량용 에어 벤트(1)는 액추에이터 링크(710)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예: 좌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우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우향 모드일 때, 댐퍼(400)는 열린 상태일 수도 있고 닫힌 상태일 수도 있다. 복수의 레이어(310,320,330)는 좌측으로 계단식으로 이동하면서 공기 유로(S)의 형상을 변형하며, 공기 유로(S)는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우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로(S)를 통과하는 공기는 우향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에어 벤트(1)가 우향 모드로 전환될 때, 제1 레이어(310)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 또는 병진될 수 있다. 이때 제1 레이어(310)의 제1 체결부(314)는 체결슬롯(521)에 삽입된 상태로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제1 레이어(31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제1 레이어(310)에 결합된 레이어 링크(340)의 상단부도 제1 레이어(310)와 함께 좌측으로 이동되며 레이어 링크(340)는 커버(200)에 결합된 제4 돌기(345)를 회전축으로 하여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회동될 수 있다. 레이어 링크(340)의 회동 또는 기울어짐과 함께, 레이어 링크(340)와 결합된 제2 및 3 레이어(320,330) 역시 좌측으로 이동 또는 병진될 수 있다. 제1 내지 3 레이어(310,320,330) 각각의 좌측으로의 이동 변위는 상이하게 되며, 제1 레이어(310)가 가장 좌측으로의 이동 변위가 크며, 제2 및 3 레이어(320,330) 순서대로 좌측으로의 이동 변위가 작아진다. 이에 따라, 중립 모드일 때 서로 오버랩되는 제1 내지 3 안내 그리드 홀(G)은 우향 모드일 때 제1 레이어(310)에서 제3 레이어(330)로 갈수록 제2,3 안내 그리드 홀이 제1 안내 그리드 홀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우측으로 치우쳐지게 배열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3 안내 그리드 홀(G)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 유로(S)는 전방으로 갈수록 우측을 향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변형된다.
차량용 에어 벤트(1)는 인터페이스(1000,2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000,2000)는 출력 모듈(1000)과 입력 모듈(2000)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모듈(1000)은 디스플레이(1100) 및/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출력 모듈(1000)은 현재 풍향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 모듈(1000)은 입력 수단(11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수단(1100)은 버튼, 스위치, 및 이미지 스위치를 출력하는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수단(1100)은 사용자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000)은 차량용 에어 벤트(1)의 다양한 모드들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차량용 에어 벤트(1)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출력 모듈(1000) 및 입력 모듈(2000)과 연동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출력 모듈(1000) 및 입력 모듈(20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은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ECU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어 모듈이 ECU에 해당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제어 모듈은 출력 모듈(1000) 및 입력 모듈(2000)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구성일 수도 있고, 출력 모듈(1000) 및 입력 모듈(2000)에 분산되어 배치된 구성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차량용 에어 벤트
100; 덕트
200; 커버
300; 레이어 조립체
310,320,330; 제1,2,3 레이어
340; 레이어 링크
400; 댐퍼
500; 레이어 캐리어
610; 로테이터
620; 제1 액추에이터
710; 액추에이터 링크
720; 제2 액추에이터

Claims (9)

  1. 공기가 유동되는 덕트;
    상기 덕트의 전면부에 구비되고,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 그리드 홀이 형성된 커버;
    상기 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댐퍼;
    상기 커버의 후방에 겹겹이 구비되고, 공기가 안내되는 안내 그리드 홀이 형성된 두 개 이상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레이어 조립체;
    두 개 이상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일단에 형성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레이어 캐리어;
    회전력을 생성하는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댐퍼 또는 상기 레이어 캐리어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로테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가 회전될 때,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댐퍼 및 상기 레이어 캐리어 중 하나에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 것인, 차량용 에어 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축은 공기의 유동 방향 상에서 상기 댐퍼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차량용 에어 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의 일단은 상기 댐퍼와 결합되고, 상기 로테이터의 타단은 상기 레이어 캐리어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인, 차량용 에어 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는 제1,2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롯에는 상기 댐퍼에 구비되는 결합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슬롯에는 상기 레이어 캐리어에 구비되는 결합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차량용 에어 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슬롯 각각은
    상기 로테이터가 회전될 때 대응되는 결합돌기에 동력을 전달 가능한 작동구간과,
    상기 작동구간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로테이터가 회전될 때 대응되는 결합돌기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비작동구간을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는 상기 로테이터가 회전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차량용 에어 벤트.
  8. 제1항에 있어서,
    회전력을 생성하는 제2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제2 액추에이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링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레이어 캐리어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결합되는 것인, 차량용 에어 벤트.
KR1020220128849A 2022-10-07 2022-10-07 차량용 에어 벤트 KR102679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849A KR102679968B1 (ko) 2022-10-07 2022-10-07 차량용 에어 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849A KR102679968B1 (ko) 2022-10-07 2022-10-07 차량용 에어 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950A true KR20240048950A (ko) 2024-04-16
KR102679968B1 KR102679968B1 (ko) 2024-06-28

Family

ID=9088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849A KR102679968B1 (ko) 2022-10-07 2022-10-07 차량용 에어 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99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046A (ja) * 1998-03-27 1999-10-12 Kansei Corp 車両用空気吹出口構造
KR100633124B1 (ko) * 2004-07-08 2006-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 벤트 장치
CN212473024U (zh) * 2020-08-26 2021-02-05 宁波继峰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电动出风口
KR20210108507A (ko) * 2020-02-05 2021-09-03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차량용 에어 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046A (ja) * 1998-03-27 1999-10-12 Kansei Corp 車両用空気吹出口構造
KR100633124B1 (ko) * 2004-07-08 2006-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 벤트 장치
KR20210108507A (ko) * 2020-02-05 2021-09-03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차량용 에어 벤트
CN212473024U (zh) * 2020-08-26 2021-02-05 宁波继峰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电动出风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9968B1 (ko) 2024-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9607B1 (en) Dual zone vehicle air distribution apparatus
US7540321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02950989B (zh) 车用空调
US20070137833A1 (en)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US10399407B2 (en) Variable evaporator outlet air pressure distribution
KR102412025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JP2007118923A (ja) 建設農業機械用空調装置
KR101950312B1 (ko)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US20070259614A1 (en) Actuation system for controlling movement of doors
US6823935B1 (en) Heating or air-conditioning system
US20080163634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nstruction and agricultural vehicles
KR102679968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US7422050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US6923497B2 (en) Ceiling air passage system for vehicle air conditioner
CN110562004A (zh) 车辆用空调装置
JP3791126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4032987B2 (ja) 車載用空調装置
EP1777087B1 (en) Dual zone vehicle air distribution apparatus
JP6500806B2 (ja) 車両用空気吹き出し装置
JP6565739B2 (ja) 車両用空気吹き出し装置
JP2000264036A (ja) 車輌用空気調和装置
JP6481631B2 (ja) 車両用空気吹き出し装置
KR20240137914A (ko) 차량용 에어 벤트
JP2017100604A (ja) 車両用空気吹き出し装置
JP4063262B2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