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584A - 양극용 블럭, 음극용 블럭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 Google Patents

양극용 블럭, 음극용 블럭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584A
KR20240045584A KR1020220125075A KR20220125075A KR20240045584A KR 20240045584 A KR20240045584 A KR 20240045584A KR 1020220125075 A KR1020220125075 A KR 1020220125075A KR 20220125075 A KR20220125075 A KR 20220125075A KR 20240045584 A KR20240045584 A KR 20240045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ver
relay
external connection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5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5584A/ko
Publication of KR20240045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58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H01H45/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블럭, 제2블럭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이다. 본 발명에서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은 서로 다른 극성의 회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은 서로 다른 극성의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블럭(100)은 제1몸체(110)와 제1커버(120)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양극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위치되고, 제2블럭(200)은 제2몸체(210)와 제2커버(220)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음극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회로를 형성함에 의해, 이들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을 사용하여 하나의 자동차용 블럭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이 형성하는 회로를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함에 의해,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에 있는 부품 사이의 절연거리 확보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이 소요하는 장착공간 또한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양극용 블럭, 음극용 블럭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Block for positive, block for negative and block for vehicle having the sames}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사용될 수 있는 양극용 블럭, 음극용 블럭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부하와 전원 사이를 연결하는 다양한 블럭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블럭 들에는 릴레이, 전류센서, 프리차지 릴레이 등의 부품들이 있어서 와이어나 버스바에 의해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자동차용 블럭 내에는 플러스 회로와 마이너스 회로가 공존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스 회로를 구성하는 버스바와 마이너스 회로를 구성하는 버스바 사이에는 일정 이상의 절연거리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렇게 절연거리를 확보하면, 전체 자동차용 블럭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하나의 자동차용 블럭 내에서 플러스 회로와 마이너스 회로를 구분하여 배치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하더라도 하나의 자동차용 블럭 내에 플러스 회로와 마이너스 회로가 공존함에 의해 절연거리 확보가 필요하다.
그리고, 전기자동차가 고사양화 되면서 사용되는 전류의 세기가 커지고 있고, 이에 따라 버스바의 두께와 폭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항을 모두 반영하게 되면 자동차용 블럭의 크기가 커지면서 자동차용 블럭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찾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하나의 자동차용 블럭이 사용되다가 그 부품중 일부가 고장나는 경우에 대체로 전체 자동차용 블럭을 교체하게 된다. 따라서, 고장나지 않은 부품까지도 모두 교체하게 되어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 10-2022-003245 호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4-118601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용 블럭 내에서 절연거리에 소요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블럭을 좁은 공간에도 상대적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설계에서 절연거리확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블럭을 회로별로 분리하여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양극용 블럭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표면을 덮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몸체와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어 양극회로를 구성하는 릴레이와 버스바를 포함하는 부품과, 상기 부품들과 외부와의 신호연결을 담당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릴레이가 장착되는 릴레이장착부와 주변을 구획하는 구획벽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위치에 저항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가 장착되는 릴레이장착부에는 프리차지릴레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외부연결대와 대응되는 위치에 외부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부연결공에는 연결부커버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극용 블럭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표면을 덮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몸체와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어 음극회로를 구성하는 릴레이와 버스바를 포함하는 부품과, 상기 부품들과 외부와의 신호연결을 담당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릴레이가 장착되는 릴레이장착부와 주변을 구획하는 구획벽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위치에 커넥터장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장착부와 구획되게 전류센서장착부가 상기 몸체에 더 구비되어 상기 전류센서장착부에 전류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외부연결대와 대응되는 위치에 외부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부연결공에는 연결부커버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은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일측 표면을 덮도록 상기 제1몸체에 장착되는 제1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양극회로를 구성하는 제1릴레이와 제1버스바를 포함하는 제1블럭과,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일측 표면을 덮도록 상기 제2몸체에 장착되는 제2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음극회로를 구성하는 제2릴레이와 제2버스바를 포함하는 제2블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블럭과 제2블럭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과 부하사이에서 전원단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럭에는 외부와의 신호연결을 위한 제1커넥터가 상기 제1몸체와 제1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되고 입구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블럭에는 외부와의 신호연결을 위한 제2커넥터가 상기 제2몸체와 제2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되고 입구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에는 상기 제1릴레이가 장착되는 제1릴레이장착부와 주변을 구획하는 제1구획벽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위치에 저항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릴레이가 장착되는 제1릴레이장착부에는 프리차지릴레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에는 상기 제2릴레이가 장착되는 제2릴레이장착부와 주변을 구획하는 제2구획벽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위치에 제2커넥터장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커넥터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릴레이장착부와 구획되게 전류센서장착부가 상기 제2몸체에 더 구비되어 상기 전류센서장착부에 전류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된 제1외부연결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외부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외부연결공에는 제1연결부커버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제2몸체에 형성된 제2외부연결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외부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외부연결공에는 제2연결부커버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양극용 블럭, 음극용 블럭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용 블럭을 구성함에 있어서, 예를 들면 양극용 블럭인 제1블럭과 음극용 블럭인 제2블럭을 분리하였다. 즉, 예를 들어 양극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모아서 양극용 블럭인 제1블럭으로 만들고, 음극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모아서 음극용 블럭인 제2블럭으로 만들었다. 따라서, 양극용 블럭과 음극용 블럭 사이에서 절연거리 확보가 필요없게 되어서, 제1블럭과 제2블럭의 크기가 소형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블럭과 제2블럭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어서, 자동차용 블럭을 구성하는 제1블럭과 제2블럭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용 블럭을 제1블럭과 제2블럭이 구성하고, 상기 제1블럭은 제1몸체와 제1커버의 내부에 예를 들어, 양극용 부품을 배치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제2블럭은 제2몸체와 제2커버의 내부에 예를 들어, 음극용 부품을 배치하여 만들어진다. 따라서, 제1블럭 내에 구비되는 양극용 부품들 사이와 제2블럭 내에 구비되는 음극용 부품들 사이의 절연거리 설계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특히 고사양화에 따른 버스바의 폭과 두께의 증대가 있더라도 각각의 제1블럭과 제2블럭 내에서 절연거리 확보의 필요성이 낮아지게 되어, 자동차용 블럭의 고사양화가 쉽게 달성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은 구성하는 회로의 극성에 따라 제1블럭과 제2블럭으로 분리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들 제1블럭과 제2블럭은 서로 인접하여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자동차용 블럭의 설치를 위한 공간 설계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블럭이나 제2블럭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면, 그 고장난 것만 교체하여도 자동차용 블럭의 기능을 수행하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따라서, 자동차용 블럭의 유지보수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으로 제1블럭과 제2블럭으로 분리되어 구성된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블럭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블럭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블럭에서 제1몸체에 각종 부품들이 배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블럭을 구성하는 제1몸체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블럭을 구성하는 제1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블럭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블럭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2블럭에서 제2몸체에 각종 부품들이 배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제2블럭을 구성하는 제2몸체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제2블럭을 구성하는 제2커버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블럭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블럭(100)은 예를 들면 양극용 블럭이고, 제2블럭(200)은 예를 들면 음극용 블럭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양극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 위주로 모아 만든 것이 제1블럭(100), 다르게 말하면 양극용 블럭이고, 음극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 위주로 모아 만든 것이 제2블럭(200), 다르게 말하면 음극용 블럭이다. 아래에서는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으로 부르기로 한다.
상기 제1블럭(100)은 도 2에서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블럭(100)은 제1몸체(110)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10)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고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평먼도로 볼 때, 상기 제1몸체(110)가 대략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몸체(110)의 외측면을 제1몸체측벽(112)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측벽(112)은 상기 제1몸체(110)의 내측과 외부를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측벽(112)은 그 높이가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몸체측벽(112)의 외면에는 제1체결턱(114)이 다수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체결턱(114)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커버(120)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몸체(110)의 제1몸체측벽(112)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제1장착부(115)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장착부(115)는 상기 제1몸체(110)의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장착부(115)는 상기 제1몸체(110)의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제1몸체측벽(112)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부(115)에는 진동저감을 위한 방진구(도면부호 부여않음)와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부싱(도면부호 부여않음)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10)의 일측 표면(제1커버(120)에 의해 덮여지는 표면)에는 여러가지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10) 상에는 제1릴레이장착부(116)와 저항장착부(11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릴레이장착부(116)와 저항장착부(116')는 제1구획벽(117)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벽(117)은 상기 제1몸체(11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릴레이장착부(116)와 저항장착부(116') 사이에 있는 제1구획벽(117)은 도 3과 도 5 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제1구획벽(117)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제1릴레이장착부(116)에 장착되는 제1릴레이(130)와 상기 저항장착부(116')에 장착되는 저항(170) 사이의 절연거리를 보다 크게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몸체(110)의 일측에는 제1커넥터장착대(11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장착대(118)는 상기 제1몸체(1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있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커넥터장착대(118)에 장착되는 제1커넥터(140)의 입구가 제1커버(120)의 외부로 노출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커넥터장착대(118)가 형성된 위치와 반대쪽이 되는 상기 제1몸체(110)의 타측에는 제1외부연결대(119)가 있다. 상기 제1외부연결대(119)에는 제1블럭(100)과 외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성이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될 제1버스바(160)의 일측 단부와 외부에서 온 터미널 또는 버스바가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외부연결대(119)에도 제1구획벽(117)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벽(117)은 상기 제1외부연결대(119)에서 제1버스바(160) 사이의 절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10)에 장착되어 있는 부품들을 외부와 차폐하기 위해 제1커버(120)가 있다. 상기 제1커버(120)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20)는 제1커버판(122)을 가진다. 상기 제1커버판(122)은 상기 제1몸체(110)의 제1릴레이장착부(116), 저항장착부(116'), 일부의 제1구획벽(117) 등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제1커버판(122)은 평면도로 볼 때, 상기 제1몸체(110)를 평면도로 본 형상과 대응되는 판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커버판(12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1커버측벽(12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측벽(124)은 상기 제1몸체(110)의 제1몸체측벽(112)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측벽(124)은 상기 제1커버판(122)의 거의 대부분의 가장자리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측벽(124)에서 연장되어 제1체결편(125)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체결편(125)은 상기 제1몸체(110)의 제1체결턱(114)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턱(114)에 상기 제1체결편(125)이 걸어짐에 의해 제1커버(120)가 상기 제1몸체(110)에 장착된 상태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20)의 제1커버판(122)에는 다수개의 제1통기공(12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통기공(126)이 형성되는 위치는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1버스바(160)가 있는 위치 또는 제1릴레이(130)가 있는 위치에 상기 제1통기공(1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20)의 일측에는 제1커넥터위치부(12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위치부(128)는 상기 제1몸체(110)의 제1커넥터장착대(118)와 대응되는 위치이다. 상기 제1커넥터위치부(128)가 상기 제1커넥터장착대(118)에 장착된 제1커넥터(140)의 측면을 덮어줄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20)의 타측에는 제1외부연결공(129)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외부연결공(129)은 상기 제1몸체(110)의 제1외부연결대(119)에 해당되는 위치이다. 상기 제1외부연결대(119)에 있는 구성은 상기 제1외부연결공(129)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커버(120)를 제1몸체(110)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상기 제1외부연결대(119) 부분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외부연결공(129)을 통해서 상기 제1외부연결공(129)은 제1연결부커버(129')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커버(129')만을 개폐함에 의해 상기 제1외부연결공(129)을 통해서 상기 제1외부연결대(119)를 볼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10)에는 제1릴레이(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릴레이(130)는 상기 제1릴레이장착부(116)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릴레이(130)는 예를 들면 배터리와 같은 외부전원으로부터 부하로의 전원 연결을 단속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장착대(118)에는 제1커넥터(1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140)는 외부와의 신호 연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커넥터(140) 들을 통해서 제1블럭(100) 내외부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릴레이(130)에 인접하여서는 제1프리차지릴레이(15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프리차지릴레이(150)는 상기 릴레이장착부(116)에서 상기 제1릴레이(130)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10)에 설치된 부품, 예를 들면, 상기 제1릴레이(130)와 외부의 전원연결을 위해 제1버스바(16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버스바(160)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제1버스바(160)의 폭과 두께는 제1블럭(100)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블럭(100)이 고사양으로 될 수록 상기 제1버스바(160)의 폭과 두께는 더 커질 수 있다. 상기 제1버스바(160)는 일측이 상기 제1릴레이(13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외부연결대(119)에 위치되어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도 3과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2개의 버스바(160)가 서로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이들 제1버스바(160) 사이에는 제1구획벽(117)이 있어서, 절연거리를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제1버스바(160)는 모두 특정한 극성의 회로, 본 실시례에서는 양극회로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구획벽(117)으로 필요한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10)에 있는 저항안착부(161')에는 저항(170)이 장착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저항(170)이 상기 저항장착부(116')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도 6에 도시된 제1블럭(100)은 자동차용 블럭을 구성하는 것으로, 주로 양극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 부품들은 제1몸체(110)와 제1커버(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위치되고 있어서, 제2블럭(200)에 있는 음극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과는 완전히 구획될 수 있다. 특히, 아래에서 설명될 제2블럭(200)도 제2몸체(210)와 제2커버(22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구성부품들이 위치하고 있어서,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이 인접하여 위치하더라도 이들의 부품 사이에서의 절연거리 확보는 충분하게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을 인접하지 않은, 서로 떨어진 위치에 장착하게 되면,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 사이의 절연거리를 거의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도 7에서 도 11에는 제2블럭(200)의 구성이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블럭(200)은 제2몸체(210)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210)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고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평먼도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제2몸체(21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몸체(210)의 외측면을 제2몸체측벽(212)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측벽(212)은 상기 제2몸체(210)의 내측과 외부를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측벽(212)은 그 높이가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2몸체측벽(212)의 외면에는 제2체결턱(214)이 다수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체결턱(214)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버(220)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몸체(210)의 제2몸체측벽(212) 외면에서 돌출되어 제2장착부(215)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장착부(215)는 상기 제2몸체(210)의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장착부(215)는 상기 제2몸체(210)의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제2몸체측벽(212)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착부(215)에는 진동저감을 위한 방진구(도면부호 부여않음)와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부싱(도면부호 부여않음)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몸체(210)의 일측 표면(도면을 기준으로 상면)에는 여러가지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210) 상에는 제2릴레이장착부(216)와 전류센서장착부(21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릴레이장착부(216)와 전류센서장착부(216')는 제2구획벽(217)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2구획벽(217)은 상기 제2몸체(21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릴레이장착부(216)와 전류센서장착부(216') 사이에 있는 제2구획벽(217)은 도 8과 도 10 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제2구획벽(217)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제2릴레이장착부(216)에 장착되는 제2릴레이(230)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240) 사이의 절연거리를 보다 크게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몸체(210)의 일측에는,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커넥터장착대(21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장착대(218)는 상기 제2몸체(2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있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커넥터장착대(218)에 장착되는 제2커넥터(240)가 제2커버(220)의 외부로 노출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커넥터장착대(218)가 형성된 위치와 반대쪽이 되는 상기 제2몸체(210)의 타측에는 제2외부연결대(219)가 있다. 상기 제2외부연결대(219)에는 제2블럭(200)과 외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성이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될 제2버스바(260)의 일측 단부와 외부에서 온 터미널 또는 버스바가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외부연결대(219)에도 제2구획벽(217)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구획벽(217)은 제2버스바(260) 사이의 절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210)에 장착되어 있는 부품들을 외부와 차폐하기 위해 제2커버(220)가 있다. 상기 제2커버(220)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커버(220)는 제2커버판(222)을 가진다. 상기 제2커버판(222)은 상기 제2몸체(210)의 제2릴레이장착부(216), 전류센서장착부(216'), 일부의 구획벽(217) 등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제2커버판(222)은 평면도로 볼 때, 상기 제2몸체(210)를 평면도로 본 형상과 대응되는 판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커버판(22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2커버측벽(22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커버측벽(224)은 상기 제2몸체(210)의 제2몸체측벽(212)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측벽(224)은 상기 제2커버판(222)의 거의 대부분의 가장자리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측벽(224)에서 연장되어 제2체결편(225)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체결편(225)은 상기 제2몸체(210)의 제2체결턱(214)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2체결턱(214)에 상기 제2체결편(225)이 걸어짐에 의해 제2커버(220)가 상기 제2몸체(210)에 장착된 상태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220)의 제2커버판(222)에는 다수개의 제2통기공(22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통기공(226)이 형성되는 위치는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2버스바(260)가 있는 위치 또는 제2릴레이(230)가 있는 위치에 상기 제2통기공(2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220)의 일측에는 제2커넥터위치부(22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위치부(228)는 상기 제1몸체(210)의 제2커넥터장착대(218)와 대응되는 위치이다. 상기 제2커넥터위치부(228)가 상기 제2커넥터장착대(218)에 장착된 제2커넥터(240)의 측면을 덮어줄 수 있다.
상기 제2커버(220)의 타측에는 제2외부연결공(229)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외부연결공(229)은 상기 제2몸체(210)의 제2외부연결대(219)에 해당되는 위치이다. 상기 제2외부연결대(219)에 있는 구성은 상기 제2외부연결공(229)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커버(220)를 제2몸체(210)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상기 제2외부연결대(219) 부분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외부연결공(229)을 통해서 상기 제2외부연결공(229)은 제2연결부커버(229')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커버(229')만을 개폐함에 의해 상기 제2외부연결공(229)을 통해서 상기 제2외부연결대(219)를 볼 수 있다.
상기 제2몸체(210)에는 제2릴레이(2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릴레이(230)는 상기 제2릴레이장착부(216)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릴레이(230)는 예를 들면 배터리와 같은 외부전원으로부터 부하로의 전원 연결을 단속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장착대(218)에는 제2커넥터(2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240)는 외부와의 신호 연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커넥터(240) 들을 통해서 제2블럭(200) 내외부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210)의 전류센서장착부(216')에는 전류센서(2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류센서(250)의 중앙을 아래에서 설명될 제2버스바(260)중 하나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전류센서(250)는 제2버스바(260)를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제2커넥터(240)를 통해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210)에 설치된 부품, 예를 들면, 상기 제2릴레이(230)와 외부의 전원연결을 위해 제2버스바(26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버스바(260)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제2버스바(260)의 폭과 두께는 제2블럭(200)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블럭(200)이 고사양으로 될 수록 상기 제2버스바(260)의 폭과 두께는 더 커질 수 있다. 상기 제2버스바(260)는 일측이 상기 제2릴레이(23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외부연결대(219)에 위치되어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2개의 제2버스바(260)가 서로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이들 제2버스바(260) 사이에는 제2구획벽(217)이 있어서, 절연거리를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제2버스바(260)는 모두 특정한 극성의 회로, 본 실시례에서는 음극회로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2구획벽(217)으로 필요한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 11에 도시된 제2블럭(200)은 자동차용 블럭을 구성하는 것으로, 주로 음극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 부품들은 제2몸체(210)와 제2커버(22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위치되고 있어서, 제1블럭(100)에 있는 양극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과는 완전히 구획될 수 있다. 특히, 아래에서 설명될 제1블럭(100)도 제1몸체(110)와 제1커버(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구성부품들이 위치하고 있어서, 제2블럭(200)과 제1블럭(100)이 인접하여 위치하더라도 이들의 부품 사이에서의 절연거리 확보는 충분하게 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양극용 블럭, 음극용 블럭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블럭(100)은 예를 들어 양극 회로용 부품들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블럭(200)은 예를 들어 음극 회로용 부품들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블럭(100)은 제1몸체(110)와 상기 제1몸체(110)에 장착되어 상기 제1몸체(110)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제1커버(120)가 있고, 상기 제1몸체(110)와 제1커버(120)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양극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있다. 상기 제2블럭(200)은 제2몸체(210)와 상기 제2몸체(210)에 장착되어 상기 제2몸체(210)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제2커버(220)가 있고, 상기 제2몸체(210)와 제2커버(220)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음극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블럭(100)을 자동차의 일측에 설치하고, 상기 제2블럭(200)을 상기 제1블럭(100)에 인접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이 인접하지 않고 떨어진 위치에 각각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제1블럭(100)의 제1외부연결대(119)에 연결되는 외부의 버스바나 터미널이 상기 제1블럭(100)의 제1외부연결대(119)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2블럭(200)의 제2외부연결대(219)에 연결되는 외부의 버스바나 터미널이 상기 제2블럭(200)의 제2외부연결대(219)까지 연장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은 서로 별개로 만들어져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자동차용 블럭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자동차에서 전원과 부하 사이에 전원연결을 단속하는 작용을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블럭(100)이나 제2블럭(200)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나게 되면, 고장난 것만 교체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이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지만, 완전히 별개로 분리되어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장나지 않은 나머지 하나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동차용 블럭을 구성하는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을 설계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제1버스바(160)나 제2버스바(260)는 자동차용 블럭의 사양에 따라, 그 폭과 두께가 달리되면 된다. 그리고, 제1버스바(160)와 제2버스바(260)가 같은 공간, 즉 자동차용 블럭을 구성하는 몸체(110,210)와 커버(120,2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있게 되면, 이들 사이의 절연거리 확보를 위해 몸체(110.210)와 커버(120,220)가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 설계를 바꿔야 한다.
하지만, 제1버스바(160)와 제2버스바(260)를 별개의 공간에 두게 되면, 제1버스바(160) 때문에 제1블럭(100) 내부에 형성된 공간 설계가 크게 달라지지 않고, 단순히 제1버스바(160)의 크기가 커진 만큼만 더 크게 하면 되고, 절연거리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제2버스바(260)가 있는 제2블럭(200)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을 분리하여 만들게 되면, 자동차용 블럭의 사양이 높아지더라도 제1블럭(100)과 제2블럭(200)의 내부 설계가 크게 변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블럭 110: 제1몸체
112: 제1몸체측벽 114: 제1체결턱
115: 제1장착부 116: 제1릴레이장착부
117: 제1구획벽 118: 제1커넥터장착대
119: 제1외부연결대 120: 제1커버
122: 제1커버판 124: 제1커버측벽
125: 제1체결편 126: 제1통기공
128: 제1커넥터위치부 129: 제1외부연결공
129': 제1연결부커버 130: 제1릴레이
140: 제1커넥터 150: 프리차지릴레이
160: 버스바 170: 저항
200: 제2블럭 210: 제2몸체
212: 제2몸체측벽 214: 제2체결턱
215: 제2장착부 216: 제2릴레이장착부
216': 전류센서장착부 217: 제2구획벽
218: 제2커넥터장착대 219: 제2외부연결대
220: 제2커버 222: 제2커버판
224: 제2커버측벽 225: 제2체결편
226: 제2통기공 228: 제2커넥터위치부
229: 제2외부연결공 229': 제2연결부커버
230: 제2릴레이 240: 제2커넥터
250: 전류센서 260: 제2버스바

Claims (13)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표면을 덮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몸체와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어 양극회로를 구성하는 릴레이와 버스바를 포함하는 부품과,
    상기 부품들과 외부와의 신호연결을 담당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양극용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릴레이가 장착되는 릴레이장착부와 주변을 구획하는 구획벽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위치에 저항이 더 구비되는 양극용 블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가 장착되는 릴레이장착부에는 프리차지릴레이가 더 구비되는 양극용 블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외부연결대와 대응되는 위치에 외부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연결공에는 연결부커버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양극용 블럭.
  5.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표면을 덮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몸체와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어 음극회로를 구성하는 릴레이와 버스바를 포함하는 부품과,
    상기 부품들과 외부와의 신호연결을 담당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음극용 블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릴레이가 장착되는 릴레이장착부와 주변을 구획하는 구획벽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위치에 커넥터장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가 장착되는 음극용 블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장착부와 구획되게 전류센서장착부가 상기 몸체에 더 구비되어 상기 전류센서장착부에 전류센서가 장착되는 음극용 블럭.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외부연결대와 대응되는 위치에 외부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연결공에는 연결부커버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음극용 블럭.
  9.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일측 표면을 덮도록 상기 제1몸체에 장착되는 제1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양극회로를 구성하는 제1릴레이와 제1버스바를 포함하는 제1블럭과,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일측 표면을 덮도록 상기 제2몸체에 장착되는 제2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음극회로를 구성하는 제2릴레이와 제2버스바를 포함하는 제2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럭과 제2블럭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과 부하사이에서 전원단속을 수행하는 자동차용 블럭.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에는 외부와의 신호연결을 위한 제1커넥터가 상기 제1몸체와 제1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되고 입구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2블럭에는 외부와의 신호연결을 위한 제2커넥터가 상기 제2몸체와 제2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되고 입구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자동차용 블럭.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는 상기 제1릴레이가 장착되는 제1릴레이장착부와 주변을 구획하는 제1구획벽이 구비되고 상기 제1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위치에 저항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릴레이가 장착되는 제1릴레이장착부에는 프리차지릴레이가 더 구비되는 자동차용 블럭.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에는 상기 제2릴레이가 장착되는 제2릴레이장착부와 주변을 구획하는 제2구획벽이 구비되고 상기 제2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위치에 제2커넥터장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커넥터가 장착되며, 상기 제2릴레이장착부와 구획되게 전류센서장착부가 상기 제2몸체에 더 구비되어 상기 전류센서장착부에 전류센서가 장착되는 자동차용 블럭.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된 제1외부연결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외부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외부연결공에는 제1연결부커버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제2몸체에 형성된 제2외부연결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외부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외부연결공에는 제2연결부커버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차용 블럭.
KR1020220125075A 2022-09-30 2022-09-30 양극용 블럭, 음극용 블럭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KR20240045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075A KR20240045584A (ko) 2022-09-30 2022-09-30 양극용 블럭, 음극용 블럭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075A KR20240045584A (ko) 2022-09-30 2022-09-30 양극용 블럭, 음극용 블럭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584A true KR20240045584A (ko) 2024-04-08

Family

ID=9071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075A KR20240045584A (ko) 2022-09-30 2022-09-30 양극용 블럭, 음극용 블럭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558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8601A (ko) 2013-03-29 2014-10-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KR20220003245A (ko) 2020-07-01 2022-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a의 구조적 분리를 통해 전기 자동차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8601A (ko) 2013-03-29 2014-10-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KR20220003245A (ko) 2020-07-01 2022-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a의 구조적 분리를 통해 전기 자동차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4727B2 (en) Switching device comprising a uniform control tile
ES2407843T3 (es) Módulo de dispositivo de conmutación.
US20140166621A1 (en) Compact bus bar assembly, switching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JP2013538422A (ja) 壁貫通型電気端子
EP2833494B1 (en) Gas-insulated switchgear
US4504885A (en) Switch board
KR20090128442A (ko) 저전압, 중전압 또는 고전압 개폐 또는 제어 장치, 특히 개폐기 조립체
CN101647165B (zh) 金属封闭形开关装置
JP4674855B2 (ja) 筐体への電線引込構造
KR20240045584A (ko) 양극용 블럭, 음극용 블럭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CN206962289U (zh) 一种电子设备配电盒
JP4636608B2 (ja) 分電盤
CN109314373B (zh) 开关装置
US20230014942A1 (en) Frequency Converter Class
US10462914B2 (en) Cover structure and electric connection box
JP7309314B2 (ja) 車両用電池パック
JP2014053103A (ja) 電池パックの端子部保護カバー
JP2000021548A (ja) 避雷器および分電盤
JP2005317408A (ja) 燃料電池
JP4807843B2 (ja) 分電盤
KR20190021158A (ko) 다련형 퓨즈, 및 상기 다련형 퓨즈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방법
CN210670861U (zh) 一种矿用车辆控制装置
JP2005051909A (ja) 分電盤装置
JPH09271119A (ja) 閉鎖配電盤用放圧装置
KR200398668Y1 (ko) 분전반의 내부사이드커버 고정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