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158A - 다련형 퓨즈, 및 상기 다련형 퓨즈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다련형 퓨즈, 및 상기 다련형 퓨즈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158A
KR20190021158A KR1020180090775A KR20180090775A KR20190021158A KR 20190021158 A KR20190021158 A KR 20190021158A KR 1020180090775 A KR1020180090775 A KR 1020180090775A KR 20180090775 A KR20180090775 A KR 20180090775A KR 20190021158 A KR20190021158 A KR 20190021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use
bus bar
open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유키 가와세
마나부 오타
Original Assignee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1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01R13/69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the fuse being integral with the terminal, e.g. pin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12Two or more separate fusible members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8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the connecting locations being situated away from the rail or bus-b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6Boxe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8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종래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배터리의 충전을 행할 수 있는 다련형 퓨즈, 및 상기 다련형 퓨즈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
입력 단자(110), 복수의 외부 단자(120), 및 상기 입력 단자(110)와 상기 외부 단자(120) 사이에 제공된 용단부(113)를 구비한 버스바(100)와, 상기 버스바(100)를 덮는 하우징(200)을 구비한 다련형 퓨즈(400)로서, 상기 하우징(200)의 일부에 개구부(230)가 제공되고, 상기 다련형 퓨즈(400)를 퓨즈 박스(700)에 부착한 상태로, 상기 개구부(230)로부터 상기 버스바(100)의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련형 퓨즈, 및 상기 다련형 퓨즈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방법{MULTIPLE FUSE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USING SAID MULTIPLE FUSE DEVICE}
본원 발명은, 주로 자동차용 전기 회로 등에 이용되는 퓨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외부 단자를 구비한 다련형 퓨즈, 및 상기 다련형 퓨즈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퓨즈는 자동차 등에 탑재되어 있는 전기 회로나, 전기 회로에 접속되는 각종 전장품을 보호하기 위해 이용되어 왔다. 상세하게는, 전기 회로 중에 의도하지 않은 과전류가 흐른 경우에, 용단부가 과전류에 의한 발열에 의해 용단 하여, 각종 전장품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보호한다.
그리고, 이 퓨즈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다련형 퓨즈는 차량에 탑재하는 배터리와 각종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접속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차량에 탑재하는 다련형 퓨즈는 각종 전장품과 접속되는 복수의 외부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단자와 차량에 탑재하는 배터리 사이에 용단부를 개재시킴으로써, 각종 전장품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보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500)의 전방의 보닛을 열면, 엔진 룸(510) 안에 배터리(600)나 퓨즈 박스(700)가 수용된다 또한, 도 4(a)는 자동차(500)의 엔진 룸(510)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배터리(600)나 퓨즈 박스(700) 등의 각 부재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또한, 퓨즈 박스(700)에는 다련형 퓨즈(800)가 삽입되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600)의 플러스 단자(610)는 다련형 퓨즈(800)의 입력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전선(X1)을 통하여 접속되고, 마이너스 단자(620)는 차체(511)에 전선(X2)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기 회로(900)의 양단자측은 전선(X3)을 통하여 다련형 퓨즈(800)의 외부 단자에 접속되고, 전기 회로(900)의 음단자측은 전선(X4)을 통하여 차체(511)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속함으로써, 배터리(600)는 다련형 퓨즈(800)를 통하여 전기 회로(9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한편, 배터리(600)와 전기 회로(900) 사이에 다련형 퓨즈(800)의 용단부(810)를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전기 회로(900)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보호할 수 있다.
그런데, 자동차(500)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600)는 여러 원인에 의해 방전되는 일이 있다. 그 경우는, 충전용의 배터리(600RB)(예를 들면, 다른 자동차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 등)를 준비하여, 배터리(600)를 충전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600RB)의 플러스 단자(610RB)에 전선(Y2)을 접속하고, 상기 전선(Y2)의 말단의 충전용 접속 단자(Y1)를 배터리(600)의 플러스 단자(610)에 부착한다. 이 플러스 단자(610)는 소위 배터리 포스트라고 불리는 부재이며, 클립 형상의 접속 단자(Y1)를 끼워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600RB)의 마이너스 단자(620RB)는 전선(Y3)을 통하여 차체(511)에 접속된다. 그러면, 배터리(600)의 플러스 단자(610)는 배터리(600RB)의 플러스 단자(610RB)에, 배터리(600)의 마이너스 단자(620)는 배터리(600RB)의 마이너스 단자(620RB)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므로, 배터리(600)는 배터리(600RB)에 의해 충전되는 것이다.
여기서, 근년의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 등의 등장에 의해, 자동차는 고도화 및 복잡화되고 있고, 엔진 룸(510)에 수용되는 장치의 수량이 증가하는 등의 이유로, 배터리(600)를 엔진 룸(510) 내에 수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배터리(600)는 엔진 룸(510) 내가 아니라,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500)의 후방에, 예를 들면 트렁크 룸(trunk room)(520)의 바닥 밑 등에 수용된다. 또한, 도 5(a)는 자동차(500)의 엔진 룸(510)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배터리(600)나 퓨즈 박스(700) 등의 각 부재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또한, 도 5(b)에 도시하는 각 부재의 접속 상태는 도 4(b)에 도시하는 각 부재의 접속 상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배터리(600)를 충전할 때는 배터리(600)의 플러스 단자(610)에 접속 단자(Y1)를 부착하기 위해, 트렁크 룸(520)의 바닥 면을 떼어내는 등의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고, 이 작업은 일반 사용자가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엔진 룸(510) 내에서 충전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접속 단자(Y1)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710)를 엔진 룸(5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퓨즈 박스(700)에 새로 제공했다. 이 부착 부재(710)는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선(X5)에 의해 전선(X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 부재(710)에 접속 단자(Y1)를 부착하면, 도 4에 설명한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배터리(600)는 배터리(600RB)에 의해 충전되는 것이다.
그러나, 부착 부재(710)를 새로 제공해야 하고, 또한, 상기 부착 부재(710)를 부착할 수 있도록 퓨즈 박스(700)의 구성도 변경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특개 2015-22866호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종래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배터리의 충전을 행할 수 있는 다련형 퓨즈, 및 상기 다련형 퓨즈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다련형 퓨즈는 입력 단자, 복수의 외부 단자, 및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외부 단자 사이에 제공된 용단부를 구비한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를 덮는 하우징을 구비한 다련형 퓨즈로서,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개구부가 제공되고, 상기 다련형 퓨즈를 퓨즈 박스에 부착한 상태로,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버스바의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르면, 개구부로부터 버스바의 일부를 노출시킨다는 간단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어, 상기 노출된 버스바의 일부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하는 종래 기술과 같이, 부착 부재의 설치나, 상기 부착 부재를 설치하기 위해 퓨즈 박스의 구성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다련형 퓨즈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르면, 배터리의 충전 시는 개구부를 열어 두고, 충전 이외의 통상 시에는 개구부를 닫아 둘 수 있어, 안전성이 높다.
본원 발명의 배터리의 충전 방법은 상기 다련형 퓨즈를 배터리에 접속되어 있는 퓨즈 박스에 부착하고, 상기 다련형 퓨즈의 개구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버스바에 충전용의 접속 단자를 접속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르면, 배터리의 충전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의 다련형 퓨즈 및 상기 다련형 퓨즈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방법에 따르면, 종래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배터리의 충전을 행할 수 있다.
도 1(a)은 본원 발명의 다련형 퓨즈의 버스바의 사시도, 도 1(b)은 버스바의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원 발명의 다련형 퓨즈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2(b)는 다련형 퓨즈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 도 2(c)는 커버를 부착한 다련형 퓨즈의 사시도이다.
도 3(a)은 자동차의 엔진 룸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b)은 본원 발명의 다련형 퓨즈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c)은 본원 발명에 따른 배터리나 퓨즈 박스 등의 각 부재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a)는 본원 발명의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 룸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본원 발명의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나 퓨즈 박스 등의 각 부재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a)는 본원 발명의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 룸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본원 발명의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나 퓨즈 박스 등의 각 부재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에,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련형 퓨즈의 각 부재의 형상이나 재질 등은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다련형 퓨즈의 버스바(100)를 나타낸다. 이 도 1(a)은 버스바(100)의 사시도, 도 1(b)은 버스바(100)의 정면도이다. 이 버스바(100)는 한 장의 얇은 판 형상의 금속판을 이용하여 금형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고, 배터리 등과 통전 가능한 입력 단자(110) 및 복수의 외부 단자(1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입력 단자(110)는 회로부(112)에 연결되고, 외부 단자(120)는 용단부(113)를 통하여, 회로부(11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 단자(110)에 접속된 배터리 등의 전원측으로부터 과전류가 흐른 경우는, 용단부(113)가 용단하여, 외부 단자(120)에 연결된 각종 전장품 등의 부하를 보호할 수 있다.
다음에, 이 버스바(100)의 성형 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구리나 그 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균일한 평탄한 판 형상 부재를,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기 등으로 구멍을 뚫는다. 다음에, 버스바(100)의 상단측을 접어 포개는 것에 의해 회로부(112)가 형성되어, 도 1에 나타내는 상태의 버스바(100)가 완성된다.
또한, 회로부(112)는 버스바(100)의 일부를 접어 포개서 형성하고 있으므로, 그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립 형상의 접속 단자(Y1)를 회로부(112)에 끼우기 쉬워지는 것이다. 또한, 도 1에서는 회로부(112)는 버스바(100)의 일부를 접어 포개서 형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두께가 균일한 평탄한 판 형상 부재를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기 등으로 구멍을 뚫은 후, 접어 포개지 않고 그대로의 두께로 회로부(112)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입력 단자(110)와 외부 단자(120)를 접속하는 부분인 회로부(11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략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사양에 따라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다련형 퓨즈(400)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도 2(a)는 다련형 퓨즈(400)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2(b)는 다련형 퓨즈(400)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 도 2(c)는 커버(300)를 부착한 다련형 퓨즈(400)의 사시도이다.
우선,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분할편(210)의 돌기(214)를 버스바(100)의 관통 구멍(114)에 관통시키도록 하여, 하우징 분할편(210)을 버스바(100)에 부착하고, 또한 버스바(100) 위로부터 하우징 분할편(220)을 덮어 씌우도록 부착한다. 그러면,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분할편(210)과 하우징 분할편(220)으로 버스바(100)를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덮게 된다. 또한, 이 하우징 분할편(210)과 하우징 분할편(220)은 하우징(200)을 구성하는 것으로, 절연성의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분할편(210)과 하우징 분할편(220)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회전축(213) 및 회전축(2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분할편(210)의 측면에는 투명한 창(212)이 부착되어 있고, 하우징 분할편(220)의 측면에도 투명한 창(222)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창(212)과 창(222)은 용단부(113)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용단부(113)의 상태를 외부에서 시인(視認)할 수 있다. 또한, 창(212)과 창(222)은 절연성의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분할편(210)의 상단에 노치(211)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분할편(220)의 상단에도 상기 노치(211)와 마주보는 위치에 노치(2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 분할편(210)과 하우징 분할편(220)이 조립되면, 노치(211)와 노치(221)가 일체가 되어, 개구부(230)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 분할편(210)과 하우징 분할편(220) 사이에 끼워진 버스바(100)의 회로부(112)의 일부는 개구부(230)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300)는 양측에 부착 구멍(310)을 구비하고, 그 부착 구멍(310)과 연결되도록 삽입구(311)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커버(300)의 본체부(320)는 윗벽(321)과 상기 윗벽(321)의 양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322)을 구비하고, 커버(300)는 하방이 개구한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230)를 덮도록 커버(300)를 부착할 때는 양측의 삽입구(311)에 회전축(213) 및 회전축(223)을 각각 삽입하여, 상기 회전축(213) 및 회전축(223)이 부착 구멍(310)에 딱 맞춰질 때까지, 커버(300)를 하방으로 삽입한다. 그러면, 커버(300)의 본체부(320)는 개구부(230)의 주위를 덮도록 하우징(200)에 부착된다. 이상으로부터, 도 2(c)에 도시하는 다련형 퓨즈(400)가 완성된다.
또한, 커버(300)는 회전축(213) 및 회전축(233)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으므로, 커버(30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개구부(230)가 열려, 회로부(112)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반대로, 커버(300)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개구부(230)가 닫혀져, 회로부(112)가 외부로 노출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전류가 흐르는 회로부(112)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커버(300)는 필수 구성 요건은 아니고, 버스바(100)의 일부인 회로부(112)가 엔진 룸(510) 내에서 노출되어 있어도 위험성이 적은 경우는, 다련형 퓨즈(400)는 커버(300)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커버(300)는 회전축(213) 및 회전축(22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성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커버(300)측에 계지조를 제공하고, 하우징(200)측에 피계지부를 제공하여, 커버(300)의 계지조가 하우징(200)의 피계지부에 계합함으로써, 커버(300)가 하우징(200)에 착탈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 외에도, 커버(300)는 개구부(230)를 덮을 수 있는 형상임과 동시에, 개구부(230)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련형 퓨즈(400)의 하우징(200)의 하단으로부터는, 입력 단자(110) 및 외부 단자(120)가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 하는 바와 같이, 다련형 퓨즈(400)가 퓨즈 박스(700)에 삽입되면, 입력 단자(110) 및 외부 단자(120)가 각 전선(X1, X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다련형 퓨즈(400)를 이용한 배터리(600)의 충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3(a)은 자동차(500)의 엔진 룸(510)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b)은 다련형 퓨즈(400)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c)은 배터리(600)나 퓨즈 박스(700) 등의 각 부재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또한, 도 3(c)에 나타내는 각 부재의 접속 상태는 도 5(b)에 나타내는 각 부재의 접속 상태와 기본적으로 같다.
우선,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다련형 퓨즈(400)는 예를 들면, 배터리(600)가 자동차(500)의 엔진 룸(510) 내가 아니고, 자동차(500)의 후방의 트렁크 룸(520)의 바닥 밑 등에 수용되는 경우에, 배터리(600)를 충전할 때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500)의 전방의 보닛을 열면, 엔진 룸(510) 안에 퓨즈 박스(700)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퓨즈 박스(700)에는 본원 발명의 다련형 퓨즈(400)가 삽입되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500)의 트렁크 룸(520)에 수용되어 있는 배터리(600)의 플러스 단자(610)는 다련형 퓨즈(400)의 입력 단자(110)와 전선(X1)을 통하여 접속되고, 마이너스 단자(620)는 차체(511)에 전선(X2)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기 회로(900)의 양단자측은 전선(X3)을 통하여 다련형 퓨즈(400)의 외부 단자(120)에 접속되고, 전기 회로(900)의 음단자측은 전선(X4)을 통하여 차체(511)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속하는 것에 의해, 배터리(600)가 다련형 퓨즈(400)를 통하여 전기 회로(9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한편, 배터리(600)와 전기 회로(900) 사이에 다련형 퓨즈(400)의 용단부(113)를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전기 회로(900)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시는 커버(300)에 의해 개구부(230)는 닫혀지고, 버스바(100)의 일부인 회로부(112)는 외부에 노출하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배터리(600)가 방전된 경우는, 충전용 배터리(600RB)(예를 들면, 다른 자동차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 등)를 준비하여, 배터리(600)를 충전하는 작업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퓨즈 박스(700)에 삽입된 상태의 다련형 퓨즈(400)의 커버(300)를 열어,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스바(100)의 일부인 회로부(112)를 개구부(230)로부터 외부로 노출시킨다. 다음에, 이 회로부(112)에, 전선(Y2)의 말단의 클립 형상의 접속 단자(Y1)를 끼워 부착한다. 그러면, 회로부(112)는 입력 단자(110)와 접속되어 있으므로, 배터리(600RB)의 플러스 단자(610RB)는 전선(Y2), 회로부(112), 입력 단자(110), 및 전선(X1)을 통하여, 배터리(600)의 플러스 단자(610)에 접속되게 된다. 한편, 배터리(600RB)의 마이너스 단자(620RB)는 전선(Y3)을 통하여 차체(511)에 접속된다. 그러면, 배터리(600)의 플러스 단자(610)는 배터리(600RB)의 플러스 단자(610RB)에, 배터리(600)의 마이너스 단자(620)는 배터리(600RB)의 마이너스 단자(620RB)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므로, 배터리(600)는 배터리(600RB)에 의해 충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다련형 퓨즈(400)에 따르면, 개구부(230)에서 외부로 노출시킨 회로부(112)를 이용하여, 배터리(600)의 충전을 행할 수 있다. 즉, 개구부(230)를 제공하여, 버스바(100)의 일부를 노출시킨다는 간단한 구성이므로, 도 5에 도시하는 종래 기술과 같이, 부착 부재(710)의 설치나, 상기 부착 부재(710)를 설치하기 위해 퓨즈 박스(700)의 구성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한, 다련형 퓨즈(400)는 개구부(230)를 개폐하는 커버(30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배터리(600)의 충전 시는 개구부(230)를 열어 두고, 충전 이외의 통상 시는 개구부(230)를 닫아 둘 수 있어, 안전성이 높다.
또한, 개구부(230)는 하우징(200)의 상단 측에 제공되어 있다. 이것은, 다련형 퓨즈(400)를 퓨즈 박스(700)에 삽입하여 부착했을 때, 하우징(200)의 상단측은 퓨즈 박스(700)로부터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하우징(200)의 상단 측에 개구부(230)를 제공하면, 다련형 퓨즈(400)를 퓨즈 박스(700)에 삽입한 채로, 개구부(230)로부터 회로부(112)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그 회로부(112)에 접속 단자(Y1)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개구부(230)는 하우징(200)의 상단 측에 한정되지 않고, 다련형 퓨즈(400)를 퓨즈 박스(700)에 삽입하여 부착했을 때, 퓨즈 박스(700)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이라면, 하우징(200)의 임의의 장소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 본원 발명의 다련형 퓨즈(400)는 배터리(600)가 자동차(500)의 후방의 트렁크 룸(520)의 바닥 밑 등에 수용되는 경우에, 배터리(600)를 충전할 때에 이용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배터리(600)가 엔진 룸(510)에 배치되어 있어도, 어떠한 이유로 접속 단자(Y1)를 배터리(600)의 플러스 단자(610)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 다련형 퓨즈(400)의 회로부(112)에 접속 단자(Y1)를 부착하여, 배터리(600)의 충전을 행하여도 좋다. 즉, 배터리(600)의 배치에 관계 없이, 본원 발명의 다련형 퓨즈(400)의 버스바(100)의 일부에 접속 단자(Y1)를 부착하여, 배터리(600)의 충전을 행하여도 좋은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 본원 발명의 다련형 퓨즈(400)는 자동차의 퓨즈 박스에 부착하여 이용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동차 이외에도, 배터리에 접속된 퓨즈 박스를 구비한 기기에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 본원 발명의 다련형 퓨즈(400)는 버스바(100)의 일부로서의 회로부(112)가 개구부(230)로부터 노출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버스바(100)의 일부이며, 용단부(113)와 입력 단자(110) 사이의 부분이라면 임의의 개소를 개구부(230)로부터 노출시켜도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의 다련형 퓨즈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위, 실시형태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조합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예, 및 조합도 그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00: 버스바
110: 입력 단자
113: 용단부
120: 외부 단자
200: 하우징
230: 개구부
400: 다련형 퓨즈

Claims (3)

  1. 입력 단자, 복수의 외부 단자, 및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외부 단자 사이에 제공된 용단부를 구비한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덮는 하우징을 구비한 다련형 퓨즈로서,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개구부가 제공되고,
    상기 다련형 퓨즈를 퓨즈 박스에 부착한 상태로,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버스바의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련형 퓨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련형 퓨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다련형 퓨즈를 배터리에 접속되어 있는 퓨즈 박스에 부착하고,
    상기 다련형 퓨즈의 개구부로부터 노출된 버스바에 충전용의 접속 단자를 접속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충전 방법.
KR1020180090775A 2017-08-22 2018-08-03 다련형 퓨즈, 및 상기 다련형 퓨즈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방법 KR201900211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58998A JP2019036509A (ja) 2017-08-22 2017-08-22 多連型ヒューズ、及び当該多連型ヒューズを用いたバッテリーの充電方法
JPJP-P-2017-158998 2017-08-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158A true KR20190021158A (ko) 2019-03-05

Family

ID=6543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775A KR20190021158A (ko) 2017-08-22 2018-08-03 다련형 퓨즈, 및 상기 다련형 퓨즈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067964A1 (ko)
JP (1) JP2019036509A (ko)
KR (1) KR201900211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7502B2 (ja) 2020-03-09 2022-11-24 太平洋精工株式会社 多連型ヒューズ、及び当該多連型ヒューズ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2866A (ja) 2013-07-18 2015-02-02 太平洋精工株式会社 多極型ヒュージブルリン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823A (ja) * 2005-09-22 2007-04-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ッテリー接続用のヒューズユニット
DE102007033263A1 (de) * 2007-07-17 2009-01-29 Lear Corp., Southfield Elektrischer Verbinder für einen Verdrahtungskabelbaum eines Fahrzeugs
JP6418022B2 (ja) * 2015-03-19 2018-11-07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6620701B2 (ja) * 2016-08-10 2019-12-18 住友電装株式会社 救援端子部を備えた電気接続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2866A (ja) 2013-07-18 2015-02-02 太平洋精工株式会社 多極型ヒュージブルリ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36509A (ja) 2019-03-07
US20190067964A1 (en)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4051B2 (ja) 導体の接続構造および導電モジュール
CN108028327B (zh) 电池模块壳体的盖子元件、具有盖子元件的电池模块和用于制造电池模块的方法以及电池
JP6620701B2 (ja) 救援端子部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2005190735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US11282667B2 (en) Low profile integrated fuse module
WO2017150088A1 (ja) 配線モジュール
JP5147606B2 (ja) ヒューズブロック
KR20190021158A (ko) 다련형 퓨즈, 및 상기 다련형 퓨즈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방법
JP2022108113A (ja) ヒューズユニット
JP7151360B2 (ja) 電気接続箱
US20210257176A1 (en) Low profile integrated fuse module
JP6926132B2 (ja) 保護回路ユニット及び車両用電源装置
JP6424066B2 (ja) スイッチボックス
WO2021182054A1 (ja) 多連型ヒューズ、及び当該多連型ヒューズの製造方法
WO2024127804A1 (ja) ヒューズ
JP6424065B2 (ja) スイッチボックス
JP7495255B2 (ja) 電気接続箱
JP7412035B1 (ja) ヒューズ、及び当該ヒューズの製造方法
KR101114463B1 (ko) 차량용 퓨즈 보호장치
JP2019053956A (ja) バッテリカバー
JP4039018B2 (ja) 自動車用リレーボックス
JP2005276494A (ja) ヒューズホルダ及びヒューズユニット
JP2001319557A (ja) ヒューズボックス
KR20180076701A (ko) 자동차용 블럭
JPH0973857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