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857A -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3857A
KR20240043857A KR1020220122427A KR20220122427A KR20240043857A KR 20240043857 A KR20240043857 A KR 20240043857A KR 1020220122427 A KR1020220122427 A KR 1020220122427A KR 20220122427 A KR20220122427 A KR 20220122427A KR 20240043857 A KR20240043857 A KR 20240043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wave
wave shielding
weight
floor carpe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2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오세민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22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3857A/ko
Publication of KR20240043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3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of carp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CF 원단과 차음층 그리고 흡음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플로어 카펫을 구성하되, 상기 차음층을 제조할 때 전자파 차폐 기능이 있는 기능성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차음성능이 유사하면서도 전자파 차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FLOOR CARPET FOR VEHICLES WITH ELECTROMAGNETIC WAVE SHIELD}
본 발명은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음층을 제조할 때 전자파 차폐 기능이 있는 기능성 분말을 첨가하여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기존 플로어 카펫과 차음성능이 비슷하면서도 중량 변화가 거의 없이 전자기파 차폐 성능을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플로어 패널에는 플로어 카펫이 장착된다. 플로어 카펫은 운전자와 탑승자가 신발을 신은 발을 올려놓는 부분으로, 신발에 묻은 이물 등의 오염 방지, 자동차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 저감 등 다양한 기능을 갖게 제작된다. 이러한 플로어 카펫은,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하게 제작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2322387호
차량용 플로어 카펫 언더 패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플로어 카펫 언더 패드 제조방법에서, 제1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결합하여 상기 플로어 카펫 언더 패드에 대응되는 형상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준비단계; 상기 내부공간에 열가소성 수지 재질의 합성섬유를 충전하되, 상기 합성섬유가 일 방향으로 배향성을 갖도록 유도하면서 분사하여 예비 성형체를 성형하는 제1 성형단계;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합성섬유의 용융점보다 높은 온도의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예비 성형체를 경화시켜 흡음층을 형성하는 제2 성형단계; 및 상기 흡음층을 탈거하고 그 평면에 스킨층을 부착하여 상기 플로어 카펫 언더 패드를 제조하는 마무리 단계;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03029호
플로어 카펫에서 운전자와 탑승자가 발을 올려놓는 안착 부분을 분리하여 플로어에 탈착과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보조매트를 없애 자동차 중량을 줄이고 때에 따라 이 안착 부분을 플로어에서 떼어내어 세척한 다음 다시 깔 수 있어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매직 테이프를 이용하여 플로어에서 탈부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플로어 카펫과 안착 부분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그 사이로 이물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안착 부분을 통상 차종에 따라 달라지는 보조매트의 형상과 크기로 제작하므로 운전자와 탑승자가 발을 딛는 부분의 형상과 모양으로 제작하게 하여 이물이 가능한 한 안착 부분을 벗어나지 않게 하여 플로어 카펫이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01426호
중량이 낮을 수 있지만 양호한 내마모성을 갖는 니들펠트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카펫이 기재된다. 이러한 자동차용 카펫은 적어도 스테이플 섬유로 제조되는 상부 층으로서의 니들 펀칭된 표면 층으로서, 스테이플 섬유는 적어도 50 중량%의 중실 다엽형 섬유를 포함하는, 표면 층; 및 적어도 부분적인 바인딩을 포함한다. 이러한 자동차용 카펫을 제조하는 공정은, 섬유 카드 웨브를 크로스래핑 기계로 급송하여 카드 웨브를 재료의 배트 내로 크로스래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엽형 부직포 크로스래퍼 이동 거리는 니들 펀칭된 표면층의 최종 폭보다 10% 초과 내지 20% 미만만큼 크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22387호 (등록일: 2021.11.01)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03029호 (공개일: 2018.01.09)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01426호 (공개일: 2018.09.12)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플로어 카펫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자동차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 성능이 우수하고, 카펫이 쉽게 오염되지 않게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자동차 실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에 대해서는 차폐 성능이 떨어진다.
(2) 즉, 근래 들어 자동차 안에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편의 시설이 많이 장착하게 되는데, 이러한 편의시설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나, 운전자와 탑승자가 가지고 다니는 휴대단말 등에서 발생한 전자파를 플로어 카펫에서는 흡수할 수 없다.
(3) 특히, 플로어 카펫은 루프패널에 장착되는 헤드 라이너와 함께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넓이가 넓은 마감재 중 하나임에도 이처럼 자동차 실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
(4) 이에, 운전자와 탑승자는 오랜 시간 자동차 실내에 있으면 전자파에 오래 노출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BCF 원단과 차음층 그리고 흡음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플로어 카펫을 구성하되, 상기 차음층을 제조할 때 전자파 차폐 기능이 있는 기능성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차음성능이 유사하면서도 전자파 차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은, BCF 원단(10), 전자파 차폐용 차음층(20), 그리고 흡음층(30)이 차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자파 차폐용 차음층(20)은,
수지 20~25중량%;
화이트 오일 5~10중량%;
무기충전제 30~55중량%;
스테아린산 0.1~0.2중량%;
활성탄 0.5~2중량%; 및
NaCl/Cu와 NaCl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금속 나노 입자가 3,000~30,000ppm(part per million)만큼 함유된 기능성 분말 15~3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수지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및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음층(30)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알루미늄, 구리, 은, 주석, 니켈, 코발트, 크롬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플로어 카펫을 구성하는 차음층을 제조할 때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기능성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기존 플로어 카펫과 유사한 차음성능을 가지면서도 전자파 차폐 성능을 가진 플로어 카펫을 제작할 수 있다.
(2) 이때, 차음층은 기능성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전자파 차폐 성능이 달라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카펫이 장착되는 자동차에서 요구하는 전자파 차폐 성능에 맞춰 기능성 분말의 첨가량을 조절할 수 있다.
(3) 플로어 카펫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기능성 분말을 첨가하여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플로어 카펫을 제조하게 되므로, 전자파 차폐를 위해 별도의 제조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4) 전자파 차폐 성능이 추가된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카펫은 기존 플로어 카펫과 비교하여 물성과 차음성능에서도 큰 차이가 없으면서도 전자파 차폐 성능을 추가로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이 장착된 자동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이 장착된 자동차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의 실시예 1에 대해 주파수 변화에 따른 전자파 차폐 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의 실시예 2에 대해 주파수 변화에 따른 전자파 차폐 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전자파 차폐 기능이 없는 기존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의 비교예에 대해 주파수 변화에 따른 차음성능을 실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C)에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BCF 원단(10)과 전자파 차폐용 차음층(20) 그리고 흡음층(30)이 차례로 적층하여 일체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전자파 차폐용 차음층(20)은, 수지 20~25중량%; 화이트 오일 5~10중량%; 무기충전제 30~55중량%; 스테아린산 0.1~0.2중량%; 활성탄 0.5~2중량%; 및 기능성 분말 15~30중량%;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능성 분말을 통해 전자파 차폐 성능이 있는 금속 나노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차음성능이 기존과 유사하게 유지하면서도 전자파 차폐 성능을 추가로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이러한 금속 나노 입자로는, 예시적으로, 알루미늄, 구리, 은, 주석, 니켈, 코발트, 크롬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로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및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음층(30)으로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BCF 원단
BCF 원단(10)은,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에서 가장 윗면, 즉 운전자와 탑승자가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는 면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BCF(Bulked Continuous Filament)는 장섬유 부피 가공사로, 발모나 보푸라기가 나지 않고 부피성과 내구성이 우수하여 카펫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나일론 가공사를 말한다.
나. 흡음층
흡음층(30)은,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에서 가장 아랫면, 즉 플로어 패널과 마주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흡음층(30)은 흡음 성능이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든지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흡음재로 많이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다.
다. 전자기 차폐용 차음층
전자기 차폐용 차음층(20)은, [도 3]과 같이, 상술한 BCF 원단(10)과 흡음층(30) 사이에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자기 차폐용 차음층(20)은 아래의 [표 1]과 같은 구성으로 제조된다.

성분

함량

수지

20~25중량%

화이트 오일

5~10중량%

무기충전제

30~55중량%

스테아린산

0.1~0.2중량%

활성탄

0.5~2중량%

기능성 분말

15~30중량%
여기서, 상기 수지로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및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고, 무기충전제로는 황산바륨(BaSO4)·탄산칼슘(CaCO3) 및 운모(Mica)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분말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은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것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 기능성 분말은 전자파 차폐 기능이 있는 분말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NaCl/Cu와 NaCl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금속 나노 입자가 3,000~30,000ppm(part per million)만큼 함유된 것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금속 나노 입자로는 알루미늄, 구리, 은, 주석, 니켈, 코발트, 크롬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에 대한 물성 분석 결과와 차음성능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물성분석 결과)
물성 분석 결과는, 아래의 [표 2]와 같이, 기능성 분말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와, 기능성 분말의 함량을 15중량%와 30중량%로 첨가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통해 차음재의 인장강도, 신율, 경도를 측정하였다


성분

중량비율(중량%)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수지

24

24

24

화이트 오일

5

5

5

무기충전제

70

55

40

스테아린산

0.2

0.2

0.2

활성탄

0.8

0.8

0.8

기능성 분말

-

15

30
이러한 비교예와 실시예 1 그리고 실시예 2에 대해 시험규격 MS 220-32 방식으로 차음재의 인장강도와 시뉼 그리고 경도를 측정하였으며, 전자파의 차폐성능(SE)은 ASTM D-4935 (30㎒~1.5㎓) 규격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3]과 같다.

구분

인장강도(Mpa)

신율(%)

경도

차폐성능(SE)

비교예

3.1

2.79

254.8

530.9

81

-

실세예 1

2.76

2.5

257

514.4

79

31dB

실시예 2

2.85

2.58

253.5

518.9

78

50dB

1) 차음재 인장강도, 신율, 경도 시험 규격 : MS 220-32
2) 전자파 차폐 단품 시험 규격 : ASTM D-4935 (30MHz ~ 1.5GHz)
여기서, 차폐성능(SE)은, 실시에 1의 그래프가 [도 4]에, 실시예 2의 그래프가 [도 5]에서 보여준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서, 가로축은 주파수(30㎒~1.5㎓)를, 세로축은 차폐성능(SE: Shielding Effectiveness)을 각각 나타낸다.
( 차음재의 차음성능 시험)
차음성능 시험은, 상술한 비교예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대해 주파수(1/3 Octave Center Frequency[㎐]) 변화에 대해 투과율(Transmission Loss[dB])을, 검은선은 비교예의 투과율 그래프를, 붉은 선은 실시예 1의 투과율 그래프를, 파란선은 실시예 2의 투과율 그래프를 각각 나타낸다.
그 결과, [도 6]과 같이, 주파수가 올라갈수록 투과율이 비교예가 약간 우수하기는 하나, 전반적으로 비교예의 투과율은 실시에 1 및 실시예 2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거의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10: BCF 원단
20: 전자파 차폐용 차음층
30: 흡음층

Claims (3)

  1. BCF 원단(10), 전자파 차폐용 차음층(20), 그리고 흡음층(30)이 차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자파 차폐용 차음층(20)은,
    수지 20~25중량%;
    화이트 오일 5~10중량%;
    무기충전제 30~55중량%;
    스테아린산 0.1~0.2중량%;
    활성탄 0.5~2중량%; 및
    NaCl/Cu와 NaCl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금속 나노 입자가 3,000~30,000ppm(part per million)만큼 함유된 기능성 분말 15~3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
  2. 제1항에서,
    상기 수지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및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음층(30)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알루미늄, 구리, 은, 주석, 니켈, 코발트, 크롬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
KR1020220122427A 2022-09-27 2022-09-27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 KR20240043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427A KR20240043857A (ko) 2022-09-27 2022-09-27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427A KR20240043857A (ko) 2022-09-27 2022-09-27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857A true KR20240043857A (ko) 2024-04-04

Family

ID=9063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427A KR20240043857A (ko) 2022-09-27 2022-09-27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385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029A (ko)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대솔오시스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
KR20180101426A (ko) 2015-12-30 2018-09-12 뷸리우 인터나쇼날 그룹, 나암로체 펜노트스하프 중실 다엽형 섬유를 갖는 자동차용 카펫
KR102322387B1 (ko) 2017-09-07 2021-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플로워 카페트 언더패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426A (ko) 2015-12-30 2018-09-12 뷸리우 인터나쇼날 그룹, 나암로체 펜노트스하프 중실 다엽형 섬유를 갖는 자동차용 카펫
KR20180003029A (ko)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대솔오시스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
KR102322387B1 (ko) 2017-09-07 2021-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플로워 카페트 언더패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04264B2 (ja) 自動車用車体パネルインシュレータ
DE10324257B3 (de) Schallabsorber,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3632876B2 (ja) 遮音構造体
EP1627377B1 (de) Schallabsorber
DE102013112347B4 (de) Verstärkte Platte zum Absorbieren und Blockieren von Geräuschen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KR20180130027A (ko) 흡음 성능이 향상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76255A (ko) 차량용 언더커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40043857A (ko)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
KR20180047882A (ko) 단일소재의 차량용 내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DE102016000726A1 (de) Verbundelement,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CN205272708U (zh) 一种高吸音性的顶棚
EP2937859B1 (en) Dash pad for vehicle
JP3247629B2 (ja) 自動車用内装材
JPH07219556A (ja) 自動車用遮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80224A (ja) 自動車用内装品および自動車用内装吸音材の配置方法
CN111823673B (zh) 具有高弹性和高刚性的用于车辆的底罩及其制造方法
JP4167505B2 (ja) 多密度構成のフェルト吸音材
KR102214761B1 (ko) 자동차 플로어 카펫용 멀티 레이어 부직포
KR20190073708A (ko) 다층구조의 차량용 엔진커버 및 엔진커버의 제조방법
KR102453898B1 (ko) 흡음 성능이 개선되고 경량화된 패키지 트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62086A (ko) 플로어 언더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00001A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기재
JP3378489B2 (ja) カーペット基材
CN217495915U (zh) 一种隔音效果好的汽车内衬地垫
JPH1120570A (ja) 自動車用内装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