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063A - 박막 증착 장치 - Google Patents

박막 증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063A
KR20240040063A KR1020240035622A KR20240035622A KR20240040063A KR 20240040063 A KR20240040063 A KR 20240040063A KR 1020240035622 A KR1020240035622 A KR 1020240035622A KR 20240035622 A KR20240035622 A KR 20240035622A KR 20240040063 A KR20240040063 A KR 20240040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stage
nozzles
film depositio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완
문주일
강성기
황인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3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0063A/ko
Publication of KR20240040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0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4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vacuum de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4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
    • C23C14/542Controlling the film thickness or evaporation rate
    • C23C14/543Controlling the film thickness or evaporation rate using measurement on the vapor sourc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2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43Crucibles for sourc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6Vacuum evaporation by resistance or inductive heating of the sourc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2Means for observation of the coating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4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coating;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the vacuum, e.g. vacuum l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coating;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the vacuum, e.g. vacuum locks
    • C23C14/564Means for minimising impurities in the coating chamber such as dust, moisture, residual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01L21/67109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mainly by conv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48Temperature monito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3Process monitoring, e.g. flow or thickness monito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10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 H01L22/12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structural parameters, e.g. thickness, line width, refractive index, temperature, warp, bond strength, defects, optical inspection, electrical measurement of structural dimensions, metallurgic measurement of diffu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40Thermal treatment, e.g. annealing in the presence of a solvent vapo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박막 증착 장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에서 기판들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스테이지와 제2 스테이지; 상기 제1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제1 스테이지 영역과 상기 제2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제2 스테이지 영역 사이를 이동하고, 소스 재료가 분출되는 복수의 노즐들을 포함하는 증발원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스테이지와 상기 제2 스테이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들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박막 증착 장치{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박막 증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전계발광 표시 패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기판 상에 유기 박막을 형성하는 증착 공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챔버 내 증발원에 소스 재료를 장입하고 가열하면 증발(evaporation)된 소스 재료의 기체(vapor)가 일정한 마스크 패턴을 통과하여 기판 상에 안착하게 된다. 이러한 유기 박막 증착 과정에서 기판에 대해 유기 박막의 균일한 성장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소스 재료가 토출되는 노즐들에 소스 재료가 들러 붙어 노즐의 홀(hole)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노즐 막힘이 발생되면 증착 공정시 재료 도포의 불균일이 초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기판에 증착된 유기 박막의 두께가 불균일해지고, 제조된 기판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들의 막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박막 증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박막 증착 장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에서 기판들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스테이지와 제2 스테이지; 상기 제1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제1 스테이지 영역과 상기 제2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제2 스테이지 영역 사이를 이동하고, 소스 재료가 분출되는 복수의 노즐들을 포함하는 증발원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스테이지와 상기 제2 스테이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들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상 어셈블리로부터 제공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노즐들의 막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는 소스 재료가 수용되는 증발용기; 상기 노즐들이 배열되고 상기 증발용기를 덮는 열 반사판; 및 상기 소스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가 상기 제1 스테이지 영역과 상기 제2 스테이지 영역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가열부의 발열 정도를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들 중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의 노즐이 막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가열부가 발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들의 막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들 중 어느 한 노즐에 대하여 노즐 개구 영역의 막힘 정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경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상 어셈블리는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이동 중인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의 노즐들을 촬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상 어셈블리의 촬상 횟수는 하나의 노즐 열에 포함된 상기 노즐들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가 상기 제1 스테이지 영역과 상기 제2 스테이지 영역 사이를 이동할 때마다 미리 설정된 타이밍으로 촬상하도록 상기 촬상 어셈블리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상 어셈블리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부들; 상기 복수의 카메라부들에 대응되는 조명부들; 및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와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는 견시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는 대기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부들의 개수는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에 배열되는 노즐 열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와 상기 촬상 어셈블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견시창에 대응되는 영역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셔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상 어셈블리와 상기 셔터부 사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커버글라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견시창에 대응되는 영역 이외에 상기 소스 재료가 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착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스테이지와 제2 스테이지 사이에 배치된 촬상 어셈블리를 이용해 노즐들의 막힘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박막 증착 장치의 운영과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박막 증착 처리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박막 증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촬상 어셈블리가 노즐들을 촬상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는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성된 노즐 이미지의 일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착 장치는 챔버(10), 제1 스테이지(ST1), 제2 스테이지(ST2), 증발원 어셈블리(20), 촬상 어셈블리(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10)는 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챔버(10)는 복수의 기판들(G1, G2)을 처리하기 위한 공간들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챔버(10)는 상기 기판들(G1, G2) 각각에 대하여 증착 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복수의 스테이지들(ST1, ST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들(ST1, ST2)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챔버(10)의 내부는 증착 공정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일정한 수준의 진공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진공 상태의 조성을 위한 진공 펌프(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10)는 상기 기판들(G1, G2)의 반입과 반출을 위하여 반입/반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10)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구리와 같은 금속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코팅된 금속 예를 들어, 양극 처리된 알루미늄이나 니켈 도금된 알루미늄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내화 금속(refractory metal)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챔버(10)의 전체 또는 일부는 석영, 세라믹과 같은 전기적 절연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챔버(10)의 구조는 상기 기판들(G1, G2)의 증착 처리를 위하여 적합한 구조 예를 들어, 원형 구조나 사각형 구조 그리고 이외에도 어떠한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판들(G1, G2)은 유기전계발광 표시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기판들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기판들(G1, G2)이 표시패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웨이퍼와 같은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스테이지(ST1, ST2)는 상기 챔버(10) 내에서 상기 기판들(G1, G2)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테이지(ST1, ST2)는 상기 챔버(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들(G1, G2)의 피처리면이 아래를 향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증착 공정이 이루어지는 상부 척킹(chucking)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 스테이지(ST1)는 상기 챔버(10)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스테이지(ST2)는 상기 챔버(10)의 타측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스테이지(ST1)와 상기 제2 스테이지(ST2)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 상기 제1 스테이지(ST1)에 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스테이지(ST1)는 상기 제1 기판(G1)의 피처리면이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지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테이지(ST1)는 상기 제1 기판(G1)을 지지하기 위한 기판 지지부(미도시)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상기 제1 기판(G1)을 고정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1 스테이지(ST1)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기판(G1)을 흡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테이지(ST1)는 상기 제1 기판(G1)의 크기 및 공정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박막 증착 장치는 두 개의 스테이지들(ST1, ST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박막 증착 장치는 세 개 이상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는 내부에 소스 재료를 수용하며 가열에 의해 기화된 소스 재료를 제공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는 상기 챔버(10)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로 상기 소스 재료를 제공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는 상기 소스 재료가 분출되는 복수의 노즐들(21)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들(21)은 라인 단위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전체가 2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들(21)은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의 상면에 3열로 배치되며, 일측에서부터 차례로 제1 노즐 열, 제2 노즐 열, 제3 노즐 열로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노즐들(21)의 크기 및 간격은 균일하거나 또는 위치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상기 노즐들(21)은 공정의 종류 및 소스 재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은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는 상기 챔버(10) 내에서 이동되면서 증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는 상기 제1 스테이지(ST1)에 대응되는 제1 스테이지 영역(SA1)과 상기 제2 스테이지(ST2)에 대응되는 제2 스테이지 영역(SA2)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챔버(10)는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어셈블리(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11)에 의해 상기 제1 스테이지 영역(SA1)과 상기 제2 스테이지 영역(SA2) 사이를 반복적으로 이동하며 연속적인 증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G1) 또는 상기 제2 기판(G2)에 대한 증착 공정시,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11)에 의해 상기 소스 재료가 균일하게 분출되도록 왕복 스캔 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는 상기 제1 스테이지 영역(SA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판(G1)에 대한 증착 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기판(G1)에 대한 증착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11)에 의해 상기 제2 스테이지 영역(SA2)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는 상기 제2 스테이지 영역(SA2)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기판(G2)에 대한 증착 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기판(G2)에 대한 증착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11)에 의해 상기 제1 스테이지 영역(SA1)으로 이동한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11)는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의 스테이지 영역들 간 이동 및 한 스테이지 영역 내 스캔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미도시)와,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레일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11)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의 상하, 전후, 좌우 구동을 위한 다양한 변형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촬상 어셈블리(30)는 상기 제1 스테이지(ST1)와 상기 제2 스테이지(ST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들(21)을 촬상한다. 상기 촬상 어셈블리(30)는 상기 챔버(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가 위치하는 하부를 향하여 촬상한다. 상기 촬상 어셈블리(30)의 촬상 영역은 상기 제1 스테이지 영역(SA1)과 상기 제2 스테이지 영역(SA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상 어셈블리(30)는 복수의 카메라부들(31)과, 상기 카메라부들(31)에 대응되는 조명부들(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들(31)은 CCD(charge-coupled device)소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촬상 영역을 경과하는 상기 노즐들(21)의 일부를 라인 단위로 촬상하여 광학적 이미지 데이터(I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들(33)은 상기 노즐들(21)을 향해 광이 조사되도록 마련되며, 촬상시에만 발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촬상 어셈블리(30)는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이동 중인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의 노즐들(21)을 촬상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부들(31)의 개수는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에 배열되는 노즐 열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에 배치된 상기 노즐들(21)이 3열인 경우, 상기 카메라부들(31)은 3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부들(31)은 제1 카메라부(31a), 제2 카메라부(31b), 제3 카메라부(3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부(31a)는 제1 노즐 열의 노즐들(21a)을 촬상하고, 제2 카메라부(31b)는 제2 노즐 열의 노즐들(21b)을 촬상하며, 제3 카메라부(31c)는 제3 노즐 열의 노즐들(21c)을 촬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상 어셈블리(30)의 촬상 횟수는 하나의 노즐 열에 포함된 노즐들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노즐 열이 11개의 노즐들을 포함한다면, 상기 카메라부들(31)은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가 상기 촬상 영역을 경과할 때, 순차적으로 11회를 촬상하여 각 노즐들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IDATA)를 취득한다.
한편, 공정 시간 손실(TACT time loss)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는 스테이지 간 이동시 정지하지 않고 이동하므로, 상기 촬상 어셈블리(30)는 짧은 시간 다수회 촬상할 수 있는 성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챔버(10) 및 상기 챔버(10)를 포함하는 박막 증착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11),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 상기 촬상 어셈블리(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챔버(10)의 일부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챔버(10)로부터 분리된 별도의 구성, 예컨대,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기판들(G1, G2)의 상기 챔버(10) 내로의 반입 및 반출을 제어하거나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챔버(10) 내로 반입된 상기 기판들(G1, G2)에 대하여 증착 공정을 진행하도록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가 상기 제1 스테이지 영역(SA1)과 상기 제2 스테이지 영역(SA2)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어셈블리(1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가 상기 제1 스테이지 영역(SA1)과 상기 제2 스테이지 영역(SA2) 사이를 이동할 때마다 미리 설정된 타이밍으로 촬상하도록 상기 촬상 어셈블리(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11)의 스테이지 간 이동을 명령하는 구동 제어신호와, 상기 촬상 어셈블리(30)의 촬상을 명령하는 촬상 제어신호를 동기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촬상 어셈블리(30)로부터 제공된 이미지 데이터(IDATA)에 기초하여 상기 노즐들(21)의 막힘 상태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IDATA)를 처리 및 분석하여 단위 픽셀 간 휘도 차이 또는 색상 차이를 통해 노즐 개구 영역과 이물질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정확한 노즐 이미지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는 상기 노즐 개구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이물질 영역의 크기 비율에 대응되는 막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특정 노즐에 대하여 상기 막힘 정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노즐이 막혀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박막 증착 장치는 예를 들면, 소스 재료로부터 발생한 증기 또는 이의 반응 생성물의 증착에 의해 소자층이 형성되는 메모리 또는 로직회로와 같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를 위한 박막 증착 장치, 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를 위한 박막 증착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이며, 소스 재료가 노즐을 통해 분출되는 구조를 갖는 모든 박막 증착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a는 도 1의 박막 증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촬상 어셈블리가 노즐들을 촬상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c는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성된 노즐 이미지의 일례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는 열 반사판(23), 증발용기(25) 및 가열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반사판(23)은 상기 증발용기(25)를 커버하면서, 상기 열 반사판(23) 상에는 상기 노즐들(21)이 배열된다. 상기 열 반사판(23)은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의 열 손실을 저감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열 반사판(23)의 개수는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에 배열되는 노즐 열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증발용기(25)는 내측으로 상기 소스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증발용기(25)는 직사각형의 용기 형상을 갖는다. 상기 소스 재료는 고분자 유기물질, 저분자 유기물질, 중합체, 무기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상이거나 또는 액상일 수도 있다.
상기 증발용기(25)의 일부 또는 전체의 재료는 스텐레스 스틸, 알루미늄, 티타늄, 구리와 같은 금속 재료, 내부의 관측이 가능한 석영, 유리와 같은 재료 또는 단열 효과를 갖는 세라믹과 같은 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열부(27)는 상기 증발용기(25)에 수용된 소스 재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가열수단이다. 상기 가열부(27)는 상기 증발용기(25) 내부에 매립되거나 외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27)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부(27)는 열선 코일이거나 발열시트일 수 있다. 또는, 복사 히터, 순환유체 히터 및 유도 히터와 같은 다른 가열수단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상 어셈블리(30)는 복수의 카메라부들(31)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35)과,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와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35)의 전면에 배치되는 견시창(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5)은 상기 챔버(10)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를 향하여 상기 견시창(3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5) 내에는 카메라부들(31)과 조명부들(33)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35) 내부는 대기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챔버(10)는 진공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35)은 외부와 밀폐되는 구조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박막 증착 장치는 커버글라스부(13), 셔터부(15) 및 방착판(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글라스부(13)는 상기 촬상 어셈블리(30)와 상기 셔터부(15) 사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커버글라스부(13)는 증발된 소스 재료로 인해 상기 견시창(37)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오염된 상기 커버글라스부(13)를 교체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커버글라스부(13)는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셔터부(15)는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와 상기 촬상 어셈블리(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견시창(37)에 대응되는 영역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셔터부(15)는 상기 촬상 어셈블리(30)의 촬상시 오픈(open)되고, 상기 촬상 어셈블리(30)의 촬상 시간 이외에는 클로즈(close)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촬상 어셈블리(30)의 오염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셔터부(15)는 슬라이딩 타입으로 적용된다.
상기 방착판(17)은 상기 견시창(37)에 대응되는 영역 이외에 상기 소스 재료가 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방착판(17)은 상기 셔터부(15)와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촬상 어셈블리(30) 주변부의 오염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IDATA)를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41),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가 상기 제1 스테이지 영역(SA1)과 상기 제2 스테이지 영역(SA2)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어셈블리(11)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43), 및 상기 가열부(27)의 발열 정도를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이미지 분석부(41)를 이용해 상기 노즐들(21)의 막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가열부(27)가 발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들(21)에 인접한 상기 가열부(27)의 일부만 발열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가열부(27)가 발열하여 상기 노즐들(21)의 온도가 일정 수준으로 상승하면, 오염된 노즐들에 들러 붙은 소스 재료가 기화되어 크리닝(cleaning)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노즐들(21) 중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의 노즐이 막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가열부(27)가 발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는 둘 이상의 노즐이 막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가열부(27)가 발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노즐들 중 어느 한 노즐에 대하여 노즐 개구 영역의 막힘 정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가열부(27)가 발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는 노즐 개구 영역의 과반 이상을 이물질 영역이 침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가열부(27)가 발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박막 증착 장치는 상기 노즐들(21)의 막힘 상태를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오염된 노즐들을 크리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박막 증착 장치는 상기 노즐들(21)의 막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0)는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도출된 상기 노즐들(21)의 막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50)는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부(50)는 노즐 이미지, 노즐의 막힘 정도, 노즐의 온도, 소스 재료의 잔량 등을 문자, 소리, 경고등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표시부(50)는 상기 챔버(10)의 측면부에 장착되거나 상기 챔버(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와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50)의 종류, 위치, 형태 및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11)에 의해 상기 제1 스테이지 영역(SA1)과 상기 제2 스테이지 영역(SA2) 사이를 반복적으로 이동하며 연속적인 증착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촬상 어셈블리(30)는 상기 제1 스테이지 영역(SA1)과 상기 제2 스테이지 영역(SA2) 사이를 이동 중인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의 노즐들(21)을 촬상한다.
상기 촬상 어셈블리(30)는 촬상 영역(IA)을 경과하는 상기 노즐들(21)의 일부를 라인 단위로 촬상하여 광학적 이미지 데이터(I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촬상 어셈블리(30)의 촬상 횟수는 하나의 노즐 열에 포함된 노즐들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노즐 열이 11개의 노즐들을 포함한다면, 상기 카메라부들(31)은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가 상기 촬상 영역(IA)을 경과할 때, 순차적으로 11회를 촬상하여 각 노즐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IDATA)를 취득한다.
이때, 상기 셔터부(15)는 상기 촬상 어셈블리(30)의 촬상시 오픈(open)되고, 상기 촬상 어셈블리(30)의 촬상 시간 이외에는 클로즈(close)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촬상 어셈블리(30)의 오염을 방지한다. 즉, 상기 셔터부(15)는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20)가 상기 제1 스테이지 영역(SA1)과 상기 제2 스테이지 영역(SA2) 사이를 이동 중일 때 오픈되고, 그 이외의 상태에서는 클로즈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촬상 어셈블리(30)로부터 제공된 이미지 데이터(IDATA)에 기초하여 전체적인 또는 일부의 노즐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노즐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노즐들(21)의 막힘 상태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노즐 이미지의 단위 픽셀간 휘도 차이 또는 색상 차이를 통해 노즐 개구 영역(NOA)과 이물질 영역(MA)을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정확한 노즐 이미지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노즐 개구 영역(NOA) 내에 위치하는 상기 이물질 영역(MA)의 크기 비율에 대응되는 막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특정 노즐에 대하여 상기 막힘 정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노즐이 막혀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노즐들(21)의 막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표시부(50)를 통해 경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부(50)는 노즐 이미지, 노즐의 막힘 정도, 노즐의 온도, 소스 재료의 잔량 등을 문자, 소리, 경고등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노즐들(21)이 3열로 배열된 경우, 일회의 촬상에 의한 노즐 이미지는 제1 노즐 열의 노즐(21a), 제2 노즐 열의 노즐(21b), 제3 노즐 열의 노즐(21c)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들(21) 중 상기 제2 노즐 열의 노즐(21b)의 상기 이물질 영역(MA)의 크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2 노즐 열의 노즐(21b)이 막혀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2 노즐 열의 노즐(21b)의 막힘 상태를 상기 표시부(50)를 통해 경고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스테이지(ST1)와 상기 제2 스테이지(ST2) 사이에 배치된 상기 촬상 어셈블리(30)를 이용해 노즐들(21)의 막힘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박막 증착 장치의 운영과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박막 증착 처리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챔버 11: 구동 어셈블리
13: 커버글라스부 15: 셔터부
17: 방착판
ST1: 제1 스테이지 ST2: 제2 스테이지
SA1: 제1 스테이지 영역 SA2: 제2 스테이지 영역
G1: 제1 기판 G2: 제2 기판
20: 증발원 어셈블리 21: 노즐들
23: 열 반사판 25: 증발용기
27: 가열부
30: 촬상 어셈블리 31: 카메라부들
33: 조명부들 35: 하우징
37: 견시창
40: 제어부 41: 이미지 분석부
43: 구동 제어부 45: 가열 제어부
50: 표시부

Claims (16)

  1. 챔버;
    상기 챔버 내에서 기판들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스테이지와 제2 스테이지;
    상기 제1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제1 스테이지 영역과 상기 제2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제2 스테이지 영역 사이를 이동하고, 소스 재료가 분출되는 복수의 노즐들을 포함하는 증발원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스테이지와 상기 제2 스테이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들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촬상 어셈블리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부들; 상기 복수의 카메라부들에 대응되는 조명부들; 및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와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는 견시창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어셈블리로부터 제공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노즐들의 막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는
    소스 재료가 수용되는 증발용기;
    상기 노즐들이 배열되고 상기 증발용기를 덮는 열 반사판; 및
    상기 소스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가 상기 제1 스테이지 영역과 상기 제2 스테이지 영역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가열부의 발열 정도를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들 중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의 노즐이 막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가열부가 발열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들의 막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들 중 어느 한 노즐에 대하여 노즐 개구 영역의 막힘 정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경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어셈블리는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이동 중인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의 노즐들을 촬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어셈블리의 촬상 횟수는 하나의 노즐 열에 포함된 상기 노즐들의 개수에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가 상기 제1 스테이지 영역과 상기 제2 스테이지 영역 사이를 이동할 때마다 미리 설정된 타이밍으로 촬상하도록 상기 촬상 어셈블리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는 대기압 상태로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들의 개수는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에 배열되는 노즐 열의 개수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원 어셈블리와 상기 촬상 어셈블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견시창에 대응되는 영역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셔터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어셈블리와 상기 셔터부 사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커버글라스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시창에 대응되는 영역 이외에 상기 소스 재료가 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착판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장치.
KR1020240035622A 2016-07-12 2024-03-14 박막 증착 장치 KR20240040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5622A KR20240040063A (ko) 2016-07-12 2024-03-14 박막 증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199A KR20180007387A (ko) 2016-07-12 2016-07-12 박막 증착 장치
KR1020240035622A KR20240040063A (ko) 2016-07-12 2024-03-14 박막 증착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199A Division KR20180007387A (ko) 2016-07-12 2016-07-12 박막 증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063A true KR20240040063A (ko) 2024-03-27

Family

ID=609413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199A KR20180007387A (ko) 2016-07-12 2016-07-12 박막 증착 장치
KR1020240035622A KR20240040063A (ko) 2016-07-12 2024-03-14 박막 증착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199A KR20180007387A (ko) 2016-07-12 2016-07-12 박막 증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47003B2 (ko)
KR (2) KR20180007387A (ko)
CN (1) CN1076043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6058B2 (en) * 2017-01-27 2021-02-02 Nords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specting and cleaning a nozzle of a dispenser
CN108330438B (zh) * 2018-03-12 2019-11-2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Oled蒸镀装置及系统
KR101941408B1 (ko) * 2018-08-30 2019-01-22 김정석 반도체 웨이퍼 증착장비용 샤워헤드 검사장치
KR20210113462A (ko) * 2020-03-05 2021-09-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즐 검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5469B2 (ja) * 1992-11-30 2002-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ーザ薄膜形成装置
US5937272A (en) 1997-06-06 1999-08-10 Eastman Kodak Company Patterned organic layers in a full-col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rray on a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US20040123804A1 (en) * 2002-09-20 2004-07-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Fabrication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emitting device
JP4439894B2 (ja) * 2003-12-01 2010-03-2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蒸着用るつぼ及び蒸着装置
DE102005010681B4 (de) * 2005-03-09 2016-05-04 Leybold Optics Gmbh Messanordnung zum optischen Monitoring von Beschichtungsprozessen
US20070178225A1 (en) * 2005-12-14 2007-08-02 Keiji Takanosu Vapor deposition crucible, thin-film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display device
US20100279021A1 (en) * 2009-05-04 2010-11-04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Apparatus for depositing organic material and depositing method thereof
WO2012124563A1 (ja) * 2011-03-14 2012-09-20 シャープ株式会社 蒸着粒子射出装置および蒸着装置並びに蒸着方法
DK2524974T3 (da) * 2011-05-18 2014-08-11 Riber Injektor til et vakuuminddampningssystem
US20160230265A1 (en) * 2013-02-14 2016-08-11 Dillard University Multiple Beam Pulsed Laser Deposition Of Composite Films
JP6161958B2 (ja) 2013-05-31 2017-07-12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ノズルキャップ
CN103774097B (zh) * 2014-01-23 2015-07-01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强磁场辅助脉冲激光沉积系统
US9822980B2 (en) 2014-09-24 2017-11-21 Pratt & Whitney Canada Corp. Fuel nozzle
KR20160090983A (ko) * 2015-01-22 2016-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리플렉터를 구비한 증착원
US20170029938A1 (en) * 2015-04-30 2017-02-02 Boe Technology Group Co., Ltd. Evaporation source, evaporation-deposition device and evaporation-deposi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04313B (zh) 2021-11-02
US10547003B2 (en) 2020-01-28
US20180019395A1 (en) 2018-01-18
KR20180007387A (ko) 2018-01-23
CN107604313A (zh) 2018-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40063A (ko) 박막 증착 장치
KR102522968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JP5201932B2 (ja) 供給装置、及び有機蒸着装置
KR20080061666A (ko) 유기 박막 증착 장치
KR100727470B1 (ko) 유기물 증착 장치 및 방법
CN109385605B (zh) 蒸发源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7186787A (ja) 蒸着坩堝並びにこれを備えた薄膜形成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9845530B2 (en) Mask for vapor deposition apparatus, vapor deposition apparatus, vapor deposition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JP6584356B2 (ja)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装置の処理方法
JP2017183496A (ja) 基板処理装置の管理方法、及び基板処理システム
KR102590304B1 (ko) 증발원 장치, 증착 장치 및 증착 시스템
US91742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organic deposition materials
TWI576456B (zh) 沉積裝置與使用其製造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之方法
US20230333531A1 (en) Treatment condition sett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substrate treatment system
JP5578345B2 (ja) 蒸着装置における蒸発源及び蒸着装置
KR102164986B1 (ko) 증발원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처리장치
JP2009149919A (ja) 膜厚モニタ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成膜装置
JP2006221029A (ja) 基板処理装置及び制御装置
JP2013209696A (ja) 真空蒸着装置およびその蒸着源
JP2013209696A6 (ja) 真空蒸着装置およびその蒸着源
KR100914268B1 (ko) 소스 공급 유닛, 이를 갖는 유기박막 증착 장치, 및유기박막 증착 장치를 이용한 기판 위에 유기박막의 형성방법
KR101530033B1 (ko) 박막 증착 장치
US11186907B2 (en) Deposition apparatus for both lateral portions of substrate
KR20180086125A (ko) 기판 상에서의 재료의 증착을 위한 장치, 기판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층들을 증착하기 위한 시스템, 및 진공 증착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KR102193456B1 (ko) 기판 열 경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