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067A - 봉체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봉체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067A
KR20240038067A KR1020247006452A KR20247006452A KR20240038067A KR 20240038067 A KR20240038067 A KR 20240038067A KR 1020247006452 A KR1020247006452 A KR 1020247006452A KR 20247006452 A KR20247006452 A KR 20247006452A KR 20240038067 A KR20240038067 A KR 20240038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body
connecting member
operating rod
fix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6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이시가키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38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06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2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bayonet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16B21/04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with bayonet ca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더 한층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봉체(棒體)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봉체와 상기 봉체에 연결되는 피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10)는, 상기 봉체 측의 영역에 배설(配設)되는 제1 연결 부재(50)와, 상기 봉체에 연결되는 피연결부 측의 영역에 배설되는 제2 연결 부재(80)를 구비하고, 상기 봉체는, 봉체에 연결되는 피연결부 측의 영역에, 연결 구조(10)에 의해 연결된 것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 수단(16)이 배설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80)는, 봉체에 연결되는 피연결부 측의 영역에, 상기 봉체 측의 고정 수단(16)을 정지시키는 고정 수단(16)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50)는, 봉체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봉체 측에 배설되고, 상기 봉체에 피연결부를 장착했을 때, 상기 제1 연결 부재(50)는, 상기 고정 수단(16)에 의해 제2 연결 부재(80)의 제1 연결 부재측 영역에 고정되어, 제2 연결 부재(80)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봉체 측의 고정 수단(16)이 상기 제2 연결 부재(80)에 형성된 고정 수단(16)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봉체의 연결 구조
본 발명은, 봉체(棒體)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예를 들면, 간접 활선(活線) 공사에 사용되는 간접 공사용 절연 조작봉 및 그것에 연결되는 선단(先端) 공구 등과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간접 활선 공사용 공구와 간접 활선 공사용 절연 조작봉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몇 가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내지 3).
간접 활선 공사에서는 작업 중인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극히 중요하며, 절연 조작봉의 선단에 교환 가능하게 연결된 피박기(皮剝機) 등의 각종 간접 활선 공사용 공구가 작업 중에 뜻하지 않게 탈락하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선행 문헌 1의 연결 구조는, 연결 금속 부재의 걸림 홈을, 세로 홈 부분, 가로 홈 부분, 세로 홈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역L자 형상의 제1 시프트 홈부에, 가로 홈 부분, 세로 홈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가로 방향 L자 형상의 제2 시프트 홈부를 추가하고, 또는, 세로 홈에 추가 세로 홈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세로 홈 내를 핀이 상단(上端)까지 움직여도 가로로의 이탈 방지가 행해져, 핀이 걸림 홈으로부터 빠지기 어려운 것이다.
선행 문헌 2의 연결 구조는, 공용 조작봉이, 봉형(棒形) 부재와 선단 공구를 접속 가능한 접속부와 선단 공구를 록킹하기 위한 고정부를 가지고, 고정부는, 경사부와 경사부가 주판알형으로 연접(連接)된 심(芯) 부분과, 이 심 부분의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선단 공구와 맞닿을 수 있는 슬라이딩 부재로 구성되며, 슬라이딩 부재는, 압압부(押壓部)의 각각의 당부(當部)가, 심 부분의 직경 방향에서 심 부분을 누르고, 선단 공구를 조여서 고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행 문헌 3의 연결 구조는, 공구부가, 원기둥형의 축부(軸部), 한 쌍 푸쉬버튼, 및 2개의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접속 금속 부재가, 축구멍과 한 쌍의 절결(切缺) 홈을 가지고, 축구멍에는, 축부를 도입 및 끼워맞출 수 있고, 노브를 파지하여, 오목부로부터 래치판을 출몰시켜, 조작봉과 선단 공구를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199861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3-102629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7-9914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3의 발명에서의 연결 구조는, 충분히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더 한층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봉체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봉체의 연결 구조는, 봉체와 상기 봉체에 연결되는 피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로서, 상기 봉체 측의 영역에 배설(配設)되는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봉체에 연결되는 피연결부 측의 영역에 배설되는 제2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봉체는, 봉체에 연결되는 피연결부 측의 영역에,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된 것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 수단이 배설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봉체에 연결되는 피연결부 측의 영역에, 상기 봉체 측의 고정 수단을 정지시키는 고정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봉체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봉체 측에 배설되고, 상기 봉체에 피연결부를 연결했을 때,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제2 연결 부재의 제1 연결 부재측 영역에 고정되어, 제2 연결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봉체 측의 고정 수단이 상기 제2 연결 부재에 형성된 고정 수단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체의 연결 구조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봉체의 연결 구조는, 봉체와 상기 봉체에 연결되는 피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로서, 상기 봉체 측의 영역에 배설되는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봉체에 연결되는 피연결부 측의 영역에 배설되는 제2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봉체 측의 연결부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는, 한쪽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와 오목부가 조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봉체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봉체 측에 배설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피연결부에 이동 가능하게 피연결부 측에 배설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연결된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가 반대 방향 이동함으로써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봉체는,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된 것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억제 수단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억제 수단은, 제1 연결 부재를, 제2 연결 부재 측으로 압압하여, 상기 연결했을 때에 맞물린 볼록부와 오목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체의 연결 구조.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봉체의 연결 구조는, 봉체 측의 연결부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가, 한쪽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와 오목부가 조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봉체의 연결 구조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따른 봉체의 연결 구조는, 상기 봉체 측에 설치된 고정 수단이,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고 있어, 피연결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봉체의 이동에 따라 봉체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그리고 봉체의 주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 청구항 1에 기재된 봉체의 연결 구조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따른 봉체의 연결 구조는,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를 봉체 측의 연결부를 연결했을 때, 제2 연결 부재의 제1 연결 부재측의 단부(端部)를 압압하도록 형성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봉체의 연결 구조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따른 봉체의 연결 구조는, 상기 고정 수단이, 상기 봉체 측의 연결부에 형성된,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제1 고정 볼록부(핀)에 의해 구성되며, 및/또는,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봉체 측의 제1 연결 부재에 형성된,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plunger))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2 연결 부재에 형성된 고정 수단 또는 심 부재에 형성된 고정 수단은, 상기 심 부재 및/또는 제2 연결 부재에 있어서, 대응한 위치에 형성된, 꼬불꼬불 구부러진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홈에 의해 구성된, 청구항 1에 기재된 봉체의 연결 구조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따른 봉체의 연결 구조는, 상기 고정 수단이, 고정핀 및 플런저 및 고정홈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고정핀 및 플런저는, 봉체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끼워넣어진 고정핀의 헤드부가 약간 돌출하는 깊이와, 상기 끼워넣어진 고정핀 및 플런저의 축부가 이동할 수 있는 폭을 구비하고, 봉체에 피연결부를 장착했을 때 고정핀 및 플런저가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된, 청구항 1에 기재된 봉체의 연결 구조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따른 봉체의 연결 구조는, 상기 제1 조작봉 측의 고정 수단이, 제1 연결 부재에 형성된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제2 연결 부재에 배설된 상기 고정 수단에 끼워맞추어지도록 형성된, 청구항 1에 기재된 봉체의 연결 구조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따른 봉체의 연결 구조는,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피연결부를 봉체에 연결했을 때, 상기 제2 연결 부재 또는 봉체의 연결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봉체에 피연결부가 고정되었을 때 제2 연결 부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봉체의 연결 구조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따른 봉체의 연결 구조는, 상기 억제 수단이, 탄발(彈發) 부재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탄발 부재는, 제1 연결 부재를 피연결부 측에 압압하도록, 또는 상기 고정 수단을 고정홈에 압압하도록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 부재를 상기 연결했을 때에 맞물린 볼록부와 오목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압압하도록 배설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봉체의 연결 구조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따른 봉체의 연결 구조는, 상기 봉체가, 봉체 본체보다 가느다란 제1 연결부가 피연결부에 연결되는 측에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의 피연결부 측에 상기 제1 연결부보다 굵은 제2 연결부가 연설(連設)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연결 부재의 이동 스페이스를 봉체 본체와의 사이에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고정 수단이 배설된,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봉체의 연결 구조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따른 봉체의 연결 구조는,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봉체에서의 손잡이 측의 영역의 봉체에 배설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봉체에서의 피연결부 측의 봉체에 배설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봉체의 연결 구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더 한층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봉체의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의 정면도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정단면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단면도해도이며, (A)는 도 1의 A-A 단면도해도이며, (B)는 도 1의 B-B 단면도해도이며, (C)는 도 1의 C-C 단면도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작동을 나타낸 정단면도해도이며, (A)는 록킹 해제 상태를 나타낸 도이며, (B)는 연결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분해한 상태의 단면도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연결 구조를 구비한 조작봉의 사시도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연결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연결 구조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의 정단면도해도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의 횡단면도해도이며, (A)는 도 10b의 A2-A2 단면도이며, (B)는 도 10b의 B2-B2 단면도이며, (C)는 도 10b의 C2-C2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작동을 나타낸 정단면도해도이며, (A)는 록킹 해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연결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연결 구조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한 연결 구조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한 연결 구조를 구비한, 조작봉의 사시도해도이다.
도 15는 도 10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연결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해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의 도해도이며, (A)는 정면도해도이며, (B)는 정단면도해도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의 횡단면도해도이며, (A)는 도 10b의 A2-A2 단면도이며, (B)는 도 10b의 B2-B2 단면도이며, (C)는 도 10b의 C2-C2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해도이며, A)은 록킹 해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연결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해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해도이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한 연결 구조를 구비한 조작봉의 사시도해도이다.
도 21은 도 16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연결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의 정면도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해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분해한 상태의 도해도이며, (A)는 사시도해도이며, (B)는 평면도해도이며, (C)는, (B)의 a-a, b-b 및 c-c 단면도해도이다.
도 25는 도 22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사시도해도이다.
도 26은 도 22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해도이다.
도 27은 도 22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해도이다.
도 28은 도 22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심 부재의 정면도해도이다.
도 29는 도 22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연결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해도이다.
도 30은 도 22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사시도해도이다.
도 31은 도 22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사시도해도이다.
도 32는 도 22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정면도해도이며, (A)는 록킹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가(假)록킹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도 22에 도시한 연결 구조의 정면도해도이며, (A)는 록킹 해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연결부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도 22에 도시한 연결 구조를 구비한 조작봉의 사시도해도이다.
도 35는 도 1에 도시한 연결 구조를 구비한, 변형예인 조작봉의 사시도해도이다.
도 36은 도 10에 도시한 연결 구조를 구비한, 변형예인 조작봉의 사시도해도이다.
도 37은 도 16에 도시한 연결 구조를 구비한, 변형예인 조작봉의 사시도해도이다.
도 38은 도 22에 도시한 연결 구조를 구비한, 변형예인 조작봉의 사시도해도이다.
(정의)
본 발명에 따른 봉체의 손에 잡는 쪽의 측을 손잡이 혹은 손잡이 측이라고 하고, 상기 손잡이 측과는 반대측의 선단 측을 선단 혹은 선단 측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체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축선이라고 하고, 그 축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축 방향이라고 한다. 봉체의 외주 방향을 따른 방향을 주위 방향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체의 연결 구조는, 예를 들면, 봉체의 선단 측에 있어서 봉체의 선단과 연결 공구 봉체에 장착되는 부위의 연결 구조, 혹은 2개로 분할된 봉체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가, 대표예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연결 공구, 선단 공구 및 2개로 분할된 것 중의 한쪽을, 연결구(連結具)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인 봉체인 조작봉(12)에 있어서, 연결구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조작봉(12)에 연결되는 연결구인 선단 공구(14)에서의 연결되는 피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10)는, 예를 들면, 작업 현장 주위의 정전을 회피하기 위해 행해지는 간접 활선 공사에 있어서 사용되는 간접 활선 공사용 절연 조작봉과, 그 선단에 교환 가능하게 연결되는 선단 공구 등의 연결구에 있어서 조작봉(12)과 연결되는 피연결부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연 조작봉은, 장척(長尺)의 절연 조작봉과 이 조작봉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전기작업용 공구 즉 선단 공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고압배전선을 파지하거나, 절단하거나 하는 등, 그 작업의 목적에 따라 그것에 적합한 선단 공구를 교체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봉(12)은, 상기 절연 조작봉과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조작봉(12)을 절연 조작봉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인 연결 구조(10)는, 봉체인 조작봉(12)의 다른 것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조작봉(12)에 연결되는 선단 공구(14)에서의 조작봉(12)에 연결되는 피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이다.
봉체인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32)는, 한쪽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와 오목부가 조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봉(12)은, 조작봉(12)에서의 다른 것에 연결되는 연결부의 영역에, 제1 연결 부재(50)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선단 공구(14)는, 선단 공구(14)에서의 조작봉(12)에 연결되는 피연결부의 영역에 제2 연결 부재(80)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조작봉(12)은, 선단 공구(14)에 연결되는 측의 영역에,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된 것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 수단(16)이 배설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80)는, 조작봉(12)에 연결되는 측의 영역에, 상기 고정 수단(16)을 정지시키는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된 것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 수단(16)이 배설되고, 고정 수단(16)을 구성하는 제1 고정홈(9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50)는, 조작봉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작봉(12)에 배설되고, 상기 조작봉(12)에 상기 선단 공구(14)를 장착하여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가 연결된 록킹 상태로 했을 때, 상기 조작봉(12)의 고정 수단(16)에 의해 제2 연결 부재(80)의 제1 연결 부재(50) 측의 영역에 고정되어, 제2 연결 부재(80)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조작봉(12)의 고정 수단(16)이 상기 제2 연결 부재(80)의 고정 수단(16)의 제1 고정홈(9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봉(12)에 설치된 고정 수단(16)은, 선단 공구(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조작봉(12)의 이동에 따라, 조작봉(12)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그리고 조작봉(12)의 주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50)는, 선단 공구(14) 측의 제2 연결 부재(80)에 조작봉(12) 측의 고정 수단(16)에 의해 조작봉(12)을 장착했을 때, 조작봉(12) 측의 고정 수단(16)을 덮도록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50)는, 선단 공구(14) 측의 제2 연결 부재(80)에 조작봉(12) 측의 고정 수단(16)에 의해 조작봉(12)을 장착했을 때, 제2 연결 부재(80)의 제1 연결 부재(50) 측의 단부를, 손잡이 측으로부터 선단 측을 향하여 압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수단(16)은, 상기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에 형성된 제1 고정 볼록부를 구성하는 고정핀(60)에 의해 구성되며,
및/또는,
상기 고정 수단(16)은, 상기 조작봉(12) 측의 제1 연결 부재(50)에 형성된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른 쪽의 상기 제2 연결 부재(80)에 형성된 고정 수단(16)은, 상기 제1 연결 부재(50) 및/또는 제2 연결 부재(80)에 있어서, 대응한 위치에 형성된 꼬불꼬불 구부러진 고정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꼬불꼬불 구부러진 고정홈(제1 고정홈(90) 및 제2 고정홈(92))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 및 제2 고정 볼록부를 구성하는 플런저(62)를 축 방향으로 끼워넣는 개구부로부터 선단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개구부측의 홈부와, 그 개구부측의 홈부로부터 그 연장되는 방향을 바꾸어서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와, 또한 그 연장되는 방향을 바꾸어서 손잡이 측을 향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홈부를 형성하도록, 평면에서 볼 때 대략 U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수단(16)은, 조작봉(12)에서의 연결부측의 상기 고정핀(60) 및 상기 플런저(62) 및 조작봉(12)에 연결되는 피연결부 측의 상기 제1 고정홈(9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핀(60) 및 플런저(62)는, 조작봉(12)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90)은, 상기 끼워넣은 고정핀(60)의 헤드부가 약간 돌출하는 깊이와, 상기 끼워넣은 고정핀(60) 및 플런저(62)의 축부가 이동할 수 있는 폭을 구비하고, 연결 구조(10)에 있어서 조작봉(12)에 선단 공구(14)를 장착했을 때 고정핀(60) 및 플런저(62)가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봉(12) 측의 고정 수단(16)은, 제1 연결 부재(50)에 형성된 위치 결정 부재를 구성하는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구성하는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가 제2 연결 부재(80)에 배설된 상기 고정 수단(16)인 제2 고정홈(92)에 끼워맞추어지도록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50)는, 선단 공구(14)의 연결되는 피연결부를 구성하는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조작봉(12)의 다른 것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성하는하는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에 장착할 때,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의 상기 제2 연결 부재(80) 또는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조작봉(12)에 선단 공구(14)가 고정되었을 때 제2 연결 부재(80)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봉체 측의 연결부(24)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32)는, 한쪽에 볼록부를 구성하는 고정 수단(16)인 제1 고정 볼록부(60)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오목부를 구성하는 고정 수단(16)인 제1 고정홈(90)이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와 오목부가 조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연결 부재(50)는, 봉체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봉체 측에 배설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80)는, 피연결부에 이동 가능하게 피연결부 측에 배설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50)와 상기 제2 연결 부재(80)는, 연결된 제1 연결 부재(50)와 제2 연결 부재(80)가 반대 방향 이동함으로써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봉(12)은,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된 것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억제 수단(18)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억제 수단(18)은, 제1 연결 부재(50)를, 제2 연결 부재(80) 측으로 압압하여, 상기 연결했을 때에 맞물린 볼록부를 구성하는 고정 수단(16)인 제1 고정 볼록부(60)와 오목부를 구성하는 제1 고정홈(90)이 이격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봉 측의) 연결부(24) 및/또는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는, 조작봉(12)의 손잡이 측보다 선단 공구(14) 측을 향하여 또는 선단 공구(14) 측으로부터 조작봉(12) 측을 향하여 탄발하는 억제 수단(18)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억제 수단(18)은, 탄발 부재(70)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탄발 부재(70)는, 제1 연결 부재(50)를 피연결부 측에 압압하도록, 또는 상기 제2 연결 부재(80)를 상기 연결했을 때에 맞물린 볼록부를 구성하는 제1 고정 볼록부(60)와 오목부를 구성하는 제1 고정홈(90)이 이격되지 않도록 압압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상기 탄발 부재(70)는, 제1 연결 부재(50)를 선단 공구(14) 측에 압압하도록, 또는 상기 고정 수단(16)을 고정홈(90)에 압압하도록, (조작봉 측의) 연결부(24) 또는 공구부(선단 공구부)(3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봉(12)은, 조작봉 본체(20)보다 가느다란 제1 연결부(40)가 선단 공구에 연결되는 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연결부(40)의 선단 공구(14) 측에 상기 제1 연결부(40)보다 굵은 제2 연결부(42)가 연설(連設)되어 있다.
상기 제1 연결부(40)는, 제1 연결 부재(50)의 축 방향에서의 이동 스페이스를 조작봉 본체(20)와의 사이에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연결부(40)는, 상기 고정 수단(16)을 구성하는 탄발 부재(70)인 코일 스프링을 그 주위에 배설할 수 있다.
상기 봉체 측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에 피연결부인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장착한 록킹 상태로 했을 때, 상기 제1 연결 부재(50)는, 상기 고정 수단(16)에 의해 제2 연결 부재(80)의 제1 연결 부재측 영역에 고정되어, 제2 연결 부재(80)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봉체 측의 고정 수단(16)이 상기 제2 연결 부재(80)에 형성된 고정 수단(16)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봉(12)의 조작봉 본체(20)는, 단면이 대략 원형이며, 심 부재(44)의 제1 연결부(40) 및 제2 연결부(42)는, 단면이 대략 원형이며, 제1 연결 부재(50)는, 단면이 대략 원형이며, 제2 연결 부재(80)는, 단면이 대략 원형이다.
그리고, 이들 조작봉(12)의 조작봉 본체(20), 심 부재(44), 제1 연결 부재(50) 및 제2 연결 부재(80)는, 봉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동심으로 하여, 병렬되어 있다.
봉체인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32)는, 봉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동심으로 하여, 병렬되어 있고, 한쪽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와 오목부가 조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에 볼록부를 구성하는 심 부재(44)가 형성되고,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에 오목부를 구성하는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이 형성되어 있다.
심 부재(44)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봉형체이며,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은, 단면이 대략 원형인 환형체(環形體)이며, 봉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동심으로 하여 병렬되어 있고,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에 심 부재(44)를 조합하여,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32)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50)는, 2개로 분할된 조작봉(12)에서의 손잡이 측의 영역의 조작봉에 배설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80)는, 2개로 분할된 조작봉(12)에서의 선단 공구 측의 조작봉에 배설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10)에 대하여, 주로 도 1 내지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10)는, 봉체를 구성하는 조작봉(12)과 상기 조작봉(12)에 연결되는 피연결부를 구성하는 선단 공구(14)의 연결 부위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이다.
조작봉(12)은, 장척 원기둥형의 봉체의 본체를 구성하는 조작봉 본체(20)와, 조작봉 본체(20)의 후단 즉 바로 앞쪽에 부설된 파지부(把持部)(22)와, 조작봉 본체(20)의 선단 측 즉 선단 공구(14)에 장착되는 측의 영역에 형성된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를 구비한다.
간접 활선 공사용 절연 조작봉를 구성하는 조작봉(12), 특히 조작봉 본체(20)의 구조는, 예를 들면, 1개의 봉체라도 되고, 또한 2개의 봉체가 축선을 평행하게 배설된 것이라도 된다.
간접 활선 공사용 절연 조작봉은,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가지는 것이면 되고, 또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의 각종 강인성(强靭性)을 구비한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간접 활선 공사용 공구 등의 선단 공구(14)는, 예를 들면, 활선 상태의 가공(架空) 배전선(配電線)의 절연 피복을 박리하는 피박기, 펜치, 걸림구 등으로 구성된다.
선단 공구(14)는, 전선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공구부(30)와, 공구부(30)를 조작봉(12)에 연결되는 영역에 형성된, 피연결부를 구성하는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구비한다.
봉체인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32)는, 봉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동심으로 하여, 병렬되어 있고, 한쪽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와 오목부가 조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에 볼록부를 구성하는 심 부재(44)가 형성되고,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에 오목부를 구성하는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이 형성되어 있다.
심 부재(44)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봉형체이며,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은, 단면이 대략 원형인 환형체이며, 봉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동심으로 하여 병렬되어 있고,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에 심 부재(44)를 조합하여,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32)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봉(12)은, 선단 공구(14)에 연결되는 측의 영역에, 선단 공구(14)를 고정하고,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된 것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 수단(16)이 배설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조작봉(12)은, 선단 공구(14)에 연결되는 측의 영역에, 조작봉(12)과 선단 공구(14)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이들의 이동을 억제하는,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된 것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억제 수단(18)이 배설되어 있다.
봉체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상기 조작봉(12)의 연결부(24)는, 조작봉 본체(20)보다 가느다란 제1 연결부(40)가 조작봉 본체(20)에 연결되는 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연결부(40)의 선단 공구(14) 측에 상기 제1 연결부(40)보다 굵은 제2 연결부(42)가 연장 형성된 심 부재(4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작봉 본체(20)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를 구성하는 심 부재(44)는, 조작봉 장착 부재를 구성하는 (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 및 고정핀(26a) 및 고정핀(26b)에 의해, 조작봉 본체(2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 및 심 부재(44)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의 (C)에 있어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봉 본체(20)의 선단 측에 설치된 오목부(20a)에 끼워넣어지고, 고정핀(26a) 및 고정핀(26b)으로 고정되어 있다.
심 부재(44)의 제1 연결부(40)는, (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의 주위에 끼워넣어지고 조작봉 본체(20)의 선단에 설치된 오목부(20a)에 끼워넣어지고, 조작봉 본체(20)에 고정되어 있다.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연결부(40) 및 제2 연결부(42)를 구성하는 심 부재(44)를 구비하고 있다.
심 부재(44)는, 중공(中空) 원통형이며, 상기 조작봉 장착 부재를 구성하는 (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 및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의 주위에, 배설되어 있다.
심 부재(44)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손잡이 측이, 조작봉 본체(20)에 장착되도록 조작봉 본체(20)보다 가느다란 원기둥형부로 형성된 제1 연결부(40)를 구성하고, 선단 측이, 손잡이 측의 가느다란 제1 연결부(40)보다 굵게 형성된 굵은 원기둥형부로 형성된 제2 연결부(42)를 구성하고 있다.
심 부재(44)는, 제2 연결 부재(80)의 제2 연결부(84)에 설치된 공동부(空洞部)에 형성된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에 감삽(嵌揷)되는 형상을 구비하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공동부 내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 부재(44)는, 길이 방향으로 천설(穿設)된 중공 원환형의 중공부(46)를 가지고 있다.
중공부(46)는, 그 대략 중앙에 있어서, 가늘고 길고 잘록한 제1 중공부(46a)가 형성되고, 제1 중공부(46a)보다 선단 측에 있어서, 제1 중공부(46a)보다 긴 직경을 구비한 비교적 굵은 제2 중공부(46b)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중공부(46)는, 제1 중공부(46a)보다 손잡이 측에 있어서, 제1 중공부(46a)보다 긴 직경을 구비한 비교적 굵은 제3 중공부(46c)가 형성되어 있다.
심 부재(44)는, 중공부(46)의 제3 중공부(46c)에, 조작봉 본체(20)에 장착하기 위한 조작봉 장착 부재((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가 배설되어 있다.
조작봉 장착 부재((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는, 조작봉 본체(20)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고, (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의 주위에, 심 부재(44)의 제3 중공부(46c)가 끼워넣어져 장착되어 있다.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는, 중공부(46) 내에 감삽되고, 그 손잡이 측이 제3 중공부(46c) 중에 위치하고, 거기로부터 선단 측이 제1 중공부(46a) 중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넣어지고, 또한, 그보다 선단 측이 제2 중공부(46b) 중을 선단 측으로 연장되어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와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는, 원기둥형 봉체이며, 손잡이 측이 제1 중공부(46a)보다 그 직경이 굵은 헤드부를 구비하고, 그 선단 측이 제1 중공부(46a)와 대략 그 직경이 동일한 봉형체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중공부(46b)는,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와의 사이에 중공부를 남기고 있고, 그 안에 제3 탄발 부재(98)를 끼워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봉체 측의 연결부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는, 한쪽에 볼록부를 구성하는 고정 수단(16)인 제1 고정 볼록부(60)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오목부를 구성하는 고정 수단(16)인 제1 고정홈(90)이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와 오목부가 조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수단(16)은, 상기 봉체 측의 연결부에 형성된,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제1 고정 볼록부(핀)(60)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2 연결 부재(80)에 형성된 고정 수단 또는 심 부재(44)에 형성된 고정 수단(16)은, 상기 심 부재(44) 및/또는 제2 연결 부재(80)에 있어서, 대응한 위치에 형성된, 꼬불꼬불 구부러진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홈인 제1 고정홈(9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심 부재(44)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연결부(42) 측에 있어서 고정 수단(16)을 구성하는 제1 고정 볼록부(핀)(60)가 장착되어 있고, 또한, 제1 연결부(40) 측에 있어서 그 주위에 억제 수단(18)을 구성하는 탄발 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는, 조작봉 본체(20)의 선단에 있어서 그 중심에 고정된 심 부재(44)를 구비하고 있고, 이 심 부재(44)의 주위에는 제1 연결 부재(50)가 배설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는, 심 부재(44)의 손잡이 측에 있어서 그 주위에, 조작봉(12)의 손잡이 측으로부터 선단 공구(14) 측을 향하여 탄발하도록 형성된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 부재(70)로 구성된 억제 수단(18)이 배설되어 있다.
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연결 부재(50)의 손잡이 측에는 탄발 부재(70)의 선단 측을 멈추기 위한 탄발 부재 장착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조작봉(12)의 조작봉 본체(20)는, 제1 연결 부재(50)의 손잡이 측의 외표면과 마주하는 측에 있어서, 그 선단 측에, 탄발 부재(70)의 후단측을 멈추기 위한 탄발 부재 장착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억제 수단(18)을 구성하는 탄발 부재(70)는, 조작봉(12)에 선단 공구(14)를 장착했을 때, 제1 연결 부재(50)를, 피연결부를 구성하는 제2 연결 부재(80)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억제 수단(18)을 구성하는 제1 탄발 부재(70)는, 록킹 시에, 제1 연결 부재(50)를 선단 측으로 누르고, 이에 따라 제2 연결 부재(80)를, 선단 측으로 누르고 있다(타입 1, 3, 4)
억제 수단(18)(탄발 부재(70))의 직경은, 제1 연결 부재(50) 및 탄발 부재 장착부(74)의 직경보다 짧고, 제1 연결 부재(50) 및 탄발 부재 장착부(74)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억제 수단(18)이, 사용 시에, 다른 물품에 부딪칠 확률이 극히 낮다.
상기 제1 연결부(40)는, 후술하는 제1 연결 부재(50)의 이동 스페이스를 조작봉 본체(20)와의 사이에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42)는, 상기 제1 고정 볼록부(핀)(60)가 배설되고, 그 주위에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구성하는 제2 연결 부재(80)를 감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는, 원환형이며, 대략 원기둥형의 심 부재(44)의 주위에 끼워져 장전되어 있고, 심 부재(44) 및 조작봉 본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1 연결 부재(50)의 손잡이 측과 조작봉 본체(20)의 선단 측 사이에 설치된 탄발 부재(70)에 의해, 선단 측에 탄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고정 볼록부(핀)(60)는,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의 중앙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 볼록부(핀)(60)는, 선단 공구(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조작봉(12)의 이동에 따라 조작봉(12)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또한 조작봉(12)의 회전에 따라 조작봉(12)의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는, 조작봉(12)에 장착되는 피장착부를 구성하고 있고,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를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연결 부재(80)가 배설되어 있다.
제2 연결 부재(80)는, 조작봉(12)에 연결되는 측의 영역에,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에 배설된 상기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정지시키는 고정 수단(16)인 제1 고정홈(9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홈(90)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끼워넣고,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연결했을 때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16)을 구성하고 있다.
제1 연결 부재(50)와 제2 연결 부재(80)는, 그 외형이 대략 동일 형상 또는 근사한 형상이며,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면 원형상의 통형상이며, 외표면의 직경은 동일 또는 근사한 치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연결 부재(80)와 제1 연결 부재(50)의 경계에는, 거의 단차가 없고, 다른 것에 부딪칠 확률이 극히 낮다.
제1 연결 부재(50)와 제2 연결 부재(80)는, 이들이 서로 접하는 면이 밀(密)하게 서로 접하여, 제1 연결 부재(50)는, 억제 수단(18)(탄발 부재(70))의 가압력에 의해 제2 연결 부재(80)를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연결 부재(50)의 선단면(50E)은, 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이며, 제2 연결 부재(80)의 후단면(80E)은, 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이다. 따라서, 상기 제1 연결 부재(50)의 선단면(50E)과 제2 연결 부재(80)의 후단면(80E)은, 밀접하다.
제1 연결 부재(50)의 후단의 탄발 부재 장착부(72)는, 탄발 부재 장착부(74)와 대향하는 면이 축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이며, 한편, 탄발 부재 장착부(74)의 선단의 대향면은, 축 방향과 직행하는 평면이며, 이들 사이에 협지된 억제 수단(18)(탄발 부재(70))이 제1 연결 부재(50)를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억제 수단(18)(탄발 부재(70))의 직경은, 제1 연결 부재(50) 및 탄발 부재 장착부(74)의 직경보다 짧고, 제1 연결 부재(50) 및 탄발 부재 장착부(74)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고정홈(90)은, 조작봉(12) 측에 개구한 제1 홈부(90A)와, 제1 홈부(90A)에 이어서 개구한 제2 홈부(90B)와, 제2 홈부(90B)에 이어서 개구한 제3 홈부(90C)를 가지고 있다. 제1 홈부(90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2 홈부(90B)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3 홈부(90C)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막힌 상태로 되어 있다.
제1 고정홈(90)은, 평면에서 볼 때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봉(12)에 선단 공구(14)를 장착했을 때, 제1 고정 볼록부(핀)(60)가 제3 홈부(90C)에 정지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고정홈(90)은, 끼워넣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의 헤드부가 약간 돌출하는 깊이와, 상기 끼워넣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의 축부가 이동할 수 있는 폭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2 연결 부재(80)는, 제3 홈부(90C)의 홈바닥에 있어서, 조작봉 본체(20)에 연결된 제1 연결부(40)의 제2 연결부(42)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 고정된 고정 수단(16)(제1 고정 볼록부(핀)(60))을, 탄발 부재(70) 및 제2 탄발 부재(76)의 가압력에 의해 선단 측(피장착부)을 향하여 압압하여 제3 홈부(90C)와 고정 수단(16)(제1 고정 볼록부(핀)(60))을 맞물리게 하고, 제2 연결 부재(80)가 록킹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상기 제1 고정 볼록부(핀)(60)는, 제1 연결 부재(50)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홈(90)은, 상기 끼워넣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의 헤드부가 약간 돌출하는 깊이와, 상기 끼워넣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의 축부가 이동할 수 있는 폭을 구비하고 있다.
제1 홈부(90A)는, 고정 수단(16)(제1 고정 볼록부(핀)(60))을, 선단 측으로 진행되도록 연장되어 있고, 즉 조작봉(12)을 선단 공구(14)에 연결하는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축선 방향으로 평행한 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홈부(90B)는, 제1 홈부(90A)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진행한 고정 수단(16)(제1 고정 볼록부(핀)(60))이 다시 제1 홈부(90A)에 되돌아오지 않는 위치까지 진행되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축선 방향과 직행하는 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홈부(90A)와 제2 홈부(90B)와 제3 홈부(90C)는, 근사한 폭을 구비한 홈이며, 각각이 L자형으로 굴곡한 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폭과 깊이는, 제1 고정 볼록부(핀)(60) 및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를 끼운 상태에서 홈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홈부(90C)는, 고정 수단(16)(제1 고정 볼록부(핀)(60))을, 손잡이 측으로 진행되도록 연장되어 있고, 즉, 조작봉(12)을 선단 공구(14)에 연결하는 방향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제2 홈부(90B)를 따라,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위치까지 진행한 고정 수단(16)(제1 고정 볼록부(핀)(60))이 그 이상 연결하는 방향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진행하지 않도록, 막힌 상태로 되어 있다.
고정 수단(16)(제1 고정 볼록부(핀)(60))은, 제2 연결부(42)를 구성하는 오목부에 고정되어 있고, 제2 연결부(42)를 구성하는 오목부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이, 고정 볼록부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다.
제2 연결 부재(80)는, (선단) 공구부(30)에 장착되고 또한 조작봉(12)에 연결되는 피장착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선단) 공구부(30)에 장착되는 선단 공구 장착부인 제1 연결부(82)와, 상기 선단 공구 장착부인 제1 연결부(82)보다 굵은 제2 연결부(8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연결부(82)는, (선단) 공구부(30)의 장착부에 끼워맞추어지고, (선단) 공구부(30)에 적절한 고정구, 예를 들면, 핀 등에 의해 고정된다.
제2 연결부(84)는, 중공형의 심 부재 장착부를 구성하고 있고, 심 부재(44)에 끼워져 장착되는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부(84)는,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 중에,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가 설치되어 있다.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는, 심 부재(44)의 제2 연결부(42)와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 사이의 원환형의 중공부(46)에 감삽되고, 상기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의 선단 측에 접하여 연접되어 있다.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는,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와 직렬로 나란하게, 심 부재(44)의 제2 연결부(42)에 있어서 장착되어 있다.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는, 제2 연결 부재(80)의 손잡이 측의 부위와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고,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의 손잡이 측의 단부와 상기 중공부(46)의 제1 중공부(46a)의 경계벽부 사이에 존재하는 제2 중공부(46b)에, 제2 탄발 부재(76)가 배설되어 있다. 제2 탄발 부재(76)는,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를 손잡이 측 또는 선단 측을 향하여 탄발하도록 형성된 코일 스프링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억제 수단(18)을 구성하는 제2 탄발 부재(76)는, 심 부재 장착부(96) 및 제2 연결부(84)를, 록킹 시 줄어들고, 선단 측으로 누르고 있다(타입 1∼3).
제2 탄발 부재(76)는, 심 부재 장착부(96) 및 제2 연결부(84)를, 상시, 선단 측으로 누르고 있고, 록킹 상태에서는, 가볍게 줄어들어 있는 상태에서, 해제 동작으로 제2 연결 부재(80)를 바로 앞쪽으로 당기면, 더욱 줄어든 상태가 된다.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는, 도 3의 (B)에 있어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연결부(42)의 중공부(46)에 끼워넣어지고,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에 이탈 방지 나사(28a)로 고정되어 있다.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는, 제2 연결부(42)에 설치된 공동부에 형성된 제2 중공부(46b)에 감삽되는 형상을 구비하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공동부 내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원기둥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는, 손잡이 측에,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를 끼워맞출 수 있도록 구성된, 바닥이 있는 구멍이, 천설되어 있고,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에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는, 제2 연결부(42)에 설치된 공동부에 형성된 제2 중공부(46b)에 감삽되는 형상을 구비하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공동부 내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원기둥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는, 손잡이 측에,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를 끼워맞출 수 있도록 구성된, 바닥이 있는 구멍이, 천설되어 있고,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에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는,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로부터 손잡이 측으로 연장되고, 그 주위에 제2 탄발 부재(76)가 설치되어 있고, 제3 중공부(46c)에 돌출한 헤드부가 제1 중공부(46a)에 고정되어 있고, 제2 중공부(46b) 내에, 건너질러져 있다.
제1 연결 부재(50)와 제2 연결 부재(80)는, 그 외형이 대략 동일 형상 또는 근사한 형상이며,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면 원형상의 통형상이며, 외표면의 직경은 동일 또는 근사한 치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연결 부재(80)와 제1 연결 부재(50)의 경계에는, 거의 단차가 없고, 다른 것에 부딪칠 확률이 극히 낮다.
제1 연결 부재(50)와 제2 연결 부재(80)는, 이들이 서로 접하는 면이 밀하게 서로 접하고, 제1 연결 부재(50)는, 억제 수단(18)(탄발 부재(70))의 가압력에 의해 균일한 힘으로 제2 연결 부재(80)를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의 후단의 탄발 부재 장착부(72)는, 탄발 부재 장착부(74)와 대향하는 면이 축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이며, 한편, 탄발 부재 장착부(74)의 선단의 대향면은, 축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이며, 이들 사이에 협지된 억제 수단(18)(탄발 부재(70))이 제1 연결 부재(50)를 축 방향으로 평행한 힘에 의해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는, 조작봉(12)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작봉(12)에 배설되어 있고, 조작봉(12)에 선단 공구(14)를 장착했을 때, 제2 연결 부재(80)의 조작봉(12) 측의 영역에 고정되어 제2 연결 부재(80)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조작봉 측의) 연결부(24)가 상기 제2 연결 부재(80)의 제1 고정홈(9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는, 제2 연결 부재(8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고정 수단(16)을 가지고 있다.
심 부재(44)의 고정 수단(16)은, 제1 연결 부재(50)가 장전된, 제1 연결 부재(50)가 설치된 영역의 외주부에, 수나사부(48)가 형성되어 있고, 한편, 제1 연결 부재(50)의 고정 수단(16)은, 심 부재(44)에 설치된 영역의 통 내에, 암나사부(58)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의 고정 수단(16)은, 심 부재(44)의 고정 수단(16)을 나사결합하고, 제1 연결 부재(50)를 돌림으로써 조작봉(1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1 연결 부재(50)에 의해 제2 연결 부재(80)를 압압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봉(12)의 조작봉 본체(20)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봉체이며, 심 부재(44)의 제1 연결부(40) 및 제2 연결부(42)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봉형체이며, 제1 연결 부재(50)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환형체이며, 제2 연결 부재(80)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환형체이다.
그리고, 이들 조작봉(12)의 조작봉 본체(20), 심 부재(44), 제1 연결 부재(50) 및 제2 연결 부재(80)는, 봉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동심으로 하여, 병렬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는, 심 부재(44)의 제2 연결부(42)의 주위에 배설되고, 제2 연결 부재(80)는, 심 부재(44)의 선단 측의 주위에 배설되고, 제1 연결 부재(50)의 선단 측의 끝에지와 제2 연결 부재(80)의 손잡이 측의 끝에지는,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조작 방법에 대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구조(10)를 구비한 절연 조작봉(12)을 이용하여, 가공 배전선 바이패스 회로를 형성하므로, 절연 조작봉(12)에 의해 그 선단에 연결된 간접 활선용의 선단 공구(14)를 조작하는 것을 상정하여, 이하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간접 활선 공사용의 선단 공구(14)를 절연 조작봉(12)의 선단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연결 구조(10)를 구성하는 절연 조작봉(12)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선단 공구(14)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봉(12) 측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의 축선과 선단 공구(14) 측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의 축선을 일치시켜,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1 고정홈(90)의 제1 홈부(90A)와 위치맞춤한다.
다음으로, 조작봉(12)을 선단 공구(14) 측으로 이동시키고,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1 고정홈(90)의 제2 홈부(90B)까지 삽입하고, 제2 홈부(90B)의 선단 공구(14) 측의 홈벽까지 도달하면, 조작봉(12)을 원주 방향으로 돌리고,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2 홈부(90B)의 홈을 따라 제3 홈부(90C)를 향하여 진행시킨다.
연결 구조(10)가 제3 홈부(90C)의 홈구(溝口)까지 도달했을 때, 즉 제2 홈부(90B)의 막다른 곳까지 도달했을 때, 조작봉(12)을 선단 공구(14) 측으로부터 손잡이 측으로 되돌리고,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3 홈부(90C)에 끼워넣는다.
여기서, 제1 연결 부재(50)를 돌림으로써, 제1 연결 부재(50)의 수나사부(48)와 심 부재(44)의 암나사부(58)의 작용에 의해 제1 연결 부재(50)를 조작봉(1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연결 부재(50)에 의해 제2 연결 부재(80)를 압압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조작봉(12)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선단 공구(14)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견고하게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연결 구조(10)에 있어서, 조작봉 본체(20)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공구부(선단 공구부)(30)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와의 록킹을 해제할 때에 대하여, 주로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때는, 제1 연결 부재(50)를 돌려서 수나사부(48)와 암나사부(58)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손잡이 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조작봉 본체(20)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를 선단 측으로 이동시켜(제2 연결 부재(80)로 제1 연결 부재(50)를 손잡이 측으로 눌러서) 고정 수단(16)을 구성하는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3 홈부(90C)로부터 제거하고, 조작봉(12)을 돌려서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2 홈부(90B)를 따라 이동시키고, 제1 고정홈(90)의 제1 홈부(90A)에 위치했을 때, 손잡이 측으로 조작봉(12)을 이동시켜서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1 고정홈(90)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조작봉(12)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선단 공구(14)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분리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인 제2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에 대하여, 주로 도 10 내지 도 1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인 제2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제1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10)와 공통인 구성 요건·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공통의 구성 요건·요소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인 연결 구조의 특징있는 구성 요건·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10)는, 봉체를 구성하는 조작봉(12)과 상기 조작봉(12)에 연결되는 피연결부를 구성하는 선단 공구(14)의 연결 부위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이다.
조작봉(12)은, 장척 원기둥형의 조작봉 본체(20)와, 조작봉 본체(20)의 후단 즉 바로 앞쪽에 부설된 파지부(22)와, 조작봉 본체(20)의 선단 측 즉 선단 공구(14)에 장착되는 측의 영역에 형성된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를 구비한다.
간접 활선 공사용 공구 등의 선단 공구(14)는, 예를 들면 활선 상태의 가공 배전선의 절연 피복을 박리하는 피박기, 펜치, 걸림구 등으로 구성된다.
선단 공구(14)는, 전선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공구부(30)와, 공구부(30)를 조작봉(12)에 연결되는 영역에 형성된, 피연결부를 구성하는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구비한다.
봉체인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32)는, 봉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동심으로 하여, 병렬되어 있고, 한쪽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와 오목부가 조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에 볼록부를 구성하는 심 부재(44)가 형성되고,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에 오목부를 구성하는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이 형성되어 있다.
심 부재(44)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봉형체이며,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은, 단면이 대략 원형인 환형체이며, 봉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동심으로 하여 병렬되어 있고,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에 심 부재(44)를 조합하여,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32)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봉(12)은, 선단 공구(14)에 연결되는 측의 영역에, 선단 공구(14)를 고정하는,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된 것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 수단(16)이 배설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조작봉(12)은, 선단 공구(14)에 연결되는 측의 영역에, 조작봉(12)과 선단 공구(14)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이들의 이동을 억제하는,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된 것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억제 수단(18)이 배설되어 있다.
봉체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상기 조작봉(12)의 연결부(24)는, 조작봉 본체(20)보다 가느다란 제1 연결부(40)가 조작봉 본체(20)에 연결되는 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연결부(40)의 선단 공구(14) 측에 상기 제1 연결부(40)보다 굵은 제2 연결부(42)가 연장 형성된 심 부재(4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작봉 본체(20)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를 구성하는 심 부재(44)는, 조작봉 장착 부재((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 및 고정핀(26a) 및 고정핀(26b))에 의해, 조작봉 본체(2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 및 심 부재(44)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봉 본체(20)의 선단 측에 설치된 오목부(20a)에 끼워넣어지고, 고정핀(26a) 및 고정핀(26b)으로 고정되어 있다.
심 부재(44)의 제1 연결부(40)는, (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의 주위에 끼워넣어져서 조작봉 본체(20)의 선단에 설치된 오목부(20a)에 끼워넣어지고, 조작봉 본체(20)에 고정되어 있다.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연결부(40) 및 제2 연결부(42)를 구성하는 심 부재(44)를 구비하고 있다.
심 부재(44)는, 중공 원통형이며, 상기 조작봉 장착 부재((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 및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의 주위에, 배설되어 있다.
심 부재(44)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손잡이 측이, 조작봉 본체(20)에 장착되도록 조작봉 본체(20)보다 가느다란 원기둥형부로 형성된 제1 연결부(40)를 구성하고, 선단 측이, 손잡이 측이 가느다란 제1 연결부(40)보다 굵게 형성된 굵은 원기둥형부로 형성된 제2 연결부(42)를 구성하고 있다.
심 부재(44)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공 원환형의 중공부(46)를 가지고 있다.
중공부(46)는, 그 대략 중앙에 있어서, 가늘고 길고 잘록한 제1 중공부(46a)가 형성되고, 그 제1 중공부(46a)보다 선단 측에 있어서, 제1 중공부(46a)보다 긴 직경을 구비한 비교적 굵은 제2 중공부(46b)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중공부(46)는, 제1 중공부(46a)보다 손잡이 측에 있어서, 제1 중공부(46a)보다 긴 직경을 구비한 비교적 굵은 제3 중공부(46c)가 형성되어 있다.
심 부재(44)는, 중공부(46)의 제3 중공부(46c)에, 조작봉 본체(20)에 장착하기 위한 조작봉 장착 부재((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가 배설되어 있다.
조작봉 장착 부재((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는, 조작봉 본체(20)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고, (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의 주위에, 심 부재(44)의 제3 중공부(46c)가 끼워넣어져 장착되어 있다.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는, 중공부(46) 내에 감삽되고, 그 손잡이 측이 제3 중공부(46c) 중에 위치하고, 거기보다 선단 측이 제1 중공부(46a) 중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넣어지고,
나아가서는, 그것보다 선단 측이 제2 중공부(46b) 중을 선단 측을 연장되어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와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는, 원기둥형 봉체이며, 손잡이 측이 제1 중공부(46a)보다 그 직경이 굵은 헤드부를 구비하고, 그 선단 측이 제1 중공부(46a)와 대략 그 직경이 동일한 봉형체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중공부(46b)는,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와의 사이에 중공부를 남기고 있고, 그 중에 제2 탄발 부재를 끼워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봉체 측의 연결부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는, 한쪽에 볼록부(62c)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오목부(9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62c)와 오목부(92a)가 조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수단(16)은, 상기 봉체 측의 연결부에 형성된,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제1 고정 볼록부(핀)(60)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2 연결 부재(80)에 형성된 고정 수단 또는 심 부재(44)에 형성된 고정 수단은, 상기 심 부재(44) 및/또는 제2 연결 부재(80)에 있어서, 대응한 위치에 형성된, 꼬불꼬불 구부러진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심 부재(44)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연결부(42) 측에 있어서 고정 수단(16)을 구성하는 제1 고정 볼록부(핀)(6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40) 측에 있어서 그 주위에 억제 수단(18)을 구성하는 탄발 부재(70)가 설치되어도 된다.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는, 제1 연결 부재(50)가 배설되어 있다.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는,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억제 수단(18)을 구성하는 탄발 부재(70)가 배설되어 있지 않지만, 심 부재(44)의 손잡이 측에 배설해도 된다.
제1 연결 부재(50)의 손잡이 측에는, 탄발 부재(70)의 선단 측을 멈추기 위한 탄발 부재 장착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조작봉(12)의 조작봉 본체(20)는, 제1 연결 부재(50)의 손잡이 측의 외표면과 마주 향하는 측에 있어서, 그 선단 측에, 탄발 부재(70)의 후단측을 새겨두기 위한 탄발 부재 장착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억제 수단(18)을 구성하는 탄발 부재(70)는, 조작봉(12)에 선단 공구(14)를 장착했을 때, 제1 연결 부재(50)를 제2 연결 부재(80)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는, 조작봉 본체(20)의 선단에 있어서 그 중심에 고정된 심 부재(44)를 구비하고 있고, 그 심 부재(44)의 주위에는 제1 연결 부재(50)가 배설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는, 심 부재(44)의 손잡이 측에 있어서 그 주위에, 조작봉(12)의 손잡이 측보다 선단 공구(14) 측을 향하여 탄발하도록 형성된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 부재(70)로 구성된 억제 수단(18)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제1 연결부(40)는, 후술하는 제1 연결 부재(50)의 이동 스페이스를 조작봉 본체(20)와의 사이에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42)는, 상기 제1 고정 볼록부(핀)(60)가 배설되고, 그 주위에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구성하는 제2 연결 부재(80)를 감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는, 원환형이며, 대략 원기둥형의 심 부재(44)의 주위에 끼워져 장전되어 있고, 심 부재(44) 및 조작봉 본체(20)의 길이 방향으로 나사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의 손잡이 측과 조작봉 본체(20)의 선단 측 사이에 설치된 탄발 부재(70)(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선단 측으로 탄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고정 볼록부(핀)(60)는,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의 중앙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 볼록부(핀)(60)는, 선단 공구(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조작봉(12)의 이동에 따라 조작봉(12)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또한 조작봉(12)의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는, 조작봉(12)에 장착되는 피장착부를 구성하고 있고,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를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연결 부재(80)가 배설되어 있다.
제2 연결 부재(80)는, 조작봉(12)에 연결되는 측의 영역에,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에 배설된 상기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정지시키는 제1 고정홈(9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홈(90)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끼워넣고,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연결했을 때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16)을 구성하고 있다.
제1 고정홈(90)은, 조작봉(12) 측에 개구한 제1 홈부(90A)와, 제1 홈부(90A)에 이어서 개구한 제2 홈부(90B)와, 제2 홈부(90B)에 이어서 개구한 제3 홈부(90C)를 가지고 있다. 제1 홈부(90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2 홈부(90B)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3 홈부(90C)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막힌 상태로 되어 있다.
제1 고정홈(90)은, 평면에서 볼 때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봉(12)에 선단 공구(14)를 장착했을 때, 제1 고정 볼록부(핀)(60)가 제3 홈부(90C)에 정지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고정홈(90)은, 끼워넣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의 헤드부가 약간 돌출하는 깊이와, 상기 끼워넣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의 축부가 이동할 수 있는 폭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2 연결 부재(80)는, 제3 홈부(90C)의 홈바닥에 있어서, 조작봉 본체(20)에 연결된 제1 연결부(40)의 제2 연결부(42)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 고정된 고정 수단(16)(제1 고정 볼록부(핀)(60))을, 탄발 부재(70) 및 제2 탄발 부재(76)의 가압력에 의해 선단 측(피장착부)을 향하여 압압하여 제3 홈부(90C)와 고정 수단(16)(제1 고정 볼록부(핀)(60))을 맞물리게 하여, 제2 연결 부재(80)가 록킹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상기 제1 고정 볼록부(핀)(60)는, 제1 연결 부재(50)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홈(90)은, 상기 끼워넣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의 헤드부가 약간 돌출하는 깊이와, 상기 끼워넣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의 축부가 이동할 수 있는 폭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연결 부재(80)는, (선단) 공구부(30)에 장착되고 또한 조작봉(12)에 연결되는 피장착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선단) 공구부(30)에 장착되는 선단 공구 장착부인 제1 연결부(82)와, 상기 선단 공구 장착부인 제1 연결부(82)보다 굵은 제2 연결부(8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연결부(82)는, (선단) 공구부(30)의 장착부에 끼워맞추어지고, (선단) 공구부(30)에 적절한 고정구, 예를 들면 핀 등에 의해 고정된다.
제2 연결부(84)는, 중공형의 심 부재 장착부를 구성하고 있고, 심 부재(44)에 끼워져 장착되는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부(84)는,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 중에,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가 설치되어 있다.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는, 심 부재(44)의 제2 연결부(42)와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 사이의 원환형의 중공부(46)에 감삽되고, 상기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의 선단 측에 접하여 연접되어 있다.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는,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와 직렬로 나란히, 심 부재(44)의 제2 연결부(42)에 있어서 장착되어 있다.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는, 제2 연결 부재(80)의 손잡이 측의 부위와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고,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의 손잡이 측의 단부와 상기 중공부(46)의 제1 중공부(46a)의 경계벽부 사이에 존재하는 제2 중공부(46b)에,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를 손잡이 측 또는 선단 측을 향하여 탄발하도록 형성된 코일 스프링 등의 제2 탄발 부재(76)가 배설되어 있다.
이 제2 탄발 부재(76)는, 생략해도 된다.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는, 도 10에 있어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연결부(42)의 중공부(46)에 끼워넣어지고,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에 이탈 방지 나사(28a)로 고정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는, 그 선단 측에 있어서 제2 연결 부재(80)의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에 형성된 오목부에, 선단 공구(14) 측으로부터 조작봉(12) 측을 향하여 탄발하도록 형성된 코일 스프링 등 제3 탄발 부재(98)가 배설되어 있다.
제3 탄발 부재(98)는,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의 선단 측에 고정되어도 되고, 또한,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의 중심에 형성된 오목부(32a)에 감삽되어 고정되어도 된다.
억제 수단(18)을 구성하는 제3 탄발 부재(98)는, 록킹 시에, 제2 연결 부재(80)를 선단 측으로 누르고 있다(타입 2).
제1 연결 부재(50)는, 조작봉(12)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작봉(12)에 배설되어 있고, 조작봉(12)에 선단 공구(14)를 장착했을 때, 제2 연결 부재(80)의 조작봉(12) 측의 영역에 고정되어 제2 연결 부재(80)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조작봉 측의) 연결부(24)가 상기 제2 연결 부재(80)의 제1 고정홈(9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는, 제2 연결 부재(8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고정 수단(16)을 가지고 있다.
심 부재(44)의 고정 수단(16)은, 제1 연결 부재(50)가 장전된, 제1 연결 부재(50)가 설치된 영역의 외주부에 설치된, 수나사부(48)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한편, 제1 연결 부재(50)의 고정 수단(16)은, 심 부재(44)에 설치된 영역의 통 내에 설치된, 암나사부(5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의 고정 수단(16)을 구성하는 암나사부(58)는, 심 부재(44)의 고정 수단(16)을 구성하는 수나사부(48)에 나사결합되고, 제1 연결 부재(50)를 돌림으로써 조작봉(1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1 연결 부재(50)에 의해 제2 연결 부재(80)를 압압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봉(12)의 조작봉 본체(20)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봉체이며, 심 부재(44)의 제1 연결부(40) 및 제2 연결부(42)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봉형체이며, 제1 연결 부재(50)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환형체이며, 제2 연결 부재(80)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환형체이다.
그리고, 이들 조작봉(12)의 조작봉 본체(20), 심 부재(44), 제1 연결 부재(50) 및 제2 연결 부재(80)는, 봉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동심으로 하여, 병렬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는, 심 부재(44)의 제2 연결부(42)의 주위에 배설되고, 제2 연결 부재(80)는, 심 부재(44)의 선단 측의 주위에 배설되고, 제1 연결 부재(50)의 선단 측의 끝에지와 제2 연결 부재(80)의 손잡이 측의 끝에지는,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조작 방법에 대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구조(10)를 구비한 절연 조작봉(12)을 이용하여, 가공 배전선 바이패스 회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연 조작봉(12)에 의해 그 선단에 연결된 간접 활선용의 선단 공구(14)를 조작하는 것을 상정하여, 이하 설명한다.
먼저, 도 10 및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간접 활선 공사용의 선단 공구(14)를 절연 조작봉(12)의 선단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연결 구조(10)를 구성하는 절연 조작봉(12)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선단 공구(14)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봉(12) 측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의 축선과 선단 공구(14) 측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의 축선을 일치시켜,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1 고정홈(90)의 제1 홈부(90A)와 위치맞춤한다.
다음으로, 조작봉(12)을 선단 공구(14) 측으로 이동시키고,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1 고정홈(90)의 제2 홈부(90B)까지 삽입하고, 제2 홈부(90B)의 선단 공구(14) 측의 홈벽까지 도달하면, 조작봉(12)을 원주 방향으로 돌리고,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2 홈부(90B)의 홈을 따라 제3 홈부(90C)를 향하여 진행시킨다.
연결 구조(10)가 제3 홈부(90C)의 홈구까지 도달했을 때, 즉 제2 홈부(90B)의 막다른 곳까지 도달했을 때, 조작봉(12)을 선단 공구(14) 측으로부터 손잡이 측으로 되돌리고,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3 홈부(90C)에 끼워넣는다.
이에, 제1 연결 부재(50)를 돌림으로써, 제1 연결 부재(50)의 수나사부(48)와 심 부재(44)의 암나사부(58)의 작용에 의해 제1 연결 부재(50)를 조작봉(1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연결 부재(50)에 의해 제2 연결 부재(80)를 압압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조작봉(12)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선단 공구(14)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견고하게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연결 구조(10)에 있어서, 조작봉 본체(20)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공구부(선단 공구부)(30)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의 록킹을 해제할 때에 대하여, 주로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때는, 제1 연결 부재(50)를 돌려서 수나사부(48)와 암나사부(58)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손잡이 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조작봉 본체(20)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를 선단 측으로 이동시켜서(제2 연결 부재(80)로 제1 연결 부재(50)를 손잡이 측으로 눌러서), 고정 수단(16)을 구성하는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3 홈부(90C)로부터 분리하고, 조작봉(12)을 돌려서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2 홈부(90B)을 따라 이동시키고, 제1 고정홈(90)의 제1 홈부(90A)에 위치했을 때, 손잡이 측으로 조작봉(12)을 이동시켜서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1 고정홈(90)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조작봉(12)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선단 공구(14)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분리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인 제3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에 대하여, 주로 도 16 내지 도 2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인 제2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제1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10)와 공통인 구성 요건·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공통의 구성 요건·요소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인 연결 구조의 특징 있는 구성 요건·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10)는, 봉체를 구성하는 조작봉(12)과 상기 조작봉(12)에 연결되는 피연결부를 구성하는 선단 공구(14)의 연결 부위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이다.
조작봉(12)은, 장척 원기둥형의 조작봉 본체(20)와, 조작봉 본체(20)의 후단 즉 바로 앞쪽에 부설된 파지부(22)과, 조작봉 본체(20)의 선단 측 즉 선단 공구(14)에 장착되는 측의 영역에 형성된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를 구비한다.
간접 활선 공사용 공구 등의 선단 공구(14)는, 예를 들면, 활선 상태의 가공 배전선의 절연 피복을 박리하는 피박기, 펜치, 걸림구 등으로 구성된다.
선단 공구(14)는, 전선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공구부(30)와, 공구부(30)를 조작봉(12)에 연결되는 영역에 형성된, 피연결부를 구성하는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구비한다.
봉체인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32)과는, 봉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동심으로 하여, 병렬되어 있고, 한쪽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와 오목부가 조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에 볼록부를 구성하는 심 부재(44)가 형성되고,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에 오목부를 구성하는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이 형성되어 있다.
심 부재(44)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봉형체이며,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은, 단면이 대략 원형인 환형체이며, 봉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동심으로 하여 병렬되어 있고,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에 심 부재(44)를 조합하여,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32)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봉(12)은, 선단 공구(14)에 연결되는 측의 영역에, 선단 공구(14)를 고정하는,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된 것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 수단(16)이 배설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조작봉(12)은, 선단 공구(14)에 연결되는 측의 영역에, 조작봉(12)과 선단 공구(14)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이들의 이동을 억제하는,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된 것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억제 수단(18)이 배설되어 있다.
봉체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상기 조작봉(12)의 연결부(24)는, 조작봉 본체(20)보다 가느다란 제1 연결부(40)가 조작봉 본체(20)에 연결되는 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연결부(40)의 선단 공구(14) 측에 상기 제1 연결부(40)보다 굵은 제2 연결부(42)가 연장 형성된 심 부재(4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작봉 본체(20)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를 구성하는 심 부재(44)는, 조작봉 장착 부재((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 및 고정핀(26a) 및 고정핀(26b))에 의해, 조작봉 본체(2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 및 심 부재(44)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7 및 18에 있어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봉 본체(20)의 선단 측에 설치된 오목부(20a)에 끼워넣어지고, 고정핀(26a) 및 고정핀(26b)으로 고정되어 있다.
심 부재(44)의 제1 연결부(40)는, (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의 주위에 끼워넣어지고 조작봉 본체(20)의 선단에 설치된 오목부(20a)에 끼워넣어지고, 조작봉 본체(20)에 고정되어 있다.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연결부(40) 및 제2 연결부(42)를 구성하는 심 부재(44)를 구비하고 있다.
심 부재(44)는, 중공 원통형이며, 상기 조작봉 장착 부재((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 및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의 주위에, 배설되어 있다.
심 부재(44)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손잡이 측이, 조작봉 본체(20)에 장착되도록 조작봉 본체(20)보다 가느다란 원기둥형부로 형성된 제1 연결부(40)를 구성하고, 선단 측이, 손잡이 측이 가느다란 제1 연결부(40)보다 굵게 형성된 굵은 원기둥형부로 형성된 제2 연결부(42)를 구성하고 있다.
심 부재(44)는, 길이 방향으로 천설된 중공 원환형의 중공부(46)를 가지고 있다.
중공부(46)는, 그 대략 중앙에 있어서, 가늘고 길고 잘록한 제1 중공부(46a)가 형성되고, 그 제1 중공부(46a)보다 선단 측에 있어서, 제1 중공부(46a)보다 긴 직경을 구비한 비교적 굵은 제2 중공부(46b)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중공부(46)는, 제1 중공부(46a)보다 손잡이 측에 있어서, 제1 중공부(46a)보다 긴 직경을 구비한 비교적 굵은 제3 중공부(46c)가 형성되어 있다.
심 부재(44)는, 중공부(46)의 제3 중공부(46c)에, 조작봉 본체(20)에 장착하기 위한 조작봉 장착 부재((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가 배설되어 있다.
조작봉 장착 부재((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는, 조작봉 본체(20)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고, (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의 주위에, 심 부재(44)의 제3 중공부(46c)가 끼워넣어져 장착되어 있다.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는, 중공부(46) 내에 감삽되고, 그 손잡이 측이 제3 중공부(46c) 중에 위치하고, 거기보다 선단 측이 제1 중공부(46a) 중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넣어지고, 또한 거기보다 선단 측이 제2 중공부(46b) 중을 선단 측으로 연장되어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와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는, 원기둥형 봉체이며, 손잡이 측이 제1 중공부(46a)보다 그 직경이 굵은 헤드부를 구비하고, 그 선단 측이 제1 중공부(46a)와 대략 그 직경이 동일한 봉형체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중공부(46b)는,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와의 사이에 중공부를 남기고 있고, 그 중에 제3 탄발 부재(98)를 끼워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심 부재(44)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연결부(42) 측에 있어서 고정 수단(16)을 구성하는 제1 고정 볼록부(핀)(6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40) 측에 있어서 그 주위에 억제 수단(18)을 구성하는 탄발 부재(70)가 설치되어도 된다.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는, 조작봉 본체(20)의 선단에 있어서 그 중심에 고정된 심 부재(44)를 구비하고 있고, 그 심 부재(44)의 주위에는 제1 연결 부재(50)가 배설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심 부재(44)는, 그 손잡이 측에 있어서 그 주위에, 조작봉(12)의 손잡이 측보다 선단 공구(14) 측을 향하여 탄발하도록 형성된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 부재(70)로 구성된 억제 수단(18)이 배설되어 있지 않지만, 심 부재(44)의 손잡이 측에 배설해도 된다.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는, 제1 연결 부재(50)의 중공 부분의 내측의 제1 연결부(40) 측에, 제3 연결 부재(52)가 배설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는, 단면이 원형인 원환형체이며, 중공 부분의 내측에 있어서, 그 선단 측이 제2 연결 부재(80)의 손잡이 측에 끼워넣어져 있다.
제3 연결 부재(52)는, 단면이 원형인 원환형체이며, 제1 연결 부재(50)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고, 제2 연결 부재(80)의 제2 연결부(84)의 손잡이 측의 선단과 서로 접하도록 제1 연결부(40)의 제2 연결부(42)에 끼워져 있다.
제3 연결 부재(52)는, 심 부재(44)의 제2 연결부(42)에 감삽되고, 제1 연결 부재(50)의 중공부 측의 내주면에 감삽되도록 형성된, 링형체이다. 제3 연결 부재(52)는, 그 선단 측이 제2 연결 부재(80)의 제2 연결부(84)의 손잡이 측의 끝에지와 접하고, 또한 제1 연결 부재(50)의 중공부 측의 내주면의 손잡이 측의 끝에지와 접하고, 제2 연결 부재(80)의 제2 연결부(84)의 손잡이 측 끝에지와 제1 연결 부재(50)의 중공부 측의 내주면의 손잡이 측의 끝에지 사이에 개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 및 제2 연결 부재(80)의 고정 수단(16)은, 제1 연결 부재(50)가 장전된 제2 연결 부재(80)에, 제1 연결 부재(50)가 설치된 영역의 제2 연결 부재(80)의 외주부에 설치된, 수나사부(88)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한편, 제1 연결 부재(50)의 고정 수단(16)은, 제2 연결 부재(80)에 설치된 영역의 통 내에 설치된, 암나사부(5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의 고정 수단(16)을 구성하는 암나사부(58)는, 제2 연결 부재(80)의 고정 수단(16)을 구성하는 수나사부(88)에 나사결합되고, 제1 연결 부재(50)를 돌림으로써 조작봉(1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1 연결 부재(50)에 연설된 제3 연결 부재(52)에 의해 제2 연결 부재(80)를 압압하기에 적합는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는, 억제 수단(18)을 구성하는 탄발 부재(70)가 배설되어 있지 않지만, 심 부재(44)의 손잡이 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연결부(40)의 제2 연결부(42)는, 제1 연결 부재(50)가 끼워넣어진 영역의 손잡이 측에는 탄발 부재(70)(도시하지 않음)의 선단 측을 멈추기 위한 탄발 부재 장착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조작봉(12)의 조작봉 본체(20)는, 제1 연결 부재(50)의 손잡이 측의 외표면과 마주하는 측에 있어서, 그 선단 측에, 탄발 부재(70)(도시하지 않음)의 후단측을 멈추기 위한 탄발 부재 장착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연결부(40)는, 후술하는 제1 연결 부재(50)의 이동 스페이스를 조작봉 본체(20)와의 사이에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42)는, 상기 제1 고정 볼록부(핀)(60)가 배설되고, 그 주위에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구성하는 제2 연결 부재(80)를 감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는, 원환형이며, 대략 원기둥형의 심 부재(44)의 주위에 끼워져 장전되어 있고, 심 부재(44) 및 조작봉 본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접동(摺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의 손잡이 측과 조작봉 본체(20)의 선단 측 사이에 설치된 탄발 부재(70)(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선단 측으로 탄발되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제1 고정 볼록부(핀)(60)는,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의 중앙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 볼록부(핀)(60)는, 선단 공구(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조작봉(12)의 이동에 따라 조작봉(12)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또한 조작봉(12)의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는, 조작봉(12)에 장착되는 피장착부를 구성하고 있고,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연결 부재(80)가 배설되어 있다.
제2 연결 부재(80)는, 조작봉(12)에 연결되는 측의 영역에,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에 배설된 상기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정지시키는 제1 고정홈(9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홈(90)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끼워넣고,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연결했을 때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16)을 구성하고 있다.
제1 고정홈(90)은, 조작봉(12) 측에 개구한 제1 홈부(90A)와, 제1 홈부(90A)에 이어서 개구한 제2 홈부(90B)와, 제2 홈부(90B)에 이어서 개구한 제3 홈부(90C)를 가지고 있다. 제1 홈부(90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2 홈부(90B)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3 홈부(90C)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막힌 상태로 되어 있다.
제1 고정홈(90)은, 평면에서 볼 때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봉(12)에 선단 공구(14)를 장착했을 때, 제1 고정 볼록부(핀)(60)가 제3 홈부(90C)에 정지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고정홈(90)은, 끼워넣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의 헤드부가 약간 돌출하는 깊이와, 상기 끼워넣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의 축부가 이동할 수 있는 폭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고정 볼록부(핀)(60)는, 제1 연결 부재(50)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홈(90)은, 상기 끼워넣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의 헤드부가 약간 돌출하는 깊이와, 상기 끼워넣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의 축부가 이동할 수 있는 폭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연결 부재(80)는, (선단) 공구부(30)에 장착되고 또한 조작봉(12)에 연결되는 피장착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선단) 공구부(30)에 장착되는 선단 공구 장착부인 제1 연결부(82)와, 상기 선단 공구 장착부인 제1 연결부(82)보다 굵은 제2 연결부(8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연결부(82)는, (선단) 공구부(30)의 장착부에 끼워맞추어지고, (선단) 공구부(30)에 적절한 고정구, 예를 들면, 핀 등에 의해 고정된다.
제2 연결부(84)는, 중공형의 심 부재 장착부를 구성하고 있고, 심 부재(44)에 끼워져 장착되는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부(84)는,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 중에,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가 설치되어 있다.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는, 심 부재(44)의 제2 연결부(42)와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 사이의 원환형의 중공부(46)에 감삽되고, 상기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의 선단 측에 접하여 연접되어 있다.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는,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와 직렬로 나란히, 심 부재(44)의 제2 연결부(42)에 있어서 장착되어 있다.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는, 제2 연결 부재(80)의 손잡이 측의 부위와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고,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의 손잡이 측의 단부와 상기 중공부(46)의 제1 중공부(46a)의 경계벽부 사이에 존재하는 제2 중공부(46b)에,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를 손잡이 측 또는 선단 측을 향하여 탄발하도록 형성된 코일 스프링 등의 제2 탄발 부재(76)가 배설되어 있다.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96)는, 도 16 및 17에 있어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연결부(42)의 중공부(46)에 끼워넣어지고, (제2) 조작봉 장착 부재(28)에 이탈 방지 나사(28a)로 고정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는, 조작봉(12)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작봉(12)에 배설되어 있고, 조작봉(12)에 선단 공구(14)를 장착했을 때, 제2 연결 부재(80)의 조작봉(12) 측의 영역에 고정되어 제2 연결 부재(80)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조작봉 측의) 연결부(24)가 상기 제2 연결 부재(80)의 제1 고정홈(9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는, 제2 연결 부재(8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고정 수단(16)을 가지고 있다.
제1 연결 부재(50)는, 선단 공구(14)를 조작봉(12)에 장착했을 때, 고정 수단(16)을 구성하는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제2 연결 부재(80)의 제2 연결부(84) 및 제3 연결 부재(52)를 그 중공 부분에 내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와 제2 연결 부재(80)의 제2 연결부(84)는, 제1 연결 부재(50)를 돌렸을 때, 고정 수단(16)을 구성하는 수나사부(88) 및 암나사부(58)에 의해, 축 방향으로 나사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연결 부재(50)는, 제1 연결 부재(50)에서의 제2 연결 부재(80)의 제2 연결부(84)와 중첩하는 영역의 내측에 암나사부(58)가 형성되고, 제2 연결 부재(80)는, 제2 연결부(84)에서의 제1 연결 부재(50)에 덮히는 영역의 외측에 수나사부(8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봉(12)의 조작봉 본체(20)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봉체이며, 심 부재(44)의 제1 연결부(40) 및 제2 연결부(42)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봉형체이며, 제1 연결 부재(50)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환형체이며, 제3 연결 부재(52)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환형체이며, 제2 연결 부재(80)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환형체이다.
그리고, 이들 조작봉(12)의 조작봉 본체(20), 심 부재(44), 제1 연결 부재(50), 제3 연결 부재(52) 및 제2 연결 부재(80)는, 봉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동심으로 하여, 병렬되어 있다.
제3 연결 부재(52)는, 심 부재(44)의 제2 연결부(42)의 주위에 배설되고, 제1 연결 부재(50)는, 제3 연결 부재(52) 및 제2 연결 부재(80)의 제2 연결부(84)의 주위에 배설되고, 제2 연결 부재(80)는, 심 부재(44)의 선단 측의 주위에 배설되고, 제3 연결 부재(52)의 선단 측의 끝에지와 제2 연결 부재(80)의 손잡이 측의 끝에지는,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사용 방법에 대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구조(10)를 구비한 절연 조작봉(12)을 아용하요, 가공 배전선 바이패스 회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연 조작봉(12)에 의해 그 선단에 연결된 간접 활선용의 선단 공구(14)를 조작하는 것을 상정하여, 이하 설명한다.
먼저,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간접 활선 공사용의 선단 공구(14)를 절연 조작봉(12)의 선단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연결 구조(10)를 구성하는 절연 조작봉(12)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선단 공구(14)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봉(12) 측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의 축선과 선단 공구(14) 측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의 축선을 일치시켜,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1 고정홈(90)의 제1 홈부(90A)와 위치맞춤한다.
다음으로, 조작봉(12)을 선단 공구(14) 측으로 이동시키고,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1 고정홈(90)의 제2 홈부(90B)까지 삽입하고, 제2 홈부(90B)의 선단 공구(14) 측의 홈벽까지 도달하면, 조작봉(12)을 원주 방향으로 돌리고,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2 홈부(90B)의 홈을 따라 제3 홈부(90C)를 향하여 진행시킨다.
연결 구조(10)가 제3 홈부(90C)의 홈구까지 도달했을 때, 즉 제2 홈부(90B)의 막다른 곳까지 도달했을 때, 조작봉(12)을 선단 공구(14) 측으로부터 손잡이 측으로 되돌리고,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3 홈부(90C)에 끼워넣는다.
여기서, 제1 연결 부재(50)를 돌림으로써, 제1 연결 부재(50)의 암나사부(58)와 제2 연결 부재(80)의 수나사부(88)의 작용에 의해 제1 연결 부재(50)를 조작봉(1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3 연결 부재(52)에 의해 제2 연결 부재(80)를 압압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조작봉(12)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선단 공구(14)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견고하게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연결 구조(10)에 있어서, 조작봉 본체(20)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공구부(선단 공구부)(30)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의 록킹을 해제할 때에 대하여, 주로 도 1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때는, 제1 연결 부재(50)를 돌려서 손잡이 측으로 이동시키고, 조작봉 본체(20)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를 선단 측으로 이동시켜서 고정 수단(16)을 구성하는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3 홈부(90C)로부터 분리하고, 조작봉(12)을 돌려서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2 홈부(90B)를 따라 이동시키고, 제1 고정홈(90)에 위치했을 때, 손잡이 측으로 조작봉(12)을 이동시켜서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1 고정홈(90)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조작봉(12)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선단 공구(14)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분리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에 대하여, 주로 도 22 내지 도 3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제1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10)와 공통인 구성 요건·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공통의 구성 요건·요소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제4 실시형태의 연결 구조의 특징있는 구성 요건·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형태인 연결 구조(10)는, 봉체를 구성하는 조작봉(12)과 상기 조작봉(12)에 연결되는 피연결부를 구성하는 선단 공구(14)의 연결 부위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이다.
조작봉(12)은, 장척 원기둥형의 조작봉 본체(20)와, 조작봉 본체(20)의 후단 즉 바로 앞쪽에 부설된 파지부(22)과, 조작봉 본체(20)의 선단 측 즉 선단 공구(14)에 장착되는 측의 영역에 형성된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를 구비한다.
간접 활선 공사용 공구 등의 선단 공구(14)는, 예를 들면 활선 상태의 가공 배전선의 절연 피복을 박리하는 피박기, 펜치, 걸림구 등으로 구성된다.
선단 공구(14)는, 전선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공구부(30)와, 공구부(30)를 조작봉(12)에 연결되는 영역에 형성된, 피연결부를 구성하는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구비한다.
봉체인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32)는, 봉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동심으로 하여, 병렬되어 있고, 한쪽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와 오목부가 조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결부(24)에 볼록부를 구성하는 심 부재(44)가 형성되고, 연결부(32)에 오목부를 구성하는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이 형성되어 있다.
심 부재(44)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봉형체이며,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은, 단면이 대략 원형인 환형체이며, 봉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동심으로 하여 병렬되어 있고,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에 심 부재(44)를 조합하여,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32)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봉(12)은, 선단 공구(14)에 연결되는 측의 영역에, 선단 공구(14)를 고정하는,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된 것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 수단(16)이 배설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조작봉(12)은, 선단 공구(14)에 연결되는 측의 영역에, 조작봉(12)과 선단 공구(14)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이들의 이동을 억제하는,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된 것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억제 수단(18)이 배설되어 있다.
봉체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상기 조작봉(12)의 연결부(24)는, 조작봉 본체(20)보다 가느다란 제1 연결부(40)가 조작봉 본체(20)에 연결되는 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연결부(40)의 선단 공구(14) 측에 상기 제1 연결부(40)보다 굵은 제2 연결부(42)가 연장 형성된 심 부재(4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작봉 본체(20)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를 구성하는 심 부재(44)는, 조작봉 장착 부재((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 및 고정핀(26a) 및 고정핀(26b))에 의해, 조작봉 본체(2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는, 바닥이 있는 원환형체이며, 조작봉 본체(20)의 오목부(20a)에 끼워넣어지고, 적절한 고정 수단, 예를 들면, 고정핀(26a) 및 고정핀(26b)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는, 제1 연결부(40) 및 제2 연결부(42)를 구성하는 심 부재(44)를 구비하고 있다.
심 부재(44)는, 상기 조작봉 장착 부재((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의 중앙에 형성된 장착 구멍(26d)에 끼워맞추어지고, 상기 연결 나사(26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는, 그 손잡이 측으로부터 (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와 심 부재(44)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나사(26c)를 삽입함으로써, 심 부재(44)의 손잡이 측에 연결 나사(26c)에 의해 나사 고정하여, (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와 연결되어 있다.
심 부재(44)는, (제1) 조작봉 장착 부재(26)를 통하여 조작봉 본체(20)에 장착되어 있다.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는, 억제 수단(18)을 구성하는 탄발 부재(70)가 배설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심 부재(44)는, 그 제1 연결부(40)에 있어서 그 주위에, 조작봉(12)의 손잡이 측보다 선단 공구(14) 측을 향하여 탄발하도록 형성된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 부재(70)로 구성된 억제 수단(18)이 배설되어 있다.
심 부재(44)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손잡이 측이, 조작봉 본체(20)에 장착되도록 조작봉 본체(20)보다 가느다란 원기둥형부로 형성된 제1 연결부(40)를 구성하고, 선단 측이, 손잡이 측이 가느다란 제1 연결부(40)보다 굵게 형성된 굵은 원기둥형부로 형성된 제2 연결부(42)를 구성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8에 있어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심 부재(44)는, 제1 연결부(40)와 제2 연결부(42)를 별개의 부재로서 형성하고, 적절하게 핀에 의해 연결된 것이다.
심 부재(44)는, 선단 측의 제2 연결부(42)에 있어서 고정 수단(16)을 구성하는 제1 고정 볼록부(핀)(60)가 장착되어 있고, 또한, 손잡이 측의 제1 연결부(40)에 있어서 그 주위에 억제 수단(18)을 구성하는 탄발 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심 부재(44)는, 제2 연결부(42)에 있어서 후술하는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를, 조작봉(12)의 길이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안내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홈(92)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는, 제1 연결 부재(50)가 배설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는, 단면이 원형인 원환형체이며, 중공 부분의 내측에 있어서, 그 선단 측이 제1 연결부(40)의 제2 연결부(42)에 끼워넣어져 있다.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봉 본체(20)의 선단에 있어서 그 중심에 고정된 심 부재(44)를 구비하고 있고, 그 심 부재(44)의 주위에는 제1 연결 부재(50)가 배설되어 있다.
제1 연결부(40)는, 제1 연결 부재(50)가 끼워넣어진 영역의 손잡이 측에는 탄발 부재(70)의 선단 측을 멈추기 위한 탄발 부재 장착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조작봉(12)의 조작봉 본체(20)는, 제1 연결 부재(50)의 손잡이 측의 외표면과 마주하는 측에 있어서, 그 선단 측에, 탄발 부재(70)의 후단측을 멈추기 위한 탄발 부재 장착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는, 제1 연결부(40)의 심 부재(44)에 설치된 탄발 부재(70)를 위요(圍繞)하도록, 탄발 부재 장착부(72)와 탄발 부재 장착부(74) 사이에 걸쳐서 가설(架設)되어 있고, 그 선단 측이 제2 연결부(42)의 외주면을 위요하도록 제2 연결부(42)에 장착되어 있다.
억제 수단(18)을 구성하는 탄발 부재(70)는, 조작봉(12)에 선단 공구(14)를 장착했을 때, 탄발 부재 장착부(72)를 통하여, 제1 연결 부재(50)를, 피연결부를 구성하는 제2 연결부(42)의 제2 연결 부재(80)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봉체 측의 연결부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는, 한쪽에 볼록부를 구성하는 고정 수단(16)인 제1 고정 볼록부(60)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오목부를 구성하는 고정 수단(16)인 제1 고정홈(90)이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와 오목부가 조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수단(16)은, 상기 봉체 측의 연결부에 형성된,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제1 고정 볼록부(핀)(60)에 의해 구성되며,
및/또는,
상기 고정 수단(16)은, 상기 봉체 측의 제1 연결 부재(50)에 형성된,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2 연결 부재(80)에 형성된 고정 수단 또는 심 부재(44)에 형성된 고정 수단은, 상기 심 부재(44) 및/또는 제2 연결 부재(80)에 있어서, 대응한 위치에 형성된, 꼬불꼬불 구부러진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홈인 제1 고정홈(9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심 부재(44)의 제1 연결부(40)는, 후술하는 제1 연결 부재(50)의 이동 스페이스를 조작봉 본체(20)와의 사이에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심 부재(44)의 제2 연결부(42)는, 선단 측에 상기 제1 고정 볼록부(핀)(60)가 배설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심 부재(44)의 제2 연결부(42)는, 후술하는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를 유도하기 위한 제2 고정홈(9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 볼록부(핀)(60)는,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의 제2 연결부(42)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 볼록부(핀)(60)는, 선단 공구(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조작봉(12)의 이동에 따라 조작봉(12)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또한 조작봉(12)의 회전에 따라 조작봉(12)의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고정홈(92)은, 조작봉(12) 측에 개구한 제1 홈부(92A)와, 제1 홈부(92A)에 이어서 개구한 제2 홈부(92B)와, 제2 홈부(92B)에 이어서 개구한 제3 홈부(92C)를 가지고 있다. 제1 홈부(92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2 홈부(92B)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3 홈부(92C)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막힌 상태로 되어 있다.
제2 고정홈(92)은, 평면에서 볼 때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봉(12)에 선단 공구(14)를 장착할 때, 제1 연결 부재(50)를 돌리면,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가 제3 홈부(92C)에 맞부딪치고, 제1 연결 부재(50)가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고정홈(92)은, 끼워넣은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의 헤드부가 약간 돌출하는 깊이와, 상기 끼워넣은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의 축부가 이동할 수 있는 폭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는, 도 24에 있어서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의 본체(62a)와 상기 통형의 본체(62a)의 통 내에 장전된 스프링 등의 가압체(62b)와, 가압체(62b)에 의해 통형의 본체(62a)의 하단부로부터 헤드부가 돌출한 볼형의 볼록부(62c)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는, 제1 연결 부재(50)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홈(92)은, 상기 끼워넣은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의 볼록부(62c)가 약간 끼워지는 깊이의 오목부(92a)와, 상기 끼워넣은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의 통형의 본체(62a) 및 볼록부(62c)가 이동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평면 상의 이동로(92b)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가 제2 고정홈(92)의 홈 내의 이동로(92b)를 이동하여, 오목형의 오목부(92a)에 끼워지고, 제1 연결 부재(50)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고정홈(92)은, 도 24에 있어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92a)가 제2 홈부(92B) 및 제3 홈부(92C)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는, 원환형이며, 대략 원기둥형의 심 부재(44)의 주위에 끼워져 장전되어 있고, 심 부재(44) 및 조작봉 본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1 연결 부재(50)의 손잡이 측과 조작봉 본체(20)의 선단 측 사이에 설치된 탄발 부재(70)에 의해, 선단 측으로 탄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는, 선단 측에,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를 고정하기 위한 구멍(50a)이 천설되어 있고, 그 구멍(50a)에 고정 수단(16)을 구성하는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가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다.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는, 조작봉(12)에 장착되는 피장착부를 구성하고 있고,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연결 부재(80)가 배설되어 있다.
제2 연결 부재(80)는, 조작봉(12)에 연결되는 측의 영역에,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에 배설된 상기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정지시키는 제1 고정홈(9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홈(90)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끼워넣고,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연결했을 때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16)을 구성하고 있다.
제1 고정홈(90)은, 조작봉(12) 측에 개구한 제1 홈부(90A)와, 제1 홈부(90A)에 이어서 개구한 제2 홈부(90B)와, 제2 홈부(90B)에 이어서 개구한 제3 홈부(90C)를 가지고 있다. 제1 홈부(90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2 홈부(90B)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3 홈부(90C)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막힌 상태로 되어 있다.
제1 고정홈(90)은, 평면에서 볼 때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봉(12)에 선단 공구(14)를 장착했을 때, 제1 고정 볼록부(핀)(60)가 제3 홈부(90C)에 정지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고정홈(90)은, 끼워넣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의 헤드부가 약간 돌출하는 깊이와, 상기 끼워넣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의 축부가 이동할 수 있는 폭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고정 볼록부(핀)(60)는, 심 부재(44)의 제2 연결부(42)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홈(90)은, 상기 끼워넣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의 헤드부가 약간 돌출하는 깊이와, 상기 끼워넣은 제1 고정 볼록부(핀)(60)의 축부가 이동할 수 있는 폭을 구비하고 있고, 제1 고정 볼록부(핀)(60)가 제1 고정홈(90)의 홈 내를 이동하여, 조작봉(12) 및 제1 연결부(40)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연결 부재(80)는, (선단) 공구부(30)에 장착되고 또한 조작봉(12)에 연결되는 피장착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선단) 공구부(30)에 장착되는 선단 공구 장착부인 제1 연결부(82)와, 상기 선단 공구 장착부인 제1 연결부(82)보다 굵은 제2 연결부(8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연결부(82)는, (선단) 공구부(30)의 장착부에 끼워맞추어지고, (선단) 공구부(30)에 적절한 고정구 예를 들면, 핀 등에 의해 고정된다.
제2 연결부(84)는, 중공형의 심 부재 장착부를 구성하고 있고, 심 부재(44)에 끼워져 장착되는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의 개구 에지부에 이어서, 제1 고정홈(9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는, 조작봉(12)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작봉(12) 측에 배설되어 있고, 조작봉(12)에 선단 공구(14)를 장착했을 때, 제2 연결 부재(80)의 조작봉(12) 측의 영역에 고정되어 제2 연결 부재(80)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조작봉 측의) 연결부(24)가 상기 제2 연결 부재(80)의 제1 고정홈(9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제1 연결 부재(50)는, 제2 연결 부재(8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 연결 부재(50)를 제1 연결부(40)의 제2 연결부(42)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16)을 가지고 있다.
이 제1 연결 부재(50)를 제1 연결부(40)의 제2 연결부(42)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16)은, 상기한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봉(12)의 조작봉 본체(20)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봉체이며, 심 부재(44)의 제1 연결부(40) 및 제2 연결부(42)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봉형체이며, 제1 연결 부재(50)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환형체이며, 제2 연결 부재(80)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환형체이다.
그리고, 이들 조작봉(12)의 조작봉 본체(20), 심 부재(44), 제1 연결 부재(50) 및 제2 연결 부재(80)는, 봉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동심으로 하여, 병렬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0)는, 심 부재(44)의 제2 연결부(42)의 주위에 배설되고, 제2 연결 부재(80)는, 심 부재(44)의 선단 측의 주위에 배설되고, 제1 연결 부재(50)의 선단 측의 끝에지와 제2 연결 부재(80)의 손잡이 측의 끝에지는,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조작 방법에 대하여,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구조(10)를 구비한 절연 조작봉(12)을 이용하여, 가공 배전선 바이패스 회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연 조작봉(12)에 의해 그 선단에 연결된 간접 활선용의 선단 공구(14)를 조작하는 것을 상정하여, 이하 설명한다.
먼저,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간접 활선 공사용의 선단 공구(14)를 조작봉(12)의 선단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연결 구조(10)를 구성하는 조작봉(12)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선단 공구(14)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와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의 축선과 선단 공구(14) 측의 연결부(32)의 축선을 일치시켜,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1 고정홈(90)의 제1 홈부(90A)와 위치맞춤한다.
다음으로, 조작봉(12)을 선단 공구(14) 측으로 이동시키고,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1 고정홈(90)의 제2 홈부(90B)까지 삽입하고, 제2 홈부(90B)의 선단 공구(14) 측의 홈벽까지 도달하면, 조작봉(12)을 원주 방향으로 돌리고,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2 홈부(90B)의 홈을 따라 제3 홈부(90C)를 향하여 진행시킨다.
연결 구조(10)가 제3 홈부(90C)의 홈구까지 도달했을 때, 즉 제2 홈부(90B)의 막다른 곳까지 도달했을 때, 조작봉(12)을 선단 공구(14) 측으로부터 손잡이 측으로 되돌리고,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3 홈부(90C)에 끼워넣는다.
제1 연결 부재(50)를 제2 연결부(42)에 고정할 때는, 도 3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50)의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와 심 부재(44)의 제2 고정홈(92)의 작용에 의해 제1 연결 부재(50)를 조작봉(1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연결 부재(50)에 의해 제2 연결 부재(80)를 압압하는 위치까지 제1 연결 부재(50)를 이동시키고, 제1 연결 부재(50)와 제2 연결부(42)를 연결시켜, 조작봉(12)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선단 공구(14)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견고하게 연결시키도록 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심 부재(44)의 축선과 제2 연결부(42)의 축선을 일치시켜,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를 제2 고정홈(92)의 제1 홈부(92A)와 위치맞춤한다.
다음으로, 제1 연결 부재(50)를 선단 공구(14) 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를 제2 고정홈(92)의 제2 홈부(92B)까지 삽입하고, 제2 고정홈(92)의 선단 공구(14) 측의 홈벽까지, 도달하면, 제1 연결 부재(50)를 원주 방향으로 돌리고,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를 제2 홈부(92B)의 홈을 따라 제3 홈부(92C)를 향하여 진행시킨다.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가 제3 홈부(90C)의 홈구까지 도달했을 때, 즉 제2 홈부(92B)의 막다른 곳까지 도달했을 때,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를 제3 홈부(92C)에 끼워넣는다.
이와 같이, 제1 연결 부재(50)를 돌림으로써, 제1 연결 부재(50)의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62)와 제2 연결부(42)의 제2 고정홈(92)의 작용에 의해, 제1 연결 부재(50)를 제2 연결 부재(80)를 압압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제1 연결 부재(50)를 심 부재(44)의 제2 연결부(42)에 연결시킨다.
연결 구조(10)에 있어서, 조작봉 본체(20)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공구부(선단 공구부)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와의 록킹을 해제할 때에 대하여, 주로 도 3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연결 부재(50)를 돌려서 제2 홈부(92B)의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가고정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조작봉 본체(20)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를 선단 측으로 이동시키고, 제1 연결 부재(50)의 이동에 따라 제2 연결 부재(80)를 손잡이 측으로 누르고, 고정 수단(16)을 구성하는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3 홈부(90C)로부터 분리하고, 조작봉(12)을 돌려서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2 홈부(90B)를 따라 이동시키고, 제1 고정홈(90)에 위치했을 때, 손잡이 측으로 조작봉(12)을 이동시켜서 제1 고정 볼록부(핀)(60)를 제1 고정홈(90)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조작봉(12)의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와 선단 공구(14)의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를 분리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 36 내지 도 38에 기초하여 이하 설명한다.
이 변형예는, 연결 구조(10)가, 피연결부를 구비한 선단 공구(14)에 가까운 위치가 아닌, 봉체의 손잡이 측의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변형예의 연결 구조(10)는, 2개로 분할된 봉체 중, 손잡이 측의 봉체와, 선단 측의 봉체와 연결하는 것으로서, 조작봉(12)을 구성하는 선단 공구(14)가 연결되는 제1 조작 봉체(12A)와, 손잡이 측의 조작봉(12)을 구성하는 제2 조작 봉체(12B)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조작 봉체(12A)는, 연결부를 구성하고 있고, 그 선단 측에 피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조작 봉체(12B)는, 봉체를 구성하고 있고, 그 후단에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봉(12)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는, 제1 조작 봉체(12A)를 구성하는 장척 원기둥형의 조작봉 본체(20)와, 조작봉 본체(20)의 후단 즉 바로 앞쪽에 부설되는, 제2 조작 봉체(12B)를 구성하는 파지부(22)를 구비한다.
조작봉 본체(20)는, 그 선단 측에는 선단 공구(14)가 장착되고, 그 후단측의 영역에는, 피연결부를 구성하는 (조작봉 측의) 연결부(24)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한 기재에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의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매커니즘, 형상, 재질, 수량, 위치 또는 배치 등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이며, 이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봉체인 조작봉(12) 측의 연결부(24)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32)는, 봉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동심으로 하여, 병렬되고, 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한쪽의 연결부(24)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의 연결부(32)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있었지만, (조작봉 측의) 연결부(24)에 오목부를 구성하는, 예를 들면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94)이 형성되고,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32)에 볼록부를 구성하는, 예를 들면 심 부재(44)가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구조는, 널리 봉형체의 연결 구조에 사용된다.
10: 연결 구조
12: 조작봉
12A: 제1 조작 봉체
12B: 제2 조작 봉체
14: 선단 공구
16: 고정 수단
18: 억제 수단
20: 조작봉 본체
20a: 오목부
22: 파지부
24: (조작봉 측의) 연결부
26: (제1) 조작봉 장착 부재
26a: 고정핀
26b: 고정핀
26c: 연결 나사
26d: 장착 구멍
28: (제2) 조작봉 장착 부재
28a: 이탈 방지 나사
30: 공구부(선단 공구부)
32: (선단 공구 측의) 연결부
32a: 오목부
40: 제1 연결부
42: 제2 연결부
42a: 오목부
44: 심 부재
46: 중공부
46a: 제1 중공부
46b: 제2 중공부
46c: 제3 중공부
48: 수나사부
50: 제1 연결 부재
50a: 구멍
50E: 선단면
52: 제3 연결 부재
58: 암나사부
60: 제1 고정 볼록부(핀)
62: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
62a: 통형의 본체
62b: 가압체
62c: 볼록부
64: 고정구
70: 탄발 부재
72: 탄발 부재 장착부
74: 탄발 부재 장착부
76: 제2 탄발 부재
80: 제2 연결 부재
80E: 후단면
82: 제1 연결부
84: 제2 연결부
88: 수나사부
90: 제1 고정홈
90A: 제1 홈부
90B: 제2 홈부
90C: 제3 홈부
92: 제2 고정홈
92a: 오목부
92b: 이동로
92A: 제1 홈부
92B: 제2 홈부
92C: 제3 홈부
94: 봉체 측 연결부 장착공
96: 기둥형의 심 부재 장착부
98: 제3 탄발 부재

Claims (12)

  1. 봉체(棒體)와 상기 봉체에 연결되는 피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로서,
    상기 봉체 측의 영역에 배설(配設)되는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봉체에 연결되는 피연결부 측의 영역에 배설되는 제2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봉체는, 봉체에 연결되는 피연결부 측의 영역에,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된 것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 수단이 배설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봉체에 연결되는 피연결부 측의 영역에, 상기 봉체 측의 고정 수단을 정지시키는 고정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봉체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봉체 측에 배설되고,
    상기 봉체에 피연결부를 연결했을 때,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제2 연결 부재의 제1 연결 부재측 영역에 고정되어, 제2 연결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봉체 측의 고정 수단이 상기 제2 연결 부재에 형성된 고정 수단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 봉체의 연결 구조.
  2. 봉체와 상기 봉체에 연결되는 피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로서,
    상기 봉체 측의 영역에 배설되는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봉체에 연결되는 피연결부 측의 영역에 배설되는 제2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봉체 측의 연결부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는, 한쪽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와 오목부가 조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봉체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봉체 측에 배설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피연결부에 이동 가능하게 피연결부 측에 배설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연결된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가 반대 방향 이동함으로써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봉체는,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된 것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억제 수단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억제 수단은, 제1 연결 부재를, 제2 연결 부재 측으로 압압(押壓)하여, 상기 연결했을 때에 맞물린 볼록부와 오목부가 이격되지 않도록 구성된, 봉체의 연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봉체 측의 연결부와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는, 한쪽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와 오목부가 조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봉체의 연결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 측에 설치된 고정 수단은,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고 있고, 피연결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봉체의 이동에 따라 봉체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봉체의 주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 봉체의 연결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피연결부 측의 연결부와 봉체 측의 연결부를 연결했을 때, 제2 연결 부재의 제1 연결 부재측의 단부(端部)를 압압하도록 형성된, 봉체의 연결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봉체 측의 연결부에 형성된,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제1 고정 볼록부(핀)에 의해 구성되며,
    및/또는,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봉체 측의 제1 연결 부재에 형성된,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제2 고정 볼록부(플런저(plunger))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2 연결 부재에 형성된 고정 수단 또는 심(芯) 부재에 형성된 고정 수단은, 상기 심 부재 및/또는 제2 연결 부재에 있어서, 대응한 위치에 형성된, 꼬불꼬불 구부러진 분리 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홈에 의해 구성된, 봉체의 연결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고정핀 및 플런저 및 고정홈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고정핀 및 플런저는, 봉체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끼워넣은 고정핀의 헤드부가 약간 돌출하는 깊이와, 상기 끼워넣은 고정핀 및 플런저의 축부(軸部)가 이동할 수 있는 폭을 구비하고, 봉체에 피연결부를 장착했을 때 고정핀 및 플런저가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된, 봉체의 연결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봉 측의 고정 수단은, 제1 연결 부재에 형성된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제2 연결 부재에 배설된 상기 고정 수단에 끼워맞추어지도록 형성된, 봉체의 연결 구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피연결부를 봉체에 연결했을 때, 상기 제2 연결 부재 또는 봉체의 연결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봉체에 피연결부가 고정되었을 때 제2 연결 부재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구성된, 봉체의 연결 구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수단은, 탄발(彈發) 부재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탄발 부재는, 제1 연결 부재를 피연결부 측으로 압압하도록, 또는 상기 고정 수단을 고정홈으로 압압하도록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 부재를 상기 연결했을 때에 맞물린 볼록부와 오목부가 이격되지 않도록 압압하도록 배설된, 봉체의 연결 구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는, 봉체 본체보다 가느다란 제1 연결부가 피연결부에 연결되는 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의 피연결부 측에 상기 제1 연결부보다 굵은 제2 연결부가 연설(連設)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연결 부재의 이동 스페이스를 봉체 본체와의 사이에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고정 수단이 배설된, 봉체의 연결 구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봉체에서의 손잡이 측의 영역의 봉체에 배설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봉체에서의 피연결부 측의 봉체에 배설된, 봉체의 연결 구조.
KR1020247006452A 2021-07-30 2022-06-28 봉체의 연결 구조 KR202400380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25899 2021-07-30
JPJP-P-2021-125899 2021-07-30
PCT/JP2022/025710 WO2023008051A1 (ja) 2021-07-30 2022-06-28 棒体の連結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067A true KR20240038067A (ko) 2024-03-22

Family

ID=85087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6452A KR20240038067A (ko) 2021-07-30 2022-06-28 봉체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3008051A1 (ko)
KR (1) KR20240038067A (ko)
TW (1) TW202322509A (ko)
WO (1) WO202300805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9861A (ja) 2007-02-15 2008-08-2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工事用工具と間接活線工事用絶縁操作棒との連結構造
JP2013102629A (ja) 2011-11-09 2013-05-23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作業の共用操作棒
JP2017099141A (ja) 2015-11-24 2017-06-01 中国電力株式会社 共用操作棒と先端工具の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6178U (ko) * 1985-05-13 1986-11-20
JPH0125768Y2 (ko) * 1986-04-30 1989-08-02
JP3039224U (ja) * 1997-01-06 1997-07-15 宣真工業株式会社 操作ロッド連結構造
JP2009050054A (ja) * 2007-08-16 2009-03-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工具および重心位置変更装置
US20120227257A1 (en) * 2011-03-07 2012-09-13 Kalavitz Michael V Coupler device
JP5539550B1 (ja) * 2013-01-23 2014-07-02 中国電力株式会社 架空線支持具及び架空線の切断方法
FR3031245B1 (fr) * 2014-12-24 2016-12-23 Radiall Sa Ensemble de connexion a verrouillage par baionnette des elements de connexion
JP6872237B2 (ja) * 2017-07-21 2021-05-19 株式会社永木精機 操作棒の連結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9861A (ja) 2007-02-15 2008-08-2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工事用工具と間接活線工事用絶縁操作棒との連結構造
JP2013102629A (ja) 2011-11-09 2013-05-23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作業の共用操作棒
JP2017099141A (ja) 2015-11-24 2017-06-01 中国電力株式会社 共用操作棒と先端工具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8051A1 (ja) 2023-02-02
TW202322509A (zh) 2023-06-01
JPWO2023008051A1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6510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operation rod
US7731465B2 (en) Release pin
US8147173B2 (en) Adapter for operating a keyhole saw on a driving machine
US11243046B2 (en) Telescopic baton
WO2008025605A1 (de) Zusatzhandgriffvorrichtung
AU2021239844B2 (en) Chuck assembly for a medical device
US20140224076A1 (en) Stud removal tool
US8616107B2 (en) Punching tool
US9085917B2 (en) Interchangeable cylinder system
KR20240038067A (ko) 봉체의 연결 구조
US6782723B2 (en) Flexible shackle lock with a replaceable shackle and a replaceable lock core
US3034798A (en) Fishing rod handles
US20050246901A1 (en) Reciprocating power tool
KR101650671B1 (ko) 절단 공구
JP6488324B2 (ja) 接地用具
JP5400502B2 (ja) ビット接続具の接続構造
KR20170002953U (ko) 밸브셔터 클램프
KR102477016B1 (ko) 파지 공구, 및,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
US20050042059A1 (en) Slide nut
JP3202866U (ja) 工具用グリップ
JP5277408B2 (ja) 手動打撃工具
EP4117866A1 (de) Handgriffvorrichtung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DE202013012036U1 (de) Bipolares Koagulationsinstrument
JP3241600U (ja) ジスコン棒
CN210582503U (zh) 定位锁与医疗器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