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642A - 건조 장치 및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 - Google Patents

건조 장치 및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642A
KR20240035642A KR1020247007632A KR20247007632A KR20240035642A KR 20240035642 A KR20240035642 A KR 20240035642A KR 1020247007632 A KR1020247007632 A KR 1020247007632A KR 20247007632 A KR20247007632 A KR 20247007632A KR 20240035642 A KR20240035642 A KR 20240035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rum
drying device
drying
re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씽 리
촨린 두안
야동 옌
지바이 후앙
즈민 양
져 왕
밍 리우
쳥후 린
??후 린
쥔쥔 팡
항 치
밍 쉬
통 리우
강 취엔
Original Assignee
선전 로보락 이노베이션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1023112.5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981647A/zh
Application filed by 선전 로보락 이노베이션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로보락 이노베이션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35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642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63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air flow, e.g. blowing air during the washing process to prevent entanglement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6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8Control of the energy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5Cleaning or disinfection of machine parts, e.g. of heat exchangers or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건조 장치 및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에 있어서, 드럼에서 공급된 습한 공기를 제습 모듈(20)에 순환 수출하는 순환 모듈(10); 순환 기류에 대해 제습 건조를 진행하고, 드럼에 수출하는 제습 모듈(20); 건조된 재생 기류를 제습 모듈(20)에 수출하고, 제습 모듈(20)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습 건조하여, 제습 능력을 회복하게 하는 재생 모듈(30); 을 포함하고, 건조 장치의 순환 모듈(10), 제습 모듈(20) 및 재생 모듈(30)은 대체적으로 한 평면 내에 있다. 해당 건조 장치는 콤팩트하게 표준 사이즈의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 내에 집적되고, 고효율적인 순환 제습 재생 기능을 통해, 지속적이고 고효율적으로 제습 건조를 실현하고, 전기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 장치 및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
본 발명은 가전제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건조 장치 및 세탁과 건조 기능을 구비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의 교차인용>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202111023112.5이고, 출원일자가 2021년9월1일이고 및 출원번호가 202111450553.3이고, 출원일자가 2021년11월30일인 중국 특허 출원 제출을 기반으로, 해당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참고로 해당 중국 특허 출원의 전부 내용은 본 출원에 인입된다.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과학 기술 수준과 제품 성능이 부단히 향상됨에 따라, 사람들은 가전제품의 기능에 대해 점점 더 많은 요구를 제출하여, 가정 중에서 나날이 많아지는 사용 수요를 만족하여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가정 중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체력 노동 중의 하나인 빨래를 놓고 말하면, 전반적인 빨래 과정은, 세탁, 햇빛 말림, 수납 정리 등 반드시 필요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전통적인 세탁기는 단지 세탁 기능만 완성 가능하고, 햇빛 말림, 건조, 수납 정리는 여전히 인력으로 진행해야 한다. 업계에서 새로 나타난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는 세탁 및 건조 기능을 집적하여, 하나의 버튼 작동으로 완성되고, 세탁 완료 후에 의류에 대해 건조 처리를 진행하여, 햇빛 말림과 수납의 인력 지출을 대대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기존의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시스템은 흡습 모듈(증발기 또는 열펌프)을 이용하여 세탁 건조기 드럼의 습한 공기에 대해 가열 흡습을 진행하여, 고온 공기를 획득한 후, 다시 세탁 건조기 드럼에 진입하여 건조시켜서, 의류 중의 수분을 증발하도록 한다. 그러나, 기존의 증발기 또는 열펌프의 전반 온도는 일치하고, 습한 공기의 증발 과정에서, 흡습 모듈은 습한 공기에 대한 흡습 능력이 하강하여, 흡습 효율이 낮아지고, 건조 시간이 길어지며, 에너지 소비가 많게 된다. 특히, 공기 온도가 비교적 낮은 환경에서, 습한 공기의 온도도 같이 하강하고, 이로써 증발기의 온도는 흡습 온도에 도달하기가 힘들어서, 흡습 효율이 진일보 감소하고, 건조시간이 길어지며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흡습 모듈에 순환 및 재생 기능을 추가하여, 흡습 모듈의 고온 저습 특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지속적이고, 고효율적으로 제습 건조를 실현하고, 전기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업계 표준의 제한으로 인해,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전체 사이즈는 통상 고정 불변한 것이므로, 제한된 공간 내에 더 많은 기능 수단을 설치해야 하고, 상기 각 기능의 실현을 보장해야 하는 것은 업계에서 대면할 큰 도전이다.
본 발명은 고집적화된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종래기술에서 존재하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체 사이즈가 제한된 세탁기 공간 내에서 고집적적으로 세탁, 건조, 재생 순환의 각 기능을 실현하여, 전반적인 작업 흐름은 고효율적이고, 시간을 절약하고, 전기를 절약하며, 작업 시간과 에너지 소비를 대대적으로 절약하였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드럼과 연통하고, 순환 운동을 통해 드럼에서 공급된 습한 공기를 순환 기류로 형성하고 또한 제습 모듈(20)에 수출하여 제습을 진행하는 순환 모듈(10); 각각 상기 순환 모듈(10) 및 드럼과 연통하고, 순환 회전 운동을 통해 순환 모듈(10)에서 공급된 순환 기류에 대해 제습 건조를 진행하고, 건조된 순환 기류를 드럼 중에 수출하는 제습 모듈(20); 및 상기 제습 모듈(20)과 연통하고, 회전을 통해 건조된 재생 기류를 제습 모듈(20)에 수출하고, 제습 모듈(20)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습 건조하여 제습 능력을 회복하게 하는 재생 모듈(30)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건조 장치의 순환 모듈(10), 제습 모듈(20) 및 재생 모듈(30)은 대체적으로 한 평면 내에 있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건조 장치가 위치한 평면은 수평으로 드럼의 상방 또는 하방에 설치되고, 또한 드럼 회전축과 평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 장치 내의 순환 모듈(10)의 회전축, 제습 모듈(20)의 회전축, 재생 모듈(30) 중의 적어도 두 개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고, 또한 드럼의 회전축에 수직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환 모듈(10) 및 제습 모듈(20)의 회전축은 드럼 회전축과 상이한 면에 있고 또한 수직이 되며, 드럼 회전축 양측에 분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생 모듈(30)은 상기 순환 모듈(10)의 일측에 설치되고, 또한 제습 모듈(20)과 각각 드럼 회전축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건조 장치는 입풍 통로(102)를 더 포함하고, 이는 상기 순환 모듈(10)과 드럼을 연통하게 하고, 드럼에서 공급된 습한 공기를 상기 순환 모듈(10)에 진입시키기 위한 통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건조 장치가 위치한 평면이 수평으로 드럼의 상방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입풍 통로(102)는 드럼의 좌측후방 또는 우측후방에 설치되고, 이와 연통된 상기 순환 모듈(10)도 상응하게 드럼의 좌측후방상부 또는 우측후방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출풍 통로(203)를 더 포함하고, 이는 제습 모듈(20)과 드럼을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제습 후의 건조 순환 기류를 드럼에 진입시키기 위한 통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건조 장치가 위치한 평면은 수평으로 드럼의 하방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입풍 통로(102)는 순차적으로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밑부, 후부 및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설치됨으로써, 드럼 출풍구와 순환 팬(101)의 입풍구를 연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 장치가 위치한 평면은 수평으로 드럼의 하방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출풍 통로(203)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밑부, 후부 및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설치됨으로써, 제습 모듈(20)의 출풍구와 드럼 입풍구를 연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건조 장치가 위치한 평면은 수직이 되게 드럼 후방에 설치되고, 또한 드럼 회전축과 수직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환 모듈(10)과 제습 모듈(20)의 회전축은 드럼 회전축과 평행하고, 또한 드럼 회전축의 양측에 분포되며; 상기 재생 모듈(30)은 상기 순환 모듈(10)의 일측에 설치되고, 또한 제습 모듈(20)과 각각 드럼 회전축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입풍 통로(102)를 더 포함하고, 이는 드럼 회전축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드럼의 출풍구와 순환 모듈(10)의 입풍구를 연통하게 하고, 드럼에서 공급된 습한 공기를 상기 순환 모듈(10)에 진입시키기 위한 통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출풍 통로(203)를 더 포함하고, 이는 드럼 회전축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제습 모듈(20) 출풍구와 드럼 입풍구를 연통하게 하고, 제습된 후의 건조 순환 기류를 드럼에 진입시키기 위한 통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재생 모듈(30)의 재생풍 입구(3011)와 재생풍 출구(3012)는 모두 대기와 연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건조 장치는 응축 모듈(40)을 더 포함하고, 재생 모듈(30)의 재생풍 출구에 연통되며, 재생 모듈(30)에서 수출된 재생 기류에 대해 응축을 진행하여 저온이고 건조한 기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응축 모듈(40)의 출풍구는 대기 또는 상기 재생 모듈(30)의 재생풍 입구(3011)에 연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건조 장치는 여과 어셈블리(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순환 모듈(10)의 입풍 통로(102) 중에 설치되며, 드럼에서 공급된 기류 중의 솜털 및/또는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입풍 통로(102)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전단을 경유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입풍 통로(102) 중에 설치된 여과 어셈블리(60)는 착탈 가능하게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전단 패널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건조 장치의 하우징은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4개 프레임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일체 성형되게 적어도 하나의 설치부(509)가 설치되고,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설치부(509)를 통해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케이스 상에 강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 장치의 하우징과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드럼 사이는 유연성 연결을 이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순환 모듈(10)과 건조 장치의 입풍 통로(102) 사이, 및/또는 상기 입풍 통로(102)와 드럼 사이, 및/또는 상기 제습 모듈(20)과 상기 순환 모듈(10) 사이, 및/또는 상기 제습 모듈(20)과 건조 장치의 출풍 통로(203) 사이, 및/또는 상기 출풍 통로(203)와 드럼 사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한 어셈블리 사이의 연결 위치는 유연성 연결을 이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건조 장치는 패키지 하우징(50)이 설치되고, 패키지 하우징(50)은, 제습 모듈(20)을 설치하도록 구성된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순환 모듈(10)을 설치하도록 구성된 순환 하부 하우징(502), 응축 모듈(40)을 설치하도록 구성된 응축 하부 하우징(503) 및 재생 모듈(30)을 설치하도록 구성된 재생 하부 하우징(504)을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 제습 모듈(20)을 설치하도록 구성된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순환 모듈(10)을 설치하도록 구성된 순환 상부 하우징(506), 응축 모듈(40)을 설치하도록 구성된 응축 상부 하우징(507)을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각 하부 하우징은 하나의 일체 하부 하우징으로 일체 성형되거나, 또는 각각 다수의 분립된 하부 하우징 수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상부 하우징은 각각 다수의 분립된 상부 하우징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은 세탁기 프레임 상에 고정되게 경성 연결되고, 기타 각 하부 하우징은 드럼의 외부 터브에 별도 또는 일체 성형으로 고정되게 경성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과 모든 진동을 일으키는 어셈블리 사이에는 모두 유연성 연결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세탁용 드럼 및 상기한 바의 건조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를 더 제공하고,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드럼과 연통되고, 드럼 내의 습한 공기에 대해 제습 건조를 진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장치는 콤팩트하게 표준 사이즈의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 내에 집적되고,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전체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는 상황에서, 긴밀하게 매칭되는 순환의 제습, 재생 기능을 통해, 지속적이고 고효율적으로 제습 건조를 실현하고, 전기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전통기술 중의 기술수단을 더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 실시예에서 사용할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자명하게는, 아래에 설명되는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고,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진보적 노동을 필요로 하지 않은 전제 하에서, 이러한 도면에 따라 기타 도면을 얻을 수도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1a는 건조 장치 조립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1b는 건조 장치 어셈블리의 분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1c는 건조 장치의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 중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모듈의 위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건조 모듈의 입풍 통로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다른 일 실시예의 건조 모듈의 위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건조 모듈의 위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 실시예의 건조 모듈의 패키지 하우징의 하부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제습 모듈의 상부 하우징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건조 모듈과 세탁기 프레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건조 모듈과 세탁기 드럼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재생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10a는 재생 모듈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10b는 재생 모듈의 분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재생 모듈의 폐환 재생 순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재생풍 입구 연결 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여기서, 도12a는 재생풍 입구 연결 수단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12b는 재생풍 입구 연결 수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3 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재생 팬 출풍구 연결 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여기서, 도13a는 재생 팬 출풍구 연결 수단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13b는 재생 팬 출풍구 연결 수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4는 본 발명 건조 모듈의 순환 모듈의 상부 하우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5는 본 발명 건조 모듈의 순환 모듈의 하부 하우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순환 모듈의 제습 순환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급수 모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8은 본 발명 세탁기의 건조 모듈의 입풍 통로의 연결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9는 본 발명 여과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0은 본 발명 여과 어셈블리의 노즐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1은 본 발명 여과 어셈블리의 노즐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2는 본 발명 여과 어셈블리의 응축 노즐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3은 본 발명 제습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4는 본 발명 제습 모듈의 밀봉 패키지 분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5는 본 발명 제습 모듈의 하부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6은 본 발명 제습 회전판 상부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7은 본 발명 건조 모듈의 제습 회전판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27a는 제습 회전판의 분해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27b는 제습 회전판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8은 밀봉링이 회전판 하부 하우징에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9는 제습 회전판의 댐핑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30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제습 회전판의 외주 구동 장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3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제습 모듈의 유연성 롤러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3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습 모듈의 보조 롤러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33은 본 발명의 건조 모듈의 가열 모듈의 밀봉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34는 본 발명의 건조 모듈의 가열 모듈의 메쉬판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34a는 가열 모듈 출풍구의 메쉬판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34b는 가열 모듈 입풍구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35는 본 발명 건조 모듈의 가열 모듈의 가열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35a는 가열기와 메쉬판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35b는 가열기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6은 본 발명의 건조 장치의 응축 모듈의 하우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37은 일 바람직한 실시예 중의 응축기의 흐름 간섭 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37a는 흐름 간섭 구조가 없는 응축기 외부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37b는 흐름 간섭 구조가 있는 응축기 외부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각 도면에서, 도면 부호와 수단 명칭 사이의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 드럼(A), 건조 모듈(B), 급수 모듈(C), 세탁기 프레임변(1);
건조 장치(B): 순환 모듈(10), 제습 모듈(20), 재생 모듈(30), 응축 모듈(40);
급수 어셈블리(C): 1개 입수구(C0), 다수개 급수구(드럼 급수구(C1), 여과망 급수구(C2), 응축기 급수구(C3) 등), 1개 배수구(C4);
순환 모듈(10): 순환 팬(101), 입풍 통로(102), 순환풍 인터페이스 수단(103), 순환 팬 밀봉 스트립(104); 파형관(1021), 압판(1022);
순환 팬(101): 모터(1011), 임펠러(1012);
순환 팬 상부 하우징(506), 순환 팬 하부 하우징(502), 건조 모듈 하부 하우징의 순환 팬 설치 구역(502');
제습 모듈(20): 제습 회전판(200), 제습부(201), 재생부(202), 출풍 통로(203), 하우징 밀봉링(206),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외주 구동 장치(207), 중심 구동 장치(208);
제습부(201): 하부 하우징 제습 구역 구획 수단(501-2);
재생부(202):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 조립 수단(202-3), 하부 하우징 재생 구역 조립 수단(202-2);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하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1-1), 하부 하우징 제습 구역 구획 수단(501-2), 회전축(501-3);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상부 하우징 제습 구역(505-1),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505-2),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5-3), 순환풍 출풍구(505-4);
제습 회전판(200): 분자체(200-1), 구동휠(200-2), 보조 회전링(200-3), 유연성 롤러(200-4), 회전판 밀봉링(200-5), 원주 댐핑 수단(200-6), 중심 댐핑 수단(200-7), 보조 롤러(200-8);
외주 구동 장치(207): 외주 구동 모터(207-1), 외주 전동 기어(207-2);
중심 구동 장치(208): 중심 구동 모터(208-1), 중심 전동축(208-2);
재생 모듈(30): 재생 팬(301), 가열 모듈(302), 재생풍 입구(3011), 재생풍 출구(3012);
재생풍 입구 연결 수단(3013): 상하 2개 부품(3013-1, 3013-2), 수평 포트(3013-3); 수직 포트(3013-4);
재생풍 출구 연결 수단(3014): 상하 2개 부품(3014-1, 3014-2), 비교적 작은 포트(3014-3); 비교적 큰 포트(3014-4);
가열 모듈(302): 가열기 입풍구(302-1), 가열기 출풍구(302-2), 제1밀봉 수단(302-3), 제2밀봉 수단(302-4);
메쉬판(303), 가열관(304), 온도 제어기(305), 열전도판(305-1);
응축 모듈(40): 응축기(401), 응축기 상부 하우징(402), 응축기 하부 하우징(403), 밀봉 수단(404), 응축기 입풍구(405), 응축기 출풍구(406), 흐름 간섭 수단(407);
냉각수 입구(401-1), 응축수 출구(401-2), 응축수 출구(401-3);
패키지 하우징(50):
하부 하우징: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순환 하부 하우징(502), 응축 하부 하우징(503), 재생 하부 하우징(504), 설치부(509);
회전판 설치 구역(501'), 순환 설치 구역(502'), 응축 설치 구역(503'), 재생 설치 구역(504');
상부 하우징: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순환 상부 하우징(506), 응축 상부 하우징(507);
여과 어셈블리(60): 여과망(601), 청소 노즐(602), 노즐 급수관(603), 응축 노즐(605), 여과면(6011), 비여과면(6012);
노즐(602): 연결부(6021), 연장부(6022).
아래에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한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의 구체적 실시방식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수단 및 유리한 점들을 더 명확히 하기 위해, 아래에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합하고,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진일보 상세한 설명을 한다. 그러나 이해해야 할 것은, 이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 공지의 구조 및 기술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여,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한 불필요한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는 주로 세탁용 드럼(A), 건조한 기류를 생성하는 건조 장치(B), 급수 배수를 실현하는 급수 어셈블리(C)를 포함한다.
드럼(A)은 내부 드럼 및 외부 드럼을 포함하고, 내부 드럼은 일 구동부와 전동 연결되어, 상기 내부 드럼의 회전을 구동시킴으로써, 의류의 세탁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건조 장치(B)는 순차적으로 하기의 기능 모듈, 즉 순환 모듈(10), 제습 모듈(20), 재생 모듈(30)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건조 장치(B)는 응축 모듈(40) 및 여과 어셈블리(60)가 더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순환 모듈(10), 제습 모듈(20), 재생 모듈(30)은 대체적으로 한 평면 내에 설치되어, 건조 장치(B)의 전반적 두께를 가능한 감소시키고,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내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응축 모듈(40)이 설치된 상황 하에서, 응축 모듈(40)도 바람직하게는 제습 모듈(20), 재생 모듈(30)이 위치한 평면 내에 설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공간이 허용하는 상황 하에서, 응축 모듈(40)은 재생 모듈(30)과 한 평면 내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급수 어셈블리(C)는 1개 입수구(C0), 다수개 급수구(예를 들면, 드럼 급수구(C1), 여과망을 청소하도록 구성된 여과망 급수구(C2), 응축기 급수구(C3) 등), 1개 배수구(C4)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수구(C0)는 외부 수원과 연통되고, 외부 수원을 통해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전체에 물을 공급하도록 하고, 드럼 세탁 급수, 여과망 자동 청소 급수, 응축기 응축용 수 등을 포함한다. 배수구(C4)는 외부 공간과 연통되고,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에서 생성된 폐수를 기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아래에 건조 장치(B)의 조성 구조에 대해 구체적인 소개를 진행한다.
순환 모듈(10)은 순환 팬(101), 입풍 통로(102), 순환풍 인터페이스 수단(103)을 포함하고, 세탁기 드럼에서 습한 공기를 흡입하도록 하여, 순환 기류를 형성하고 또한 제습 모듈(20)에 보내고 제습을 진행하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시킴으로써, 이를 건조한 공기로 변화시킨 후, 세탁기 드럼 내부로 다시 되돌아가게 한다. 입풍 통로(102)는 각각 드럼(A) 및 순환 팬(101)과 연통되어,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드럼(A) 내의 습한 공기가 순환 팬(101)으로 진입되도록 한다.
순환 팬(101)은 회전을 통해 순환 기류를 생성하고, 순환풍 인터페이스 수단(103)을 통해 순환 기류를 제습 모듈(20)에 수출하고 제습 작업을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순환 팬(101)은 바람직하게는 수평 방향에서 설치되어, 하방 드럼(A) 중으로부터의 습한 기류를 수평 방향의 순환 기류로 전환시키고, 수평 설치된 제습 모듈(20) 내로 수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순환 팬(101)의 상류에는 여과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제습 모듈(20)에 진입한 솜털과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입풍 통로(102) 중, 또는 세탁기 드럼의 출풍 통로 중에는 모두 여과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다.
순환풍 인터페이스 수단(103)은 순환 팬(101)과 제습 모듈(20) 사이에 설치되고, 양자를 연통하고 또한 양자 사이에 순환 풍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제습 모듈(20)은 제습 회전판(200) 및 출풍 통로(203)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습 모듈(20)은 제습부(201), 재생부(202)를 진일보 포함한다.
제습 회전판(200)은 회전하는 회전판(원판상) 또는 회전링(원환상) 또는 왕복 운동 가능한 평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습 회전판(200)은 수분을 흡수가능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순환 기류 중의 수분을 충분히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순환 기류를 건조한 기류로 변화시키도록 한다.
제습 모듈(20)은 기능에 따라 적어도 제습부(201), 재생부(202) 두개 부분으로 분할되고, 양자는 각각 부채형으로 형성되고, 공동으로 원판 또는 원환상으로 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제습부(201)의 부채형 면적은 재생부(202)의 부채형 면적보다 크므로, 더 많은 구역이 순환 기류 중의 수분을 흡수하게 한다. 당연하게, 제습부(201)와 재생부(202) 사이에 강온 완충부를 더 설치가능하고, 재생부를 경과하여 가열된 회전판 부분에 대해 강온을 진행한 후 제습부에 진입되어, 제습 효율을 진일보 향상시킬 수 있다.
제습부(201)는 순환풍 인터페이스 수단(103)을 통해 순환 팬(101)에 연통되고, 순환 팬(101)에서 수송된 습한 순환 기류를 접수한다. 제습 회전판(200)은 제습부(201) 중에서 순환 기류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순환 기류를 건조하게 변화시키고, 제습 회전판(200) 자체는 수분을 흡수하여 습하게 변화한다.
재생부(202)가 위치한 구역은 바람직하게는 가열 모듈이 설치되고, 가열 건조를 통해 제습 회전판(200) 상의 수분을 제거하여 이를 건조하게 변화시키고, 또한 고온 고습의 기류를 생성한다. 제습 회전판(200)이 제습부(201)에서 대량의 수분을 흡수한 후 재생부(202)로 움직이면, 가열 건조되어 그 중의 수분을 제거시키고, 이로써 제습 회전판(200)은 건조하게 변화하고, 나아가 이가 제습부(201)로 회전되면, 순환 기류 중의 수분을 더 잘 흡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재생부(202)는 제습 회전판(200)의 흡수 기능을 재생 회복하는 능력을 구비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습 회전판(200)은 순환 기류를 통과하게 하고, 이는 제습부(201)에서 순환 팬(101)으로부터 공급된 순환 기류 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재생부(202)로 움직인 후, 제습 회전판(200)의 제습부(201)에서 흡수한 수분을 제거하여, 제습 회전판(200)이 건조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순환 기류 중의 수분을 지속적으로 흡수가능하게 한다.
출풍 통로(203)는 제습 모듈(20)의 외측에 설치되고, 이는 제습 모듈(20)과 드럼(A)을 연통하도록 설치되며, 제습된 후의 건조 순환 기류가 드럼(A)에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드럼(A) 중의 의류를 건조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한 제습부 및/또는 출풍 통로 등 위치에 습도 검측 장치를 설치가능하고, 이러한 위치의 공기 습도를 검측하여 제어 장치에 발송하고, 제어 장치를 통해 순환 팬, 제습 회전판 및/또는 재생 팬의 회전 속도, 풍속을 제어한다.
재생 모듈(30)은 재생 팬(301) 및 가열 모듈(302)을 포함한다. 재생 모듈(30)은 제습 모듈(20)의 재생부(202)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재생부(202)가 위치한 구역의 제습 회전판(200)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제습 회전판(200)을 건조 상태로 회복하도록 하고, 또한 고온 고습의 기류를 생성한다. 나아가, 재생 모듈(30)에서 재생 기류를 생성하여, 해당 재생부(202)에서 생성된 고온 고습 기류는 수송하여 배출시키고, 저습도 기류를 재생부(202)로 수송하여, 재생부(202) 구역 중의 제습 회전판(200)의 수분을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그 흡수 기능을 회복시킨다.
선택적으로, 건조 장치(B)의 재생 모듈(30)의 하류에 응축 모듈(40)이 더 설치되고, 이는 재생 모듈(30)의 재생풍 출구에 연통되고, 재생풍 출구에서 수출된 고온 고습 재생 기류에 대해 응축을 진행하여 저온이고 건조한 기류를 형성하고, 또한 응축 모듈(40)의 출풍구를 통해 대기 중에 배출시킴으로써,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가 위치한 공간의 대기 온도와 습도에 불량한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바람직하게는, 응축 모듈(40)의 출풍구는 재생 모듈(30)의 재생풍 입구에 연통되어, 그 생성된 저온이고 건조한 기류를 재생 팬(301)에 수송하여, 다시 재생 모듈(30)로 진입하게 하여 재생 순환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순환 팬(101)의 입풍 상류 위치에는 여과 어셈블리(60)가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입풍 통로(102) 중에 설치되며, 드럼에서 제습 모듈(20)으로 흐르는 기류 중의 솜털 및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구성되고, 이로써 솜털 또는 이물질이 제습 모듈(20)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제습 회전판(200)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렇지 아니하면, 제습 회전판(200)이 막혀서 제습 효과에 영향을 주고, 나아가, 제습 회전판(200) 상에 접착된 솜털은 회전 과정에서 재생부로 들어가서, 재생부의 가열 모듈로 인해, 이러한 솜털이 쉽게 점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선택적으로, 제습 회전판은 원통형 구조, 즉 제습 원통을 형성할 수도 있고, 상응하게, 회전판 하우징도 원통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순환 모듈과 재생 모듈은 여러가지 설치 방식이 있고, 예를 들면, 순환 모듈과 재생 모듈은 제습 원통의 내외 양측에 각각 설치되거나, 또는 순환 모듈과 재생 모듈은 모두 제습 원통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아래에 순환 모듈과 재생 모듈이 제습 원통의 내외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실시예를 예로 상세히 소개한다.
순환 모듈은 제습 원통 내부에 설치되고, 전체 제습 모듈은 순환 팬 외주에 씌워서 설치되고, 순환 팬의 입풍구는 세탁기 드럼에 연통되고, 제습 원통은 세탁기 드럼에서 공급된 습한 기류에 대해 제습한다. 제습 원통 내벽은 순환 팬에서 공급된 습한 공기를 흡입하고, 제습 원통을 통해 제습 건조한 후, 제습 원통 외벽으로부터 배출시킨다. 상응하게, 재생 모듈은 제습 원통 외주에 설치되고, 제습 원통의 외측 구역에 대해 건조 제습을 진행하여, 그 제습 능력을 재생 회복시킨다. 이때, 제습 원통의 내측 구역은 제습부를 형성하고, 제습 원통의 외측 구역은 재생부를 형성하며, 상응하게, 제습 순환의 순환 경로는: 드럼-순환 팬-제습 원통 내부-제습 원통 외벽이다.
선택적으로, 상기와 반대되는 경로에 따라 순환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즉 순환 모듈은 제습 원통 외주에 설치되고, 재생 모듈은 제습 원통 내부에 설치된다. 상응하게, 제습 순환의 순환 경로는: 드럼-순환 팬-제습 원통 외벽-제습 원통 내부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의 위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건조 장치(B)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세탁 드럼의 상방에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건조 장치(B) 내에는 순환 모듈(10), 제습 모듈(20), 재생 모듈(30) 중의 적어도 두개는 대체적으로 한 평면 내, 즉 드럼 회전축과 평행하는 평면 내에 설치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세탁기의 높이를 최대한 감소시키기 위해, 건조 장치(B)는 수평으로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드럼의 상방에 설치되고, 다시 말하면, 건조 장치(B) 내에서 적어도 순환 모듈(10)의 회전축, 제습 모듈(20)의 회전축, 재생 모듈(30)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되고, 또한 세탁기 상부 하우징 또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드럼의 회전축에 수직이 된다.
이러한 경우,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전반적 높이는 드럼 직경과 드럼 상방에 설치된 제습 모듈(20)(그 하우징을 포함)의 두께에 의해 결정되고, 순환 모듈(10), 재생 모듈(30), 응축 모듈(40) 등은 드럼의 측면상방(드럼은 수평 원기둥형과 비슷하여, 측상방에 더 큰 종방향 공간을 구비하여 순환 팬, 재생 팬, 응축기를 설치할 수 있음)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제습 회전판(200)과 순환 팬(101)의 직경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건조 장치(B)의 대부분 평면 구역을 차지하고, 바람직하게는, 제습 회전판(200)과 순환 팬(101)은 그 회전축과 드럼 회전축이 상이면이 되도록 설치하고 또한 대체적으로 수직이 되거나 또는 협각을 이루게 하며, 또한 드럼 회전축의 양측에 분포된다. 이로써, 건조 장치(B)와 드럼을 연통한 입풍 통로(102), 출풍 통로(203)의 위치와 경로를 더 편리하게 설치하여, 순환풍의 순환 경로를 더 통창하게 하고, 순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 구조 하에, 제습 회전판(200), 순환 팬(101)은 더 합리하게 드럼 상부 공간에 분포되어, 전반적으로 전체 기기 본체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재생 팬(301)의 직경은 순환 팬(101)의 직경보다 작게 설치되고, 순환 팬(101)의 직경은 제습 회전판(200)의 직경보다 작으며, 주로 순환 기류는 보다 높은 유속과 유량을 필요로 하여, 회전판의 흡습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는, 재생 팬(301)은 순환 팬(101)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습 회전판(200)과 각각 드럼 회전축의 양측을 차지할 수 있어,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 내부의 제한된 공간을 충분히 이용하고, 또한 순환풍과 재생풍의 경로 설치와 기류의 통창성에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건조 장치(B)는 수평으로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드럼 상부에 설치되고, 건조 장치의 입풍 통로(102)(또한 즉 드럼의 출풍 통로)는 보다 바람직한 경로로 드럼(A) 출풍구와 순환 팬(101) 입풍구를 연통시킴으로써,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 드럼(A) 내의 습한 공기를 더 순조롭고, 쾌속적으로 순환 팬(101)으로 진입시키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출풍 통로(203)는 보다 바람직한 경로로 제습 모듈(20) 출풍구와 드럼(A) 입풍구를 연통시킴으로써, 제습된 후의 건조 순환 기류를 더 순조롭고, 쾌속적으로 드럼(A)으로 진입시키도록 하여, 드럼(A) 중의 의류를 건조한다.
도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건조 장치의 입풍 통로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장치의 입풍 통로(102)는 드럼 좌측후방에 설치되고, 기타 각 수단은 상기한 바와 같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건조 장치의 입풍 통로(102)는 또한 드럼 우측후방에 설치되 수도 있고, 도3b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이러한 경우, 건조 장치의 기타 수단의 위치도 상응하게 변화하고, 예를 들면, 입풍 통로(102)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순환 팬의 위치도 상응하게 드럼 우측후방상부에 설치되어, 입풍 통로(102)와 연통되도록 하고; 동시에 전체 기기의 입수 관로의 계획 설치를 단순화하고, 예를 들면, 여과망 자동 청소 수로는 도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을 가로지르지 않아도 된다.
도4는 본 발명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다른 일 실시예의 건조 장치의 위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건조 장치(B)가 위치한 평면은 수직이 되게 드럼 후부에 설치되고, 또한 드럼 회전축과 대체적으로 수직이 된다. 이러한 경우, 건조 장치(B) 내의 각 모듈, 즉 순환 모듈(10), 제습 모듈(20), 재생 모듈(30), 응축 모듈(40)은 바람직하게 드럼 회전축과 대체적으로 수직이 되는 평면 내에 설치된다. 나아가, 제습 회전판(200)과 순환 팬(101)은 그 회전축과 드럼 회전축이 평행되게 설치되고, 또한 드럼 회전축의 양측에 분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재생 팬(301)은 순환 팬(101)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습 회전판(200)과 각각 드럼 회전축의 양측을 차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건조 장치(B)의 입풍 통로(102)는 드럼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드럼 상부의 출풍구와 순환 팬(101)의 입풍구를 연통시킨다. 출풍 통로(203)는 드럼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제습 모듈(20) 출풍구와 드럼 전단의 입풍구를 연통시킨다.
도5는 본 발명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건조 장치의 위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건조 장치(B)는 드럼(A)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 건조 장치(B) 내의 순환 모듈(10), 제습 모듈(20), 재생 모듈(30), 응축 모듈(40)은 바람직하게는 드럼 회전축과 평행되는 평면 내에 설치된다. 나아가, 제습 회전판(200)과 순환 팬(101)은 그 회전축과 드럼 회전축이 대체적으로 수직이 되거나 또는 일 협각을 이루게 설치되고, 또한 드럼 회전축의 양측에 분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재생 팬(301)은 순환 팬(101)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습 회전판(200)과 각각 드럼 회전축의 양측을 차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건조 장치(B)의 입풍 통로(102)는 순차적으로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밑부, 후부 및/또는 상부를 따라 연장되고 또한 드럼의 출풍구와 순환 팬(101)의 입풍구를 연통한다. 출풍 통로(203)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후부를 따라 연장되고 또한 제습 모듈(20)의 출풍구와 드럼의 입풍구를 연통한다.
아래에 본 발명의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B)의 패키지 하우징 구조를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 실시예의 건조 장치의 패키지 하우징의 하부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전체 건조 장치(B)의 패키지 하우징(50)은 하부 하우징 및 상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 하우징 상에는 제습 회전판(200)을 설치하도록 구성된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순환 팬(101)을 설치하도록 구성된 순환 하부 하우징(502), 응축기(401)를 설치하도록 구성된 응축 하부 하우징(503), 재생 팬(301)을 설치하도록 구성된 재생 하부 하우징(504)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하우징 수단은 하나의 전체 하부 하우징으로 일체 성형될 수 있고, 또한 분립된 다수개 수단 하우징일 수도 있다.
상부 하우징은 분립되어 설치된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순환 상부 하우징(506), 응축 상부 하우징(507) 등을 포함한다. 아래에 이러한 하우징 수단을 상세히 소개한다.
도6은 본 발명 실시예의 건조 장치의 패키지 하우징의 하부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체적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건조 장치(B)의 각 하부 하우징 수단은 하나의 전체 하부 하우징으로 일체 성형되고, 해당 하부 하우징과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외부 하우징 둘레와 대응하는 위치 상에는 상응하게 한개 또는 다수개 설치부(509)가 설치되고, 전체 건조 장치(B)를 세탁기 프레임 상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건조 장치의 일체화 하부 하우징은 각각 회전판 설치 구역(501'), 순환 설치 구역(502'), 응축 설치 구역(503') 및 재생 설치 구역(504')이 설치된다. 여기서, 순환 팬은 팬 임펠러 및 각각 임펠러와 모터를 둘러싸서 설치된 순환 상부 하우징(506), 및 순환 설치 구역(502')을 포함한다. 재생 팬(301)은 일체형 팬이고, 이러한 경우, 건조 장치의 하우징 상에 설치 공간을 남겨 두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해당 실시예에서, 건조 장치는 일체화 하부 하우징을 구비하고, 전체 건조 장치는 하부 하우징 및/또는 상부 하우징 상의 설치부(509)를 통해 세탁기 외부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드럼 출기 통로와 입기 통로가 건조 장치와 연통된 부분에는 유연성 파형관이 설치되어, 드럼 진동이 건조 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건조 장치(B)의 각 어셈블리는 별도 조립 방식을 이용하고, 이러한 경우, 건조 장치(B)의 하부 하우징은 별도로 형성된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순환 하부 하우징(502), 응축 하부 하우징(503), 재생 하부 하우징(504) 등 다수개 수단 하우징을 포함하고, 즉 건조 장치는 상기 각 하우징의 조립을 통해 형성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어셈블리 하우징은 드럼의 외부 터브 본체 상에 고정으로 견고하게 연결되고, 세탁, 건조 과정에서 드럼의 운동에 따라 진동을 한다. 이러한 경우, 제습 회전판은 취약성을 가짐으로써, 진동은 제습 회전판에 영향을 조성할 수 있고, 또한 건조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수단에 대해 손상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건조 장치(B)의 각 어셈블리는 별도 조립 방식을 이용하고, 나아가,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은 세탁기 프레임 상에 고정으로 견고하게 연결되고, 기타 어셈블리 하우징(순환 하부 하우징(502), 응축 하부 하우징(503), 재생 하부 하우징(504) 등)은 별도 또는 일체 성형으로 드럼 외부 터브에 고정으로 견고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선택 가능하게 세탁기 프레임 상에 연결된다.
이렇게 설치된 유리한 점은, 드럼 진동이 기타 어셈블리에 조성하는 영향은 제습 회전판보다 작으므로, 효과적으로 제습 회전판의 손상을 방지하고, 동시에 건조 장치 하부 하우징을 일체화 성형하는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경우, 제습 모듈(20)의 입풍구(회전판 하부 하우징(501)과 순환 모듈(10)의 인터페이스 위치)와 출풍구(회전판 상부 하우징(505)과 세탁기 드럼의 인터페이스 위치에서, 출풍 통로(203)와 연통)의 연결 위치에는 바람직하게는 유연성 연결(예를 들면, 파형 연질관)을 형성하여, 드럼의 진동을 기타 어셈블리를 통해 제습 회전판에 전달하는 것을 진일보 방지하여, 그 진동에 의한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재생 모듈(30) 중의 가열 모듈(302)과 연통된 재생풍 출구 연결 수단(3014)과 재생풍 출구(3012)도 유연성 연결(예를 들면, 파형 연질관)로 설치하고, 다시 말하면, 제습 회전판 하우징과 모든 진동을 생성하는 어셈블리 사이의 관로는 모두 유연성 연결을 이용하여, 진동의 전달을 격리시키고, 진동이 제습 회전판에 대한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 실시예의 건조 장치의 패키지 하우징의 상부 하우징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건조 장치(B)의 상부 하우징은 분립인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순환 상부 하우징(506), 응축 상부 하우징(507) 등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의 내부에는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5-3)이 설치되고,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중에서 제습 회전판을 적어도 제습부(201), 재생부(202)의 두개 구역으로 구획리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재생부(202)의 면적은 제습부(201)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건조 장치는 주로 세탁기 프레임, 세탁기 드럼의 두개 수단을 통해, 건조 장치와 세탁기 본체의 연결과 고정을 실현한다. 아래에 본 발명의 건조 장치와 세탁기의 연결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의 건조 장치와 세탁기 프레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아래에, 건조 장치를 세탁기 정상부에 설치한 실시예를 예로 해당 연결 구조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해당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건조 장치는 일체형 모듈의 방식으로 세탁기 프레임 정상부에 설치되고, 건조 장치의 상부 하우징, 하부 하우징을 통해 연장된 설치부(509)는 세탁기 케이스 상의 정상부 앞프레임, 좌우 프레임 및 뒷케이스 상에 고정되고, 전반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동시에 선로와 관로 배치에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건조 장치의 설치부(509), 바람직하게는 건조 장치의 하부 하우징 및/또는 상부 하우징 변두리 위치에 다수개 겹침접합부(또는 고리)를 형성하여 설치 고정을 편리하게 하고, 세탁기 프레임 상에 겹침접합하여 잠금 고정시키고, 이로써 전반 건조 장치의 설치 고정을 실현할 수 있다.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 프레임 정상부의 4개 프레임변(1)이 대응하는 위치에는 적어도 한개 설치부(509)가 각각 설치되고, 이러한 설치부(509)는 일체 성형으로 건조 장치 하부 하우징 및/또는 상부 하우징 상에 형성되어, 적합한 방식으로 세탁기 프레임 상에 겹침접합되어 조임 설치되고, 이로써 전체 건조 장치의 설치 고정을 실현하고, 이와 드럼의 외부 드럼이 강성 연결을 직접 생성하지 않게 하여, 드럼이 작업 과정에서 진동을 건조 장치, 특히 제습 회전판(200)으로 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9 및 도15는 본 발명의 건조 모듈과 세탁기 드럼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장치의 하부 하우징과 세탁기 드럼 사이의 연결부는 유연성 연결, 예를 들면 파형 연질관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드럼의 진동이 경질의 출풍 통로(203)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진동이 전체 건조 모듈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순환 모듈(10)의 입풍 통로(102)는 드럼(A) 및 순환 팬(101)과 각각 연통되어,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드럼(A) 내의 습한 공기가 순환 팬(101)으로 진입하는데 편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해당 입풍 통로(102)와 세탁기 드럼 사이도 유연성 연결, 예를 들면 파형 연질관을 이용하여, 드럼의 진동이 경질의 입풍 통로(102)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진동이 전체 건조 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15를 참조하면 된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상기 본 발명 실시예 중의 건조 장치와 세탁기 프레임, 세탁기 드럼과의 연결 구조는 건조 장치의 하부 하우징의 일체 성형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건조 장치의 하부 하우징 별도 조립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조 장치의 위치는 여러가지 설치 방식을 구비하고, 예를 들면, 각각 세탁기 드럼의 상부, 후부 및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응하게는, 건조 장치의 입풍 통로(102)도 다수개 위치, 예를 들면, 세탁기 드럼의 좌측후방, 우측후방, 상부, 앞측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건조 장치의 입풍 통로(102)는 세탁기 드럼의 앞측(즉 세탁기 드럼의 개구 일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세탁기 드럼의 앞측을 경유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드럼 좌측후방에서 드럼의 좌측전방으로 연장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변형된 구조 디자인을 진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입풍 통로(102)의 세탁기 드럼 앞측에 있는 위치에 전치 여과망을 설치하여, 세탁기의 전면 패널로부터 수동적으로 여과망을 꺼내는데 편리하다. 수동적으로 여과망을 꺼내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수단은 여과망이 설치된 여과망 박스를 세탁기의 전면 패널의 어느 한 부위에 설치하고, 따라서 상기 건조 장치의 입풍 통로(102)(또한 즉 드럼 출풍 도관)는 실제상 여과망 박스에 의해 절단되고, 입풍 통로(102)의 적어도 일부분(해당 부분은 개구성이고, 도관벽은 여과망 박스와 매칭하여 밀봉적으로 서로 연결됨)은 세탁기 본체의 전면 패널에 접근하여, 수동적으로 여과망을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재생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10a는 재생 모듈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10b는 재생 모듈의 분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 및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조 장치 중의 재생 모듈(30)은 재생 팬(301) 및 가열 모듈(302)을 포함한다.
재생 팬(301)은 건조한 재생 기류를 가열 모듈(302)에 수송하고, 또한 제습 회전판(200)의 재생부(202)에서 생성된 고온이고 습한 기류를 가져가서 배출시킨다. 재생 팬(301)의 입풍구는 즉 재생풍 입구(3011)는 선택적으로 대기에 연통되어, 대기 중의 건조 공기를 재생 팬(301)에 진입시켜서, 재생 기류를 생성한다. 재생 팬(301)의 출풍구(미도시)는 가열 모듈(302)에 연통되고, 재생 기류는 가열 모듈(302)을 통해 가열된 후, 고온이고 건조한 재생 기류로 변화하여, 가열 모듈(302)에 인접한 제습 회전판 재생부(202)에 대해 제습 탈수 작업을 더 훌륭하게 진행할 수 있다.
재생 모듈(30)에는 재생풍 입구(3011)와 재생풍 출구(3012)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재생풍 입구(3011)는 건조한 공기원, 예를 들면 대기와 연통되고, 재생 팬(301)에 건조한 공기를 진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재생풍 출구(3012)는 대기 또는 응축 모듈(40)과 연통되고, 재생부(202) 구역에서 생성된 고온 고습 재생 기류를 대기 또는 응축 모듈(40) 중에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재생풍 출구(3012)는 제습 회전판(200)의 재생부(202) 구역의 하우징 상에 설치된다.
일 구체적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재생 모듈(30)은 재생풍 출구 연결 수단(3014)을 더 포함하고, 재생 팬(301)과 가열 모듈(302)을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그 일 포트는 재생팬(301)의 출풍구와 밀봉되게 연통되고, 다른 일 포트는 가열 모듈(302)와 밀봉되게 연통되며, 또한 가열 모듈(302)의 부채형면과 매칭하는 개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열 모듈(302)은 재생 팬(301)의 하류 위치에 설치되고, 재생 팬(301)에서 생성된 재생 기류에 대해 가열 승온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가열 모듈(302)은 재생부(202)가 위치한 구역에 설치되고, 나아가 재생부(202) 구역의 제습 회전판(200)에 대해 가열 건조를 진행하고, 제습 회전판(200)에서 흡수한 수분을 고온이고 습한 기류로 가열 증발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재생 팬(301)의 상류 위치에 하나의 예비 가열 모듈(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고, 재생 팬(301)에 진입한 재생풍을 일정한 온도로 예비 가열시킬 수 있고, 해당 예열된 재생풍을 재생 팬(301)을 통해 가열 모듈(302)에 진입시킨 후, 예정 온도로 더 빠른 속도로 가열하여, 재생부의 제습 회전판에 대한 재생 회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10 내지 도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재생풍 입구 연결 수단(3013)-재생 팬(301)-재생풍 출구 연결 수단(3014)-가열 모듈(302)-응축기(401)를 통해 재생 순환을 구성하고, 재생풍은 해당 재생 순환 시스템 중에서 유동하고, 건조하고 저온인 기류를 지속적으로 부단히 재생부(202)에 진입시키고, 가열 모듈(302)이 재생부(202)를 가열하여 생성된 고온 고습 기류를 가져가서 체환시키고, 대기 또는 응축기(401)로 수송하여, 다시 저온이고 건조한 기류로 전환시킴으로써, 재생부(202)의 제습 기능을 재생 회복시켜서, 제습 회전판(200)에 대해 지속적이고 부단히 제습을 진행할 수 있다.
재생 모듈(30) 중의 재생 기류의 순환 경로는 폐환 순환 또는 개방 순환일 수 있고, 각각 부동한 연결 구조에 대응하고,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도10을 참조하면, 개방 순환의 실시예에서, 재생풍 입구(3011)와 재생풍 출구(3012)는 모두 대기로 연통되고, 이러한 경우, 재생 기류의 순환 경로는: 대기(건조)-재생풍 입구(3011)-재생 팬(301)-재생 팬(301) 출풍구-가열 모듈(302)(고온)-재생부(202)(고온 고습)-재생풍 출구(3012)-대기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재생풍 출구(3012)의 하류에는 응축 모듈(40)이 더 설치되고, 또한 응축 모듈(40)의 입풍구에 연통된다. 이때, 응축 모듈(40)은 재생풍 출구(3012)에서 수출된 고온 고습의 재생 기류에 대해 응축을 진행하도록 구성되어, 저온이고 건조한 기류를 형성하고, 또한 응축 모듈(40)의 출풍구를 통해 대기 중에 배출시킴으로써,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가 위치한 공간의 대기 온도와 습도에 대해 불량한 영향을 조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응축 모듈(40) 중의 고온 고습의 재생 기류 중에서 응축 생성된 냉각수는 응축 모듈(40)의 응축수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도11은 본 발명의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재생 모듈의 폐환 재생 순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폐환 순환의 실시예에서, 재생풍 출구(3012)의 하류에는 응축 모듈(40)이 설치되고, 또한 응축 모듈(40)의 입풍구에 연통되며, 응축 모듈(40)의 출풍구는 재생풍 입구(3011)에 연통된다. 이러한 경우, 재생 기류의 순환 경로는: 응축 모듈(40) 출풍구(저온 건조)-재생풍 입구(3011)-재생 팬(301)-재생 팬(301) 출풍구-가열 모듈(302)(고온)-재생부(202)(고온 고습)-재생풍 출구(3012)-응축 모듈(40) 입풍구-응축 모듈(40)(저온 건조)이고, 마지막으로 재생 팬의 입풍구, 또한 즉 재생풍 입구(3011)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응축 모듈(40)은 재생풍 출구(3012)에서 수출된 고온 고습의 재생 기류에 대해 응축을 진행하도록 구성되고, 이로써 저온이고 건조한 기류를 형성한다. 응축 모듈(40) 중의 고온 고습의 재생 기류 중에서 응축 생성된 응축수는 응축 모듈(40)의 응축수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도1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재생풍 입구 연결 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여기서, 도12a는 재생풍 입구 연결 수단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12b는 재생풍 입구 연결 수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재생 팬(301) 입풍구는 또한 즉 재생 모듈(30)의 재생풍 입구(3011)이다. 재생풍 입구 연결 수단(3013)은 두개 포트가 통풍되는 풍도 수단을 형성하고, 수평 방향으로 개구되는 수평 포트(3013-3)와 수직 방향으로 개구되는 수직 포트(3013-4)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재생풍 입구 연결 수단(3013)은 전반적으로 수평 개구로부터 수직 개구로 과도되는 완곡 형상을 형성하여, 더 콤팩트하고, 밀봉성이 더 훌륭하게 응축 모듈(40)과 재생 팬(301)을 연통하고, 또한 기류에 대해 방향 전환하도록 한다.
여기서, 수평 포트(3013-3)는 재생 팬(301)(재생풍 입구(3011)에 연결)을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수평 방향의 원형과 비슷한 개구를 형성하여, 수직 방향에서 수평 설치된 재생 팬(301)을 연통시킨다. 수직 포트(3013-4)는 응축기(401)를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재생 팬(301)을 대기 또는 응축 모듈(40)로부터 저온이고 건조한 기류를 흡입하도록 구성되어, 재생풍의 강온 강습을 실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포트(3013-4)는 수직 방향의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인 개구를 형성하고, 이로써 수평 방향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응축기(401)의 출풍구를 연통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재생풍 입구 연결 수단(3013)은 일체 형성되고, 선택 가능하게, 도1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2개 부품(3013-1, 3013-2)으로 형성되고, 각각 가공 완료된 후, 용접 공법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경우, 상부의 부품(3013-1)은 응축 모듈(40)의 외부 하우징을 연통시키고, 하부의 부품(3013-2)은 건조 장치의 하부 하우징의 응축 설치 구역(503')을 연통시킨다.
재생풍 입구 연결 수단(3013)은 특정된 외형을 이용하고, 제조 가능한 전제 하에서 풍도의 흐름 및 밀봉을 실현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도1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재생풍 출구 연결 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여기서, 도13a는 재생풍 출구 연결 수단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13b는 재생풍 출구 연결 수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재생 팬(301) 출풍구에는 재생풍 출구 연결 수단(3014)이 설치되고, 해당 연결 수단(3014)을 통해 제습 모듈(20)의 재생부(202)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재생풍 출구 연결 수단(3014)은 수평 방향으로 2개 포트가 통풍되는 풍도 수단을 형성하고, 또한 재생 팬(301) 및 제습 모듈(20)과 동일한 평면 내에 설치되어, 공간을 더 작게 차지하고, 이로써 재생 팬(301)과 재생부(202)를 더 긴밀이 연결하도록 한다.
재생풍 출구 연결 수단(3014)은 바람직하게는 수평 방향으로 통풍되는 2개 포트가 설치되고, 전반적 형상은 비교적 작은 포트에서 점차적으로 비교적 큰 포트로 확장되어 나팔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비교적 작은 포트(3014-3)는 재생 팬(301)(출풍구)과 밀봉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비교적 큰 포트(3014-4)는 재생부(202)와 밀봉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큰 포트(3014-4)의 개구 형상과 재생부(202)의 외형은 서로 매칭되어, 양자의 밀봉 연통을 실현한다. 예를 들면, 재생부(202)의 외형이 원호형으로 형성된 실시예 중에서, 비교적 큰 포트(3014-4)도 재생부(202)와 매칭이 되게 원호형 개구를 형성한다.
이로써, 밀봉 연통된 재생풍 출구 연결 수단(3014)을 통해, 재생 팬(301)은 저온이고 건조한 기류를 재생부(202)(가열 모듈(302)이 위치한 구역)로 수출하고, 재생부(202)에서 생성된 고온 고습 기류를 가져가고 및 체환하여, 재생부(202)의 강온 강습을 실현하고, 재생부(202)의 제습 기능을 재생 회복시킨다. 재생부(202)에서 생성된 고온 고습 기류는 재생풍 출구(3012)를 경유하여 대기 또는 응축기(401) 중에 수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재생풍 출구 연결 수단(301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도1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두개 부품(3014-1, 3014-2)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 가공 완성된 후, 용접 공법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경우, 상부의 부품(3014-1)은 재생부(202)의 상부 하우징에 연통되고, 하부 부품(3014-2)은 건조 장치 하부 하우징의 회전판 설치 구역(501')에 연통된다.
재생풍 출구 연결 수단(3014)은 특정된 외형을 이용하여 제조성을 보장하는 전제 하에서, 풍도 배향의 조정, 압력 확산 및 밀봉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아래에 본 발명의 건조 장치 중의 순환 모듈(10)의 구조 및 기능을 소개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 모듈(10)은 순환 팬(101), 입풍 통로(102), 순환풍 인터페이스 수단(103), 순환 하부 하우징(502)(또는 건조 장치 하부 하우징의 순환 설치 구역(502')), 순환 상부 하우징(506)을 포함한다. 순환 모듈(10)은 세탁기 드럼으로부터 습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순환풍을 형성하고, 또한 제습 모듈(20)에 수출하고 제습을 진행하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여, 이를 건조 공기로 변화시킨 후 세탁기 드럼 내로 되돌아가게 한다.
순환 팬(101)은 회전을 통해 순환 기류를 생성하고, 순환풍 인터페이스 수단(103)은 순환 기류를 수출하여 제습 모듈(20)에 보내고 제습 작업을 진행한다. 건조 장치가 수평 설치된 실시예에서, 순환 팬(101)은 바람직하게는 제습 모듈(20)과 대체적으로 한 평면 내에 설치되고, 나아가 입풍 통로(102)는 대체적으로 해당 평면에 수직이 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이로써 드럼 방향에서 공급된 습한 기류를 제습 모듈(20)의 평면 내에서 회전하는 순환 기류로 변화시킴으로써, 제습 모듈(20) 내로 수송시킨다.
입풍 통로(102)는 각각 드럼(A)과 순환 팬(101)에 연통되어,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드럼(A) 내의 습한 공기를 순환 팬(101)에 진입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순환 모듈(10)이 드럼(A) 상방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입풍 통로(102)는 대략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드럼(A) 내의 습한 공기를 아래에서 위로 순환 팬(101) 내에 진입하게 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입풍 통로(102)는 유연성 도관, 예를 들면 파형 연질관을 이용하여 세탁기 드럼에 연결하고, 이로써, 세탁기 드럼의 진동이 건조 장치에 전달되어, 건조 장치의 진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도15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순환풍 인터페이스 수단(103)은 순환 팬(101)과 제습 모듈(20) 사이에 설치되고, 양자를 연통하고 또한 양자 사이에 순환 풍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순환풍 인터페이스 수단(103)은 2개 포트를 형성하고, 여기서 일 포트는 순환 팬(101)의 출풍구에 연통되고, 다른 일 포트는 제습 회전판(200)에 연통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습 회전판(200)에 연통되는 포트는 제습 회전판(200)에 연통되는 원판과 외형이 서로 매칭되고, 제습 회전판(200)의 하부 또는 상부에 연통되게 설계하여, 이로써, 순환 팬(101)에서 수출된 순환풍은 제습 회전판(200)의 하부 또는 상부로부터 진입되고, 또한 회전판(200)을 경과하여 제습 회전판(200)의 상부 또는 하부로 흐르고, 나아가 제습 회전판(200)의 내부의 제습부(201)에서 순환 유동하여, 제습부(201)가 순환풍 중의 수분을 흡수하게 한다.
아래에 순환 팬(101)의 구조 어셈블리를 소개한다.
도14는 본 발명 건조 모듈의 순환 모듈의 상부 하우징 어셈블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14a는 상부 하우징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14b는 상부 하우징 어셈블리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 팬(101)은 모터(1011) 및 임펠러(1012)를 포함한다.
순환 상부 하우징(506)은 볼류트 형상을 형성하고, 볼류트 형상은 도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볼류트의 윗면에는 라인 고정 걸림부 및 관로 고정 걸림부를 구비한다. 볼류트는 외관이 독특하여, 유체 설계 요구를 만족하고, 순환 풍도로서 제습 모듈(20)에 적당한 풍량과 풍속을 제공하고 또한 기류 가이드를 진행할 수 있다.
모터(1011)는 임펠러(1012)를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순환풍을 생성한다. 모터(1011)는 예를 들면 나사 등 고정 방식을 통해 순환 상부 하우징(506) 상에 고정된다. 임펠러(1012)는 다수개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원환상을 형성하고, 모터의 구동 하에 고속 회전되는 순환풍을 생성한다.
도15는 본 발명 건조 모듈의 순환 모듈의 하부 하우징 어셈블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 모듈 하부 하우징 어셈블리는 순환 하부 하우징(502)으로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순환 설치 구역(502')을 구비하는 건조 장치 하부 하우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순환 상부 하우징(506)과 순환 모듈 하부 하우징 어셈블리는 밀봉 스트립(도14, 순환 팬 밀봉 스트립(104))과 나사를 이용하여 밀봉 고정되고, 이때, 순환 모듈 하부 하우징 어셈블리에는 상응하는 홈이 설치되어 밀봉 스트립을 고정시킨다.
도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 모듈 하부 하우징 어셈블리와 드럼 사이는 유연성 연결, 예를 들면 파형관을 이용하여, 드럼의 진동이 경질의 입풍 통로((102)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전체 건조 장치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5는 하나의 설치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당연하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입풍 통로(102)에 위치하는 파형관(1021)은 위치 확정 핀을 통해 압판(1022) 상에 고정되고, 나사를 통해 압판을 고정하여 파형관의 고정을 실현하고, 파형관은 순환 팬 하우징과 드럼의 유연성 연결을 형성한다.
도1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순환 모듈의 제습 순환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6a, 도16b를 참조하면, 순환 모듈(10)과 제습 모듈(20)은 공동으로 제습 순환을 형성하고, 순환풍의 흐름은 도16b 중의 화살표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 기류는 드럼 내에서 드럼 출풍 통로(여과망이 내장됨)를 경유하여 파형 연질관에 진입하고(화살표(1)), 순환 팬 입풍구(입풍 통로(102))를 경유하여, 순환 팬 출풍구에서 제습 회전판(200) 하측으로 흐르고(화살표(2)), 제습 회전판(200) 하측에서 제습 회전판(200)을 통과하여 그 상측에 도달하고(화살표3), 제습 회전판(200) 상측 공간에서 유동하여(화살표(4)), 출풍 통로(203)에 도달한 후(화살표(5)), 출풍 통로(203)의 연결 수단을 통과하여 드럼에 순환 진입한다(화살표6). 상기는 단지 한가지 기류 예시이고, 실제상에서, 기류는 순환 팬 입풍구를 경과하고 순환 팬 출풍구를 거쳐 제습 회전판 상측으로 흐르고, 상측으로부터 아래로 제습 회전판을 통과하여 하측에 도달하고, 하측 공간에서 유동하여 출풍 통로에 흐르고, 마지막으로드럼으로 순환된다.
도17은 본 발명의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급수 어셈블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에 본 발명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급수 어셈블리(C)를 진일보 소개하고,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급수 어셈블리(C)는 1개 입수구(C0), 다수개 급수구(예를 들면, 드럼 급수구(C1), 여과망 급수구(C2), 응축기 급수구(C3) 등), 1개 배수구(C4)를 포함한다.
입수구(C0)는 외부 수원에 연통되고, 외부 수원을 통해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로 급수하도록 구성되며, 드럼 세탁 급수, 여과망 자동 청소 급수, 응축기 응축용수 등을 포함한다. 배수구(C4)와 외부 공간은 연통되고,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에서 생성된 폐수를 기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급수 어셈블리(C)의 1개 입수구(C0)는 수돗물관에 연결되고, 해당 입수구(C0)는 각각 3개 급수구(C1, C2, C3)에 연통되며, 여기서, 세탁기 드럼 및/또는 청소액 박스에 급수하도록 구성된 드럼 급수구(C1); 여과망 자동 청소 분수관에 급수하도록 구성된 여과망 급수구(C2); 응축기에 저온수를 제공하여, 건조 장치의 재생 순환에 응축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응축기 급수구(C3)를 포함한다.
상기는 단지 본 발명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급수구를 더 적게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급수 구조 및 기능을 단순화키고 합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응축기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응축기 급수구(C3)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는 여과망 자동 청소 급수와 응축기 급수가 모두 건조 장치의 기능 어셈블리에 속하는 것을 고려하여, 양자의 급수구를 한개 급수구로 합병시켜, 구조의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기타 상황 하에서, 또한 3개보다 더 많은 급수구를 설치하여, 더 많은 청소 또는 냉각 기능을 실현할 수 있고,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상기 급수 어셈블리(C) 중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스위치가 설치되고, 각각 다수개 급수구의 개폐를 제어하여, 언제 드럼으로, 언제 청소액 박스로 급수하는지, 언제 응축용수 또는 여과망 청소용수를 공급하는 지에 대한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도18은 본 발명 세탁기의 건조 모듈의 입풍 통로의 연결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장치의 입풍 통로(102)는 순환 팬(101)과 드럼(A) 사이에 연통되고, 순환 팬의 작용 하에서, 드럼 내의 습한 공기를 제습 회전판(200)의 제습부(201)에 인입하여 제습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순환 팬(101)의 입풍 상류 위치에는 여과 어셈블리(60)가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입풍 통로(102) 중에 설치되며, 드럼으로부터 제습 모듈(20)로 흐르는 공기 중의 솜털과 이물질을 여과시키도록 구성되어, 솜털 또는 이물질이 제습 모듈(20)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제습 회전판(200)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렇지 아니하면 제습 회전판(200)이 막혀서 제습 효과에 영향을 주고, 나아가, 제습 회전판(200) 상에 접착된 솜털이 회전 과정에서 재생부로 들어가서, 재생부의 가열 모듈로 인해, 이러한 솜털이 쉽게 점화될 수 있다.
아래에 여과 어셈블리(60)의 내부 구조에 대해 상세히 소개한다.
도19는 본 발명 여과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 어셈블리(60)는 여과망(601), 적어도 1개 청소 노즐(602) 및 노즐 급수관(603)을 포함하고, 입풍 통로(102) 내에서 입풍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이로써 세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우선 여과망(601)을 경과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솜털과 이물질을 여과시킨다. 또한, 청소 노즐(602)은 청소용수를 분사하여 여과망(601)에 대해 청소를 진행하도록 구성되고, 여과망(601)에 접착된 솜털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그 여과 능력을 회복하고, 드럼에서 공급된 기류에 대해 지속적으로 여과를 진행한다. 노즐 급수관(603)은 여과망 급수구(C2)에 연통되어, 청소 노즐(602)에 외부 수원 래원인 청소용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여과 어셈블리(60)에는 청소용수 유로(미도시)가 더 설치된다. 청소용수 유로는 바람직하게는 여과망(601)의 비여과면(6012)의 일측에 설치되고, 또한 세탁기 배수구(C4)에 연통된다. 이로써, 자동 청소 수류는 노즐 급수관(603)에서 노즐에 도달한 후, 여과망의 여과면(6011)에 대해 헹굼을 진행하여 여과망 상에 부착된 솜털과 이물질을 씻어내고, 자동 청소 수류는 여과망을 헹군 후, 세탁기 배수구(C4)로 흐르고 기기 본체 외부로 배출된다. 선택적으로, 청소용수 유로는 독립적으로 1개 배수구(C5)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자동 청소 수류가 독립적으로 세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데 편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청소 노즐(602)은 노즐 급수관(603)으로부터 여과망(601)으로 점점 평판상으로 변화하도록 설치되고, 상응하게는, 여과망(601)의 너비는 기본상에서 입풍 통로(102)의 전체 너비를 커버하여, 여과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청소 수류가 여과망(601)의 전체 너비를 커버하게 하여, 여과망(601)의 자동 청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여과망(601)은 입풍 통로(102) 내에서 경사지게 연장된 형상을 이루고, 이러한 형상은 일 측면에서 공기의 여과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여과 면적이 비교적 작은 경우 막힘이 생기기만 하면 즉시 기류의 통과 효율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일 측면에서, 여과망 자동 청소 과정에서, 만약 청소가 청결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 해도, 후속적인 기류 통과 효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여과망(601)의 경사 각도는 입풍 통로(102)의 내벽을 상대로 0~80°, 바람직하게는 5~45° 범위 내에서 설치하고, 여과망 자동 청소의 헹굼 면적은 상응하게 보다 커서, 솜털 등이 여과망 중에 삽입되어 씻어내기 힘든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19에서 보다시피, 드럼에서 공급된 습한 기류는 우선 여과망의 일면(여과면으로 정의하고, 솜털 등을 막아냄)을 경과하고, 여과망을 통과한 후 계속하여 상부로 유동하여 제습 회전판(200)의 제습부(201)에 도달한다. 자동 청소 수류는 노즐 급수관(603)에서 나와서 청소 노즐(602)을 통해 분사되고, 여과망(601)의 여과면에 대해 헹굼을 진행하여 그 위에 부착된 솜털 등을 씻어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청소 노즐(602)은 여과망의 비여과면(6012)에 설치되고, 자동 청소 과정에서, 노즐(602)은 기류의 흐름방향의 역방향을 따라 여과망에 일정한 유속을 가지는 수류를 분출가능하여, 여과망에 대해 일정한 충격력의 수류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망의 비여과면(6012)으로부터 여과망을 향해 분수하여, 여과망 상에 부착된 솜털을 씻어낸다.
도19에서, 화살표(1)는 여과망 자동 청소 수류의 방향이고, 화살표(2)는 드럼에서 공급되는 습한 기류의 흐름 방향이다. 여기서, 청소 노즐(602)은 입풍 방향의 역방향으로 설치되고, 이로써 그 분출된 자동 청소 수류를 입풍 방향의 역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고, 여과망(601) 상의 솜털 또는 이물질을 완전히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해당 실시예에서 자동 청소 수류는 입풍 방향의 역방향이고, 즉 여과망의 여과면(6011)을 따른 방향이거나, 여과망의 비여과면(6012)을 따른 방향일 수도 있고, 여과면을 씻어낼 때, 수류 유속과 유량은 상대적으로 보다 작을 수 있고, 비여과면(6012)을 씻어낼 때, 수류 유속과 유량은 상대적으로 보다 클 수 있으며, 또한 수류 흐름 방향은 여과망의 연장면과 예를 들면 40~90°의 협각을 이루고, 이로써 여과망 여과공에 삽입된 솜털을 씻어내는데 유리하다.
도20은 본 발명 여과 어셈블리의 노즐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0을 참조하면, 청소 노즐(602)은 노즐 급수관(603)과 연결된 연결부(6021)와 오리부리형 연장부(60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부(6021)는 노즐 급수관(603)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연장부(6022)는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높이 방향으로 점점 작아지고, 너비 방향으로 점점 커지며, 아래로 평판 형상과 비슷한 수류를 형성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청소 노즐(602)의 연장부(6022)(출수구)의 너비는 여과망의 너비보다 크거나 같고 또는 약간 작으며(예를 들면, 90%의 너비), 이로써 가능한 전면적으로 여과망을 청소할 수 있다.
도21은 본 발명 여과 어셈블리의 노즐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망(601)은 입풍 통로(102)를 따라 경사지게 설치되고, 입풍 방향의 역방향 일면은 여과면(6011)이고, 즉 드럼에서 공급된 공기 중의 솜털 또는 이물질은 대량으로 여과되어 해당 여과면(6011)의 일측에 축적된다. 그러므로, 여과망 자동 청소의 작용면은 바람직하게는 여과망의 여과면(6011)에 설치된다. 해당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청소 노즐(602)은 바람직하게는 여과망(601)의 여과면(6011)의 일측에 설치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여과망(601)의 경사각도를 따라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로써, 노즐 급수관(603)에서 공급된 청소용수는 청소 노즐(602)에서 분출된 후, 가능한 전면적으로 여과면(6011) 상에 분사시킨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청소 노즐(602)은 여과망(601)의 2개 측면(여과면(6011) 및 여과면과 서로 마주하는 비여과면(6012))을 마주하도록 설치되고, 이로써 동시에 여과망의 2개 측면에 대해 청소 분사를 진행하도록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2개 청소 노즐(602)을 설치하고, 각각 여과망의 여과면(6011)과 비여과면(6012)을 마주하여, 동시에 여과망의 2개 측면에 대해 청소를 진행하고, 청소 효율과 청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한 청소 노즐(602)이 우선 비여과면(6012)을 분사 청소하게 하고, 설정된 시간 이후, 다시 다른 한 청소 노즐(602)을 작동하여 여과면(6011)을 분사 청소하게 하며; 또는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이로써 여과망의 청소 효과를 진일보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청소 노즐(602)은 통상적으로 건조 장치가 작업을 정지할 때, 여과망의 청소 작업을 작동하여, 청소 노즐이 청소 여과망에 분수를 할 때, 입풍 통로(102) 내의 공기의 수분 함량을 증가시켜, 건조 장치의 작업에 불리한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청소 노즐(602)은 건조 장치가 작업을 작동하기 전에 청소 분수를 시작하도록 설치되고, 이로써 여과망 상의 솜털과 이물질이 깨끗하게 전부 제거된 후, 다시 드럼에 입풍을 진행하여, 건조 장치의 건조 작업을 작동할 수 있다. 청소 노즐(602)의 청소 분수 작업 시간은 예정된 시간동안이거나, 또한 검측 모듈을 설치하여 여과망(61) 상의 솜털과 이물질이 깨끗하게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검측할 수 있으며, 만약 깨끗하게 제거된 것이 검측되는 경우, 청소 노즐(602)의 분사 청소를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선택 가능하게, 청소 노즐 위치에는 청소용수 검측 장치가 설치되고, 청소용수의 유량, 속도, 여과망의 청소 상태 등 파라미터를 검측하여 제어 장치에 발송하도록 구성되어, 제어 장치를 통해 청소용수의 분사 또는 닫힘, 분사 빈도, 분사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22는 본 발명 여과 어셈블리의 응축 노즐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여과 어셈블리(60)는 응축 노즐(605)이 더 설치되고, 입풍 통로(102)의 외벽에 설치되며, 입풍 통로(102)의 외벽에 분수하여 전치 응축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드럼의 입풍 통로(102)를 통해 건조 장치 중에 진입한 습한 공기는 대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그 온도는 통상적으로 상온 또는 보다 높은 온도를 가진다. 입풍 통로(102) 내의 습한 공기에 대해 전치 응축을 진행하는 것을 통해, 미리 순환 기류 중의 수증기를 액상의 물로 응축시키고, 예비 설정된 유로(예를 들면 입풍 통로(102) 외벽에 슬리브슬리브를 설치하여, 냉각수 유로 공간을 형성)를 통해 기기 본체에서 배출시킬 수 있고, 이로써, 미리 순환 기류 중의 수분을 감소시킴으로써, 건조 장치의 제습 효율을 향상시키고, 제습 시간을 감소시키며, 에너지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당연하게, 해당 전치 응축 노즐(605)은 직접적으로 입풍 통로(102) 내벽에 물을 주입할 수도 있으며, 수류는 내벽을 따라 천천히 아래로 흐르게 하여 입풍 통로벽을 저온 상태로 유지하여, 나아가 입풍 통로를 경유하는 기류에 대해 냉각을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드럼 출기의 입풍 통로(102)의 냉각 작용은 응축 노즐(605)을 통해 입풍 통로(102)의 도관 외벽을 향해 천천히 분수를 진행하여, 도관벽의 지속적인 저온을 유지하여, 도관을 흐르는 습하고 뜨거운 기류에 대해 응축 출수를 진행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상적으로 건조 장치가 작업을 작동할 때, 응축 노즐(605)은 분수 냉각 작업을 시작하고, 드럼 내의 의류 건조가 완성되고, 건조 장치가 작업을 정지할 때까지 진행하고; 또는 건조 단계의 초기에 작동을 시작하고, 후기에 정지를 진행할 수 있으며, 그 원인은 초기에 기류 중의 수분 함량이 비교적 높고, 전치 응축을 작동하여, 기류 중의 수분 함량을 감소시켜,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입풍 통로(102) 외에 외관을 씌워서 설치하고, 응축 노즐(605)은 해당 외관과 입풍 통로(102)의 외벽 사이에 설치되어, 입풍 통로(102)의 도관 외벽과 씌워서 설치된 외관 내벽 사이에 수류 공간을 형성하여, 응축수가 독립된 배수 도관을 통해 세탁기에서 배출하도록 가이드하거나, 또는 드럼의 외부 터브에 유입되어 드럼의 출수 통로와 합병하고, 세탁기 배수 도관을 통해 배출되며, 이로써 도관 외벽을 향해 분수를 실현하는 동시에 해당 부분의 냉각수가 분사 누락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응축 노즐 위치에는 응축수 검측 장치가 더 설치되고, 응축수의 유량, 속도을 검측하여 제어 장치에 발송하도록 구성되어, 제어 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분사 또는 닫힘, 분사 속도 등을 제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청소 노즐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고, 상응하게는, 입풍 통로(102) 중에 하나의 착탈 가능한 여과망(601)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해당 여과망(601)을 착탈하여 깨끗하게 청소한 후, 입풍 통로(102) 중에 조립시킨다. 사용자의 여과망의 착탈 설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입풍 통로(102)의 경로는 세탁기 전단 패널 또는 측면 패널에 설치된 착탈 가능한 박스를 경과하도록 설치하고, 여과망(601)은 해당 착탈 가능한 박스에 설치되어, 사용자는 편리하게 해당 박스를 열어서, 여과망을 꺼내서 깨끗하게 청소한 후, 박스에 다시 넣고, 박스를 닫을 수 있다.
도23은 본 발명 제습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건조 장치의 본체 부분은 제습 모듈(20)이고, 제습 모듈(20)은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제습 회전판(200),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을 포함한다.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사이는 스냅, 나사, 접착 등 방식으로 고정시킨다.
나아가, 제습 모듈(20)은 제습부(201), 재생부(202) 이 2개 기능 구역을 포함하고, 2개 기능 구역은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및 그 중의 구획 수단을 통해 분할되고 격리된다. 여기서,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중에는 모두 각각 재생부 구획 수단이 설치되어, 하우징 내부 공간을 적어도 제습부(201), 재생부(202) 이 2개 구역으로 분리하고, 또한 양자의 상대적 밀봉을 유지한다. 제습 회전판(200)은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을 통해 하나의 밀봉 공간 내에 패키징되고,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중심의 베어링을 통해 고정 회전한다.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의 내부 공간은 제습 회전판(200)의 제습부(201)와 대응하고, 순환풍을 유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상에 설치된 가열 모듈(302)은 제습 회전판(200)의 재생부(202)와 대응하고, 재생풍을 유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은 제습 회전판(200)의 제습부(201) 및 재생부(202)와 대응하고,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중에서 하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1-1)을 통해 제습부(201)와 재생부(202)를 분리시킨다.
도23을 참조하면, 제습 모듈(20)의 하우징 수단은 하부 하우징 재생 구역 조립 수단(202-2) 및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 조립 수단(202-3)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제습 회전판의 재생부(202)와 제습부(201)를 분리시키고, 또한 양자의 상대적 밀봉을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다시 말하면 재생부(202)의 기류가 구획 수단을 통과하여 제습부(201)로 가능한 적게 흐르게 하고, 제습부의 기류도 구획 수단을 통과하여 재생부로 가능한 적게 흐르게 한다.
하부 하우징 재생 구역 조립 수단(202-2)은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과 연결되고,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과 제습 회전판(200) 사이가 이동 가능하게 밀봉 접촉을 실현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하우징 재생 구역 조립 수단(202-2)은 바람직하게는 상, 하 2개가 설치되고, 여기서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에 근접한 하부 하우징 재생 구역 조립 수단(202-2)은 경질의 설치 수단이고,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제습 회전판(200)에 근접한 하부 하우징 재생 구역 조립 수단(202-2)은 유연성 밀봉 수단이고, 제습 회전판(200)과 이동 가능하게 밀봉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당연하게 상기한 경질 설치 수단과 유연성 밀봉 수단은 위치를 서로 바꿀 수 있고, 어떻게 설치하는지에 의해 결정된다. 하부 하우징 재생 구역 조립 수단(202-2)은 재생부(202)와 대응하는 구역과 서로 매칭하는 형상, 예를 들면 부채형을 형성하여,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의 하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1-1) 상에 고정시키도록 하고, 하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1-1)과 공동으로 밀봉되게 재생부(202)의 공간을 한정하도록 한다.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 조립 수단(202-3)은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과 연결되고,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과 제습 회전판(20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밀봉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 조립 수단(202-3)은 바람직하게는 상, 하 2개가 설치되고, 여기서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에 근접한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 조립 수단(202-3)은 경질의 설치 수단이고,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제습 회전판(200)에 근접한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 조립 수단(202-3)은 유연성 밀봉 수단이고, 제습 회전판(200)과 이동 가능하게 밀봉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 조립 수단(202-3)은 재생부(202)와 대응하는 구역과 서로 매칭하는 형상, 예를 들면 부채형을 형성하여,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의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5-3) 상에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5-3)과 공동으로 밀봉되게 재생부(202)의 공간을 한정하도록 한다. 또한, 가열 모듈(302)은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이 위치한 원판 평면의 부채형 노치 구역(재생부(202)의 대응 구역)에 고정시키고, 또한 열 밀봉 수단을 통해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사이에 열 밀봉을 형성한다.
도24는 본 발명 제습 모듈의 밀봉 패키지 분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과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사이는 밀봉 고정 연결되어, 제습 회전판(200)을 그 내부에 밀봉 패키징하고, 예를 들면 하나의 유연성 고무 재료의 하우징 밀봉링(206)을 통해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과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사이의 밀봉 연결을 실현한다.
선택적으로, 하우징 밀봉 링(206)은 고무 패드 또는 실리콘 패드이고, 이와 상하 하우징의 연결 방식은 금속 압편에 나사를 추가하여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및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의 회전판 부분(제습 회전판(200)과 연결된 부분)에는 밀봉링(5)의 설치 요홈이 설치되고, 회전판 하부 하우징(505) 및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은 스냅 결합된 후 나사를 통해 조임 고정되고, 전체 회전판 구역의 밀봉을 실현하도록 구성된다.
도25는 본 발명 제습 모듈의 하부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 모듈의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은 순환 팬(101)과 연통되고, 순환풍(습한 기류)은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의 개구를 통해 제습 회전판(200)의 하부 공간(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이 한정한 공간)에서 순환 유동하고, 나아가 상부로 제습 회전판(200)을 통과하여 제습 회전판(200) 상방 공간(회전판 상부 하우징(505)이 한정한 공간)으로 대류하고, 습한 순환풍은 이로써 제습부(201) 구역의 제습 회전판을 통과하여 탈수 건조를 진행한다.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에는 적어도 2개 하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1-1)(재생부 구획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하부 하우징 제습 구역 구획 수단(501-2)(제습부 구획 수단)이 설치된다. 하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1-1)은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의 재생부(202)와 대응하는 구역 중에 설치되고, 비교적 작은 부채형 형상을 형성하며,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중에서 적어도 재생부(202)와 제습부(201)를 구획시키고, 또한 양자의 상대적 밀봉을 유지한다. 하부 하우징 제습 구역 구획 수단(501-2)(제습부 구획 수단)은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의 제습부(201)와 대응하는 구역 중에서, 비교적 큰 부채형 형상을 형성하고,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중에서 제습부(201) 구역은 회전판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부분으로 구획되고, 제습부(201) 구역 중의 순환 기류를 구획하도록 하고, 해당 제습부 구획 수단을 통해, 순환 기류는 순환 팬에서 제습 회전판과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의 공간에 진입한 후, 적어도 2개 부분으로 분리되어, 기류의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제습 회전판의 비교적 큰 직경 위치에만 작용하고, 원심에 근접한 위치는 기류가 작아서, 흡습 효율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26은 본 발명 회전판 상부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은 제습 회전판(200)와 대응하는 원판상을 형성하고, 서로 구획된 상부 하우징 제습 구역(505-1)(제습 모듈에 대응하는 제습부(201)) 및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505-2)(제습 모듈에 대응하는 재생부(202))을 포함한다.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중에는 일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5-3)이 설치되고, 상부 하우징 제습 구역(505-1)(제습 모듈의 제습부(201)에 대응함)과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505-2)을 구획시키고 또한 상대적 밀봉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의 원주 외측에는 일 순환풍 출풍구(505-4)가 설치되고, 이는 출풍 통로(203)와 연결되고, 제습 모듈(20)과 드럼(A)을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제습된 후의 건조 순환 기류를 드럼(A)에 유입시킴으로써, 드럼(A)의 의류를 건조시키도록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하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1-1) 및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5-3) 상에는 택일적으로 또는 모두 밀봉 수단이 설치되고, 해당 밀봉 수단은 회전판(200)과 간격을 두거나 또는 간섭될 수 있어, 회전판(200)의 회전 과정에서, 제습부(201)와 재생부(202) 사이의 기밀성을 확보한다. 예를 들면, 하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1-1) 상에는 밀봉 스트립을 고정 설치하고,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5-3) 상에는 밀봉 수단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로써 밀봉 스트립은 회전판(200)과 간섭되고,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5-3)의 단면과 회전판(200)은 예를 들면 0.2-5mm의 간극을 가지고; 또는 하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1-1)과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5-3) 상에는 모두 회전판(200)과 간섭되는 밀봉 스트립을 설치하며; 또는 하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1-1)과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 구획 수단(505-3) 상에는 모두 밀봉 유연성 고무를 설치하거나 또는 밀봉 수단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지만, 밀봉 유연성 고무 또는 구획 수단 단면과 회전판(200)과의 간극을 0.2~5mm의 범위 내로 유지시킴으로써, 가능한 밀봉성을 보장하도록 한다.
도1, 도26을 참조하면,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의 상부 하우징 재생 구역(505-2) 중에는 구획된 가열 모듈(302)이 설치되고, 가열 모듈(302)의 본체는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과 분리 설치되며, 가열 모듈(302)의 하단면은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과 연통되어, 재생풍의 대류 공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열 모듈(302)은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이 위치한 원판 평면 내에 설치되어, 제습 모듈(20)의 전반적 높이를 감소시킨다. 도1 및 도2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은 원판상을 형성하고, 여기서 하나의 보다 작은 부분 부채형 구역은 분리된 가열 모듈(302)을 수용하고, 해당 가열 모듈(30)의 외주에는 가열기 입풍구(302-1)를 구비하고 재생 팬(301)과 연통되며, 재생 팬(301)에서 공급된 건조한 재생풍을 접수하도록 하고, 이를 고온이고 건조한 재생풍이 되게 가열하고; 가열 모듈(302)은 부채형면의 하단면에 가열기 출풍구(302-2)를 구비하고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과 연통되며, 고온이고 건조한 재생풍을 제습 회전판(200)의 재생부(202)로 수출하여, 재생부(202) 구역의 제습 회전판(200) 중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한다.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상의 가열 모듈(302)은 재생 팬(301)과 연통되고, 재생풍은 가열 모듈(302)의 가열기 입풍구(302-1)를 통해 가열 모듈(302) 내부 공간에 진입하고, 가열기 출풍구(302-2)를 통과한 후, 아래로 가열 모듈(302)을 통과하여 가열되고, 제습 회전판(200)을 경과하여 제습 회전판(200)의 하방 공간(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이 한정한 공간)으로 대류하여 순환 유동됨으로써, 재생부(202) 구역의 제습 회전판에 대해 건조 탈수를 진행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재생 팬 출풍구는 가열 모듈(302)의 측면 입풍구와 연통되고, 대체적으로 부채형을 이루는 가열 모듈(302) 반경과 대체적으로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부터 재생 기류를 진입시킨다.
도27은 본 발명 건조 모듈의 제습 회전판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7a는 제습 회전판의 분해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27b는 제습 회전판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 회전판(200)은 분자체(200-1), 구동휠(200-2), 보조 회전링(200-3), 밀봉링(200-5)을 포함한다. 여기서, 분자체(200-1)는 제습 회전판(200)의 중심 구역에 형성되고, 구동휠(200-2), 보조 회전링(200-3) 및 회전판 밀봉링(200-5)은 분자체(200-1) 두께 방향을 따라 분자체 외주에 병행 배치된다.
구동휠(200-2)은 분자체(200-1)를 둘러싸서 설치되고, 그 원주 외측에는 구동 티스를 형성하고, 구동 모터와 전동 매칭되도록 하고, 모터의 구동 하에 분자체(200-1)의 회전을 가동시킨다.
보조 회전링(200-3)은 구동휠(200-2)의 하방에 설치되고 또한 분자체(200-1)를 둘러싸며, 유연성 롤러(200-4)와 접촉하여 상대적으로 롤링되도록 하고, 이로써 보조 분자체(200-1)의 회전을 순조롭게 한다. 구체적으로, 보조 회전링(200-3)은 회전판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롤러(200-4)와 롤링 매칭되도록 구성되고, 제습 회전판의 정상적인 회전을 보조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제습 모듈(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롤러(200-4)가 설치되고, 회전판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고 또한 보조 회전링(200-3)과 롤링 접촉되며, 제습 회전판의 정상적인 회전을 보조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유연성 롤러(200-4)는 유연성이고 가변형이며, 제습 회전판이 회전축에 대해 편향이 생길 때, 보조 회전링(200-3)은 유연성 롤러(200-4)를 압축하여 변형되게 하지만, 보조 회전링과 유연성 롤러(200-4)와의 압박으로 인해 회전판이 회전할 때의 마찰력은 생성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습 회전판 위치에 회전판 검측 장치가 설치되고, 제습 회전판의 회전 속도를 검측하여 제어 장치에 발송하고, 이로써 건조 작업에서 제습 회전판의 지속적인 회전을 확보하고, 가열 모듈이 지속적으로 한개 구역에 대해 가열하여 제습 회전판이 타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판 밀봉링(200-5)은 보조 회전링(200-3)의 하방에 설치되고, 분자체(200-1)를 둘러싸며, 제습 회전판(200)과 회전판 하우징 사이의 회전 가능한 밀봉을 실현하도록 구성된다. 회전판 밀봉링(200-5)은 유연하고 가변형인 재료일 수 있고, 특히 내부식성을 가지고 흡수로 인해 과도 팽창되지 않는 재료, 예를 들면 털 스트립, 폼, 유연성 고무 등이다. 제습 회전판(200)을 회전판 하우징에 설치한 후, 회전판 밀봉링(200-5)의 사이즈는 회전판 하우징 내벽과 일정한 공간 중첩을 형성하여, 회전판 밀봉링(200-5)과 회전판 하우징 내벽의 죔쇠 매칭을 실현하도록 하고, 회전판 밀봉링(200-5)의 탄성 변형의 작용 하에, 회전 가능한 밀봉 접촉 효과를 실현하여, 순환 기류가 제습 회전판(200)과 회전판 외부 하우징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세탁기 드럼에서 공급된 습한 기류가 대부분 제습 회전판을 통과하여 흡습되도록 보장하고, 제습 회전판 외주와 회전판 외부 하우징의 간극에서 새어 나가지 않게 한다.
당연하게, 상기한 바의 구동휠(200-2), 보조 회전링(200-3), 밀봉링(200-5)의 병행 순서는 선택 가능하고, 상기 3개 부분이 각각 부동한 기능을 실현하고, 상기 3개 부분이 병행 설치되는 것을 보장하기만 하면 되고, 구체적인 설치 순서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28은 밀봉링이 회전판 하부 하우징에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회전판 밀봉링(200-5)은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상에 고정 설치되고, 또한 회전판 밀봉링(200-5)의 사이즈는 제습 회전판(200) 외주와 일정한 공간의 중첩을 형성하여, 회전판 밀봉링(200-5)과 제습 회전판(200) 외주와의 죔쇠 매칭을 실현하도록 하며, 그 이유는 상기한 바와 같다. 이러한 경우,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과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의 결합 위치의 외주에는 회전판 밀봉링(200-5)이 설치되고, 이는 일측면에서 회전판 상하 하우징의 결합 위치에 대해 밀봉을 진행하고, 다른 일 측면에서 제습 회전판(200)에 대해 회전 밀봉을 진행한다.
도29는 제습 회전판의 댐핑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 회전판(200)의 분자체(200-1) 재료의 특성은 비교적 취약하고, 회전 과정에서 세탁기 진동 또는 하우징과의 충돌로 인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최대한으로 분자체(200-1)의 진동을 감소시키고, 그 진동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분자체(200-1)에 대해 댐핑 처리를 진행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분자체(200-1)의 댐핑 구조는 원주 댐핑 수단(200-6) 및/또는 중심 댐핑 수단(200-7)을 포함하고, 아래에 각각 상세히 소개한다.
원주 댐핑 수단(200-6)은 유연성 재료, 예를 들면 폼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분자체(200-1)와 구동휠(200-2)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분자체(200-1) 외주를 둘러싸며, 이로써 분자체(200-1) 외부 둘레와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및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내부 둘레 사이에 완충을 형성하고, 분자체가 회전 과정에서 하우징과 충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29를 참조하면, 제습 회전판(200)은 하나의 중심홀을 구비하고, 대응하게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중심의 회전축(501-3) 상에 씌워서 설치되고, 또한 이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중심 댐핑 수단(200-7)은 원환상으로 형성되고, 분자체(200-1)와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사이에 설치되며, 또한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의 회전축(501-3) 상에 씌워서 설치되며, 분자체(200-1)와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사이에 진동 완충을 형성하도록 한다.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은 통상적으로 세탁기 프레임 사이에 직접 연결(강성 연결 또는 유연성 연결)되고, 세탁기의 진동은 쉽게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에 전달되며, 그러므로, 상기 중심 댐핑 수단(200-7)을 통해, 효과적으로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으로부터의 진동이 분자체(200-1)에 대한 손상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고, 동시에 클램핑 고정 효과를 강화시킬 수도 있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분자체(200-1)의 원주 댕핑 및/또는 단면 댐핑은 동시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만약 그 중 하나의 댐핑 구조가 예정된 댐핑 효과를 실현할 수 있는 경우, 하나의 댐핑 구조만 설치할 수도 있다.
제습 회전판(200)의 분자체(200-1)는 흡습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재료의 수분 흡착량, 수분 증발량, 멸균, 기계 안정성 등 성능을 종합 고려할 필요가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분자체(200-1)는 하기 재료, 염화리튬, 실리카겔, 개질된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활성 알루미나, 13X(나트륨X형) 분자체 등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각종 재료의 성능은 각각 아래와 같다.
a, 염화리튬
유리한 점: 1. 흡착량이 큼, 2. 제습 효과가 훌륭함, 3. 재생 에너지 소비가 낮음, 4. 살균 효과가 훌륭함; 결점: 1. 액체가 누출되어 주변 장치가 부식됨, 2. 저온도에서 제습 능력이 약함.
b, 실리카겔
유리한 점: 1. 흡착 과정에서 안정성이 훌륭함;
결점: 1. 열안정성이 낮음, 2. 흡착 능력이 더 향상될 필요가 있음, 3, 기계 안정성이 낮음.
C, 개질된 실리카겔
유리한 점: 흡착 성능 및 열안정성이 개선됨; 결점: 공법이 복잡하고, 가격이 높음.
d. 제올라이트
유리한 점: 1. 고온 저온 흡착성능이 훌륭함, 2. 열안정성이 훌륭함;
결점: 1.통상적인 조건에서 흡착량이 적음, 2. 재생 에너지 소비가 높음.
e. 활성 알루미나
유리한 점: 재생율이 적합함; 결점: 흡착 능력이 약함.
f. 13X(나트륨X형) 분자체
유리한 점: 흡수성이 훌륭함; 결점: 탈착성이 약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습 모듈(20)에는 구동 장치가 더 설치되고, 구동 모터 및 전동 수단을 포함하며, 제습 회전판(200)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장치(207)는 설치 위치와 구동 방식의 상이함에 따라, 외주 구동 장치(207) 또는 중심 구동 장치(208) 두가지로 구분될 수 있고, 아래에 각각 상세히 소개한다.
도30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제습 회전판의 외주 구동 장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3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 구동 장치(207)는 외주 구동 모터(207-1) 및 외주 전동 기어(207-2)를 포함한다. 외주 구동 장치(207)는 회전 가능하게 제습 회전판(200)의 외주에 설치되고, 외주 구동의 방식으로 제습 회전판(200)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외주 구동의 방식인 경우, 제습 회전판(200)의 외주에 기어 형상의 구동휠(200-2)을 씌워서 설치하고, 외주 전동 기어(207-2)는 바람직하게는 외주 구동 모터(207-1)의 동력축 상에 씌워서 설치되며, 또한 구동휠(200-2)의 기어와 회전 가능하게 맞물려서 설치되어, 외주 구동 모터(207-1)의 구동 하에 제습 회전판(200)의 회전을 가동시킨다.
선택 가능하게, 구동 모터(207-1), 외주 전동 기어(207-2) 및 구동휠(200-2) 사이는 직접 접촉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고, 기어 랙, 풀리 벨트 등 전동 벨트를 이용하여 전동 연결을 진행한다.
중심 구동 장치(208)(미도시)는 회전 가능하게 제습 회전판(200)의 중심에 설치되고, 중심 구동의 방식으로 제습 회전판(200)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중심 구동 장치(208)는 중심 구동 모터(208-1) 및 중심 전동축(208-2)을 포함한다.
중심 구동 방식인 경우, 제습 회전판(200)의 외주에는 기어 형상의 구동휠(200-2)을 씌워서 설치하지 않고, 중심 전동축(208-2)을 제습 회전판(200)의 중심에 고정 연결할 수 있고, 중심 구동 모터(208-1)의 구동 하에, 제습 회전판(200)의 회전을 가동한다. 선택적으로, 중심 전동축(208-2) 상에는 외부 기어가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제습 회전판(200)의 중심홀 내에는 내부 기어가 설치될 수 있고, 해당 내, 외 기어는 서로 긴밀하게 맞물리고, 중심 구동 모터(208-1)가 중심 전동축(208-2)을 통해 제습 회전판(200)과 전동하는 것을 실현한다.
도3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제습 모듈의 유연성 롤러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31a, 도31b를 참조하면, 제습 회전판(200)의 외주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롤러(200-4)가 설치되고, 제습 회전판이 정상적으로 운동(회전 또는 이동)하도록 보조하고,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유연성 롤러(200-4)는 회전판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고, 보조 회전링(200-3)과 롤링 접촉하며, 예를 들면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내부 둘레에서 외부로 돌출된 설치부 상에 설치된다. 다수개 유연성 롤러(200-4)는 회전판 외부 하우징의 내벽면 상에 배치되고, 제습 회전판(200)은 다수개 유연성 롤러(200-4)와 직접 접촉하여, 제습 회전판(200)의 위치가 운동 과정에서 과도하게 편향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연성 롤러(200-4)는 유연성이고 가변형으로 형성되고, 제습 회전판이 회전축 또는 이동 레일을 상대로 편향될 때, 보조 회전링(200-3)은 유연성 롤러(200-4)를 압축하여 변형되게 하지만, 보조 회전링(200-3)과 유연성 롤러(200-4)의 압박으로 인한 회전판이 회전할 때 마찰력은 조성하지 않을 수 있다. 유연성 롤러(200-4)는 가변형 직경을 가지거나 또는 유연성 롤러(200-4)의 회전 중심 위치는 조정 가능하며, 이로써 유연성 롤러(200-4)와 회전판 외부 하우징의 접촉점과 제습 회전판(200)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는 조정 가능하다.
이로써, 유연성 롤러(200-4)와 회전판 하우징은 압박이 발생할 때, 압박점과 유연성 롤러(200-4)의 회전축 사이의 거리는 가변한다. 일 측면에서, 제습 회전판(200)이 전반적인 운동 과정에서 회전판 하우징 내부 둘레와의 미끄럼 마찰을 해소하고; 다른 일 측면에서, 유연성 롤러(200-4)는 가변형 직경을 가지므로, 제습 회전판(200)의 회전이 불균형하여 회전판 하우징 내부 둘레와의 충돌 충격로 인해 제습 회전판(200)에 충격을 형성하여 제습 회전판(200)이 손상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연성 롤러(200-4)의 수량은 바람직하게는 6개이고, 제습 회전판(200)의 외부 원주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된다. 당연하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제 수요에 따라 기타 수량을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유연성 롤러(200-4)가 설치되든 않되든, 회전판 하우징 상에는 모두 롤러 레일 또는 레일 홈(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고, 레일 홈은 제습 회전판(200)에 대해 중심 방향으로 또는 주위 방향으로 모두 제한을 진행하고, 제습 회전판(200)을 예정 위치에 더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3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습 모듈의 보조 롤러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3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내의 밑면의 최외주 가장자리,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과 제습 회전판(200) 사이에는 1개 또는 다수개 보조 롤러(200-8)가 더 설치되고, 제습 회전판(200)의 운동 과정에서, 제습 회전판(200)과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사이의 마찰력을 해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보조 롤러(200-8)는 변형 불가능한 강성 롤러로 형성되고, 운동 과정에서 직경은 변하지 않는다.
도33은 본 발명의 건조 모듈의 가열 모듈의 밀봉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3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 모듈(302)은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의 상부 하우징은 재생 구역(505-2) 중에 설치되고, 또한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과 분리되어 설치된다.
가열 모듈(302)과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사이는 바람직하게는 단열 재료를 이용하여 격리 밀봉한다. 구체적으로, 가열 모듈(302)과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사이에는 제1밀봉 수단(302-3)이 설치되고, 가열 모듈(302)의 외부 윤곽을 따라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단열 또는 열절연 재료를 이용하고, 가열 모듈(302)과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사이의 열전도를 격리하는데 이용된다.
제1밀봉 수단(302-3)의 상면에는 선택 가능하게 제2밀봉 수단(302-4)이 더 설치되고, 가열 모듈(302)과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사이에서 단열과 충돌 완충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제2밀봉 수단(302-4)은 바람직하게는 가변형 고무질 재료, 예를 들면 폼, 실리카겔 또는 유연성 고무를 이용하여, 제1밀봉 수단(302-3)을 둘러싸고, 가열 모듈(302)의 외부 윤곽을 따라 설치되고, 고정, 단열하며, 동시에 가열 모듈(302)과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사이의 접촉 충돌을 완충하도록 한다.
가열 모듈의 온도가 너무 높아서, 만약 가열 모듈이 직접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과 접촉하면, 시간이 길어지면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이 변형되거나 또는 타서 손상될 수 있다.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과 가열 모듈(302) 사이에는 제1밀봉 수단(302-3) 및 제2밀봉 수단(302-4)이 설치되어, 하나의 온도 전달 완충 구역을 형성한다.
도34는 본 발명의 건조 모듈의 가열 모듈의 메쉬판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34a는 가열 모듈 출풍구의 메쉬판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34b는 가열 모듈 입풍구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3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은 원판상을 형성하고, 여기서 하나의 작은 부분 부채형 구역은 분리된 가열 모듈(302)을 수용하고, 해당 가열 모듈(30)의 외주에는 가열기 입풍구(302-1)를 구비하고 재생 팬(301)과 연통되며, 재생 팬(301)에서 공급된 건조한 재생풍을 접수하도록 하고, 또한 이를 고온이고 건조한 재생풍으로 가열시키고; 가열 모듈(302)은 부채형면의 하단면에 가열기 출풍구(302-2)를 구비하고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과 연통되며, 고온이고 건조한 재생풍을 제습 회전판(200)의 재생부(202)로 수출하여, 제습 회전판(200)을 경유하여 제습 회전판(200)의 하방 공간(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이 한정한 공간)으로 대류하여 순환 유동하게 하고, 이로써 재생부(202) 구역의 제습 회전판(200)에 대해 건조 탈수를 진행하도록 한다.
해당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가열 모듈(302)은 부채형 구조를 형성하고, 상하벽과 반경 방향을 따른 2개 측벽으로 형성된 공간을 포함하고, 가열 모듈(302)은 가열기 출풍구(302-2)에 설치된 메쉬판(303), 메쉬판(303) 아래에 위치한 가열기(304), 하벽에 있는 일 측벽에서 외부로 연장된 온도 제어기(305)를 포함한다.
가열 모듈(302)과 재생팬(301)은 연통되고, 재생풍은 가열 모듈(302)의 가열기 입풍구(302-1)를 통해 가열 모듈(302)의 내부 공간에 진입하고, 가열기 출풍구(302-2)를 통해 메쉬판(303)을 경유한 다음, 메쉬판(303)의 통기공에서 아래로 가열기(304)를 경유하고, 가열기(304)에 의해 가열된 후 재생부의 회전판 부분으로 흐르고, 이로써 재생부의 회전판 부분에 대해 가열하여 탈수시키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쉬판(303)의 다수개 통기공의 배치 형상은 가열기(304)의 형상과 일치할 수 있고, 메쉬판(303)을 경과하는 공기의 대부분 또는 전부가 가열기(304)를 경과하게 하여, 공기가 가열되지 못하여 가열 모듈의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쉬판(303)의 다수개 통기공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가열 모듈(302)의 외주를 따라 가열 모듈(302)의 중심 방향을 따라 점점 작아지거나 또는 작아지는 추세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그 원인은 재생풍이 가열 모듈(302)의 외주 위치의 가열기 입풍구(302-1)로 진입할 때, 풍속이 비교적 커서, 통기공 직경이 비교적 큰 경우, 통기공을 통과하기가 더 쉽고; 가열 모듈(302)의 중심에 근접한 위치에서는, 가열 모듈(302)의 공간은 점점 좁아지고, 풍속이 느려져서, 통기공 직경이 비교적 작은 경우, 재생풍은 가능한 많이 통기공을 통과하기가 더 쉽기 때문이다.
도35는 본 발명 건조 모듈의 가열 모듈의 가열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35a는 가열기와 메쉬판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35b는 가열기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기(304)는 메쉬판(303) 통기공의 출풍 경로 상에 설치되고, 대체적으로 대부분 또는 전부의 통기공을 커버할 수 있다. 나아가, 가열기와 메쉬판은 예정된 거리를 유지하고, 즉 메쉬판(303)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통기공에서 나온 공기가 균일하게 가열되게 하고, 동시에 가열기는 통기공을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과도로 큰 저항력을 생성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가열기(304)는 통기공의 정하방에 설치되고, 또한 가열 모듈의 반경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으로 약간 편향된다. 이로써, 바람을 가열 모듈의 반경을 따라 안으로 불게하고 또한 통기공을 통과시킬 때, 화살표가 가리키는 반경 방향을 향한 속도를 가지고, 이로써 약간의 편향량을 설치하면, 통기공을 통과하는 바람은 가열기를 바로 향하게 되고, 이로써 가열기의 기류에 대한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3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 모듈(302)의 일 측벽에서 밖으로 연장되어 온도 제어기 설치부가 설치되고, 여기서 온도 제어기(305)가 설치되며, 가열기의 온도 또는 메쉬판(17)에서 유출되는 기류의 온도를 검측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제어기 설치부 상에는 1개 열전도판(305-1)이 설치되고, 온도 제어기(305)는 열전도판 내에 설치되며, 즉 열전도판(305-1)은 온도 제어기(305)를 둘러싸서, 가열기의 온도를 열전도 방식을 통해 우선 열전도판(305-1)에 전달하고, 온도 제어기(305)는 열전도판(305-1)의 온도를 직접 검측하여, 안정하게 가열 모듈 내의 공기 온도를 검측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좋은 점은, 공기가 열량을 가지고 가열 모듈 공간 내에 불규칙적인 흐름 또는 난류를 형성하여, 해당 구역의 온도를 불안정하게 하여, 열전도판(305-1)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 온도 제어기(305)에서 검측된 온도는 오르내리고, 아주 불안정하며, 가열기(304)에 대해 효과적인 제어를 진행하는데 불리하다.
선택 가능하게, 온도 제어기(305)는 제어 장치에 연결되고, 제어 장치를 통해 가열기의 가열 공률 및 지속 시간, 재생 팬과 제습 회전판의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하여, 가열을 시작하는 동안 및 온도가 지속되는 동안에 정밀한 온도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건조 장치(B)는 재생 모듈(30)의 하류에 응축 모듈(40)을 설치하고, 재생 모듈(30)의 재생풍 출구(3012)는 응축 모듈(40)의 응축기 입풍구(405)에 연통되고, 재생풍 출구(3012)에서 수출된 고온 고습의 재생 기류를 응축기(401) 중에 진입시켜 응축을 진행하여 저온이고 건조한 기류를 형성하고, 또한 응축 모듈(40)의 응축기 출풍구(406)를 통해 대기 중에 배출하여,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가 위치한 공간의 대기 온도 및 습도에 불량한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바람직하게는, 응축 모듈(40)의 응축기 출풍구(406)는 재생 모듈(30)의 재생풍 입구(301)로 연통되어, 그 생성된 저온이고 건조한 기류를 재생 팬(301)으로 수송하도록 하고, 다시 재생 모듈(30)에 진입시켜서 재생 순환을 진행하게 한다.
도1중에서, 응축기(401)의 냉각수 입구(401-1), 냉각수 출구(401-2), 응축수 출구(401-3)를 진일보 나타낸다. 여기서, 냉각수 입구(401-1)는 외부 냉수원에 연결되고, 냉각수 출구(401-2)는 선택적으로 드럼 출수구에 연통되며, 양자는 서로 매칭되고, 응축기 관로에 냉각용 냉각수를 제공하고 배출시킨다. 응축수 출구(401-3)는 제습 회전판 상에서 탈착된 수증기 중의 물을 액상 물로 응결시키고, 응축기 외부 하우징에서 배출시킨다.
도36은 본 발명의 건조 장치의 응축 모듈의 하우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3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 모듈은 응축기(401), 응축기 상부 하우징(402), 응축기 하부 하우징(403)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밀봉 수단(404)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응축기는 가림 바와 위치 제한 수단을 통해 응축기 하부 하우징(403)과 매칭을 진행하고, 응축기 상부 하우징은 아래로 응축기 주위의 밀봉 수단(404)을 압박하여 밀봉 효과를 실현한다. 선택적으로, 응축기 상부 하우징(402), 응축기 하부 하우징(403) 중의 하나(예를 들면 응축기 하부 하우징(403)) 상에는 요홈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하우징 상에는 돌기가 설치되며, 상기 요홈 내에는 밀봉 수단(404)(예를 들면 밀봉 와셔)을 수용 가능하고, 돌기를 요홈에 압박 인입하는 것을 통해 밀봉시킨다.
도36에서, 화살표는 재생부에서 공급된 고온 고습 기류(가열기의 가열을 경과하면, 수분은 제습 회전판 상에서 탈착됨)를 제습 회전판 하표면과 제습 회전판 하부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서 화살표를 따라 응축기 하우징으로 흐르게 하여, 냉각되어 물을 제거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도37은 일 바람직한 실시예 중의 응축기의 흐름 간섭 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37a는 흐름 간섭 수단이 없는 응축기 외부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37b는 흐름 간섭 수단이 있는 응축기 외부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7a를 참조하면, 흐름 간섭 수단이 없는 응축기 외부 하우징에서, 냉각 순환의 기류 방향은: 고온 고습의 공기는 응축기 입풍구(405)에서 응축기(401)가 위치한 응축 구역에 진입하고, 응축 제습한 후, 건조한 공기로 변화하고, 응축기 출풍구(406)로부터 응축기에서 유출된다. 흐름 간섭 수단이 없을 때, 부분적 습한 공기는 응축기 밑부에서 응축기 출풍구(406)로 직접 유동하고, 응축기(401)를 경유하지 않으므로, 이부분 습기가 응축되지 못하여, 냉각 건조 효과가 좋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37b를 참조하면, 응축기 하우징 내(상부 하우징 및/또는 하부 하우징)의 응축풍의 흐름 방향 상에 1개 또는 다수개 흐름 간섭 수단(407), 예를 들면 가림판 또는 돌기 등이 설치되고, 냉각풍의 흐름 방향을 개변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의 형상이라도 모두 가능하고, 응축기를 경유하는 습한 기류에 대해 흐름 간섭하도록 구성되어, 습한 기류와 응축기를 충분히 접촉하게 하여, 습한 기체가 응축기를 흐르지 않고 직접 응축 모듈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흐름 간섭 수단(407)은 응축풍 흐름 방향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재생 순환의 하류에 응축 모듈(40)을 설치하는 외에, 드럼의 출풍구에서 제습 회전판 사이(예를 들면, 입풍 통로(102) 중)에 전치 응축 모듈을 설치하여, 온도가 상대적으로 보다 높은 습하고 뜨거운 기류에 대해 우선 한번의 응축을 진행하여, 함수량을 감소시키고, 제습 회전판에 진입시킨 후, 다시 흡습 처리를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전치 응축 모듈은 독립된 응축 모듈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응축기 입풍구 및 응축기 출풍구는 각각 드럼 출풍구 및 순환 팬 입풍구에 연통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해당 전치 응축 모듈은 응축 슬리브의 구조를 형성하고, 드럼 출풍구 도관 상에 일 냉각 슬리브를 씌워서 설치하여, 드럼 출풍구 도관 외벽과 냉각 슬리브 내벽 사이에 수류 공간을 형성하게 하고, 상기의 응축 노즐을 통해 드럼 출풍구 도관 외벽에 천천히 분수를 진행하여, 도관벽의 지속적인 저온을 유지하여, 도관을 흐르는 습하고 뜨거운 기류에 대해 응축 출수를 진행하는 것을 실현한다. 냉각 슬리브 내의 냉각수는 드럼의 외부 터브 또는 세탁기 출수 도관으로 유입된다.
응당 이해 가능한 것은, 본 출원의 상기 구체적 실시방식은 단지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 또는 해석할 뿐, 본 발명에 대해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상황 하에서, 어떤 수정, 동등 체환, 개진 등을 진행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청구범위의 범위 및 분계, 또는 이러한 범위 및 분계의 동등한 형식 내의 모든 변화 및 수정예를 커버하여 포함해야 한다.

Claims (25)

  1.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드럼과 연통하고, 회전을 통해 상기 드럼에서 공급된 습한 공기를 순환 기류로 형성하고 또한 제습 모듈(20)에 수출하여 제습을 진행하는 순환 모듈(10);
    각각 상기 순환 모듈(10) 및 상기 드럼과 연통하고, 순환 운동을 통해 상기 순환 모듈(10)에서 공급된 순환 기류에 대해 제습 건조를 진행하고, 건조된 순환 기류를 상기 드럼 중에 수출하는 제습 모듈(20); 및
    상기 제습 모듈(20)과 연통하고, 건조된 재생 기류를 상기 제습 모듈(20)에 수출하고, 상기 제습 모듈(20)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습 건조하여, 제습 능력을 회복하게 하는 재생 모듈(30); 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 모듈(10), 상기 제습 모듈(20) 및 상기 재생 모듈(30)은 대체적으로 한 평면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가 위치한 평면은 수평으로 상기 드럼의 상방 또는 하방에 설치되고, 또한 드럼 회전축과 평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 내의 상기 순환 모듈(10)의 회전축, 상기 제습 모듈(20)의 회전축, 상기 재생 모듈(30) 중의 적어도 두개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고, 또한 대체적으로 상기 드럼의 회전축에 수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모듈(10)의 회전축 및 상기 제습 모듈(20)의 회전축은 상기 드럼 회전축과 상이한 면에 있고 또한 수직이 되며, 또한 상기 드럼 회전축 양측에 분포되고;
    상기 재생 모듈(30)은 상기 순환 모듈(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재생 모듈(30) 및 상기 제습 모듈(20)은 각각 상기 드럼 회전축의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는 입풍 통로(10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풍 통로(102)는 상기 순환 모듈(10)과 상기 드럼을 연통하게 하고, 상기 드럼에서 공급된 습한 공기를 상기 순환 모듈(10)에 진입시키기 위한 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가 위치한 평면이 수평으로 상기 드럼의 상방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입풍 통로(102)는 상기 드럼의 좌측후방 또는 우측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입풍 통로(102)와 연통된 상기 순환 모듈(10)도 상응하게 상기 드럼의 좌측후방상부 또는 우측후방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풍 통로(20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풍 통로(203)는 상기 제습 모듈(20)과 상기 드럼을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제습 후의 건조 순환 기류를 상기 드럼에 진입시키기 위한 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가 위치한 평면은 수평으로 상기 드럼의 하방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입풍 통로(102)는 순차적으로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밑부, 후부 및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드럼의 출풍구와 상기 순환 팬(101)의 입풍구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가 위치한 평면은 수평으로 상기 드럼의 하방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출풍 통로(203)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밑부, 후부 및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습 모듈(20)의 출풍구와 상기 드럼의 입풍구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가 위치한 평면은 수직이 되게 상기 드럼 후방에 설치되고, 또한 드럼 회전축과 수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모듈(10)의 회전축과 상기 제습 모듈(20)의 회전축은 상기 드럼 회전축과 평행되고, 또한 상기 드럼 회전축의 양측에 분포되며;
    상기 재생 모듈(30)은 상기 순환 모듈(10)의 일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재생 모듈(30)과 상기 제습 모듈(20)은 각각 드럼 회전축의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12. 제10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풍 통로(10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풍 통로(102)는 상기 드럼 회전축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드럼의 출풍구와 상기 순환 모듈(10)의 입풍구를 연통하고, 상기 드럼에서 공급된 습한 공기를 상기 순환 모듈(10)에 진입시키기 위한 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풍 통로(20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풍 통로(203)는 상기 드럼 회전축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습 모듈(20)의 출풍구와 상기 드럼의 입풍구를 연통하게 하고, 제습된 후의 건조 순환 기류를 드럼에 진입시키기 위한 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모듈(30)의 재생풍 입구(3011)와 재생풍 출구(3012)는 모두 대기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응축 모듈(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응축 모듈(40)은 상기 재생 모듈(30)의 재생풍 출구에 연통되며, 상기 재생 모듈(30)에서 수출된 재생 기류에 대해 응축을 진행하여 저온이고 건조한 기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 모듈(40)의 출풍구는 대기 또는 상기 재생 모듈(30)의 재생풍 입구(3011)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17. 제5항 내지 제6항, 제8항, 제12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과 어셈블리(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과 어셈블리(60)는 상기 순환 모듈(10)의 입풍 통로(102) 중에 설치되며, 상기 드럼에서 공급된 기류 중의 솜털 및/또는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풍 통로(102)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전단을 경유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입풍 통로(102) 중에 설치된 상기 여과 어셈블리(60)는 착탈 가능하게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전단 패널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의 하우징은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4개 프레임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일체 성형되게 적어도 하나의 설치부(509)가 설치되고,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설치부(509)를 통해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케이스 상에 강성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의 하우징과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상기 드럼 사이는 유연성 연결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모듈(10)과 상기 건조 장치의 입풍 통로(102) 사이, 및/또는 상기 입풍 통로(102)와 상기 드럼 사이, 및/또는 상기 제습 모듈(20)과 상기 순환 모듈(10) 사이, 및/또는 상기 제습 모듈(20)과 상기 건조 장치의 출풍 통로(203) 사이, 및/또는 상기 출풍 통로(203)와 상기 드럼 사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한 어셈블리 사이의 연결 위치는 유연성 연결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는 패키지 하우징(50)이 설치되고, 상기 패키지 하우징(50)은,
    상기 제습 모듈(20)을 설치하도록 구성된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 상기 순환 모듈(10)을 설치하도록 구성된 순환 하부 하우징(502), 응축 모듈(40)을 설치하도록 구성된 응축 하부 하우징(503) 및 상기 재생 모듈(30)을 설치하도록 구성된 재생 하부 하우징(504)을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
    상기 제습 모듈(20)을 설치하도록 구성된 회전판 상부 하우징(505), 상기 순환 모듈(10)을 설치하도록 구성된 순환 상부 하우징(506), 상기 응축 모듈(40)을 설치하도록 구성된 응축 상부 하우징(507)을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각 하부 하우징(501, 502, 503, 504)은 하나의 일체 하부 하우징으로 일체 성형되거나, 또는 각각 다수의 분립된 하부 하우징 수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상부 하우징(505, 506, 507)은 각각 다수의 분립된 상부 하우징 수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은 세탁기 프레임 상에 고정되게 경성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기타 각 하부 하우징(501, 502, 503, 504)은 상기 드럼의 외부 터브에 별도 또는 일체 성형으로 고정되게 경성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24. 제21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 하부 하우징(501)과 모든 진동을 일으키는 어셈블리 사이에는 모두 유연성 연결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의 건조 장치.
  25. 세탁용 드럼 및 제1항 내지 제2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건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드럼과 연통되고, 상기 드럼 내의 습한 공기에 대해 제습 건조를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
KR1020247007632A 2021-09-01 2022-08-31 건조 장치 및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 KR202400356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023112.5 2021-09-01
CN202111023112.5A CN113981647A (zh) 2021-09-01 2021-09-01 一种洗烘一体机
CN202111450553 2021-11-30
CN202111450553.3 2021-11-30
PCT/CN2022/116387 WO2023030421A1 (zh) 2021-09-01 2022-08-31 一种烘干装置及洗烘一体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642A true KR20240035642A (ko) 2024-03-15

Family

ID=8343880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710A KR20240038113A (ko) 2021-09-01 2022-08-31 의류 처리 장치
KR1020247007632A KR20240035642A (ko) 2021-09-01 2022-08-31 건조 장치 및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
KR1020247010814A KR20240046831A (ko) 2021-09-01 2022-08-31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
KR1020247010839A KR20240048569A (ko) 2021-09-01 2022-09-01 건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710A KR20240038113A (ko) 2021-09-01 2022-08-31 의류 처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0814A KR20240046831A (ko) 2021-09-01 2022-08-31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
KR1020247010839A KR20240048569A (ko) 2021-09-01 2022-09-01 건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4) KR20240038113A (ko)
CN (15) CN117999387A (ko)
AU (4) AU2022340524A1 (ko)
CA (3) CA3230592A1 (ko)
TW (1) TW202311594A (ko)
WO (6) WO20230304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6358A1 (zh) * 2022-08-31 2024-03-07 深圳洛克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烘干模组及洗烘一体机
WO2024046325A1 (zh) * 2022-08-31 2024-03-07 深圳洛克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餐具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3291B2 (ja) * 1988-12-14 1998-05-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衣類乾燥機用水冷式熱交換器
JP2806542B2 (ja) * 1989-02-17 1998-09-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衣類乾燥機
JPH0510669A (ja) * 1991-07-04 1993-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JP3043126B2 (ja) * 1991-08-28 2000-05-22 三洋電機株式会社 衣類乾燥機
JP2000225288A (ja) * 1999-02-04 2000-08-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JP2002340372A (ja) * 2001-05-17 2002-1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デバイス
JP4196075B2 (ja) * 2003-04-11 2008-1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乾燥機
JP3650104B2 (ja) * 2003-05-21 2005-05-18 シャープ株式会社 衣類乾燥機
JP2005021601A (ja) * 2003-07-03 2005-01-27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KR20050012100A (ko) * 2003-07-24 2005-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용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한 세탁기
WO2005012624A1 (en) * 2003-07-30 2005-02-10 John Edward Gough Drying apparatus
ZA200602582B (en) * 2003-09-29 2008-11-26 Self Propelled Res And Dev Spe Heat pump clothes dryer
JP3920299B2 (ja) * 2005-09-22 2007-05-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乾燥装置
JP4423323B2 (ja) * 2007-10-02 2010-03-0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ドラム式乾燥機及び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972612B2 (ja) * 2008-05-30 2012-07-1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EP2246470B1 (en) * 2009-04-28 2014-06-04 Candy S.p.A. Washer-drier machine
JP4698750B2 (ja) * 2009-09-24 2011-06-08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及び乾燥機
JP5068295B2 (ja) * 2009-09-24 2012-11-07 シャープ株式会社 乾燥機
US8572865B2 (en) * 2010-10-29 2013-11-05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hybrid dryer tub for airflow improvement
PL2471994T3 (pl) * 2011-01-04 2019-12-3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Urządzenie do suszenia materiałów pranych
CN202116896U (zh) * 2011-03-31 2012-01-1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烘一体机的烘干冷凝装置
CN102206916B (zh) * 2011-06-23 2016-08-3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用于滚筒干衣的热泵烘干系统及控制方法
CN102286872B (zh) * 2011-07-12 2016-11-1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带热泵烘干和除湿功能的洗衣干衣机
EP2549009B1 (en) * 2011-07-21 2013-12-2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es dryer and clothes dryer using such method
KR101579465B1 (ko) * 2013-07-19 2015-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CN105297372B (zh) * 2014-07-31 2019-02-1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烘干系统及烘干方法、洗衣干衣一体机、干衣机
CN204491256U (zh) * 2014-12-24 2015-07-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干衣机及其调湿装置
KR102053323B1 (ko) * 2015-07-31 2019-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흡습 부재가 구비된 세탁기
CN106917221B (zh) * 2015-10-26 2019-12-27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衣物烘干机
CN105463812B (zh) * 2015-12-30 2019-03-01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洗烘一体机
KR20180014615A (ko) * 2016-08-01 2018-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8004733B (zh) * 2016-10-31 2020-04-17 众智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烘衣机
KR102613562B1 (ko) * 2016-12-29 2023-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타입 건조기
KR102358922B1 (ko) * 2017-06-22 2022-02-0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CN107663761B (zh) * 2017-08-29 2019-12-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衣物烘干判断方法和装置
CN207159639U (zh) * 2017-09-13 2018-03-30 赵正华 采用热泵加热和冷凝集水功能的干衣机
KR20190128469A (ko) * 2018-05-08 2019-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CN212199700U (zh) * 2020-05-20 2020-12-22 山东大成洗涤机械有限公司 一种洗烘一体机
CN111926524A (zh) * 2020-08-24 2020-11-13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洗干一体机
CN213896424U (zh) * 2020-09-22 2021-08-06 云米互联科技(广东)有限公司 水气分离的换热组件及衣物烘干装置
CN113584800B (zh) * 2021-08-02 2022-09-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内衣烘干方法及洗烘一体设备
CN113981647A (zh) * 2021-09-01 2022-01-28 北京石头世纪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洗烘一体机
CN114318814B (zh) * 2021-12-07 2022-11-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烘干风道、洗干一体机及烘干风道的控制方法
CN114606745A (zh) * 2022-03-09 2022-06-10 创维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干衣机的判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113A (ko) 2024-03-22
CN218521473U (zh) 2023-02-24
TW202311594A (zh) 2023-03-16
AU2022336912A1 (en) 2024-04-18
CN220486084U (zh) 2024-02-13
WO2024045479A1 (zh) 2024-03-07
KR20240046831A (ko) 2024-04-09
WO2023030421A1 (zh) 2023-03-09
CN115726133A (zh) 2023-03-03
WO2024045478A1 (zh) 2024-03-07
AU2022338834A1 (en) 2024-04-18
CN117646320A (zh) 2024-03-05
WO2023030375A1 (zh) 2023-03-09
CN220827603U (zh) 2024-04-23
CA3230592A1 (en) 2023-03-09
CN117999387A (zh) 2024-05-07
AU2022340524A1 (en) 2024-04-11
CN220183633U (zh) 2023-12-15
CA3230573A1 (en) 2023-03-09
CN117881840A (zh) 2024-04-12
KR20240048569A (ko) 2024-04-15
CN117940629A (zh) 2024-04-26
CN220486085U (zh) 2024-02-13
CN220486100U (zh) 2024-02-13
CN117626611A (zh) 2024-03-01
CN218812690U (zh) 2023-04-07
CA3230580A1 (en) 2023-03-09
CN220846753U (zh) 2024-04-26
CN220827602U (zh) 2024-04-23
AU2022339127A1 (en) 2024-04-11
WO2023030394A1 (zh) 2023-03-09
WO2023031837A1 (en)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35642A (ko) 건조 장치 및 세탁 건조 일체형 기기
WO2024046232A1 (zh) 一种衣物处理设备
WO2017119586A1 (ko) 의류처리장치
US9850612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461979B1 (ko) 의류 처리장치
WO2023098763A1 (zh) 一种衣物处理设备
KR100600730B1 (ko) 배기식 건조기/세탁건조기
KR101481596B1 (ko) 의류 처리장치
KR20180048513A (ko) 의류 처리장치
CN118019887A (en) Drying device and washing and drying integrated machine
CN219385718U (zh) 一种洗护设备
CN218756579U (zh) 衣物处理设备
KR101130408B1 (ko) 폐열 회수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WO2022267891A1 (zh) 一种衣物处理装置
CN115198486A (zh) 一种门体结构及衣物处理装置
JP2024509647A (ja) 衣類ケア機
KR20110079482A (ko) 외부공기 유입구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CN115198487A (zh) 一种门体结构及衣物处理装置
KR101481597B1 (ko) 의류 처리장치
CN115110300A (zh) 衣物护理机
KR20020090768A (ko) 드럼세탁기의 건조방식 절환형 건조장치
JP3213510B2 (ja) 除湿乾燥装置
KR20090046066A (ko) 드럼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