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4173A -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4173A
KR20240034173A KR1020240030194A KR20240030194A KR20240034173A KR 20240034173 A KR20240034173 A KR 20240034173A KR 1020240030194 A KR1020240030194 A KR 1020240030194A KR 20240030194 A KR20240030194 A KR 20240030194A KR 20240034173 A KR20240034173 A KR 20240034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ckboard
car
driving mode
electric
electric kick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0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완순
손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40030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4173A/ko
Publication of KR20240034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4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Vehicles applying the vehicle anti-thef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동 킥보드와 자동차를 서로 연계시키되, 자동차 및 전동 킥보드 이용자가 차량의 AVN 장치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전동 킥보드의 운행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운행 모드를 전동 킥보드에 저장하며,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려는 사람이 전동 킥보드의 전원 스위치를 온시켜 전원을 공급하면,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가 내부에 저장된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스마트키 소지자의 운행만을 허용하거나, 자동차로부터 사전에 정의된 임계 거리 내에서만 운행이 가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동 킥보드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scooter}
본 발명은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동 킥보드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교통이 막히는 출퇴근 시간대에 또는 자동차가 이동하기 어려운 도심내 골목 등에서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전동 킥보드가 처음 도입되었을 때에는, 이용자가 일정한 수수료를 결제하고 전동 킥보드를 이용한 후 자신의 목적지에 세워두면, 그 근처에서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고자 하는 다른 이용자가 비용을 결제한 후 해당 전동 킥보드를 타고 자신이 목적지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동 킥보드가 대중화되면서, 개인이 직접 전동 킥보드를 구매하여 이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고, 이에 따라서 자동차와 같은 고가의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전동 킥보드를 사은품으로 증정하는 사례도 생겨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개인 소유 전동 킥보드의 경우, 일반 이용자들이 수수료를 결재하고 이용하는 공유형 전동 킥보드와 혼동하여 의도하지 않게 전동 킥보드 절도를 저지르는 문제 및 전동 킥보드 소유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전동 킥보드를 도난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방식으로 자동차와 전동 킥보드를 연계시켜, 전동 킥보드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는, 킥보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킥보드를 구동하는 킥보드 구동부; 자동차로부터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킥보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LF 신호를 스마트키로 송신하는 LF 통신 모듈; 자동차로부터 상기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RF 신호를 수신하는 킥보드 통신 모듈; 및 상기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제 1 모드(스마트키 운행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키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서 상기 킥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운행을 제어하는 상기 킥보드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제 1 모드(스마트키 운행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킥보드 제어부는, 상기 LF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키로 LF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LF 신호를 수신한 상기 스마트키가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킥보드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서 상기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전동 킥보드의 운행이 허락된 스마트키인지 여부에 대해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킥보드 구동부에 킥보드 운행을 승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제 2 모드(소정 거리내 운행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킥보드 제어부는, 일정 시간 주기로 상기 자동차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이용하여 전동 킥보드와 상기 자동차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거리 측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킥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제 2 모드(소정 거리내 운행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킥보드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전동 킥보드와 상기 자동차 간의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자동차와 전동 킥보드 간의 거리가 사전에 정의된 임계 거리내인 경우에만, 상기 킥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운행을 허용하고, 상기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운행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저장되지 않거나 제 3 모드(무제한 운행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킥보드 제어부는 모든 사용자에 대해서 운행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차는 내부에 설치된 AVN(Audio Video Navigation) 입출력 장치를 통해서 상기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RF 신호, 이동통신망, Wi-Fi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상기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전동 킥보드 관리 방법은, (a) 전동 킥보드에 대응되는 자동차로부터 전동 킥보드의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b) 이용자가 전원 스위치를 온(ON)시켜서 전원이 공급되면,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조사하는 단계; (c) 상기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제 1 모드(스마트키 운행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에, 전동 킥보드 주변의 스마트키로 LF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LF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로부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스마트키를 인증하는 단계; 및 (e) 상기 스마트키의 인증 결과에 따라서 킥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운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상기 스마트키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킥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전동 킥보드의 운행을 허용하고, 운행중에 상기 (c) 단계 내지 상기 (d) 단계를 반복수행하여, 스마트키로부터 RF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스마트키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 상기 킥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운행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 관리 방법은, (f) 상기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제 2 모드(소정 거리내 운행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에, 일정 시간 주기로 상기 자동차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이용하여 전동 킥보드와 상기 자동차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거리 측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킥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운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f) 단계는, 상기 자동차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전동 킥보드와 상기 자동차 간의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자동차와 전동 킥보드 간의 거리가 사전에 정의된 임계 거리내인 경우에만, 상기 킥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운행을 허용하고, 상기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운행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 관리 방법은, (g) 상기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저장되지 않거나 제 3 모드(무제한 운행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킥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모든 사용자에 대해서 운행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자동차는 내부에 설치된 AVN(Audio Video Navigation) 입출력 장치를 통해서 상기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RF 신호, 이동통신망, Wi-Fi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상기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동 킥보드와 자동차를 서로 연계시키되, 자동차 및 전동 킥보드 이용자가 차량의 AVN 장치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전동 킥보드의 운행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운행 모드를 전동 킥보드에 저장하며,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려는 사람이 전동 킥보드의 전원 스위치를 온시켜 전원을 공급하면,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가 내부에 저장된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스마트키 소지자의 운행만을 허용하거나, 자동차로부터 사전에 정의된 임계 거리 내에서만 운행이 가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동 킥보드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이와 연계되는 자동차 및 스마트키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이와 연계되는 자동차 및 스마트키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이와 연계되는 자동차 및 스마트키에서 수행되는 전동 킥보드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 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 및 이와 연계되는 자동차(100) 및 스마트키(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는 도난 방지를 위해서, 전동 킥보드의 운행과 관련하여 3가지 운행 모드(스마트키 운행 모드, 소정 거리내 운행 모드, 무제한 운행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자동차 소유자(또는 이용자)는 자동차(100)에 설치된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110)를 통해서 전동 킥보드의 운행 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이용자가 설정한 전동 킥보드의 운행 모드는 소정의 통신 방식에 따라서 전동 킥보드로 전송되어 내부에 저장된다.
이용자가 전동 킥보드 운행을 위해서 전원 스위치를 온(ON)시키면,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는 내부에 저장된 운행 모드를 확인하고, 운행 모드에 따라서 스마트키 인증 절차 또는 전동 킥보드와 자동차(100)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운행을 시작한다.
먼저, 제 1 운행 모드는 스마트키 운행 모드로서, 자동차(100)와 마찬가지로 자동차(100)의 스마트키(200)와 동일한 스마트키(200)를 소지한 사용자에 대해서만 전동 킥보드의 운행을 허용하는 모드이다.
제 1 운행 모드(스마트키 운행 모드)에서,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는 자동차(100)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키(200)를 인식한다. 즉, 이용자가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기 위해서 전원 스위치를 ON 시켜서 전원을 공급하면,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는 LF (Low Frequency) 신호를 송신하여 주변(예컨대, 약 1M 이내)에 자신에게 대응되는 스마트키(200)가 존재하는지 탐색하고, 스마트키(20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에서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인증에 성공하면 운행을 허용하게 된다. 이 경우, 이용자는 스마트키(200) 하나로, 자동차(100)와 전동 킥보드를 모두 운행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 2 운행 모드(소정 거리내 운행 모드)에서,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는 전동 킥보드에 대응되는 자동차(100)로부터 사전에 저장된 임계 거리(예컨대, 10M~20M) 내에서 자유롭게 운행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즉, 이용자가 자동차(100)에 전동 킥보드를 싣고 공원 등을 방문하여, 자동차(100) 주변에서 가족들이 전동 킥보드를 타는 경우에, 가족들 각각이 비록 스마트키(200)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자동차(100)에서 가까운 거리 내에서는 자유롭게 전동 킥보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이용자가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기 위해서 전원 스위치를 ON 시켜서 전원을 공급하면,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는 전동 킥보드에 대응되는 자동차(1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자동차(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자동차(100)와 전동 킥보드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 거리가 사전에 정의된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에는 운행이 가능하지만, 임계 거리를 벗어나면 운행을 중지한다.
마지막으로, 제 3 운행 모드(무제한 운행 모드)는 이용자에 무관하게 누구든 운행이 가능한 모드로서, 이용자는 누구라도 전원 스위치를 ON시켜서 전원을 공급 한 후 전동 킥보드를 운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 및 이와 연계되는 자동차(100) 및 스마트키(2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 및 이와 연계되는 자동차(100) 및 스마트키(2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세부 구성은 설명의 명료함을 위해서, 종래의 일반적인 구성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기능과 관련된 세부 구성만을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100)는 AVN 장치(110), 차량 제어부(130), 차량 통신 모듈(120), 및 차량 LF 통신 모듈(140)을 포함한다.
AVN 장치(110)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본 발명의 운행 모드 설정 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스마트키 운행 모드(제 1 운행 모드), 소정 거리내 운행 모드(제 2 운행 모드), 무제한 운행 모드(제 3 운행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아 차량 제어부(130)로 출력하고, 차량 제어부(130)는 이를 차량 통신 모듈(120)을 통해서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로 전송한다.
차량 LF 통신 모듈(140)은 일정한 시간 주기로 LF(Low Frequency) 신호를 송신하여 주변에 차량 소지자의 스마트키(2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차량 통신 모듈(120)은 기본적으로 스마트키(200)에서 전송된 RF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제어부(130)로 출력함으로써 차량 제어부(130)로 하여금 스마트키(200)를 인증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키(200)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량 통신 모듈(120)은 제 2 운행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로 RF 신호(또는 Wi-Fi 신호)를 전송하여,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로 하여금 자동차(100)와 전동 킥보드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량 통신 모듈(120)은 차량 제어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로 전송한다. 이 때, 차량 통신 모듈(120)이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로 전송하는 통신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따라서, 설계에 따라서 차량 통신 모듈(120)은 LTE와 같은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RF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도 있으며, Wi-Fi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차량 제어부(130)는 차량 LF 통신 모듈(140)을 제어하여 일정한 시간 주기로 LF 신호를 주변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키(20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에서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스마트키(200)를 인증한다.
스마트키(200)가 인증된 후, 사용자가 AVN 장치(110)를 통해서 전동 킥보드 운행 메뉴를 선택하면, AVN 장치(110)를 통해서 3가지 운행 모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운행 모드를 운행 모드 설정 정보로서 차량 통신 모듈(120)로 출력하여,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로 전송한다.
한편, 스마트키(200)는 일반적인 스마트키(20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내부에 LF 수신 모듈(240), RF 송신 모듈(220), 및 스마트키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LF 수신 모듈(240)은 자동차(100)와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에서 전송하는 LF 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키 제어부(230)로 출력한다.
스마트키 제어부(230)는 자동차(100) 또는 스마트키(200)에서 전송한 LF 신호가 LF 수신 모듈(240)에 수신되면,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전송하도록 RF 송신 모듈(220)을 제어하고, RF 송신 모듈(220)은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주변으로 전송한다.
한편,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는 킥보드 통신 모듈(320), 킥보드 제어부(330), 킥보드 구동부(350), 메모리(310) 및 킥보드 LF 통신 모듈(340)을 포함한다.
킥보드 LF 통신 모듈(340)은 킥보드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서 LF 신호를 주변으로 전송한다.
킥보드 통신 모듈(320)은 이동통신망, Wi-Fi, 또는 RF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 통신 모듈(120)로부터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킥보드 제어부(330)로 출력한다. 또한, 킥보드 통신 모듈(320)은 제 1 운행 모드에서 스마트키(200)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여 킥보드 제어부(330)로 출력하고, 제 2 운행 모드에서 차량 통신 모듈(120)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여 킥보드 제어부(330)로 출력한다.
킥보드 구동부(350)는 킥보드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서 전동 킥보드의 운행을 개시, 중지 또는 재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반적으로 킥보드 운행에 관여하는 구성 요소들을 킥보드 구동부(350)로 통칭하였다.
메모리(310)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킥보드 제어부(330)는 상기한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여, 본 발명의 전동 킥보드 관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킥보드 제어부(330)는 킥보드 통신 모듈(320)을 통해서, AVN 장치(110)에 사용자가 입력한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310)에 저장한다.
그 후, 킥보드 제어부(330)는 이용자가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기 위해서 전동 킥보드의 전원 스위치를 온(ON)시켜서 전원을 공급하면, 메모리(310)에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제 3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킥보드 제어부(330)는 무제한 모드(제 3 모드)라고 판단하고, 킥보드 구동부(350)로 하여금 킥보드 운행을 무제한으로 허용하고, 킥보드 구동부(350)는 운행을 시작한다.
만약,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제 1 운행 모드(스마트키 운행 모드)를 나타낸다면, 킥보드 제어부(330)는 킥보드 LF 통신 모듈(340)을 제어하여 LF 신호를 주변으로 전송하고, 킥보드 통신 모듈(320)을 통해서 스마트키(200)에서 전송한 RF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만약, 스마트키(200)에서 전송한 RF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이는 주변에 스마트키(200)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므로, 킥보드 구동부(350)를 제어하여 운행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RF 신호가 수신되면, 킥보드 제어부(330)는 RF 신호에서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실패하면 운행 중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지만, 인증에 성공하면 킥보드 구동부(350)를 제어하여 전동 킥보드 운행을 허용한다.
만약,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제 2 운행 모드(소정 거리내 운행 모드)를 나타낸다면, 킥보드 제어부(330)는 킥보드 통신 모듈(320)을 제어하여 자동차(100)로 일정한 시간 주기로 RF 신호(또는 Wi-Fi 신호)를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하고, 자동차(100)로부터 RF 신호(또는 Wi-Fi 신호)가 수신되면, RF 신호(또는 Wi-Fi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차(100)와 전동 킥보드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가 사전에 정의된 임계거리 이내인 경우에는 킥보드 구동부(350)로 하여금 킥보드 운행을 허용하고, 측정된 거리가 사전에 정의된 임계거리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킥보드 구동부(350)로 하여금 킥보드 운행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킥보드 제어부(330)는 제 2 운행 모드에서 운행이 계속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자동차(100)로부터 RF 신호(또는 Wi-Fi 신호)를 수신하여 거리를 측정하고, 거리가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운행을 중지시킨다. 이 때, 킥보드 제어부(330)는 RF 신호(또는 Wi-Fi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측정하여 자동차(100)와 전동 킥보드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 및 이와 연계되는 자동차(100) 및 스마트키(200)에서 수행되는 전동 킥보드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 관리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 및 이와 연계되는 자동차(100) 및 스마트키(200)에서 수행되는 것이므로, 그 기능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전체적인 흐름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AVN 장치(110)에서 운행 모드를 설정하고(S311), 자동차(100)는 사용자가 설정한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로 전송하며(S313),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는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310)에 저장한다(S315).
그 후, 사용자가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기 위해서 전원 스위치를 온시켜 전원이 공급되면(S321),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는 메모리(310)에 저장된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확인한다(S323,S325).
만약,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스마트키 운행 모드(제 1 운행 모드)를 나타낸다면,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는 LF 신호를 발생시켜 주변에 존재하는 스마트키(200)로 전송하고(S331), LF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200)는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발생시켜 전동 킥보드로 전송한다(S332).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는 주변 스마트키(200)로부터 RF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1차로 확인하고(S333), RF 신호가 수신되었다면 수신된 RF 신호에서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을 수행한다(S334).
만약, 인증에 성공하면 전동 킥보드의 운행이 개시되고(S335,S336), 운행 중에는 지속적으로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와 스마트키(200) 간에 인증이 수행되어, 스마트키(200)를 소지한 이용자가 전동 킥보드에서 내려서 전동 킥보드 주변을 떠나는 경우에는 RF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므로 인증이 실패한 것이므로 운행이 중지된다(S337).
한편, 상기한 제 S325 단계에서,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소정 거리내 운행 모드(제 2 운행 모드)를 나타내면,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는 전동 킥보드에 대응되는 자동차(100)로 RF 신호를 요청하고(S341), 자동차(100)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RF 신호를 전송한다(S342).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는 자동차(100)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차(100)와 전동 킥보드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RF 신호의 세기(RSSI)를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S343).
만약, 전동 킥보드와 자동차(100)간에 측정된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에는 운행을 개시하고(S344), 운행이 계속되는 동안에,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300)는 지속적으로 자동차(100)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운행이 가능하지만(S345), 거리가 임계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운행을 중지한다(S346).
한편, 상기한 제 S325 단계에서,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무제한 운행 모드(제 3 운행 모드)를 나타내거나,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대로 운행을 개시하고, 이용자의 스마트키 소지 여부 및 자동차(100)와의 거리에 무관하게 운행기 가능하다(S350).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가능한 명령어로 구현되어 비일시적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자동차
110 : AVN 120 : 차량 통신 모듈(RF/LTE/Wi-Fi)
130 : 차량 제어부 140 : 차량 LF 통신 모듈
200 : 스마트키
220 : RF 송신 모듈 230 : 스마트키 제어부
240 : LF 수신 모듈
300 :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310 : 메모리 320 : 킥보드 통신 모듈(RF/LTE/Wi-Fi)
330 : 킥보드 제어부 340 : 킥보드 LF 통신 모듈
350 : 킥보드 구동부

Claims (4)

  1. 킥보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킥보드를 구동하는 킥보드 구동부;
    자동차로부터 수신된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자동차로부터 상기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RF 신호를 수신하는 킥보드 통신 모듈; 및
    상기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제 2 모드(소정 거리내 운행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에, 일정 시간 주기로 상기 자동차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이용하여 전동 킥보드와 상기 자동차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거리 측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킥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운행을 제어하는 상기 킥보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제 2 모드(소정 거리내 운행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킥보드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전동 킥보드와 상기 자동차 간의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자동차와 전동 킥보드 간의 거리가 사전에 정의된 임계 거리내인 경우에만, 상기 킥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운행을 허용하고, 상기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운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3.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전동 킥보드 관리 방법으로서,
    (a) 전동 킥보드에 대응되는 자동차로부터 전동 킥보드의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b) 이용자가 전원 스위치를 온(ON)시켜서 전원이 공급되면, 운행 모드 설정 정보를 조사하는 단계; 및
    (f) 상기 운행 모드 설정 정보가 제 2 모드(소정 거리내 운행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에, 일정 시간 주기로 상기 자동차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이용하여 전동 킥보드와 상기 자동차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거리 측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킥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운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 관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자동차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전동 킥보드와 상기 자동차 간의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자동차와 전동 킥보드 간의 거리가 사전에 정의된 임계 거리내인 경우에만, 상기 킥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운행을 허용하고, 상기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운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 관리 방법.
KR1020240030194A 2021-12-09 2024-02-29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40034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0194A KR20240034173A (ko) 2021-12-09 2024-02-29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993A KR102644278B1 (ko) 2021-12-09 2021-12-09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240030194A KR20240034173A (ko) 2021-12-09 2024-02-29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993A Division KR102644278B1 (ko) 2021-12-09 2021-12-09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173A true KR20240034173A (ko) 2024-03-13

Family

ID=869482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993A KR102644278B1 (ko) 2021-12-09 2021-12-09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240030194A KR20240034173A (ko) 2021-12-09 2024-02-29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993A KR102644278B1 (ko) 2021-12-09 2021-12-09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442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5607B2 (en) * 1999-06-04 2007-10-0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Control of a personal transporter based on user position
KR20220049664A (ko) * 2020-10-14 2022-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75828B1 (ko) * 2021-03-04 2022-12-09 김용호 차량에 분리 결합이 가능한 스마트 모빌리티 및 이를 포함한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278B1 (ko) 2024-03-06
KR20230087230A (ko)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67817B (zh) 用于使机动车在激活的至少半自动的行驶模式中运行的方法以及用于机动车的授权装置和机动车
US2018029382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anaging access to a vehicle
CN107872508B (zh) 用于车辆共享系统的关系管理
US10078924B2 (en) Maintenance management for vehicle-share systems
CN103359053B (zh) 车辆控制装置以及车辆控制系统
WO20201409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a vehicel using a wireless access device
CN107031566A (zh) 用于启用车辆驶离的方法和系统
CN104057919A (zh) 用于车辆的生物识别访问和个性化服务的系统
WO2016152061A1 (ja) ユーザ識別システム、車両用携帯機
CN103810630A (zh) 个人车辆租用的硬件和控制
CN110304076A (zh) 用于选择性驾驶模式启用的方法和设备
US11094027B2 (en) System and method to establish primary and secondary control of rideshare experience features
KR20160082452A (ko) 차량 시스템 제어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20094A (ko) 차량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644278B1 (ko) 전동 킥보드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179051B1 (ko) 자율 주행 차량과 그 인증 대행 방법
KR102317494B1 (ko) 차량 하차 확인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하차 확인 시스템 및 방법
JP5777763B1 (ja) 電子キー装置
JP2015134556A (ja) 車載機器および車載機器における操作の抑制方法
US11560034B1 (en) Situation-based vehicle configuration
KR102524288B1 (ko) 휴대 단말, 차량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접속 방법
KR102255804B1 (ko) 모바일 단말기의 기능 제한 장치 및 그 방법
Albertengo et al. Smartphone enabled connected vehicles pave the way to intelligent mobility
CN114616139A (zh) 通过听觉信号的拼车的行程认证
JP4527357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移動体端末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