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288B1 - 휴대 단말, 차량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차량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288B1
KR102524288B1 KR1020170119449A KR20170119449A KR102524288B1 KR 102524288 B1 KR102524288 B1 KR 102524288B1 KR 1020170119449 A KR1020170119449 A KR 1020170119449A KR 20170119449 A KR20170119449 A KR 20170119449A KR 102524288 B1 KR102524288 B1 KR 102524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1703A (ko
Inventor
설운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9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2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31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차량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차량 접속 방법은, 차량의 사용에 관련된 예약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차량 사이의 접속에 관련된 접속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의 전송에 따라 차량 접속 신호를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접속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접속 신호를 수신한 상기 차량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이 시도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차량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접속 방법{A portable terminal, a vehicle management server, and a vehicle access method performed by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텔레매틱스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과 차량 사이의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용 무선통신 기술인 텔레매틱스(telematics)가 탑재된 차량이 확대되고 있다. 텔레매틱스는 무선통신 기술과 차량에 탑재된 센서를 활용한 자율주행, 안전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주로 차량 보안 장치나 차량 경고음 제공 장치, 차량의 원격 제어 장치 등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텔레매틱스는 차량에 탑재되는 텔레매틱스 장치와 차량 외부의 텔레매틱스 서버(server) 사이의 원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차량 대여 시장뿐만 아니라 차량 대여 시장과 유사한 시장으로서 카셰어링(carsharing) 시장 및 카헤일링(carhailing)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있다. 카셰어링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는 주택가 근처에서 시간 단위로 차량을 빌려 쓰고 지정된 차량 보관소에 반납할 수 있다. 카셰어링 서비스와 유사한 카헤일링 서비스는 단순히 이동을 원하는 사용자와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실시간으로 연결해줄 수 있다.
이러한 차량 공유 서비스의 확산과 관련하여 기존의 차량은 한계점을 갖는다. 기존의 차량에 탑재된 멀티미디어 기능은 특정 운전자에 한하여 이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운전자가 소지하는 휴대 단말은 AVN(Audio video navigation system)에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데, AVN에 이전에 연결 및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있는 경우에 휴대 단말은 차량과 연결될 수 있고, 연결 이후 휴대 단말과 차량 사이에서 수행되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차량에 이전에 연결 및 저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의 정보가 없는 경우, 휴대 단말을 AVN에 등록하는 절차가 수행되어야 비로소 운전자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불특정 차량과 운전자가 소지하는 휴대 단말 사이에서 수행되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매번 등록 절차를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불편은 차량을 공공재가 아닌 개별 소비재로 인식하는 차량에 대한 소유 기반 관념에서 기인할 수 있다.
차량에 대한 공유 경제가 활성화됨에 따른 카헤일링 서비스 및 카셰어링 서비스의 보급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텔레매틱스가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텔레매틱스를 이용하여 차량과 휴대 단말 사이의 연결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차량 접속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 차량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접속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를 이용하여 차량과 휴대 단말 사이의 연결을 위한 접속 정보를 자동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차량 접속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차량 접속 방법은, 차량의 사용에 관련된 예약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차량 사이의 접속에 관련된 접속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의 전송에 따라 차량 접속 신호를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접속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한 상기 차량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이 시도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차문(vehicle door) 열림 신호, 원격 시동 신호, 원격 공조 제어 신호, 원격 열선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RF(Radio Frequency) 통신, LF(Low Frequency) 통신, 지그비(Zig 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제어 서버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차량의 사용에 관련된 예약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차량 사이의 접속에 관련된 접속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차량에 대한 예약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예약 정보의 수신에 대한 예약 승인 및 접속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상기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차량에 대한 식별 정보, 대여 날짜, 대여 시각, 반납 날짜, 반납 시각, 대여 시간, 상기 차량의 대여 위치, 상기 차량의 반납 위치, 상기 차량의 차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의 단말 식별 정보 또는 인증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이 시도되는 단계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차량으로 상기 인증키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서버의 접속 제어 방법은, 휴대 단말로부터 차량의 사용에 관련된 예약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차량 사이의 접속에 관련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 계약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계약이 만족되면, 상기 차량으로 상기 접속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차량의 사용에 관련된 예약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차량 사이의 접속에 관련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예약 정보의 수신에 대응하여 예약 승인을 전송한 후 상기 휴대 단말로 접속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차량에 대한 식별 정보, 대여 날짜, 대여 시각, 반납 날짜, 반납 시각, 대여 시간, 상기 차량의 대여 위치, 상기 차량의 반납 위치, 상기 차량의 차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의 단말 식별 정보 또는 인증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 계약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현재 날짜, 현재 시각,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계약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 계약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사용 계약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현재 날짜, 현재 시각,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계약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 계약이 종료되면, 상기 차량으로 상기 접속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삭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차량으로부터 삭제 완료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로 상기 휴대 단말과 관련된 정보의 삭제가 완료됨을 지시하는 삭제 완료 통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사용 계약의 종료를 지시하는 계약 종료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삭제를 지시하는 정보 삭제 완료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차량의 사용에 관련된 예약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차량 사이의 접속에 관련된 접속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원거리통신부; 및 상기 차량으로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원거리통신부에 의해 차량 접속 신호를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 접속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한 상기 차량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을 수행하는 근거리통신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차량의 차문(vehicle door) 열림 신호, 원격 시동 신호, 원격 공조 제어 신호, 원격 열선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는 RF(Radio Frequency) 통신, LF(Low Frequency) 통신, 지그비(Zig 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되거나,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제어 서버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원거리통신부는,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차량에 대한 예약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예약 정보의 수신에 대한 예약 승인 및 접속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상기 접속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차량에 대한 식별 정보, 대여 날짜, 대여 시각, 반납 날짜, 반납 시각, 대여 시간, 상기 차량의 대여 위치, 상기 차량의 반납 위치, 상기 차량의 차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의 단말 식별 정보 또는 인증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근거리통신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차량으로 상기 인증키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서버는, 휴대 단말로부터 차량의 사용에 관련된 예약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차량 사이의 접속에 관련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 계약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계약이 만족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 상기 접속 정보를 전달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예약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예약 정보의 수신에 대응하여 예약 승인을 전송한 후 상기 휴대 단말로 접속 정보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차량에 대한 식별 정보, 대여 날짜, 대여 시각, 반납 날짜, 반납 시각, 대여 시간, 상기 차량의 대여 위치, 상기 차량의 반납 위치, 상기 차량의 차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의 단말 식별 정보 또는 인증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현재 날짜, 현재 시각,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계약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 계약의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현재 날짜, 현재 시각,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계약의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계약이 종료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 상기 접속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삭제 요청을 전송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삭제 완료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로 상기 휴대 단말과 관련된 정보의 삭제가 완료됨을 지시하는 삭제 완료 통지를 전송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사용 계약의 종료를 지시하는 계약 종료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삭제를 지시하는 정보 삭제 완료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차량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접속 방법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차량을 최초로 이용할 때 휴대 단말과 차량 사이의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정보를 별도로 입력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차량 사용 이후 차량에 남아 있는 개인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를 이용하는 차량 접속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에에 따른 텔레매틱스를 이용하는 차량 접속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예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차량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접속 방법 중 개인 정보 삭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접속 방법 중 개인 정보 삭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휴대 단말의 예약 정보 전송 및 정보 요청 승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휴대 단말에 대한 개인 정보 삭제 통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차량에 탑재된 멀티미디어 기능은 차량에 장착된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AVN 장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시스템이라고도 지칭되며, 운전자에게 주행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음악 및 비디오 등의 즐길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AVN 장치는 멀티미디어 헤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공유 차량 및 대여 차량에 탑재된 AVN 장치는 운전자가 소지하는 휴대 단말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의 개인 정보가 AVN 장치로 이동될 수 있다.
휴대 단말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AVN 장치는 휴대 단말과 통신을 통해 운전자 각각에 맞춰진 정보 및 즐길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VN 장치는 휴대 단말에 포함된 커넥티비티 어플리케이션(connectivity application)과 연동하여 운전자의 개인 연락처, 전화, 음악, 스케줄링, 문자, 음성인식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AVN 장치는 휴대 단말로부터 전달 받은 개인 정보에 따라 운전자가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기 쉽게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
차량과 휴대 단말 사이에 정보가 송수신되기 전 운전자는 AVN 장치에 휴대 단말을 등록하는 절차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차량과 휴대 단말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되기 위해서, 페어링(pairing) 과정에서 접속 정보를 최초 1회 입력해야 한다. 접속 정보는 휴대 단말과 차량 상호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기 위해 인증하기 위한 정보 일 수 있다.
운전자 또는 운전자의 가족과 같은 특정인만이 사용하는 개별 차량의 경우, 최초 1회 접속 정보를 등록하는 것은 문제되지 않는다. 다만, 공유 차량의 경우, 불특정 다수의 차량을 이용할 때 마다 운전자가 이용하는 차량이 달라지므로, 운전자는 등록 절차를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본 발명은 공유 차량 또는 대여 차량에 탑재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와 휴대 단말 사이의 무선 통신 연결을 운전자의 초기 등록 없이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를 이용하는 차량 접속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에에 따른 텔레매틱스를 이용하는 차량 접속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기지국(140)만이 추가되어 있으므로, 함께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차량에 탑재된 텔레매틱스 장치(110)는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텔레매틱스 서버(130)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통신 기술 또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120)와 연결될 수 있다.
텔레매틱스 장치(110)은 차량에 장착된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와 연동되어 차량에서 요구되는 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버(130)로 송신할 수 있고, AVN 장치는 텔레매틱스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AVN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서버(130)는 차량에 탑재된 텔레매틱스(telematics)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되는 네트워크 장치로서, 차량의 고유 정보, 차량의 운행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서버(130)는 차량의 주행 중 또는 주행 전/후에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과 연동할 수 있다. 또한, 텔레매틱스 서버(130)는 운전자(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고, 차량 주행 및 안전과 관련된 장치/기능의 조작을 도울 수 있다. 특히, 휴대 단말(120)은 텔레매틱스 서버(130)를 통해 차량의 문을 열거나 시동을 킬 수 있다.
휴대 단말(120)은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할 때 소지할 수 있는 단말로서,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120)은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하며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20)은 텔레매틱스 장치(110) 및 텔레매틱스 서버(130)와 통신이 가능한 기기라면 족하다.
휴대 단말(120)은 무선 통신 기술 및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차량 또는 텔레매틱스 서버(130)와 연동할 수 있으며, 차량의 고유 정보 또는 운전자의 개인 정보 등을 저장하거나 취득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장치(110) 또는 휴대 단말(120) 각각은 통신 기지국(140)을 통해 텔레매틱스 서버(130)와 원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기지국(140)은 휴대 단말(120)과 텔레매틱스 서버(130) 사이 및 텔레매틱스 장치(110)과 텔레매틱스 서버(13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기지국(140)은 중계 역할로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통신 채널 설정, 통신 채널 감시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차량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20)은 차량에 탑재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1)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차량에 탑재된 AVN 장치에 포함되거나, 텔레매틱스 장치(110)에 포함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은 비교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통신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차량에서 손을 쓰지 않고 전화 통화를 하는 등의 핸즈프리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지그비(Zig 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20)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1) 각각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허용되는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상호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휴대 단말(120)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1) 각각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이 설정되기 전 상호 간에 검색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1)은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페어링(pairing)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120)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1) 사이의 연결은 휴대 단말(120)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1)에 탑재된 근거리 통신기술을 수행하는 장치/모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는 최초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때 휴대 단말(120)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1)에 페어링 절차를 수행하면서 인증을 위한 접속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정보는 인증키일 수 있고, 핀 넘버(pin number)일 수 있다.
휴대 단말(120)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1)에 이전에 근거리 통신 채널이 설정됨에 따른 접속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접속 정보의 입력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휴대 단말(120)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1) 각각이 상호간에 검색되면, 이전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1)은 차량에 장착된 텔레매틱스 장치로부터 접속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최초로 휴대 단말(120)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1)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이 설정되는 경우라도 사용자의 별도의 접속 정보의 입력 없이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 차량에 장착된 근거리 통신 모듈(111)이 텔레매틱스 장치로부터 접속 정보를 전달 받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차량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20)은 차량을 예약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2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예약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예약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차량에 대한 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 휴대 단말(12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 예약뿐만 아니라, 텔레매틱스 서버를 매체로 하여 제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차량으로 직접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휴대 단말(120)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은 차량에 대한 원격 제어를 텔레매틱스 서버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으로 차문열기, 차문잠금, 비상등 활성화, 경적 출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예약한 차량을 인도 받은 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휴대 단말(120)은 차문열기를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텔레매틱스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고, 텔레매틱스 서버(130)는 텔레매틱스 장치(110)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장치(110)은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전장품으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120)은 차문열기를 요청하는 제어 신호와 함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접속을 위한 접속 정보도 함께 텔레매틱스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고, 텔레매틱스 서버(130)는 접속 정보도 함께 텔레매틱스 장치(110)이 장착된 차량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휴대 단말의 예약 정보 전송 및 정보 요청 승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5에서 차량 관리 서버가 차량으로 접속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추가 조건이 부가된 실시예로서, 도 5와 함께 설명한다. 또한, 도 7a 및 도 7b는 휴대 단말이 차량 관리 서버로 예약 요청할 때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출력 화면으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차량을 인도한 후, 사용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면 차량에 탑재된 AVN 장치를 포함한 전장품들이 활성화될 수 있다. AVN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에서 휴대 단말을 검색할 수 있다. 검색에 의해 발견된 휴대 단말은 AVN 장치와 페어링 과정을 실시할 수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의 연결을 위한 접속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 사용을 예약할 경우, 휴대 단말과 차량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하고, 이후 사용자가 차량을 인도 받을 때 최초에 요구되는 접속 정보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차량 접속 방법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차량을 인도 받고 탑승할 때, 차량과 휴대 단말 사이의 접속을 통해 이용 가능한 편의 기능의 사용을 최초의 별도의 정보 입력이 요구되는 페어링 절차를 거치지 않고, 차량에 저장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휴대 단말과 차량간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설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접속 방법은 크게 사용자가 예약하는 과정에서 예약 정보를 전송하면서 이와 함께, 차량 관리 서버로 휴대 단말의 식별 정보와 차량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차량 관리 서버가 사용 계약이 유효하다고 판단하면 접속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 차량이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시도하고 접속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은 차량 관리 서버로 차량을 사용하기 위한 예약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휴대 단말은 휴대 단말에 포함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예약 요청을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나, 반드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지 않고,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서도 전송할 수 있다.
차량 관리 서버는 휴대 단말과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차량과 직접 원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텔레매틱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이 전송하는 예약 요청에는 예약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도 7a를 참조하면, 예약 정보는 사용을 요청한 차량에 대한 식별 정보, 대여 날짜, 대여 시각, 반납 날짜, 반납 시각, 대여 시간, 사용을 요청한 차량의 대여 위치, 차량의 반납 위치, 차량의 차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약 요청을 수신한 차량 관리 서버는 예약 정보에 해당하는 차량에 대한 사용을 위한 예약 승인을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차량 관리 서버는 예약 요청을 전송한 휴대 단말로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차량 관리 서버가 휴대 단말로 요청한 정보는 휴대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및 휴대 단말과 차량이 접속하는데 필요한 인증과 관계되는 접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정보 요청을 수신한 휴대 단말은 요청된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할지 여부에 대한 승인 여부를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즉, 차량 관리 서버는 예약 과정에서 차량과 휴대 단말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의 동의를 요구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은 차량과 휴대 단말의 자동 연결을 위한 동의에 대한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관리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 중 차량으로 전달되는 정보에 대한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주소, 휴대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이름, 휴대 단말의 프로파일, 휴대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연락처, 통화 목록, 미디어 정보가 자동 연결 시 차량으로 전송될 수 있음을 지시하는 문구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차량 관리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 이용이 종료될 경우, 상기 전송될 수 있는 정보가 파기될 수 있음을 지시하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 내지 도 9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차량과 휴대 단말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의 정보 요청에 승인하는 경우(도 7b에서 “동의”를 입력한 경우), 휴대 단말은 휴대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및 접속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 관리 서버는 전송 받은 식별 정보 및 접속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사용 계약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 관리 서버는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예약 정보가 현재 상황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 계약이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상황은 현재 날짜, 현재 시각,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차량 관리 서버는 예약 정보에 포함된 예약 날짜 및 예약 시각과 현재 날짜 및 현재 시각을 각각 비교하여 차이가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현재 상황이 예약 정보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차량 관리 서버는 현재 날짜, 현재 시각,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예약 정보와 비교할 수 있고, 예약 정보가 현재 상황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 계약이 만족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여 날짜 및 대여 시각이 2015년 06년 09일 화요일 16시 50분이며, 반납 날짜 및 반납 시각이 2015년 06년 09일 화요일 17시 20분이고, 대여 시간이 30분이며, 대여 위치가 서울이고, 차종이 소형차인 일 수 있다. 이때, 현재 날짜가 2015년 06년 09일 화요일 16시 45분인 경우, 차량 관리 서버는 현재 상황이 예약 정보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관리 서버는 사용 계약이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차량으로 휴대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접속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사용 계약이 유효하더라도 휴대 단말로부터 차량 접속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한하여 차량 관리 서버는 식별 정보 및 접속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 단말은 차량으로 차량의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데, 실시예에 따라, 제어 신호는 차량의 차문(vehicle door) 열림 신호, 원격 시동 신호, 원격 공조 제어 신호, 원격 열선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휴대 단말은 RF(Radio Frequency) 통신, LF(Low Frequency) 통신, 지그비(Zig 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제어 서버를 통해 차량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휴대 단말이 차량 또는 차량 제어 서버를 통해 제어 신호를 발신하면, 휴대 단말이 차량을 사용할 것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이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면 휴대 단말은 차량 관리 서버로 차량 접속 신호를 전송하여 차량에 대한 사용이 곧 있을 것임을 지시할 수 있다. 차량 관리 서버는 휴대 단말로부터 차량 접속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이 차량에 인접하여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관리 서버는 저장하고 있던 식별 정보 및 접속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접속 정보를 수신한 차량은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을 검색할 수 있다. 차량은 차량 내부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허용가능한 영역에 휴대 단말이 위치하는지 검색할 수 있다.
식별 정보에 대응한 휴대 단말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검색되지 않으면, 차량은 검색을 종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동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식별 정보에 대응한 휴대 단말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검색되는 경우, 차량은 휴대 단말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접속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차량으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한 휴대 단말은 차량으로 접속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차량이 휴대 단말로 접속 정보를 전송하면 휴대 단말은 인증을 완료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추가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차량과 휴대 단말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접속되면 차량 및 휴대 단말 각각은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접속 정보가 삭제되지 않은 이상 차량과 휴대 단말은 별도의 페어링 절차의 수행 없이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접속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접속 방법 중 개인 정보 삭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접속 방법 중 개인 정보 삭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휴대 단말에 대한 개인 정보 삭제 통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 및 도 9은 차량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의 삭제 방법에 대한 것으로 함께 설명한다. 그리고, 도 10은 개인 정보 삭제 후 휴대 단말을 통해 개인 정보가 삭제되었음을 통지하기 위한 것으로 함께 설명한다.
차량이 공유 차량 또는 대여 차량인 점을 고려할 때, 차량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휴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는 차량 사용 이후 삭제될 필요가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차량 관리 서버 및 차량 각각은 예약 정보를 현재 상황과 비교하여 차량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직접 삭제하거나, 삭제를 지시할 수 있다. 직접 삭제하거나, 삭제를 지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예약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는 시한부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 관리 서버는 사용 계약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 관리 서버는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예약 정보가 현재 상황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사용 계약이 사용 계약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상황은 현재 날짜, 현재 시각,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차량 관리 서버는 현재 날짜, 현재 시각,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예약 정보와 비교할 수 있고, 예약 정보가 현재 상황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 계약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여 날짜 및 대여 시각이 2015년 06년 09일 화요일 16시 50분이며, 반납 날짜 및 반납 시각이 2015년 06년 09일 화요일 17시 20분이고, 대여 시간이 30분이며, 대여 위치가 서울이고, 차종이 소형차인 일 수 있다. 이때, 현재 날짜가 2015년 06년 09일 화요일 17시 25분인 경우, 차량 관리 서버는 현재 상황이 예약 정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관리 서버는 사용 계약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차량으로 차량에 저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에 대한 관련 정보 및 접속 정보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휴대 단말에 대한 관련 정보는 휴대 단말로부터 차량으로 전송된 개인 정보로서, 휴대 단말에 대한 관련 정보는 휴대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주소, 휴대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이름, 휴대 단말의 프로파일, 휴대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연락처, 통화 목록, 미디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정보의 삭제를 요청 받은 차량은 차량에 저장된 휴대 단말 관련 정보(예를 들어, 연락처, 통화 목록)등을 삭제할 수 있고, 정보 삭제의 완료를 지시하는 정보 삭제 완료를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 관리 서버는 정보 삭제 요청 후 일정 시간 이내 차량으로부터 정보 삭제 완료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정보 삭제 완료를 확인하지 않고 다시 차량으로 정보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차량 관리 서버는 정보 삭제 요청 후 일정 시간 이내 차량으로부터 정보 삭제 완료를 수신하는 경우, 정보 삭제 완료를 확인하고 도 10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로 정보 삭제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도 9에서 사용 계약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는 차량 관리 서버가 아닌 차량에서 수행될 수 있다. 사용 계약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는 도 8에서의 차량 관리 서버의 동작과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차량은 스스로 사용 계약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차량에 저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삭제하고, 삭제가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 삭제 완료를 차량 관리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차량으로부터 정보 삭제 완료를 수신한 차량 관리 서버는 휴대 단말로 개인 정보의 삭제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31)

  1. 휴대 단말의 차량 접속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사용에 관련된 예약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차량 사이의 접속에 관련된 접속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의 전송에 따라 차량 접속 신호를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접속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한 상기 차량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이 시도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의 단말 식별 정보 또는 인증키를 포함함으로써, 차량 사용 예약시에 휴대 단말과 차량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미리 전송하고, 차량 인도시에는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한 차량과 상기 휴대 단말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이 시도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차량으로 상기 인증키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차량 접속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차문(vehicle door) 열림 신호, 원격 시동 신호, 원격 공조 제어 신호, 원격 열선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차량 접속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RF(Radio Frequency) 통신, LF(Low Frequency) 통신, 지그비(Zig 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제어 서버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차량 접속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사용에 관련된 예약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차량 사이의 접속에 관련된 접속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차량에 대한 예약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예약 정보의 수신에 대한 예약 승인 및 접속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상기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차량 접속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차량에 대한 식별 정보, 대여 날짜, 대여 시각, 반납 날짜, 반납 시각, 대여 시간, 상기 차량의 대여 위치, 상기 차량의 반납 위치, 상기 차량의 차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차량 접속 방법.
  6. 삭제
  7. 휴대 단말로부터 차량의 사용에 관련된 예약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차량 사이의 접속에 관련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 계약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계약이 만족되면, 상기 차량으로 상기 접속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의 단말 식별 정보 또는 인증키를 포함함으로써, 차량 사용 예약시에 휴대 단말과 차량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미리 수신하고, 차량 인도시에 접속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하여 상기 휴대 단말과 차량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되,
    상기 차량의 접속 요청을 수신한 휴대 단말에서 상기 차량으로 인증키 요청을 전송한 후,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이 인증을 수행하는,
    차량 관리 서버의 접속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차량의 사용에 관련된 예약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차량 사이의 접속에 관련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예약 정보의 수신에 대응하여 예약 승인을 전송한 후 상기 휴대 단말로 접속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관리 서버의 접속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차량에 대한 식별 정보, 대여 날짜, 대여 시각, 반납 날짜, 반납 시각, 대여 시간, 상기 차량의 대여 위치, 상기 차량의 반납 위치, 상기 차량의 차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관리 서버의 접속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 계약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현재 날짜, 현재 시각,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계약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관리 서버의 접속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 계약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관리 서버의 접속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사용 계약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현재 날짜, 현재 시각,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계약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관리 서버의 접속 제어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계약이 종료되면, 상기 차량으로 상기 접속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삭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관리 서버의 접속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삭제 완료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로 상기 휴대 단말과 관련된 정보의 삭제가 완료됨을 지시하는 삭제 완료 통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관리 서버의 접속 제어 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사용 계약의 종료를 지시하는 계약 종료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삭제를 지시하는 정보 삭제 완료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관리 서버의 접속 제어 방법.
  16.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7. 휴대 단말에 있어서,
    차량의 사용에 관련된 예약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차량 사이의 접속에 관련된 접속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원거리통신부; 및
    상기 차량으로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원거리통신부에 의해 차량 접속 신호를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 접속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한 상기 차량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을 수행하는 근거리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의 단말 식별 정보 또는 인증키를 포함함으로써, 차량 사용 예약시에 차량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미리 전송하고, 차량 인도시에는 접속 정보의 추가 전송 없이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한 차량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되며,
    상기 근거리통신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차량으로 상기 인증키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차량의 차문(vehicle door) 열림 신호, 원격 시동 신호, 원격 공조 제어 신호, 원격 열선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RF(Radio Frequency) 통신, LF(Low Frequency) 통신, 지그비(Zig 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되거나,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제어 서버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 전송되는,
    휴대 단말.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통신부는,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차량에 대한 예약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예약 정보의 수신에 대한 예약 승인 및 접속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상기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휴대 단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차량에 대한 식별 정보, 대여 날짜, 대여 시각, 반납 날짜, 반납 시각, 대여 시간, 상기 차량의 대여 위치, 상기 차량의 반납 위치, 상기 차량의 차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22. 삭제
  23. 휴대 단말로부터 차량의 사용에 관련된 예약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차량 사이의 접속에 관련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 계약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계약이 만족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 상기 접속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의 단말 식별 정보 또는 인증키를 포함함으로써, 차량 사용 예약시에 휴대 단말과 차량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미리 수신하고, 차량 인도시에 접속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하여 상기 휴대 단말과 차량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되,
    상기 차량의 접속 요청을 수신한 휴대 단말에서 상기 차량으로 인증키 요청을 전송한 후,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이 인증을 수행하는,
    차량 관리 서버.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예약 정보를 수신하며,상기 예약 정보의 수신에 대응하여 예약 승인을 전송한 후 상기 휴대 단말로 접속 정보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관리 서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차량에 대한 식별 정보, 대여 날짜, 대여 시각, 반납 날짜, 반납 시각, 대여 시간, 상기 차량의 대여 위치, 상기 차량의 반납 위치, 상기 차량의 차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관리 서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날짜, 현재 시각,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계약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관리 서버.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 계약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관리 서버.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날짜, 현재 시각,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계약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관리 서버.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계약이 종료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 상기 접속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삭제 요청을 전송시키는,
    차량 관리 서버.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삭제 완료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로 상기 휴대 단말과 관련된 정보의 삭제가 완료됨을 지시하는 삭제 완료 통지를 전송시키는,
    차량 관리 서버.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사용 계약의 종료를 지시하는 계약 종료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삭제를 지시하는 정보 삭제 완료를 수신하는,
    차량 관리 서버.
KR1020170119449A 2017-09-18 2017-09-18 휴대 단말, 차량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접속 방법 KR102524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449A KR102524288B1 (ko) 2017-09-18 2017-09-18 휴대 단말, 차량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접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449A KR102524288B1 (ko) 2017-09-18 2017-09-18 휴대 단말, 차량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접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703A KR20190031703A (ko) 2019-03-27
KR102524288B1 true KR102524288B1 (ko) 2023-04-21

Family

ID=6590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449A KR102524288B1 (ko) 2017-09-18 2017-09-18 휴대 단말, 차량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2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2434B2 (ja) * 2019-10-31 2023-08-2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情報管理システム
KR102467562B1 (ko) * 2020-08-25 2022-11-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예약을 위한 통신사 서버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9348A (ja) * 2012-08-22 2014-11-06 光彦 神澤 レンタカー管理システム、レンタカー管理方法、レンタカー管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2816B2 (en) * 2009-10-30 2021-06-22 Getaround, Inc. Vehicle access control services and platform
KR20130045017A (ko) *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차량
KR20140009684A (ko) * 2012-07-12 2014-01-23 유비벨록스(주) 무인 임대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1418A (ko) * 2012-08-27 2014-03-13 주식회사 얼라이드인터내셔널 무인 자동화 차량대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9348A (ja) * 2012-08-22 2014-11-06 光彦 神澤 レンタカー管理システム、レンタカー管理方法、レンタカー管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703A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6574B2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車両貸出返却方法
JP6662965B2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車両貸出返却方法
US9253190B2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WO2019114600A1 (zh) 用于管理车辆控制权限的方法和装置
US20150223013A1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received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8248548B (zh) 一种远程分享汽车钥匙的方法以及装置
CN107182035B (zh) 使用基于位置的服务的无线车辆充电通信系统和方法
US109194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valet key configuration and relay
CN108990030A (zh) 无线装置连接管理
JP6481993B2 (ja) 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7147638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60119961A1 (en) Simplified pairing of a second device in a vehicle vi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N105007382A (zh) 用于车辆与移动装置协调的方法和设备
KR20150011896A (ko)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 및 그 방법
KR102524288B1 (ko) 휴대 단말, 차량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접속 방법
US9367969B2 (en) System and method of interlocking vehicle terminal with portable terminal
CN105282139A (zh) 在传输断开时自动关闭应用的方法
US9240081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vehicular telematics service
US201700808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pairing based on fob presence
CN103916977B (zh) 控制终端连接短距离无线网络的方法
US201702650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rtable telematics services
US201701784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arking meter payment
KR20180036812A (ko) 공유 차량의 신호장치와 현재 운전자 연동 방법
CN111800302A (zh) 自动配网方法及系统、中控网关和物联网终端
CN115665698B (zh) 实现数字钥匙的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