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550A - 조달 관리 시스템, 조달 관리 시스템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조달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조달 관리 시스템, 조달 관리 시스템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조달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550A
KR20240028550A KR1020247005681A KR20247005681A KR20240028550A KR 20240028550 A KR20240028550 A KR 20240028550A KR 1020247005681 A KR1020247005681 A KR 1020247005681A KR 20247005681 A KR20247005681 A KR 20247005681A KR 20240028550 A KR20240028550 A KR 20240028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supplier
suppliers
produc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5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스케 키도
요시노리 타카시마
유이치 카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스미그룹 혼샤
가부시키가이샤 미스미그룹 혼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스미그룹 혼샤, 가부시키가이샤 미스미그룹 혼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스미그룹 혼샤
Publication of KR20240028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55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조달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물품의 요구 수량을 포함하는 요구 조건과, 물품을 공급가능한 복수의 서플라이어 각각에 의한 물품의 공급량을 포함하는 공급 조건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23A)과, 요구 조건과 공급 조건에 기초하여 물품의 요구 수량을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둘 이상의 공급자에게 배분해야 하는 배분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23G)과, 배분 조건이 충족될 경우에 복수의 서플라이어로부터 둘 이상의 공급자를 공급 서플라이어군으로 선택하는 선택 수단(23C)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조달 관리 시스템, 조달 관리 시스템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조달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복수의 서플라이어(supplyer)로부터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를 공급 서플라이어군으로 선택하는 조달 관리 시스템, 조달 관리 시스템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조달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달과 관련된 기술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동일한 조달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다른 판매업자와 함께 판매업자가 그 재고를 공동 관리하는 조달 네트워크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판매업자는 물품 재고의 적어도 일부를 공통 재고 풀(pool)로 공동 관리되도록 요청한다. 그리고 물품이 다른 판매업자에 의해 공동 관리된 동일 물품과 동일 종류 또는 품질로 판정되면 판매업자의 재고가 공통 재고 풀에 공동 관리된다. 그 후 공동 관리된 재고의 판매업자에게는 재고 크레딧(credit)이 제공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소정의 품목의 공급망(supply chain)의 설계안을 생성하는 공급망 설계안 생성부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망 설계안 생성부는 생산 또는 조달하는 품목과 일치하는 레코드(record)를 추출한다. 그리고, 공급 체인 설계안 생성부는, 레코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장과 복수의 조달처를 추출한다. 그 후, 공급망 설계안 생성부는, 추출한 공장을 포함하는 복수 패턴의 공급망 설계안과, 추출한 조달처를 포함하는 복수 패턴의 공급망 설계안을 생성한다. 아울러 공급망 설계안 생성부는 생성한 공급망 설계안에 대해 납기를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평가하고 충족하지 못하는 설계안을 공급망 설계안에서 제외한다.
사용자는 하나의 서플라이어가 공급 가능한 물품의 공급량을 초과하는 수량의 물품 구입을 원할 때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공급량을 초과하는 수량의 물품을 주문하면 주문에서 물품 납품까지의 기간이 길어진다. 즉, 서플라이어는 공급량을 초과하는 수량의 물품을 공급하기 위해 통상의 납기를 초과하는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樣態)에 따른 조달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물품의 요구 수량을 포함하는 요구 조건과, 상기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복수의 서플라이어 각각에 의한 물품의 공급량을 포함하는 공급 조건을 획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요구 조건과 공급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상기 요구 수량을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에 배분해야 하는 배분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배분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로부터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를 공급 서플라이어군으로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상기 요구 수량을 배분하는 배분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에 따른 조달 관리 시스템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구비하는 조달 관리 시스템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물품의 요구 수량을 포함하는 요구 조건과, 상기 물품을 공급 가능한 복수의 서플라이어 각각에 의한 상기 물품의 공급량을 포함하는 공급 조건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요구 조건과 상기 공급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상기 요구 수량을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에 배분해야 하는 배분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배분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로부터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를 공급 서플라이어군으로서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상기 요구 수량을 배분시키는 배분 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에 따른 조달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물품의 요구 수량을 포함하는 요구 조건과, 상기 물품을 공급 가능한 복수의 서플라이어 각각에 의한 물품의 공급량을 포함하는 공급 조건을 획득하고, 상기 요구 조건과 상기 공급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상기 요구 수량을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에 배분해야 하는 배분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배분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로부터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를 공급 서플라이어군으로 선택하고, 상기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상기 요구 수량을 배분시킨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물품의 수량을 복수의 서브 서플라이어에 배분함으로써, 구입 주문으로부터 물품의 납품까지의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도 1은 판매 관리 시스템 전체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된 조달 관리 개요의 설명도
도 3은 판매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물품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상세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주문 확인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일괄 출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배분 처리 흐름 차트
도 9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된 조달 관리 개요의 설명도
도 10은 물품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수치, 재료, 형상 및 구성요소의 상대적 위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 또는 여러 조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구체적으로 기재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복수의 서플라이어로부터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를 공급 서플라이어군으로서 선택하는 조달 관리 시스템을 구비하는 판매 관리 시스템(100)을 나타내고 있다. 일례로, 서플라이어는 물품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품의 생산, 가공, 판매, 수송 또는 보관을 하는 공급업자이다. 또한, 하나의 공급업자가 복수의 서플라이어로서 물품의 보관 창고 또는 생산 거점 등을 복수 소유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판매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사용자가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40)과, 판매업자 등의 관리업자가 관리하는 재고 관리 서버(10) 및 조달 관리 서버(20)와, 서플라이어가 관리하는 서플라이어 단말(60)이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판매업자로부터 상품으로서의 물품을 구입한다. 그리고 판매업자는 서플라이어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사용자에게 판매한다. 또한, 서플라이어는 판매업자에게 상품을 공급한다.
판매 관리 시스템(100)은 조달 관리 서버(20) 및 재고 관리 서버(10)를 포함하는 조달 관리 시스템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판매업자는 재고 관리 서버(10) 및 조달 관리 서버(20)를 관리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품을 판매한다. 조달 관리 서버(20)는 서버 장치로서 기능하며, 예를 들어 복수의 컴퓨터 장치로서의 서버 유닛(21)이 조합됨으로써 하나의 논리적인 서버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재고 관리 서버(10)도 서버 장치로서 기능하며, 예를 들어 복수의 컴퓨터 장치로서의 서버 유닛(11)이 조합됨으로써 한 대의 논리적인 서버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단, 단일 서버 유닛(21)에 의해 조달 관리 서버(20)가 구성되어도 좋고, 단일 서버 유닛(11)에 의해 재고 관리 서버(10)가 구성되어도 좋다. 혹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하여 논리적으로 조달 관리 서버(20) 및 재고 관리 서버(10)가 구성되어도 좋다.
조달 관리 서버(20)는 사용자 단말(40)에 대해서 또는 사용자 단말(40)의 사용자에 대해서 물품 발주 서비스를 포함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발주 서비스는 네트워크(50)를 통해 사용자 단말(40)에 대해 프로그램 혹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서비스와,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보관하는 보관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다. 전달 서비스는 예를 들어 업데이트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비스이다.
공급량 관리 서버의 일례인 재고 관리 서버(10)는 물품 공급량을 포함한 공급 조건을 기억하고 관리한다. 예를 들면, 재고 관리 서버(10)는 공급 조건의 한 예인 공급량으로서 복수의 서플라이어의 각각의 물품별 재고량을 서플라이어 단말(60)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재고 관리 서버(10)는 공급 조건의 다른 예로서, 복수의 서플라이어 각각이 물품을 공급하는 공급 시간을 서플라이어 단말(60)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재고 관리 서버(10)는 각각의 서플라이어를 식별하는 서플라이어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물품별 재고량을 기억한다. 또한, 재고 관리 서버(10)는 판매업자가 보관하고 있는 물품의 공급량을 포함한 공급 조건을 기억하여 관리해도 좋다. 또한, 물품은 물품 자체가 하나의 정리된 기능을 갖는 완제품이라도 좋고, 완제품에 내장되는 하나의 물품 또는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조립체라도 좋다. 또한 물품은 복수의 부품이 조합된 유닛, 지그(jig), 장치 및 설비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공급 시간은 물품의 출하일, 물품이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도달일, 물품의 생산 완료일, 물품의 가공 완료일 및 물류 거점에 물품이 도달하는 도달일 등이다. 이들 공급 시간은 특정 날짜 또는 시각이지만, 공급 시간은 물품의 공급 타이밍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이면 좋고, 출하, 도달 또는 완료까지 요구되는 시간의 길이 또는 수송에 요구되는 시간의 길이라도 좋다. 또한, 공급량은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물품의 양이며, 소정의 공급 시간에 있어서 서플라이어의 생산량, 가공량 또는 출하량일 수 있다. 또한, 공급 시간 및 공급량은 모두 재고 관리 서버(10)가 산출 또는 예측해도 좋다.
서플라이어 단말(60)의 사용자는 임의의 타이밍(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 하루에 한 번, 일주일에 한 번, 또는 하루에 네 번 등)에 전자 메일 등의 수단을 이용해 공급 조건을 재고 관리 서버(10)에 송신한다. 대체적으로, 서플라이어 단말(60)은 소정의 타이밍에 자동으로 공급 조건을 송신해도 좋다. 또한, 서플라이어 단말(60)은, 재고 관리 서버(1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공급 조건을 송신해도 좋다. 예를 들어, 재고 관리 서버(10)는 사용자가 물품의 요구 수량을 입력하면 당해 입력에 따라 서플라이어 단말(60)에 공급 조건의 송신을 요구한다. 또한, 재고 관리 서버(10)의 관리자가 각각의 서플라이어로부터 전화 또는 팩시밀리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공급 조건을 입수해도 좋다. 이 경우 관리자는 입수한 공급 조건을 수동으로 재고 관리 서버(10)에 입력해도 좋다. 또한, 재고 관리 서버(10)는 외부 데이터베이스, 예를 들어 재고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공급 조건을 취득해도 좋다. 또한, 재고 관리 서버(10)는 공급 조건을 산출 또는 예측해도 좋다.
공급 조건은 재고량 등 소정의 기간 내에 공급할 수 있는 물품의 수량을 포함하고 있으면 되며, 당해 수량은 0이라도 좋고 소정의 기간 내에 생산 가능한 물품의 수량이라도 좋다. 또한, 공급 조건은 물품과 관련된 정보로서 명칭, 형번, 수송원의 장소, 공급가능시기, 단가, 수송비용, 사양, 제조 조건 또는 가공 조건 등의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공급 조건은 서플라이어의 명칭, 서플라이어 식별 정보 또는 소재지 등의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이하에서는 공급 조건이 재고량인 경우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40) 및 서플라이어 단말(60)은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 장치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은 거치형 또는 북(book)형 퍼스널 컴퓨터(41) 및 휴대형 태블릿 단말 장치(42) 등을 포함한다. 또한, 서플라이어 단말(60)도 거치형 또는 북형 퍼스널 컴퓨터(61), 및 휴대형 태블릿 단말 장치(62) 등을 포함한다. 그 외에 휴대전화(스마트폰 포함)와 같은 모바일 단말장치가 사용자 단말(40) 및 서플라이어 단말(60)에 포함된다. 사용자 단말(40) 및 서플라이어 단말(60)은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장함으로써 조달 관리 서버(20)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누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서플라이어 단말(60)은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장함으로써, 재고 관리 서버(10)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서플라이어에게 누리게 하는 것이 가능해도 좋다.
또한, 사용자 단말(40) 및 서플라이어 단말(60)은 조달 관리 서버(20)에 소정의 네트워크(50)를 통해 접속 가능하다. 또한, 서플라이어 단말(60)은 조달 관리 서버(20) 및 재고 관리 서버(10)에 소정의 네트워크(50)를 통해 접속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40)이 퍼스널 컴퓨터(41)이고 서플라이어 단말(60)이 퍼스널 컴퓨터(61)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네트워크(50)는 조달 관리 서버(20)에 대해 사용자 단말(40) 및 서플라이어 단말(60)을 각각 접속하고, 또한, 재고 관리 서버(10)에 대해 서플라이어 단말(60)을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50)는,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해 네트워크 통신을 실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LAN(Local Area Network)(52)이 조달 관리 서버(20) 및 재고 관리 서버(10)와 인터넷(51)을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WAN(Wide Area Network)으로서의 인터넷(51)과 LAN(52)이, 라우터(53)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네트워크(50)는, 전용선, 전화 회선, 기업내 네트워크, 이동 통신망, 그 외의 통신 회선, 및 그러한 조합 등의 어느 것이라도 되며, 유선인지 무선인지를 불문한다. 사용자 단말(40) 및 서플라이어 단말(60)도 인터넷(51)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조달 관리 서버(20)의 서버 유닛(21)과, 재고 관리 서버(10)의 서버 유닛(11)은 LAN(52)을 대신하거나 인터넷(51)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조달 관리 서버(20)는 사용자 단말(40)로부터의 액세스에 따라 각종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40)의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웹 서버로서 기능한다. 또한, 조달 관리 서버(20)는 사용자에 의한 발주에 대응하여 발주된 물품의 수배, 수송 지시 및 구입 대금의 청구와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판매 관리 시스템(100)에 있어서 조달 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서플라이어 단말(60)은 복수의 서플라이어 각각의 단말을 포함하고 있으며, 도 2의 예에서는 서플라이어 A 단말과 서플라이어 B 단말을 포함하고 있다. 서플라이어 단말(60)의 각각은 임의의 타이밍에 재고량을 포함한 공급 조건을 재고 관리 서버(10)에 송신한다. 그리고, 재고 관리 제어부(13)는 수신한 재고량을 물품마다 각각의 서플라이어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재고 관리 메모리(12)에 기억시킨다.
물품 구입을 원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에서 조달 관리 서버(2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요구 조건의 일례로서의 물품 요구 수량을 웹사이트를 통해 입력한다. 또한, 사용자는 요구 조건의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물품의 납기를 추가로 입력한다. 또한, 요구 조건은 물품과 관련된 정보로서 명칭, 형번, 수송처의 장소, 희망 가격, 사양, 제조 조건, 가공 조건, 또는 도면 등의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대체적으로 요구 조건은 물품 구입을 요구하는 구입 주문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가 구입 주문을 하는 조작을 실시하면, 요구 조건이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조달 관리 서버(20)로 송신된다. 또한, 요구 조건은 물품의 가격 및 납기의 적어도 일방의 견적을 요구하는 견적 의뢰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가 견적 의뢰를 하는 조작을 실시하면, 요구 조건이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조달 관리 서버(20)로 송신된다. 일례로 납기는 물품의 출하 시기, 도착 시기 또는 생산 완료 시기 등 물품 수령시기의 기준이 되는 시기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조달 관리 서버(20)의 서버 제어부(23)는 입력된 요구 조건을 취득하여 조달 관리 서버(20)의 서버 메모리(22)에 기억시킨다. 또한, 서버 제어부(23)는 재고 관리 서버(10)로부터 재고량을 취득하여 요청된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서플라이어를 선택한다. 여기서 서버 제어부(23)는 하나의 특정 서플라이어의 재고량이 요구 수량에 충분할 경우 당해 특정 서플라이어를 선택한다. 그리고 서버 제어부(23)는 사용자가 구매할 수량을 통지함으로써 구매 주문이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사용자는, 수량을 확인하고, 구입 주문을 하는 조작을 실시한다. 대체적으로 서버 제어부(23)는 소정의 버튼을 표시시키는 등의 구입 주문을 하는 조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구입 주문이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좋다. 예를 들어, 구입 주문은 물품을 식별하는 형번, 물품의 희망 납기, 물품의 수량 및 물품의 수송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특정 서플라이어로부터 조달한 물품을 구입업자가 보관하고 있어 재고량이 요구 수량에 충분한 경우에, 서버 제어부(23)는 구입 주문이 가능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좋다. 예를 들어, 판매업자는 서플라이어로부터 조달하여 자신이 보관하고 있는 물품을 사용자에게 판매해도 좋다.
이어서, 서버 제어부(23)는 구입 주문을 접수하고 접수된 구입 주문에 대응하는 판매 주문을 작성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23)는 판매 주문을 식별하는 판매 식별 정보(예를 들어 판매 주문번호 등)와 연계한 구매 주문을 작성한다. 그리고 서버 제어부(23)는 특정 서플라이어의 서플라이어 단말(60)로 구매 주문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구매 주문은 물품을 식별하는 형번, 물품의 출하 시기, 물품의 수량 및 물품의 수송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 후 특정 서플라이어는 구매 주문에 따른 수량의 물품을 공급한다.
한편, 하나의 서플라이어의 재고량이 요구 수량에 부족한 경우 서버 제어부(23)는 복수의 서플라이어로부터 물품을 공급 가능한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를 공급 서플라이어군으로 선택한다. 이때 서버 제어부(23)는 공급 서플라이어군의 합계 재고량이 요구 수량에 충분하도록 공급 서플라이어군을 선택한다. 그리고 서버 제어부(23)는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물품의 요구 수량을 배분한다. 예를 들어 요구 수량이 50개일 경우 서버 제어부(23)는 서플라이어 A에 24개를 배분하고 서플라이어 B에 26개를 배분한다.
도 2의 예에서는 서플라이어 A와 서플라이어 B에 의해 공급 서플라이어 군이 구성되어 있다. 단, 3개 이상의 서플라이어에 의해 공급 서플라이어군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서버 제어부(23)는 사용자가 구입할 수량을 통지함으로써 구입 주문이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사용자는, 수량을 확인하고, 구입 주문을 하는 조작을 실시한다. 이어서, 서버 제어부(23)는 구입 주문을 접수하고, 접수된 구입 주문에 대응하는 판매 주문을 작성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23)는 판매 주문을 식별하는 기초 판매 식별 정보(예를 들면, 판매 주문 번호 등)와 연결된 복수의 판매 주문으로서 분할 판매 주문을 작성한다. 이 복수의 분할 판매 주문은 각각을 식별하는 분할 판매 주문 식별 정보(예를 들면, 판매 주문 번호와 지(枝)번호 등)와 연결되어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복수의 판매 주문으로서 서버 제어부(23)는 분할 판매 주문 A 및 분할 판매 주문 B를 작성하고 있다. 분할 판매 주문 A는 서플라이어 A에 대한 판매 주문이고, 분할 판매 주문 B는 서플라이어 B에 대한 판매 주문이다. 예를 들어, 요구 수량이 50개인 경우 분할 판매 주문 A는 서플라이어 A에게 주문할 물품의 수로 24개의 수량을 포함하고, 분할 판매 주문 B는 서플라이어 B에게 주문할 물품의 수로 26개의 수량을 포함한다. 그리고 서버 제어부(23)는 복수의 분할 판매 주문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매 주문을 작성하여 각각의 서플라이어의 서플라이어 단말(60)로 송신한다. 도 2의 예에서는 복수의 구매 주문으로서 서버 제어부(23)는 구매 주문 A 및 구매 주문 B를 작성하고 있다.
이후 구매 주문을 수신한 서플라이어는 구매 주문에 따른 물품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서플라이어는 형번에 의해 특정되는 물품을 구매 주문에 의해 특정되는 수량 및 출하 시기로 구매 주문에 의해 특정되는 수송처로 출하한다. 또한, 복수의 서플라이어의 합계 재고량이 요구 수량에 부족한 경우, 서버 제어부(23)는,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좋다. 또한, 당해 통지에는 희망 납기 또는 요구 수량의 변경 제안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제어계]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판매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계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조달 관리 수단의 일례인 조달 관리 서버(20)는 조달 관리서버(20)의 제어 수단으로서의 서버 제어부(23)와,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일시적 저장매체로서의 서버 메모리(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재고 관리 수단의 일례인 재고 관리서버(10)는 재고 관리 서버(10)의 제어 수단으로서의 재고 관리 제어부(13)와,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일시적 저장매체로서의 재고 관리 메모리(12)를 구비하고 있다.
서버 제어부(23) 및 재고 관리 제어부(13)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연산처리 및 동작 제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내부 메모리와, 기타 주변장치를 조합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MPU(Micro-Processing Unit)이며, 서버 메모리(22) 또는 재고 관리 메모리(12)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서버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동시에 각종 처리에 대해서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23) 및 재고 관리 제어부(13)는 CD, DVD, CF카드 및 USB메모리 등의 휴대용 기록매체 또는 인터넷상의 클라우드 서버 등 외부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할 수도 있다.
서버 메모리(22) 및 재고 관리 메모리(12)는 프로세서가 동작하기 위한 시스템 워크 메모리인 RAM(Random Access Memory), 프로그램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ROM(Read Only Memory), HDD(Hard Disc Drive) 및 SSD(Solid State Drive) 등의 기억 장치를 포함한다. 단, 서버 메모리(22)는 조달 관리 서버(20)의 일부로서 마련되는 예에 한정하지 않고 조달 관리 서버(20)와 협동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로서 마련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재고 관리 메모리(12)는 재고 관리 서버(10)의 일부로서 마련되는 예에 한하지 않고, 재고 관리 서버(10)와 협동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로서 마련해도 좋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CPU가 ROM 또는 HDD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연산, 제어 및 판별 등의 처리 동작을 실행한다.
[재고 관리 수단]
공급 조건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의 일례로서의 재고 관리 메모리(12)는 각 서플라이어의 공급 조건을 나타내는 공급 정보(12A)를 기억하고 있다. 일례로 공급정보(12A)는 서플라이어가 제공할 수 있는 물품을 특정하는 정보(예를 들어 물품의 형번)와, 당해 물품의 수량(예를 들어 재고량)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재고 관리 메모리(12)는 당해 수량을 물품별로 서플라이어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기억하고 있다. 공급 조건은 각 서플라이어가 직접 전송해도 좋고, 재고 관리 서버(10)의 관리자가 입력해도 좋다. 또한, 재고 관리 메모리(12)는 도시되지 않은 재고 관리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재고 관리 제어부(13)는 재고 관리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공급 조건을 취득하여 서플라이어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재고 관리 메모리(12)에 기억시킨다. 이를 위해, 재고 관리 제어부(13)는 복수의 서플라이어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여 재고 관리메모리(12)가 기억하고 있는 공급 조건을 갱신하는 갱신 수단의 일례로서 갱신부(13A)를 구비하고 있다.
갱신부(13A)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는 논리적 장치이다. 그리고 재고 관리 메모리(12)가 기억하고 있는 재고 관리 프로그램은 컴퓨터인 재고 관리 제어부(13)를 갱신부(13A)로 기능시킨다. 또한, 갱신부(13A)는, 수신한 재고량보다 적은 수량을 서플라이어의 재고량으로서 재고 관리 메모리(12)에 기억시켜도 좋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구입 주문을 접수한 후에 재고량이 부족하여 물품 납품이 지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갱신부(13A)는 수신한 재고량보다 많은 수량을 서플라이어의 재고량으로서 재고 관리 메모리(12)에 기억시켜도 좋다. 예를 들어 갱신부(13A)는 예측부(23E)가 예측한 재고량 예측 증가량을 가산한 물품의 수량을 서플라이어의 재고량으로서 재고 관리 메모리(12)에 기억시켜도 좋다.
일례로 갱신부(13A)는 서플라이어가 송신하는 공급 조건을 정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취득한다. 그리고 갱신부(13A)는 취득한 공급 조건에 기초하여 재고 관리 메모리(12)가 기억하고 있는 공급 조건을 최신 공급 조건으로 갱신한다. 대체적으로 갱신부(13A)는 부정기(예를 들어 서플라이어가 공급 조건을 송신하는 임의의 타이밍)에 정보를 취득하여 공급 조건을 갱신해도 좋다. 또한, 갱신부(13A)는 임의의 기억 수단이 기억하고 있는 최신 공급 조건을 취득하여, 재고 관리 메모리(12)가 기억하고 있는 공급 조건을 갱신해도 좋다. 이 경우 갱신부(13A)는 정보의 취득과 공급 조건의 갱신을, 정기적(예를 들면 하루 중에서 소정의 시각)으로 해도 좋다. 또한, 갱신부(13A)는 자동적으로 공급 조건을 취득해도 되며, 예를 들어 갱신부(13A)가 서플라이어 단말(60)에 공급 조건의 송신을 요구해도 좋다.
또한, 갱신부(13A)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요구 수량과 단위를 합한 양태로 공급량을 갱신해도 좋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하는 요구 수량이 개수이고, 서플라이어로부터 송신되는 공급량이 12개를 한 조로 하는 다스의 단위로 표시되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갱신부(13A)는 공급량 단위를 개수로 변환하여, 기억되어 있는 공급량으로 대체한다. 그 밖에 6개를 1조로 하는 팩(pack)의 단위, 2개를 1조로 하는 쌍의 단위, 크기 또는 중량 등의 단위로 공급량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도 갱신부(13A)는 공급량의 단위를 요구 수량과 같은 단위로 변환한다. 더욱이 사용자가 12개를 한 조로 하는 다스 등의 단위로 요구 수량을 입력하는 경우, 갱신부(13A)는 공급량의 개수를 다스 등의 단위로 변환해도 좋다.
[조달 관리 수단]
서버 제어부(23)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는 논리적 장치로서 취득부(23A), 선택부(23B), 배분부(23C), 발주부(23D), 예측부(23E), 견적부(23F), 판정부(23G) 및 제시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서버 메모리(22)가 기억하고 있는 조달 관리 프로그램 PG는 컴퓨터인 서버 제어부(23)를 취득 수단의 일례인 취득부(23A), 선택 수단의 일례인 선택부(23B), 배분 수단의 일례인 배분부(23C), 발주 수단의 일례인 발주부(23D), 예측 수단의 일례인 예측부(23E), 견적 수단의 일례인 견적부(23F), 판정 수단의 일례인 판정부(23G) 및 제시 수단의 일례인 제시부(24H)로 기능시킨다. 또한, 서버 제어부(23)는, 상기 논리적 장치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40)의 조작에 따라 웹 페이지의 표시의 전환 등을 제어하는 미도시의 논리적 장치 등을 가지고 있다.
서버 메모리(22)는 공급 서플라이어군의 선택과 물품의 요구 수량 할당에 따른 각종 처리를 서버 제어부(23)에 실행시키기 위한 조달 관리 프로그램 PG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조달 관리 프로그램 PG는 재고 관리 프로그램과 협동하여 하나의 프로그램으로서 기능해도 좋다. 또한, 서버 메모리(22)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물품의 요구 조건을 나타내는 요구 정보(22A)를 기억하고 있다. 일례로서 요구 정보(22A)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물품을 특정하는 정보(예를 들어, 물품의 형번)와 당해 물품의 요구 조건(예를 들어 요구 수량 및 납기)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요구 정보(22A)에서는 요구 조건이 각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요구 조건을 송신하여, 취득부(23A)가 요구 조건을 취득하여 서버 메모리(22)에 기억시킨다. 대체적으로 조달 관리 서버(20)의 관리자가 사용자로부터 취득한 요구 조건을 서버 메모리(22)에 기억시켜도 좋다. 이 경우, 취득부(23A)는, 서버 메모리(22)로부터 요구 조건을 취득한다.또한, 취득부(23A)는 임의의 기억 수단이 기억하고 있는 요구 조건을 취득하여 서버 메모리(22)가 기억하고 있는 요구 조건을 갱신해도 좋다.
또한, 서버 메모리(22)는 사용자로부터의 구입 주문의 내용을 나타내는 주문 정보(22B)를 기억하고 있다. 일례로 주문 정보(22B)는 사용자가 구입 주문한 물품을 특정하는 정보(예를 들어 물품의 형번)와, 구입 주문에 대응하는 판매 주문을 특정하는 정보(예를 들어 판매 주문번호)와, 당해 물품의 요구 수량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서버 메모리(22)는 각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요구 수량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주문 정보(22B)에는 판매 주문 및 구매 주문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와 배분부(23C)에 의한 할당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서버 메모리(22)는 사용자의 정보, 과거의 견적 결과, 웹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화상 데이터 및 물품의 형번, 명칭 또는 특징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등의 도시되지 않은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취득 수단]
취득부(23A)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물품의 요구 수량을 포함하는 요구 조건을 취득한다. 일례로 사용자는 서버 제어부(23)가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구입하고자 하는 물품의 요구 수량을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서버 제어부(23)는 사용자 인증 등을 거쳐 사용자를 인증한다. 그리고 서버 제어부(23)는 사용자 단말(40)의 표시장치(미도시)에 웹페이지를 표시시킨다. 당해 웹페이지에서 사용자는 표시되어 있는 화상 링크를 선택하거나, 물품 형번 또는 물품명을 입력하는 등 원하는 물품을 특정하는 조작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서버 제어부(23)는 인증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40)의 표시 장치에 도 4에 나타내는 물품 화면(91)을 표시시킨다. 또한, 물품 화면(91)의 화면 구성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며, 예를 들면 납기 입력란(91B)과 수량 입력란(91C)이 하나로 정리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취득부(23A)는 물품을 공급 가능한 복수의 서플라이어 각각에 의한 물품 공급량을 포함하는 공급 조건을 취득한다. 구체적으로 취득부(23A)는 재고 관리 메모리(12)로부터 공급 조건을 취득한다. 또한, 공급 조건이 갱신되었을 경우, 취득부(23A)는, 재고 관리 메모리(12)로부터 갱신 후의 공급 조건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취득부(23A)는 요구된 물품의 재고량 검색을 재고 관리 제어부(13)에 요구한다. 그리고 재고 관리 제어부(13)는 각 서플라이어의 재고량을 검색하여 검색결과로서의 재고량을 취득부(23A)로 송신한다. 또한, 재고 관리 메모리(12)를 대신하여, 서버 메모리(22)에 공급 조건이 기억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취득부(23A)는, 서버 메모리(22)로부터 공급 조건을 읽어내 취득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물품 화면(91)에는 물품란(91A)이 마련되어 있고, 물품란(91A)에는 물품명, 물품 형번 및 물품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물품명으로서「샤프트 홀더(shaft holder)」가 표시되어 있고, 물품 형번으로서 「ATHC3」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물품 화상으로서 샤프트 홀더를 사선 정보로부터 촬영해 얻은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물품 화상은, 물품의 3D 모델이어도 좋다.
또한, 물품 화면(91)에는 납기 입력란(91B)이 마련되어 있고, 납기 입력란(91B)에는 구매 주문을 특정하기 위해 임의의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주문 번호란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납기 입력란(91B)에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물품의 납기를 입력하기 위한 납기란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납기란에 납기를 입력하면, 취득부(23A)는 사용자가 입력한 납기를 취득하여 요구 정보(22A)에 포함시켜 서버 메모리(22)에 기억시킨다. 또한, 도 4는 출하일을 기준으로 하는 납기 「2021/11/11」이 입력되고, 또한, 사용자 주문 번호로서「123456789」가 입력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물품 화면(91)에는 수량 입력란(91C)이 마련되어 있고, 수량 입력란(91C)에는 물품 요구 수량을 입력하기 위한 수량란(91D)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수량란(91D)에 요구 수량을 입력하면 취득부(23A)는 사용자가 입력한 요구 수량을 취득하여 요구 정보(22A)에 포함시켜 서버 메모리(22)에 기억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구입 가능 수량을 초과하는 수량(도 4의 예에서는 51개 이상)의 물품 구입을 원할 경우 납기 확인 버튼(91E)을 선택하여 서버 제어부(23)에 납기 확인을 요구한다. 서버 제어부(23)는 당해 요구를 받으면 구입 가능 수량을 초과하는 수량의 물품의 출하 가능일과, 당해 출하 가능일까지 출하 가능한 물품의 수량을 사용자 단말(40)에 통지한다. 대체적으로 서버 제어부(23)는 납기 확인 요구를 받으면 서플라이어에게 구입 가능 수량을 초과하는 수량의 물품 출하 가능일을 문의하고 그 답변을 사용자 단말(40)에 통지해도 좋다.
대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에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미리 설치하고, 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희망 납기 및 요구 수량 등의 요구 조건을 입력해도 좋다. 또한, 사용자는 전화 또는 이메일 등의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조달 관리 서버(2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요구 조건을 통지해도 좋다. 이 경우 조달 관리 서버(20)의 관리자가 요구 조건을 입력하여 서버 메모리(22)에 기억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다른 서버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에서 요구 조건을 입력해도 좋다. 이 경우 취득부(23A)는 당해 다른 서버로부터 요구 조건을 취득한다. 또한, 요구 조건은 견적 의뢰, 구입 주문, 또는 문의 등에 포함되는 양태라도 좋다.
또한, 수량 입력란(91C)에는 물품의 개당 단가, 요구 수량의 물품 가격인 합계 금액 및 구입 가능 수량이 표시되어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단가로서 「1090엔」이 표시되어 있고, 합계 금액으로서 「54500엔」이 표시되어 있으며, 구입 가능 수량으로서 「50개」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구입 가능 수량 아래쪽에는 주문 당일 출하 가능한 수량으로 「24개」가 표시되어 있다. 이 수량은 사용자가 입력한 원하는 납기까지 납품 가능한 물품의 요구 수량 중에서 주문 당일 출하 가능한 수량이다.
도 2를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요구 수량을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배분할 경우 각 서플라이어의 공급 시기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는 공급 서플라이어군이 원하는 납기까지 공급 가능한 수량이 50개이며, 그 중에서 주문부터 즉시 공급할 수 있는 서플라이어에 의한 공급 수량이 24개임을 나타내고 있다. 일례로 주문 당일에 출하 가능한 물품의 수량은 이미 서플라이어에 의해 판매업체로 수송되어 판매업체의 물류 거점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의 수량이다.
또한, 수량 입력란(91C)에는 상세 화면 버튼(91F)과 주문 버튼(91G)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세 화면 버튼(91F)을 선택하는 조작을 수행하면, 서버 제어부(23)는 도 5에 나타낸 상세 화면(92)을 사용자 단말(40)의 표시장치에 표시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주문 버튼(91G)을 선택하는 조작을 행하면, 서버 제어부(23)는 도 6에 나타낸 주문 확인 화면(93)을 사용자 단말(40)의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제시 수단]
제시부(23H)는 배분부(23C)가 배분한 수량의 물품이 나누어 출하되는 것을 나타내는 분할 출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예를 들어, 제시부(23H)는 배분부(23C)에 의한 할당 결과에 기초하여 배분부(23C)가 배분한 물품의 수량과 당해 물품의 공급 시간으로서의 출하일을 분할 출하 정보로서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시부(23H)는 배분부(23C)로부터 할당 결과로서 배분한 수량 및 출하일 등의 정보를 취득하여 분할 출하 정보로서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나타내는 상세 화면(92)에는 분할 출하란(92C)에 분할 출하되는 물품의 수량과, 그 출하일이 분할 출하 정보로서 표시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제시부(23H)는 이메일 등의 다른 수단에 의해 분할 출하 정보를 통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시해도 좋다. 또한, 분할 출하 정보는, 나누어 출하되는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예를 들면, 「나눠 출하됩니다」), 또는 기호 등이라도 좋다.
또한, 분할 출하란(92C)에는 주문 기한이 표시되어 있다. 주문 기한은 배분부(23C)에 의한 할당 결과에 기초한 출하일과 견적부(23F)에 의한 견적 결과로서의 단가 및 합계 금액이 유효한 기한이다. 사용자가 주문 기한까지 구입 주문을 확정시키면 사용자는 표시되어 있는 출하일, 단가 및 합계 금액이 나타내는 내용으로 물품을 구입할 수 있다. 그리고 발주부(23D)는 사용자에 의한 구입 주문 확정 후에 배분부(23C)가 배분한 물품 수량의 물품을 공급 서플라이어군의 각 서플라이어에게 발주한다. 이를 위해 발주부(23D)는 사용자로부터 구입 주문을 받고 당해 구입 주문에 기초하여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포함된 서플라이어의 수와 동일한 수의 분할 판매 주문을 작성한다.
도 5의 예에서는 주문 기한으로서 「2021/11/01」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첫번째 출하되는 물품의 개수인 「24개」와 그 출하일인 「주문 당일」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두번째로 출하되는 물품의 개수인 「26개」와 그 출하일인 「2021/11」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주문 당일에 출하하는 조건으로서 소정의 시각(예를 들면, 12시)까지 구입 주문을 확정하는 것 등이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분할 출하란(92C)에는 주문 버튼(92G)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주문 버튼(92G)을 선택하는 조작을 수행하면, 서버 제어부(23)는 도 6에 나타낸 주문 확인 화면(93)을 사용자 단말(40)의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또한, 상세 화면(92)에는 물품란(91A)과 요구 조건란(92B)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란(91A)에는 물품명, 물품 형번 및 물품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요구 조건란(92B)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물품의 요구 조건으로서 희망 납기 및 요구 수량 등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요구 조건란(92B)에는 사용자 주문 번호, 단가 및 합계 금액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세 화면(92)의 화면 구성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주문 확인 화면(93)에는 물품란(91A)과 요구 조건란(92B)과 주문란(93C)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란(91A)에는 물품명, 물품 형번 및 물품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요구 조건란(92B)에는, 희망 납기 및 요구 수량 등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주문란(93C)에는, 주문 기한과, 분할해 출하되는 물품의 개수와, 그 출하일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주문란(93C)에는, 출하일을 지정하는 지정란(93D)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는 1차 출하와, 2차 출하 각각에 대해 지정란(93D)에 원하는 출하일을 입력할 수 있다. 단,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출하일은 출하 가능일보다 나중의 날짜이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의 첫번째 출하에 대해서는 주문 당일에 출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주문 다음날 이후의 날짜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의 두번째 출하에 대해서는 2021년 11월 11일에 출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2021년 11월 11일 다음날 이후의 날짜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주문란(93C)에는 주문 확정 버튼(93E)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주문 확정 버튼(93E)을 선택하는 조작을 행하면, 서버 제어부(23)의 발주부(23D)가 구입 주문을 접수하여, 서플라이어에게 구매 주문을 송신한다.
또한, 제시부(23H)는 요구 수량의 물품이 일괄적으로 출하되는 것을 나타내는 일괄 출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예를 들어 제시부(23H)는 일괄적으로 출하되는 물품의 수량과 당해 물품의 공급시간으로서의 출하일을 일괄 출하 정보로서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여기서 일괄적으로 출하되는 물품의 수량은 요구 수량과 일치한다. 구체적으로 주문 확인 화면(93)의 주문란(93C)에는 일괄 출하 버튼(93F)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일괄 출하 버튼(93F)을 선택하는 조작을 행하면, 서버 제어부(23)는, 도 7에 나타내는 일괄 출하 화면(94)을 사용자 단말(40)의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이 일괄 출하 화면(94)에는 일괄 출하란(94C)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일괄 출하란(94C)에는 일괄로 출하되는 물품의 개수와 그 출하일이 일괄 출하 정보로서 표시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제시부(23H)는 이메일 등 다른 수단에 의해 일괄 출하 정보를 통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시해도 좋다.
또한, 일괄 출하란(94C)에는 주문 기한이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가 주문 기한까지 구입 주문을 확정하면 사용자는 표시되어 있는 출하일, 단가 및 합계 금액이 나타내는 내용으로 물품을 구입할 수 있다. 그리고 발주부(23D)는 사용자에 의한 구입주문 확정 후에 배분부(23C)가 배분한 물품 수량의 물품을 공급 서플라이어군의 각 서플라이어에게 발주한다. 이를 위해 발주부(23D)는 사용자로부터 구입 주문을 받고 당해 구입 주문에 기초하여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포함된 서플라이어의 수와 동일한 수의 분할 판매 주문을 작성한다.
또한, 일괄 출하란(94C)에는, 출하일을 지정하는 지정란(94D)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는 일괄적으로 출하되는 물품에 대해 지정란(94D)에 원하는 출하일을 입력할 수 있다. 단,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출하일은 출하 가능일보다 나중의 날짜이다. 예를 들어 일괄 출하되는 50개 물품 중에서 24개 물품이 주문 당시 출하될 수 있고, 나머지 26개 물품이 2021년 11월 11일 출하될 수 있는 경우 사용자는 2021년 11월 11일 다음날 이후 날짜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일괄 출하란(94C)에는 주문 확정 버튼(94E)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주문 확정 버튼(94E)을 선택하는 조작을 실시하면 발주부(23D)가 구입 주문을 접수하여 서플라이어에게 구매 주문을 송신한다.
물품의 일괄 출하의 예로서 복수의 서플라이어는 각각이 수신한 구매 주문에 기초한 수량의 물품을 구매 주문에 의해서 지정되는 공통 집적 거점(예를 들면, 판매업자의 물류 거점)으로 수송한다. 예를 들어 요구 수량이 50개이고, 서플라이어 A가 받은 구매 주문 A에 있는 수량이 24개이며, 서플라이어 B가 받은 구매 주문 B에 있는 수량이 26개라고 하자. 이 경우 서플라이어 A는 24개의 물품을 집적 거점으로 수송하고, 서플라이어 B는 26개의 물품을 동일 집적 거점으로 수송한다. 그 후 집적 거점을 관리하는 업자(예를 들면 판매업자)는 50개의 물품을 정리하여 사용자가 지정하는 수송처로 수송한다. 또한, 집적 거점은, 수송 업자의 물류 거점이라도 좋다.
또한, 일괄 출하 화면(94)에는, 물품란(91A)과 요구 조건란(92B)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란(91A)에는 물품명, 물품 형번 및 물품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요구 조건란(92B)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물품의 요구 조건으로서 희망 납기 및 요구 수량 등이 표시되어 있다.
[판정 수단 및 선택 수단]
판정부(23G)는 취득부(23A)가 취득한 요구 조건과 공급 조건에 기초하여 물품의 요구 수량을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에 배분해야 하는 배분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일례로 판정부(23G)는 사용자가 요구 조건의 요구 수량을 입력한 타이밍에 배분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대체적으로 판정부(23G)는 물품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수량을 초과하는 요구 수량을 사용자가 입력한 타이밍에 배분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좋다. 그리고 선택부(23B)는 배분 조건이 충족될 경우에 복수의 서플라이어로부터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를 공급 서플라이어군으로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선택부(23B)는 배분 조건이 충족될 경우에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특정 서플라이어와, 특정 서플라이어와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플라이어를 공급 서플라이어군으로 선택한다.
일례로 선택부(23B)는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하나의 특정 서플라이어를 선택한다. 그리고 판정부(23G)는 당해 특정 서플라이어의 공급량보다 요구 수량이 많을 경우에 배분 조건이 충족된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어 특정 서플라이어는 물품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고, 선택부(23B)는 요구 조건에 포함된 물품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특정 서플라이어를 선택한다. 그리고 배분 조건이 충족된다고 판정부(23G)가 판단할 경우 선택부(23B)는 특정 서플라이어와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플라이어를 더 선택한다. 예를 들어, 선택부(23B)는 공급 조건의 공급 시간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요구 조건의 납기까지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를 공급 서플라이어군으로 선택한다. 이와 같이 선택부(23B)는 특정 서플라이어와 다른 서플라이어로 이루어진 공급 서플라이어군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물품의 요구 수량 중에서 특정 서플라이어의 공급량을 초과하는 양을 다른 서플라이어에 배분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23B)는, 요구 조건의 납기와 공급 조건의 공급 시간을 참조하여, 납기까지의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예를 들면 출하할 수 있는) 서플라이어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11월 3일이 납기이고 요구 수량이 50개인 경우에 서플라이어 A의 출하일이 11월 2일이고 공급량이 24개, 서플라이어 B의 출하일이 11월 3일이고 공급량이 26개이며 서플라이어 C의 출하일이 11월 4일이고 공급량이 50개라고 하자. 이때 서플라이어 C의 출하일은 납기보다 나중이므로, 선택부(23B)는 서플라이어 A와 서플라이어 B를 공급 서플라이어 군으로 선택한다. 또한, 선택부(23B)가 납기까지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서플라이어를 발견할 수 없는 경우, 서버 제어부(23)는 사용자가 구입 가능 수량을 넘는 수량을 주문할 때와 마찬가지로 물품의 출하 가능일과 당해 출하 가능일까지 출하 가능한 물품의 수량을 사용자 단말(40)에 통지한다. 사용자는 납기를 확인 및 수정하여 상술한 구입 주문의 조작을 행한다.
예를 들어, 선택부(23B)는 요구 조건 납기까지 공급할 수 있는 물품 공급량이 가장 많은 서플라이어를 검색하여 다른 서플라이어로 선택한다. 또한, 선택부(23B)는 공급 조건 공급 시간에 기초하여 요구 조건 납기까지 공급할 수 있는 물품 공급 시간이 가장 짧은 서플라이어를 검색하여 다른 서플라이어로 선택해도 좋다. 대체적으로 선택부(23B)는 후술하는 예측부(23E)의 예측 결과가 나타내는 물품 공급량이 가장 많은 서플라이어를 다른 서플라이어로 선택해도 좋다. 또한, 선택부(23B)는 예측부(23E)의 예측 결과가 나타내는 물품의 공급 시간이 가장 짧은 서플라이어를 다른 서플라이어로 선택해도 좋다.
또한, 선택부(23B)는 공급시간을 기준으로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납기까지 물품을 공급할 수 있으며, 공급량이 가장 많은 서플라이어를 특정 서플라이어로 선택해도 좋다. 이 경우 선택부(23B)는 공급 조건을 참조하여 가장 많이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서플라이어를 검색하여 특정 서플라이어로 선택한다. 예를 들어 공급량으로서의 재고량이 많은 서플라이어가 우선적으로 물품을 공급하듯이 선택부(23B)는 재고량이 많은 서플라이어를 특정 서플라이어로 선택한다. 또한, 선택부(23B)는 특정 서플라이어 다음으로 공급량이 많은 서플라이어를 다른 서플라이어로 선택한다.
또한, 선택부(23B)는 공급 시간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납기까지 물품을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공급 시간이 가장 빠르거나 짧은 서플라이어를 특정 서플라이어로 선택해도 좋다. 이 경우 선택부(23B)는 공급 조건을 참조하여 공급 시간이 가장 빠르거나 짧은 서플라이어를 검색하여 특정 서플라이어로 선택한다. 또한, 선택부(23B)는 특정 서플라이어 다음으로 공급 시간이 빠르거나 짧은 서플라이어를 다른 서플라이어로 선택한다. 이에 따라, 보다 빠르게 사용자에게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서플라이어가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포함된다. 또한, 선택부(23B)는 공급 조건의 단가 또는 수송 비용 등의 코스트(cost)에 기초하여, 공급 서플라이어군을 선택해도 좋다. 또한, 비용에는 원료비, 가공비, 생산비, 관세 등의 세금, 보관 비용, 수출 비용 및 수입 비용 등 기타 비용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다른 예로서 판정부(23G)는 특정 서플라이어의 공급량에 예측부(23E)가 예측하는 예측 결과로서의 예측 구매량을 감산하여 얻어지는 예측 공급량보다 요구 수량이 많을 경우에 배분 조건이 충족된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어 희망 납기에 가까운 시기에 다른 사용자에 의한 특정 서플라이어에 대한 구입 주문이 예측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다른 사용자에 의한 예측 구입량을 감산하여, 특정 서플라이어의 재고량이 제로가 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에 의해, 특정 서플라이어의 재고량이 제로가 되어 버리면, 다른 사용자에 의한 구입 주문에 대한 납품에 지연이 발생하게 되지만, 예측 구입량을 감산하여 당해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판정부(23G)는 물품마다 미리 설정된 기준 수량보다 요구 수량이 많을 경우 배분 조건이 충족된다고 판정해도 좋다.
또한, 다른 예로서 판정부(23G)는 특정 서플라이어의 공급량에 후술하는 예측부(23E)가 예측하는 예측 결과로서의 예측 증가량을 가산하여 얻어지는 예측 공급량보다 요구 수량이 많을 경우에 배분 조건이 충족된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어 공급 조건이 갱신되기 전에 공급량 증가가 예측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판정부(23G)는 선택시에 특정 서플라이어의 공급량이 요구 수량보다 적을 때라도 특정 서플라이어의 재고량이 늘어날 것을 예상하여 예측 증가량을 가산한다. 이에 따라 예측 증가량을 가미하여 요구 수량 중에서 특정 서플라이어의 예측 공급량을 초과하는 양을 다른 서플라이어에 배분할 수 있다.
[배분 수단]
배분부(23C)는 선택부(23B)가 선택한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요구 조건의 요구 수량을 배분한다. 일례로 배분부(23C)는 특정 서플라이어의 공급량에 따른 양을 요구 수량 중에서 특정 서플라이어로 배분한다. 그리고 배분부(23C)는 요구 수량 중에서 나머지 양을 공급 서플라이어군의 다른 서플라이어에 배분한다. 예를 들어 요구 수량이 50개이고 특정 서플라이어 A의 공급량이 24개일 경우 배분부(23C)는 나머지 26개를 다른 서플라이어 B에 배분한다. 이에 따라, 물품의 요구 수량이 특정 서플라이어의 공급량보다 많을 경우에도 선택한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따라 사용자에게 물품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상거래에 의해 다량의 물품을 구입 주문하는 경우에 공급 서플라이어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플라이어 각각에 동적으로 요구 수량을 배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서플라이어의 재고량을 줄임과 동시에, 단기간에 물품을 출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배분부(23C)는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선택된 서플라이어에 동일한 수로 요구 수량을 할당해도 좋다. 예를 들어 요구 수량이 50개일 경우에는 배분부(23C)가 특정 서플라이어 A에게 25개를 배분하고 다른 서플라이어 B에게 25개를 배분한다. 또한, 배분부(23C)는 특정 서플라이어에 가장 많은 요구 수량을 할당해도 좋다. 예를 들어 요구 수량이 50개일 경우에는 배분부(23C)가 특정 서플라이어 A에게 26개를 배정하고 다른 서플라이어 B에게 24개를 배정한다.
또한 배분부(23C)는 재고량을 평균화하기 때문에 재고량 분산 값이 더 작아지도록 요구 수량을 배분해도 좋다. 예를 들어 특정 서플라이어 A의 재고량이 30개이고, 다른 서플라이어 B의 재고량이 20개이며, 다른 서플라이어 C의 재고량이 15개이며, 또한, 요구 수량이 50개라고 하자. 이 경우 배분부(23C)가 특정 서플라이어 A에게 25개를 배분하고, 다른 서플라이어 B에게 15개를 배분하며, 다른 서플라이어 C에 10개를 배분한다. 이에 따라 특정 서플라이어 A, 다른 서플라이어 B 및 다른 서플라이어 C의 재고량은 각각 5개가 되어 재고량에 편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배분부(23C)는 복수의 조건에 기초하여 요구 수량을 할당해도 좋다. 일례로 배분부(23C)는 특정 서플라이어가 공급 가능한 공급량을 초과하는 양을 다른 서플라이어에게 동일한 수로 배분한다. 예를 들어 요구 수량이 50개이고 특정 서플라이어 A의 공급량이 24개일 경우 배분부(23C)는 나머지 26개 중에서 13개를 다른 서플라이어 B에 배분하고 나머지 13개를 다른 서플라이어 C에 배분한다.
[발주 수단]
발주부(23D)는 배분부(23C)가 배정한 수량의 물품을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발주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견적의 내용을 확인하고 구입 주문을 확정시킨다(도 6의 주문 확정 버튼(93E)을 선택한다). 그리고 구입 주문의 확정을 접수한 발주부(23D)는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포함된 서플라이어에게 물품을 발주한다. 이를 위해 제시부(23H)는 배분부(23C)가 배분한 물품의 수량과 당해 물품의 공급시간으로서의 출하일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일례로서 제시부(23H)는 도 5의 상세 화면(92)에 출하일과 물품의 수량을 표시함으로써 분할 출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구입 주문 확정을 접수한 발주부(23D)가 사용자로부터의 구입 주문에 기초하여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포함된 서플라이어의 수와 동일한 수의 분할판매 주문을 작성한다. 구체적으로 발주부(23D)는 서플라이어 A 및 서플라이어 B에 대응하는 분할 판매 주문 A와 분할 판매 주문 B를 작성한다. 또한, 발주부(23D)는 물품을 특정하는 정보 및 배정된 물품의 수량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분할 판매 주문에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분할 판매 주문 식별 정보와 연결되어 있어 서버 메모리(22)가 주문 정보(22B)에 포함해 기억한다.
또한, 발주부(23D)는 분할 판매 주문에 대응하는 구매 주문을 각각의 서플라이어에게 송신해 물품을 발주한다. 도 2의 예에서는 발주부(23D)가 분할 판매 주문 A에 대응하는 구매 주문 A를 서플라이어 A에 송신하고, 분할 판매 주문 B에 대응하는 구매 주문 B를 서플라이어 B에 송신한다. 또 발주부(23D)는 물품을 특정하는 정보, 공급하는 물품의 수량을 나타내는 정보, 물품의 납기 및 물품의 수송처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구매 주문에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구매 주문을 식별하는 구매 주문 식별 정보와 연결되어 서버 메모리(22)가 주문 정보(22B)에 포함하여 기억한다.
그리고 구매 주문을 수신한 서플라이어는 납기 또는 납기 전에 물품을 출하하여 사용자에게 물품을 수송한다. 물품 출하의 예로서 복수의 서플라이어는 각각이 수신한 구매 주문에 기초한 수량의 물품을 사용자가 지정하는 수송처로 수송한다. 예를 들어 요구 수량이 50개이고, 서플라이어 A가 받은 구매 주문 A에 있는 수량이 24개이며, 서플라이어 B가 받은 구매 주문 B에 있는 수량이 26개라고 하자. 이 경우 서플라이어 A는 24개의 물품을 수송처로 전송하고, 서플라이어 B는 26개의 물품을 수송처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발주부(23D)가 분할 판매 주문을 작성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복수의 서플라이어에 구입 주문을 하는 조작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발주부(23D)는 견적부(23F)에 의한 견적 결과 작성과 동시에 분할 판매 주문을 작성해도 좋다.
또한, 발주부(23D)는 공급 서플라이어군의 적어도 하나의 서플라이어에게 물품 공급을 저해하는 저해 조건이 발생한 경우,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서플라이어에게 저해 조건이 생긴 서플라이어에게 할당된 수량의 물품을 발주해도 좋다. 예를 들어, 구매 주문의 송신으로부터 출하일까지의 사이에, 서플라이어에게 예상치 못한 납품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주부(23D)는 재고 관리 메모리(12)가 기억하고 있는 공급 조건을 참조하여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납기까지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서플라이어를 검색한다. 또는 발주부(23D)는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가장 빨리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서플라이어를 검색한다. 그리고 당해 서플라이어에게 구매 주문을 송신하여 저해 조건이 생긴 서플라이어에게 할당된 수량의 물품을 발주한다.
일례로 발주부(23D)는 서플라이어로부터 납품 지연 또는 납품 불능 통지를 받았을 때 저해 조건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대체적으로 발주부(23D)는 납기까지 물품의 공급이 없는 경우, 예를 들어 납기까지 서플라이어로부터 물품의 출하 통지가 없을 때 저해 조건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또한, 발주부(23D)는 천재 지변, 재해 또는 수송 장애 등의 발생을 검출했을 때 저해 조건이 생겼다고 판단해도 좋다.
[예측 수단]
예측부(23E)는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물품의 수요를 예측한다. 이 경우에, 선택부(23B)는 예측부(23E)에 의한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에 복수의 서플라이어의 재고량의 편차가 보다 적도록 공급 서플라이어군을 선택한다. 일례로 예측부(23E)는 소정 기간(예를 들면 일주일) 동안 물품의 구입량을 예측하여 예측 결과로서 예측 구입량을 선택부(23B)로 출력한다. 선택부(23B)는 예측 구입량과 취득부(23A)가 취득한 재고량에 기초하여 재고량의 편차가 더 적어지도록 공급 서플라이어군을 선택한다. 이에 의해, 수요가 예측되는 소정 기간 동안의 재고량의 편차를 최소화하도록 서플라이어를 선택할 수 있고, 서플라이어의 재고량을 평균화한다.
예를 들어 특정 서플라이어 A의 재고량이 30개이고, 다른 서플라이어 B의 재고량이 20개이며, 요구 수량이 25개이며, 또한, 일주일간 예측 구입량이 30개라고 하자. 이 경우 특정 서플라이어 A의 재고량은 요구 수량보다 많지만 특정 서플라이어 A만을 선택하면 일주일 사이에 특정 서플라이어 A와 다른 서플라이어 B의 재고량 차이가 15개가 되어 편차가 발생한다. 그래서 선택부(23B)는 다른 서플라이어 B에게도 배분될 수 있도록 특정 서플라이어 A와 다른 서플라이어 B를 공급 서플라이어 군으로 선택한다. 이 경우 배분부(23C)는 소정 기간 동안 복수의 서플라이어 재고량의 편차가 보다 적어지도록 특정 서플라이어 A에게 17개를 배분하고 다른 서플라이어 B에게 8개를 배분해도 좋다.
일례로 예측부(23E)는 물품의 수요로서 공급량의 예측 증가량, 예측 공급량, 예측 공급 시간 및 예측 구입량 등을 예측한다. 예를 들어 예측부(23E)는 과거 공급량 또는 구입 수량에 기초하여 현재의 동일 시기의 물품 수요를 예측한다. 구체적으로 예측부(23E)는 과거 공급량 또는 구입 수량을 현재의 동일 시기의 공급량 또는 구입 수량으로 하는 예측 결과를 출력한다. 대체적으로 예측부(23E)는 과거 공급량 또는 구입 수량 등 실적 데이터를 포함하는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축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물품 수요를 예측해도 좋다. 또한, 학습 모델은 재고 관리 서버(10) 또는 조달 관리 서버(20)가 구축해도 좋고, 미리 구축된 학습 모델이라도 좋다.
[견적 수단]
견적부(23F)는 물품의 단가와 요구 수량의 물품의 합계 금액을 견적 결과로서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구체적으로 견적부(23F)는 도 5에 나타내는 상세 화면(92)에 단가와 합계 금액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견적부(23F)는 취득부(23A)가 취득한 공급 조건(예를 들어 물품의 단가)을 참조하여 견적결과를 작성한다. 또한, 견적 결과는 출하일 및 출하까지 필요한 실근로일의 일수 등을 포함해도 좋다.
[단말]
사용자 단말(40)은 사용자 단말(40)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부(45)와, 제어프로그램을 기억한 사용자 단말 메모리(44)를 구비하고 있다. 당해 사용자 단말 제어부(45)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연산 처리 및 동작 제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기타 주변장치를 조합한 컴퓨터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40)는 도시되지 않은 표시 장치 및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입력 장치는 키보드, 숫자 패드 및 터치 패널 등이며, 사용자는 입력 장치를 이용해 요구 수량 등을 입력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표시 장치는 각 화면 등의 웹페이지를 표시하고, 사용자는 표시된 웹페이지에 따라 물품을 구입 주문한다.
또한, 서플라이어 단말(60)은 서플라이어 단말(60)을 제어하는 서플라이어 단말 제어부(65)와,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서플라이어 단말 메모리(64)를 구비하고 있으며, 당해 서플라이어 단말 제어부(65)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연산 처리 및 동작 제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기타 주변 장치를 조합한 컴퓨터이다. 또한, 서플라이어 단말(60)은 도시되지 않은 표시 장치 및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서플라이어는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공급량 등을 입력한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 제어부(45) 및 서플라이어 단말 제어부(65)의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CPU, 또는 MPU이며, 사용자 단말 메모리(44) 및 서플라이어 단말 메모리(64)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단말 전체를 제어함과 동시에 각종 처리에 대해서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 메모리(44) 및 서플라이어 단말 메모리(64)는 프로세서가 동작하기 위한 시스템 워크 메모리인 RAM, 및 프로그램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ROM, HDD 및 SSD 등의 기억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 제어부(45) 및 서플라이어 단말 제어부(65)는 CD, DVD, CF 카드 및 USB 메모리 등의 휴대용 기록 매체 또는 인터넷상의 클라우드 서버 등 외부 저장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메모리 (44) 및 서플라이어 단말 메모리(64)는 하드 디스크 및 반도체 기억 장치 등의 비휘발성 기억 매체(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억 매체)를 포함한 외부 기억 장치이다.
[배분 처리]
도 8을 참조하여 조달 관리 시스템에서의 배분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서플라이어가 공급량을 포함하는 공급 조건을 재고 관리 서버(10)로 송신하면 갱신부(13A)는 공급 조건을 취득한다(S101). 그리고 갱신부(13A)는 취득한 공급 조건에 기초하여 재고 관리 메모리(12)가 기억하고 있는 공급 조건을 최신 공급 조건으로 갱신한다(S102). 또는 최초 공급 조건의 송신인 경우 갱신부(13A)는 취득한 공급 조건을 재고 관리 메모리(12)에 기억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서버 제어부(23)가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구매를 원하는 물품의 요구 수량을 포함하는 요구 조건을 입력한다. 그리고 취득부(23A)는 사용자가 입력한 요구 조건을 취득한다(S103). 또한, 취득부(23A)는 재고 관리 서버(10)로부터 공급량을 취득한다.
판정부(23G)는 취득부(23A)가 취득한 요구 수량과 공급량을 비교하여(S104) 배분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5). 이때 판정부(23G)는 특정 서플라이어의 공급량보다 요구 수량이 적은 경우에 배분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S105에서 NO). 즉, 판정부(23G)는 특정 서플라이어가 단독으로 물품을 공급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요구 수량은 배분하지 않으므로 견적부(23F)는 구입가능한 수량으로서 요구 수량과 같은 양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S106). 예를 들어 견적부(23F)는 물품의 수량과 출하일을 사용자 단말(40)의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수량을 확인하고 구입 주문을 확정시키는 조작을 행하여 발주부(23D)가 구입 주문을 접수한다(S107). 이어서 발주부(23D)는 특정 서플라이어에게 구입 주문을 송신하여 물품을 발주한다(S108).
한편, 특정 서플라이어의 공급량보다 요구 수량이 많을 경우 판정부(23G)는 배분 조건이 충족된다고 판정한다(S105에서 YES). 그리고 선택부(23B)는 특정 서플라이어와, 요구 조건의 납기까지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다른 서플라이어를 공급 서플라이어군으로 선택한다(S109). 또한, 배분부(23C)는 선택부(23B)가 선택한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요구 조건의 요구 수량을 배분한다(S110). 이어서 견적부(23F)는 배정된 수량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S106). 예를 들어 견적부(23F)는 배분된 수량과 물품의 출하일을 사용자 단말(40)의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수량을 확인하고 구입 주문을 확정시키는 조작을 행하여 발주부(23D)가 구입 주문을 접수한다(S107). 이어서 발주부(23D)는 공급 서플라이어군의 각 서플라이어에게 구입 주문을 송신하여 물품을 발주한다(S108). 이에 의해 배분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된 조달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요구하는 물품의 수량을 복수의 서브 서플라이어에 배분함으로써 구입 주문에서 물품의 납품까지의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즉, 요구 수량 중에서 공급량을 초과하는 물량을 다른 서플라이어에 발주하여 보다 빠르게 물품을 납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량의 물품을 구입 주문할 경우에 복수의 서플라이어 각각에 구입 주문할 수량을 계산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서플라이어 각각에 구입 주문할 필요도 없다. 그러므로, 구입 주문할 때의 계산 및 조작을 생략하여, 구입 주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각 서플라이어의 공급량이 동적으로 갱신되기 때문에 요구 수량의 배분 필요 여부가 보다 새로운 공급량에 기초하여 판단된다.
또한, 상술한 조달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서의 재고 관리 제어부(13)와 서버 제어부(23)가 협동하여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당해 제어 방법은 취득 공정과, 판정 공정과, 선택 공정과, 배분 공정을 포함한다. 취득 공정에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물품의 요구 수량을 포함하는 요구 조건과, 물품을 공급 가능한 복수의 서플라이어 각각에 의한 물품의 공급량을 포함하는 공급 조건을 취득한다. 또한, 판정 공정에서는 요구 조건과 공급 조건에 기초하여 물품의 요구 수량을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에 배분해야 할 배분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선택 공정에서는 배분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복수의 서플라이어로부터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를 공급 서플라이어군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배분공정에서는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요구 수량을 배분한다. 대체적으로 재고 관리 제어부(13) 및 서버 제어부(23) 중에서 일방이 취득 공정과, 판정 공정과, 선택 공정과, 배분 공정을 실행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판매 관리 시스템(200)이 구비하는 조달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판매 주문을 작성하지 않고 복수의 구입 주문을 작성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고,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특히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 구성 요소는 대략 동일한 동작 및 기능을 하며, 그 작용 효과도 대략 동일하다.
도 9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의 조달 관리 시스템에 의한 조달 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서플라이어 단말(60)은 서플라이어 A 단말과 서플라이어 B 단말을 포함하고 있다. 서플라이어 단말(60)의 각각은 임의의 타이밍에 재고량을 포함한 공급 조건을 재고 관리 서버(10)에 송신한다. 그리고, 재고 관리 서버(10)의 재고 관리 제어부(13)는 수신한 공급 조건을 물품마다 각각의 서플라이어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재고 관리 메모리(12)에 기억시킨다.
물품 구입을 원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에서 조달 관리 서버(2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다. 구체적으로 조달 관리 서버(20)의 서버 제어부(23)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물품 화면(95)을 사용자 단말(40)의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물품 화면(95)에는 물품란(91A)과 납기 입력란(91B)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물품 화면(95)에는 수량 입력란(95C)이 마련되어 있고 수량 입력란(95C)에는 물품요구 수량을 입력하기 위한 수량란(95D)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수량란(95D)에 요구 수량을 입력하면 서버 제어부(23)는 사용자가 입력한 요구 수량을 취득하여 요구 정보(22A)에 포함시켜 서버 메모리(22)에 기억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구매 가능 수량을 초과하는 수량의 물품 구매를 원할 경우 납기 확인 버튼(95E)을 선택하여 납기 확인을 요구한다.
사용자는 물품의 요구 수량과 납기를 물품 화면(95)을 통해 입력한다. 조달 관리서버(20)의 서버 제어부(23)는 입력된 요구 조건을 취득하여 조달 관리서버(20)의 서버 메모리(22)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서버 제어부(23)는 재고 관리 서버(10)로부터 재고량을 취득하여 요구된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특정 서플라이어를 선택한다. 여기서 서버 제어부(23)는 특정 서플라이어의 재고량이 요구 수량에 충분할 경우 당해 특정 서플라이어를 선택한다. 그리고 서버 제어부(23)는 구입 주문이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사용자는 구입 주문을 송신하는 조작을 행한다. 이를 위해, 도 10에 나타내는 물품 화면(95)에는 주문 버튼(95G)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주문 버튼(95G)을 선택하는 조작을 행하면, 서버 제어부(23)는 도시되지 않은 주문 확인 화면을 사용자 단말(40)의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주문 확인 화면에서 구매 주문 내용을 확인하고 주문 확정 버튼을 선택하여 구매 주문을 한다. 또한, 물품 화면(95)는 일괄 납품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상세 화면 버튼(91F)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한편, 특정 서플라이어의 재고량이 요구 수량에 부족한 경우, 서버 제어부(23)는 특정 서플라이어와 복수의 서플라이어로부터 물품을 공급 가능한 다른 서플라이어를 공급 서플라이어 군으로 선택한다. 이때 서버 제어부(23)는 공급 서플라이어군의 합계 재고량이 요구 수량에 충분하도록 공급 서플라이어군을 선택한다. 그리고 서버 제어부(23)는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물품의 요구 수량을 배분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23)는 구입할 수 있는 물품의 수량을 일괄 출하 정보로서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써 구입 주문이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23)는 사용자가 주문 버튼(95G)(도 10)을 선택하는 조작을 수행하면, 도시되지 않은 주문 확인 화면을 사용자 단말(40)의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주문 확인 화면에서 구매 주문 내용을 확인하고 주문 확정 버튼을 선택하여 구매 주문을 한다. 이어 서버 제어부(23)는 구매 주문을 접수하고 접수된 구매 주문에 대응하는 판매 주문을 식별하는 기초 판매 식별 정보와 연결된 복수의 구매 주문을 작성한다. 이 복수의 구매 주문은 각각을 식별하는 기초 판매 식별 정보와 연결되어 있다.
도 9의 예에서 복수의 구매 주문으로서 서버 제어부(23)는 하나의 판매 주문에 대응하는 구매 주문 A 및 구매 주문 B를 작성한다. 구매 주문 A는 서플라이어 A에 대한 주문이고, 구매 주문 B는 서플라이어 B에 대한 주문이다. 그리고 서버 제어부(23)는 복수의 구매 주문을 각각의 서플라이어의 서플라이어 단말(60)로 송신한다. 그 후 각각의 서플라이어는 구매 주문에 따른 물품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서플라이어는 형번에 의해 특정되는 물품을 구매 주문에 의해 특정되는 수량 및 출하 시기에서 구매 주문에 의해 특정되는 공통 집적 거점으로 출하한다. 이 경우, 서플라이어 A 및 서플라이어 B는 각각 배분된 수량의 물품을 집적 거점으로 전송한다. 그 후 집적 거점을 관리하는 업자(예를 들면 판매업자)는 집적된 물품을 정리하여 사용자가 지정하는 수송처로 전송한다.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된 조달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요구하는 물품의 수량을 복수의 서브 서플라이어에게 할당함으로써, 구입 주문으로부터 물품의 납품까지의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량의 물품을 구매 주문할 경우에 복수의 서플라이어 각각에 구매 주문할 수량을 계산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서플라이어 각각에 구입 주문할 필요도 없다. 그러므로, 구입 주문할 때의 계산 및 조작을 생략하여, 구입 주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각 서플라이어의 공급량이 동적으로 갱신되기 때문에 요구 수량의 배분 필요 여부가 보다 새로운 공급량에 기초하여 판단된다.
이상 각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된 발명 및 본 발명과 균등한 발명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 및 각 변형 형태는 본 발명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고 관리 서버(10)와 조달 관리 서버(20)는 하나의 서버라도 좋다. 또한, 재고 관리 서버(10)에 마련되는 각 논리적 장치는 조달 관리 서버(20)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조달 관리 서버(20)에 마련되는 각 논리적 장치는 재고 관리 서버(10)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재고 관리 서버(10) 및 조달 관리 서버(20)에 마련되는 각 논리적 장치는 각각 다른 서버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당해 별도의 서버와 재고 관리 서버(10) 및 조달 관리 서버(20)가 협동하여 조달 관리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 출원은 2021년 10월 29일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21-177837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인용하여 이 출원의 일부로 한다.
10: 조달 관리 시스템(재고 관리 서버)
12 : 재고 관리 메모리(기억 수단)
13A : 갱신부(갱신 수단)
20 : 조달 관리 시스템(조달 관리서버)
23 : 서버 제어부(컴퓨터)
23A : 취득부(취득 수단)
23B : 선택부(선택 수단)
23C : 배분부(배분 수단)
23D : 발주부(발주 수단)
23E : 예측부(예측 수단)
23G : 판정부(판정 수단)
23H : 제시부(제시 수단)
PG : 조달 관리 프로그램(컴퓨터 프로그램)

Claims (12)

  1. 사용자가 요구하는 물품의 요구 수량을 포함하는 요구 조건과, 상기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복수의 서플라이어 각각에 의한 상기 물품의 공급량을 포함하는 공급 조건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요구 조건과 상기 공급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상기 요구 수량을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에 배분해야 하는 배분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배분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로부터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를 공급 서플라이어군으로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상기 요구 수량을 배분하는 배분 수단을 구비하는 조달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하나의 특정 서플라이어를 선택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특정 서플라이어의 공급량보다 상기 요구 수량이 많을 때에 상기 배분 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배분 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상기 특정 서플라이어와, 상기 특정 서플라이어와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플라이어를 상기 공급 서플라이어군으로 선택하는 조달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분 수단은, 상기 특정 서플라이어의 공급량에 따른 양을, 상기 요구 수량 중에서 상기 특정 서플라이어에 배분하고, 상기 요구 수량 중에서 나머지 양을 상기 공급 서플라이어군의 다른 서플라이어에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달 관리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조건은 상기 사용자가 요구하는 상기 물품의 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 조건은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 각각이 상기 물품을 공급하는 공급 시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공급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납기까지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를 상기 서플라이어군으로 선택하는 조달 관리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 기간 동안 상기 물품의 수요를 예측하는 예측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공급량은 상기 물품의 재고량이며,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예측 수단에 의한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기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의 재고량의 편차가 감소하도록 상기 공급 서플라이어군을 선택하는 조달 관리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조건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저장 수단이 기억하고 있는 상기 공급 조건을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갱신 후의 공급 조건을 취득하는 조달 관리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분 수단이 배분한 수량의 상기 물품이 나누어 출하됨을 나타내는 분할 출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제시 수단과,
    상기 사용자에 의한 구매 주문 확정 후에, 상기 수량의 물품을 상기 공급 서플라이어군의 각 서플라이어에 발주하는 발주 수단을 더 포함하는 조달 관리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수량의 상기 물품이 일괄적으로 출하됨을 나타내는 일괄 출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제시 수단과,
    상기 사용자에 의한 구매 주문 확정 후에, 상기 배분 수단이 배분한 수량의 상기 물품을 상기 공급 서플라이어군의 각 서플라이어에 발주하는 발주 수단을 더 포함하는 조달 관리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분 수단이 배분한 수량의 상기 물품을 상기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발주하는 발주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발주 수단은, 상기 공급 서플라이어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물품의 공급을 저해하는 저해 조건이 발생한 경우,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서플라이어에게 상기 저해 조건이 발생한 서플라이어에게 할당된 수량의 물품을 발주하는 조달 관리 시스템.
  11. 컴퓨터를 구비하는 조달 관리 시스템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물품의 요구 수량을 포함하는 요구 조건과, 상기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복수의 서플라이어 각각에 의한 상기 물품의 공급량을 포함하는 공급 조건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요구 조건과 상기 공급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상기 요구 수량을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에 배분해야 하는 배분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배분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로부터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를 공급 서플라이어군으로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상기 요구 수량을 배분하는 배분 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조달 관리 시스템의 컴퓨터 프로그램.
  12. 사용자가 요구하는 물품의 요구 수량을 포함하는 요구 조건과, 상기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복수의 서플라이어 각각에 의한 상기 물품의 공급량을 포함하는 공급 조건을 취득하고,
    상기 요구 조건과 상기 공급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상기 요구 수량을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에 배분해야 하는 배분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배분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서플라이어 중에서 둘 이상의 서플라이어를 공급 서플라이어군으로 선택하고,
    상기 공급 서플라이어군에 상기 요구 수량을 배분하는 조달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247005681A 2021-10-29 2021-11-09 조달 관리 시스템, 조달 관리 시스템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조달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2400285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77837A JP7408613B2 (ja) 2021-10-29 2021-10-29 調達管理システム、調達管理システム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調達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JP-P-2021-177837 2021-10-29
PCT/JP2021/041195 WO2023074004A1 (ja) 2021-10-29 2021-11-09 調達管理システム、調達管理システム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調達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550A true KR20240028550A (ko) 2024-03-05

Family

ID=8615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5681A KR20240028550A (ko) 2021-10-29 2021-11-09 조달 관리 시스템, 조달 관리 시스템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조달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3) JP7408613B2 (ko)
KR (1) KR20240028550A (ko)
CN (1) CN117916755A (ko)
DE (1) DE112021008012T5 (ko)
TW (1) TW202326545A (ko)
WO (1) WO202307400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2596A (ja) * 1998-10-21 2000-05-12 Ntt Data Corp 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電子商取引センタ
JP2001117997A (ja) 1999-10-21 2001-04-27 Digital Garage Inc 電子商取引装置
JP2002279236A (ja) * 2001-03-16 2002-09-27 Mitsubishi Materials Corp 購買品調達システム及び購買品調達方法
JP2003091664A (ja) 2001-09-18 2003-03-28 Commerce Center Inc 取引管理装置、取引管理方法、および取引管理機能をコンピュータに実現させるプログラム
JP2003122963A (ja) * 2001-10-09 2003-04-25 Nissho Iwai Corp 手配業務支援システム
JP4743138B2 (ja) 2007-03-05 2011-08-10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装置
US8533053B2 (en) 2011-03-10 2013-09-10 Amazon Technologies, Inc. Inventory pooling for multiple merchants
WO2014141394A1 (ja) * 2013-03-13 2014-09-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供給グループ決定支援装置及び供給グループ決定支援プログラム
WO2021038813A1 (ja) 2019-08-29 2021-03-04 株式会社オプティム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食品売買仲介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77837A (ja) 2020-05-12 2021-11-18 賢三 大嶋 殺菌装置付き空気循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46756B2 (ja) 2023-09-19
WO2023074004A1 (ja) 2023-05-04
JP2023067875A (ja) 2023-05-16
TW202326545A (zh) 2023-07-01
DE112021008012T5 (de) 2024-05-16
JP2023067874A (ja) 2023-05-16
JP7408613B2 (ja) 2024-01-05
CN117916755A (zh) 2024-04-19
JP2023066948A (ja)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90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ed delivery of shipments with multiple shipment carriers
US7962377B2 (en)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urchase order processing
US201700248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channel fulfillment of online retail orders
JP5418084B2 (ja) 物流統合支援システム、受発注支援装置、在庫管理支援装置、出荷作業支援装置、受発注支援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物流統合支援方法
JP2022091966A (ja) フルフィルメントセンターの優先度値に基づくアウトバウンド予測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00235257A1 (en) Multimedia gift registry system
US20030135420A1 (en) Web-based method for manag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regarding an order of consumer goods
JP7346756B2 (ja) 調達管理システム、調達管理システム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調達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328314B1 (ja) 電子商取引統合管理システム
JP6502549B2 (ja) 電子商取引統合管理システム
JP4876479B2 (ja) 価格提示装置及び価格提示プログラム
KR100619529B1 (ko) 상품 구매와 배송을 결합시킨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0409A (ko) 제품 할당 검증을 이용한 인바운드 제품의 지능적 분배에 의해 제품 재고를 최적화하는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JP6300248B1 (ja) 電子商取引統合管理システム
JP7264560B1 (ja) 配送料見積装置
JP7400138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2308431A (ja) 受注処理装置および方法、受注処理プログラム、受注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受発注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7123437B1 (ja) 販売情報・提供サービス情報の自動検知通知システム及びその自動検知と通知をする方法
JP201912527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24095986A1 (ja) 事業者をマッチングする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方法
US202300319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rinting of shipping labels for orders bypassing stowage in a warehouse
JP6781104B2 (ja) 予測装置、予測方法、及び予測プログラム
JP2004078469A (ja) 注文処理システム
KR20220020702A (ko) 고객 주소지 기반 스마트 배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111108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