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7815A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7815A
KR20240027815A KR1020247003750A KR20247003750A KR20240027815A KR 20240027815 A KR20240027815 A KR 20240027815A KR 1020247003750 A KR1020247003750 A KR 1020247003750A KR 20247003750 A KR20247003750 A KR 20247003750A KR 20240027815 A KR20240027815 A KR 20240027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riving
indoor unit
air conditioner
rad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구
쩡보 펑
윈쯔 리
창리 칸
창칭 탕
멍하오 주
밍타오 마
린 우
바이송 조우
Original Assignee
지디 미디어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코 엘티디
허페이 메이디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221411290.5U external-priority patent/CN21768539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210634576.8A external-priority patent/CN117232116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221406073.7U external-priority patent/CN217685389U/zh
Application filed by 지디 미디어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코 엘티디, 허페이 메이디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지디 미디어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40027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81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4Cooling of electr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54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하우징(10) 및 팬 어셈블리(20)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로서, 하우징(10) 내에 송풍덕트(101) 및 전기 컨트롤 챔버(102)가 구비되고,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는 메인 컨트롤 모듈(31)이 설치되며; 팬 어셈블리(20)는 모터(22), 팬(21) 및 구동 모듈(32)을 포함하고, 팬(21)는 송풍덕트(101) 내에 설치되어, 기류를 구동시키며, 모터(22)는 팬(21)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 모듈(32)은 모터(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본 발명은 2022년 06월 06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되고, 출원번호가 202210634576.8이며, 발명의 명칭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이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 발명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2022년 06월 06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되고, 출원번호가 202221411290.5이며, 발명의 명칭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이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 발명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2022년 06월 06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되고, 출원번호가 202221406073.7이며, 발명의 명칭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이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 발명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공기 조절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공기 조화기에서, 팬의 구동 모듈은 일반적으로 팬에 집적되고, 팬은 컨트롤 와이어 하니스 및 전력 공급 와이어 하니스를 통해 메인 컨트롤 모듈에 연결되며, 팬의 제어 신호 및 전력 공급 라인은 구동 모듈의 제어에 불리하고, 제어 모듈의 유지 보수에도 불리하다.
본 발명은 관련 기술의 기술적 과제 중 하나를 적어도 어느 정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구동 모듈을 메인 컨트롤 모듈 상에 장착하여 제어 모듈의 집적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팬의 제어가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하우징 및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내에 송풍덕트 및 전기 컨트롤 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 내에는 메인 컨트롤 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팬 어셈블리는 모터, 팬 및 구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송풍덕트 내에 설치되어, 기류를 구동시키며, 상기 모터는 상기 팬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과 상기 구동 모듈은 분리형 구조이며,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 상에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과 서로 평행되게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모듈과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은 동일한 회로 기판 상에 집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에는 통풍구가 구비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통풍구는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에 비해 상기 구동 모듈에 가깝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회로 기판의 모서리부에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모듈에서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 밖을 향하는 일측에는 방열기가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모듈에는 모듈 핀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모듈 핀을 통해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모듈 핀에는 광 호일이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모듈 핀은 단차형 구조이고, 상기 모듈 핀의 일단은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의 메인 컨트롤 모듈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모듈 핀의 단차면은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에 지지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 및 상기 구동 모듈 중의 고발열 소자는 상기 회로 기판의 동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 및 상기 구동 모듈 중의 저발열 소자는 모두 상기 회로 기판의 타측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방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기는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방열기는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의 외부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열기는 상기 회로 기판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절연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연 지지부는 상기 회로 기판 및 상기 방열기에 각각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열기는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의 벽에는 통풍구가 설치되며, 상기 방열기의 방열편 간격은 상기 통풍구에 대향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모듈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 모듈의 구동 칩은 상기 구동 모듈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방열기는 상기 구동 칩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칩을 덮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열기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송풍덕트를 향해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에서 돌출되고, 상기 송풍덕트 내로 돌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열기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송풍덕트를 등지는 일측을 향해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 내에서 돌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열기는 상기 회로 기판에 평행되거나, 상기 회로 기판에 수직되거나, 상기 회로 기판과 90°보다 작은 협각을 이룬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열기는 상기 구동 모듈 상의 구동 칩을 완전히 커버하고, 상기 방열기의 주연은 상기 구동 칩에서 돌출되어, 상기 구동 모듈과의 사이에 에어 갭을 가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모듈은 구동 보드 및 커버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보드는 상기 팬 어셈블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 본체는 상기 구동 보드의 외측에 씌워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커버 본체 상에는 제1 위치결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 보드 상에는 제2 위치결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위치결정부와 상기 제2 위치결정부는 맞추어져 상기 커버 본체와 상기 구동 보드 사이의 이탈을 제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위치결정부 및 상기 제2 위치결정부 중 하나는 위치결정 걸림 후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위치결정 걸림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커버 본체 상에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 보드는 상기 수용홈 내에 감입되며, 상기 수용홈 내의 대향되는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1 위치결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 보드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제2 위치결정부가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커버 본체 상에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 보드는 상기 수용홈 내에 감입되며, 상기 수용홈 내의 대향되는 양측면에는 상기 구동 보드의 측변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이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커버 본체와 상기 구동 보드 사이에는 간격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 본체 상에는 상기 간격과 연통되는 방열홀이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모듈은 방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기는 상기 구동 보드에 열교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구동 보드는 상기 방열기와 상기 커버 본체 사이에 끼워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커버 본체는 제1 플레이트부 및 제2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방열기는 상기 구동 보드의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에 연결되고, 상기 방열기 및 상기 방열기와 상기 제1 플레이트부 사이의 틈새를 덮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열기는 상기 구동 보드에 열교환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보드를 등지는 일측에는 방열편이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보드는 상기 송풍덕트 내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전기 컨트롤 챔버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동 보드는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 내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 내에는 메인 컨트롤 보드가 더 설치되며, 상기 구동 보드는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 상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 설명에서 사용해야 하는 도면을 간단하게 설명하며, 아래 설명에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일 뿐인 것은 자명하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진보성 창출에 힘쓰지 않고 이러한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전기 컨트롤 챔버의 구조 모식도이다(구동 모듈이 메인 컨트롤 모듈에 수직으로 설치될 때 상태를 도시함).
도 3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전기 컨트롤 챔버의 단면도이다(구동 모듈이 메인 컨트롤 모듈에 수직으로 설치될 때 상태를 도시함).
도 4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의 방열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부분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전기 컨트롤 챔버의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 단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달성, 기능 특징 및 이점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결합하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 도시되었고, 전체 명세서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소자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내지 도 13을 결합하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하우징(10) 및 팬 어셈블리(20)를 포함하되, 하우징(10) 내에 송풍덕트(101) 및 전기 컨트롤 챔버(102)가 구비되고,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는 메인 컨트롤 모듈(31)이 설치되며; 팬 어셈블리(20)는 모터(22), 팬(21) 및 구동 모듈(32)을 포함하고, 팬(21)는 송풍덕트(101) 내에 설치되어, 기류를 구동시키며, 모터(22)는 팬(21)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 모듈(32)은 모터(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동 모듈(32)은 모터(22)의 작동을 구동시켜 팬(21)를 구동시킨다. 다시 말해서, 구동 모듈(32)은 모터(22)의 회동을 제어하고, 모터(22)는 팬(21)의 작동을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 모듈(32)은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되고, 메인 컨트롤 모듈(31)과 구동 모듈(32)은 분리형 구조이며, 구동 모듈(32)은 메인 컨트롤 모듈(31) 상에 장착된다. 다시 말해서, 구동 모듈(32)은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될 수 있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집적 제어에 유리하고 내부 공간 배치의 최적화에 유리하며 공간을 절약하고, 구동 모듈(32)은 메인 컨트롤 모듈(31) 상에 장착되어, 메인 컨트롤 모듈(31)이 구동 모듈(32)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여, 팬(21)의 작동 상황을 더 잘 제어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전기 컨트롤 챔버(102)는 송풍덕트(101)와 이격될 수 있고, 전기 컨트롤 챔버(102)는 송풍덕트(101)와 두 개의 챔버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두 개의 챔버는 부분적으로 이격 가능한 형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두 개의 챔버 사이에는 통풍홀 또는 통풍 덕트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로써 송풍덕트(101)의 기류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를 거쳐, 전기 컨트롤 챔버(102)에 대해 열교환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물론, 전기 컨트롤 챔버(102)와 송풍덕트(101)는 하나의 챔버 내에서 이격된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일반적인 경우, 구동 모듈(32)의 발열량은 메인 컨트롤 모듈(31)보다 크기 때문에, 메인 컨트롤 모듈(31)과 구동 모듈(32)은 분리형 구조로 설치되어, 양자 사이에 발생되는 신호 간섭 또는 상호 영향을 방지하여 작동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구동 모듈(32)을 메인 컨트롤 모듈(31) 상에 장착시킴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집적화를 구현할 수 있고 제어가 용이하며, 조립 과정에서, 메인 컨트롤 모듈(31)과 구동 모듈(32)을 하나로 장착한 후,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할 수 있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모듈화 효과를 향상시키고, 메인 컨트롤 모듈(31)과 구동 모듈(32) 사이의 신호 전송이 용이하여, 팬(21)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고, 팬(21)의 보다 복잡한 구동 요구를 충족시킨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열교환기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32)은 메인 컨트롤 모듈(31) 상에 장착되지 않을 수도 있고, 즉, 구동 모듈(13)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은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서 분리되어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집적 제어를 구현하여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결합하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32)은 메인 컨트롤 모듈(31)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평면 공간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어 공간 배치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32)은 메인 컨트롤 모듈(31)과 서로 평행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구동 모듈(32)은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대해 사전 설정 각도로 경사질 수도 있으며, 실제 응용 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 또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구체적인 구조에 따라 배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은 상이한 결합 및 위치 관계를 가질 수 있고, 구동 모듈(32)을 메인 컨트롤 모듈(31) 상에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동 모듈(32)의 점용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메인 컨트롤 모듈(31) 상에는 일반적으로 부피가 큰 커패시터와 같은 구조가 구비되며, 구동 모듈(32)을 수직으로 설치함으로써, 메인 컨트롤 모듈 상의 공간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고, 이로써 구동 모듈(32) 및 메인 컨트롤 모듈(31)이 조합되어 형성되는 컨트롤 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이 밖에, 구동 모듈(32)을 메인 컨트롤 모듈(31)과 서로 평행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수직되는 투영에서, 구동 모듈(32)의 투영은 완전히 메인 컨트롤 모듈(31) 상에 드리워지거나, 일부가 메인 컨트롤 모듈(31) 상에 드리워지거나, 완전히 메인 컨트롤 모듈(31) 밖에 드리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모듈(32)을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가장자리에 연결하여, 메인 컨트롤 모듈(31)과 구동 모듈(32) 사이의 상호 간섭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고;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을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법선 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으며, 아울러 신호 간섭을 줄이고 방열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 밖에, 구동 모듈(32)을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대해 사전 설정 각도로 경사지게 할 수도 있고, 여기서,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수직되는 투영에서, 구동 모듈(32)의 투영은 완전히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드리워지거나, 일부가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드리워지거나, 완전히 메인 컨트롤 모듈(31) 밖에 드리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모듈(32)을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가장자리에 연결하고, 메인 컨트롤 모듈(31)에서 멀어지는 방향, 또는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법선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할 수 있다. 구동 모듈(32)의 경사 설치를 통해,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연결이 용이할 수 있고, 경사진 설치는 구동 모듈(32)의 브라켓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브라켓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어 컨트롤 모듈의 조립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아울러 신호 간섭을 줄이고 방열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2를 결합하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32)은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모서리부 위치에 장착되어, 구동 모듈(32)의 방열에 유리하고,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 상의 다른 부재 사이에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을 결합하면,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이 동일한 회로 기판 상에 집적될 경우,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회로 기판 상에서 가장 자리에 가까운 위치에 구동 모듈(32)의 전자 부품을 집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이 분리형 구조일 경우,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회로 기판 상에서 가장자리에 가까운 위치에 구동 모듈(32)을 장착할 수 있다. 물론, 다른 방식으로 구동 모듈(32)을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모서리부 위치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이는 구동 모듈(32)의 방열에 유리할 수 있고,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 상의 다른 부재 사이에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 모듈(32)을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연결하여 합리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방열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고;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은 특정 구조를 사용하여 장착 및 고정되어 전체 구조가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구동 모듈(32) 및 메인 컨트롤 모듈(31)을 동일한 회로 기판 상에 집적시킴으로써, 모듈을 제어하는 동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팬(21)에 대한 빠르고 안정적인 제어를 구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어 명령에 따라 회전 속도를 빠르게 조절하여 정량 송풍을 용이하게 구현한다. 이 밖에,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조립 및 유지 보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모서리부 위치는 메인 컨트롤 모듈(31)에서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위치일 수 있다.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협각을 이루는 다수개의 가장자리가 구비될 경우, 근접한 2개 이상의 가장자리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모서리부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메인 컨트롤 모듈(31)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4개의 모서리가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모서리부 위치이다. 마찬가지로, 메인 컨트롤 모듈(31)이 삼각형, 오각형 등 형상일 때,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각 모서리가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모서리부 위치이다. 이 밖에, 메인 컨트롤 모듈(31)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메인 컨트롤 모듈(31)에서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을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모서리부 위치로 간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32)에서 메인 컨트롤 모듈(31) 밖을 향하는 일측에는 방열기(33)가 설치되고, 방열기(33)는 구동 모듈(32)을 방열시킬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을 결합하면, 구동 모듈(32)은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수직되고,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모서리부(또는 가장자리)에 설치되므로, 방열기(33)는 메인 컨트롤 모듈(31) 밖을 향할 수 있으며, 즉 메인 컨트롤 모듈(31)과 구동 모듈(32) 사이 공간의 외측을 향하며, 이는 방열기(33)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고, 방열기(33)의 열량이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결합하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32)에는 모듈 핀(35)이 구비되고, 구동 모듈(32)은 모듈 핀(35)을 통해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연결되어,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분리적 연결을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구동 모듈(32)에 대한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제어를 구현하는 데 유리하고, 집적화를 구현하는 데 유리하며, 구동 모듈(32)의 브래킷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브래킷 사이의 간섭 및 영향을 줄이는 데 유리하다.
여기서, 핀(35)은 하나 또는 다수개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핀(35)이 1개일 경우 구조의 단순화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모듈 핀(35)에는 광 호일이 설치된다. 방열 광 호일은 방열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고,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연결 부분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강한 전류와 약한 전류 사이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모듈 핀(35)은 단차형 구조이고, 전체 구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모듈 핀(35)의 일단은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삽입 설치되고, 모듈 핀(35)의 단차면은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지지되어, 핀(35)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이 연결될 때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연결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밖에, 전술한 내용을 결합하면,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은 분리형 메커니즘이며,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12)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서 분리되게 배치할 수도 있으며, 다시 말해서, 구동 모듈(32) 및 메인 컨트롤 모듈(31)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의 상이한 위치에 설치한다. 작동 안정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양자 사이에 발생되는 신호 간섭 또는 상호 영향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집적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제어가 용이하고,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모듈화 효과를 향상시키며, 메인 컨트롤 모듈(31)과 구동 모듈(32) 사이의 신호 전송이 용이하여, 팬(21) 어셈블리(20)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고, 팬(21) 어셈블리(20)의 보다 복잡한 구동 요구를 충족시킨다.
여기서,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2)은 동일한 챔버 내의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고, 방열 과정에서, 전기 컨트롤 모듈 및 구동 모듈(32)을 동시에 방열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 모듈(32) 및 메인 컨트롤 모듈(32)을 상이한 챔버에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컨트롤 모듈(32) 및 구동 모듈(32)이 각각 저장되도록,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서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챔버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는 서로 이격되는 제1 수용 캐비티 및 제2 수용 캐비티가 구비되고, 메인 컨트롤 모듈(31)은 제1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되며, 구동 모듈(32)은 제2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구동 모듈(32)은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동 모듈(32)은 팬(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은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의 제1 수용 캐비티 및 제2 수용 캐비티 내에 각각 설치되며,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을 분리되게 배치할 수 있고, 이는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벽에는 통풍구(110)가 설치되고, 통풍구(110)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며, 제2 수용 캐비티 내의 공기가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외부와 열교환되어 제2 수용 캐비티 내의 온도를 낮추는데 유리하도록, 통풍구(110)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외부 공간과 제2 수용 캐비티(105)를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13)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은 분리형 구조이고, 구동 모듈(13)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은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서 분리되어 배치될 수도 있으며, 구동 모듈(13)은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구동 모듈(13)은 모터(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모터(22)는 팬(21)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 또는 하우징(10)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메인 컨트롤 모듈(31)과 구동 모듈(13)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동일측 벽에 연결시키거나; 또는 메인 컨트롤 모듈(31) 및 구동 모듈(13)이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대향되는 측벽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메인 컨트롤 모듈(31) 및 구동 모듈(13)이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인접한 측벽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는 연결 및 관리가 용이하고 공간 배치에 유리하며 하우징(10)의 부피를 줄이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결합하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방열기(33)를 더 포함하고, 방열기(33)는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연결된다. 방열기(33)를 설치함으로써,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내부 공간을 빠르게 방열 및 냉각시켜, 전기 컨트롤 보드 및 구동 모듈의 작동 환경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내부 환경 공기와 열교환되어 전기 컨트롤 챔버(102)를 냉각시켜, 전기 컨트롤 챔버(102)에 대한 방열 효과 및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방열기(33)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방열기(33)의 적어도 일부분이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즉 방열기(33)는 일부분이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부분이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어, 전기 컨트롤 챔버(102) 밖으로 열량을 배출하기에 적합하고,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내부 온도를 낮추는 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설치될 수 있고,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의 온도가 높을 경우, 온도 센서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작동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프롬프트를 내보낼 수 있다. 또는, 온도 센서는 구동 모듈(32) 및 방열기(33)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거나 온도 센서는 구동 모듈(32)에 근접하여 구동 모듈(33)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방열기(33)를 합리적으로 제어하여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에너지를 절약에 유리하다.
도 2 및 도 3을 결합하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32)은 수평으로 설치되고, 구동 모듈(32)의 구동 칩(321)은 구동 모듈(32)의 상측에 설치되며, 방열기(33)는 구동 칩(321)의 상단에 설치되어 구동 칩(321)을 덮는다.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구동 모듈(32)이 수평으로 설치되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수평 방향의 공간을 충분하게 이용할 수 있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부피를 줄이는데 유리하다. 나아가, 구동 칩(321)은 구동 모듈(32)의 상측에 설치되어, 방열기(15)와 마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열기(33)가 구동 칩(321)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으므로, 구동 칩(321)에 대한 방열기(33)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방열기(33)는 구동 칩(321)을 차단할 수도 있어, 구동 칩(321)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방진 기능을 향상시키고, 칩 작동에 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하며; 공간 배치에 유리하다.
도 3을 결합하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방열기(33)는 구동 모듈(32) 상의 구동 칩(321)을 완전히 커버하여, 방열기(33)가 구동 칩(321)을 빠르게 냉각시키는 데 유리하고, 방열기(33)의 주연은 구동 칩(321)에서 돌출되어 구동 모듈(32)과의 사이에 에어 갭을 가진다. 이와 같이, 방열기(33)의 주연과 구동 모듈 사이의 간극은 덕트를 형성할 수 있어, 기류의 통과에 유리하고,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며, 방열기(33)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3을 결합하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에서, 방열기(33)는 구동 모듈(32)과 간극을 두고 장착되고, 구동 칩(321)은 중간에 위치하며, 방열 바람이 상기 공간을 통과하면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동 모듈(32)은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구동 모듈(32)에는 연결 부재(322)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 부재(322)의 일단은 구동 칩(321)에 연결되고 타단은 구동 모듈(32)을 관통하여, 구동 칩(321)을 구동 모듈(32)의 상단에 지지시킨다. 방열기(33)는 본체부(331) 및 다수개의 본체부(331)을 포함하고, 다수개의 방열편(332)은 본체부(331)에 연결되며, 다수개의 방열편(332)은 수평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수개의 방열편(332)은 본체부(331)의 열량을 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팬(21)가 작동될 때, 기류가 방열기(33)를 통과하도록 구동할 수 있고, 기류는 방열기(33)와 열교환되어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풍향은 방열편(332)의 연장 방향과 평행되어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기류는 두 개의 방열편(332)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여 방열편(332)의 열량을 가져갈 수 있어, 방열기(33)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사용 시, 구동 칩(321)은 본체부(331)에 접촉되거나, 구동 칩(321)은 본체부(331)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구동 칩(321)의 열량은 본체부(331)를 통해 다수개의 방열편(332)에 전달되어, 구동 칩(321)을 방열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결합하면, 수평 방향은 상하 방향일 수 있고, 수직 방향은 좌우 방향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를 결합하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절연 지지부(34)를 더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방열기(33)는 메인 컨트롤 모듈(31)과 이격되며, 절연 지지부(34)는 메인 컨트롤 모듈(31) 및 방열기(33)에 각각 연결된다. 절연 지지부(34)는 방열기(33)를 메인 컨트롤 모듈(31) 상에 지지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방열기(33)가 직접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절연 지지부(34)는 메인 컨트롤 모듈(31)과 방열기(33)를 이격시켜 양자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고, 바람이 간극을 통과할 때 열량을 가져가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벽에는 통풍구(110)가 설치되고, 통풍구(110)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어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부 기류의 유통에 유리하고, 통풍구(110)는 방열기(33)에 대향되어 방열기(33)를 방열시켜 방열 효과를 향상시킨다. 여기서,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각 벽에는 통풍구(110)가 모두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송풍덕트(101)와 마주하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측벽에 통풍구(110)가 설치되어, 송풍덕트(101)와 연통되고; 송풍덕트(101)를 등지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측벽에 통풍구(110)가 설치되어,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외부 공간과 연통되며; 송풍덕트(101)의 송풍구와 마주하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일측에 통풍구(110)를 설치할 수도 있고; 송풍덕트(101)의 입풍구와 마주하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일측에 통풍구(110)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상단벽 및 바닥벽에 통풍구(1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기 컨트롤 챔버(102) 상에는 다수개의 통풍구(110)를 설치되어, 다수개의 통풍구(110)를 통해,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서 기류 유통 채널이 구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내측면에는 위치결정 에지가 설치되고, 위치결정 에지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내측면에서 위치결정홈을 구성하며, 메인 컨트롤 모듈(31)은 상기 위치결정홈 내에 설치되며, 위치결정 에지에는 다수개의 위치결정 후크가 설치되고, 위치결정 후크는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이탈을 제한하며, 여기서, 다수개의 위치결정 후크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후크로 마련되고, 메인 컨트롤 모듈(31) 장착 시 탄성 후크는 변형되어 메인 컨트롤 모듈(31)을 위치결정홈 내에 장착시킨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방열기(33)는 구동 모듈(32)에 열교환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 모듈(32)에 대한 방열을 구현할 수 있어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고, 구동 모듈(32)의 안정적인 작동을 구현하는 데 유리하며, 구동 모듈(32)의 과열을 방지하여 사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벽에는 제1 통풍구 및 제2 통풍구가 설치될 수 있고, 제1 통풍구 및 제2 통풍구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으며, 통풍구(110)는 방열기(33)에 대향되어, 방열기(33)을 방열시켜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방열팬을 더 포함하고, 방열팬은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의 기류가 제1 통풍구에서 제2 통풍구로 흐르도록 구동하는 데 적합하다. 다시 말해서, 방열팬은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의 기류 유통을 가속화할 수 있어,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의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고,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의 부품을 방열시키는 데 유리하다.
도 1을 결합하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전기 컨트롤 박스(11)를 더 포함하고, 전기 컨트롤 박스(11)는 하우징(10) 내에 설치되며, 전기 컨트롤 박스(11) 내부에 의해 전기 컨트롤 챔버(102)가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전기 컨트롤 박스(11)는 방진 기능을 가지므로,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부 소자의 안전성을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 컨트롤 박스(11)는 하우징(10)의 일측에 위치하여 공간 배치가 용이하고 수리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전기 컨트롤 박스(11)에는 본체 및 덮개가 설치될 수 있고, 본체 및 덮개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덮개는 본체를 덮어 챔버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전기 컨트롤 챔버(102) 및 그 내부의 메인 컨트롤 모듈(31) 또는 구동 모듈(32)을 수리 또는 교체해야 할 경우, 덮개를 열면 되므로,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 메인 컨트롤 모듈(31) 또는 구동 모듈(32)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여, 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수리 비용을 줄인다. 또한, 전기 컨트롤 챔버(102)는 외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이 절약되고, 하우징(10)의 부피가 감소되며, 하우징(10)의 비용이 줄어든다.
본 발명에서, 구동 모듈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하고, 구동 모듈(32)과 모터(22)를 분리되게 설치함으로써, 구동 모듈(32)을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모듈(32) 상의 회로, 인터페이스를 유연하게 설계하여, 구동 모듈(32)의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고;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는 구동 모듈(32)을 보다 용이하게 수리 및 개조할 수도 있다.
구동 모듈(32)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함으로써, 조립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고, 구동 모듈(32)을 점검 수리하는 과정에서, 팬(21) 어셈블리(20)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 유지 보수의 효율이 향상되며, 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하고, 구동 모듈(32)에 대한 업그레이드가 용이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대한 사람들의 날로 증가하는 기능 요구를 충족시킬 수도 있다. 구동 모듈(32)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함으로써, 구동 모듈(32)이 모터(22) 내에 설치되어 모터(22)의 부피가 너무 커져 송풍덕트(101)의 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방지할 수도 있고, 구동 모듈(32)을 송풍덕트(101) 내에 배치하여 송풍덕트(101) 내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송풍덕트(101)의 송풍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구동 모듈(32)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함으로써,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의 남은 공간을 충분하게 이용한다. 예를 들어,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의 메인 컨트롤 모듈(31)에는 부피가 큰 부품(예를 들어, 커패시터 등)이 존재하고, 부피가 작은 부품(예를 들어, 저항기 등)도 존재하는데, 이러한 부품이 함께 장착될 경우,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많은 공간이 남는다.
보다시피, 본 발명은 구동 모듈(32)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다른 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공간 수요를 증가시키지도 않으므로, 기존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적용될 수 있고, 금형 비용을 절감한다. 이 밖에, 구동 모듈(32)의 업그레이드 및 확장 등이 용이할 수 있고, 구동 모듈(32) 또는 모터(22)의 기능을 변경하거나 추가해야 할 경우, 구동 모듈(32)만 교체하면 된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생산, 조립, 유지 보수 과정에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전체 기계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구동 모듈(32)의 업데이트 및 변경을 완료할 수 있으며, 조립 공정, 금형 구조의 변화를 초래하지 않고, 비용을 절감하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모듈화 설계를 최적화한다. 예를 들어, 정풍량 송풍 기능이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정풍량 송풍 기능이 없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경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생산 공정은 변하지 않고 구동 모듈(32)만 변경하면 된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에 따르면, 구동 모듈(32)을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연결하여 합리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방열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고;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은 특정 구조를 사용하여 장착 및 고정되어 전체 구조가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 및 팬 어셈블리(20)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를 제공한다.
여기서, 하우징(10) 내에는 송풍덕트(101)가 구비되고, 구체적으로, 송풍덕트(101)에는 환기구 및 송풍구가 설치되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동작 과정에서, 기류는 송풍덕트(101)를 따라 실내 환경으로 전송되고; 하우징(10) 내에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가 더 구비되며,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는 메인 컨트롤 모듈(31)이 설치된다. 팬 어셈블리(20)는 모터(22), 팬(21) 및 구동 모듈(32)을 포함하고, 팬(21)는 송풍덕트(101) 내에 설치되어, 기류를 구동시키며, 모터(22)는 팬(21)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 모듈(32)은 모터(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동 모듈(32)은 모터(22)의 작동을 구동시켜 팬(21)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구동 모듈(32)은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되고, 구동 모듈(32) 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은 동일한 회로 기판(30) 상에 집적된다.
여기서, 구동 모듈(32) 및 메인 컨트롤 모듈(31)은 모두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되어, 구조 부재의 수량을 줄일 수 있고, 두 개의 모듈을 동일한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할 경우,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 수록, 신호 전송 거리가 더 짧고 전송 속도가 더 빠르므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송풍량을 더욱 빠르게 조절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가 정량으로 송풍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전기 컨트롤 챔버(102)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환기구의 일단에 설치되기 때문에, 구동 모듈(32)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환기구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고, 환기 기류가 구동 모듈(32)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구동 모듈(32)에 대한 방열 효율을 향상시키고 방열 효과를 향상시킨다. 이를 제외하고, 2개의 모듈을 동일한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하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조립 과정의 조립 효율이 더 높아 생산 비용을 어느 정도로 줄일 수 있으며, 후속적인 유지 보수 및 점검 수리도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구동 모듈(32) 및 메인 컨트롤 모듈(31)을 동일한 회로 기판(30) 상에 집적시킴으로써, 모듈을 제어하는 동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팬(21)에 대한 빠르고 안정적인 제어를 구현하여 팬(21)에 대한 많은 조작 제어 요구를 충족시키기 용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어 명령에 따라 회전 속도를 빠르게 조절하여 정량 송풍을 용이하게 구현한다. 이 밖에,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조립 및 유지 보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컨트롤 챔버(102)는 송풍덕트(101)와 이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하우징(10) 내에 중감 빔을 설치함으로써 전기 컨트롤 챔버(102)와 송풍덕트(101)를 이격시킨다. 전기 컨트롤 챔버(102)와 송풍덕트(101)가 이격될 경우, 전기 컨트롤 챔버(102)와 송풍덕트(101) 사이에 통풍구(110)를 설치하여 연통시킬 수도 있고, 이로써 팬(21)를 이용하여, 공기가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서 유통되도록 구동하여 방열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컨트롤 챔버(102)에는 통풍구(110)가 구비되고,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부에 통풍구(110) 사이에 위치하는 열교관 덕트가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전기 컨트롤 챔버(102)에는 통풍구(110)가 설치될 수 있고,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부에 열교환 덕트가 구성된다. 이로부터, 기류가 전기 컨트롤 챔버(102)에 유입되거나 이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부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전기 컨트롤 챔버(102) 상의 통풍구(110)의 수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다수개의 표면에 통풍구(110)를 설치하여,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부로 유입되는 기류의 유량을 증가시켜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32)에 대한 통풍구(110)의 방열 및 냉각 효과를 더 향상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110)는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비해 구동 모듈(32)에 가깝고, 따라서 기류는 빠르게 통풍구(110)에서 구동 모듈(32)에 도달할 수 있고, 빠르게 방열시키거나; 또는, 구동 모듈(32)을 통과하는 기류는 통풍구(110)에 의해 전기 컨트롤 챔버(102)에서 빠르게 배출되어, 구동 모듈(32)의 열량을 가져감으로써 빠른 방열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풍구(110)에는 방진망 및/또는 건조층이 설치된다. 방진망 및 건조층을 통해, 기류를 건조시키고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어 전기 컨트롤 챔버(102)이 최대한 깨끗함을 유지하도록 하고, 먼지가 부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5를 참조하면,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 다른 부품에 대한 구동 모듈(32)의 영향을 더 줄이기 위해, 구동 모듈(32)은 회로 기판(30)의 모서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부터, 구동 모듈(32)의 작동 과정에서 고온이 다른 부품에 미치는 영향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 다른 부품의 원래의 설치 방식을 변경할 필요도 없어 생산 비용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컨트롤 모듈(31) 및 구동 모듈(32) 중의 고발열 소자는 회로 기판(30)의 동일측에 설치되고, 메인 컨트롤 모듈(31) 및 구동 모듈(32) 중의 저발열 소자는 모두 회로 기판(30)의 타측에 설치된다. 이로부터, 고발열 소자와 저발열 소자 사이의 열량 전달을 최대한 줄이고, 온도가 소자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밖에, 고발열 소자를 회로 기판(30)의 동일측에 설치함으로써, 고발열 소자에 대해 동일한 방열을 진행하기 용이하여 방열 효율 및 효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밖에, 회로 기판(30)이 조립된 후, 회로 기판(30)의 양측의 기류가 균일하지 않는 문제가 존재할 수 있는데, 고발열 소자를 회로 기판(30)의 동일측에 설치함으로써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 설명해야 할 것은, 저발열 소자는 회로 기판(30)의 동일측에 설치됨으로써, 저발열 소자에 대한 고발열 소자의 간섭을 방지하여, 회로 기판(30)의 작동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고발열 소자란 작동 과정에서 발열량이 높은 전자 소자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구동 칩 등이며; 저발열 소자란 작동 과정에서 발열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자 소자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저항기, 커패시터 등이다. 여기서, 고발열 소자 및 저발열 소자는 상대적이며, 실제 사용 상황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공기 조화기는 구동 모듈(32)을 통해 팬(2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구동 모듈(32)의 주파수가 높을 수록 온도가 더 높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방열기(3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방열기(33)는 회로 기판(30)에 연결되며, 방열기(33)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부에 설치되거나 적어도 일부분이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외부에 위치하며, 다시 말해서, 방열기(33)는 일부분이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부분이 전기 컨트롤 챔버(102)에서 돌출되어 전기 컨트롤 챔버(102) 밖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방열기(33)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동시에, 열량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외부로 전달하여 방열기(33)의 열량 손실을 가속화하고, 전기 컨트롤 장치(1300) 정상적인 동작을 유지하며, 방열기(33) 자체 온도가 너무 높은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방열기(33)를 적시에 냉각시킴으로써, 구동 모듈(32)에 대한 방열기(33)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고,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을 참조하면, 방열기(33)는 핀 방열기(33)일 수 있고, 핀 방열기(33)의 금속 열도 및 방열 효율은 일반적인 주철 방열기(33)보다 높으며 적용 범위가 넓고 압력 지지 능력이 높으며 부피가 작아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내부 장착에 더 적합하고, 내부 구조의 긴밀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에서, 도 7을 참조하면, 방열기(33)는 본체부(331) 및 다수개의 방열편(332)을 포함할 수 있고, 다수개의 방열편(332)은 본체부(331)에 연결되며, 다수개의 방열편(332)은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고, 방열편(332)은 제2 방향(도 7에서 수직면에 수직되는 방향을 참조)을 따라 연장되며, 다수개의 방열편(332)은 본체부(331)의 열량을 빠르게 분산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방향은 제2 방향에 수직된다. 팬(21)가 작동될 때, 기류가 방열기(33)를 통과하도록 구동할 수 있고, 기류는 방열기(33)와 열교환되어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풍향은 방열편(332)의 연장 방향과 평행되어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기류는 두 개의 방열편(332)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여 방열편(332)의 열량을 가져갈 수 있어, 방열기(33)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사용 시, 전기 컨트롤 챔버(102) 및/또는 구동 모듈(32)은 본체부(331)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열량은 본체부(331)를 통해 다수개의 방열편(332)에 전달되어,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을 참조하면, 방열기(33)는 회로 기판(30)과 이격되어 설치되고,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절연 지지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절연 지지부(34)는 회로 기판(30) 및 방열기(33)에 각각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방열기(33)와 회로 기판(30) 사이에 플라스틱 부재를 설치할 수 있고, 플라스틱 부재는 한편으로는 방열기(33)를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절연 효과도 있어, 방열기(33)와 회로 기판(30) 사이의 단락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4를 참조하면, 방열기(33)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내벽에는 통풍구(110)가 설치되며, 방열기(33)의 방열편(332) 간격은 통풍구(110)에 대향된다. 따라서, 기류가 통풍구(110)에 의해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로 유입될 경우, 기류는 방열기(33)의 방열편(332) 간격을 통과할 수 있거나, 또는, 기류는 방열기(33)의 방열편(332) 간격을 통과한 후, 통풍구(110)에 의해 배출되어, 방열기(33) 방열편(332)과 기류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기류와 방열편(332)의 접촉 시간을 연장시키며, 나아가 방열기(33)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기(33)의 적어도 일부분은 송풍덕트(101)(도 4의 좌측을 향하는 방향을 참조)를 향해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서 돌출되고, 송풍덕트(101) 내로 돌출되거나; 또는, 방열기(33)의 적어도 일부분은 송풍덕트(101)를 등지는 일측을 향해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서 돌출된다. 다시 말해서, 송풍덕트(101)에 가까운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일측에는 제1 개구가 설치될 수 있고, 방열기(33)의 일부분은 제1 개구에서 돌출되어, 송풍덕트(101) 내로 돌출되거나; 또는, 송풍덕트(101)에서 멀어지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일측에는 제2 개구가 설치되고, 방열기(33)의 일부분은 제2 개구에서 송풍덕트(10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따라서, 송풍덕트(101)에 의해 방열기(33)를 냉각, 열교환시켜 방열기(33)의 열량이 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여, 구동 모듈(32)에 대한 방열기(33)의 방열 및 냉각 효과를 향상시켜, 전기 컨트롤 장치(1300) 정상적인 동작을 유지하며; 아울러, 방열기(33)를 통과하는 기류의 온도가 너무 낮은 것을 방지하고 응로(凝露)의 생성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기(33)는 회로 기판(30)에 평행되거나, 회로 기판(30)에 수직되거나, 회로 기판(30)과 90°보다 작은 협각을 이룰 수 있다. 이로부터 방열 효과가 향상된다. 이 밖에, 방열기(33)가 통풍 상황에 적합하여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기 컨트롤 챔버(102)에서 통풍구(110)의 설치 형태에 따라, 방열기(33)의 배열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의 온도가 높을 경우, 온도 센서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작동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프롬프트를 내보낼 수 있다. 또는, 온도 센서는 구동 모듈(32) 및 방열기(33)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거나 온도 센서는 구동 모듈(32)에 근접하여 구동 모듈(33)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방열기(33)를 합리적으로 제어하여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에너지를 절약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여기서, 전기 컨트롤 챔버(102)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일단에 설치되고, 환기구는 하우징(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즉 전기 컨트롤 챔버(102)와 환기구는 대응되게 설치되어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환기 기류가 더 크도록 하고; 구동 모듈(32)은 팬(21)를 구동시키는 동작에 적합하도록 스마트 전력 모듈 및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 집적 회로 등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하나, 두 개 또는 다수개의 팬의 회동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가 다수개의 팬(21)를 포함할 경우, 다수개의 팬(21)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길이 방향(도 4의 좌우 방향을 참조)을 따라 분포된다.
선택적으로,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내측면에는 위치결정 에지(미도시)가 설치되고, 위치결정 에지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내측면에서 위치결정홈을 구성하며, 메인 컨트롤 모듈(31)은 상기 위치결정홈 내에 설치되며, 위치결정 에지에는 다수개의 위치결정 후크가 설치되고, 위치결정 후크는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이탈을 제한하며, 여기서, 다수개의 위치결정 후크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후크로 마련되고, 메인 컨트롤 모듈(31) 장착 시 탄성 후크는 변형되어 메인 컨트롤 모듈(31)을 위치결정홈 내에 장착시킨다.
선택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전기 컨트롤 박스(1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전기 컨트롤 박스(11)는 하우징(10) 내에 설치되며, 전기 컨트롤 박스(11) 내부에 의해 전기 컨트롤 챔버(102)가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전기 컨트롤 박스(11)는 방진 기능을 가지므로,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부 소자의 안전성을 보호할 수 있다. 이 밖에, 전기 컨트롤 박스(11)는 하우징(10)의 일측에 위치하여 공간 배치가 용이하고 수리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전기 컨트롤 박스(11)에는 본체 및 덮개가 설치될 수 있고, 본체 및 덮개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덮개는 본체를 덮어 챔버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전기 컨트롤 챔버(102) 및 그 내부의 메인 컨트롤 모듈(31) 또는 구동 모듈(32)을 수리 또는 교체해야 할 경우, 덮개를 열면 되므로,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 메인 컨트롤 모듈(31) 또는 구동 모듈(32)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여, 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수리 비용을 줄인다. 또한, 전기 컨트롤 챔버(102)는 외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이 절약되고, 하우징(10)의 부피가 감소되며, 하우징(10)의 비용이 줄어든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기 컨트롤 챔버(102)는 편평상의 챔버로 형성되어 공간 배치에 유리하고, 메인 컨트롤 모듈(31)은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편평하게 배치되고, 구동 모듈(32)은 상황에 따라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편평하게 배치되거나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직립되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전기 컨트롤 박스(11)는 하우징(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어 공간 배치가 용이하고 수리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구조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를 들어, 전기 컨트롤 챔버(102)는 금속 외부쉘 및 금속 외부쉘 내에 설치되는 플라스틱 내부쉘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내부쉘은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고, 소정의 절연성 및 난연성을 가지며, 내부 회로 고장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누전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외부쉘은 금속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금속 재료는 소정의 방화성 및 강한 변형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너무 높은 온도로 인해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부에 화재가 발생할 때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외부 소자에 미치는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전기 컨트롤 챔버(102)는 내화재일 수도 있으며, 내화재를 직접 사용하여 사출 성형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전기 컨트롤 챔버(102)를 일체로 가공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이 더 간단하고 생산이 더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 구동 모듈(32)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하고, 구동 모듈(32)과 모터(22)를 분리되게 설치함으로써, 구동 모듈(32)을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모듈(32) 상의 회로, 인터페이스를 유연하게 설계하여, 구동 모듈(32)의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고;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는 구동 보드를 보다 용이하게 수리 및 개조할 수도 있다.
구동 모듈(32)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함으로써, 조립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고, 구동 모듈(32)을 점검 수리하는 과정에서, 팬 어셈블리(20)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 유지 보수의 효율이 향상되며, 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하고, 구동 모듈(32)에 대한 업그레이드가 용이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에 대한 사람들의 날로 증가하는 기능 요구를 충족시킬 수도 있다. 구동 모듈(32)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함으로써, 구동 모듈(32)이 모터(22) 내에 설치되어 모터(22)의 부피가 너무 커져 송풍덕트(101)의 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방지할 수도 있고, 구동 모듈(32)을 송풍덕트(101) 내에 배치하여 송풍덕트(101) 내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송풍덕트(101)의 송풍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구동 모듈(32)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함으로써,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의 남은 공간을 충분하게 이용한다. 예를 들어,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의 메인 컨트롤 모듈에는 부피가 큰 부품(예를 들어, 커패시터 등)이 존재하고, 부피가 작은 부품(예를 들어, 저항기 등)도 존재하는데, 이러한 부품이 함께 장착될 경우,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많은 공간이 남는다.
보다시피, 본 발명은 구동 모듈(32)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다른 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공간 수요를 증가시키지도 않으므로, 기존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적용될 수 있고, 금형 비용을 절감한다. 이 밖에, 구동 모듈의 업그레이드 및 확장 등이 용이할 수 있고, 구동 모듈 또는 모터(22)의 기능을 변경하거나 추가해야 할 경우, 구동 모듈(32)만 교체하면 된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생산, 조립, 유지 보수 과정에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전체 기계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구동 모듈(32)의 업데이트 및 변경을 완료할 수 있으며, 조립 공정, 금형 구조의 변화를 초래하지 않고, 비용을 절감하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모듈화 설계를 최적화한다. 예를 들어, 정풍량 송풍 기능이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 및 정풍량 송풍 기능이 없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경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생산 공정은 변하지 않고 구동 모듈(32)만 변경하면 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하우징(10), 팬 어셈블리(20) 및 구동 모듈(32)을 포함하고, 하우징(10)은 팬 어셈블리(20), 구동 모듈(32) 등을 위해 수용 장소 및 지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팬 어셈블리(20)는 기류를 구동시켜 기류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를 통과하여 공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구동 모듈(32)은 팬 어셈블리(20)를 위해 에너지원 등을 제공하여, 팬 어셈블리(20)의 작동을 구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 내에는 송풍덕트(101)가 구비되고, 송풍덕트(101)에는 환기구 및 송풍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기류는 환기구에서 송풍덕트(101) 내로 유입되고, 송풍덕트(101) 내에서 처리된 후 송풍구에서 배출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20)는 송풍덕트(101) 내에 설치되어 기류를 구동시키고, 팬 어셈블리(20)는 기류가 송풍덕트(101) 내에서 환기구로부터 송풍구(도 9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기류를 이송함)로 흐르도록 구동시킬 수 있고, 나아가 하우징(10) 외부의 기류가 환기구를 통해 송풍덕트(101)로 유입되도록 구동하고, 하우징(10) 내부의 기류가 송풍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구동 모듈(32)은 하우징(10) 내에 설치되고, 구동 모듈(32)은 팬 어셈블리(20)를 위해 구동 신호 등을 제공하여 팬 어셈블리(2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모듈(32)은 구동 보드(111) 및 커버 본체(112)를 포함하고, 구동 보드(111)는 팬 어셈블리(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팬 어셈블리(20)의 작동을 구동한다. 커버 본체(112)는 구동 보드(111)의 외측에 씌워 설치된다. 커버 본체(112)는 구동 보드(111)를 보호하고, 구동 보드(111)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에서, 커버 본체(112)는 구동 모듈(32)을 보호하고, 유지 보수, 장착 등 과정에서 다른 부재가 구동 보드(111)에 접촉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손상을 방지하며, 구동 모듈(32)의 안전 성능을 향샹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보드(111)에 존재하는 버 등 구도를 차단하여, 구동 보드(111)의 버 등이 떨어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고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커버 본체(112)를 설치함으로써, 구동 보드(111)를 위해 소정의 보호를 제공하고, 외부의 물, 문지 등이 구동 보드(111)에 떨어지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하여, 구동 보드(111)의 작동 안정성 및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버 본체(112)는 다양하고 상이한 장착 방식이 있을 수 있고, 여기서, 커버 본체(112)를 구동 보드(111) 상에 장착시킬 수 있으며, 커버 본체(112)를 아래의 방열기(33) 상에 장착할 수도 있으며, 커버 본체(112)를 구동 보드(111)에 장착되는 구조 부재(예컨대, 아래의 메인 컨트롤 보드) 상 등에 장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주로 커버 본체(112)와 구동 보드(111)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대한 한정이 아니다. 이 밖에, 커버 본체(112)는 스냅 조인트, 볼트 연결 구조, 용접, 본딩, 바인딩 등 방식을 통해 구동 보드(111)에 연결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부 구체적인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장착 방식을 제공하여 커버 플레이트의 장착 및 고정을 구현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커버 본체(112) 상에는 제1 위치결정부(103)가 설치되고, 구동 보드(111) 상에는 제2 위치결정부(104)가 설치되며, 제1 위치결정부(103)와 제2 위치결정부(104)는 맞추어져 커버 본체(112)와 구동 보드(111) 사이의 이탈을 제한한다. 제1 위치결정부(103)와 제2 위치결정부(104)의 맞춤을 통해, 커버 본체(112)를 구동 보드(111) 상에 안정적으로 장착하여, 커버 본체(112)가 구동 보드(111)에 보다 효과적인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112) 상에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구동 보드(111)는 상기 수용홈 내에 감입되며, 수용홈 내의 대향되는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 위치결정부(103)가 설치되고, 구동 보드(111)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 위치결정부(104)가 설치되어, 구동 보드에 대한 커버 본체(112)의 보호를 구현할 수 있고, 또한 구동 보드(111)와 커버 본체(112)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수용홈 내의 대향되는 양측면에는 모두 제1 위치결정부(103)가 설치되고, 구동 보드(111)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모두 제2 위치결정부(104)가 설치되며, 커버 본체(112)가 외력의 작용을 받을 경우, 커버 본체(112)는 힘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어 커버 본체(112)와 구동 보드(111)의 연결 안정성을 더 향상시킨다.
여기서, 제1 위치결정부(103) 및 제2 위치결정부(104) 중 하나는 위치결정 걸림 후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위치결정 걸림홈을 포함한다. 위치결정 걸림 후크와 위치결정 걸림홈의 맞춤을 통해, 커버 본체(112)와 구동 보드(111)를 걸림 체결 구조를 통해 연결하여, 커버 본체(112)와 구동 보드(111) 사이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이 용이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보드(111)의 측변의 일단에는 돌기부가 설치되고, 돌기부와 측변 상의 다른 위치는 위치결정 걸림홈의 구조를 구성하며, 수용홈의 내측면에는 위치결정 걸림 후크가 설치되고, 장착된 후, 걸림 후크는 위치결정 걸림홈 내에 감입됨으로써, 커버 본체(112)와 구동 보드(111)의 안정적인 장착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결정 걸림 후크에는 쐐기 형상의 가이드 구조가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버 본체(112)의 장착 과정에서, 쐐기 형상의 구조의 작용을 통해, 커버 본체(112)와 구동 보드(111)의 안장적인 장착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커버 본체(112) 상에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구동 보드(111)는 수용홈 내에 감입되며, 수용홈 내의 대향되는 양측면에는 구동 보드(111)의 측변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이 설치된다. 장착 과정에서, 구동 보드(111)의 대향되는 양측변을 수용홈 내의 슬라이딩홈에 각각 대응시키고, 커버 본체(112)를 슬라이딩하여, 구동 보드(111)의 측변이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커버 본체(112)와 구동 보드(111)의 빠른 장착을 완료할 수 있다.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결합하면, 구동 보드(111)의 대향되는 양측변이 슬라이딩홈 내의 소정위치로 슬라이딩될 경우, 제1 위치결정부(103) 및 제2 위치결정부(104)를 통해 위치결정되어, 구동 보드(111)에서 커버 본체(112)의 안정적인 장착을 구현한다.
이 밖에, 본 발명에서, 커버 본체(112)와 구동 보드(111) 사이에는 간격이 설치되고, 커버 본체(112) 상에는 간격과 연통되는 방열홀(105)이 설치된다. 방열홀(105)을 설치함으로써, 방열 매체와 구동 보드(111)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용이하게 하고, 방열 면적을 증가시켜 더 나은 방열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커버 플레이트가 구동 보드(111)를 덮어 열교환 매체의 유통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도 방지한다.
여기서, 커버 본체(112) 상에는 다수개의 방열홀(105)이 설치될 수 있고, 다수개의 방열홀(105)은 그리드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동 보드(111)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통풍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이 밖에, 다수개의 방열홀(105)로 구성된 그리드홀은 전술한 제1 플레이트부(1121) 상에 설치되고, 제1 플레이트부(1121)를 커버하여 방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물론, 전술한 제2 플레이트부(1122)도 마찬가지로 방열홀(105)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밖에, 구동 모듈(32)의 작동 과정에서, 구동 모듈(32)을 방열시켜야 하므로, 구동 보드(111) 상에 방열기(33)를 연결할 수 있고, 방열기(33)를 통해 구동 보드(111)의 열량을 방열하며, 방열 과정에서, 방열기(33)는 방열 매체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방열 효율 및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32)은 방열기(33)를 더 포함하고, 방열기(33)는 구동 보드(111)에 열교환 가능하게 연결되며, 구동 보드(111)는 방열기(33)와 커버 본체(112) 사이에 끼워 설치된다. 방열기(33)를 통해 구동 보드(111)를 방열시키는 동시에, 방열기(33)를 커버 본체(112)에 결합하여, 구동 보드(111)에 대한 보호를 구현할 수도 있고, 구동 보드(111)를 보호하는 동시에, 구동 보드(111)의 방열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으며, 이 밖에, 방열기(33)와 커버 본체(112)가 구동 보드(111)의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방열기(33)가 방열 매체(공기 등)와 충분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추가된 커버 플레이트가 구동 보드(111)에 대한 방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커버 플레이트는 구동 보드(111)와 먼지, 수리 장비, 장착 장비 등을 이격시키고, 구동 보드(111)를 보호할 수 있으며, 구동 보드(111)에 대한 보호 효과를 더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커버 플레이트는 커버 본체(112)와 방열기(33) 사이의 틈새(구동 보드(111)의 배치 공간)을 차단하여 보호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고,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112)는 제1 플레이트부(1121) 및 제2 플레이트부(1122)를 포함하고, 제1 플레이트부(1121) 및 방열기(33)는 구동 보드(111)의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제2 플레이트부(1122)는 제1 플레이트부(1121)에 연결되고, 방열기(33) 및 방열기(33)와 제1 플레이트부(1121) 사이의 틈새를 덮는다. 제1 플레이트부(1121)와 방열기(33)의 결합을 통해, 구동 보드(111)를 보호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부(1122)는 제1 플레이트부(1121)와 방열기(33) 사이의 틈새를 차단함으로써, 구동 보드(111)에 대한 전면적인 보호를 제공하여, 구동 보드(111)에 대한 보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밖에, 제2 플레이트부(1122)는 방열기(33)의 일부분 또는 방열기(33)의 전부를 차단하여, 방열기(33)에 대한 보호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기(33)는 구동 보드(111)에 열교환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 보드(111)를 등지는 일측에는 방열편(332)이 설치된다. 방열편(332)을 설치함으로써, 구동 보드(111)에 대한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밖에, 구동 보드(111)는 방열기(33)와 커버 본체(112) 사이에 끼워 설치되고, 방열편(332)을 구동 보드(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방열기(33)가 더 많은 공간에 접촉되도록 하여, 커버 플레이트가 기류 유통 효과에 대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밖에,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본체(112)는 방열기(33) 또는 다른 구조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커버 본체(112)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어, 커버 본체(112)의 절연 효과를 보장하고, 구동 보드(111)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커버 본체(112)는 금속 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고, 금속 재료로 제조된 커버 본체(112)는 구동 보드(111)의 방열 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동 보드(111)는 송풍덕트(101) 내에 설치되고, 팬 어셈블리(20)를 이용하여, 구동 보드(111)에 대한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 보드(111)는 팬 어셈블리(20)의 입풍 경로에 설치될 수 있고, 구동 보드(111)는 팬 어셈블리(20)의 송풍 경로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구동 보드(111)는 송풍덕트(101) 내 방열기(33)의 상류에 설치되어, 방열기(33)가 구동 보드(111)의 작동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거나 응로 등의 생성을 방지한다. 또한, 구동 보드를 송풍덕트(101)에서 멀어지는 측벽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송풍덕트(101)의 측벽이 기류가 구동 보드(111)를 통과하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하우징(10) 내에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가 더 구비되고, 구동 보드(111)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된다. 구동 보드(111)를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함으로써, 구동 보드(111)의 유지 보수 및 장착이 용이할 수 있다.
이 밖에, 전기 컨트롤 챔버(102)는 송풍덕트(101)와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전기 컨트롤 챔버(102)가 송풍덕트(101)와 이격될 경우, 전기 컨트롤 챔버(102)는 송풍덕트(101)와 완전히 격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전기 컨트롤 챔버(102)와 송풍덕트(101) 사이에 통풍구를 설치하여 연결시킬 수도 있고, 이로써 팬(21)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공기가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서 유통되도록 구동하여 방열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전기 컨트롤 챔버(102)는 송풍덕트(101)와 완전히 이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팬 어셈블리(20)는 팬(21) 및 모터(22)를 포함할 수 있고, 팬(21)는 송풍덕트(101) 내에 설치되어 기류를 구동시키며, 모터(22)는 팬(21)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모터(22)를 통해 팬(21)를 구동하여 기류에 대한 구동을 구현하고, 구동 모듈(32)은 모터(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구동 모듈(32)은 모터(22)의 작동을 구동시킬 수 있다. 팬(21)는 기류가 열교환기를 거쳐 방열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는 메인 컨트롤 모듈(31)이 더 설치되고, 구동 보드(111)은 메인 컨트롤 모듈(31) 상에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내측면에는 위치결정 에지가 설치되고, 위치결정 에지는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내측면에서 위치결정홈을 구성하며, 메인 컨트롤 모듈(31)은 상기 위치결정홈 내에 설치되며, 위치결정 에지에는 다수개의 위치결정 후크가 설치되고, 위치결정 후크는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이탈을 제한하며, 여기서, 다수개의 위치결정 후크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후크로 마련되고, 메인 컨트롤 모듈(31) 장착 시 탄성 후크는 변형되어 메인 컨트롤 모듈(31)을 위치결정홈 내에 장착시킨다.
구동 모듈(32)은 메인 컨트롤 모듈(31)과 동일한 회로 기판 상에 집적될 수 있다. 이 밖에, 메인 컨트롤 모듈(31) 및 구동 모듈(32)은 분리형 구조이다. 메인 컨트롤 모듈(31)과 구동 모듈(32) 사이의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관련 기술의 메인 컨트롤 모듈(31), 구동 모듈(32)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거나 약간만 변경 가능하므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구동 모듈(32)을 메인 컨트롤 모듈(31) 상에 장착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구동 모듈(32)을 메인 컨트롤 모듈(31) 상에 수직으로 설치하거나; 또 예를 들어, 구동 모듈(32)을 메인 컨트롤 모듈(31)과 서로 평행되게 설치하거나; 또 예를 들어, 구동 모듈(32)을 메인 컨트롤 모듈(31)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한다. 여기서, 구동 모듈(32)은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모서리부 위치에 장착되고,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서 분리되게 배치할 수도 있고,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은 동일한 챔버 내의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구동 모듈(32) 및 메인 컨트롤 모듈(31)을 모두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벽에 편평하게 배치할 수 있고; 메인 컨트롤 모듈(31)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바닥벽에 편평하게 배치하고, 구동 모듈(32)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측벽에 편평하게 배치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실제 사용 수요에 따라,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의 장착 위치 및 장착 형태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밖에, 구동 모듈(32)과 메인 컨트롤 모듈(31)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의 상이한 캐비티 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구동 보드(111)에 보호 커버를 추가하여 방열 효과를 보장하는 동시에 강한 전류 보호를 구현하고 장착 시 우발적인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커버 본체(112) 상에 방열홀(105)을 형성하여 방열 효과를 보장하고;커버 본체(112)는 슬라이딩홈+걸림 후크의 장착 방식을 통해 구동 보드(111)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구동 보드(111) 상에 커버 본체(112)의 장착과 협력하는 특정 구조를 설계하고; 커버 본체(112) 상에 슬라이딩홈 구조를 설치하여 장착 과정에서 다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슬라이딩홈 단부는 가이드 장착되어 생산 소립 효율을 향상시키고; 커버 본체(112) 내부의 중간 위치 제한은 포장 조립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구동 보드(111) 생산 시 불가피한 버를 위해 충분한 장착 공간을 확보하여, 보호 커버와의 간섭이 보호 커버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구동 보드(111)는 핀을 통해 메인 컨트롤 모듈(31) 상에 삽입 설치될 수 있어, 장착 과정에서 구동 모듈(32)의 핀에 대한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동 모듈(32)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하고, 구동 모듈(32)과 모터(22)를 분리되게 설치함으로써, 구동 모듈(32)을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모듈(32) 상의 회로, 인터페이스를 유연하게 설계하여, 구동 모듈(32)의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고;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는 구동 모듈(32)을 보다 용이하게 수리 및 개조할 수도 있다.
구동 모듈(32)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함으로써, 조립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고, 구동 모듈(32)을 점검 수리하는 과정에서, 팬 어셈블리(20)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 유지 보수의 효율이 향상되며, 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하고, 구동 모듈(32)에 대한 업그레이드가 용이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에 대한 사람들의 날로 증가하는 기능 요구를 충족시킬 수도 있다. 구동 모듈(32)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함으로써, 구동 모듈(32)이 모터(22) 내에 설치되어 모터(22)의 부피가 너무 커져 송풍덕트(101)의 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방지할 수도 있고, 구동 모듈(32)을 송풍덕트(101) 내에 배치하여 송풍덕트(101) 내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송풍덕트(101)의 송풍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구동 모듈(32)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함으로써,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의 남은 공간을 충분하게 이용한다. 예를 들어,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의 메인 컨트롤 모듈에는 부피가 큰 부품(예를 들어, 커패시터 등)이 존재하고, 부피가 작은 부품(예를 들어, 저항기 등)도 존재하는데, 이러한 부품이 함께 장착될 경우,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많은 공간이 남는다.
보다시피, 본 발명은 구동 모듈(32)을 전기 컨트롤 챔버(102) 내에 설치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다른 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기 컨트롤 챔버(102)의 공간 수요를 증가시키지도 않으므로, 기존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적용될 수 있고, 금형 비용을 절감한다. 이 밖에, 구동 모듈의 업그레이드 및 확장 등이 용이할 수 있고, 구동 모듈 또는 모터(22)의 기능을 변경하거나 추가해야 할 경우, 구동 모듈(32)만 교체하면 된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생산, 조립, 유지 보수 과정에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의 전체 기계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구동 모듈(32)의 업데이트 및 변경을 완료할 수 있으며, 조립 공정, 금형 구조의 변화를 초래하지 않고, 비용을 절감하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모듈화 설계를 최적화한다. 예를 들어, 정풍량 송풍 기능이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정풍량 송풍 기능이 없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경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생산 공정은 변하지 않고 구동 모듈(32)만 변경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덕트형 공기 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덕트형 공기 조화기에 제한되지 않고,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 등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용어 “제1”, “제2”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지시하는 기술 특징의 수량을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된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특징을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별도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 한, “다수개”는 2개, 3개 등과 같이 적어도 2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규정하거나 한정하지 않는 한, 용어 “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은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별도로 명확하게 한정하지 않는 한, 고정 연결일 수 있고, 착탈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두 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두 개의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규정하거나 한정하지 않는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상” 또는 “하”에 위치하는 것은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직접적으로 접촉되거나, 또는 제1 특징과 제2 특징은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상측” 및 “상부면”에 위치하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상측 또는 비스듬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거나, 또는 단순히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높음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아래”, “하측” 및 “하부면”에 위치하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하측 또는 비스듬한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거나, 또는 단순히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낮음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용어 “일 실시예”,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 설명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합하여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인 표현은 반드시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겨냥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개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모순되지 않을 경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 및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시의 특징을 결합하고 조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변경, 수정, 대체 및 변형시킬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100: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0: 하우징; 11: 전기 컨트롤 박스; 101: 송풍덕트; 102: 전기 컨트롤 챔버; 103: 제1 위치결정부; 104: 제2 위치결정부; 105: 방열홀; 110: 통풍구; 20: 팬 어셈블리; 21: 팬; 22: 모터; 30: 회로 기판; 31: 메인 컨트롤 모듈; 32: 구동 모듈; 111: 구동 보드; 112: 커버 본체; 1121: 제1 플레이트부; 1122: 제2 플레이트부; 321: 구동 칩; 322: 연결 부재; 33: 방열기; 331: 본체부; 332: 방열편; 34: 절연 지지부; 35: 핀.

Claims (31)

  1.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로서,
    하우징 및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송풍덕트 및 전기 컨트롤 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 내에는 메인 컨트롤 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팬 어셈블리는 모터, 팬 및 구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송풍덕트 내에 설치되어, 기류를 구동시키도록 설정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팬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과 상기 구동 모듈은 분리형 구조이며,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 상에 장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거나;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과 서로 평행되게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모듈과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은 동일한 회로 기판 상에 집적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에는 통풍구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에 비해 상기 구동 모듈에 가까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회로 기판의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에서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 밖을 향하는 일측에는 방열기가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에는 모듈 핀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모듈 핀을 통해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에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핀에는 광 호일이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핀은 단차형 구조이고, 상기 모듈 핀의 일단은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의 메인 컨트롤 모듈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모듈 핀의 단차면은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에 지지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 및 상기 구동 모듈 중의 고발열 소자는 상기 회로 기판의 동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 모듈 및 상기 구동 모듈 중의 저발열 소자는 모두 상기 회로 기판의 타측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3.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방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기는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방열기는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기는 상기 회로 기판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절연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연 지지부는 상기 회로 기판 및 상기 방열기에 각각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기는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의 벽에는 통풍구가 설치되며, 상기 방열기의 방열편 간격은 상기 통풍구에 대향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 모듈의 구동 칩은 상기 구동 모듈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방열기는 상기 구동 칩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칩을 덮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기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송풍덕트를 향해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에서 돌출되고, 상기 송풍덕트 내로 돌출되거나;
    또는,
    상기 송풍덕트를 등지는 일측을 향해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 내에서 돌출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기는 상기 회로 기판에 평행되거나, 상기 회로 기판에 수직되거나, 또는 상기 회로 기판과 90°보다 작은 협각을 이루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기는 상기 구동 모듈 상의 구동 칩을 완전히 커버하고, 상기 방열기의 주연은 상기 구동 칩에서 돌출되어, 상기 구동 모듈과의 사이에 에어 갭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모듈은 구동 보드 및 커버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보드는 상기 팬 어셈블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 본체는 상기 구동 보드의 외측에 씌워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 상에는 제1 위치결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 보드 상에는 제2 위치결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위치결정부와 상기 제2 위치결정부는 상기 커버 본체와 상기 구동 보드 사이의 이탈을 제한하도록 맞추어지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결정부 및 상기 제2 위치결정부 중 하나는 위치결정 걸림 후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위치결정 걸림홈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 상에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 보드는 상기 수용홈 내에 감입되며, 상기 수용홈 내의 대향되는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1 위치결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 보드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제2 위치결정부가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4.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 상에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 보드는 상기 수용홈 내에 감입되며, 상기 수용홈 내의 대향되는 양측면에는 상기 구동 보드의 측변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이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5.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와 상기 구동 보드 사이에는 간격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 본체 상에는 상기 간격과 연통되는 방열홀이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6.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방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기는 상기 구동 보드에 열교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구동 보드는 상기 방열기와 상기 커버 본체 사이에 끼워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는 제1 플레이트부 및 제2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방열기는 상기 구동 보드의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에 연결되고, 상기 방열기 및 상기 방열기와 상기 제1 플레이트부 사이의 틈새를 덮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기는 상기 구동 보드에 열교환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보드를 등지는 일측에는 방열편이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9.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보드는 상기 송풍덕트 내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0.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전기 컨트롤 챔버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동 보드는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 내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컨트롤 챔버 내에는 메인 컨트롤 보드가 더 설치되며, 상기 구동 보드는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 상에 장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0247003750A 2022-06-06 2023-06-06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2400278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21406073.7 2022-06-06
CN202210634576.8 2022-06-06
CN202221411290.5U CN217685396U (zh) 2022-06-06 2022-06-06 空调室内机
CN202221411290.5 2022-06-06
CN202210634576.8A CN117232116A (zh) 2022-06-06 2022-06-06 空调室内机
CN202221406073.7U CN217685389U (zh) 2022-06-06 2022-06-06 空调室内机
PCT/CN2023/098608 WO2023236950A1 (zh) 2022-06-06 2023-06-06 空调室内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815A true KR20240027815A (ko) 2024-03-04

Family

ID=8911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750A KR20240027815A (ko) 2022-06-06 2023-06-06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7815A (ko)
WO (1) WO2023236950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53411U (en) * 2002-04-11 2003-09-11 Avance Technologies Inc Auxiliary positioning and heat sink device of interface card
CN102955538A (zh) * 2011-08-30 2013-03-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导风罩
CN110932526A (zh) * 2018-09-18 2020-03-27 致茂电子(苏州)有限公司 电源供应装置
CN114061123B (zh) * 2020-08-03 2023-07-25 海信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风机电机驱动装置及空调器
CN213300252U (zh) * 2020-09-14 2021-05-28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空调器及其室内机
CN217685389U (zh) * 2022-06-06 2022-10-28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N217685396U (zh) * 2022-06-06 2022-10-28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6950A1 (zh)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2997B (zh) 伺服器之冷卻循環系統
KR20150005338A (ko) 공기조화기
CN207340352U (zh) 一种空调电控盒
CN217685396U (zh) 空调室内机
CN213746907U (zh) 底板组件及烹饪器具
JP2005044857A (ja) 冷却機構
CN218096244U (zh) 空调室内机
CN217685391U (zh) 空调室内机
JP2580507Y2 (ja) 電子機器の冷却装置
KR20240027815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217685389U (zh) 空调室内机
CN215412220U (zh) 电控盒、空调外机及空调器
CN215872164U (zh) 电控盒及空调器
KR20240028977A (ko) 전기 제어 박스,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공기조화기
CN210283963U (zh) 充电站
JP5470799B2 (ja) 冷却装置
CN110785066B (zh) 电控组件和热水空调器
KR20240023132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217685392U (zh) 空调室内机
CN217685394U (zh) 空调室内机
CN217685395U (zh) 空调室内机
CN213548105U (zh) 一种户外设备的换热结构
CN219536709U (zh) 电能转换器前箱体结构、电能转换器箱体以及电能转换器
CN219421179U (zh) 变频柜和暖通设备
CN117232117A (zh) 空调室内机